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838B1 - 소독제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제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838B1
KR102568838B1 KR1020210037777A KR20210037777A KR102568838B1 KR 102568838 B1 KR102568838 B1 KR 102568838B1 KR 1020210037777 A KR1020210037777 A KR 1020210037777A KR 20210037777 A KR20210037777 A KR 20210037777A KR 102568838 B1 KR102568838 B1 KR 10256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unit
supply
hos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794A (ko
Inventor
김수경
장도열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주)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붐테크 filed Critical (주)붐테크
Priority to KR102021003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8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등 소독 대상이 접근해옴에 따라 자동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독제가 수용되는 보관부, 대상체를 감지할 경우 접근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소독제가 분사되는 분사부 및 상기 보관부의 소독제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파트 및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파트에서 공급된 소독제를 상기 보관부로 이동시키는 우회파트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독제 분사장치{DISINFECTANT SPRAY DEVICE}
본 발명은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등 소독 대상이 접근해옴에 따라 자동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독이란 병의 감염이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원균을 죽이는 일이다. 최근 독감, 메르스, 코로나-19 등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집단 감염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기 소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2198073호(이하 종래기술)는 소독제 분사용 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와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통되게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된 몸체하우징과,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된 배터리 하우징으로 구성된 소독제 분사용 건에 있어서, 소독제를 수용함과 아울러 일단이 상기 몸체하우징의 전방측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소독제 탱크;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독제 탱크에 수용된 소독제를 펌핑시켜 그와 연결된 연결관부를 경유시키는 가운데, 분사로드에 이르는 위치까지 상기 소독제를 압송시키는 모터펌프; 상기 분사로드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사로드를 경유한 소독제를 모터펌프의 작동에 의해 대상지점으로 토출시키는 노즐모듈; 및 상기 배터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펌프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포함함으로써, 살균 소독이 요구되는 장소나 살균 대상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소독제를 분사하여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소독제를 분사하기 위해 전원버튼 등을 가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독 대상체가 접근 하는 경우, 소독제를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독제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독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역류를 억제할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소독제가 수용되는 보관부, 대상체를 감지할 경우 접근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소독제가 분사되는 분사부 및 상기 보관부의 소독제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파트 및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파트에서 공급된 소독제를 상기 보관부로 이동시키는 우회파트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가 구비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일 측에서 함몰 형성된 홈부 및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다른 하나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중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홈부 및 상기 중공 중 적어도 하나 측으로 상기 소독제를 분무하는 제1분사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파트는 상기 보관부와 상기 제1분사파트를 연결하는 제1공급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파트는 상기 제1공급호스에서 분기되어 상기 보관부와 연결되는 제1우회호스 및 상기 제1우회호스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는 통공 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통공 측에 구비되는 필터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중공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감지부를 포함하여 소독 대상체가 접근 하는 경우, 소독제를 자동으로 분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회파트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소독제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홈부 및 중공 중 어느 하나 측으로 소독제를 분무하는 제1분사파트를 포함함으로써, 소독제의 외부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소독제의 이동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팬 및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소독제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보관부, 분사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소독제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소독제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A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및 "연통"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및 "직접적으로 연통"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및 "간접적으로 연통"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장치의 도면이고, 도 2는 소독제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보관부, 분사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장치(S)는 소독 대상이 접근함에 따라 소독제를 자동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장치(S))는 보관부(1), 감지부(2), 분사부(3) 및 연결부(4)를 포함한다.
