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470B1 -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470B1
KR102567470B1 KR1020200185410A KR20200185410A KR102567470B1 KR 102567470 B1 KR102567470 B1 KR 102567470B1 KR 1020200185410 A KR1020200185410 A KR 1020200185410A KR 20200185410 A KR20200185410 A KR 20200185410A KR 102567470 B1 KR102567470 B1 KR 10256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illar
pedestal
launching means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320A (ko
Inventor
심용주
Original Assignee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가진 사냥 본능을 자극하는 유희성 놀이를 겸한 먹이 공급장치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정형의 먹이를 반려동물에 공급하는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세워지며, 투입한 먹이가 자유 낙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둘레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로 떨어진 먹이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반려동물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오른 먹이를 상부로 쳐올리는 론칭수단을 구비하는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Pet food supply device for triggering hunting instin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가진 사냥 본능을 자극하는 유희성 놀이를 겸한 먹이 공급장치와 관련된다.
반려동물로 길러지는 동물의 대부분은 사람으로부터 식음료를 제공받고 있다. 사냥, 수색 등 특정한 목적으로 길러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업적으로 널리 판매되는 사료, 간식을 반려동물에게 일정하게 공급하는 수준에 그친다.
지속적인 동물 복지 캠페인과 사회적 인식의 향상으로, 제때에 올바른 먹이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것이 당연시 여겨지고 있다. 이로써, 야생의 경우와 달리, 반려동물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람이 제공하는 환경 속에 살아가는 것으로, 그 환경 조건은 경쟁 동물이나 천적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위생적이나, 공간적 제약에 따른다.
반려동물 중 고양이의 경우, 개체 특성상 목줄을 맨 산책이 부적합하고, 실내외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 두면 분실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집안 내의 협소한 공간에 가두고 기르게 된다. 한편 개의 경우에서도 사육자의 성향에 따라 정기적인 산책 횟수가 지나치게 적거나 거의 없다시피 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반려동물의 단조로운 사육 환경은 민감한 개체에게 스트레스를 주며, 그로인해 우울증, 행동장애, 공격성과 같은 다양한 병리적 증세가 발현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0987호 (2018.08.14)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 자극과 먹이 공급을 겸하여 반려동물의 환경풍부화를 통한 스트레스성 질병의 저감과 정상적인 행동의 발현을 보장하는 먹이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정형의 먹이를 반려동물에 공급하는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세워지며, 투입한 먹이가 자유 낙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둘레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로 떨어진 먹이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반려동물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오른 먹이를 상부로 쳐올리는 론칭수단을 구비하는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를 제시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둘레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기둥 내부로 삽입된 일단부가 상부로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여 낙하하는 먹이가 입구로 진입한 후 외부로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부 공간의 평면상 단면의 중심으로 떨어지는 상기 먹이는, 상기 가이드의 일단부에 비접촉하여 상기 받침대까지 자유 낙하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퍼즐의 난이도와 관련하여, 상기 조작부와 상기 론칭수단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 상기 론칭수단과 각기 연결되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베이스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에는 각 상기 론칭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먹이가 들어가는 오목홈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구성으로, 상기 기둥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먹이를 상기 기둥 내부로 투여하는 피더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을 자극하여 줌으로써 포식동물로서의 정신적 스트레스 발산과 근력 향상을 통해 삶의 질을 개선시킨다. 그에 따라 반려동물과 사육자의 관계가 개선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 (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받침대의 사시도와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둥과 가이드의 관계를 간략히 나타낸 평면상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로 제공되는 먹이는 대략 구 형상으로 정형화되어 제공된다. 먹이는 굴러 이동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이면 충분하므로 반듯한 구형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먹이 공급장치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먹이는 낙하거나 구성물과 부딪쳐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간단히 부서지지 아니할 정도의 표면 강도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지된 식용 코팅이 더 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100)는 베이스(10), 기둥(20), 받침대(30), 조작부(40) 및 론칭수단(50)을 구비한다. 나아가 추가적인 구성으로 가이드(60) 또는 피더유닛(7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면에 세워지는 하우징으로, 기둥(20), 받침대(30), 조작부(40) 및 론칭수단(50)이 베이스(10)에 장착된다.
