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16A -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16A
KR20190000116A KR1020170079024A KR20170079024A KR20190000116A KR 20190000116 A KR20190000116 A KR 20190000116A KR 1020170079024 A KR1020170079024 A KR 1020170079024A KR 20170079024 A KR20170079024 A KR 20170079024A KR 20190000116 A KR20190000116 A KR 2019000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information
us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7007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16A/ko
Publication of KR2019000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이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능모듈이 포함된 본체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본체부에 연결된 밴드부를 포함하는 착용유닛; 및 본체부와의 결합시 본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WEARABLE SYSTEM FOR COLLECT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데 착용자의 생체정보나 이용정보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 특히 스마트폰의 앱(App)을 비롯한 모바일 인터넷 기술이 사람들의 일상 생활 중에 스며들면서 사람들의 행위 및 신체 등에 대한 것들이 데이터화되고 있다.
이때, 행위의 데이터화는 소비행위의 데이터화, 물리 위치의 데이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소비행위의 데이터화는 개인이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검색, 열람, 다운로드, 지불 등을 포함하는 소비 행위를 모두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또한, 물리 위치의 데이터화는 개인의 소재 위치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얻어서 개인의 기호, 생활패턴 등을 모두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신체의 데이터화는 심장 박동수, 수면, 운동량, 칼로리 소모량 등과 같은 개인 신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모두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다만, 종래의 데이터 수집장치는 주로 웹 사이트를 통하여 수집하는 경우가 많아 특정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2015-0025507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테마 파크(theme park), 놀이동산, 병원 등과 같은 특정 장소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운반 및 휴대가 가능하므로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이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능모듈이 포함된 본체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밴드부를 포함하는 착용유닛; 및 상기 본체부와의 결합시 상기 본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시간을 표시하거나 상기 기능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모듈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모듈은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모듈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유닛은 상기 본체부가 일면에 안착되는 충전 몸체 및 상기 충전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충전 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구비된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충전 몸체 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충전 몸체의 결합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접촉단자 중 어느 하나는 포고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유닛 및 충전유닛 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력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착용유닛과 충전유닛의 결합상태가 자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측을 구속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착용유닛이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의 타측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는 내부에 도난방지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이탈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부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므로 테마 파크(theme park), 놀이동산, 병원 등과 같은 특정 장소의 이용객들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수집을 위한 기능모듈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운반 및 휴대가 가능하므로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하여 구동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사용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고, 미사용시 무선 방식을 통해 배터리의 재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상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착용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잠금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도 3에서 잠금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해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해제부가 잠금부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밴드부가 잠금부에 의해 잠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밴드부가 해제부에 의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본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리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형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유닛(110) 및 충전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착용유닛(110)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생체정보나 이용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착용유닛(110)은 다양한 정보 수집을 위한 전자기기를 별도로 소지할 필요 없이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본체부(120)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착용유닛(110)은 시계나 팔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착용유닛(110)은 본체부(120) 및 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가 밴드부(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112)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본체부(12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본체부와 연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밴드부(112)는 사용자의 신체, 일례로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가죽,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실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상기 밴드부(112)의 일단부측을 구속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착용유닛(110)이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밴드부(112)의 양 단부측에 서로 구속되도록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잠금부(130)는 손목에 착용유닛(110)이 착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부(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몸체(131) 및 잠금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밴드부(112)의 양 단부에 배치됨으로써 착용유닛(110)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밴드부(112)의 길이를 가변시킨 후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손목에 상기 착용유닛(110)이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 수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 몸체(131)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잠금몸체(131)의 내부에 잠금부재(133), 고정부재(135), 금속부재(136) 및 도난방지태그(137)가 위치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131)는 상기 밴드부(112)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몸체(131)의 내부 일면에는 돌출부재(132)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12)의 일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12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8)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서 일면에 나사홀(13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112a) 및 상기 나사홀(138a)은 상기 돌출부재(13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32)는 상기 체결홀(112a)과 상기 