보관부(1)는 소독제가 수용되는 것이다. 보관부(1)는 예시적으로 탱크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몸체(5)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소독제는 소독 대상(대상체)에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부(2)는 소독 대상인 대상체(사람 등)를 감지할 경우 접근신호를 생성한다. 감지부(2)는 예시적으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으나 이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감지부(2)는 예시적으로 후술하는 몸체(5)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감지부(2)는 몸체(5)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감지부(2)는 후술하는 몸체(5)의 전방으로 접근하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몸체(5)와 이격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방은 후술하는 도 5에서 좌측(도 1을 기준으로 7시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후술하는 도 5에서 우측(도 1을 기준으로 1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분사부(3)는 소독제가 분사되는 것이다. 분사부(3)는 후술하는 연결부(4)에 의해 보관부(1)와 연통되고, 보관부(1)에 수용되었던 소독제를 분사한다. 분사부(3)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노즐, 미스트 제너레이터(mist gener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3)는 후술하는 몸체(5)에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후술하는 몸체(5)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사부(3)의 배출구(소독제가 배출되는 출구)가 몸체(5)의 배출공(소독제가 배출되는 출구)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몸체(5)의 배출공은 몸체(5)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즉, 분사부(3)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소독제는 후술하는 몸체(5)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 될 수 있다(또는 분사부(3)의 배출구가 몸체(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4)는 상기 보관부(1)의 소독제를 상기 분사부(3)로 공급하는 공급파트(41), 분사부(3)와 연결(연통)되고 공급파트(41)를 통해 분사부(3)로 소독제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공급파트(41)에서 공급된 소독제를 상기 보관부(1)로 다시 이동시키는 우회파트(4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장치는 상기 접근신호를 수신하여 공급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신호는 상기 공급파트(41)로 전송되어 공급파트(41)로 하여금 보관부(1)의 소독제를 분사부(3)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신호이다. 제어부(6)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공급파트(41)는 상기 분사부(3)의 선단에 구비되어, 보관부(1)의 소독제를 분사부(3)로 이동시키는 구성인 호스, 펌프, 밸브 등(후술하는 제1공급호스(411), 제1공급펌프(412), 제2공급호스(413), 제2공급펌프(414), 체크밸브(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단 및 후술하는 후단은, 본 장치에서 순환 또는 배출되는 소독제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본 장치에서 소독제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한다.
연결부(4)가 상기 공급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펌프(후술하는 제1공급펌프(412), 제2공급펌프(414))가 구동하고, 호스(후술하는 제1공급호스(411))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파트(41)를 통해 이동된 소독제는 분사부(3)를 통해 본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급신호의 생성이 중지되거나, 공급신호 생성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이후에 상기 펌프는 구동이 정지되고, 호스는 폐쇄될 수 있다(분사부(3)에서 공급파트(41)에 의한 소독제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 이때는 분사부(3)의 후단에 구비되거나(후술하는 제2우회호스(423)) 또는 공급파트(41)에서 분기된(후술하는 제1우회호스(421)) 우회파트(42)를 통해 상기 공급파트(41)로 유입된 소독제를 다시 보관부(1)로 이동시켜, 소독제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6)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6)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연결부(4)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는 연결부(4)에 포함되거나, 연결부(4)와 이웃하는 위치에 연결부(4) 또는 감지부(2)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감지부(2) 및 연결부(4)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소독제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소독제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분사부(3)가 구비되는 몸체(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5)는 하우징에 상응하는 구성일 수 있고, 상기한 보관부(1)가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5)는 일 측에서 함몰 형성된 홈부(미도시) 및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다른 하나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중공(5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51)은 예시적으로 몸체(5)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부(3)는 홈부(미도시) 및 중공(51) 중 적어도 하나 측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제1분사파트(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분사파트(31)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5)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 배출구가 상기 중공(51) 측으로 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51) 측으로 소독제를 배출하도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소독제(51)가 몸체(5) 외부로 퍼져 나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때 