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443B1 - Nfc 전원차단 예초기 - Google Patents

Nfc 전원차단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443B1
KR102567443B1 KR1020210050526A KR20210050526A KR102567443B1 KR 102567443 B1 KR102567443 B1 KR 102567443B1 KR 1020210050526 A KR1020210050526 A KR 1020210050526A KR 20210050526 A KR20210050526 A KR 20210050526A KR 102567443 B1 KR102567443 B1 KR 10256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motor
motor unit
control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180A (ko
Inventor
곽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임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임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임삭
Priority to KR102021005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01D34/00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for automated or remotely controlled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는, 구동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작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작동 제어부; 일단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와 구동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바(bar)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작동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을 제어하는 구동모터부; 및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기 작동 제어부, 상기 몸체, 상기 구동모터부와는 별개의 독립적 소자로 구현되고, 상기 구동모터부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 이내에 접근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정지를 요청하는 NFC 신호를 상기 구동모터부로 전송하는 NFC 송신기(NFC Initiato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C 전원차단 예초기{MOWERS HAVING POWER DOWN MODE BY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 모터에는 NFC 수신기가 장착되고 작업자의 손목에는 NFC 송신기가 착용되어 작업자의 손이 예초기 칼날에 근접하는 경우 모터가 자동으로 정지하여 칼날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특화산업육성 (R&D)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이루어진 것이다[과제번호: S2911694, 과제명: 저진동 방수기능을 갖는 충전용 예초기 개발].
예초기는 동력을 이용하여 풀, 잔디 및 목초 등을 절단하는 기구이다. 예초기는 엔진을 이용한 동력 예초기와 기구적인 힘을 이용하여 풀을 자르는 수동 예초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근래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동력 예초기로는 차체에 설치된 차량 타입의 예초기와 사람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용 타입이 있는데, 이중에서도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경사진 장소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예초기가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30251호의 예초기 벌초장치에 의하면, 회전디스크에 풀을 깎는 예초기 칼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고 통상의 예초기 본체에 연결되어 예초기 본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벌초하는 예초기 벌초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초기 벌초장치는 예초기 칼이 벌초 도중 강한 충격을 받아 뒤로 젖혀질 때 칼등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마름모꼴로 형성된 회전디스크와; 부드러운 풀 및/또는 잔디를 고르게 깎기 위한 상부 칼날과 풀 및/또는 잔디 깎기보다 힘이 많이 드는 나뭇가지 및/또는 나무뿌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칼날보다 10∼40% 더 길게 형성된 하부 칼날로 구성되어 있는 예초기 칼; 및 상기 회전디스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예초기 칼이 브라켓까지 뒤로 젖혀질 정도로 강한 장애물을 만났을 때 회전중심이 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예초기 칼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예초기 칼이 장애물을 만나서 예초기 칼만 뒤로 젖혀질 때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디스크와 예초기 칼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디스크와 예초기 칼을 연결시켜 주는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벌초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예초기는 회전날이 달린 바를 손으로 들고 이동하면서 예초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예초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예초기의 바와 회전날 및 구동모터의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체력적 부담이 크다. 또한 칼날의 회전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작업자가 자칫 잘못하여 손이나 발 등 신체를 접촉하게 되면 큰 부상이나 장애를 입게된다. 특히 예초기의 칼날은 크기와 종류에 따라 여러 개를 구비하고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교환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칼날의 교체 시 작업자가 전원을 끄고 교체해야 하는데 실수로 칼날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칼날에 손을 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초기의 칼날은 고속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큰 위험요소일 수밖에 없다. 이에 작업자의 손과 같은 신체가 예초기 칼날에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칼날의 회전이 멈추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30251호, 2011.04.22.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예초기 모터에는 NFC 수신기가 장착되고 작업자의 손목에는 NFC 송신기가 착용되어 작업자의 손이 예초기 칼날에 근접하는 경우 모터가 자동으로 정지하여 칼날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NFC 전원차단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는, 구동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작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작동 제어부; 일단은 상기 작동 제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와 구동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바(bar)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작동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을 제어하는 구동모터부; 및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기 작동 제어부, 상기 몸체, 상기 구동모터부와는 별개의 독립적 소자로 구현되고, 상기 구동모터부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 이내에 접근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정지를 요청하는 NFC 신호를 상기 구동모터부로 전송하는 NFC 송신기(NFC Initiator)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의 상기 구동모터부는, 모터; 상기 전선과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 및 상기 스위치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NFC 송신기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기로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NFC 수신기(NFC Target)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NFC 수신기로부터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정지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NFC 송신기가 상기 구동모터부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에서 이탈하여 상기 NFC 수신기가 상기 NFC 송신기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NFC 수신기는 상기 스위치 제어기에 대한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NFC 수신기로부터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모터가 다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NFC 송신기는 RF 필드 송출에 따라 상기 NFC 수신기가 감지되면 상기 NFC 신호를 연속적으로 또는 선정된 주기마다 계속하여 상기 NFC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NFC 수신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NFC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NFC 송신기는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따르면 작업자의 손과 같은 신체가 예초기 칼날에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칼날의 회전이 멈추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NFC 전원차단 예초기에 따르면 NFC 송신기가 구동모터부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다시 칼날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전원차단 예초기는 작동 제어부(110), 몸체(120), 구동모터부(130), NFC 송신기(140)를 포함한다.
작동 제어부(110)는 구동모터부(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작동 제어부(110)는 상기 작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화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작동 제어부(11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제어부(110)의 배터리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고, 외장 배터리로 교환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몸체(120)의 일단은 작동 제어부(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부(130)와 연결된다. 몸체(120)의 내부공간에는 작동 제어부(110)와 구동모터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수용된다. 몸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모터부(130)는 몸체(120)의 상기 타단과 연결된다. 구동모터부(130)는 몸체(1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전선을 통해 작동 제어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가 내부에 수용된다. 구동모터부(130)에는 칼날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칼날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부(130)는 외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을 제어한다.
NFC 송신기(NFC Initiator)(140)는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작동 제어부(110), 몸체(120), 구동모터부(130)와는 별개의 독립적 소자로 구현된다. NFC 송신기(140)는 구동모터부(130)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 이내에 접근하여 위치하는 경우 구동모터부(130)의 상기 모터의 정지를 요청하는 NFC 신호를 구동모터부(130)로 전송한다. NFC 송신기(140)는 밴드 형상으로 구현되어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NFC 송신기(140)는 작업자의 발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밴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NFC 송신기(140)는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동모터부(130)는 모터(131), 스위치(132), 스위치 제어기(133), NFC 수신기(134)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스위치(132)는 몸체(120) 내부에 수용된 전선과 모터(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한다. 스위치 제어기(133)는 스위치(13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NFC 수신기(NFC Target)(134)는 스위치 제어기(133)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NFC 수신기(134)는 NFC 송신기(142)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기(133)로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스위치 제어기(133)는 NFC 수신기(134)로부터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터(131)가 정지하도록 스위치(132)를 오프(off)상태로 제어한다.
NFC 송신기(140)가 구동모터부(130)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에서 이탈하여 NFC 수신기(134)가 NFC 송신기(140)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NFC 수신기(134)는 스위치 제어기(133)에 대한 모터정지요청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치 제어기(133)는 NFC 수신기(134)로부터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모터(131)가 다시 동작하도록 스위치(132)를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NFC 송신기(140)는 RF 필드 송출에 따라 NFC 수신기(134)가 감지되면 NFC 신호를 연속적으로 또는 선정된 주기마다 계속하여 NFC 수신기(13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FC 송신기(140)는 NFC 수신기(134)가 감지되지 않으면 NFC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작동 제어부
120: 몸체
130: 구동모터부
131: 모터
132: 스위치
133: 스위치 제어기
134: NFC 수신기
140: NFC 송신기

