KR102569591B1 - 애완동물용 장난감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장난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591B1
KR102569591B1 KR1020220097338A KR20220097338A KR102569591B1 KR 102569591 B1 KR102569591 B1 KR 102569591B1 KR 1020220097338 A KR1020220097338 A KR 1020220097338A KR 20220097338 A KR20220097338 A KR 20220097338A KR 102569591 B1 KR102569591 B1 KR 10256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s
toy
area
support
t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택
Original Assignee
김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택 filed Critical 김승택
Priority to KR102022009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이 제공된다. 상기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영역(220)과, 상기 공간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 영역(210)으로 구성되는 누름 막대(200); 및 지렛대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수평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장난감{A TOY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려묘의 두더지 장난감에서 사료, 간식 등의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을 구비하고, 이 수용 유닛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인들은 급격한 생활 문화 수준의 향상과 함께 핵가족화에 따른 공허감을 채우기 위해서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또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고 사육함에 따라 최근에는 고양이를 사육하는 애묘인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애묘용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애묘용품 중 대표적인 것이 캣 타워(cat tower)인데, 캣 타워는 반려묘들의 놀이터이자 휴식 공간으로서 쥐돌이, 달랑거리는 물체 등과 같은 고양이 장난감을 이용하여 사냥 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직 운동을 좋아하는 고양이의 특성 상 높은 곳을 오르고자 하는 본능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운동으로 인한 비만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애묘용품 중 두더지 잡기 장난감이 애묘인들 사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도 1은 이러한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의 일 측에 돌출되어 있는 막대 형상의 지렛대(2)의 일 측을 눌러주면 지렛대(2)의 타 측에 부착되어 있는 인형(3) 등이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의 상부 개구를 통해 불쑥 튀어나오게 함으로써 반려묘의 흥미를 유발하고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되는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의 경우 지렛대(2)의 타 측에 인형만이 부착되어 있어 반려묘가 금방 싫증을 내기도 하고, 특히 장난감을 활용하여 반려묘에게 사료, 간식 등을 먹일 수가 없기에 장난감에 대한 반려묘들의 관심이 매우 단기적이고 제한적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게다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의 경우 인형(3)의 상승과 하강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수단이 부재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예를 들어, 고양이 주인 등)가 지렛대(2)를 누를 때에 지렛대(2)가 수직하게 상승하지 못함으로써 인형(3)이 상부 개구를 통해 나오지 못하고 내부 벽에 부딪히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며, 이는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에서 사료, 간식 등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을 구비하고, 동시에 이 수용 유닛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특히 애묘인들 사이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료, 간식 등의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이 구비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 유닛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 유닛의 상승 시에 수용 유닛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 유닛의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단차를 두고 형성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에 대해 수용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현함으로써 수용 유닛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막대의 노출 영역과 지지대의 노출 영역을 곡선 형상으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반려묘 또는 사용자가 장난감을 사용함에 있어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막대의 노출 영역을 그 폭을 더 넓게 하고 그 두께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반려묘가 보다 편안하게 누름 막대를 누를 수 있도록 설계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은,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영역과, 상기 공간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 영역으로 구성되는 누름 막대; 및 지렛대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 영역의 누름에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용 장난감은, 일면이 상기 수용 유닛과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누름 막대와 접촉하여, 상기 노출 영역의 누름에 따라 상기 수용 유닛과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누름 막대가 삽입되는 제1 홀이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제3 홀이 구비되는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 영역의 누름에 따라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3 홀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막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홀이 구비되는 중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하강 시 상기 누름 막대의 일부 영역과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승 시 상기 누름 막대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수용 유닛과 상기 지지대의 결합 면과 평행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유닛은,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커버 홀이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홀의 지름은 상기 제1 바디의 지름보다 더 작고 상기 제2 바디의 지름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 영역의 폭은 상기 수용 영역의 폭 보다 더 크고, 상기 노출 영역은 외측으로 진행할수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사료, 간식 등의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수용 유닛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수용 