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333B1 -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333B1
KR102567333B1 KR1020230029771A KR20230029771A KR102567333B1 KR 102567333 B1 KR102567333 B1 KR 102567333B1 KR 1020230029771 A KR1020230029771 A KR 1020230029771A KR 20230029771 A KR20230029771 A KR 20230029771A KR 102567333 B1 KR102567333 B1 KR 10256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ssembling
housing
assembly
discharg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7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with a cutting liquid nozzle specially adaptable to different kinds of machin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용기용 배출펌프(p)를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체크밸브(c)가 마련되는 하우징(b)을 조립하는 제1 조립장치(10), 내부에 스프링(g)이 끼워진 스템(h, d)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캡(f)을 조립하는 제2 조립장치(20), 상기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우징(b)에 차플랫(j)을 조립하는 제3 조립장치(30), 및 주변에 배치된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에 의해 조립된 조립품이나 상기 배출펌프(p)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DEVICE FOR ASSEMBLING DISCHARGE PUMP FOR FLUID CONTAINER}
본 발명은 유체용기용 배출펌프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용기는 내부 수용공간에 유체, 일 예로 화장품, 샴푸 등과 같은 액체 따위를 담는 그릇으로서, 유체용기에는 내부에 담긴 유체를 외부로 가압하여 인출하기 위한 배출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 배출펌프는 금속재의 스프링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오염되거나 반응하지 않고, 용기를 폐기할 때 금속재의 스프링을 분리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유체용기용 배출펌프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는 소정의 공정 순서에 따라 조립을 수행하나, 유체용기용 배출펌프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나 조립 장치에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립 장치의 부피가 커져, 공장 내 요구되는 설치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 제시가 필요한 실정에 있다.
KR 10-1681379 B1 KR 10-1681380 B1 KR 10-1634009 B1 KR 10-1876315 B1
본 발명은, 유체용기용 배출펌프에 대한 최적화된 조립공정을 따르도록 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용기용 배출펌프(p)를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체크밸브(c)가 마련되는 하우징(b)을 조립하는 제1 조립장치(10), 내부에 스프링(g)이 끼워진 스템(h, d)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캡(f)을 조립하는 제2 조립장치(20), 상기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우징(b)에 차플랫(j)을 조립하는 제3 조립장치(30), 및 주변에 배치된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에 의해 조립된 조립품이나 상기 배출펌프(p)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는, 상기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펌프(p)가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조립장치(10)는, 제1 분사노즐(181)이 상기 하우징(b) 내부를 향해 인접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 분사노즐(181)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오일을 도포하는 제1 오일도포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조립장치(10)는, 상기 체크밸브(c)를 파지한 그래퍼(133)가 오일분사실(19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일측에 마련된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로 인해 상기 오일분사실(1910) 내부에 형성된 와류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체크밸브(c)에 오일을 도포하는 제2 오일도포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체크밸브(c)의 이동방향과,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일분사실(1910)은,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방향으로 길이가 긴 함체로서,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측은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굽은 만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하사점에는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길이방향으로 틈이 길게 관통 형성된 잔유배출구(19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오일도포장치(190)는, 상기 잔유배출구(1915)를 가진 상기 오일분사실(1910)과,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하부에 마련된 잔유수용실(1920)을 포함하되,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측 오일 와류 공간은, 상기 잔유수용실(1920)의 내측 오일 저장 공간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조립장치(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스템(d)에, 상기 하우징캡(f)의 내부 기밀을 형성하기 위한 씰캡(e)과, 실린더 형상의 상기 하우징캡(f)과, 상기 제2 스템(d)에 끼워지는 상기 스프링(g)과, 상기 스프링(g)에 삽입되는 제1 스템(h)을 순차로 적층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스템(h, d)를 서로 압입 결합하여 스템조립품을 조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조립장치(2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상기 스템조립품은, 상기 체크밸브(c)가 내부에 마련된 상기 하우징(b)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조립장치(30)는, 