기둥(20)은 속이 빈 관의 형상으로 베이스(10)에 세워진다.
기둥(20)의 내부 공간(S)은 상하로 개방된 형태가 되며, 기둥의 상부는 커버나 피더유닛(70)이 마감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커버는 뒤집은 깔대기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기둥(20)의 단면을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타원형이나 다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또 기둥은 상하로 곧게 형성되거나, 어느 정도 휘어진 형상이어도 좋다.
기둥(20)의 외주면에는 둘레홀(2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둘레홀(21)은 일정한 패턴에 따라 형성할 수도 있지만, 패턴 없이 랜덤하게 형성될 수 있다.
둘레홀(21)은 먹이(F)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내부 공간(S) 안에서 이동하던 먹이가 우연치 않게 둘레홀(21)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둘레홀(2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럴 경우, 근처에 있던 반려동물이 이를 발견하고 먹이를 섭취하게 된다.
반려동물이 기둥 내부에서 먹이가 이동하는 것을 보고 반응할 수 있도록, 기둥(20)의 재질을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할 수 있다.
받침대(30)는 기둥(20)의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S)의 바닥을 형성한다.
기둥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은 먹이는 결국 받침대(30)로 떨어진다. 받침대(30)에는 함몰된 오목홈(31)이 형성되어, 받침대(30)로 떨어진 먹이가 항상 일정한 위치인 오목홈(31) 안으로 오도록 유도한다.
조작부(40)는 반려동물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이고, 론칭수단(50)은 조작부(40)의 작동과 연계되어 받침대(30)에 오른 먹이를 다시 내부 공간의 상부로 튕겨 올리는 수단이다.
조작부(40)는 반려동물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로,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조작부(40)는 버튼으로, 반려동물이 앞발이나 주둥이 등으로 누를 수 있다. 반려동물은 훈련이나 경험에 의해 버튼의 위치와 눌러 작동시킨다는 점을 습득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버튼식 조작부의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다른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는 자세나 사용 근육이 달라지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에 벽면 형태의 구조물이 있으면, 이 벽면에 버튼식 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응용하여 버튼식 조작부의 설치 위치, 높이를 다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반려동물이 물거나 발톱을 걸어 당기는 동작과 연관하여 조작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물거나 발톱으로 긁을 수 있는 천이나 밧줄이 베이스에 당겨질 수 있게 설치하고, 천 등이 당겨질 때 발생하는 힘을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듯 반려동물이 특정 행동 양식에 대응하여 조작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누르는 동작, 무는 동작, 당기는 동작, 기대는 동작, 울음 소리 등 어느 하나를 통해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수의 조작부가 구비되는 실시예에서, 버튼식 조작부 외에 다양한 방식의 조작부가 혼용될 수 있다.
한편 론칭수단(50)은 받침대(30)의 오목홈(31)으로 떨어진 먹이(F)를 다시 쳐올리는 것으로, 기계식 구성, 전기 기계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는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구성한 론칭수단(50)이 도시되어 있다. 론칭수단(50)은 조작부(40)에 의해 시소 운동하는 레버(52)와, 받침대(30)의 오목홈(31) 바닥에 형성된 홀(311)을 통해 상단면 노출되어 있으며, 레버(52)의 상승에 의해 하단부가 충격되어 상승하며 오목홈(31)에 들어온 먹이(F)를 위로 쳐올리는 펀칭핀(51)이 제시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버튼에 구비된 스프링(41) 또는 레버(52)의 일단부에 실리는 펀칭핀(51)의 하중에 의해 펀칭핀(51)이 하강한 상태에 머물고, 반려동물 등이 조작부(버튼)를 누름에 따라 펀칭핀(51)이 상승하며 오목홈(31) 안에 들어간 먹이(F)를 위로 다시 쳐올리는 것이다.