유닛의 상승 시에 수용 유닛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 유닛의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단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지지대에 대해 수용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현함으로써 수용 유닛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누름 막대의 노출 영역과 지지대의 노출 영역을 곡선 형상으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반려묘 또는 사용자가 장난감을 사용함에 있어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누름 막대의 노출 영역을 그 폭을 더 넓게 하고 그 두께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반려묘가 보다 편안하게 누름 막대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반려묘 두더지 장난감(1)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커버 플레이트(160)가 결합된 상태의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 해제된 상태의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커버 플레이트 및 사이드 플레이트가 결합 해제된 상태의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내지 도 2c는 커버 플레이트(160)가 결합된 상태의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도 3a 및 도 3b는 커버 플레이트(160)가 결합 해제된 상태의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대상인 애완동물로서 대표적으로 고양이(또는 반려묘)를 예시로 하여 기술하지만, 고양이 이외에도 개, 토끼, 너구리 등의 다른 애완동물과의 놀이를 위해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이 이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시되는 육면체의 형상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팔면체, 삼각기둥, 원기둥 등의 다른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반려묘의 평균 크기를 고려하여 치수가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닌 반려묘가 앞발로 직접 누름 막대(200)를 누르고 그에 따라 상승하는 수용 유닛(400)에 수용된 간식, 사료 등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려묘의 흥미 유발과 음식 섭취를 동시에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육면체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현될 수 있고, 그 내부 공간에 수용 유닛(400)이 은폐되어 있다가 누름 막대(200)의 가압에 의해 지렛대 원리에 기초하여 수용 유닛(400)의 일부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바디(4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플레이트는 총 7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플레이트는 지지 플레이트(110), 제1 사이드 플레이트(121), 제2 사이드 플레이트(122), 전면 플레이트(130), 중앙 플레이트(140), 후면 플레이트(150), 커버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110)와 커버 플레이트(160)는 상호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122)는 상호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면 플레이트(130)와 중앙 플레이트(140)와 후면 플레이트(150)는 상호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앙 플레이트(140)는 전면 플레이트(130)와 후면 플레이트(150) 사이의 실질상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플레이트는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조되어 상호 끼워 맞춤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10)와 커버 플레이트(160)에는 결합 홈(또는 결합 리세스)이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 전면 플레이트(130), 중앙 플레이트(140), 후면 플레이트(150)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가 지지 플레이트(110) 및 커버 플레이트(160)에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보다 용이한 결합(조립) 및 분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복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영역이 그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 막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막대(200)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영역(220)과, 상기 공간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 영역(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3개의 누름 막대(200)(그에 따라, 3개의 수용 유닛(400) 및 3개의 지지대(500))를 도시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따라서 상이한 개수의 누름 막대(200)가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결합 홈이 구비되어 결합 홈을 통해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 전면 플레이트(130), 중앙 플레이트(140) 및 후면 플레이트(1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지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 수단(예를 들어, 고무 패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양이의 놀이 공간(예를 들어, 거실, 방 등)에서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이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30)에는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제1 홈(13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홈(131)을 통해 누름 막대(20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플레이트(140)에는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제2 홈(14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141)을 통해 누름 막대(200)가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누름 막대(20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누름 막대(200)가 삽입되는 제1 홈(131) 및 제2 홈(141) 또한 사각형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누름 막대(200)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그에 따라 누름 막대(200)가 삽입되는 제1 홈(131) 및 제2 홈(141) 또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면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홈(131)과 중앙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홈(141)은 서로 대응하는 배치에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누름 막대(200)의 안정적인 승강 및 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누름 막대(200)에는 로드삽입개구(221)가 구비될 수 있고, 로드삽입개구(221)를 통해 회전축 로드(3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회전축 로드(300)의 양단이 각각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 로드(300)의 보다 안정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노출 영역(210)을 누르기 이전과 이후의 상승 각도 및 수용 유닛(400)의 