상기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우징(b) 위에, 유체가 토출되는 버튼(l)을 결합하기 위한 펌프캡(i)을 안착시킨 이후, 상기 차플랫(j)의 내주면에 압입하여 결합된 제1 스토퍼(k)를 상기 펌프캡(i) 위에 압입하여 결합한 다음, 상기 제1 스토퍼(k)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버튼(l)을 삽입하여 상기 스템(h, d)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시 최적화된 조립 공정에 따르도록 하여 조립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장 내 요구되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오일도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오일도포장치의 종단면 및 횡단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립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조립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배출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배출펌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가 유체용기용 배출펌프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배출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이하, "조립장치"라 약칭함)(1)는, 도 14에 도시한 배출펌프(p)를 조립하기 위해, 내측에 체크밸브(check valve)(c)가 마련되는 하우징(b)을 조립하는 제1 조립장치(10)와, 내부에 스프링(g)이 끼워진 스템(stem)(h, d)이 마련된 하우징캡(f)을 조립하는 제2 조립장치(20)와,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하우징(b)에 차플랫(chaplet)(j)을 조립하는 제3 조립장치(30)와, 주변에 배치된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에 의해 조립된 조립품이나 상기 배출펌프(p)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조립플레이트(2)는 중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거치대(3)가 마련되고, 각 거치대(3)에는 배출펌프(p)에 포함된 부품이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조립된 조립품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주변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 등은, 거치대(3)에 마련된 부품 또는 조립품을 이용하여, 또 다른 부품 또는 조립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준비하거나, 또 다른 부품 또는 조립품을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는 어느 한 거치대(3)가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 중 어느 하나에 마주하도록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는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회전방향에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의 동작에 따라 배출펌프(p)는 완성 조립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장치(10)는, 도 15(a) 및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b)의 외주면, 구체적으로 하우징(b)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의 하부 저면에 고리형의 패드(a)를 끼워 결합하고,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b)의 내측 하부에 가로로 체크밸브(c)를 압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장치(10)는,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 서브거치대(12)가 마련되되, 제1 서브거치대(12)에는 제1 조립장치(10)에 의해 조립되는 조립품 중 적어도 일부의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하는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의 주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고리형의 패드(a)를 공급하는 패드피더(11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패드피더(111)에 의해 공급된 패드(a)를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일 예로 수직방향(z축), 제1 수평방향(x축), 및 제2 수평방향(y축) 중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이송하는 패드이송장치(112)를 포함한 일 그룹(110)과, 또 이에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b)을 공급하는 하우징피더(12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하우징(b)을 파지 및 이송하여, 상기 패드이송장치(112)에 의해 이송된 고리형의 패드(a)에 끼우는 하우징이송장치(12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1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패드이송장치(112)가 패드를 상기 하우징이송장치(122)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패드이송장치(112)와 상기 하우징이송장치(122)는 상호 인접 배치될 수 있고, 패드이송장치(112) 또는 하우징이송장치(122)는, 패드(a)와 하우징(b)이 조립된 조립품을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의 어느 한 제1 서브거치대(12)에 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장치(10)는, 대략 원판형의 체크밸브(c)를 공급하는 체크밸브피더(13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체크밸브피더(131)에 의해 공급된 체크밸브(c)를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후술하는 제2 오일도포장치(190)로, 또는 제1 서브거치대(12)로 공급하는 체크밸브이송장치(13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130)이 상기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이송장치(132)는 파지한 체크밸브(c)를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의 제1 서브거치대(12)에 안착된 하우징(b)의 내측에 압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체크밸브(c)가 결합된 하우징(b)은 에어리크검사장치(140)에 의해 양품 여부가 판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품의 제1 서브조립품은 제1 서브조립품양품이송장치(151)에 의해 제1 서브조립품이송트랙(160) 위에 안착되고 제1 서브조립품이송장치(170)에 의해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거치대(3) 