공급파트(41)는 보관부(1)와 제1분사파트(31)를 연결하는 제1공급호스(411), 상기 보관부(1)의 소독제를 제1공급호스(411)를 통해 제1분사파트(31)로 이동시키는 제1공급펌프(412)(제1공급호스(411)에 구비될 수 있음) 및 상기 제1공급호스(411)에 구비되어 제1공급호스(411)를 개폐하는 체크밸브(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급펌프(412) 및 체크밸브(415)는 상술한 제어부(6)의 공급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우회파트(42)는 상기 제1공급호스(411)에서 분기되어 보관부(1)와 연결되는 제1우회호스(421) 및 상기 제1우회호스(421)에 구비되어 제1우회호스(421)를 개폐하는 솔 밸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 밸브(422)는 예시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6)는 공급신호가 생성될 경우 상기 솔 밸브(422)를 폐쇄하는 폐쇄신호를 생성하고, 공급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공급신호가 생성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솔 밸브(422)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체크밸브(415)가 개방될 경우 솔 밸브(422)는 폐쇄되어 제1공급호스(411)로 이동된 소독제가 제1분사파트(31)를 통해 배출되고, 체크밸브(415)가 폐쇄될 경우 솔 밸브(422)가 개방되어 제1공급호스(411)로 이동된 소독제가 제1분사파트(31)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제1우회호스(421)를 통해 이동하여 보관부(1)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체크밸브(415)와 솔 밸브(422)를 포함함으로써, 제1공급호스(411) 및 제1우회호스(421)에서 의도치 않은 소독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분사부(3)는 상기 몸체(5)에 구비되되 그 배출구(소독제가 배출되는 출구)가 몸체(5)의 전면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분사파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파트(32)의 배출구 또한 몸체(5)의 전면 측에 형성된 배출공(소독제가 배출되는 출구)과 연통되어, 제2분사파트(32)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제가 몸체(5)의 배출공을 통해 본 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또는 제2분사파트(32)의 배출구가 몸체(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는 상기 제2분사파트(32)와 보관부(1)를 연결되는 제2공급호스(413) 및. 상기 보관부(1)의 소독제를 제2공급호스(413)를 통해 상기 제2분사파트(32)로 이동시키는 제2공급펌프(4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공급펌프(412)는 AC 펌프이고, 제2공급펌프(414)는 DC 펌프일 수 있다.
또한 우회파트(42)는 상기 제2분사파트(3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분사파트(32)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우회호스(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우회호스(423)는 후단이 상기 보관부(1)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공급파트(41)의 제2공급펌프(414)는 상기 제어부(6)의 공급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관부(1)의 소독제를 제2공급호스(413)를 통해 제2분사파트(32)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잔존하는 소독제는 상기 제2우회호스(423)를 통해 보관부(1)로 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파트(32)는 예시적으로 미스트 제너레이터일 수 있으며, 다수일 수 있다. 다수의 제2분사파트(32)는 선단이 상기 제2공급호스(413)와 연결된 어느 하나(이하 선단 공급호스)와, 후단이 제2우회호스(423)를 제외한 다른 하나(이하 후단 공급호스), 그 외 나머지(이하 중간 공급호스)가 연결호스(33)를 매개로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공급호스(413)로 공급된 소독제 중 일부가 상기 선단 공급호스로 이동하여 선단 공급호스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지 않고 남은 소독제는 선단 공급호스를 지나 연결호스(33)를 통해 상기 중간 공급호스로 이동하여 일부 배출되고, 중간 공급호스를 지나친 소독제가 연결호스(33)를 통해 상기 후단 공급호스로 이동되어 후단 공급호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만약 후단 공급호스를 통해 소독제가 전량 배출되지 않을 경우 후단 공급호스와 연결된 제2우회호스(423)를 통해 보관부(1)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몸체(5)는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는 통공(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공(52)은 몸체(5)의 전방과 후방을 관통하는 것을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통공(52) 측에 구비되는 팬(7)을 포함할 수 있다. 팬(7)(fan)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를 포함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팬(7)은 예시적으로 통공(52)의 내측에 구비되어, 몸체(5)의 전방측의 공기를 몸체(5)의 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는 통공(52) 측에 구비되는 필터(8)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8)는 예시적으로 팬(7) 보다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5)는 예시적으로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패인 설치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홈에 상기 필터(8)가 삽입 배치되어 통공(52)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8)는 공기 중 먼지 등을 필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팬(7) 및 필터(8)를 포함함으로써, 본 장치의 전방측의 공기를 정화하며, 특히 본 장치의 전방측으로 소독제가 분사되는 경우, 소독제를 본 장치의 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몸체(5)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중공(51)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생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외선 발생부(9)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몸체(5)의 내부에는 보관부(1), 분사부(3)의 적어도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뿐만 아니라 연결부(4)의 적어도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생부(9)를 포함하여 소독제가 