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69B1 -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69B1
KR102568069B1 KR1020217007069A KR20217007069A KR102568069B1 KR 102568069 B1 KR102568069 B1 KR 102568069B1 KR 1020217007069 A KR1020217007069 A KR 1020217007069A KR 20217007069 A KR20217007069 A KR 20217007069A KR 102568069 B1 KR102568069 B1 KR 10256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erminal
indi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434A (ko
Inventor
첸첸 장
펭 하오
씽 리우
시앙후이 한
야차오 리앙
하이강 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4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태 확정,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기지국은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상태 변환을 수행한다. 기지국의 반정적 구성의 방식에 비해, 이런 방식은 유연성이 더 좋고, 기지국이 단말기의 전송 수요에 따라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하는데 유리하고, 단말기의 전송 수요가 크지 않거나 전송 수요가 없는 경우, 단말기가 에너지를 보다 절감하는 상태로 되게 할 수 있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전송 수요가 보다 많을 경우, 단말기를 제어하여 워이크업 상태로 되게 할 수 있다.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전력량을 절감하고, 단말기의 항속 시간을 연장하며, 단말기에 대한 전송 수요가 있는 경우, 전송 기회를 보다 빨리 얻고 정보 전송의 구현을 보장하므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며, 자원의 최적화 구성 및 단말기측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본 출원은 2018년 8월 10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810911007.7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4 세대 이동 통신기술(4G,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롱 텀 에볼루션(LTE, Long-Term Evolution), 롱 텀 에볼루션 어드밴스(LTE-Advance, Long-Term Evolution Advance) 및 제5 세대 이동 통신기술(5G,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에 직면할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4G 및 5G 시스템은 모두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초신뢰성, 저지연 전송, 대량 접속의 특성을 연구 및 지원하고 있다. 단말기로 말하면, 상기 특성들에 대한 지원을 구현하기 위해, 에너지 소모도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5G 시스템에서 이미 제안된 에너지 절감 메커니즘은 DRX(Discontinuous Reception, 비연속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 DRX 메커니즘은 유연성이 좋지 않아, 현재 5G에서 동적인 자원 구성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태 확정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의 상태 변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의 상태 변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한다.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커플링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확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상태 확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한다.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커플링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지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상태 지시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와 기지국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확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설치되어 상태 확정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통신 기기이다; 기지국은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지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설치되어 상태 지시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통신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고, 저장매체는 상태 확정 프로그램과 상태 지시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태 확정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여, 상기 상태 확정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며; 상태 지시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여, 상기 상태 지시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를 통해, 기지국은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상태 변환을 수행하며, 기지국의 반정적 구성의 방식에 비해, 이런 방식의 유연성이 더 높고, 기지국이 단말기의 전송 수요에 따라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하는데 유리하며, 단말기의 전송 수요가 크지 않거나 전송 수요가 없는 경우, 단말기가 에너지를 보다 절감하는 상태로 되게하여,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전송 수요가 보다 많을 경우, 단말기를 제어하여 워이크업 상태로 되게 할 수 있으므로, 관련 기술과 같이 사전에 단말기를 워이크업 상태로 되도록 배치하는 시간까지 대기한 후 정보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관련방안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방안의 상태 지시의 유연성이 높고,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전력량을 절감하고, 단말기의 항속 시간을 연장하며, 단말기에 대한 전송 수요가 있는 경우, 전송기회를 보다 빨리 얻고 정보 전송의 구현을 보장하므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며, 자원의 최적화 구성 및 단말기측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지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측 상태 변환의 순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나타낸 단말기가 DCI format 2_0에 대한 검출 기회의 분포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나타낸 combination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나타낸 단말기가 각 슬롯에서의 상태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나타낸 DCI format 2_0에 대응되는 combination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확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지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지시장치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확정장치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제공되는 또 하나의 상태 지시장치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제공되는 또 하나의 상태 확정장치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기기의 하드웨어의 구조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형태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순되지 않는 경우, 이하 실시예와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관련기술에서 DRX매커니즘을 통해 단말기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유연성이 좋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상태 지시방안을 제공하고, 해당 상태 지시방안은 기지국측에서 상태 지시 방법을 실행하고 단말기측에서 상태 확정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각각 제1 상태와 제2 상태인 적어도 두 가지 상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로 가정하면, 단말기가 통신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소모가 더 적다. 제1 상태인 경우, 단말기의 통신에 의한 소비 전력은 상대적으로 낮고, 제1 상태에서 단말기에 의해 활성화된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적거나, 단말기가 제1 상태에서 검출 및 수신한 다운링크 정보가 적거나, 단말기가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전력이 낮기 때문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여러 가지 원인의 조합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시에서, 제1 상태를 '에너지 절감상태'로 지칭할 수 있고, 대응되게, 제2 상태를 '워이크업상태'로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에너지 절감상태', '워이크업상태'는 일부 시나리오에서의 제1 상태, 제2 상태의 구체적 명칭이고, 기타 시나리오인 경우, 제1 상태는 '절전상태', '저전력 소비상태', '반 휴면상태'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기타 일부 시나리오에서, 제2 상태는 '작동상태', '고성능상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예시에서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구체적 명칭은 본 실시예에 대한 한정이 되지 말아야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인 경우, 여러 가지 서브 상태가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대해, 여러 가지 상이한 레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이한 레벨에서, 단말기의 행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절감상태는 제1 레벨 에너지 절감상태, 제2 레벨 에너지 절감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에너지 절감레벨에서, 통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도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이른바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단지 두 개의 고정 상태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지시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S102: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고,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며, 단말기가 해당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은 상태 변환신호를 통해 해당 상태 지시정보를 운반하며, 즉 해당 상태 지시정보를 상태 변환신호의 형식으로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상태 지시정보는 상태 변환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운반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태 변환신호에 비해, 상태 변환채널은 보다 많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에 보다 많은 정보를 운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다 많은 자원을 점유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일부 예시를 더 제공하고, 이러한 예시에서, 상태 지시정보는 상태 변환신호 및 상태 변환채널을 통해 함께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 단말기인 경우, 상태 변환신호를 검출해야 하는 한편 상태 변환채널도 검출해야 한다. 상태 변환채널과 상태 변환신호를 얻은 후, 단말기는 기지국의 완전한 지시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기지국이 단말기에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는 일반적으로 단말기가 현재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전환 및 진입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지만, 일부 시나리오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상태와 단말기의 현재의 상태가 동일하며, 이때, 단말기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태전환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가 해당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현재 상태로부터 다른 상이한 상태로 직접 전환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가 목표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할 필요가 없으며, 이의 작용은 주로 단말기가 상태 변환이 발생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 및 수신한 후, 현재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안은 단말기가 오직 두 가지 상태만 존재하는 시나리오, 또는 단말기가 여러 가지 상태가 존재하지만, 각 상태 사이의 전환 순서가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더 적용된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 대해, 단말기가 A상태와 B상태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A상태인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B상태로 직접 전환할 수 있고; 반대로, 단말기가 B상태인 경우 자신의 상태전환을 트리거하는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기는 A상태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 대해, 단말기가 A1, A2, B1 및 B2 네 가지 상태일 수 있다고 가정하면, 도 2에는 네 가지 상태의 전환순서가 도시되고, 즉 A1->A2->>B1->B2의 전환순서이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자신의 현재 상태에 따라 다음 상태로 점프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말기측 각 상태의 전환순서는 시스템 사전 정의를 통해 확정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대해 반정적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단말기가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태로 진입하는 상태 변환방안을 제공하였고, 단말기의 상태 제어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다른 일부 예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는,
1) 상태 식별자;
2)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
3) 행위 레벨 지시;
4)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5)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
6) 타이머;
7) 카운터;
8) 프레임구조;
9) 관련신호 및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이 필요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여러 가지 지시 정보에 대해 각각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상태 식별자'
상태 식별자는 기지국이 단말기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데 사용되고, 즉 목표상태가 제1 상태인지 아니면 제2 상태인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는 단말기가 목포상태로 진입하는데 필요한 주파수 영역 자원이 어느 것인지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는 BMP(Band width Parts, 부분 대역폭) 인텍스와 반송파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BMP와 반송파 이외에, 주파수 영역 자원은 기타 여러 유형으로 나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부반송파, 최소 시스템 대역폭, RBG(Resource Block Group, 자원 그룹), RB(Resource Block, 자원 블록) 등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타 일부 예시에서,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는 기타 주파수 영역 자원 유형의 인덱스일 수도 있다.