위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에어리크검사장치(140)에 의해 판정된 불량품의 제1 서브조립품은 제1 서브조립품불량품이송장치(152)에 의해 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장치(10)는,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11)의 주변에, 하우징(b)의 내벽에 실리콘오일을 도포하기 위한 제1 오일도포장치(180)와, 체크밸브(c)의 외면에 실리콘오일을 도포하기 위한 제2 오일도포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일도포장치(180)는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여러 제1 서브거치대(1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실리콘오일을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사노즐(181)은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으며, 승강 이동하는 제1 분사노즐(181)은 하우징(b)의 내부를 향하여 인접하도록 이동한 다음,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실리콘오일을 분사하여 하우징(b)의 내벽에 오일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일도포장치(190)는 체크밸브피더(131)의 출구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크밸브이송장치(132)가 체크밸브피더(131)로부터 공급된 체크밸브(c)를 파지한 이후 제2 오일도포장치(190)의 오일분사실(1910)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오일분사실(1910) 내부에서 체크밸브(c) 외면에 오일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오일도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오일도포장치의 종단면 및 횡단면이다.
제2 오일도포장치(190)는 대략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서, 상측면에는 체크밸브(c)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92)이 형성될 수 있고, 체크밸브이송장치(132)는 그래퍼(133)를 이용하여 상기 체크밸브(c)를 말단부에 파지하여 상기 관통공(192)을 통해 오일분사실(1910) 내부로 상기 체크밸브(c)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이렇게 오일분사실(1910) 내에 위치한 체크밸브(c)는,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또 다른 일측에서 제2 분사노즐(193a)에 의해 분사된 오일에 의해, 그 외면이 오일 도포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오일분사실(1910)에서 체크밸브(c)가 상기 그래퍼(133)에 의해 인입되는 방향과,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에 의해 분사되는 오일의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분사실(191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공(192)을 통해 체크밸브(c)는 인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된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을 통해 실리콘 오일이 분사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c)의 외면은 오일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사노즐(193a)로부터 분사된 오일이 오일분사실(1910)의 내부에서 와류현상이 이루어져 분사된 오일이 체크밸브(c)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도록, 상기 오일분사실(1910)은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방향으로 길이가 긴 함체 형상으로서, 오일분사실(1910)의 내측은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굽은 만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하사점에는 오일분사실(19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slit)이 형성된 잔유배출구(1915)를 가질 수 있다.
오일분사실(191)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크밸브(c)가 인입될 수 있고, 이때 오일분사실(191)의 일측에서 분사된 오일이 상기 복수의 체크밸브(c)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오일분사실(191)의 내부에는 분사된 오일의 와류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사실(191)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2 분사노즐(193a)로부터 분사된 오일에 와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패턴으로 돌출 형성된 와류형성가이드부(1911)가 마련될 수 있다.
와류형성가이드부(1911)는 오일분사실(191)의 내측벽에 돌출형성된 것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2 분사노즐(193a)로부터 분사된 오일이 간섭없이 오일분사실(191) 내 오일이 원활하게 와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갖지 않는 복수의 돌기가 다양한 패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오일도포장치(190)는, 잔유배출구(1915)를 가진 오일분사실(1910)의 하부에 잔유수용실(1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분사실(1910)에서 체크밸브(c)를 향해 분사되어 도포된 오일의 잔유가 잔유배출구(1915)를 통해, 잔유수용실(1920)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측 오일 와류 공간은, 상기 잔유수용실(192)의 내측 오일 저장 공간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고, 잔유수용실(1920)에 저장된 오일은 오일필터 따위에 의해 걸러져 제2 분사노즐(193a)로 순환 공급될 수 있으나, 저장된 오일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은 조립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제2 분사노즐(193a)에 의해 좁은 공간으로 분사되는 오일의 양이 많지 않으며, 적은 양의 오일로 복수의 체크밸브(c)의 외면에 오일 도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잔유수용실(1920)에 저장된 오일은 재사용 없이 버려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립장치(20)는, 도 14 및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스템(d)에, 하우징캡(f)의 내부 기밀을 형성하기 위한 씰캡(e)과, 실린더 형상의 상기 하우징캡(f)과, 상기 제2 스템(d)에 끼워지는 스프링(g)과, 상기 스프링(g)에 삽입되는 제1 스템(h)을 순차로 적층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스템(h, d)를 서로 압입하여 결합하여, 스템조립품을 조립할 수 있다.