나사홀(138a)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홀(138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잠금몸체(131)는 상기 밴드부(112)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몸체(131)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13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112)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공(131a)의 일단부를 통해서 상기 잠금몸체(131)의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관통공(131a)의 타단부를 통해서 상기 잠금몸체(13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착용유닛(110)이 손목에 착용된 상태로 상기 밴드부(112)가 상기 잠금몸체(131)의 관통공(131a)을 통해서 관통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잠금몸체(131)의 외부로 노출된 밴드부(112)는 밴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1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133)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133)는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밴드부(112)에 형성된 걸림홈(139)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착용유닛(110)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112)의 양 단부를 구속하기 위한 잠금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재(133a)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상기 잠금부재(133)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재(133a)는 상기 밴드부(112)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잠금부재(133)를 폭 방향을 기준으로 지렛대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133)의 일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39)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바(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부재(133)는 상기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함으로써 상기 걸림홈(139)에 상기 걸림바(133b)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밴드부(112)가 상기 잠금몸체(13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133)는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3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35)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잠금몸체(131)의 상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31a)은 고정부재(135) 및 상기 잠금몸체(131)의 내부 하부면 사이에 상기 밴드부(112)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5) 및 상기 잠금부재(133) 사이에는 탄성부재(13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잠금부재(133)가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 후 원래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134)는 스프링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회전축부재(133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4)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5)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잠금부재(133)의 하부면에 지지됨으로써 잠금부재(133)가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걸림홈(139)에 해제된 후 다시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착용유닛(110)은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몸체(131)의 상부측에는 도난방지태그(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난방지태그(137)는 무선 주파수 통신 방식으로 도난방지리더기(미도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난방지태그(137)가 장착된 착용유닛(110)을 가지고 도난방지리더기를 지나가면 경보음 또는 경보신호가 울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착용유닛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착용유닛(110)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도난이 발생하거나, 상기 착용유닛이 후술할 충전유닛(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난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도난방지태그(137)가 도난방지리더기를 지나가면 경보음 또는 경보신호가 울림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난방지태그(137)는 상기 잠금몸체(131)의 상부측에 배치됨으로써 하부측이나 측면부에 위치할 경우보다 도난방지리더기가 도난방지태그를 인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133)가 상기 걸림홈(139)에 삽입된 상태를 자력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부재(133)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의 금속부재(136)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부(140)는 금속부재(136)에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잠금부재(133)가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해제부(1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몸체(141) 및 제1 자력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몸체(141)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일면에 제1 자력부재(143)가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력부재(14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력부재(143)는 상기 설치홈(14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자력부재(143)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해제몸체(14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제부(140)는 상기 제1 자력부재(143)를 상기 잠금부(130)의 금속부재(136)의 상부측에 접근시키면 상기 제1 자력부재(143)의 자력으로 인해서 상기 금속부재(136)와 결합된 상기 잠금부재(133)가 회전축부재(133a)를 중심으로 상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잠금부재(133)가 상기 걸림홈(139)에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제부(140)는 상기 제1 자력부재(143)를 상기 금속부재(136)의 상부측에서 상기 제1 자력부재(143)의 자력이 미치지 않도록 제거하면 상부측으로 회전한 상기 잠금부재(133)가 상기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으로 인해서 상기 걸림홈(139)에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부(120)가 상기 착용유닛(110)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머니나 가방에 별도로 소지할 필요 없이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본체부(120)가 사용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운반 및 휴대가 가능하므로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이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밴드부(112)의 하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수용홈(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밴드부(112)의 수용홈(114)에 본체부(120)를 삽입하여 결합된 상태로 손목에 착용하여 소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20)가 상기 밴드부(1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부(12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몸체(121) 및 기능모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몸체(121)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작동몸체(121)의 내부에 기능모듈(124)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모듈(124)은 적절한 회로소자나 칩셋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몸체(121)에 내장되는 제1 회로기판(12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AP나 MCU와 같은 제어부(124f)를 통해 전체적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124)은 상기 착용유닛(110)을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마케팅정보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모듈(124b)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모듈(124b)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센서일 수 있고, 상기 심박센서는 광학식 심박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싱모듈(124b)은 상기 작동몸체(121)에 내장되는 제1 회로기판(122a)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 중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하부측에는 상기 센싱모듈(124b)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여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모듈(124b)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싱모듈(124b)을 