● '행위 레벨 지시'
행위 레벨 지시는 단말기가 대응하는 목표상태에 진입한 후 단말기의 행위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또는 단말기가 어느 레벨의 목표상태에 진입하는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목표상태가 에너지 절감상태의 예를 들면, 행위 레벨은 단말기를 지시하여 에너지 절감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감레벨이다. 상태 지시정보가 단말기에 지시한 행위 레벨 지시는 여러 가지 행위 레벨 중 여러 가지 행위 레벨 중의 하나를 지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한 가지 행위 레벨인 경우,
(1) 목표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시간 영역 범위;
(2) 목표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주파수 영역 범위;
(3)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수신 필요 여부;
(4) 제1 업링크 채널과 제1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의 필요 여부;
(5) 목표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지지하는 송신 전력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이한 행위 레벨인 경우, 단말기는 상기 (5)개 방면에서 하나 이상의 차이점이 존재하며, 제1 에너지 절감레벨과 제2 에너지 절감레벨의 예를 들면, 제1 에너지 절감레벨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제2 에너지 절감레벨 보다 우수하다고 가정하면, 제1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단말기의 제1 상태에서의 시간 영역 범위가 더 크고, 또는 주파수 영역 범위가 더 크다. 제1 에너지 절감레벨에 대응되는 시간 영역 범위와 주파수 영역범위가 제2 에너지 절감레벨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단말기가 수행해야 하는 전송동작은 더 적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가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만 수신하거나, 제1 업링크 채널과 제1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만 송신하거나, 제1 업링크 채널과 제1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으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단말기는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도 송신해야 한다. 이외에, 단말기가 상이한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상이한 송신 전력도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단말기의 송신 전력은 제2 에너지 절감레벨에서의 송신 전력보다 작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신호(SS), 물리적 브로드밴드 채널(PBCH), 채널 상태정보 측정 파일럿(CSI-RS), 물리 다운링크 제어채널(PDCCH), 시스템 정보 블록(SIB1), 기타 SIB, 페이징정보(Pag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업링크 채널과 제1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운딩 참조신호(SRS), 그랜트 프리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grant-free PUSCH), 복조 참조신호(DMR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단말기가 각각 제1 에너지 절감레벨과 제2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수신해야 할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개수는 상이하며, 예를 들어, 제1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단말기는 SS와PBCH를 수신해야 하지만, 제2 에너지 절감레벨인 경우, 단말기는 SS, PBCH 및 CSI-RS를 수신해야 한다.
●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는 주로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는 상태 지시정보 중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가 단말기가 제1 지시정보를 추가로 수신해야 함을 나타낼 경우, 제1 지시정보의 수신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는,
(1) 제1 지시정보의 시간 영역 자원을 수신하는 것;
(2) 제1 지시정보의 주파수 영역 자원을 수신하는 것;
(3) 제1 지시정보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변조 및 인코딩방안)을 수신하는 것;
(4) 제1 지시정보의 관련정보를 블라인드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요점 중 '제1 지시정보의 관련정보를 블라인드검출 하는 것'인 경우, 이는 제1 지시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Candidate개수; 제1 지시정보에 대응되는 중합 레벨; 제1 지시정보의 블라인드검출에 사용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제1 지시정보의 부하 길이; 제1 지시정보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유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여려 가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타이머' 와 '카운터'
타이머와 카운터는 모두 주로 단말기가 대응되는 목표상태에 진입하는 시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즉 목표상태가 언제까지 지속하고 종료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 '프레임구조'
프레임구조는 단말기에 대해 아래 두 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첫 번째, 시간 영역인 경우, 프레임구조는 단말기에 N개의 시간 단위의 전송방향을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 단위는 무선프레임, 반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mini-slot)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 전송, 업링크 전송, 유연 전송 등을 포함한다.
두 번째, 주파수 영역인 경우, 프레임구조는 단말기에 M 개의 주파수 유닛의 전송방향을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여기서 이른바 주파수 유닛의 유형은 반송파, BMP, 자원 블록 집합(RBG), 자원 블록(R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프레임구조가 지시하는 주파수 유닛은,
(1)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
(2) 상태 지시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영역 자원;
(3) 주 반송파;
(4) 활성화된 주 판송파와 부 반송파;
(5) BMP활성화;
(6) 디폴트(Default) BWP;
(7) 사전 정의된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된 주파수 영역 자원;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 반송파는 주 패킷 주 반송파(Pcell) 및 부 패킷 주 반송파(Pscell)로 나뉠 수 있다.
상기 N의 값의 방식에 대해, 여기서 간단히 설명을 하면: N은 시스템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의 반정적 구성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물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지시정보의 시간 영역 위치를 통해 동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N의 값은 제1 길이의 K배이고,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고, 제1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제1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단말기가 DCI format2_0 또는DCI format2_0을 지지하는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검출 주기일 수 있다.
다른 일부 경우인 경우, N의 값은 아래 요소: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단위 인덱스;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된 제1 길이의 크기;
하나의 제1 길이 내에서의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단위의 위치;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다.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된 또는 기지국에 의한 반정적인 구성인 경우: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단말기가 특정된 지시정보 또는 검색 공간에 대한 검출 주기와 동일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에서, N의 값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단말기가 DCI format2_0 또는DCI format2_0을 지지하는 검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검출 주기와 동일하다.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위치를 통해 동적으로 확정하는 상황인 경우: 예를 들어,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시간 단위가 Q이고, 단말기의 후속의 최근 한 번의 특정된 지시정보 또는 검색 공간 기회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시간 단위는 P이며, P와 Q 사이의 간격을 N개의 시간 단위라고 가정하면,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프레임 구조'는 단말기에 n+1 개의 시간 단위의 전송 방향 정보를 지시할 수 있으며, 또는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프레임 구조'는 단말기에 n+1개의 시간 단위보다 큰 전송 방향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DCI format2_0에 대한 검출 기회는 각각 번호가 '#0', '#5' 및 '#10'인 슬롯에 분포되고, 기지국은 번호가'#2'인 슬롯에서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한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번호가 '#5'인 슬롯이 되어야만 기지국이 송신한 DCI format2_0을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DCI format2_0을 통해 번호가 '#5' 및 후속 슬롯의 전송 방향 지시를 얻는다.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얻은 후, 슬롯 '#2', '#3' 및 '#4'에서의 전송 방향을 알기 위해,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이 세 개의 슬롯에서의 전송방향을 지시해야 하고, 이러한 경우, N의 값은 기지국이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위치 및 단말기의 최근 한 번의 DCI format2_0 검출 기회가 위치한 시간 영역 위치와 연관된다.