최고 높이 및 최저 높이를 분석함으로써 수용 유닛(400)이 수평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회전축 로드(300)의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누름 막대(200)에 회전축 로드(300)를 적용함으로써, 누름 막대(200) 각각의 회전축을 지탱하는 부재 및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고 누름 막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은 수용 유닛(400)과 결합되어 누름 막대(200)의 누름에 따라 수용 유닛(400)과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지지대(500)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일단은 제3 홈(151)을 통해 공간 외부로 노출이 되고 그 타단은 중앙 플레이트(140)의 영역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500)는, 일면이 수용 유닛(400)과 결합되고 타면이 누름 막대(200)와 접촉함으로써,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수용 유닛(400)과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면 플레이트(150)에는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제3 홈(151)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홈(151)을 통해 지지대(50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홈(151)은 전면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홈(131) 및 중앙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홈(141)과 서로 대응하는 배치에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이 눌려지면 지지대(500)는 제3 홀(151)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누름 막대(200)-지지대(500)-수용 유닛(400) 어셈블리의 안정적인 승강 및 하강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는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측면을 차폐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는 사이드 홀(121a)을 구비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사이드 홀(122a)을 구비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12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작은 구멍을 보면 손을 집어 넣는 습성을 고려하여 사이드 홀(121a, 122a)이 수용 유닛(400) 및 지지대(500)의 배치와 나란하게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수용 유닛(400)으로부터 이탈된 간식, 사료 등의 회수 및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의 높이 기준으로 중앙보다 아래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21, 122)는 지지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결합 홈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110)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누름 막대(200)-지지대(500)-수용 유닛(400)의 어셈블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승 및 하강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의 누름 막대(200) 중 어느 하나의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을 누름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수용 유닛(400)이 상승되어 커버 홀(161)을 통해 돌출되도록 할 수 있거나,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의 누름 막대(200) 중 좌우 2개의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좌우 2개의 수용 유닛(400)이 상승되어 커버 홀(161)을 통해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3개의 누름 막대(200) 모두의 노출 영역(210)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3개의 수용 유닛(400)이 모두 상승되어 커버 홀(161)을 통해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복수의 누름 막대(200)-지지대(500)-수용 유닛(400)의 어셈블리 각각은 상이한 컬러(예를 들어, 빨강, 노랑, 파랑, 검정 등)로 채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심미감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지렛대 원리에 기초하여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수용 유닛(400)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바디(420)가 커버 홀(161)을 통해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때에, 소정의 사운드 피드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 막대(200)의 눌림에 의해 수용 유닛(400)이 상승되어 내부에 사료, 간식 등이 수용된 제2 바디(420)가 외부로 노출될 때, 예를 들어 고양이가 좋아하는 소리(바스락 소리, 물 흐르는 소리, 긁는 소리, 새 소리 등)가 사운드 피드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 피드백을 구현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160)의 커버 홀(161)에는 사운드 재생 수단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돌출 버튼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수용 유닛(400)의 제2 바디(420)가 상승하면서 돌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사운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복수의 누름 막대(200)-지지대(500)-수용 유닛(400) 어셈블리에 대해 제공되는 사운드 피드백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누름 막대(200)-지지대(500)-수용 유닛(400) 어셈블리 각각에 대해 상이한 사운드 피드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을 누르게 되면 사료, 간식 등이 담긴 수용 유닛(400)이 상승함과 동시에 소정의 사운드 피드백이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로 하여금 애완동물용 장난감(10)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출 영역(210)의 가압과 간식 등의 제공 및 좋아하는 소리의 제공이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플레이트(150)에 구비된 복수의 제3 홀(151)의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구현하거나 또는 복수의 수용 유닛(400)의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구현함으로써, 복수의 노출 영역(210)을 가압함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수용 유닛(400)의 제2 바디(420)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로 하여금 각각의 노출 영역(210)을 가압할 때에 대응하여 상승하는 수용 유닛(400)의 높이가 상이하다는 것을 학습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반복 학습을 통해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본 애완동물용 장난감(10)에 대한 관심도 및 재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커버 플레이트 및 사이드 플레이트가 결합 해제된 상태의 애완동물용 장난감(10)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500)는 그 상면이 수용 유닛(400)과 결합될 수 있고, 그 저면이 제1 영역(510)과 제2 영역(520)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대(500)의 제1 영역(510)은 지지대(500)의 하강 시 누름 막대(200)의 일부 영역과 접촉하고, 지지대(500)의 제2 영역(520)은 