조작부(40)의 버튼을 누른 힘이 레버(52)를 통해 펀칭핀(51)과 먹이(F)로 전달되는 구조로, 조작부(40)를 강하고 빠르게 누를수록 먹이가 높게 튕겨진다.
경험에 의해 반려동물이 이러한 조작 특성을 습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을 서서히 누른다면 충분한 높이로 먹이가 올라가지 않고, 밖으로 빠져나올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다수의 경험을 통해 먹이 공급장치의 이러한 특성을 충분히 습득 후에는 어느 정도 수준의 힘으로 쳐야 먹이가 높은 확률로 빠져나오는지(먹을 수 있는지) 인지하게 된다.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로 론칭수단은 전자 기계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에서 반려동물의 조작 행동이 있다고 센서에 감지된 경우에 솔레노이드 전자석을 이용하여 펀칭핀이 먹이를 쳐올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지된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감지로부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센서의 출력값과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전력을 비례하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조작 행동의 강도에 따라 펀칭핀이 먹이를 치는 힘이 비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부와 론칭수단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기계적 구성이나 전자 기계적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조작부(40)와 론칭수단(50)은 3개씩 구비된다. 각각의 조작부(40)와 론칭수단(50)은 짝을 이루고 있어, 어느 한 조작부(40)마다 해당 론칭수단(50)이 연계 작동된다.
조작부(40)는 베이스(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와 론칭수단의 개수에 맞춰 받침대(30)에도 3개의 오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홈(31)은 상부로 개방된 컵 형상이며, 이웃하는 오목홈들끼리의 경계 부분은 상부로 솟은 형태를 취함에 따라, 받침대(30)로 떨어진 먹이는 3개의 오목홈(31) 중 어느 하나에 들어가게 된다.
각 오목홈(31)의 바닥에는 펀칭핀이 위치하는 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각 조작부(40)마다 매칭된 펀칭핀을 구비한 론칭수단(50)이 구비된다. 반려동물이 어느 한 조작부(40)를 작동시키면, 해당 론칭수단(50)은 받침대(30)에서 해당 펀칭핀을 작동시키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조작부(40)와 론칭수단(50)을 나타내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조작부와 론칭수단의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일부나 론칭수단의 일부는 나머지 조작부나 론칭수단과 내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가이드(60)는 둘레홀(2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S)에 있던 먹이가 밖으로 나가는 통로(62)를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형상이거나 U 자형 단면을 가진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가이드(60)의 일단부(61)는 둘레홀(21)을 통해 기둥(20) 내부로 들어가며, 기울어진 상태로 기둥(20)의 둘레홀(21)에 걸치게 된다.
이때 기둥(20) 내부로 들어간 일단부(61)에는 통로와 연결된 입구(63)가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놓인다. 따라서 입구(63)에 맞춰 떨어지는 먹이(F)는 입구를 통해 가이드(60)의 통로를 따라 굴러가 밖으로 배출된다(도면 1 참고).
도 2와 도 4에는 둘레홀(21)과 가이드(60)의 결합 구조가 나타나 있다.
가이드(60)의 일단부(61)는 비스듬히 깎인 형상으로, 내부 관로도 비스듬히 잘림에 따라 타원형의 입구(63)가 형성된다.
가이드(60)의 일단부(61)에는 걸림돌기(64)가 돌출되어 있으며, 걸림돌기(64)와 대향하여 걸림턱(65)이 구비된다. 둘레홀(21)에 가이드(60)의 일단부(61)가 삽입된 다음 걸림턱(65)이 기둥의 외주면에 대어지고, 걸림돌기(64)가 기둥의 내주면에 걸리면서 가이드(60)가 기둥(20)에 비스듬히 결합된다. 이로써 입구(63)는 내부 공간의 상부를 향하여 노출되고, 입구(63)에 들어간 먹이는 높이가 낮은 출구로 이동하여 자연스럽게 가이드(60)를 빠져나가게 된다.