즉, 스템조립품은, 길이방향으로 마주 결합되는 제1 스템(h)과 제2 스템(d) 사이에 스프링(g)이 개재되고, 제1 및 제2 스템(d, h)은 하부에 씰캡(e)이 결합된 하우징캡(f)에 삽입된 조립품일 수 있으며, 이렇게 제2 조립장치(20)에 의해 조립된 스템조립품은,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c)가 결합된 하우징(b)의 내측에 삽입되어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립장치(20)는, 도 9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서브조립플레이트(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조립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2 서브거치대(22)가 마련되되, 제2 서브거치대(22)에는 제2 조립장치(20)에 의해 조립되는 조립품 중 적어도 일부의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하는 제2 서브조립플레이트(21)의 주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스템(d)을 공급하는 제2스템피더(21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제2스템피더(211)에 의해 공급된 제2스템(d)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일 예로 수직방향(z축), 제1 수평방향(x축), 및 제2 수평방향(y축) 중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2 서브거치대(22)에 공급하는 제2스템이송장치(212)를 포함한 일 그룹(210)과, 또 제2 스템(d)에 끼워져 하우징캡(f) 내부의 기밀을 형성하기 위한 씰캡(e)을 공급하는 씰캡피더(22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씰캡피더(221)에 의해 공급된 씰캡(e)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 스템(d)이 마련된 제2 서브거치대(22)에 공급하는 씰캡이송장치(22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220)과, 또 씰캡(e)의 상부에 안착되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캡(f)을 공급하는 하우징캡피더(23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하우징캡피더(231)에 의해 공급된 하우징캡(f)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씰캡(e)이 마련된 제2 서브거치대(22)에 공급하는 하우징캡이송장치(23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230)과, 또 제2 스템(d)에 끼워지는 코일타입의 스프링(g)을 공급하는 스프링피더(24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스프링피더(241)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g)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 스템(d)(또는 하우징캡(f))이 마련된 제2 서브거치대(22)에 공급하는 스프링이송장치(24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240)과, 또 스프링(g)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스템(d)과 마주 결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스템(h)을 공급하는 제1스템피더(25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제1스템피더(251)에 의해 공급된 제1 스템(h)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스프링(g)이 마련된 제2 서브거치대(22)에 공급하는 제1스템이송장치(25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25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조립플레이트(21)의 주변에는, 상호 마주한 제2 스템(d)과 제1 스템(h)을 압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가압장치(255)와, 제2 조립장치(20)에 의해 조립된 스템조립품은 제2a 서브조립품이송장치(270)에 의해 제2 서브조립품이송트랙(260) 위에 안착되고, 제2 서브조립품이송트랙(260) 위에 안착된 스템조립품은 제2b 서브조립품이송장치(280)에 의해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거치대(3) 위에 안착되거나, 하우징(b) 내측에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템조립품이 하우징(b) 내측에 삽입될 때 삽입 직전에 스템조립품의 씰캡(e) 외주면에 제2 조립장치(20)와 거치대(3) 사이에 마련된 오일도포장치에 의해 실리콘오일이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조립장치(30)는, 도 14 및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템조립품(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템(h, d)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하우징(b) 위에, 유체가 토출되는 버튼(l)을 결합하기 위한 펌프캡(i)을 안착시킨 이후, 차플랫(j)의 내주면에 압입하여 결합된 제1 스토퍼(k)를 상기 펌프캡(i) 위에 압입하여 결합한 다음, 상기 제1 스토퍼(k)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버튼(l)을 삽입하여 상기 스템(h, d)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하거나, 또는 상기 버튼(l)을 압입하여 상기 