다른 하나의 경우인 경우,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된 또는 기지국에 의한 반정적인 구성인 단말기가 DCI format2_0을 검출하거나 DCI format2_0을 포함하는 검색 공간의 시간 단위에서만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면,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프레임 구조'는 적어도 A 개의 시간 단위의 전송 방향 정보를 지시하고, A는 단말기가 DCI format2_0을 검출하거나 DCI format2_0을 포함하는 검색 공간을 검출하는 주기이다.
● '관련신호 및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이 필요함'
상태 지시정보가 '관련신호 및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이 필요함'의 지시에 사용되는 점에 대해, 이는 주로 단말기가 어느 하나의 시간 영역 위치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시간 영역 위치와 관련된 위치에서 관련신호 및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경우, 목표 제1 시간자원 상의 목표 제2 시간자원에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기지국이 관련신호 및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시간 영역 자원 위치를 T1,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자원 위치를 T2로 가정한다. 시스템은 T2와 T1이 동일한 제1 시간자원 내에 위치하도록 사전 정의할 수 있지만 T1은 T2 후의 q 번째의 제2 시간 자원에 위치하고, q는 음이 아닌 정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자원과 제2 시간자원은 입도가 상이한 두 가지 시간자원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제1 시간자원은 무선프레임, 반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등 일수 있고, 제2 시간자원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 심볼 등 일수 있다. 물론, 제1 시간자원의 입도는 일반적으로 제2 시간자원의 입도보다 크고, 따라서, 제1 시간자원이 무선프레임인 경우, 제2 시간자원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 심볼 등 일수 있으며; 제1 시간자원이 슬롯인 경우, 제2 슬롯은 미니 슬롯 또는 OFDM 심볼일 수 있다.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을 통해 T2를 구성하고, 단말기는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을 확정하여 T1을 구성하며, T1에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 및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기가 T1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한 후, T1과 동일한 제1 시간 자원에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고; 심지어, q는 음이 아닌 정수일 수 있기에, 따라서, T1과 T2는 완전히 일치하며, 단말기는 T1에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물론,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으로 T1을 구성하는 것, 및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으로 T2를 구성하는 것 사이의 연관관계는 상기 한 가지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관 이외에,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T1은 T2 후의 i번째 제1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i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두 번째, T1은 T2 후의 i번째 제1 시간자원 상의 k번째 제2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여기서 k와 i는 모두 음이 아닌 정수이다.
상기 목표 제1 시간자원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제1 시간자원일 수 있고;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제1 시간자원 후의 n번째 제1 시간자원일 수도 있으며, n의 정의 양의 정수이다.
상기 목표 제2 시간자원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제2 시간자원일 수 있고;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제2 시간자원 후의 m번째 제2 시간자원일 수도 있으며, m은 정의 양의 정수이고; 제2 시간자원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 심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T1과 T2 사이의 연관관계는 시스템 사전 정의 이외에,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시에서,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영역 자원 구성T2를 통해,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시간 영역 자원 구성T1을 확정하며, 이 경우 단말기의 상태 지시정보에 대한 수신을 통해 단말기의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을 지시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다른 일부 예시에서, 시스템은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 구성을 통해, 단말기가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시간 영역 자원 구성T1을 통해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영역 자원 구성T2를 확정하며, 이로써, 단말기는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검출 및 수신을 통해 상태 지시정보의 검출 및 수신을 수행한다. 해당 방안에 대해서는, 후속 실시예에서 설명을 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T1과 T2 사이의 연관관계는,
(1) T1은 T2 후의 i번째 제1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i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2) T2은 T1 후의 j번째 제1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j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3) T1과 T2는 동일한 제1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T1는 T2 후의 p번째 제2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p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4) T1과 T2는 동일한 제1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T2는 T1 후의 q번째 제2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q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단말기가 시스템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최근 한 번의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검출을 취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PDCCH, CSI-RS, 동기 정보 블록(SS), PBCH, Paging, SIB1 및 기타 SIB등 몇 가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가 PDCCH인 경우, 이는 적재 특정 DCI format을 베어러 하는 PDCCH일 수 있고, 또는 특정 RNTI를 사용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중복검사)의 검사위치를 스크램블링하는 PDCCH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태 지시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에 대해 상기 여러 가지 지시정보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가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기술 방안의 기초상에서, 단말기 상태 제어의 유연성을 향상하고,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와 통신 효율의 모순을 평형시키는데 유리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의 기초상에서 상태 지시정보가 단말기에 프레임구조를 지시하는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에 프레임구조를 지시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방안(1):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해 별도의 슬롯 포맷 지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태 지시정보에 대응되는 프레임구조는 단말기가 해당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N개의 시간 단위에서의 전송방향을 지시한다. 여기서의 N의 크기는 combination인덱스가 combination 집합으로부터 지시한 combination이 포함하는 시간 단위의 개수와 동일하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경우, combination의 첫 번째 시간 단위, 즉 개시 시간 단위가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시간 단위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어느 하나의 combination 인덱스에 대응되는 combination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해당 combination에는 7 개의 시간 단위가 포함된다. 기지국이 상기 방안 1을 통해 단말기에 프레임구조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기가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의 시간 단위가 즉 combination에서의 첫 번째 시간 단위가므로,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combination을 확정한 후, combination의 각 시간 단위의 전송방향을 통해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시간 단위를 포함한 7 개 시간 단위에서의 전송방향을 확정할 수 있다.
방안 2: 기지국이 결합 전에 송신한 DCI format2_0은 단말기가 해당 상태 지시정보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N개의 시간 단위에서의 전송방향을 단말기에 지시한다.
전에 단말기가 가능하게 에너지 절감상태이기 때문에 기지국이 전에 송신한 DCI format2_0을 수신하지 못했을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단말기가 놓친 최근의 DCI format2_0을 재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재전송한 DCI format2_0은 일반적으로 단말기가 놓친 최근의 DCI format2_0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DCI format2_0이 지시한 프레임구조의 개시 시간유닛은 이미 놓쳤을 수 있으며, 즉 해당 프레임구조가 지시한 첫 번째 시간 단위는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위치하고, 따라서, 단말기는 해당 DCI format2_0을 통해 대응되는 combination을 확정한 후, 해당 combination의 첫 번째 시간 단위의 전송방향을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단위의 전송방향으로 직접 사용할 수 없다.
