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63B1 - 진공청소차 - Google Patents

진공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63B1
KR102567063B1 KR1020210034908A KR20210034908A KR102567063B1 KR 102567063 B1 KR102567063 B1 KR 102567063B1 KR 1020210034908 A KR1020210034908 A KR 1020210034908A KR 20210034908 A KR20210034908 A KR 20210034908A KR 102567063 B1 KR102567063 B1 KR 10256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cuum pump
intake
exhaust
intak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950A (ko
Inventor
이규훈
갈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피
Priority to KR102021003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4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taking- up the sweepings, e.g. for collecting, for 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차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론과 사이렌서의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저장탱크의 용량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진공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일정위치에 배치되는 호스; 호스의 타측이 설치되는 저장탱크; 호스를 통해 저장탱크의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도록 저장탱크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 저장탱크와 진공펌프 간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에서 유출되는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사이클론; 및 진공펌프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진공펌프에 외기를 공급하는 사이렌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차{VACUUM CLEANING CAR}
본 발명은 진공청소차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청소시 집진효율을 높이고, 조용하게 청소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진공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도로에 쌓인 오물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주기적으로 진행하며, 이를 통해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있다.
또한, 건축기술 발달과 더불어 최근에 지어지는 건물들이 규모면에서 점점 대형화되면서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곳의 공중위생이나 이미지 제고의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도로, 대규모 시설물의 청소를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부담이 크며, 면적이 큰 만큼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분진 등의 다양한 오물을 자동적으로 청소함을 물론 이동이 자유로워 도로나 마트, 공항활주로, 학교대강당 등 대형건물에 사용되어 작업자의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진공청소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진공청소차는 보편적으로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저장탱크, 저장탱크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사이클론,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사이렌서로 이루어진다.
전술된 진공청소차의 구성들은 트럭과 같은 차량의 후미에 적재되는데, 차량의 규격화에 의해 적재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이중, 사이렌서는 진공펌프에서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사이렌서와, 진공펌프의 구동 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사이렌서와 같이 두개의 사이렌서가 필요하고 이러한 사이렌서가 적재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그만큼 저장탱크의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49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효율을 개선하고, 청소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저장탱크의 용량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진공청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이 일정위치에 배치되는 호스; 호스의 타측이 설치되는 저장탱크; 호스를 통해 저장탱크의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도록 저장탱크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 저장탱크와 진공펌프 간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에서 유출되는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사이클론; 및 진공펌프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진공펌프에 외기를 공급하는 사이렌서를 포함하고, 사이렌서는 진공펌프를 통해 내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챔버; 내주면이 배기챔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배기챔버를 감싸고, 내주면과 배기챔버의 외주면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진공펌프로 유출되는 흡기챔버; 일단이 흡기챔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배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1배기관; 일단이 배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흡기챔버의 타측을 관통하여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배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내부공기가 흡기챔버의 외부로 유동하는 제2배기관; 일단이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흡기챔버의 외부로부터 외기가 흡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2흡기관; 일단이 흡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흡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외기가 진공펌프로 유동하는 제1흡기관;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배기관과 제2흡기관을 덮는 가림부재; 배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격벽; 및 격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격벽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흡음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론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인접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클론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덮개는 사이클론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원통부; 원통부의 둘레를 따라 원통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이클론의 상면에 접하는 거치판; 및 거치판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와 진공펌프 간에 설치되어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통해 내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챔버; 내주면이 배기챔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배기챔버를 감싸고, 내주면과 배기챔버의 외주면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진공펌프로 유출되는 흡기챔버; 일단이 흡기챔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배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1배기관; 일단이 배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흡기챔버의 타측을 관통하여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배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내부공기가 흡기챔버의 외부로 유동하는 제2배기관; 일단이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흡기챔버의 외부로부터 외기가 흡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2흡기관; 일단이 흡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흡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외기가 진공펌프로 유동하는 제1흡기관;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배기관과 제2흡기관을 덮는 가림부재; 배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격벽; 및 격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격벽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흡음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기챔버에 설치되는 흡기측 흡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배기챔버는 격벽 간에 형성되고, 흡음관이 설치되는 흡음챔버; 및 흡음챔버의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공기가 확산되는 팽창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하는 사이렌서.