스템(h, d)에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스템(h, d) 또는 스템조립품에 버튼(l)이 결합되고, 버튼(l)이 결합된 조림품은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버튼(l)의 외측, 또는 버튼(l)과 펌프캡(i) 사이에는 제2 스토퍼(m)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조립장치(30)는, 도 11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3 서브조립플레이트(31)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서브조립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3 서브거치대(32)가 마련되되, 제3 서브거치대(32)에는 제3 조립장치(30)에 의해 조립되는 조립품 중 적어도 일부의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하는 제3 서브조립플레이트(31)의 주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고리형의 차플랫(j)을 공급하는 차플랫피더(32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차플랫피더(321)에 의해 공급된 차플랫(j)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일 예로 수직방향(z축), 제1 수평방향(x축), 및 제2 수평방향(y축) 중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3 서브거치대(32)에 공급하는 차플랫이송장치(322)를 포함한 일 그룹(320)과, 또 차플랫(j)의 내주면에 억압하여 끼워지되, 버튼(l)이 내주면에 삽입되는 고리형의 제1 스토퍼(k)를 공급하는 제1스토퍼피더(33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제1스토퍼피더(331)에 의해 공급된 제1 스토퍼(k)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3 서브거치대(32)에 마련된 차플랫(j)에 공급하는 제1스토퍼이송장치(33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3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 서브조립플레이트(31)의 주변에는, 차플랫(j)의 내주면에 얹혀진 제1 스토퍼(k)를 압입하여 상호 결합하기 위한 가압장치(335)와, 제1 스토퍼(k)와 차플랫(j)이 서로 조립된 제3 서브조립품은 제3a 서브조립품이송장치(360)에 의해 제3 서브조립품이송트랙(355) 위에 안착되고, 제3 서브조립품이송트랙(355) 위에 안착된 제3 서브조립품은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350)에 의해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거치대(3) 위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역으로 거치대(3) 위에 안착된 조립품, 즉 펌프캡(i)이 조립된 하우징(b)은,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350)에 의해 제3 서브조립품이송트랙(355) 위에 안착되고, 다시 제3a 서브조립품이송장치(360)에 의해 제3 서브거치대(32) 위에 안착된 다음, 상기 펌프캡(i) 위에 상기 제3 서브조립품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조립장치(30)는,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주변에 회전방향을 따라 그 전후 각각에, 버튼(l)을 결합하기 위해 중심에 중공부를 가진 원기둥형태의 펌프캡(i)을 공급하는 펌프캡피더(31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펌프캡피더(311)에 의해 공급된 펌프캡(i)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일 예로 수직방향(z축), 제1 수평방향(x축), 및 제2 수평방향(y축) 중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이송하여, 하우징(b) 위에 공급하는 펌프캡이송장치(312)를 포함한 일 그룹(310)과, 제1 스토퍼(k)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삽입 결합되는 버튼(l)을 공급하는 버튼피더(341)와,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버튼피더(341)에 의해 공급된 버튼(l)을 파지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버튼이송장치(342)를 포함한 또 다른 일 그룹(34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조립장치(3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검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조립장치(30)가 배출펌프를 조립할 때, 펌프캡(i)의 개구부에 제1 스토퍼(k)와 차플랫(j)이 결합된 조립품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캡피더(311)에 의해 공급된 중공관 형상의 펌프캡(i)을 펌프캡이송장치(312)는 파지하여 하우징(b)에 삽입 결합할 수 있으며, 이후,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350)은 제3 서브조립품을 파지하여 거치대(3) 상에 마련된 펌프캡(i) 위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서브조립품, 구체적으로 제1 스토퍼(k)의 내주면에는 버튼(l)이 삽입 결합될 수 있으나, 이때 절곡부를 가져 대략 'ㄱ'자 형상의 버튼(l)은 소정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350)는 파지한 제3 서브조립품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말단부의 