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119B1 - Frame system for buildings - Google Patents

Frame system for build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119B1
KR102569119B1 KR1020220114354A KR20220114354A KR102569119B1 KR 102569119 B1 KR102569119 B1 KR 102569119B1 KR 1020220114354 A KR1020220114354 A KR 1020220114354A KR 20220114354 A KR20220114354 A KR 20220114354A KR 102569119 B1 KR102569119 B1 KR 10256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units
guide
corri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김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선 filed Critical 김지선
Priority to KR102022011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1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Details of roofs, floors or walls supported by the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3Details of framework supporting structure, e.g. posts or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건축을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은,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 저면에 상기 바닥판의 나선홀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골조유닛이 마감재로 마감되어 벽체를 이루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수직골조부; 및 상기 수직골조유닛들의 상측을 연결하며,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천장틀부 및 상기 천장틀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마감재로 마감되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ing system for building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and convenient construction by installing a floor plate on the ground and prefabricat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having spiral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Fastener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holes of the bottom plate, and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arranged upr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vertical framing units ar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form a wall Vertical frame parts forming an indoor space; And a ceiling frame portion connecting upp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units and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frame portion, including a ceiling portion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form a ceiling do.

Description

건축물용 골조시스템{FRAME SYSTEM FOR BUILDINGS}Frame system for buildings {FRAME SYSTEM FOR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건축을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ing system for building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ing system for buildings in which a floor plate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are prefabricated and comb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to construct a building easily and convenientl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철골은 강구조 건축물, 철골·철근 콘크리트구조 건축물, 강고착물 등의 구조주체로서 대규모의 초고층 건물로부터 소규모의 저층 사무소나 창고까지 광범위하게 걸쳐 사용되고 있다. 철골공사에는 강재로부터 철골부재를 제작하는 공장제작과 현장에서 철골부재를 조립하는 공사장시공의 2가지 공정이 있다.In general, steel frames are widely used from large-scale high-rise buildings to small-scale low-rise offices and warehouses as structural subjects such as steel structure buildings, steel frame/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uildings, and strong fixings. There are two processes in steel frame construction: factory production, which manufactures steel frame members from steel, and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which assembles steel frame members on site.

철골공사에서는 구조설계상의 의도를 충분히 실현하여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철골의 각 구조부위에 요구되는 성능과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공장제작 및 공사장 시공에 있어서 개개공사의 시공지침을 정하여 공사의 표준화를 도모하고 시공기술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In steel frame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building by fully realizing the intention in structural design, and in order to satisfy the performance and quality required for each structural part of the steel frame, the construction guidelines for each work are established in factory production and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한편, 상기 철골공사에 사용하는 강재의 종류에는 봉강, 평강, 형강, 강판, 리벳, 보울트, 스크류, 너트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ypes of steel materials used in the steel frame construction include steel bars, flat steel, section steel, steel plates, rivets, bolts, screws, nuts, and the like.

여기서, 건축용 스터드 골조에 이용되는 형강에는 ㄴ자 형강, ㄷ자 형강 및, I자 형강 등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를 다수의 체결부재로 조립함으로써 건축물의 뼈대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Here, L-shaped steel, U-shaped steel, and I-shaped steel are used as the beams used in the stud frame for construction, and by assembling them into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한편,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창고, 사무실, 공장 등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데에는 오랜 공사기간과 함께 많은 건축비용 이 소요됨으로 인해 근자에 들어서는 공사기간이 비교적으로 짧고 건축비용이 다소 저렴한 조립식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construction of buildings such as houses, warehouses, offices, factories, etc. requires a long construction period and high construction costs, so the demand for prefabricated buildings with relatively short construction periods and relatively low construction costs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are doing

이러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794호(2009.08.14., 공개), 명칭 '조립식 목조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이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는 일정길이의 H빔을 종횡으로 용접 또는 고정부재로 고정시킨 기초 골조; 상기 기초 골조의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으로 고정된 브라케트와 도리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사이 또는 기둥과 창틀 사이 또는 기둥과 문틀 사이에 일정규격의 단위패널이 적층 설치되는 벽체; 상기 벽체 위에 도리가 고정되고, 도리 위에 보를 고정시키는 보기둥이 고정되며, 도리와 보 위의 서까래에 고정 설치되는 지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such a prefabricated building,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6794 (published on Aug. 14, 2009), titled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s known, which is A basic frame in which the length of the H-beam is fixed by welding or fixing member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illars fixed vertically between the brackets and purlins fixed to one or more edges of the foundation frame; A wall in which unit panels of a certain standard are stacked and installed between the pillars or between the pillar and the window frame or between the pillar and the door frame; A purlin is fixed on the wall, a beam for fixing the beam on the purlin is fixed, and a roof is fixed to the rafters above the purlin and beam.

그러나, 선행기술은 골조의 구성요소들이 요철 및 홈부를 통해 서로 끼움 조립되는 구성으로 제작 및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and work, and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are low because the components of the frame are assembled by fitting each other through irregularities and grooves.

등록특허공보 제10-2009-0086794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6794

본 발명은 지면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건축을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that can be constructed easily and simply by installing a floor plate on the ground and prefabricat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그리고, 건축물 내부에 지진,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촉각적, 시각적, 청각적 등 다중복합적으로 대피로의 방향을 알려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earthquake or fire inside the building, we provide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that can prevent human accidents by notifying people in the hallway of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route tactilely, visually, and auditorily. It also ha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은,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 저면에 상기 바닥판의 나선홀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골조유닛이 마감재로 마감되어 벽체를 이루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수직골조부; 및 상기 수직골조유닛들의 상측을 연결하며,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천장틀부 및 상기 천장틀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마감재로 마감되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를 포함한다.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having spiral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Fastener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holes of the bottom plate, and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arranged upr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vertical framing units ar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form a wall Vertical frame parts forming an indoor space; And a ceiling frame portion connecting upp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units and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frame portion, including a ceiling portion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form a ceiling do.

그리고, 상기 수직골조유닛 및 수평바에는 각각 보강립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In addition, reinforcing rib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and the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실내공간에 복수개로 나열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룸부; 및 상기 벽체 중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벽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출입문 및 제2 출입문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room unit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rays in the indoor spac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rst entrance door and a second entrance door respectively installed on two facing walls among the walls.