단말기가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의 시간 단위가 combination에서 어느 것에 대응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해,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할 때, 단말기에 시간 영역 위치 식별자를 더 지시해야 하며, 해당 시간 영역 위치 식별자는 단말기에 대해 대응되는 combination의 모든 시간 단위에서의 목표 시간 단위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시간 단위를 슬롯(slot)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a-5b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단말기가 번호가 '#0' 내지 '#20'의 슬롯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단말기는 번호가 '#3'인 slot으로부터 에너지 절감상태에 진입하여, 번호가 '#16'인 slot에서 기지국이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여 워이크업 된다.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에너지 절감상태로부터 워이크업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단말기가 놓친 최근의 DCI format2_0을 단말기에 운반해 준다. 해당 DCI format2_0에 대응되는 combination의 구조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한다. 단말기는, 자신이 '#16'slot에서 워이크업 된것을 알수 있지만, '#16'slot이 도 5b 중 combination에서의 어느 위치인 것에 대해 단말기가 직접 확정하지 못하므로,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해 프레임구조를 지시할 때, 시간 영역 위치 식별자를 통해 어느 하나의 특정 슬롯(즉 목표 슬롯)의 도 5b중 combination에서의 위치를 지정하여, 단말기가 combination에서의 목표slot의 위치에 의거하여 combination에서의 '#16'slot의 위치를 확정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목표 시간 단위는 단말기가 프레임구조 지시를 수신한 시간 단위(즉 기지국이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시간 단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예시에서 목표slot은 '#16'slot 자체일 수 있다. 이외에, 목표 시간 단위는 기타 시간 단위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가 프레임구조 지시를 수신한 시간 단위 이전의 가장 최근 한 번의 목표신호와 목표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기회가 위치한 시간 단위, 목표신호와 목표채널 중 적어도 하나가 DCI format2_0인 경우의 예를 들어, 목표 시간 단위는 그 전의 DCI format2_0 검출 기회가 위치한 시간 단위일 수 있다. 물론, 단말기가 수신한 프레임 구조 지시의 시간 단위 이전의 가장 최근 한 번의 DCI format2_0 검출 기회가 위치한 시간 단위 이외에, 목표 시간 단위는 또한 기타 일반 시간 단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예시에서의 목표slot은 '#16'slot 이전의 어느 하나의 slot, 또는 '#16'slot 후의 어느 하나의 slo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 위치 식별자가 combination에서의 '#17'slot의 위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기는 시간 영역 위치 식별자를 통해 combination에서의 '#17'slot의 위치를 확정한 후, 자연적으로 combination에서의 '#16'slot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단말기가 combinatoin에서의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슬롯의 위치를 확정하는 작동을 저감하기 위해, 기지국은 시간 영역 위치 식별자로 단말기가 combinatoin에서의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슬롯의 위치를 직접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내용에서 combination 집합이 언급되고, 해당 combination 집합에 대해, 시스템으로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으로 반정적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단말기는 또한 기지국이 DCI format2_0에 대해 구성한 combination 집합에 따라 특정된 규칙을 응용하여 유도하여 얻을 수 있다. 간편하게 설명하기 위해, 여기서 기지국이 DCI format2_0을 구성하기 위해 구성한 combination 집합을 'combination 집합1'이라 지칭하고, 유도하여 얻은 combination 집합을 'combination 집합2'이라 지칭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단말기가 combination 집합2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 두 가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1) combination 집합1에서 포함하는 slot의 개수가 기설정 길이와 동일한 combination을 선택하여 combination 집합2를 구성한다. 물론 일부 경우에서, 단말기는 combination 집합1에서 포함하는 slot의 개수가 기설정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combination을 선택하여 combination 집합2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 길이는 반정적 구성값일 수 있다.
(2) combination 집합1에서 인덱스 번호가 커지는 순서로 앞의 m 개의 combination으로 combination 집합2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이고,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프레임구조에 의해 지시되는 개시 시간 단위는 이전의 가장 최근 한 번의 목표신호와 목표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기회가 위치한 시간 단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부 예시에서, 목표신호와 목표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DCI format2_0이므로, 따라서, 상태 지시정보에 대응되는 프레임구조는 그 전의 DCI format2_0 검출 기회가 위치한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실시예의 기타 일부 예시에서, 목표신호와 목표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DCI format2_0이외의 기타 신호 또는 채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가 목표상태로 진입한 후 기지국이 단말기에 일정한 개수의 시간 단위의 전송방향을 지시하는 두 가지 방안을 제공하였고, 단말기가 임의의 시간 영역 위치에서 워이크업되어도, 기지국은 시종 단말기에 대해 프레임구조를 지시할 수 있고, 프레임구조 지시가 유연하지 못한 것으로 인해 기지국이 고정된 시간 영역 위치에서만 단말기를 워이크업하는 상황을 방지하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한 상태 지시의 유연성을 향상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지시정보에 대해 소개하였고, 실시예 3은 상태 지시정보가 프레임구조를 지시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을 하였으며, 본 실시예는 상태 지시정보가 프레임구조 이외의 지시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 지시방안 중 단말기측이 상태 확정방법을 실행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
S602: 단말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는,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된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정보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가 상태 변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이러한 시간 영역 자원에서 하나 이상을 통해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일부 특정신호와 특정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특정신호와 특정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기회는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 반정적의 방싱을 통해 이러한 검출 기회도 상태 지시정보에 동시에 구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이러한 검출 기회에서 특정신호와 특정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 지시정보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특정신호와 특정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DCI format2_0일 수 있고, 따라서, 단말기는 DCI format2_0에 대응되는 검출 기회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시스템은 사전 정의된 방식으로 상태 지시정보 및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고, 시간 영역 자원의 연관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수신한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영역 자원에 따라 어느 시간에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할 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 구성을 T1로 하고,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 구성을 T2로 하며, T1과 T2가 동일한 제1 시간자원 내에 위치하도록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고, 다만 T2는 T1 후의 p번째 제2 시간자원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1 시간자원과 제2 시간자원은 두 가지 입도가 상이한 시간자원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제1 시간자원은 무선프레임, 반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등 일수 있고, 제2 시간자원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 심볼 등 일수 있다. 물론, 제1 시간자원을 입도는 일반적으로 제2 시간자원의 입도보다 크고, 따라서, 제1 시간자원이 무선프레임인 경우, 제2 시간자원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 심볼 등 일수 있으며; 제1 시간자원이 슬롯인 경우, 제2 슬롯은 미니 슬롯 또는 OFDM 심볼일 수 있다.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 구성T1을 통해,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 구성T2를 확정하며, T2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 및 수신한다.
물론,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 구성 T1과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 구성T2를 사이의 연관관계는 상기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관 이외에도,
첫 번째, T2는 T1 후의 j번째 제1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j는 음이 아닌 정수인 것;
두 번째, T2는 T1 후의 j번째 제1 시간자원의 k번째 제2 시간자원에 위치하고, 여기서 k와 j는 모두 음이 아닌 정수인 것;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T1과 T2의 연관관계는 기타 예시가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 대응되는 소개가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S604: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지시정보를 획득한다.
단말기가 어떤 방식을 통해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을 확정하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한 지시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상태 지시정보는 자신이 운반하는 정보 내용을 통해 단말기에 대응되는 지시정보를 지시하고, 다른 일부 예시에서, 상태 지시정보는 자신이 송신한 상황을 통해 단말기에 대해 대응되는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아래, 각각 이 두 가지 경우에서 단말기가 지시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방식(1):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의 내용에 따라 지시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아래 몇 가지 방식 중 임의의 한 가지 방식에 따라 지시정보를 확정한다:
1)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에 의해 운반되는 시퀸스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2) 상태 지시정보 중 시퀸스의 생성 파라미터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3)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4) 상태 지시정보 중 목표정보 지시 필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5) 상태 지시정보의 목표정보 지시 필드에서 운반되는 정보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이하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상태 식별자를 획득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방안 1)에 따르면, 단말기와 기지국은 사전 사용 가능한 시퀸스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상태 식별자와 대응되고, 예를 들어, 여기서 A그룹은 제1 상태 식별자(제1 상태로 진입함을 표시)와 대응되고, B그룹은 제2 상태 식별자(제2 상태로 진입함을 표시)에 대응된다. 단말기는 상이한 시퀸스와 상이한 상태 식별자의 대응 관계에 따라,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대응되는 상태 식별자가 제1 상태의 상태 식별자인지, 제2 상태의 상태 식별자인지를 판단하고, 즉 단말기는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에 의해 운반되는 시퀸스에 따라 기지국이 자신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판단한다.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시퀸스가 A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되고;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시퀸스가 B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2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된다.
상기 방안2)에 따르면, 단말기와 기지국은 사전 상태 지시정보 시퀸스의 생성 파라미터의 값을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상태 식별자와 대응되고, 예를 들어 A그룹은 제1 상태 식별자와 대응되고, B그룹은 제2 상태 식별자에 대응된다. 단말기는 상이한 시퀸스 생성 파라미터 값과 상이한 상태의 대응관계에 따라,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판단한다. 단말기가 상태 변환신호 시퀸스 생성 파라미터 값이 A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변화신호가 자신을 제1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되고; 단말기가 상태 변환신호 시퀸스 생성 파라미터 값이 B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변화신호가 자신을 제2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된다.