홀더(3501)는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3 서브조립품을 파지한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350)가 상기 제3 서브조립품을 거치대(3)로 이송하는 경로 상에 상기 제3 서브조립품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미지획득장치(3502)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3501)는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제3 서브조립품을 파지하여 거치대(3)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미지획득장치(3502)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근거로 제3 서브조립품을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3501)는, 기 설정된 제어지령에 따라, 차플랫(j) 및/또는 제1 스토퍼(k)에 형성된 결합홈이나 결합돌기를 특징점으로, 제3 서브조립품의 방향을 식별하고 이를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이나 결합돌기는 차플랫(j) 및/또는 제1 스토퍼(k)의 저면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이미지획득장치(3502)는 렌즈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배치되고, 렌즈의 주변에는 상기 제3 서브조립품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장치가 마련되어, 이미지획득장치(3502)가 제3 서브조립품에 대한 영상 촬영시 제3 서브조립품에 대한 밝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획득장치(3502)가 하나이고 홀더(3501)가 복수 개인 경우,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350)는 복수의 홀더(3501)가 순차로 이미지획득장치(3502)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더(3501)를 어느 일 측에서 또 다른 일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주변에는, 그 회전방향을 따라 버튼(l)을 스템(h, d)에 압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가압장치(40), 펌프의 감압/가압을 검사하기 위한 펌프감압검사장치(510) 및 펌프가압검사장치(530), 버튼(l)의 회전 가능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버튼회전검사장치(520), 그리고/또는 버튼(l)의 외측, 또는 버튼(l)과 펌프캡(i) 사이에 제2 스토퍼(m)를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제2스토퍼피더 및 제2스토퍼이송장치를 일 그룹(60)으로 하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의 미설명도면부호 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1)에 포함된 각종 검사장치에서 검사결과에 따라 양품을 보관토록 이송하는 장치(710)와 불량품을 보관토록 이송하는 장치(720)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시 최적화된 조립 공정에 따르도록 하여 조립 장치를 소형화, 구체적으로 가장 긴측의 길이를 6m로 구현할 수 있고, 결국 이에 따라 공장 내 요구되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2: 메인조립플레이트 10: 제1 조립장치 11: 제1 서브조립플레이트
12: 제1 서브거치대 111: 패드피더 112: 패드이송장치
121: 하우징피더 122: 하우징이송장치 131: 체크밸브피더
132: 체크밸브이송장치 133: 그래퍼 140: 에어리크검사장치
151: 제1 서브조립품양품이송장치 152: 제1 서브조립품불량품이송장치
160: 제1 서브조립품이송트랙 170: 제1 서브조립품이송장치
180: 제1 오일도포장치 181: 제1 분사노즐 190: 제2 오일도포장치
192: 관통공 1910: 오일분사실 1915: 잔유배출구
1920: 잔유수용실 193a: 제2 분사노즐 20: 제2 조립장치
21: 제2 서브조립플레이트 22: 제2 서브거치대
211: 제2스템피더 212: 제2스템이송장치 221: 씰캡피더
222: 씰캡이송장치 231: 하우징캡피더 232: 하우징캡이송장치
241: 스프링피더 242: 스프링이송장치 251: 제1스템피더
252: 제1스템이송장치 255: 가압장치 260: 제2 서브조립품이송트랙
270: 제2a 서브조립품이송장치 280: 제2b 서브조립품이송장치
30: 제3 조립장치 31: 제3 서브조립플레이트 32: 제3 서브거치대
311: 펌프캡피더 312: 펌프캡이송장치 321: 차플랫피더
322: 차플랫이송장치 331: 제1스토퍼피더 332: 제1스토퍼이송장치
335: 가압장치 341: 버튼피더 342: 버튼이송장치
350: 제3b 서브조립품이송장치 3501: 홀더 3502: 이미지획득장치
355: 제3 서브조립품이송트랙 360: 제3a 서브조립품이송장치
40: 가압장치 510: 펌프감압검사장치 520: 버튼회전검사장치
530: 펌프가압검사장치 60: 제2스토퍼조립장치 710: 양품보관이송장치
720: 불량품보관이송장치
a: 패드 b: 하우징 c: 체크밸브
d: 제2 스템 e: 씰캡 f: 하우징캡
g: 스프링 h: 제1 스템 i: 펌프캡
j: 차플랫 k: 제1 스토퍼 l: 버튼
m: 제2 스토퍼

Claims (10)

  1. 유체용기용 배출펌프(p)를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체크밸브(c)가 마련되는 하우징(b)을 조립하는 제1 조립장치(10);
    내부에 스프링(g)이 끼워진 스템(h, d)이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캡(f)을 조립하는 제2 조립장치(20);
    상기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우징(b)에 차플랫(j)을 조립하는 제3 조립장치(30); 및