그리고, 상기 실내공간의 복도 상에 위치한 벽체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제1 출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서 제1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문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경사진 구조의 제1 지시면이 형성된 제1 지시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제2 출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케이스부;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서 제2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문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경사진 구조의 제2 지시면이 형성된 제2 지시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지시부를 상기 제1 출입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 돌출실린더;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지시부를 상기 제2 출입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돌출시키는 제2 돌출실린더; 상기 천장부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복도에서 발생되는 화재신호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지시부 또는 제2 지시부가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도록 상기 제1 돌출실린더와 제2 돌출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 a first case unit installed on a wall located on a corridor of the indoor spac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ccess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urface facing the corridor; a first indicating unit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first access holes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ase unit and having a first indicating surface having an inclined structure for indicating an evacuation direction to the first access door; I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se uni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talled on the wall,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access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facing the corridor. 2 case parts; a second indicator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second access holes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case unit and having a second indication surface having an inclined structure for indicating an evacuation direction to the second access door; a first protrud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asing unit and protruding the first indicator toward the corridor through the first access hole in case of fire; a second protrud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casing unit and protruding the second indicator toward the corridor through the second access hole in case of fire;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at regular intervals to detect a fire signal generated in the corridor; and when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the first or second indicator selectively operates any one of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and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so that the first or second indicating unit indicates an evacuation direc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e occurrence point.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또한, 상기 복도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가 화재를 감지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상기 제1 지시부 및 제2 지시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알리는 제1 위치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이동가이드는,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천장면에 설치되는 제1 솔레노이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솔레노이드; 상기 제1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1 금속판; 상기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충돌하여 소음 및 불꽃을 발생시키는 제2 금속판;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향 발산부; 상기 향 발산부를 복도를 향해 분사하도록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분사관; 및 상기 향 발산부가 상기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location movement guide disposed in the corridor and informing that a person located in the corridor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dication units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cts a fire, wherein the first location movement guide is provided. The guid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ase uni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talled on the wall,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housing having an open surface facing the corridor; a first solenoid installed on a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solenoi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metal plate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first solenoid; a second metal plate that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second solenoid and collides with the first metal plate in the process to generate noise and sparks; a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fragrance emitting units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tank and formed in a granular shape; a spray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o spray the fragrance emitting unit toward the corridor; and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fragrance emitting unit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pipe.

그리고, 상기 복도 천장면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가 화재를 감지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상기 제1 출입문 또는 제2 출입문으로 이동하도록 알리는 제2 위치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이동가이드는, 상기 복도 천장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베이스; 상기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안내유닛; 상기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되, 상기 제1 안내유닛의 사이마다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안내유닛; 상기 제1 안내유닛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부착유닛; 상기 제2 안내유닛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부착유닛; 상기 베이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부착유닛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비 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부착유닛이 부착되고,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제1 부착유닛과의 부착상태가 해제되는 제1 탈부착부; 상기 베이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부착유닛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며, 비 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2 부착유닛이 부착되고,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2 부착유닛과의 부착상태가 해제되는 제2 탈부착부; 상기 제1 안내유닛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안내유닛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며,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표시부; 상기 제1 탈부착부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1 안내유닛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표시부가 제1 출입문을 향해 대피방향을 지시하고, 상기 제2 탈부착부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안내유닛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 표시부가 상기 제2 출입문을 향해 대피방향을 지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안내유닛 또는 제2 안내유닛 중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안내유닛이 복도상에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탈부착부 또는 제2 탈부착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The second location movement guid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orridor and informs a person located in the corridor to move to the first door or the second door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cts a fire, wherein the second location movement guid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rridor. The gui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hallway and having opening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guide units disposed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pening and having one side hing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units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opening at regular interval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units, and having one side hing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first attachment units each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and made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second attachment units each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unit and formed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ase, and is disposed above the first attachment unit, and when there is no fire, power is supplied to attach the first attachment uni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A first detachable unit in which the power is c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attachment unit and the attachment state is released; 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as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ttachment unit, and when there is no fire, power is supplied to attach the second attachment unit, and 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power is su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second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that is blocked and the attachment state with the second attachment unit is released; first display units each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and formed in an arrow shape; and second display units each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unit and formed in an arrow shape. When the power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is cut off, the first guide units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their own weigh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indicates the evacuation direction toward the first door And, when power is cut off to the second detachable unit, the second guide units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their own weigh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so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evacuates toward the second door Indicates a direction, and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e signal, a guide unit capable of guiding the evacuation direction to a point opposite to the fire occurrence point among the first guide unit or the second guide unit maintains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It is programm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first detachable unit or the second detachable unit so as to do so.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은, 지면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건축을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raming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and conveniently constructing a building by installing a floor plate on the ground and prefabricat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그리고, 건축물 내부에 지진,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촉각적, 시각적, 청각적 등 다중복합적으로 대피로의 방향을 알려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uch as an earthquake or fire occurs inside a building, it is effective to prevent human accidents by notifying people located in the hallway of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route in multiple complex ways such as tactile, visual, and audit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2 케이스부와, 제1,2 지시부 및 제1 위치이동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 케이스부와, 제1 지시부 및 제1 돌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2 케이스부와, 제2 지시부 및 제2 돌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 위치이동가이드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2 위치이동가이드가 천장부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 안내유닛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2 안내유닛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2 돌출실린더와, 제1,2 솔레노이드와, 에어주입부와, 제1,2 전자석과, 화재감지부 및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building constructed by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case parts, first and second indicating parts, and a first positioning guide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first case part, a first indicating part, and a first protruding cylinder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econd casing, a second indicating unit, and a second protruding cylinder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location movement guide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position movement guide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art.
9 is a diagram showing a deployed state of a first guide unit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deployed state of a second guide unit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of first and second protruding cylinders, first and second solenoids, air injection units,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fire detection units, and control units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2 케이스부와, 제1,2 지시부 및 제1 위치이동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 케이스부와, 제1 지시부 및 제1 돌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2 케이스부와, 제2 지시부 및 제2 돌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 위치이동가이드를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2 위치이동가이드가 천장부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 안내유닛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2 안내유닛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에 적용된 제1,2 돌출실린더와, 제1,2 솔레노이드와, 에어주입부와, 제1,2 전자석과, 화재감지부 및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ing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raming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building constructed by the frame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4 is a first and second case parts applied to a frame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indicating parts, and a second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sition movement guide,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case part, a first indicating part, and a first protruding cylinder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econd case part, a second indicating part, and a second protruding cylinder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amework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positioning guide applied to the system,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positioning guide applied to a frame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eilin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unit applied to the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guidance applied to the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 unit in a deployed state, and FIG. 11 is first and second protruding cylinders, first and second solenoids, an air injection unit, and a first and second protruding cylinders applied to a framework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omagnet,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1)은, 바닥판(10)과, 수직골조부(20) 및 천장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ing system 1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floor plate 10, a vertical framing part 20, and a ceiling part 30.

바닥판(10)은 지면에 시공되는 기초판(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 constructed on the ground.

기초판(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시공될 수 있다.Base plate 2 may be construct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기초판(2)은 콘크리트, 몰탈, 목재 중 적어도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late 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concrete, mortar, and wood.

바닥판(10)은 기초판(2)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base plate 2 .

바닥판(1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정사각형 패널 또는 직사각형 패널을 평면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종,횡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formed by seri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square panels or rectangular panel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바닥판(10)은 접착제, 시멘트, 몰탈, 실리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기초판(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 by any one of adhesive, cement, mortar, and silicon.

이때, 기초판(2)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판(10)이 직접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2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bottom plate 10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ground.