심박센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체지방, 골격근량,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스트레스 반응, 뇌전도, 혈류량, 근전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성별, 나이별, 거주지별에 대한 특정 장소의 방문횟수, 컨텐츠의 선호도 등과 같은 사용자의 마케팅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장소는 테마 파크, 놀이동산 및 병원 등과 같은 특정장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기능모듈(124)은 상기 센싱모듈(124b)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124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모듈(124b)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4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124c)은 근거리 통신용 모듈일 수도 있고, 원거리 통신용 모듈일 수도 있으며,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이 각각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124d)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근거리 통신용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 통신, LoRa 통신, RADAR 통신, 저전력 무선통신, WiFi 통신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거리 통신용 모듈은 GSM, GPRS, EDGE, LTE-A, LTE, CDMA, WCDMA, EVDO, Wibro, Mobile WiMax 등 공지의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용 모듈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통신모듈(124c)은 적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제1 회로기판(122a)에 적절한 칩셋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상기 센싱모듈(124b)을 통해 획득된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124d)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모듈(124c)을 통해 외부기기 측으로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고, 의료기기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20)는 시간을 표시하거나 기능모듈(124)을 통해 전달받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12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모듈(124a)은 상기 작동몸체(121)에 내장되는 제1 회로기판(132)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a)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본체부(120)의 일측에 직접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투명창(115)을 통해 보호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모듈(124b)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마케팅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a)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기능모듈(124)은 상기 센싱모듈(124b)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 및 마케팅정보를 기반으로 착용자에 대한 위치를 추적하여 방문횟수, 각 켄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GPS모듈(124e)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이 다양한 기능모듈(124)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124)은 하나의 제1 회로기판(122a)에 모두 실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상기 기능모듈(124)에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모듈(124b)이 내장되는 경우, 상기 작동몸체(121)에 두 개의 제1 회로기판(122a) 및 2회로기판(122b)이 내장되고 상기 제1, 2 회로기판(122a, 122b)에 적절한 기능모듈(124)이 분산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2회로기판(122a, 122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2회로기판(122a, 122b)은 상기 연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배터리(123a)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기능모듈(124) 중 착용시 사용자의 신체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센싱모듈(124b)은 상기 배터리(123a)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1 회로기판(122a)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싱모듈(124b)은 상기 제1 회로기판(12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기판(122a)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센싱모듈(124b)은 상기 제1 회로기판(122a) 및 제2 회로기판(122b)의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123a)와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작동몸체(121)에 다양한 기능모듈(124)이 실장된다 하더라도 상기 작동몸체(121)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마케팅정보 등의 데이터에 대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116)와, 상기 버튼부(116)의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시스템의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116)는 물리적인 버튼 방식일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안테나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는 체지방, 골격근량,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스트레스 반응, 뇌전도, 혈류량, 근전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성별, 나이별, 거주지별에 대한 특정 장소의 방문횟수, 컨텐츠의 선호도 등과 같은 사용자의 마케팅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부(116)는 상기 신호와 대응되는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20)는 기능모듈(124)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123a)가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착용유닛(110)은 상기 기능모듈(124)을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한 상태로 변경시키는 착용수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모듈(124)의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와 면적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123a)는 각형 배터리, 코인 배터리 및 박형의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으나 무게가 가볍고 고용량인 배터리로 구현된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배터리(123a)는 상기 작동몸체(1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몸체(121)에 내장되는 제1, 2 회로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123a)는 상기 작동몸체(112)에만 내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부(120) 및 밴드부(112)에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부(120)는 하나의 제1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신호를 생성하거나 송출하고 배터리(123a)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소자나 구동소자 등이 적절하게 실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충전유닛(150)에 상기 착용유닛(110)이 안착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본체부(120)에 내장되는 배터리(123a)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유닛(150)는 충전 몸체(152), 충전거치대(151) 및 접촉단자(153a, 15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몸체(152)는 소정의 길이와 면적을 갖는 형태일 수 있으며 본체부(1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 본체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안착홈(152a)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충전몸체(152)에 상기 본체부(120)의 하부측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20)의 배터리(123a)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상기 본체부(120)에 내장된 배터리(123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능모듈(124)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20) 및 충전몸체(152) 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153a, 153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몸체(121)와 충전몸체(152)의 결합시 상기 제어부(124f) 및 배터리(123a)는 상기 한 쌍의 접촉단자(153a, 153b)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배터리(123a)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한 쌍의 접촉단자(153a, 153b)는 스프링을 통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포고핀 방식의 접촉단자일 수 있다. 