기둥의 고정 구조는, 도시한 걸림돌기(64)와 걸림턱(65)에 의한 걸림 방식 외에도, 둘레홀과 가이드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견고한 결합 유지를 위해 둘레홀 주변부를 강화하고, 가이드와 나사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둘레홀에 철판 등을 덧대고, 가이드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으로 가이드를 기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둘레홀(21)이 기둥(20)의 주변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60)도 여럿이 준비됨에 따라, 사육자는 가이드의 개수, 부착 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복수의 가이드(60)가 기둥(20)에 장착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일부 둘레홀들에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60)의 일단부는, 비스듬히 잘려 크게 드러난 입구(63) 전부가 온전히 내부 공간 안에 놓이도록, 충분한 깊이로 기둥(20) 내부로 진입되어 있다.
각 가이드(60)의 일단부(61)는, 내부 공간(S)의 평면상 단면의 중심에 이르지 아니함으로써, 먹이가 가이드에 간섭됨 없이 받침대(30)까지 낙하하는 상하 통로(A)가 형성된다. 이 상하 통로(A)의 평면상 단면적은 먹이의 사이즈보다 크다.
사육자 또는 후술하는 피더유닛이 기둥 안으로 떨어뜨린 먹이(F)가 상하 통로(A)로 들어갔다면, 거의 대부분이 가이드(60)에 간섭됨 없이 받침대(30) 위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먹이(F)를 기둥(20) 내부로 투여하는 피더유닛(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피더유닛(70)은 먹이를 보관하고 있다가 사육자가 조작하거나 어떤 제어 명령, 제어 로직에 의해 먹이를 내부공간으로 투하시키는 유닛이다.
피더유닛(70)은 정형의 먹이를 보관하는 컨테이너(71)와, 하단 중앙에 구비된 배출구(73)로 먹이를 하나씩 밀어내는 푸쉬장치(72)를 구비한다. 여기서 푸쉬장치(72)는 사육자의 수동 조작 또는 공지된 전동 기계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7589호가 있다.
피더유닛(70)은 기둥(20)의 상부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기둥의 상부를 막는 피더유닛(70)의 하면(74)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아래에서 오른 먹이가 경사진 하면이나 배출구과 부딪치면서 진행 방향이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인 기능으로 피더유닛(70)을 통해 먹이가 투하될 때에, 특정한 청각적 시그널 또는 시각적 시그널이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사육자는 피더유닛(70)을 조작해 먹이가 기둥 안으로 떨어지게 한다. 반려동물은 피더유닛(70)이 작동을 소리 등을 통해 인지하고, 먹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만일 피더유닛(70)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육자가 직접 기둥에 먹이를 넣을 수 있다.
피더유닛(70)의 배출구(73)를 기둥(20)의 내부 공간(S)의 가운데로 맞춰둠으로써, 피더유닛(70)에서 나온 먹이(F)는 가이드(60)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곧바로 받침대(30) 위로 떨어진다.
반려동물은 받침대(30)의 어느 한 오목홈(31)에 먹이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듣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한 기둥을 통해 내부 공간에서 먹이가 낙하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먹이에 대한 추적 의욕을 자극받게 된다.
학습과 경험을 통해, 받침대(30)의 오목홈(31)에 먹이가 안착됨을 인지한 반려동물은 조작부(40)를 조작하게 된다. 반려동물이 적정한 방식과 힘으로 조작부(40)를 작동시키면, 오목홈(31)의 바닥에 위치한 펀칭핀(51)이 솟아오르며 먹이(F)를 쳐올리게 된다.
여기서 3개의 조작부가 구비됨에 따라 퍼즐적 요소가 부가된다. 즉 어느 오목홈(31)에 먹이가 있는지에 따라 매칭된 조작부(40)를 작동할 것을 요구하게 되는데, 반려동물은 어느 오목홈에 먹이가 있는지 관찰하고, 그에 따른 조작부를 선택, 조작하여야 성공적으로 먹이를 건드릴 수 있다.