방안3)인 경우, 단말기와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상태에 대응되고, 예를 들어 A그룹은 제1 상태에 대응되고, B그룹은 제2 상태에 대응된다. 단말기는 상이한 직교 커버링 코드와 상이한 상태의 대응관계에 따라,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판단한다.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가 A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되고, 이때,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는 제1 상태의 상태 식별자에 해당되고;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가 B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2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되고, 이때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는 제2 상태의 상태 식별자에 해당된다.
방안4)인 경우,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할 때, 단말기를 지시하여 진입하는 목표상태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에 목표정보 지시 필드의 운반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기와 사전 약속을 하고, 목표정보 지시 필드가 운반되는 경우, 기지국이 단말기를 제1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그러지 않으면 기지국이 단말기를 제2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지시정보 중 목표정보 지시 필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상태 식별자가 어느 것이고, 자신이 어느 상태로 진입해야 하는 것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목표정보 지시 필드가 단말기에 대해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때, 해당 목표정보 지시 필드는 '상태 지시 필드'로 지칭될 수 있고; 목표정보 지시 필드가 단말기에 대해 '행위 레벨 지시'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때, 해당 목표정보 지시 필드는 '행위 레벨 지시 필드'로 지칭될 수 있으며; 목표정보 지시 필드가 단말기에 대해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때, 해당 목표정보 지시 필드는 '제1 지시정보 수신 지시 필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여기서 제공된 것은 구체 상태 지시 시나리오에서, 목표정보 지시 필드의 가능한 명칭일 뿐, 목표정보 지시 필드의 유일한 지칭은 아니다.
방안4)인 경우, 상태 지시정보 중 목표정보 지시 필드가 존재할 수 있으나, 방안5)인 경우, 기지국이 단말기가 진입하기를 원하는 목표상태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태 지시정보는 모두 목표정보 지시 필드를 운반하고, 다만 상이한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목표정보 지시 필드에서 운반되는 정보가 상이할 뿐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단말기가 목표정보 지시 필드에서 운반되는 정보가 '0'임을 검출하는 경우, 자신이 제1상태에 진입해야 되는 것을 나타내고; 단말기가 목표정보 지시 필드에서 운반되는 정보가 '1'임을 검출하는 경우, 자신이 제2 상태에 진입해야 되는 것을 나타낸다.
방식(1)의 5 가지 방안에서, 단말기는 직접 상태 지시정보의 정보에 따라 기지국이 지시하는 상태 식별자를 확정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상황에 따라 기지국이 지시하는 상태 식별자를 확정하는 방안을 소개한다:
방식(2):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상황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아래 몇 가지 방식 중 임의의 한 가지 방식에 따라 지시정보를 확정한다:
6)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7)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의 개수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8)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9)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주파수 영역 자원에 따라 지시정보를 얻는다.
방안 6)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상태에 대응하며, 예를 들어 A그룹은 제1 상태에 대응되고, B그룹은 제2 상태에 대응되도록 약속할 수 있다. 단말기는 상이한 포트 그룹과 상이한 상태의 대응관계에 따라,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판단한다.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가 A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되고;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가 B그룹에 해당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2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확정한다.
방안7)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에 지시하려는 목표상태에 따라 송신 상태 지시정보의 포트 개수를 확정하며, 상이한 송신 포트 개수는 상이한 상태에 대응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송신 포트는 제1 상태에 대응되고, 두 개의 송신포트는 제2 상태에 대응된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송신 포트 개수와 각 생태의 대응관계에 따라,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판단한다.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 개수가 1개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1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되고;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 개수가 2개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자신을 제2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게 된다.
방안 6)과 방안 7)인 경우,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를 목표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여 송신 포트를 선택하며, 따라서 단말기에 대해 목표상태를 지시한다. 하지만 방안 8)과 방안 9)인 경우,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과 주파수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단말기에 대해 목표상태를 지시한다. 즉, 상이한 송신 시간 영역 자원과 주파수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상태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과 단말기는, 단말기가 제1 타입의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를 제1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설명하고; 단말기가 제2 타입의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를 제2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설명한다고 약속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의 시간 영역 자원에 따라 기지국이 지시한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방식(1)과 방식(2)에 의해 제공되는 9 가지 방안은 상태 식별자를 확정하는데 적용될 뿐만 아니라, '행위 레벨 지시',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 및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 등 지시정보 중 하나 이상을 확정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방식(1)과 방식(2)에서 9 가지 방안을 제공하였으며, 따라서, 단말기와 기지국은, 최대 상기 9 가지 방식을 통해 여러 가지 상이한 지시정보를 지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기와 방안1)을 통해 상태 식별자를 지시하고, 방안 2)를 통해 행위 레벨 지시를 지시하며, 방안 3)을 통해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로 약속한다. 이로써,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할 때 대응되는 방식에 따라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한 상태 지시정보를 대응되는 방식으로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말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지시정보에 의해 운반된 여러 가지 정보 또는 상태 지시정보의 여러 가지 송신 상황에 따라 기지국이 지시한 여러 가지 지시정보를 확정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러한 지시정보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이 의도하는 목표상태에 진입한다.
이하 일부 기타 지시 방식을 더 제공하며, 이러한 지시 방식은 주로 BMP인덱스, 반송파 인덱스, 타이머, 카운터,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 중 제1 지시정보의 블라인드 검출에 사용되는 RNTI 등에 대한 것이다:
● BMP인덱스에 대해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태 지시정보에 'BMP지시 필드'를 설치하고, 해당 필드의 값을 통해 지시 단말기에 대해 어느 BMP가 상태 변환의 발생이 필요한 지를 지시한다. 해당 필드는 비트맵(bitmap)을 통해 단말기에 각 후보 BMP의 상태 변환 발생의 필요 여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BMP bitmap 중의 복수 개의 bit는 각각 후보 BMP와 대응되고, 후보 BMP가 m 개가 있을 경우, 해당 필드는 m bit일 수 있다. BMP bitmap 중의 어느 하나의 bit에 대해, '0'으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bit가 대응되는 후보 BMP에서 상태 변환의 발생이 필요없음을 표시하고, 해당 bit가 '1'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bit가 대응되는 후보 BMP가 상태 변환의 발생이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른바 후보 BMP는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보 BMP는 활성화 BMP일 수 있다.
● 반송파 인덱스에 대해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태 지시정보에 '반송파 지시 필드'를 설치하고, 해당 필드의 값을 통해 지시 단말기에 대해 어느 반송파가 상태 변환의 발생이 필요한지를 지시한다. 해당 필드는 비트맵(bitmap)을 통해 단말기에 각 후보 반송파의 상태 변환 발생의 필요 여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반송파 bitmap 중의 복수 개의 bit는 각각 후보 반송파와 대응되고, 후보 반송파가 m 개가 있을 경우, 해당 필드는 m bit일 수 있다. 반송파 bitmap 중의 어느 하나의 bit에 대해, '0'으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bit가 대응되는 후보 반송파에서 상태 변환 발생이 필요없음을 표시하고, 해당 bit가 '1'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bit가 대응되는 후보 반송파가 상태 변환의 발생이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른바 후보 반송파는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보 반송파는 활성화 반송파일 수 있다.
● 타이머에 대해
방법(1):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태 지시정보에 '타이머 필드'를 설치하고, 해당 필드의 상이한 값은,
1) 어느 하나의 특정 타이머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타이머 필드'의 값이 '0'이라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타이머(1)를 작동할 필요가 없음을 단말기에 지시하는 것을 설명하고, 반대로, '타이머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기지국은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하는 것을 설명한다.