보관, 이동, 배출되는 보관부(1), 분사부(3), 연결부(4)의 소독을 상시 수행할 수 있으며, 몸체(5)에 별도의 구멍이 구비되는 경우, 자외선 발생부(9)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을 몸체(5)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자외선에 의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5)는 베이스(미도시), 베이스(미도시)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H1), 상기 측벽(H1) 상단을 덮는 커버(H2) 및 상기 측벽(H1)과 상기 커버(H2)를 결합시키는 잠금수단(H3)을 포함하는 하우징(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커버(H2)는 상기 측벽(H1)의 상단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덮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H)에서 측벽(H1)과 측벽(H1)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는 본체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한 각종 장치(보관부(1), 분사부(3), 연결부(4) 등)을 설치하고,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덮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상기한 각종 장치(보관부(1), 분사부(3), 연결부(4) 등)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잠금수단(H3)은 측벽(H1)과 커버(H2)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잠금수단(H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수단(H3)은 커버(H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H31)와 측벽(H1) 상단에서 끼움돌부(H31)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H32)을 포함한다.
도 6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H2)는 수평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끼움홈(H32)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H33)을 포함하고, 끼움돌부(H3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직관(H341), 끼움돌부(H31)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H341)과 연통되는 수평관(H342)을 포함하는 유체관(H34)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방향은 도 7에서 후술하는 제2방향(d2)에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수직관(H3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H35)과 수평관(H3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H3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관(H34), 제1피스톤(H35), 제2피스톤(H37)이 형성하는 공간에, 유체(예시적으로 공기 등)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제1피스톤(H35)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H36)를 포함하고, 제2피스톤(H37)에서 상기 제1방항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H381)와 돌출부(H381)에서 하향 경사지게 제2방향(d2)으로 돌출되고 걸림홈(H33)에 삽입되는 경사부(H3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상태에서 제1피스톤(H35)은 자체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 커버(H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 6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되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눌려져 제1피스톤(H35)이 수직관(H341)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여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걸림홈(H33)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커버(H2)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만을 통해, 측벽(H1)과 결합되는 데, 끼움돌부(H31) 및 끼움홈(H32)에 의해 측벽(H1)에 대하여 커버(H2)의 수평 이동이 제한되는 동시에,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홈(H33)에 삽입되어 측벽(H1)에 대하여 커버(H2)의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커버(H2)가 하측으로만 이동하였는데 측벽(H1)에 대하여 수평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걸림부(H38)는 경사부(H382)를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정단면상에서 봤을 때(도 6 참조) 제2방향(d2)(도 6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하향 경사진 것이다. 이를 통해 도 6의 [B]와 같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의해 살짝 눌려져(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끼움홈(H32)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 걸림부(H38)가 제2방향(d2)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도 경사부(H382)와 끼움홈(H32)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끼움돌부(H31)가 보다 용이하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H382)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도 6을 상측에서 봤을 때) 제2방향(d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H382a)을 포함하고, 걸림홈(H33)은 걸림부(H38)와 걸림홈(H33)의 완전 걸림 상태에서, 일 측에서 상기 경사면(H382a)의 법선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가압편(H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H2)가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경우, 경사부(H382) 또한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예시적으로 경사부(H382)가 도 Y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편(H331)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H35)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끼움홈(H32)의 바닥을 밀게 되고 커버(H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측벽(H1)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소독제 분사장치: S