어느 오목홈에 먹이가 떨어지는지 인지하고 특정한 위치의 버튼을 조작하도록 하는 과정은 야생의 반려동물, 특히 고양이가 사냥 과정에서 사냥감을 포획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지능력과 연산능력, 소근육 통제능력 등을 유사하게 재현한 것으로, 포식동물로서 지닌 기본적인 정신적, 신체적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받침대(30)에서 솟은 먹이(F)는 다시 기둥 내부 공간(S) 높이 오르게 된다. 상승하는 과정 중에 기둥(20)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60)의 일단부(61)와 부딪치거나, 기둥(20) 내면 또는 피더유닛(70)의 하면과 부딪치고 몇 번 진행 방향이 전환되다가 다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먹이(F)가 내부 구조물과 이리 저리 부딪치는 모습이나 그러면서 발생한 소리는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을 크게 고취시킨다.
다시 낙하하는 먹이가 우연하게 가이드(60)의 입구(63)를 통해 들어간다면 해당 가이드(60)를 타고 밖으로 배출된다. 또는 이리저리 부딪치던 먹이가 우연하게 빈 둘레홀(21)을 통해 기둥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반려동물은 이러한 먹이에 집중하고 있다가, 공급장치 밖으로 나간 먹이를 따라가서 섭취하게 된다.
이렇듯 최종적으로는 먹이가 섭취 방식으로 해소되므로, 사냥 본능 자극 후 실질적인 보상이 뒤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먹이를 위해 반려동물이 두뇌와 근육을 사용하는 과정은, 임상동물 행동의학적 관점에서 단조로운 환경에서 노력 없이 무제한의 먹이를 공급받음에 다라 발생하는 여러 임상적 무제를 저감시키거나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높이 올랐던 먹이가 가이드(60)나 둘레홀(21)로 나가지 아니하면, 다시 받침대(30)의 어느 한 오목홈(31)으로 안착된다. 반려동물은 이를 확인하고, 먹이를 다시 튕겨 올리기 위해 조작부를 선택, 조작하게 된다.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기둥 내부로 올라갔던 먹이가 낙하하면서, 밖으로 빠져나갈지 여부는 우연에 맡겨진다. 하나의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 반려동물이 조작부를 여러 번에 걸쳐 작동시키고, 기둥 내부를 따라 이리저리 이동하는 먹이를 오랜 기간 집중하여 관찰, 추적하여야 한다.
이는 실제 사냥 과정에서 포식동물이 흔히 경험하는 '시도와 실패'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시도한 모든 사냥이 성공하는 데서 오는 과도한 루틴화를 방지하는 역할이 크다. 실패의 경험을 통해 반려동물의 사냥욕구가 더 자극되며,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보다 정교하고 지능적으로 기구를 활용케 하는 요인을 제공한다.