2) 어느 하나의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타이머 필드'가 '00'인 경우, 기지국은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하고, 타이머(1)의 타이밍 임계값(타이밍 상한이라고도 함)은 T1 개의 타이밍 유닛이고; '타이머 필드'가 '01'인 경우,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며 타이머(1)의 타이밍 임계값은 T2 개의 타이밍 유닛이고; '타이머 필드'가 '10'인 경우,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며 타이머(1)의 타이밍 임계값은 T3 개의 타이밍 유닛이며; '타이머 필드'가 '11'인 경우,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며 타이머(1)의 타이밍 임계값은 T4 개의 타이밍 유닛이고; T1, T2, T3, T4는 정수이고, 구체적인 값은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 또는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복수 개의 타이머 중 하나의 타이머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타이머 필드'가 '00'인 경우, 기지국이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타이머 필드'가 '01'인 경우, 기지국이 타이머(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며, '타이머 필드'가 '10'인 경우, 기지국이 타이머(3)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방법(2):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의 검출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된 타이머의 작동 여부를 확정하고, 상태 지시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는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 카운터인 경우
방법(1):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태 지시정보에 '카운터 필드'를 설치하고, 해당 필드의 상이한 값은,
1) 어느 하나의 특정 카운터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태 지시정보에서 '카운터 필드'의 값이 '0'이라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카운터(1)를 작동할 필요가 없음을 지시하는 것을 설명하고, 반대로, '카운터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에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설명한다.
2) 어느 하나의 카운터의 값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운터 필드'가 '00'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에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고, 카운터(1)의 카운팅 임계값(카운팅 상한이라고도 함)은 T1 개의 카운팅 유닛이고; '카운터 필드'가 '01'인 경우,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며 카운터(1)의 카운팅 임계값은 T2 개의 카운팅 유닛이고; '카운터 필드'가 '10'인 경우,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며 카운터(1)의 카운팅 임계값은 T3 개의 카운팅 유닛이며; '카운터 필드'가 '11'인 경우,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며 카운터(1)의 카운팅 임계값은 T4 개의 카운팅 유닛이고; T1, T2, T3, T4는 정수이고, 구체적인 값은 시스템에 의해 사전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 또는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복수 개의 카운터 중 하나의 카운터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운터 필드'가 '00'인 경우, 기지국이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카운터 필드'가 '01'인 경우, 기지국이 카운터(1)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며, '카운터 필드'가 '10'인 경우, 기지국이 카운터(3)를 작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방법(2):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의 검출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된 카운터의 작동 여부를 확정하고, 상태 지시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단말기는 카운터를 작동하고;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는 카운터를 작동하지 않는다.
방법(3): 단말기는 상태 지시정보가 검출되는 횟수에 따라, 카운터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의 조작의 필요 여부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할 때마다, 카운더에 대해 1을 증가 또는 1을 감소하고, 단말기가 특정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카운터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 제1 지시정보의 블라인드 검출에 사용되는 RNTI에 대해
'제1 지시정보의 블라인드 검출에 사용되는 RNTI'는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할 때, 어느 RNTI를 사용하여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고, 또는 어느 RNTI를 사용하여 CRC 검사 비트를 디스클램블링하는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RNTI는 C-RNTI(Cell RNTI,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S-RNTI(Configured scheduling-RNTI, 구성 스케줄링 RNTI),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 시스템정보 RNTI), P-RNTI(Paging RNTI, 페이징 RNTI), SFI-RNTI(슬롯 포맷 지시RNTI), INT-RNTI(Interrupted transmission indication-RNTI, 전송 지시 중단 RNTI), RA-RNTI(Random Access RNTI, 랜덤 액세스RNT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한 그룹의 사용자에 대해 구성된 새로운 RNTI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태 지시정보에 'RNTI지시 필드'를 설치하고, 해당 필드의 상이한 값이 단말기가 블라인드 검출 또는 상태 변환채널을 수신할 때 사용한 RNTI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해당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기지국이 단말기를 지시하여 C-RNTI를 사용하여 제1 지시정보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것을 나타내고; 해당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기지국이 단말기를 지시하여 RA-RNTI를 사용하여 제1 지시정보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도 6인 경우, 단말기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각 지시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지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 또는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대응되는 방식으로 수행해야 하며, 도 7에 도시된 기지국이 상태 지시방법을 실행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
S702: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한다.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하려는 지시정보가 상태 지시정보의 정보를 통해 구현해야 되는 경우,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할 때 지시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지시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운반 정보 내용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시에서,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제1 지시정보의 MCS를 지시한다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아래 몇 가지 방식 중 임의의 한 가지 방식을 통해 단말기에 제1 지시정보의 MCS의 상태 지시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운반 정보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지국은 운반되는 시퀸스가 제1 지시정보의 MCS와 대응되는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의 사용 가능한 시퀸스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MCS방안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A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1과 대응되고, B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2와 대응된다. 기지국은 단말기에 통보해야 하는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에서 운반되는 시퀸스 종류를 확정한다: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경우, 기지국은 생성된 상태 지시정보 중 A그룹 시퀸스를 운반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경우, 기지국은 생성된 상태 지시정보 중 B그룹 시퀸스를 운반할 수 있다.
두 번째, 기지국은 운반되는 시퀸스의 생성 파라미터가 제1 지시정보의 MCS와 대응되는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 시퀸스의 생성 파라미터 값을 사전에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상이한 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상이한 MCS와 대응되며, 예를 들어 여기서 A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1과 대응되고, B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2와 대응된다. 기지국은 단말기에 통보해야 하는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에서 운반되는 생성 파라미터의 종류를 확정한다: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경우, 기지국은 생성된 상태 지시정보 중 생성 파라미터가 A그룹에 해당하는 시퀸스를 운반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경우, 기지국은 생성된 상태 지시정보 중 생성 파라미터가 B그룹에 해당하는 시퀸스를 운반할 수 있다.
세 번째, 기지국은 직교 커버링 코드가 제1 지시정보의 MCS와 대응되는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상태에 대응되고, 예를 들어 여기서 A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1과 대응되고, B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2와 대응된다. 기지국은 단말기에 통보해야 하는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의 종류를 확정한다: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에 직교 커버링 코드가 A그룹에 해당하는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에 직교 커버링 코드가 B그룹에 해당하는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네 번째, 기지국은 단말기에 지시해야 하는 제1 지시정보의 MCS에 따라 생성된 상태 지시정보에 MCS지시 필드의 운반 필요 여부를 확정하고, 확정된 결과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기의 제1 지시정보의 MCS를 MCS1로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 중 MCS지시 필드를 운반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의 제1 지시정보의 MCS를 MCS2로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MCS지시 필드를 운반하지 않도록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에 대해, 이는 상태 지시정보 중 MCS지시 필드의 운반 여부에 따라 제1 지시정보의 MCS를 확정할 수 있다.
다섯 번째, 기지국은 단말기에 지시해야 하는 제1 지시정보의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 중 MCS지시 필드가 포함하는 정보를 확정할 수 있으며, 확정된 결과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기의 제1 지시정보의 MCS를 MCS1로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 중 MCS지시 필드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의 제1 지시정보의 MCS를 MCS2로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 중 MCS지시 필드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S704: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한 후,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상태 지시정보는 상태 변환신호 또는 상태 변환채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기지국은 상태 변환신호를 통해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운반할 수 있고, 상태 변환채널을 통해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운반할 수도 있으며, 상태 변환신호와 상태 변환채널을 통해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운반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에 의해 운반되는 내용을 통해 단말기에 대응되는 지시정보를 지시하는 방안을 소개하였고, 아래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대응되는 지시정보를 지시하는 방안도 소개하며, 계속하여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제1 지시정보의 MCS인 경우의 예를 들어 소개한다:
방식(1): 기지국은 제1 지시정보의 MCS와 대응되는 포트를 선택하여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포트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MCS와 대응되며, 예를 들어 여기서 A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1과 대응되고, B그룹은 제1 지시정보의 MCS2와 대응된다. 기지국은 단말기에 통보해야 하는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포트를 확정하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경우, 기지국은 A그룹의 포트를 통해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경우, 기지국은 B그룹의 포트를 통해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한다.