본 발명은 배기챔버에 설치되는 배기측 흡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차는 복수개의 사이클론을 채용함으로써 집진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클론의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여 정비 및 점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진공펌프의 냉각과 소음감소를 위한 두 개의 사이렌서를 하나로 일체화하여 진공펌프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효과적인 소음의 감소 및 진공펌프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차량 내에 저장탱크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저장탱크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차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차를 다양한 각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6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이클론의 덮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필터함에 설치되는 백필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진공펌프와 사이렌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영평면도이다.
도 12a,b와 도 13은 순차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A-A섹션도, B-B섹션도, C-C섹션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영평면도이다.
도 15a,b와 도 16는 순차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A-A섹션도, B-B섹션도, C-C섹션도이다.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순차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4실시예를 다양한 각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9에 도시된 진공펌프(120)를 기준하여 사이렌서(14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사이렌서(140)를 기준하여 진공펌프(12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차의 평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차를 다양한 각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6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진공청소차(100)는 일측이 일정위치에 배치되는 호스(10), 상기 호스(10)의 타측이 설치되는 저장탱크(110), 상기 호스(10)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공기(이하, '내부공기'라 함)를 흡입하는 진공펌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청소차(100)는 상기 저장탱크(110)와 진공펌프(120)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유출되는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사이클론(130), 상기 진공펌프(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120)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진공펌프(120)에 외기를 공급하는 사이렌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10)는 내부에 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용량의 용기로서, 합금강과 같이 일정 강성을 띠고 부식에 강한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10)의 상부에는 맨홀(111)이 설치되며, 상기 맨홀(111)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 청소와 유지보수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호스(10)의 타단은 상기 맨홀(111)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110)의 측면에 상기 사이클론(130)이 설치되는 집진함(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함(20)은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저장탱크(110)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클론(130)은 상기 집진함(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함(20)의 내측 하부에는 집진조(21)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론(130)을 통해 포집된 분진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상기 호스(10)를 통해 오물이 흡입되며, 자갈, 나뭇가지와 같이 규모가 있는 오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분진을 포함한 내부공기가 상기 저장탱크(110)와 사이클론(130) 간에 배치된 제1유로(41)를 통해 상기 사이클론(130)으로 유동한다.
상기 사이클론(130)의 중심부(131b)를 기준하여 상기 중심부(131b)의 둘레를 따라 상기 사이클론(130)의 상면에 공기배출공(13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41)가 측면에 편심설치되어 내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부(131), 고깔형태로서 상기 흡입부(131)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단에 분진배출공(132a)이 형성되어 내부공기에 포함된 분진이 상기 집진조(21)로 유출되는 배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1)로 유입되는 내부공기는 상기 흡입부(131)의 내주면에 충돌하여 입자가 큰 분진이 상기 배출부(132)로 떨어져 상기 집진조(21)에 저장되고, 입자가 큰 분진이 제거되어 여과된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공(131a)을 통해 유출된다.
상기 사이클론(130)은 종래의 큰 규모와 달리 작은 규모이며,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탱크(110)의 길이방향 또는 이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작은 규모의 상기 사이클론(130)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집진효과를 유지함과 동시에 종래대비 상기 저장탱크(110)의 용량을 보다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41)는 상기 사이클론(130)의 수에 따라 다수 개로 분지되어 상기 흡입부(13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이클론의 덮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펌프(120)의 미구동 시, 상기 공기배출공(131a)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공청소차(100)는 상기 사이클론(13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150)는 양측이 개방되고 상기 중심부(131b)에 삽입되는 원통부(151), 상기 원통부(1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원통부(15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130)의 상면에 접하는 거치판(152), 상기 거치판(152)에 설치되는 손잡이(153)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손잡이(153)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중심부(131b)에 상기 원통부(151)를 인입하여 상기 거치판(152)이 상기 흡입부(131)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덮개(150)가 상기 공기배출공(131a)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호스(10)를 통해 습식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사이클론(130)에서 1차 여과된 내부공기는 상기 집진함(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유로(42)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10)를 통해 건식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사이클론(130)에서 배출되는 내부공기의 2차 여과를 진행하여 정화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필터함에 설치되는 백필터의 정면도이다.