    주변에 배치된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에 의해 조립된 조립품이나 상기 배출펌프(p)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조립플레이트(2);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조립장치(10)는,
    상기 체크밸브(c)를 파지한 그래퍼(133)가 오일분사실(19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일측에 마련된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로 인해 상기 오일분사실(1910) 내부에 형성된 와류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체크밸브(c)에 오일을 도포하는 제2 오일도포장치(1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장치(10~30)는, 상기 메인조립플레이트(2)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어, 상기 배출펌프(p)가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장치(10)는,
    제1 분사노즐(181)이 상기 하우징(b) 내부를 향해 인접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 분사노즐(181)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오일을 도포하는 제1 오일도포장치(1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체크밸브(c)의 이동방향과,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방향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사실(1910)은, 상기 제2 분사노즐(193a)의 오일분사방향으로 길이가 긴 함체로서,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측은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굽은 만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하사점에는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길이방향으로 틈이 길게 관통 형성된 잔유배출구(19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도포장치(190)는,
    상기 잔유배출구(1915)를 가진 상기 오일분사실(1910)과,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하부에 마련된 잔유수용실(1920)을 포함하되,
    상기 오일분사실(1910)의 내측 오일 와류 공간은, 상기 잔유수용실(1920)의 내측 오일 저장 공간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장치(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스템(d)에, 상기 하우징캡(f)의 내부 기밀을 형성하기 위한 씰캡(e)과, 실린더 형상의 상기 하우징캡(f)과, 상기 제2 스템(d)에 끼워지는 상기 스프링(g)과, 상기 스프링(g)에 삽입되는 제1 스템(h)을 순차로 적층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스템(h, d)를 서로 압입 결합하여 스템조립품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장치(2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상기 스템조립품은, 상기 체크밸브(c)가 내부에 마련된 상기 하우징(b)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립장치(30)는,
    상기 하우징캡(f)이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우징(b) 위에, 유체가 토출되는 버튼(l)을 결합하기 위한 펌프캡(i)을 안착시킨 이후, 상기 차플랫(j)의 내주면에 압입하여 결합된 제1 스토퍼(k)를 상기 펌프캡(i) 위에 압입하여 결합한 다음, 상기 제1 스토퍼(k)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버튼(l)을 삽입하여 상기 스템(h, d)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KR1020230029771A 2022-11-18 2023-03-07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KR102567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55115 2022-11-18
KR1020220155115 2022-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333B1 true KR102567333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771A KR102567333B1 (ko) 2022-11-18 2023-03-07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3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444Y1 (ko) * 1996-03-20 1998-12-15 김광호 오일 펌프 조립 장치
JP2005014947A (ja) * 2003-06-25 2005-01-20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吐出容器
KR20110038412A (ko) * 2009-10-08 2011-04-14 (주)연우 화장품 용기용 씨브이 밸브 조립 장치의 실캡/실린더 조립장치