방식(2): 기지국은 개수가 제1 지시정보의 MCS와 대응되는 포트를 통해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기에 지시해야 하는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포트의 개수를 확정하고, 상이한 그룹은 상이한 MCS와 대응되며, 예를 들어, 하나의 송신 포트는 제1 지시정보의 MCS1과 대응되고, 두 개의 송신포트는 두 개의 제1 지시정보의 MCS2와 대응된다. 기지국에 대해, 이는 단말기에 통보해야 하는 MCS에 따라,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한는 포트의 개수를 확정하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포트를 사용하여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경우, 기지국은 두 개의 포트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방식(3): 기지국은 제1 지시정보의 MCS와 대응되는 송신 시간 영역 자원과 주파수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해야 하는 MCS에 기반하여 상태 지시정보에 대해 시간 영역 자원과 주파수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고, 상이한 시간 영역 자원과 주파수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지시정보의 상이한 MCS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기는, 단말기가 제1 유형의 시간 영역 자원(예를 들어 시퀸스가 기수인 심볼)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것을 의미하고; 단말기가 제2 유형의 시간 영역 자원(예를 들어 시퀸스가 우수인 심볼)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약속한다.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1인 경우, 기지국은 제1 유형의 시간 영영 자원을 사용하여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기에 지시한 제1 지시정보의 MCS가 MCS2인 경우, 기지국은 제2 유형의 시간 영영 자원을 사용하여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 상태 지시장치와 상태 확정장치를 제공하고, 각각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한 상태 지시장치(80)와 상태 확정장치(90)의 구조개략도를 참조하면:
상태 지시장치(80)는 정보 송신 모듈(802)을 포함한다. 정보 송신 모듈(802)은 상태 지시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상태 변환을 지시하도록 설치된다.
상태 확정장치(90)는 정보 수신 모듈(902)을 포함한다. 정보 수신 모듈(902)은 기지국이 송신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상태 식별자;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 행위 레벨 지시;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해야 하는지 여부의 지시;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 타이머; 카운터; 프레임구조; 관련신호 및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이 필요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상태 지시정보는, 아래 몇 가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에 의해 운반되는 시퀸스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 중 시퀸스의 생성 파라마터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의 직교 커버링 코드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 중 목표정보의 지시 필드 존재 여부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의 목표정보 지시 필드에서 운반되는 정보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포트의 개수를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시간 영역 자원을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상태 지시정보의 송신 주파수 영역 자원을 통해 지시정보를 지시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주파수 영역 자원 인덱스는 BWP인덱스와 반송파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행위 레벨 지시는 여러 가지 행위 레벨 중 하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아래 행위 레벨 정보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시간 영역 범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주파수 영역 범위;
제1 다운링크 채널와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필요 여부;
제1 업링크 채널와 제1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필요 여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지지하는 송신 전력 레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제1 다운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SS, PBCH, CSI-RS, PDCCH, SIB1, 기타 SIB, Paging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업링크 채널과 제1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SRS, grant-freePUSCH,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제1 지시정보의 관련 수신 지시는,
제1 지시정보의 시간 영역 자원을 수신;
제1 지시정보의 주파수 영역 자원을 수신;
제1 지시정보의 MCS를 수신;
제1 지시정보의 관련정보를 블라인드 검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프레임구조는,
N개의 시간 단위에서의 전송방향;
M 개의 주파수 단위에서의 전송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정보 송신 모듈(802)은 또한 목표 제1 시간자원 상의 목표 제2 시간자원에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설치되고; 대응되게, 정보 수신 모듈(902)도 또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목표 제1 시간자원 상의 목표 제2 시간자원에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며, 목표 제1 시간자원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제1 시간자원이고; 또는, 목표 제1 시간 원은 상태 지시정보의 제1 시간자원을 수신한 후의 n번째 제1 시간자원이고, n은 양의 정수이고; 목표 제2 시간 자원은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한 제2 시간자원이고; 또는, 목표 제2 시간자원은 상태 지시정보의 제2 시간자원을 수신한 후의 m번째 제2 시간자원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제2 시간자원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심볼 중 어느 하나이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정보 송신 모듈(802)이 시스템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최근 한 번의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을 취소한다. 대응되게, 정보 수신 모듈(902)이 시스템 사전 정의 또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시간 영역 자원에서 상태 지시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최근 한 번의 관련신호와 관련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검출을 취소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상태 확정장치를 더 제공하고, 도 11에 도시된 상태 확정장치(90)의 다른 하나의 구조개시도를 참조하면:
상태 확정장치(90)은 정보 수신 모듈(902)을 포함하는 이외에, 지시 획득 모듈(904)을 더 포함하며, 지시 획득 모듈(904)은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해당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지시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치된다. 지시 획득 모듈(904)이 상태 지시정보가 지시하는 각 지시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상기 실시예의 소개를 참조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에서 상태 확정장치를 더 제공하고, 도 10에 도시된 상태 지시장치(80)의 다른 하나의 구조개략도를 참조하면:
상태 지시장치(80)는 정보 구성 모듈(800) 및 정보 송신 모듈(802)을 포함하고, 여기서, 정보 구성 모듈(800)은 단말기에 대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도록 설치되고, 정보 송신 모듈(802)은 정보 구성 모듈(802)이 구성한 상태 지시정보를 대응되는 방식으로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정보 구성 모듈(800)이 상태 지시정보를 구성하는 룰 및 정보 송신 모듈(802)이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원칙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의 소개를 참조하면 된다.