상기 진공청소차(100)는 내부공기의 2차 여과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110)와 진공펌프(120) 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130)에서 유출되는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필터(160)는 상기 저장탱크(110)와 집진함(20)의 측면에 배치되는 필터함(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함(30)은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집진함(2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백필터(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필터공(31)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필터함(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130)에서 유출되는 내부공기가 상기 집진함(20)과 필터함(30) 간에 배치되는 제3유로(43)를 통해 상기 백필터(160)로 유동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기는 상기 백필터(160)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유출되어 2차 여과가 수행되며, 상기 백필터(160)에서 유출되는 내부공기는 상기 필터함(3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4유로(44)로 유출된다.
상기 제2유로(42)와 제4유로(44)는 제5유로(45)의 일단에 합지되며, 상기 제5유로(45)의 타단은 상기 진공펌프(120)에 설치된다.
상기 진공청소차(100)는 상기 제2유로(42)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로(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51), 상기 제4유로(44)에 설치되어 상기 제4유로(4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10)를 통해 습식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내부공기에 의해 상기 백필터(160)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상기 제2유로(42)를 개방하고 상기 제4유로(44)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10)를 통해 건식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2유로(42)를 폐쇄하고 상기 제4유로(44)를 개방하여 내부공기의 2차 여과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5유로(45)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0)로 유입되는 내부공기는 상기 진공펌프(120)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렌서(14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 시 상기 진공펌프(120)로부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내부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난류 등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이렌서가 필요하며,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 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진공펌프(120)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사이렌서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탱크(110)의 용량 확장이 어려웠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진공펌프와 사이렌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영평면도이고, 도 12a,b와 도 13은 순차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A-A섹션도, B-B섹션도, C-C섹션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렌서(140)의 제1실시예는 상기 진공펌프(120)를 통해 내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챔버(141), 상기 배기챔버(141)를 감싸고,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진공펌프(120)로 유출되는 흡기챔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렌서(140)가 상기 진공펌프(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챔버(142)가 상기 배기챔버(141)를 감싸는 이중구조를 통해 소음감소와 진공펌프 냉각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서 종래대비 상기 저장탱크(110)의 용량을 보다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사이렌서(140)는 일측이 상기 흡기챔버(142)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챔버(141)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진공펌프(120)에 설치되는 제1배기관(145), 일측이 상기 배기챔버(141)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흡기챔버(142)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제2배기관(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렌서(140)는 일측이 상기 흡기챔버(142)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진공펌프(120)에 설치되는 제1흡기관(147), 일측이 상기 흡기챔버(142)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2흡기관(1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내부공기는 상기 제1배기관(145)을 통해 상기 배기챔버(141)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소음감소가 수행된 후 상기 제2배기관(146)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흡기관(148)을 통해 외기가 상기 흡기챔버(142)로 유입되어 상기 제1흡기관(147)을 통해 상기 진공펌프(12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진공펌프(120)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흡기챔버(142)는 흡기측 흡음부재(142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흡기측 흡음부재(142a)는 폴리에스터,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질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통해 상기 흡기챔버(142)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측 흡음부재(142a)는 상기 흡기챔버(142)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거나,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흡기챔버(142)의 둘레를 따라 상기 흡기챔버(142)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렌서(140)는 상기 흡기챔버(142)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기관(146)과 제2흡기관(148)을 덮는 가림부재(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149)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상기 제2배기관(146)과 제2흡기관(148)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배기관(146)과 제2흡기관(148)으로 빗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사이렌서(140)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영평면도이고, 도 15a,b와 도 16는 순차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A-A섹션도, B-B섹션도, C-C섹션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렌서(140')의 제2실시예는 전술된 1실시예의 구성 외에, 상기 배기챔버(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기챔버(14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143), 상기 격벽(143) 간에 설치되어 내부공기가 유동하고, 복수 개의 통공(144a)이 형성되는 흡음관(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143)에는 상기 흡음관(144)이 끼워지는 삽입공(14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챔버(141)는 상기 격벽(143) 간에 형성되고, 상기 흡음관(144)이 설치되는 흡음챔버(141a), 상기 흡음챔버(141a)의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공기가 확산되는 팽창챔버(141b)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기는 상기 팽창챔버(141b)의 내부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소음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에 의한 유동소음의 주파수 특성이 고주파수에서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흡음관의 입구측에서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의 삽입손실을 이루게 되고, 상기 흡음관의 출구측은 입구측에 비해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삽입손실을 구현하게 되어 공명식 소음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44a)은 상기 흡음관(144)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내부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흡기측 흡음부재(142a)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소음의 감소효과를 보다 높여줄 수 있다.