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749B1 - 심부 조직층에서 의료 장치의 초음파 이미징을 위한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 - Google Patents

심부 조직층에서 의료 장치의 초음파 이미징을 위한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749B1
KR102568749B1 KR1020217032978A KR20217032978A KR102568749B1 KR 102568749 B1 KR102568749 B1 KR 102568749B1 KR 1020217032978 A KR1020217032978 A KR 1020217032978A KR 20217032978 A KR20217032978 A KR 20217032978A KR 102568749 B1 KR102568749 B1 KR 10256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articles
echo
medical device
ultrasound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171A (ko
Inventor
리 에이레스
이유안 린
헨드리쿠스 필립 브릭
Original Assignee
엔켑슨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켑슨 비.브이. filed Critical 엔켑슨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4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6Ceramic or ceramic-like structures, e.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31/12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31/12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containing other specific inorganic fillers not covered by A61L31/126 or A61L31/12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24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5cm를 초과하는 깊이로 삽입되는 의료 장치에서의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i) 폴리머 매트릭스 및
(ii) D50으로 표시되는 입자 크기 및 표면밀도 사이의 관계가 정의된, 적어도 10μm 및 최대 250 μm의 직경을 갖는 소정량의 초음파-반사 미세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을 의료 장치에 제공하고, 의료 장치 및 볼록 프로브를 포함하는 에코 발생 조립체에 제공함으로써, 5cm를 초과하는 스캔 깊이에서 의료장치의 초음파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부 조직층에서 의료 장치의 초음파 이미징을 위한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
본 발명은 심부 조직층의 가시성 향상을 위해 의료 장치에 적용될 수 있 수 있는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여 5cm를 초과하는 깊이에 이러한 의료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초음파 변환기(프로브로도 알려짐, 두 표현 모두 구별없이 사용됨)는 초음파 응용을 기반하는 진단 이미징 기술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검사 변환기(ultrasonography transducer)는 예를 들어 병의 원인을 찾기 위한 내부 신체 구조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변환기는 또한 임산부를 검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초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주파수(>20,000 Hz)를 갖는 음파를 의미한다. 초음파영상(sonogram)이라고 알려진 초음파 이미지는 또한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여 초음파 펄스를 조직으로 전송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초음파 펄스는 다른 반사 특성으로 다른 조직에 반향을 일으키고 이미지로서 기록 및 표시된다. 이러한 원리는 또한 삽입된 장치의 위치를 찾거나 또는 가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질의 에코 발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팅은 의료 장치가 신체에 삽입될 때 의사가 초음파 이미징으로 장치의 위치를 찾거나 가시화하기를 원하는 의료 장치에 보다 유용하다. 이러한 코팅은 거의 모든 조성물의 임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WO2014070012 및 WO2015166081으로부터, 고체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에코 발생 코팅이 공지된 바 있다. 충분한 잡음 대 대비 비(contrast to noice ratio)를 얻기 위해, 특정 직경 범위를 갖는 작은 미세 입자가 선택된 직경 범위와 관련된 특정 표면 밀도로 선택된다. 이러한 발명은 "반사율' 또는 "에코 발생성"(변환기로 되돌라오는 초음파 신호의 양) 및 "초음파 가시성"(초음파-유도 설차를 수행하는 동안 초음파 화면상에 관찰되는 사진) 사이의 불일치가 있다는 점에 관한 것이다. 보다 많거나 또는 최적의 반사율이 최적의 초음파 가시성과 동일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의료 장치의 윤곽 및 모양에 대한 우수한 시각적 묘사가 반사율을 증가시키거나 최적화시킨으로써 단순히 달성되는 것이 아님을 발견하였다. 너무 많은 신호 또는 지나치게 밝은 사진은 특히 장치가 조직에 사용될 때 과도한 산란 및 불분명하고 흐릿하고 왜곡된 이미지를 일으키기 때문에 역효과를 발생시킨다.