바닥판(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나선홀(1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수직골조부(20)가 바닥판(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Spiral holes 10a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0 .

수직골조부(20)는 바닥판(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골조유닛(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framing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21 installed upright along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10 .

수직골조유닛(21)은 일 예로, 천장부(30) 및 천장부(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stably support the ceiling portion 30 and a roof installed above the ceiling portion 30 .

수직골조유닛(21)은 다른 일 예로,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may be formed of a wood material.

수직골조유닛(21)의 저면에 바닥판(10)의 나선홀(10a)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구조의 체결구(211)가 형성된다.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fasteners 211 having a bolt structure fastened to the spiral holes 10a of the bottom plate 10 are formed.

따라서, 수직골조유닛(21)은 바닥판(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may be placed upright along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10 .

수직골조유닛(21)들의 하측은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바닥판(1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framing units 21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through brackets (not shown)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cross-sectional shape.

브라켓은 일측이 수직골조유닛(21)의 하부 측면에 볼팅 결합되고, 타측은 바닥판(10)의 상면에 볼팅 결합되어 수직골조유닛(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One side of the bracket is bolt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and the other side is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to stably support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브라켓은 수직골조유닛(21)의 일측면에만 결합되거나 또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may be coupled to only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or may be coupled to suppor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바닥판(10)의 각 가장자리에 배치된 수직골조유닛(21)들은 마감재로 마감되며, 이로 인해 완성되는 건축물의 벽체(3)를 형성한다.The vertical framing units 21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loor plate 10 ar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hereby forming the wall 3 of the completed building.

이때, 마감재는 몰탈, 시멘트, 나무합판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applied with any one of mortar, cement, and wood plywood.

그리고, 마감재를 통한 마감방식은 건축 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nishing method through the finishing material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직골조부(20)로 인해 건축물에 4개의 벽체(3)를 형성할 수 있으며, 벽체(3)의 내부에는 실내공간이 형성된다.Due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20, it is possible to form four walls 3 in the building, and an indoor space is formed inside the wall 3.

천장부(30)는 천장틀부(31) 및 수평바(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iling part 30 may include a ceiling frame part 31 and a horizontal bar 32 .

천장틀부(31)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eiling frame portion 31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따라서, 수직골조유닛(21)들의 상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combin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ing units (21).

수평바(3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사각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2 are appli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천장부(30)는 마감재로 마감되며, 이로 인해 완성되는 건축물의 천장을 형성한다.The ceiling portion 30 is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hereby forming the ceiling of the completed building.

이때, 마감재는 몰탈, 시멘트, 나무합판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applied with any one of mortar, cement, and wood plywood.

그리고, 마감재를 통한 마감방식은 건축 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nishing method through the finishing material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1)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골조유닛(21)은 체결구(211)를 통해 바닥판(10)에 나선결합 됨으로, 일부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고, 바닥판(10)에 수직골조유닛(21)을 결합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raming system 1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is spirally coupled to the floor plate 10 through the fastener 211, and thus constructs a building in a partially prefabricated manner. It can be done, and the time for coupling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to the bottom plate 1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아울러,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수직골조유닛(21) 어느 하나 이상에 파손, 결함 등이 발생할 경우 해당 수직골조유닛(21)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amage or defects occur i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21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only the corresponding vertical framing unit 21 can be easily replaced.

부가적으로, 수직골조유닛(21) 및 수평바(32)의 양측면에는 보강립(22,321)이 각각 형성된다.Additionally, reinforcing ribs 22 and 32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and the horizontal bar 32, respectively.

이때, 보강립(22,321)은 각각 수직골조유닛(21) 및 수평바(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ribs 22 and 321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and the horizontal bar 32, respectively.

이러한 보강립(22,321)을 통해 수직골조유닛(21) 및 수평바(32)를 각각 보강하여, 수직골조유닛(21) 및 수평바(32)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framing unit 21 and the horizontal bar 32 are reinforced through these reinforcing ribs 22 and 321, respectively, so that the vertical framing unit 21 and the horizontal bar 32 do not bend or break. can do.

한편, 실내공간에는 복수개의 룸부(40)가 나열되게 설치된다.Meanwhile, in the indoor space, a plurality of room units 40 are installed in a row.

즉, 실내공간은 룸부(40)가 위치되는 공간 및 복도로 구획된다.That is, the indoor space is divided into a space where the room unit 40 is located and a corridor.

복도에는 조명(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Light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corridor.

룸부(40)는 조립식 판넬을 복수개 조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벽돌이나 몰탈 등을 재료로 하여 시공될 수 있다.The room unit 4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panels or may be constructed using bricks, mortar, or the like as a material.

이와 같이 시공된 룸부(40)의 내부는 거주공간이나 업무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룸부(40)의 일측에는 복도로 나갈 수 있도록 문이 경첩으로 설치된다.The interior of the room unit 40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living space or a work space, and a door is installed as a hinge on one side of the room unit 40 so as to go out to the hallway.

그리고,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벽체(3) 중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벽체(3)에는 제1 출입문(50) 및 제2 출입문(60)이 각각 경첩을 통해 설치된다.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entrance door 50 and the second entrance door 60 are installed through hinges on the two walls 3 facing each other among the above-mentioned walls 3,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골조시스템(1)은, 제1 케이스부(70)와, 제1 지시부(80)와, 제2 케이스부(90)와, 제2 지시부(100)와, 제1 돌출실린더(110)와, 제2 돌출실린더(120)와, 화재감지부(130)와, 제어부(150a)와, 제1 위치이동가이드(140) 및 제2 위치이동가이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ramework system 1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part 70, a first indicating part 80, a second case part 90, and a second indicating part 100 ),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the fire detec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a, the first positioning guide 140 and the second positioning guide ( 15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제1 케이스부(70)는 복도의 일측에 시공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벽체(3)에 설치된다.The first case unit 70 is installed on any one wall 3 constructed on one side of the corridor.

제1 케이스부(70)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출입홀(7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first case part 70 has a plurality of first entrance holes 7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facing the corridor.

제1 지시부(80)는 제1 케이스부(7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The first indicating unit 8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ase unit 70 .

제1 지시부(80)는 제1 출입홀(71)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The first indicator 80 is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access hole 71 .

제1 지시부(80)는 제1 출입홀(71)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indicator 80 is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first access holes 71 .

제1 지시부(80)는 복도에 위치한 사람에게 제1 출입문(50) 방향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경사진 형상의 제1 지시면(8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ng unit 80 may include an inclined first directing surface 81 that guides a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to evacuat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

제1 지시부(80)는 일 예로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dicator 80 may b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for example.

제1 지시면(81)에는 화재나 지진 등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됨으로 인해, 조명이 소등되어 복도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야광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A luminous tape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indication surface 81 so that a person can easily find it even when the corridor is dark due to a power outage caused by a fire or an earthquake.