상태 지시장치(80)가 상태 지시방법를 구현하는 방법 및 상태 확정장치(90)가 상태 확정방법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상기 실시예의 소개를 참조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지시장치(80)는 기지국에 배치될 수 있고, 상태 지시장치(80) 중 정보 송신 모듈(802)의 기능은 기지국의 통신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구성 모듈(800)의 기능은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태 확정장치(90)는 단말기에 배치될 수 있고, 상태 확정장치(90) 중 정보 수신 모듈(902)의 기능은 단말기의 통신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지시 획득 모듈(904)의 기능은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고, 해당 저장매체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판독, 컴파일링 및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해당 저장매체는 상태 지시프로그램과 상태 확정프로그램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태 지시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실시예에서 소개한 임의의 한 가지 상태 지시방법을 실행 및 구현할 수 있다. 상태 확정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실시예에서 소개한 임의의 한 가지 상태 확정방법을 실행 및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2)는 프로세서(121), 메모리(122) 및 프로세서(121)와 메모리(12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통신버스(123)을 포함하고, 여기서 메모리(122)는 상기 상태 지시프로그램과 상태 확정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쟁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122)에 상태 지시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경우, 프로세서(121)는 상태 지시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컴파일링의 수행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소개한 상태 지시방법의 단계를 실행 및 구현한다. 해당 통신 기기(12)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통신 기기(12)가 상태 지시 위치확정 방법을 구현하는 내용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소개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메모리(122)에 상태 확정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경우, 프로세서(121)는 상태 확정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컴파일링의 수행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소개한 상태 확정방법의 단계를 실행 및 구현한다. 해당 통신 기기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통신 기기(12)가 상태 상태 확정방법을 구현하는 내용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소개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도 13을 참조하면, 해당 통신 시스템(13)은 단말기(131) 및 기지국(132)을 포함하고, 여기서, 단말기(131)는 도 10의 프로세서가 상태 확정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태 확정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기기일 수 있다. 기지국(132)은 도 10의 프로세서가 상태 지시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태 지시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기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기에 상태 지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상태 지시정보는 단말기에 대해 상기 여러 가지 지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수신한 상태 지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태로 진입할 수 있고, 관련 기술 방안의 기초상에서, 단말기 상태 제어의 유연성을 향상하고,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와 통신 효율의 모순을 평형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한 상태 확정방법, 상태 지시방법,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 저장매체는 5G 통신 시트템에만 적용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인 경우, 각 실시예에서의 기술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경우, 조합하여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분야의 당업자는 위에 개시된 방법 중 전부 또는 일부 단계, 시스템 및 장치 중 기능 모듈 및 기능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음), 펌웨어, 하드웨어 및 적절한 조합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드웨어의 실시 형태인 경우,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과 기능 유닛 사이의 구분은 반드시 물리적 컴포넌트의 구분에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물리적 컴포넌트는 여러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는 기능 또는 단계는 여러 물리적 컴포넌트에 의해 협력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부 물리적 컴포넌트 또는 모든 물리적 컴포넌트는 중앙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주문형 집적 회로와 같은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배포되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 따라 나타나거나 설명된 단계는 여기와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또는 비 일시적 매체) 및 통신 매체(또는 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매체 용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 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형 및 비착탈형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또는 기타 저장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 디스크 메모리, 자기 카세트, 테이프,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 본 분야 동상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중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임의의 특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합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은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형태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본 출원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형태가 이러한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

Claims (30)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user device)에 의해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1) 상기 사용자 기기의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지시정보 - 상기 목표상태는 전력소비가 제1 상태에서의 전력소비보다 큰 제2 상태임 - , 및 (2) 상기 제2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영역 자원(frequency-domain resource)을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추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신될 것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추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사전 설정된 채널에서 운반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지시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2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태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4. 삭제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는 부분 대역폭(bandwidth part, BWP) 인덱스 또는 반송파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6.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그리고 사용자 기기에, (1) 상기 사용자 기기의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지시정보 - 상기 목표상태는 전력소비가 제1 상태에서의 전력소비보다 큰 제2 상태임 - , 및 (2) 상기 제2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영역 자원을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추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신될 것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은 또한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지시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태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8. 삭제
  9.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는 부분 대역폭(BWP) 인덱스 또는 반송파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10.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1) 사용자 기기의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지시정보 - 상기 목표상태는 전력소비가 제1 상태에서의 전력소비보다 큰 제2 상태임 - , 및 (2) 상기 제2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영역 자원을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추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신될 것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은 또한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인, 통신 기기.
  11.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기기에, (1) 상기 사용자 기기의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지시정보 - 상기 목표상태는 전력소비가 제1 상태에서의 전력소비보다 큰 제2 상태임 - , 및 (2) 상기 제2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영역 자원을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추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신될 것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기기는 또한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인, 통신 기기.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사전 설정된 채널에서 운반되는 것인, 통신 기기.
  13. 제10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지시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태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상태를 지시하는 것인, 통신 기기.
  14. 삭제
  15. 제10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자원 정보는 부분 대역폭(BWP) 인덱스 또는 반송파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217007069A 2018-08-10 2019-08-12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KR102568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11007.7A CN110536380A (zh) 2018-08-10 2018-08-10 状态确定、指示方法、通信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201810911007.7 2018-08-10
PCT/CN2019/100148 WO2020030169A1 (zh) 2018-08-10 2019-08-12 状态确定、状态指示方法、通信设备、通信系统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34A KR20210040434A (ko) 2021-04-13
KR102568069B1 true KR102568069B1 (ko) 2023-08-17

Family

ID=6865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069A KR102568069B1 (ko) 2018-08-10 2019-08-12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60775A1 (ko)
EP (2) EP4322450A3 (ko)
JP (1) JP7194806B2 (ko)
KR (1) KR102568069B1 (ko)
CN (1) CN110536380A (ko)
FI (1) FI3836637T3 (ko)
WO (1) WO2020030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9510A1 (zh) * 2020-02-14 2021-08-19 富士通株式会社 上行传输方法以及装置
CN114980280A (zh) * 2021-02-22 2022-08-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状态的转换方法、装置及终端
WO2023122910A1 (zh) * 2021-12-27 2023-07-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245554A1 (zh) * 2022-06-23 2023-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Tci状态的指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3245559A1 (zh) * 2022-06-23 2023-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Tci状态的指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9635A1 (en) 2014-05-15 2017-04-0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8066923A1 (en) * 2016-10-07 2018-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nergy saving mechanisms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754B1 (ko) * 2006-10-30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연속 수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및 전송 방법
CN102036348B (zh) * 2009-09-30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连续接收配置方法及系统
US8942151B2 (en) * 2011-04-29 2015-01-27 Blackberry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CN102932884B (zh) * 2011-08-12 2019-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drx的方法和系统
CN104219740B (zh) * 2013-05-31 2018-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激活状态处理方法及装置
WO2015096166A1 (zh) * 2013-12-28 2015-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方法,信号检测方法和相关设备以及系统
US20190313332A1 (en) * 2018-04-06 2019-10-10 Mediatek Inc. User Equipment (UE) Adaptation Framework for Power Saving
CN111937442A (zh) 2018-04-11 2020-11-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信号的传输方法和设备
US11284477B2 (en) * 2018-07-24 2022-03-22 Apple Inc. Downlink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improving UE power consump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9635A1 (en) 2014-05-15 2017-04-0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8066923A1 (en) * 2016-10-07 2018-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nergy saving mechanisms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P_1809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6637A4 (en) 2022-04-20
JP7194806B2 (ja) 2022-12-22
CN110536380A (zh) 2019-12-03
EP3836637B1 (en) 2023-11-01
WO2020030169A1 (zh) 2020-02-13
EP4322450A3 (en) 2024-05-01
FI3836637T3 (fi) 2023-11-23
US20210160775A1 (en) 2021-05-27
EP4322450A2 (en) 2024-02-14
KR20210040434A (ko) 2021-04-13
EP3836637A1 (en) 2021-06-16
JP2021534657A (ja)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069B1 (ko) 상태 확정, 상태 지시방법,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US11917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measurement and reporting in CORESET basis
US2023019979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ing,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US10356814B2 (en) Search area based control channel monitoring
CN109121159B (zh) 盲检能力上报方法、盲检配置、盲检方法、终端及基站
KR101971969B1 (ko) Pdcch 전송 또는 수신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또는 기지국
US11902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g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RU2564098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приема и передачи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CN103548409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数据的方法及其基站
KR20180095794A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과 단말기
KR20120121873A (ko)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CN114731643A (zh) 通信方法及相关装置、设备
US10103828B2 (en) Multi-stage reception monitoring
CN111901885A (zh) 一种信息调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200466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transmission
US202201508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erminal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961735B (zh) 资源的使用方法及装置
EP3780840A1 (en)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JP2022540181A (ja) アンライセンススペクトル上のチャネル状態指示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RU277297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способ указания состоя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RU2799488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кации состояния каналов в нелицензируемом спектре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US20240187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saving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802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dcch monitoring occasion,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123793A1 (ja) 端末及び無線基地局
CN117099316A (zh) 基于准共址信息配置参考信号资源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