의료 장치상의 코팅이 45 내지 450 입자/mm2의 코팅된 의료 장치의 표면상에 상기 미세입자의 밀도에서 10 내지 45 μm 사이의 직경을 갖는 미세 입자를 포함할 수 있음이 언급되었다. 상기 문헌에서, 보다 큰 크기, 즉 45 내지 53 μm를 갖는 입자는 시험된 밀도의 전체 범위에 걸쳐 마커 밴드의 폭을 과대 평가하여 임상 용도로서 보다 바람직하지 않게 함이 언급되었다. 실시예 또한 약 350 입자/mm2의 표면 밀도까지 사용된 38-45 μm의 직경을 갖는 미세 입자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놀랍게도, WO2014070012 및 WO2015166081의 코팅은 보다 깊은 조직 구조,즉, 5cm 및 보다 깊은 신체의 구조에서의 사용하는 데 덜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미지 해상도가 깊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하지만, 심부 조직 가시성이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간, 신장 생검 및 종양 절제 수술에 요구된다. 심부 조직 가시성은 또한 5cm를 초과하는, 10cm를 초과하는 또는 15cm를 초과하는 스캔 깊이가 필요한 비만 환자에게 요구된다. 따라서 심부 조직 초음파 검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에코 발생 코팅이 요구된다. 상기 에코 발생 코팅은 또한 의료 장치에 대한 코팅의 접착 문제 또는 의료 장치가 신체 도입될 때 불편함 없이 쉽게 적용 가능해야 한다.
놀랍게도, 의료 장치가 신규한 코팅 조성물 및 표면 근처에서 사용된 의료 장치에 보다 덜 적합하거나 적합하지 않다고 고려된 코팅 조성물으로 심부 조직에 사용될 때, 개선된 가시성이 달성되었다. 이에 따라,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는 심부조직 구조에서의 임상 초음파 절차 동안 5cm를 초과하는, 10cm를 초과하는, 또는 15cm를 초과하는 스캔 깊이에서, 의료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때,개선된 초음파 가시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선택된 관심 영역(코팅된 PU 튜브)의 평균 픽셀 강도의 측정과 함께 구형 미세입자, 미세구로 코팅된 폴리우레탄 튜브의 초음파 이미지이다.
도 2는 배경의 평균 픽셀 강도의 측정과 함께 구형 미세입자, 미세구로 코팅된 폴리우레탄 튜브의 초음파 이미지이다.
도 3은 다른 코팅을 갖는 코팅된 폴리우레탄 튜브의 초음파 이미지이다.
본원에서 "의료 장치"는 동물 또는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로 정의된다. 의료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신체에 삽입되거나 이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의료 장치는 수술, 치료 및/또는 진단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수술 기구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의료 장치의 비제한적 예는 (풍선)카테터 ((balloon) catheters), 니들(needles), 스텐트(stents), 캐뉼러(cannulas), 기관절개칼(tracheotomes),내시경(endoscopes) 확장기(dilators), 튜브(tubes), 삽입기(introducers), 마커(markers), 탐침(stylets), 스네어(snares), 혈관성형술 장치(angioplasty devices), 투관침(trocars), 가이드와이어(guidewires)및 포셉(forceps)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카테터(cathethers), 니들(needles), 스텐트(stents), 캐뉼러(cannulas), 기관절개칼(tracheotomes),내시경(endoscopes) 확장기(dilators), 튜브(tubes), 삽입기(introducers), 마커(markers), 탐침(stylets), 스네어(snares), 혈관성형술 장치(angioplasty devices),피듀셜(fiducials), 투관침(trocars) 및 포셉(forcepse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심부 조직은 적어도 5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c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cm의 스캔 깊이에서의 조직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비만 환자의 경우, 장치가 신체내에 10 내지 15cm의 깊이로 삽입될 때 초음파 이미지에 의해 장치의 위치를 찾거나 가시화해야할 수 있다. 심부 조직의 초음파영상(Sonogram)은 대부분의 선형 변환기가 3-10cm이하의 깊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자주 5-30cm의 깊이 범위에서 작동하는 볼록 변환기(convex transducer)로 만들어진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초음파 검출용 모팅은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 에 허용되고, 초음파 산란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코팅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코팅은 무독성, 저자극성 및 안정한 생체적합한 물질을 포함한다.