아울러, 제1 지시면(81)을 통해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도 제1 출입문(50) 측으로 안내하여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erson with poor eyesight can be safely evacuated by guiding the user to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through the first indication surface 81 .

제2 케이스부(90)는 벽체(3)에 설치되고 제1 케이스부(70)의 상측에 배치된다.The second case part 90 is installed on the wall 3 and is disposed above the first case part 70 .

제2 케이스부(90)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출입홀(9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second access holes 90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e unit 90 facing the corridor.

제2 지시부(100)는 제2 케이스부(9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The second indicator 1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ase part 90 .

제2 지시부(100)는 제2 출입홀(90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The second indicator 100 is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second access hole 90a.

제2 지시부(100)는 제2 출입홀(90a)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The second indicator 100 is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second access holes 90a.

제2 지시부(100)는 복도에 위치한 사람에게 제2 출입문(60) 방향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경사진 형상의 제2 지시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dication unit 100 may include an inclined second indication surface for inducing evacuation to a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60 .

제2 지시부(100)는 일 예로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dicator 100 may b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for example.

제2 지시면에는 화재나 지진 등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됨으로 인해, 조명이 소등되어 복도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야광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A luminous tape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indication surface so that a person can easily find it even when the corridor is dark due to a power outage caused by a fire or an earthquake.

아울러, 제2 지시면을 통해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도 제2 출입문(60) 측으로 안내하여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erson with poor eyesight can be safely evacuated by guiding the user to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through the second indication surface.

제1 돌출실린더(110)는 제1 지시부(80)를 제1 케이스부(7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출입 시키는 구성이다.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is configured to withdraw the first indicating unit 80 into or out of the first case unit 70 .

제1 돌출실린더(110)는 제1 케이스부(70)의 내부 벽면에 결합된다.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ase part 70 .

제1 돌출실린더(11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제1 돌출실린더(110)는 제1 지시부(8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may b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indicator 80 .

따라서, 제1 돌출실린더(110)와 제1 지시부(80)는 서로 1:1 결합된다.Therefore,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and the first indicator 80 are 1:1 coupled to each other.

제1 돌출실린더(110)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제1 지시부(80)가 제1 출입홀(71) 통해 복도로 인출되어 제1 지시면(81)을 통해 제1 출입문(50) 방향으로 대피를 안내한다.When the piston of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moves forward, the first indicator 80 is drawn out into the corridor through the first entrance hole 71 and evacu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trance door 50 through the first direction surface 81. guide the

제2 돌출실린더(120)는 제2 지시부(100)를 제2 케이스부(9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출입 시키는 구성이다.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is configured to withdraw the second indicating unit 100 into or out of the second case unit 90 .

제2 돌출실린더(120)는 제2 케이스부(90)의 내부 벽면에 결합된다.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case part 90 .

제2 돌출실린더(12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제2 돌출실린더(120)는 제2 지시부(10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may b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second indicator 100 .

따라서, 제2 돌출실린더(120)와 제2 지시부(100)는 서로 1:1 결합된다.Therefore,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and the second indicator 100 are 1:1 coupled to each other.

제2 돌출실린더(120)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제2 지시부(100)가 제2 출입홀(90a)을 통해 복도로 인출되어 제2 출입문(60) 방향으로 대피를 안내한다.When the piston of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moves forward, the second indicator 100 is drawn out into the corridor through the second entrance hole 90a and guides the evacu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trance door 60.

화재감지부(13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벽체(3) 또는 천장부(30)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130 may be applied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ll 3 or the ceiling 30 .

화재감지부(13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감지하여 제1 돌출실린더(110) 또는 제2 돌출실린더(120)에 작동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fire detection unit 130 detects when a fire occurs and generates a signal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or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

이를 위해 화재감지부(130)는 제1 출입문(50) 측 및 제2 출입문(60) 측에 각각 설치된다.To this end,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and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respectively.

즉, 화재감지부(130)는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150a)에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50a)는 사람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제1 돌출실린더(110) 또는 제2 돌출실린더(12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That is,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130 detects a fire, it transmits a fir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a, and the control unit 150a uses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or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is selectively operated.

제어부(150a)는 화재감지부(13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제1 지시부(80) 또는 제2 지시부(100)가 화재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안내하도록 제1 돌출실린더(110)와 제2 돌출실린더(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fire detection units 130, the control unit 150a has a first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indicator 80 or the second indicator 100 guides the evacuation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e point. Either one of the cylinder 110 and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is selectively operated.

구체적으로, 제2 출입문(60) 측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2 출입문(60) 측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50a)에 전송한다.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detects the f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a.

이때, 제2 출입문(60) 측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문(50) 측으로 대피해야 한다.At this time, when a fire occurs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it is necessary to evacuate to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where the fire does not occur.

따라서, 제어부(150a)는 제2 출입문(60) 측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제2 출입문(60)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1 돌출실린더(110)들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50a operates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s 110 when a fire occurs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and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at the second door 60 detects a fire. programmed to do

제1 돌출실린더(110)들은 제1 지시부(80)를 각각 전진시켜 복도측으로 돌출시킨다.The first protruding cylinders 110 advance the first indicating portion 80, respectively, and protrude toward the corridor.

이와 같은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부(80)들의 모든 제1 지시면(81)도 복도측으로 돌출되며, 제1 지시면(81)은 제2 출입문(60)방향에서 제1 출입문(50)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all the first indicating surfaces 81 of the first indicating parts 80 also protrude toward the corridor, and the first indicating surface 81 is the first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60. As it goes toward the door 50, its height gradually increases.

따라서, 제1 지시부(80)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문(50) 방향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first instruction units 80 are in a state in which evacuation can be in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where no fire has occurred.

즉,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의 신체부위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 제1 지시면(8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문(50) 방향으로 원활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person located in the corridor sequentially touches and passes the first indication surfaces 81 protruding in a slanted state with body parts such as fingers or palms, and evacuates smoothly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where no fire has occurred. that can be done

이와 반대로, 복도의 제1 출입문(50)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1 출입문(50) 방향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50a)에 전송한다.Conversely, when a fire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in the corridor,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detects the f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a.

이때, 복도의 제1 출입문(50)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문(60)으로 대피해야 한다.At this time, if a fire breaks ou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in the corridor, it is necessary to evacuate to the second door 60 where the fire does not occur.

따라서, 제어부(150a)는 제1 출입문(50) 방향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2 돌출실린더(120)들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a is programmed to operate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s 120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50 detects a fire.

제2 돌출실린더(120)들은 제2 지시부(100)를 각각 전진시켜 복도로 돌출시킨다.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s 120 advance the second indicator 100, respectively, and protrude them into the corridor.

이와 같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시부(100)들의 모든 제2 지시면도 복도측으로 돌출되며, 제2 지시면은 제1 출입문(50) 방향에서 제2 출입문(60)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all the second indicating surfaces of the second indicating units 100 also protrude toward the corridor, and the second indicating surfaces gradually move from the first door 50 direction to the second door 60 direction. Its height gradually increases.