보관부: 1 감지부: 2
분사부: 3 제1분사파트: 31
제2분사파트: 32 연결호스: 33
연결부: 4 공급파트: 41
제1공급호스: 411 제1공급펌프: 412
제2공급호스: 413 제2공급펌프: 414
체크밸브: 415 우회파트: 42
제1우회호스: 421 솔 밸브: 422
제2우회호스: 423 몸체: 5
중공: 51 통공: 52
제어부: 6 팬: 7
필터: 8 자외선 발생부: 9

Claims (4)

  1. 소독제가 수용되는 보관부;
    대상체를 감지할 경우 접근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소독제가 분사되는 분사부; 및
    상기 보관부의 소독제를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파트 및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파트에서 공급된 소독제를 상기 보관부로 이동시키는 우회파트를 포함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가 구비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다른 하나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중공 측으로 상기 소독제를 분무하는 제1분사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파트는 상기 보관부와 상기 제1분사파트를 연결하는 제1공급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파트는 상기 제1공급호스에서 분기되어 상기 보관부와 연결되는 제1우회호스 및 상기 제1우회호스를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는 통공 측에 구비되는 팬;
    상기 통공 측에 구비되는 필터;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중공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자외선 발생부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 상기 측벽 상단을 덮는 커버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커버를 결합시키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커버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 상기 측벽 상단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 상기 끼움홈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 상기 끼움돌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직관 및 상기 끼움돌부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과 연통되는 수평관을 포함하는 유체관, 상기 수직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 상기 수평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에서 상기 제1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부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제2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림홈의 완전 걸림 상태에서 일 측에서 상기 경사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분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7777A 2021-03-24 2021-03-24 소독제 분사장치 KR10256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77A KR102568838B1 (ko) 2021-03-24 2021-03-24 소독제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77A KR102568838B1 (ko) 2021-03-24 2021-03-24 소독제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94A KR20220132794A (ko) 2022-10-04
KR102568838B1 true KR102568838B1 (ko) 2023-08-21

Family

ID=8360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777A KR102568838B1 (ko) 2021-03-24 2021-03-24 소독제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8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351B1 (ko) * 2010-09-07 2011-10-17 (주) 엠엔에스 자동 개폐식 몸 소독기
KR101565952B1 (ko) * 2015-02-27 2015-11-05 김동수 소독액 분무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331A (ko) * 2009-08-22 2011-03-03 윤주칠 손 소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351B1 (ko) * 2010-09-07 2011-10-17 (주) 엠엔에스 자동 개폐식 몸 소독기
KR101565952B1 (ko) * 2015-02-27 2015-11-05 김동수 소독액 분무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94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698B2 (en) Clean toilet and accessories
KR101202480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분무기
CN104138246B (zh) 蒸汽清洁装置以及与蒸汽清洁装置一起使用的化合物
US20140017132A1 (en) Decontamination solution spray device
KR20190076579A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US6656434B1 (en) Compact portable owner-serviced air duct sanitizing system
KR102568838B1 (ko) 소독제 분사장치
CN112856763A (zh) 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及空调器
WO2012147221A1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
GB2469018A (en) Vapour Misting Apparatus
EP1689603B1 (en) A mist-spraying apparatus
EP3181033A1 (en) Dish treating appliance with self-draining feedtube
US20210386889A1 (en) Automated door handle / panel sanitizer dispensing assembly
KR101743592B1 (ko) 가정용 자동 소독기
KR20110048761A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CN213268065U (zh) 消毒杀菌系统及挖掘机
KR200495029Y1 (ko) 인체 소독 장치
WO2020125612A1 (zh) 衣物处理设备
KR101136844B1 (ko) 분무형 통합 정화장치
KR102642039B1 (ko) 계단 및 보행 통로용 자동 살균 시스템
KR100348433B1 (ko) 손 소독기
KR102546604B1 (ko) 에어컨 살균장치
KR102426931B1 (ko) 2차오염이 없는 휴대용 방역기
KR20080003137U (ko) 이동식 연무장치
KR102369816B1 (ko) 소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