초음파(또는 "초음파 신호" 또는 "초음파"로 언급함)은 정상적인 인간 가청 범위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음압 파동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는 20kHz이상의 주파수를 갖는다. 의료 장치의 이미징을 위해, 2MHz 내지 50MHz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초음파 이미지"는 초음파를 사용하여 물체를 가시화하는 모든 종류의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반사된 초음파는 디지털 이미지로 처리되고 변환되는 전기적 펄스로 변환된다. 이러한 이미지는 초음파 이미지라는 용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미세입자"는 250 μm 보다 큰 입자가 실제 사용에서 너무 크기 때문에(접착이 문제가되고 코팅이 환자에게 "거칠게"나타날 수 있다) 250 μm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서 정의된다. 또한, 상기 미세입자는 10 μm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상기 값 이하에서, 상기 미세입자는 실제 사용에서 불충분한 가시성을 갖는다.
미세입자는 규칙적인 형태(예를 들어, 구형, 타원형, 정육면체형) 또는 불규칙한 형태와 같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인 구형인 미세구이다. 상기 용어 "본질적인 구형"은 중심 및 표면의 임의의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입자가 서로로부터 5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하 다르지 않는 미세입자가 완전하게 구형일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가스가 충전된 미세 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입자는 고체이다.
본원에서 에코 발생 미세입자는 초음파를 반사살 수 있는 미세입자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단층(single layer)이라고도 언급된 단일층(monolayer)은 장치의 표면에 있는 입자의 1개-입자 두께층으로서 정의된다. 이는 장치의 표면에서 수직인 축상에 평균적으로 1개 이하의 입자가 있음을 의미한다. 장비의 코팅된 표면의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가 입자의 단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한, 상기 층 두께의 일부 변화는 허용된다.
중앙값(Median values)은 개체의 절반이 상기 값 이상에 있고 절반이 상기 값 아래에 있는 값으로 정의된다. D50는 절반의 부피 분포를 기반으로, 입자 크기 분포를 반으로 나누는μm크기이며, 미세입자의 50%는 상기 직경보다 크고, 50%는 상기 직경보다 작다.
본원에서 주어진 범위 사이의 직경을 갖는 미세입자는 직경이 범위의 상한 값을 포함하는 언급된 범위 내에 있는 미세입자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38내지 45 μm의 직경을 갖는 미세입자는 38 μm보다 큰 직경,45 μm 의 직경 또는 상기 범위 내의 임의의 값을 갖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비-구형 입자의 직경은 입자의 전체를 둘러쌀 수 있는 최소 구형의 직경으로 정의된다.
대비(Contrast) 측정은 의료 장치의 초음파 가시성을 측정하기 위한 정량적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의료 장치의 평균 픽셀 강도를 둘러싸는 배경 이미지의 평균 픽셀 강도와 비교한다. 코팅된 영역의 대비값은 다른 코팅의 초음파 가시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픽셀 강도는 이미지J, 국립 보건원 광학 및 전산 연구소에서 개발한 자바 기반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LOCI, University of Wisconsin), 또는 유사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만약 이미지 품질 또는 "대비"가 25이하이면, 상기 장치는 임상 용도에 충분하지 않다.
기록된 이미지로부터, 대비는 코팅된 물체의 평균 픽셀 강도를 둘러싸는 배경에 대해 얻어진 평균 픽셀 강도와 비교함으로써 ,아래의 식에 따라 정의된다.