따라서, 제2 지시부(100)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문(60)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instruction units 100 are in a state capable of inducing evacuation to the second door 60 where no fire has occurred.

즉,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의 신체부위로 경사진 상태로 셋팅된 제2 지시면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문(60)으로 원활하게 대파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person located in the corridor sequentially touches and passes the second indication surfaces set in a slanted state with body parts such as fingers or palms, and smoothly smashes into the second door 60 where no fire occurs. will be.

이로 인해,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화재지점으로 잘못 대피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짧은 시간 안에 대피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어, 사람이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people located in the corridor from evacuating to the fire point by mistake,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evacuation direction within a short time even in a confusing situation, so that people inhale toxic gase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uman damage, such as being able to prevent burns.

한편, 제1 위치이동가이드(140)는 복도에 배치되고,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제1 지시부(80) 및 제2 지시부(1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알리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location movement guide 140 is disposed in the hallway, and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130 detects a fire, a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struction unit 80 and the second instruction unit 100. It is a notification structure.

이를 위해 제1 위치이동가이드(140)는 하우징(141)과, 제1 솔레노이드(142)와, 제2 솔레노이드(143)와, 제1 금속판(144)과 제2 금속판(145)과, 저장탱크(146)와, 향 발산부(147)와, 분사관(148) 및 에어주입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positioning guide 140 includes a housing 141, a first solenoid 142, a second solenoid 143, a first metal plate 144, a second metal plate 145, and a storage tank. 146, a fragrance emitting unit 147, a spray pipe 148, and an air injection unit 149 may be included.

하우징(141)은 제2 케이스부(9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벽체(3)에 설치된다.The housing 141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ase unit 9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installed on the wall 3 .

하우징(141)은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4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하우징(14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141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surface facing the corridor is open.

하우징(141)은 제1 출입문(50)과 제2 출입문(60)의 사이에서 벽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41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l 3 between the first door 50 and the second door 60 .

제1 솔레노이드(142)는 하우징(141)의 수용공간 천장면에 설치된다.The first solenoid 14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41 .

제2 솔레노이드(143)는 하우징(141)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된다.The second solenoid 143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41 .

제2 솔레노이드(143)는 제1 솔레노이드(142)와 상,하 방향으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The second solenoid 143 is located on a diagonal line with the first solenoid 142 in an up and down direction.

제1 금속판(144)은 제1 솔레노이드(142)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The first metal plate 144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first solenoid 142 .

제2 금속판(145)은 제2 솔레노이드(143)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The second metal plate 145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second solenoid 143 .

제1 금속판(144)과 제2 금속판(145)은 전진될 시 서로 충돌되어 소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복도에 위치한 사람에게 제1 지시부(80) 및 제2 지시부(100)의 위치를 알리게 된다.As the first metal plate 144 and the second metal plate 145 collide with each other and generate noise when moving forward, the location of the first indicating unit 80 and the second indicating unit 100 is notified to a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

즉, 화재발생에 따라 정전이 발생되어 복도에 설치되 조명이 소등되어 복도가 어둡거나 기타 혼란한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제1 지시부(80) 및 제2 지시부(100)의 위치를 청각적으로 신속하게 알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지시부(80) 및 제2 지시부(100) 측으로 이동한 사람이 제어부에 의해 복도 측으로 돌출된 제1 지시부(80) 또는 제2 지시부(100)를 만져가면서 화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피하도록 할 있다.That is, even if a power outage occurs due to a fire and lights installed in the hallway are turned off so that the hallway is dark or other confusing situations occur, the location of the first indicating unit 80 and the second indicating unit 100 is displayed to the people located in the hallway. can be audibly and quickly announced, whereby a person who has moved to the first instruction unit 80 and the second instruction unit 100 protrudes toward the corridor by the control unit 100 or the second instruction unit 80 You can evacuate by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e while touching it.

그리고, 제1 금속판(144) 및 제2 금속판(145)은 서로 충돌될 시 확률적으로 불꽃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복도가 어두운 상황에서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제1 지시부(80) 및 제2 지시부(10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도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metal plate 144 and the second metal plate 145 stochastically generate sparks when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first indicating unit 80 and the second indicating unit 100 are directed to people located in the hallway in a dark situation. ) can also be visually informed.

한편, 저장탱크(146)는 하우징(141)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된다.Meanwhile, the storage tank 146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41 .

저장탱크(146)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storage tank 146 .

향 발산부(147)는 다수개로 적용되며, 저장탱크(146)의 저장공간에 수용된다.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is applied in plurality and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tank 146.

향 발산부(147)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may be formed in a granular shape.

향 발산부(147)에는 향 발생액이 도포될 수 있다.A fragrance generating liquid may be applied to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

향 발생액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향수액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되거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제 액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fragrance generating liquid may be applied with any one of various types of commonly used perfume liquids, or may be applied with commonly used fragrance liquids.

향 발산부(147)는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발사되는 것으로, 사람들이 다치지 않도록 스폰지, 슬래브, 합성수지,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is emitted to people located in the hallway,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ponge, slab, synthetic resin, and plastic so that people are not injured.

분사관(148)은 하우징(141)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된다.The injection pipe 148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41.

분사관(148)은 향 발산부(147)를 복도를 향해 분사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46)와 연결된다.The spray pipe 148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46 so that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can be sprayed toward the corrido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148)의 내부에는 향 발산부(147)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홀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 a spray hole for spraying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is formed inside the spray pipe 148 .

분사홀은 저장탱크(146)와 좌측에서 우측(복도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향 발산부(147)를 확장시켜 복도에 분사할 수 있다.The spray hole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corridor side) of the storage tank 146, so that the plurality of fragrance emitting parts 147 can be expanded and sprayed into the corridor.

에어주입부(149)는 공지의 에어콤프레셔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49 may be formed of a known air compressor.

에어주입부(149)는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탱크(146)의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한다.When the fire detection unit 130 detects a fire, the air injection unit 149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tank 146 .

즉, 제어부는 화재감지부(13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전술한 제1 돌출실린더(110), 제2 돌출실린더(120), 제1 솔레노이드(142), 제2 솔레노이드(143), 제1 전자석, 제2 전자석 중 프로그래밍 된 구성을 작동시키면서 에어주입부(149)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30, the above-described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first solenoid 142, second solenoid 143, The air injection unit 149 is also programmed to operate while operating the programm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따라서, 저장탱크(146)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향 발산부(147)들은 주입되는 압추공기에 의해 복도로 분사된다.Therefore, the fragrance emitting parts 147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tank 146 are sprayed into the corridor by the injected pressurized air.

건축물의 내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화재가 발생할 경우 향 발산부(147)가 발사되고, 향 발산부(147)에 의해 향기가 발생된다는 사실을 미리 교육하면, 실제 화재발생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향 발산부(147)를 통해 육체적으로도 화재발생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If people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re educated in advance that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is launched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at fragrance is generated by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people located in the hallway will emit fragrance in the event of an actual fire. Through the unit 147,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ire.