지지대(500)의 상승 시 누름 막대(200)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며, 여기서 제1 영역(510)은 누름 막대(200)의 하강 시 누름 막대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 영역(520)은 수용 유닛(400)과 지지대(500)의 결합 면과 평행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500)의 제1 영역(510) 및 제2 영역(520)의 꺾임 형상에 의해,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수용 유닛(400)이 상승하는 경우 그리고 노출 영역(210)의 누름이 해제되어 수용 유닛(400)이 하강하는 경우 모두에 수용 유닛(400)이 흔들림이 없이 균형 있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유닛(400)은 제1 바디(410)와, 상기 제1 바디(4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바디(4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바디(410)의 지름은 제2 바디(420)의 지름보다 더 클 수 있고, 제2 바디(420)가 제1 바디(4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410)와 제2 바디(420) 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유닛(400)에 형성되는 이러한 단차는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이 눌려지게 됨에 따라 수용 유닛(400)이 상승할 때에 수용 유닛(400)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어 수용 유닛(400)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60)에는 커버 홀(161)이 구비되고, 여기서 커버 홀(161)의 지름은 제1 바디(410)의 지름보다는 더 작고 제2 바디(420)의 지름보다는 더 크게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수용 유닛(400)이 상승할 때에 제1 바디(410)는 커버 플레이트(160)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제2 바디(420)만이 커버 홀(161)을 통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보다 용이하게 제2 바디(420)에 수용된 사료, 간식 등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유닛(400)의 제2 바디(420)를 액체 누설이 없도록 그릇의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제2 바디(420)에 물, 음료 등의 액체를 수용함으로써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물 등을 섭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의 폭은 수용 영역(220)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은 외측으로 진행할수록 테이퍼링될(tapered)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영역(210)의 형상을 통해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누름 막대(200)의 노출 영역(210)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애완동물용 장난감(10)에 대한 심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복수의 수용 유닛(400)이 일 직선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구성을 도시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수용 유닛(400)이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구성 또한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사료, 간식 등의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수용 유닛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수용 유닛의 상승 시에 수용 유닛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 유닛의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단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지지대에 대해 수용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현함으로써 수용 유닛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누름 막대의 노출 영역과 지지대의 노출 영역을 곡선 형상으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반려묘 또는 사용자가 장난감을 사용함에 있어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에 의하면, 누름 막대의 노출 영역을 그 폭을 더 넓게 하고 그 두께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반려묘가 보다 편안하게 누름 막대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애완동물용 장난감
110: 지지 플레이트
121: 제1 사이드 플레이트
122: 제2 사이드 플레이트
121a, 122a: 사이드 홀
130: 전면 플레이트
131: 제1 홀
140: 중앙 플레이트
141: 제2 홀
150: 후면 플레이트
151: 제3 홀
160: 커버 플레이트
161: 커버 홀
200: 누름 막대
210: 노출 영역
220: 수용 영역
221: 로드삽입개구
300: 회전축 로드
400: 수용 유닛
410: 제1 바디
420: 제2 바디
500: 지지대
510: 제1 영역
520: 제2 영역

Claims (10)

  1. 애완동물용 장난감(10)으로서,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 영역(220)과, 상기 공간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 영역(210)으로 구성되는 누름 막대(200); 및
    지렛대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유닛(400)은, 제1 바디(410)와, 상기 제1 바디(4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바디(420)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커버 홀(161)이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16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홀(161)의 지름은 상기 제1 바디(410)의 지름보다 더 작고 상기 제2 바디(420)의 지름보다 더 큰,
    애완동물용 장난감(10).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수용 유닛(400)과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누름 막대(200)와 접촉하여, 상기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상기 수용 유닛(400)과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500)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누름 막대(200)가 삽입되는 제1 홀(131)이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130)와, 상기 지지대(500)가 삽입되는 제3 홀(151)이 구비되는 후면 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210)의 누름에 따라 상기 지지대(500)는 상기 제3 홀(151)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30)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1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막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홀(141)이 구비되는 중앙 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0)는, 하강 시 상기 누름 막대(200)의 일부 영역과 접촉하는 제1 영역(510)과, 상승 시 상기 누름 막대(200)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는 제2 영역(520)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520)은, 상기 수용 유닛(400)과 상기 지지대(500)의 결합 면과 평행하게 구현되는,
    애완동물용 장난감(10).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210)의 폭은 상기 수용 영역(220)의 폭 보다 더 크고, 상기 노출 영역(210)은 외측으로 진행할수록 테이퍼링되는(tapered),
    애완동물용 장난감(10).