10 내지 50의 대비를 갖는 얻어진 초음파 이미지의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한 초음파 가시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5의 최소 대비가 요구된다. 30 또는 40의 대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가 신체 내에 삽입될 때, 초음파 이미징에 의해 장치의 위치를 찾거나 가시화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가 사용된다. 선형 초음파 프로브 외에 볼록형(곡선형) 프로브가 알려졌으며, 위상(섹터)형 프로브가 알려진 바 있다. 볼록 프로브는 장기 진단, 질 및 경직장 응용 및 복부 응용에 사용된다. 볼록 프로브는 따라서 심층 조직 구조, 예를 들어 적어도 5cm깊이에 있는 조직의 검사에 자주 사용된다. 압전식 결정 배열은 곡선이고 빔은 볼록(convex)하다. 곡률 반경은 5내지 80mm로 다양할 수 있다.
볼록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2.5 내지 7.5 MHz범위의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코팅 및 상기 새로운 코팅을 포함한느 의료 장치는 볼록 프로브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한 초음파 프로브, 바람직하게는 볼록 프로브로 초음파 이미징함으로써 신체의 심부 조직 구조에 삽입되는 장치의 위치를 찾거나 가시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선형 초음파 프로브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세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는 입자가 적어도 10 μm 및 최대 250 μm의 직경을 갖는 한 비교적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미세입자의 직경 및 표면 밀도 (최소 및 최대) 사이에 비선형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표면 밀도의 하한 미만에서는 코팅된 의료 장치의 위치 정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불충분한 가시성이 얻어진다.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의료 장치의 윤곽이 흐려지고 덜 정의되어 코팅된 의료장치를 위치시키는 정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노출과 같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한을 초과하면, 의료 장치에 코팅을 접착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 및 코팅된 의료장치의 마모와 관련된 문제가 있다.
전술한 제한 내에서, 심부 조직 구조에서의 향상된 가시성을 위해 D50로 표시되는 입자 크기 및 표면 밀도 사이의 관계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적어도 25의 대비(contrast)에 대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D50으로 표시되는 직경 및 표면 밀도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적어도 30의 대비(contrast)에 대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D50으로 표시되는 직경 및 표면 밀도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적어도 40의 대비(contrast)에 대해)
각각의 조건으 모든 미세입자의 50%(부피 기준)가 10 μm의 하한 및 D50의 실제 값 사이의 직경을 가지며, 반면 나머지 미세입자의 50%는 D50의 실제 값 및 250 μm의 상한 사이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분포는 상대적으로 넓다. 정규 직경 분포, 바람직하게는 좁은 직경 분포,모든 미세입자의 적어도 60%(부피 기준)가 D50 ± 5 μm 의 직경을 갖는,미세입자는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입자는 매우 좁은 직경 분포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모든 입자의 적어도 70%(부피 기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는 D50 ± 5 μm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세입자의 "갭 등급(gap-graded)" 또는 다중 모드 선택(multimodal selections)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조건의 "보통의" 적합한 등급이 혼합되고,이에 따라 보다 복잡한 직경 분포를 생성한다. 이러한 갭 등급 또는 다중 모드 등급은 이러한 복합 등급의 D50에 대해 전술한 표면 밀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놀랍게도 상기 하위범위 내에서 미세입자의 선택은 또한 매끄러운 코팅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마모 및 접착 문제,즉 입자의 이중층 형성에 의해 야기될 것으로 여겨지는 문제가 회피된다. 또한, 이중층은 환자에게 "거친" 것처럼 보일 수 있고, 의료 장치에 코팅의 접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중층을 갖는 코팅이 구부러지면, 상기 코팅이 갈라져 벗겨질 수 있고, 신체에 삽입되면 상기 코팅 접착이 저하될 수 있고, 코팅은 마모되어 장치 표면에서 벗겨질 수 있다. 이것은 명백하게 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는 초음파로 가시화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입자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미세입자는 세라믹, 유리, 실리케이트, 금속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일반 코팅 매트릭스에서 최적의 초음파 반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입자는 유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기반 유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다-석회 유리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입자는 높은 음향 임피던스 및 이에 따른 일반 코팅 매트릭스에서의 우수한 초음파 가시성을 갖는다. 또한, 다른 물질의 미세입자와 비교하여 제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전술한 미세입자는 의료 장치 및 미세입자 모두에 접착되는 코팅 매트릭스 내에 매립될 수 있다. 특히, 미세입자 및 의료 장치 모두에 접착가능한 임의의 코팅 매트릭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 매트릭스는 생체 내에서의 사용(in-vivo use)에 적합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무독성, 저자극성 및 안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 매트릭스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한다.