그리고, 정전으로 인해 복도가 어두운 상태에서 제1 금속판(144) 및 제2 금속판(145)이 제1 솔레노이드(142) 및 제2 솔레노이드(143)의 작동에 의해 서로 충돌하더라도 시력과 청각이 좋지 않은 사람의 경우 제1 지시부(80) 또는 제2 지시부(1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metal plate 144 and the second metal plate 145 collide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lenoid 142 and the second solenoid 143 in a dark hallway due to power failure, sight and hearing are not good. In the case of a person, it is not eas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first indicator 80 or the second indicator 100 .

그러나, 화재발생시 에어주입부(149)가 향 발산부(147)를 복도측으로 발사시키면 사람이 향 발산부(147)가 발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지시부(80) 또는 제2 지시부(100)에 신속하게 도달한 후, 제1 지시부(80) 또는 제2 지시부(100)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when a fire occurs, when the air injection unit 149 fires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toward the hallway, a person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47 is fired, and the first instruction unit 80 or the second instruction unit 100 After reaching quickly, it is possible to evacuate quickly through the first instruction unit 80 or the second instruction unit 100.

한편, 제2 위치이동가이드(150)는 화재감지부(130)가 화재를 감지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제1 출입문(50) 또는 제2 출입문(60)으로 이동하도록 알리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ocation movement guide 150 is configured to notify a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to move to the first door 50 or the second door 60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130 detects a fire.

이를 위해 제2 위치이동가이드(150)는 베이스(151)와, 제1 안내유닛(152)과, 제2 안내유닛(153)과, 제1 부착유닛(154)과, 제2 부착유닛(155)과, 제1 탈부착부(156)와, 제2 탈부착부(157)와, 제1 표시부(158) 및 제2 표시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positioning guide 150 includes a base 151, a first guide unit 152, a second guide unit 153, a first attachment unit 154, and a second attachment unit 155. ), a first detachable unit 156, a second detachable unit 157, a first display unit 158, and a second display unit 159.

베이스(151)는 천장부(30)의 저면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The base 151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part 30, and has opening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제1 안내유닛(152)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베이스(151)의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제1 부착유닛(154) 및 제1 탈부착부(156)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이 베이스(151)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며, 스폰지, 고무,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unit 152 is applied in plurality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pening of the base 151, and as shown in FIG. It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by interaction, one side is hing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151,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ponge, rubber, and synthetic resin materials.

제2 안내유닛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베이스(151)의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되, 제1 안내유닛(152)의 사이마다 배치된다.The second guide unit is applied in plurality and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pening of the base 15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units 152.

제2 안내유닛(15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제2 부착유닛(155) 및 제2 탈부착부(157)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이 베이스(151)의 내벽면에 힌지결합되며, 스폰지, 고무,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guide unit 153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by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attaching unit 155 and the second detachable part 157, one side of the base 151. It is hinged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ponge, rubber, and synthetic resin materials.

제1 부착유닛(1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1 안내유닛(152)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attachment units 154 are each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152, which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and is made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제2 부착유닛(15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2 안내유닛(153)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second attachment units 155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units 153 that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nd are made of magnets or metal materials.

제1 탈부착부(156)는 전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etachable portion 156 may be formed of an electromagnet.

제1 탈부착부(156)는 베이스(151)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제1 안내유닛(152)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비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제1 부착유닛(154)이 부착된다.The first detachable part 156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ase 151,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unit 152, and when there is no fire, power is supplied to attach the first attachment unit 154. .

제어부(150a)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제1 탈부착부(156)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제1 탈부착부(156)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The control unit 150a is programmed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156 when there is no fire, and to cut off power applied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156 when a fire occurs.

제1 탈부착부(156)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제1 탈부착부(156)에 대한 제1 부착유닛(154)의 부착이 해제된다.When the power to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156 is cut off, the attachment of the first attachment unit 154 to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156 is released.

이로 인해, 제1 안내유닛(15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제1 안내유닛(152)들을 순차적으로 잡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is, as shown in FIG. 9 , the first guide unit 152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its own weigh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or an ordinary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to sequentially hold and move the first guide units 152 .

화재발생 시 제1 탈부착부(156)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 제1 안내유닛(152)들이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잡고 이동하도록 복도 상에 셋팅된다.When a fire occurs, since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detachable part 156 is cut off, the first guide units 152 are rotated downward and are set on the hallway so that the disabled or ordinary people can hold and move them.

제2 탈부착부(157)는 전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157 may be formed of an electromagnet.

제2 탈부착부(157)는 베이스(151)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제2 안내유닛(153)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비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제2 부착유닛(155)이 부착된다.The second detachable part 157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ase 151,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uide unit 153, and when there is no fire, power is supplied to attach the second attachment unit 155. .

제어부(150a)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제2 탈부착부(157)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제2 탈부착부(157)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The control unit 150a is programmed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detachable unit 157 when there is no fire, and to cut off power applied to the second detachable unit 157 when a fire occurs.

제2 탈부착부(157)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제2 탈부착부(157)에 대한 제2 부착유닛(155)의 부착이 해제된다.When the power to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157 is cut off, the attachment of the second attachment unit 155 to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157 is released.

이로 인해, 제2 안내유닛(15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제2 안내유닛(153)들을 순차적으로 잡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is,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guide unit 153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its own weigh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a blind person or an ordinary person located in the hallway to sequentially hold and move the second guide units 153.

화재발생 시 제2 탈부착부(157)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 제2 안내유닛(153)들이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잡고 이동하도록 복도상에 셋팅된다.When a fire occurs, power applied to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157 is cut off, so that the second guide units 153 rotate downward and are set on the hallway so that the disabled or ordinary people can hold and move them.

제1 표시부(15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1 안내유닛(152)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display units 158 are each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152, which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and is formed in an arrow shape.

제1 표시부(158)는 제1 탈부착부(156)에 전원이 차단되어 제1 안내유닛(152)들이 자중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 상에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될 시, 제1 출입문(50)을 지시하게 된다.When the first display unit 158 is set so that power is cut off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156 and the first guide units 152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their own weight to form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The first entrance door 50 is indicated.

제2 표시부(159)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2 안내유닛(153)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며,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display units 159 are each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unit 153, which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and is formed in an arrow shape.

제2 표시부(159)는 제2 탈부착부(157)에 전원이 차단되어 제2 안내유닛(153)들이 자중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 상에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될 시, 제2 출입문(60)을 지시하게 된다.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59 is set so that the second detachable unit 157 is powered off and the second guide units 153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their own weight to form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The second entrance door 60 is indicated.

이때, 제어부(150a)는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제1 안내유닛(152) 또는 제2 안내유닛(153) 중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안내유닛이 복도상에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탈부착부(156) 또는 제2 탈부착부(157)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150a receives a fire signal, the guide unit capable of guiding the evacuation direction to the opposite point of the fire occurrence point among the first guide unit 152 or the second guide unit 153 is perpendicular to the corridor. It is programm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first detachable unit 156 or the second detachable unit 157 to maintain the state.