먹이가 가이드의 입구나 둘레홀에 맞춰져 먹이 공급장치 밖으로 나갈 확률은, 사육자가 가이드의 개수와 설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어느 정도 조절 가능하다. 사육자는 소유한 반려동물의 연령, 소근육 조절 능력, 인지능력, 과업 성취에 대한 정, 학습 능력, 과도한 실패로 인한 좌절, 요령 숙달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의 가이드를 기둥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육자는 먹이가 빠져나오는 높낮이와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가이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익숙치 않는 경로로 먹이를 제공 받음에 따라 새로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듯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음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난감이나 피더 장치에서 흔히 발생하는 지겨움이나 놀이 욕구의 저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사냥 본능이 발달한 반려동물에 특히 적합한 것이다. 고양이의 경우, 포식동물로서 지닌 필수적인 사냥 행동을 박탈당한 결과로 정형행동, 우울, 오버그루밍과 같은 정신적 문제나 비만, 근력손실로 인한 대사성질환, 조기 노화 등의 신체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반려고양이의 삶의 질을 개선하여 건강상의 이점을 얻음은 물론, 신체적 정신적 문제의 결과로 스크레칭으로 인한 가구 등의 파괴, 스크리밍이나 공격성으로 인한 반려 고양이와의 안정적 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고양이 사육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 공급장치
10 : 베이스 F : 먹이
20 : 기둥 S : 내부 공간 21 : 둘레홀 A : 상하 통로
30 : 받침대 31 : 오목홈 311 : 홀
40 : 조작부 41 : 스프링
50 : 론칭수단 51 : 펀칭핀 52 : 레버
60 : 가이드
61 : 일단부 62 : 통로 63 : 입구 64 : 걸림돌기 65 : 걸림턱
70 : 피더유닛
71 : 컨테이너 72 : 푸쉬장치 73 : 배출구 74 : 하면

Claims (5)

  1. 정형의 먹이를 반려동물에 공급하는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세워지며, 투입한 먹이가 자유 낙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둘레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로 떨어진 먹이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반려동물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오른 먹이를 상부로 쳐올리는 론칭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둘레홀에 삽입되며, 상기 기둥 내부로 삽입된 일단부가 상부로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여 낙하하는 먹이가 입구로 진입한 후 외부로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내부 공간의 평면상 단면의 중심으로 떨어지는 상기 먹이는, 상기 가이드의 일단부에 비접촉하여 상기 받침대까지 자유 낙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론칭수단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 상기 론칭수단과 각기 연결되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베이스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에는 각 상기 론칭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먹이가 들어가는 오목홈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기둥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먹이를 상기 기둥 내부로 투여하는 피더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KR1020200185410A 2020-12-29 2020-12-29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KR10256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10A KR102567470B1 (ko) 2020-12-29 2020-12-29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10A KR102567470B1 (ko) 2020-12-29 2020-12-29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20A KR20220094320A (ko) 2022-07-06
KR102567470B1 true KR102567470B1 (ko) 2023-08-16

Family

ID=8240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410A KR102567470B1 (ko) 2020-12-29 2020-12-29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4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30B1 (ko) * 2016-02-11 2017-08-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장난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9840B1 (en) * 2014-11-10 2015-06-09 The Kyjen Company, Inc. Pet treat dispensing game
JP6506883B2 (ja) 2015-09-22 2019-04-24 フィーライン・エンヴァイロンメンタル・エンリッチメント・デザイン・コーポレーション 猫の給餌用システム、本システムの使用方法、および本システム用の包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30B1 (ko) * 2016-02-11 2017-08-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장난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20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679A (en) Magnetic pendulum device for feline amusement and exercise
Dawkins The science of animal welfare: Understanding what animals want
McGreevy et al. Carrots and sticks: principles of animal training
US8944006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8869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US10085422B1 (en) Double ball treat dispensing pet toy
Zbinden Experimental methods in behavioral teratology
US9675044B2 (en) Animal enrichment devices
KR102567470B1 (ko) 사냥 본능 유발형 반려동물 먹이 공급장치
Nielsen Asking animals: an introduction to animal behaviour testing
US20170035024A1 (en) Spiral slide pet toy and treat dispenser
US8196551B1 (en) Multi sensory stimulation simulated prey pet toy
Friedman et al. From parrots to pigs to pythons: universal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learning
Baum Introduction to Behavior: An Evolutionary Perspective
US20210345584A1 (en) Vertically-oriented food maze for animals
KR102569591B1 (ko) 애완동물용 장난감
EP2335475A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animals in the course of their feeding
Dunbar Before and after getting your puppy: the positive approach to raising a happy, healthy, and well-behaved dog
US4749195A (en) Fishing-octopus toys
KR20210000154U (ko) 애완동물용 장난감
US20190239481A1 (en) Pet toy with bendable center rod and concentric ball tracks
Friedman et al. Behavior analysis and parrot learning
Baker et al. The Ultimate Benefits of Learning
US20190037813A1 (en) Pressure Activated Bird Entertainment and Treat Dispensing System
CN216796121U (zh) 一种宠物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