KR101634009B1 (ko) 2014-12-08 2016-06-27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오링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KR101681380B1 (ko) 2014-11-07 2016-11-30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거울 조립유닛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KR101681379B1 (ko) 2014-11-07 2016-11-30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힌지 핀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및 화장품 용기의 힌지 핀 조립방법
KR101876315B1 (ko) 2017-04-05 2018-07-10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조립 장치
KR102196053B1 (ko) * 2020-06-12 2020-12-29 장홍석 소용량 건 스프레이 조립장치
KR102454136B1 (ko) * 2022-01-05 2022-10-14 장용수 반제품을 자동조립해 중앙의 메인장비에서 턴테이블 형태로 완성하는 전자담배 카트리지 시스템과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444Y1 (ko) * 1996-03-20 1998-12-15 김광호 오일 펌프 조립 장치
JP2005014947A (ja) * 2003-06-25 2005-01-20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吐出容器
KR20110038412A (ko) * 2009-10-08 2011-04-14 (주)연우 화장품 용기용 씨브이 밸브 조립 장치의 실캡/실린더 조립장치
KR101681380B1 (ko) 2014-11-07 2016-11-30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거울 조립유닛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KR101681379B1 (ko) 2014-11-07 2016-11-30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힌지 핀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및 화장품 용기의 힌지 핀 조립방법
KR101634009B1 (ko) 2014-12-08 2016-06-27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오링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KR101876315B1 (ko) 2017-04-05 2018-07-10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조립 장치
KR102196053B1 (ko) * 2020-06-12 2020-12-29 장홍석 소용량 건 스프레이 조립장치
KR102454136B1 (ko) * 2022-01-05 2022-10-14 장용수 반제품을 자동조립해 중앙의 메인장비에서 턴테이블 형태로 완성하는 전자담배 카트리지 시스템과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325B1 (ko) 차폐 구조체
JP7038114B2 (ja) 保持具
US5021217A (en) Multipipet
US20210048114A1 (en) Quick-release valve module, reticle pod provided with quick-release valve module, and method for quickly providing quick-release valve module on a reticle pod
US20120070723A1 (en)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810527B2 (en) Container-treatment machine comprising controlled gripping means for seizing containers by the neck
KR20190122908A (ko) 잉크젯 인쇄 시스템용 인쇄 헤드 유닛 조립체
CN102529397B (zh) 盒及其制造方法
US20180319172A1 (en) Cartridge, cartridge unit, and liquid ejection system
KR20090124262A (ko) 페이스트 인쇄장비의 페이스트 자동공급용 용기
US20070211353A1 (en) Spacer and lens module us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lens modules
KR102567333B1 (ko) 유체용기용 배출펌프 조립장치
US9246157B2 (en)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8057150A (zh) 高压液体传输装置的组装方法
JP2011140189A (ja) 液体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US7888619B2 (en)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bottles that are equipped with an interchangeable connection cartridge
JP2011518090A (ja) 容器および閉鎖体を収容しかつ容器を閉じるための把持装置
US20090314200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glue onto optical element
CN112192219A (zh) 电磁阀组装生产线
JP6701505B2 (ja) 半導体素子検査装置
JP5272153B2 (ja) プリフォーム用吸着ヘッド、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フォーム搬送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US20080066514A1 (en) Apparatus for picking and placing workpiece
KR102196053B1 (ko) 소용량 건 스프레이 조립장치
KR20160054762A (ko) 화장품 용기용 힌지 핀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및 화장품 용기의 힌지 핀 조립방법
US6439705B2 (en) Liquid path opening/clos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