구체적으로, 복도의 제2 출입문(60) 측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2 출입문(60) 측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150a)에 전송한다.Specifically, when a fire breaks out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of the hallway,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detects the f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a.

이때, 복도의 제2 출입문(60) 측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출입문(50)으로 대피해야 한다.At this time, if a fire breaks out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of the corridor, it is necessary to evacuate to the first door 50 where the fire does not occur.

따라서, 제어부(150a)는 제2 출입문(60) 측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1 탈부착부(156)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a is programmed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156 when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제1 탈부착부(156)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1 안내유닛(152)은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 상에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When the power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156 is cut off, the first guide unit 152 is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set in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이때, 제1 표시부(158)는 제1 출입문(50)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 또는 일반인이 제1 표시부(158)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제1 표시부(158)를 손으로 만지는 방식으로 제1 표시부(158)의 지시방향을 확인한 다음, 제1 표시부(158)가 지시하고 있는 방향인 제1 출입문(50)으로 대피하면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display unit 158 indicates the first entrance door 50, the disabled or the general public can visually check the first display unit 158 or touch the first display unit 158 with their hands. 1 After confirming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display unit 158, it is sufficient to evacuate to the first door 50, which is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58.

이와 반대로, 복도의 제1 출입문(50) 측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1 출입문(50) 측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150a)에 전송한다.Conversely, when a fire occurs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of the hallway,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detects the f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a.

이때, 제1 출입문(50) 측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제2 출입문(60) 측 구역으로 대피해야 한다.At this time, if a fire breaks out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it is necessary to evacuate to the area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60 where the fire does not occur.

따라서, 제어부(150a)는 제1 출입문(50) 측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부(13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2 탈부착부(157)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a is programmed to cut off power applied to the second detachable unit 157 when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30 installed in the area on the side of the first door 50.

제2 탈부착부(157)(107)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2 안내유닛(153)은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 상에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When the power to the second detachable parts 157 and 107 is cut off, the second guide unit 153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set in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이때, 제2 표시부(159)는 제2 출입문(60)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 또는 일반인이 제2 표시부(159)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제2 표시부(159)를 손으로 만지는 방식으로 제2 표시부(159)의 지시방향을 확인한 다음, 제2 표시부(159)가 지시하고 있는 방향인 제2 출입문(60)으로 대피하면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display unit 159 indicates the second entrance door 60, the disabled or the general public can check the second display unit 159 with the naked eye or touch the second display unit 159 with their hands. After confirming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59, evacuate to the second door 60, which is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59.

이때, 제1 돌출실린더(110)와, 제2 돌출실린더(120)와, 화재감지부(130)와, 제1 솔레노이드(142)와, 제2 솔레노이드(143)와, 에어주입부(149)와, 제1 탈부착부(156) 및 제2 탈부착부(157)는 화재로 인해 정전이 될 경우에도 작동하도록 비상전원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태양광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110,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120, the fire detection unit 130, the first solenoid 142, the second solenoid 143, and the air injection unit 149 And,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156 and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157 may operate as an emergency power source or receive power from a photovoltaic generator to operate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태양광 발전기는 천장부(3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photovoltaic generato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portion 30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건축물용 골조시스템 10 : 바닥판
10a : 나선홀 20 : 수직골조부
21 : 수직골조유닛 22,321 : 보강립
211 : 체결구 30 : 천장부
31 : 천장틀부 32 : 수평바
40 : 룸부 50 : 제1 출입문
60 : 제2 출입문 70 : 제1 케이스부
71 : 제1 출입홀 80 : 제1 지시부
81 : 제1 지시면 90 : 제2 케이스부
90a : 제2 출입홀 100 : 제2 지시부
101 : 제2 지시면 110 : 제1 돌출실린더
120 : 제2 돌출실린더 130 : 화재감지부
140 : 제1 위치이동가이드 141 : 하우징
142 : 제1 솔레노이드 143 : 제2 솔레노이드
144 : 제1 금속판 145 : 제2 금속판
146 : 저장탱크 147 : 향 발산부
148 : 분사관 149 : 에어주입부
150 : 제2 위치이동가이드 151 : 베이스
152 : 제1 안내유닛 153 : 제2 안내유닛
154 : 제1 부착유닛 155 : 제2 부착유닛
156 : 제1 탈부착부 157 : 제2 탈부착부
158 : 제1 표시부 159 : 제2 표시부
1: frame system for buildings 10: bottom plate
10a: spiral hole 20: vertical frame
21: vertical frame unit 22,321: reinforcing rib
211: Fastener 30: Ceiling
31: ceiling frame 32: horizontal bar
40: room part 50: first entrance door
60: second entrance door 70: first case part
71: first entrance hall 80: first indicator
81: first directing surface 90: second case part
90a: second access hole 100: second indicator
101: second directing surface 110: first protruding cylinder
120: second protruding cylinder 130: fire detection unit
140: first positioning guide 141: housing
142: first solenoid 143: second solenoid
144: first metal plate 145: second metal plate
146: storage tank 147: fragrance emitting unit
148: injection pipe 149: air injection unit
150: second position movement guide 151: base
152: first guide unit 153: second guide unit
154: first attachment unit 155: second attachment unit
156: first detachable part 157: second detachable part
158: first display unit 159: second display unit