폴리머 물질로서, 호모폴리머(homopolymer), 코폴리머(copolymer), 터폴리머(terpolymer) 및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다양한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 물질은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폭사이드, 폴리에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료 장치는 카테터(cathethers), 니들(needles), 스텐트(stents), 캐뉼러(cannulas), 기관절개칼(tracheotomes), 내시경(endoscopes) 확장기(dilators), 튜브(tubes), 삽입기(introducers), 마커(markers), 탐침(stylets), 스네어(snares), 혈관성형술 장치(angioplasty devices),피듀셜(fiducials), 투관침(trocars) 및 포셉(forcepse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의료 장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에코 발생 코팅을 제공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의료장치는 예를 들어,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패드 프린팅, 롤러 코팅, 프린팅, 페인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미세입자로 코팅될 수 있다. 참고문헌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5,289,831, 5,921,933, 및 6,506, 156, 국제 특허 출원 WO 2007/089761 및 Ultrasound in Medicine and Biology, Vol. 32, No. 8, pp. 1247-1255, 2006이고, 이들은 에코 발생 입자 및 코팅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무독성, 저자극성 및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따라서 케오발생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5cm를 초과하는 깊이에서 신체에 삽입되는 의료 장치에서의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5cm를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10cm를 초과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cm를 초과하는 스캔 깊이에서의 사용을 위한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에코 발생 조성물을 갖는 의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의료 장치의 초음파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선형 또는 볼록 프로브, 바람직하게는 볼록 프로브를 사용하는 방법이 특히 매력적이다. 볼록 프로브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적합하게는 2.5 내지 7.5MHz의 주파수의 초음파로 작용하는 볼록 프로브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에코 발생 조성물 및 볼록 프로브를 포함하는, 5cm를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10cm를 초과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cm를 초과하는 스캔 깊이에서 사용하기 위한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에코 발생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에코 발생 조립체에서, 상기 의료 장치의 코팅은 볼록 프로브에 의한 위치 파악을 위해 특별히 조정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픽셀 강도 측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픽셀 강도 측정은 관심 영역(Proi)에 대해 수행된다. 도 2에서 픽셀 강도 측정은 배경(Pbkg)에 대해 수행된다. 가시성은 에코발생 겔에서 45°에서 8cm에 배치된 코팅된 PU 튜브에 대해, 코팅된 튜브의 초음파 이미지를 선형 프로브를 갖는 Esaote Mylab One touch를 사용하여 얻어짐으로써, 상기 제공된 식 '대비(Contrast) = Proi - Pbkg'에 기반하여 대비에 의해 결정된다. 스캔 주파수는 10MHz이고 밝기는 64%로 얻어진다.
도 3은 10-60의 대비로 측정한 코팅된 영역의 초음파 이미지를 나타낸다. 고 대비를 갖는 이미지는 보다 우수한 가시성을 제공함이 분명하다. 25 임상의가 코팅된 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필요한 최소 대비이다.
<실시 예>
대비(contrast) 측정은 딥 코팅을 사용하여 적용된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코팅 박막이 적용된 폴리우레탄 튜브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PU 튜브에서의 미세 입자의 표면 밀도는 현미경으로 mm2당 미세입자 수로 정의하였다. 대비 측정은 10MHz에서 작동하는 선형어레이 초음파 프로브를 사용하여, 테스트 매체로 초음파 탠텀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튜브는 초음파 프로브에 대해 약 45°의 각도에서 삽입되었다. 폴리우레탄의 후단부는 테스트 매체의 8cm 깊이에 위치되었다.