상기 포고핀 방식인 한 쌍의 접촉단자(153a, 153b)는 작동몸체(121)와 충전몸체(152)의 결합시 상기 제어부(124f) 및 배터리(123a)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작동몸체를 충전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한 쌍의 접촉단자(153a, 153b)를 포고핀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접촉방식을 통해 서로 통전되는 방식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부(110)에 내장된 배터리(123a)가 본체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충전유닛(150) 측에는 상기 배터리(123a) 및 접촉단자(153a)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회로기판(15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회로기판(154) 측에는 적절한 회로소자(미도시)나 회로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회로기판(154) 측에는 충전회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회로는 제3 회로기판에 유선 충전 회로가 패터닝되거나 칩셋 형태로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배터리(123a)로부터 제공된 출력 전압을 적절한 전압으로 하강시킨 후 하강된 전압을 송출하는 전력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회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 몸체(152)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 몸체(152)와 상기 본체부(120)가 접하는 부위 각각에 제2 자력부재(155a 155b)가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제2 자력부재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몸체(152)는 일측에 결합 부재(156)를 통해 충전 거치대(151)와 결합될 있다. 상기 충전 거치대(151) 일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도록 충전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거치대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충전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착용유닛(110)을 상기 충전 몸체(15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해제시키는 동작 없이 가볍게 힘을 줘서 상기 착용유닛을 잡아 당김으로써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착용유닛(110)이 잠금부(130)에 의해 충전 몸체(152)에 고정된 상태에는 해제부(140)를 통해 해제시킨 후 사용자가 착용유닛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모듈(124a)에 충전완료 표시가 되고, 이때 전력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배터리의 충전을 온,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착용유닛(110) 및 복수 개의 충전유닛(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착용유닛(110)을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착용유닛(110)이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착용유닛(110)에 해제부(140)를 통해 잠금부(130)를 해제시키면 사용자가 착용유닛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전 거치대(151)를 복수개의 라인으로 배열시켜 형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다 많은 충전 거치대를 수납시켜 복수개의 착용유닛을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110 : 착용유닛 112 : 밴드부
112a : 체결홀 113 : 지지부재
114 : 수용홈 115 : 투명창
116 : 버튼부 120 : 본체부
121 : 작동몸체 122a : 제1 회로기판
122b : 제2 회로기판 123a : 배터리
124 : 기능모듈 124a : 디스플레이모듈
124b : 센싱모듈 124c : 통신모듈
124d : 메모리부 124e : GPS모듈
124f : 제어부 130 : 잠금부
131 : 잠금 몸체 131a : 관통공
132 : 돌출부재 133 : 잠금부재
133a : 회전축부재 133b : 걸림바
134 : 탄성부재 135 : 고정부재
136 : 금속부재 137 : 도난방지태그
138 : 체결부재 138a : 나사홀
139 : 걸림홈 140 : 해제부
141 : 해제 몸체 141a : 설치홈
143 : 제1 자력부재 150 : 충전유닛
151 : 충전거치대 152 : 충전몸체
152a : 안착홈 153a, 153b : 접촉단자
154 : 제3 회로기판 155a, 155b : 제2 자력부재
156 : 결합부재

Claims (13)

  1.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이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능모듈이 포함된 본체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밴드부를 포함하는 착용유닛; 및
    상기 본체부와의 결합시 상기 본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시간을 표시하거나 상기 기능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은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유닛은
    상기 본체부가 일면에 안착되는 충전 몸체 및
    상기 충전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충전 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구비된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충전 몸체 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충전 몸체의 결합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단자 중 어느 하나는 포고핀인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닛 및 충전유닛 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자력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착용유닛과 충전유닛의 결합상태가 자력에 의해 유지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측을 구속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착용유닛이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의 타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내부에 도난방지태그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이탈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KR1020170079024A 2017-06-22 2017-06-22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KR20190000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24A KR20190000116A (ko) 2017-06-22 2017-06-22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24A KR20190000116A (ko) 2017-06-22 2017-06-22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16A true KR20190000116A (ko) 2019-01-02

Family

ID=6502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024A KR20190000116A (ko) 2017-06-22 2017-06-22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206A (zh) * 2019-12-27 2020-05-08 昆山朗捷通物联信息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采集的智能穿戴装置
KR20220144180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아임삭 Nfc 전원차단 예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206A (zh) * 2019-12-27 2020-05-08 昆山朗捷通物联信息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采集的智能穿戴装置
KR20220144180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아임삭 Nfc 전원차단 예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430B1 (en) Personal cloud with a plurality of modular capabilities
CN112366475B (zh) 电连接机构和机械连接机构
KR102270209B1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CN106462665B (zh) 可穿戴电子设备以及估计生活方式度量的方法
US9844340B2 (en) Electrocardiogram watch clasp
JP6495306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ー
CN102098961B (zh) 身体活动监测器和数据收集单元
US9768628B2 (en) Battery charger
CN108352850A (zh) 用于管理对应无线耳机的功率的智能外壳及方法
CN103429149A (zh) 身体活动监控系统
CN108154923A (zh) 一种基于健康管理的实时不间断的智能监测设备及其系统
KR20190000116A (ko) 데이터 수집용 웨어러블 시스템
KR20170069766A (ko) 중심에 구멍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CN202714853U (zh) 一种无线人体活动状态监测装置
EP2098165B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particular graphical user interface to the display of a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72820A (ko)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CN104127175A (zh) 分体式监护腕带终端系统
US20150173616A1 (en)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sensor placement
EP3256911B1 (en) Electronic device for monitor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US20150072622A1 (en) Negative ion ornament with detachable wireless accessory
US20210353234A1 (en) Fitn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Fitness Tracking System
US99426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one or more removable sensor modules at an electronic device
WO2024052719A1 (en) Token smart ring for wireless payment and health monitoring
CN110084176A (zh) 一种疲劳驾驶提醒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