Claims (5)

  1. 구동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작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작동 제어부;
    일단은 상기 작동 제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와 구동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바(bar)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작동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을 제어하되, 모터와, 상기 전선과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와, 상기 스위치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NFC 송신기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기로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NFC 수신기(NFC Target)를 구성으로 포함하는 구동모터부; 및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기 작동 제어부, 상기 몸체, 상기 구동모터부와는 별개의 독립적 소자로 구현되고, 상기 구동모터부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 이내에 접근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정지를 요청하는 NFC 신호를 상기 구동모터부로 전송하는 NFC 송신기(NFC Initiator)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NFC 수신기로부터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정지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NFC 송신기가 상기 구동모터부를 중심으로 선정된 반경에서 이탈하여 상기 NFC 수신기가 상기 NFC 송신기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NFC 수신기는 상기 스위치 제어기에 대한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NFC 수신기로부터 상기 모터정지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모터가 다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NFC 송신기는 RF 필드 송출에 따라 상기 NFC 수신기가 감지되면 상기 NFC 신호를 연속적으로 또는 선정된 주기마다 계속하여 상기 NFC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NFC 수신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NFC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며,
    상기 NFC 송신기는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전원차단 예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0526A 2021-04-19 2021-04-19 Nfc 전원차단 예초기 KR10256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26A KR102567443B1 (ko) 2021-04-19 2021-04-19 Nfc 전원차단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26A KR102567443B1 (ko) 2021-04-19 2021-04-19 Nfc 전원차단 예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80A KR20220144180A (ko) 2022-10-26
KR102567443B1 true KR102567443B1 (ko) 2023-08-18

Family

ID=8378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26A KR102567443B1 (ko) 2021-04-19 2021-04-19 Nfc 전원차단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4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2878A (ja) * 2014-03-06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家電機器の支援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449A (ko) * 2010-02-12 2011-08-18 정혜영 배터리를 이용한 코드레스 예취기
KR101030251B1 (ko) 2010-09-28 2011-04-22 민경태 예초기 벌초장치
KR20190000116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아모센스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KR102016556B1 (ko) * 2018-01-08 2019-09-02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 예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2878A (ja) * 2014-03-06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家電機器の支援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80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1264B1 (en) Electrical two-way rotary trimmer
CN111601498B (zh) 自动割草机及控制该自动割草机的方法
CN109005874B (zh) 自主移动绿化区域维护机器人
FR2790908B1 (fr) Machine de tonte de gazon
KR102567443B1 (ko) Nfc 전원차단 예초기
CN201001285Y (zh) 农用牙钻式铲草机
JPH04267841A (ja) 肉皮剥き機の安全装置及び方法
GB2394879A (en) Trimmer
KR101695386B1 (ko) 예초기 컷팅날 유닛
US3789591A (en) Power lawnmower with auxiliary flexible drive shaft for edger head
CN112312761A (zh) 自移动设备及其自动工作系统
AU3064100A (en) Grinding machine and method of grinding grass mower rotary blades
US6742263B2 (en) Filament trimmer with adjustable cutoff blade
US5239811A (en) Anti-wrap blades for line trimmer
CN106852225B (zh) 智能割草机
CN111213475B (zh) 割草机
CN208175355U (zh) 一种割草机
CN208987321U (zh) 一种带有弧形防缠草刀片的割灌机
KR20190101083A (ko) 회전식 예초기
CN220654118U (zh) 一种可伸缩的修剪装置
CN219939052U (zh) 便于操作蔬菜枝叶修剪装置
CN208523272U (zh) 一种防吸入异物的割草机
CN219478553U (zh) 一种电动割草机
US1460261A (en) Lawn trimmer
CN201563383U (zh) 剪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