6가지 입자 크기 조건 각각에 대해 표면에 증가된 입자 수를 갖는 코팅된 PU 튜브 시리즈가 준비되었다. 코팅된 PU 튜브 각각의 초음파 대비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뎅ㅣ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에서, 평방 밀리미터당 미세 입자의 표면 밀도는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40의 대비에 대해 제공된다. 또한 단일층이 여전히 보이는 경우 상한이 제공되고 그 이상에서 이중층 형성이 발생하는상한이 제공된다. 접착 및 마모 문제를 피해야하므로, 산일층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상한에 가까운 상한이 바람직하다.
조건 입자 크기(μm) 대비 >25 대비 >30 대비 >40 최대 단일층 이중층
I 10 < D50 ≤22 362 856 n.a. 1980 2180
II 22 < D50 ≤27 478 1218 n.a. 1541 1712
III 27 < D50 ≤32 467 1074 1380 1552 1833
IV 32 < D50 ≤38 235 350 1153 1511 1762
V 38 < D50 ≤45 256 291 370 1373 1546
VI 45 < D50 ≤53 218 318 370 1478 1711

Claims (13)

  1. 신체에 5cm를 초과하는 깊이로 삽입되는 의료 장치 상의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로서,
    (i) 폴리머 매트릭스 및
    (ii) 적어도 10μm 및 최대 250 μm의 직경을 갖는 초음파-반사 미세입자;를 포함하고,
    D50으로 표시되는 입자 크기 및 의료 장치의 표면 상의 미세입자의 표면밀도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은,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50으로 표시되는 입자 크기 및 표면밀도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은,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50으로 표시되는 입자 크기 및 표면밀도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은,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물질은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폭사이드, 폴리에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는 구형인,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는 유리로 제조된,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에코 발생 코팅 조성물 및 볼록 프로브를 포함하는, 5cm를 초과하는 스캔 깊이에서 사용하기 위한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에코 발생 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KR1020217032978A 2019-03-29 2020-03-26 심부 조직층에서 의료 장치의 초음파 이미징을 위한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 KR102568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2838A NL2022838B1 (en) 2019-03-29 2019-03-29 Use of echogenic coating for ultrasound imaging of medical devices in deep tissue layers.
NL2022838 2019-03-29
PCT/NL2020/050205 WO2020204705A1 (en) 2019-03-29 2020-03-26 Use of echogenic coating for ultrasound imaging of medical devices in deep tissue lay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171A KR20210145171A (ko) 2021-12-01
KR102568749B1 true KR102568749B1 (ko) 2023-08-18

Family

ID=6628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978A KR102568749B1 (ko) 2019-03-29 2020-03-26 심부 조직층에서 의료 장치의 초음파 이미징을 위한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43275A1 (ko)
EP (1) EP3946491B1 (ko)
JP (1) JP7383724B2 (ko)
KR (1) KR102568749B1 (ko)
CN (1) CN113613691B (ko)
AU (1) AU2020255979A1 (ko)
CA (1) CA3132025A1 (ko)
ES (1) ES2964711T3 (ko)
IL (1) IL286001A (ko)
NL (1) NL2022838B1 (ko)
PL (1) PL3946491T3 (ko)
WO (1) WO2020204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0699A (zh) * 2021-10-11 2022-01-18 电子科技大学 一种超声探头自定位装置及其自定位方法
DE102021131770A1 (de) 2021-12-02 2023-06-07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Markierung aus porösem Mater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0012A1 (en) 2012-10-31 2014-05-08 Encapson B.V. Medical devices with coatings for enhanced echogenic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831A (en) 1989-03-09 1994-03-01 Vance Products Incorporated Surface-treated stent, catheter, cannula, and the like