Claims (4)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
저면에 상기 바닥판의 나선홀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골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골조유닛이 마감재로 마감되어 벽체를 이루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수직골조부;
상기 수직골조유닛들의 상측을 연결하며,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천장틀부 및 상기 천장틀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마감재로 마감되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
상기 실내공간에 복수개로 나열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룸부;
상기 벽체 중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벽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출입문 및 제2 출입문;
상기 실내공간의 복도 상에 위치한 벽체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제1 출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서 제1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문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경사진 구조의 제1 지시면이 형성된 제1 지시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제2 출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케이스부;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서 제2 출입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문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경사진 구조의 제2 지시면이 형성된 제2 지시부;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지시부를 상기 제1 출입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 돌출실린더;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지시부를 상기 제2 출입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돌출시키는 제2 돌출실린더;
상기 천장부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복도에서 발생되는 화재신호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지시부 또는 제2 지시부가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방향을 지시하도록 상기 제1 돌출실린더와 제2 돌출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복도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가 화재를 감지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상기 제1 지시부 및 제2 지시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알리는 제1 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복도 천장면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가 화재를 감지 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이 상기 제1 출입문 또는 제2 출입문으로 이동하도록 알리는 제2 위치이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이동가이드는,
상기 제2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도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천장면에 설치되는 제1 솔레노이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솔레노이드;
상기 제1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1 금속판;
상기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충돌하여 소음 및 불꽃을 발생시키는 제2 금속판;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향 발산부;
상기 향 발산부를 복도를 향해 분사하도록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분사관; 및
상기 향 발산부가 상기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이동가이드는,
상기 복도 천장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베이스;
상기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안내유닛;
상기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되, 상기 제1 안내유닛의 사이마다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안내유닛;
상기 제1 안내유닛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부착유닛;
상기 제2 안내유닛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부착유닛;
상기 베이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부착유닛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비 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부착유닛이 부착되고,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제1 부착유닛과의 부착상태가 해제되는 제1 탈부착부;
상기 베이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부착유닛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며, 비 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2 부착유닛이 부착되고,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2 부착유닛과의 부착상태가 해제되는 제2 탈부착부;
상기 제1 안내유닛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안내유닛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며,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표시부;
상기 제1 탈부착부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1 안내유닛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표시부가 제1 출입문을 향해 대피방향을 지시하고,
상기 제2 탈부착부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안내유닛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 표시부가 상기 제2 출입문을 향해 대피방향을 지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안내유닛 또는 제2 안내유닛 중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안내유닛이 복도상에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탈부착부 또는 제2 탈부착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건축물용 골조시스템.
A bottom plate with spiral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Fastener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holes of the bottom plate, and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ing units arranged upr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vertical framing units ar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form a wall Vertical frame parts forming an indoor space;
A ceiling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ides of the vertical framing units, including a ceiling frame portion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frame portion, and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form a ceiling;
a room unit arranged in a plurality in the indoor spac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first entrance door and a second entrance door respectively installed on two wall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walls;
first case units installed on walls located on the corridor of the indoor spac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ccess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urface facing the corridor;
a first indicating unit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first access holes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ase unit and having a first indicating surface having an inclined structure for indicating an evacuation direction to the first access door;
I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se uni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talled on the wall,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access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facing the corridor. 2 case parts;
a second indicator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second access holes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case unit and having a second indication surface having an inclined structure for indicating an evacuation direction to the second access door;
a first protrud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asing unit and protruding the first indicator toward the corridor through the first access hole in case of fire;
a second protrud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casing unit and protruding the second indicator toward the corridor through the second access hole in case of fire;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at regular intervals to detect a fire signal generated in the corridor;
Selectively operating any one of the first protruding cylinder and the second protruding cylinder so that the first or second indicating unit indicates an evacuation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e occurrence point when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control unit;
a first location movement guide disposed in the hallway and notifying a person in the hallway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struction units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cts a fire; and
A second location movement guide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hallway and notifying a person in the hallway to move to the first door or the second door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cts a fire,
The first positioning guide,
a housing disposed above the second case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talled on the wall,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 surface facing the corridor open;
a first solenoid installed on a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solenoi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metal plate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first solenoid;
a second metal plate that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second solenoid and collides with the first metal plate in the process to generate noise and sparks;
a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fragrance emitting units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tank and formed in a granular shape;
a spray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o spray the fragrance emitting unit toward the corridor; and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fragrance emitting unit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pipe,
The second positioning guide,
a plurality of bas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hallway and having opening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guide units disposed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pening and having one side hing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units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opening at regular interval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units, and having one side hing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first attachment units each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and made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second attachment units each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unit and formed of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ase, and is disposed above the first attachment unit, and when there is no fire, power is supplied to attach the first attachment uni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A first detachable unit in which the power is c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attachment unit and the attachment state is released;
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ase, and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attachment unit, and when there is no fire, power is supplied and the second attachment unit is attached, and 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pow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 second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that is blocked and the attachment state with the second attachment unit is released;
first display units each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unit and formed in an arrow shape; and
second display units each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unit and formed in an arrow shape;
When the power to the first detachable unit is cut off, the first guide units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their own weigh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and the first display unit indicates the direction of evacuation toward the first door do,
When power is cut off to the second detachable unit, the second guide units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y their own weigh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so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directs the evacuation direction toward the second door. instruct,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e signal, the first detachable unit maintains a vertical state on the corridor, which can guide the evacuation direction to a point opposite to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s, among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second guide unit. Or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programm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second detachabl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유닛 및 수평바에는 각각 보강립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건축물용 골조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framework system for buildings in which reinforcing rib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of the vertical framing unit and the horizontal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14354A 2022-09-08 2022-09-08 Frame system for buildings KR102569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354A KR102569119B1 (en) 2022-09-08 2022-09-08 Frame system for build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354A KR102569119B1 (en) 2022-09-08 2022-09-08 Frame system for build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119B1 true KR102569119B1 (en) 2023-08-22

Family

ID=8779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354A KR102569119B1 (en) 2022-09-08 2022-09-08 Frame system for build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1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536A (en) * 1997-03-31 1998-10-20 Noda Corp Wooden building method
KR20090086794A (en) 2008-02-11 2009-08-14 (주)대진임산 Prefabricated wood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40018613A (en) * 2012-08-02 2014-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rame assembly
JP2019100167A (en) * 2017-11-29 2019-06-24 株式会社ライト建築事務所 Rigid frame type lego structure to crimp joint of column capital and column base header of wooden cross shaped composite column by every level pc be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536A (en) * 1997-03-31 1998-10-20 Noda Corp Wooden building method
KR20090086794A (en) 2008-02-11 2009-08-14 (주)대진임산 Prefabricated wood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40018613A (en) * 2012-08-02 2014-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rame assembly
JP2019100167A (en) * 2017-11-29 2019-06-24 株式会社ライト建築事務所 Rigid frame type lego structure to crimp joint of column capital and column base header of wooden cross shaped composite column by every level pc be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75B1 (en) A modular type prefabricated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569119B1 (en) Frame system for buildings
EP1055036B1 (en) Modular building unit
KR200484798Y1 (en) Gang form for building construction with open area shielding function
CN114351865A (en) Beam column connecting piece, house frame and integrated house
JP3149194U (en) Steel panel type seismic shelter
JP3164750U (en) Unit house air conditioner integrated panel
JP6770829B2 (en)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building units and wall panels
JP2014205551A (en) Temporary enclosure for elevator landing
JP7178730B2 (en) Frame unit and simple structure
JP4553649B2 (en) Unit construction method building
JP3019502U (en) House with earthquake-resistant evacuation room
CN220790728U (en) Quick assembly disassembly formula camping unit and composite set thereof
JP4926583B2 (en) building
CN110984434B (en) Recyclable inner longitudinal partition wall plat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JP5266147B2 (en) Sleeve wall of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RU79904U1 (en) COMBINED-SHIELD FORMWORK FOR CONSTRUCTION OF THE MONOLITHIC MODULE OF SMALL-SIZED BUILDING FROM CONCRETE MIX
JP2008231895A (en) Movable storage box
JP2016020567A (en) Outside corridor construction method for unit-type building
JP6541107B2 (en) Building uni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2017020236A (en) Column base fitting, building unit including column base fitting,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3113817U (en) Combined structure of two houses
JP2021139259A (en) Indoor earthquake resistance reinforcement
JP6386855B2 (en) Exterior wall mounting structure
WO2011125146A1 (en) Building desig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