KR1020220097338A 2022-08-04 2022-08-04 애완동물용 장난감 KR10256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338A KR102569591B1 (ko) 2022-08-04 2022-08-04 애완동물용 장난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338A KR102569591B1 (ko) 2022-08-04 2022-08-04 애완동물용 장난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591B1 true KR102569591B1 (ko) 2023-08-22

Family

ID=8779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338A KR102569591B1 (ko) 2022-08-04 2022-08-04 애완동물용 장난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0632A (ko) * 1986-01-06 1988-04-11 고양이를 즐겁게 하는 장난감
KR100806278B1 (ko) * 2006-07-11 2008-02-22 송학수 고양이 장난감
KR101692140B1 (ko) * 2015-03-24 2017-0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의 분리 불안증 해소를 위한 인터랙티브 장난감
CN209089668U (zh) * 2018-11-10 2019-07-12 任杰 一种宠物玩具
KR20200102176A (ko) * 2019-02-21 2020-08-31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묘 장난감
KR20210000154U (ko) * 2019-07-10 2021-01-20 이종석 애완동물용 장난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0632A (ko) * 1986-01-06 1988-04-11 고양이를 즐겁게 하는 장난감
KR100806278B1 (ko) * 2006-07-11 2008-02-22 송학수 고양이 장난감
KR101692140B1 (ko) * 2015-03-24 2017-0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의 분리 불안증 해소를 위한 인터랙티브 장난감
CN209089668U (zh) * 2018-11-10 2019-07-12 任杰 一种宠物玩具
KR20200102176A (ko) * 2019-02-21 2020-08-31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묘 장난감
KR20210000154U (ko) * 2019-07-10 2021-01-20 이종석 애완동물용 장난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180B2 (en) Tray for presenting food to a pet
CA2731238C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domesticated animals
US10716288B2 (en) Animal food dispenser
US10172323B2 (en) Animal feeding dish to control rate of food consumption
DK2568803T3 (en) Motivational toys for a pet and method of use
US7584720B1 (en) Canine habitat
US5870971A (en) Multi-apertured feline toy and exercise device
US7866281B2 (en) Baffled treatball
US7337748B1 (en) Stackable play house for feline animals
US20060027183A1 (en) Birdcage attachments
US20220248639A1 (en) Wobbling pet treat toy and dispenser
US9675044B2 (en) Animal enrichment devices
US20220217939A1 (en) Animal enclosure and habitat with integral natural plant or forage platform
KR102569591B1 (ko) 애완동물용 장난감
US11627722B2 (en) Pet exercise apparatus
US4027626A (en) Pet elevator
US20060225664A1 (en) Animal exerciser, educator, feeder, and toy
KR102567470B1 (ko)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US10820570B2 (en) Pet feeder
KR20130006048U (ko) 먹이 공급이 용이한 햄스터 하우스
GB2269305A (en) Feeding apparatus.
US4749195A (en) Fishing-octopus toys
KR102428823B1 (ko) 애완동물용 식탁
KR20210010797A (ko) 소형 애완동물용 케이지와 이에 사용되는 연결통로
Young The rabbit revolution: Rethinking rabbits in education se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