US5921933A (en) 1998-08-17 1999-07-13 Medtronic, Inc. Medical devices with echogenic coatings
US6506156B1 (en) 2000-01-19 2003-01-14 Vascular Control Systems, Inc Echogenic coating
US7014610B2 (en) 2001-02-09 2006-03-21 Medtronic, Inc. Echoge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devices
WO2007089761A2 (en) 2006-01-31 2007-08-09 Angiotech Biocoatings Corp. Lubricious echogenic coatings
DE202009001974U1 (de) 2009-03-17 2010-08-19 Rüger Medical GmbH Vorrichtung mit einer echogenen Beschichtung sowie echogene Schicht
US20140207000A1 (en) * 2011-04-26 2014-07-24 Encapson B.V. Coating for improving the ultrasound visibility
US10245356B2 (en) 2014-04-30 2019-04-02 Encapson B.V. Medical devices with non-uniform coatings for enhanced echogenicity
NL2019159B1 (en) * 2017-06-30 2019-01-14 Giskit B V Echogenic image enhancing composition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0012A1 (en) 2012-10-31 2014-05-08 Encapson B.V. Medical devices with coatings for enhanced echogeni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171A (ko) 2021-12-01
ES2964711T3 (es) 2024-04-09
IL286001A (en) 2021-10-31
EP3946491C0 (en) 2023-10-25
JP2022527786A (ja) 2022-06-06
EP3946491B1 (en) 2023-10-25
AU2020255979A1 (en) 2021-09-16
EP3946491A1 (en) 2022-02-09
JP7383724B2 (ja) 2023-11-20
WO2020204705A1 (en) 2020-10-08
CN113613691B (zh) 2023-02-24
CA3132025A1 (en) 2020-10-08
US20220143275A1 (en) 2022-05-12
CN113613691A (zh) 2021-11-05
NL2022838B1 (en) 2020-10-06
PL3946491T3 (pl)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9831A (en) Surface-treated stent, catheter, cannula, and the like
Foster et 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ultrasound backscatter microscopy
US5201314A (en) Echogenic devices, material and method
US5081997A (en) Echogenic devices, material and method
Madjar et al. Color Doppler flow criteria of breast lesions
KR102568749B1 (ko) 심부 조직층에서 의료 장치의 초음파 이미징을 위한 에코 발생 코팅의 용도
Bhargava Principles and practice of ultrasonography
JP2016503315A (ja) エコー輝度の向上ための被膜を備えた医療機器
US20210369237A1 (en) Localizing Medical Instruments Using Doppler Ultrasound Twinkling Artifact Signatures
KR102568724B1 (ko) 깊은 조직층에 있는 의료 기기의 초음파 이미지를 위한 에코발생 코팅.
Terminology and Diagnostic Criteria Committee, Japan Society of Ultrasonics in Medicine office@ jsum. or. jp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ultrasound elastography: prostate
David et al. Ultrasound in maxillofacial imaging: A review
Eisenberg Physical Basis of Ultrasound
Wiersema et al. 25 megahertz gastrointestinal ultrasonography
Kimmig et al. Ultrasound in cryosurgery
Sharma Micro-ultrasound imaging of tissue dysplasia
Gallastegui Ultrasonography (US)
Jayrajbhai An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Utility of Ultrasonography in the Swellings of Oro-Facial Region.”–A Prospective Study
Xu High-frequency ultrasound imaging system with Doppler featur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ing 30∼ 35 MHz linear arrays and an analog beamformer
MADAR et al. OOriginal Contribution
Soper Laparoscopic ultrasound for assessment of the common bile duct
Reddy et al. Sonographic appearances of salivary gland pathologies: A review
Freeman Design and analysis of a high-frequency needle-based ultrasound imaging system
Zemanova Current Trends in Ophthalmology A Diagnostic Imaging Method–Shear Wave Elast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