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렌서(140'')의 제3실시예는 전술된 제1,2실시예의 구성 외에, 상기 흡음챔버(141a)는 배기 측 흡음부재(141c)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측 흡음부재(141c)는 상기 흡기 측 흡음부재(142a)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흡음챔버(141a)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되거나,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흡음챔버(141a)의 둘레를 따라 상기 흡음챔버(141a)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음관(144)으로 유입되는 내부공기가 상기 통공(144a)을 통해 상기 흡음챔버(141a)의 내부로 분출되어 상기 배기 측 흡음부재(141c)에 도달함으로써 소음의 추가 감소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순차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사이렌서의 제4실시예를 다양한 각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렌서(140''')의 제4실시예는 전술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구성 외에, 상기 흡음관(144)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격벽(143)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돠어 상기 격벽(143)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흡음관(144)은 3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공(143a)은 120°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격벽(143)에 형성되며, 상기 흡음관(144)이 상기 삽입공(143a)에 끼워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차는 작은 규모의 사이클론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집진효과를 유지함과 동시에 저장탱크의 용량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의 냉각과 소음감소를 위한 두 개의 사이렌서를 하나로 일체화하여 진공펌프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저장탱크의 용량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진공청소차 110 : 저장탱크
120 : 진공펌프 130 : 사이클론
140,140',140'',140''' : 사이렌서 150 : 덮개
160 : 백필터

Claims (10)

  1. 일측이 일정위치에 배치되는 호스;
    상기 호스의 타측이 설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저장탱크와 진공펌프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유출되는 상기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사이클론; 및
    상기 진공펌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진공펌프에 외기를 공급하는 사이렌서;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렌서는,
    상기 진공펌프를 통해 상기 내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챔버;
    내주면이 상기 배기챔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챔버를 감싸고, 내주면과 상기 배기챔버의 외주면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진공펌프로 유출되는 흡기챔버;
    일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배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배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1배기관;
    일단이 상기 배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배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로 유동하는 제2배기관;
    일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외기가 상기 흡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2흡기관;
    일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상기 외기가 상기 진공펌프로 유동하는 제1흡기관;
    상기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기관과 제2흡기관을 덮는 가림부재;
    상기 배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격벽; 및
    상기 격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격벽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흡음관;
    을 포함하는 진공청소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인접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진공청소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사이클론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의 상면에 접하는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에 설치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진공청소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진공펌프 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부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차.
  6. 저장탱크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통해 상기 내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챔버;
    내주면이 상기 배기챔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챔버를 감싸고, 내주면과 상기 배기챔버의 외주면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진공펌프로 유출되는 흡기챔버;
    일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배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배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1배기관;
    일단이 상기 배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배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로 유동하는 제2배기관;
    일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흡기챔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외기가 상기 흡기챔버의 내부로 유동하는 제2흡기관;
    일단이 상기 흡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챔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상기 외기가 상기 진공펌프로 유동하는 제1흡기관;
    상기 흡기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기관과 제2흡기관을 덮는 가림부재;
    상기 배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격벽; 및
    상기 격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격벽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흡음관;
    을 포함하는 사이렌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챔버에 설치되는 흡기측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이렌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챔버는,
    상기 격벽 간에 형성되고, 상기 흡음관이 설치되는 흡음챔버; 및
    상기 흡음챔버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기가 확산되는 팽창챔버;
    를 포함하는 사이렌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챔버에 설치되는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이렌서.
KR1020210034908A 2021-03-17 2021-03-17 진공청소차 KR10256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08A KR102567063B1 (ko) 2021-03-17 2021-03-17 진공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08A KR102567063B1 (ko) 2021-03-17 2021-03-17 진공청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50A KR20220129950A (ko) 2022-09-26
KR102567063B1 true KR102567063B1 (ko) 2023-08-16

Family

ID=8345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08A KR102567063B1 (ko) 2021-03-17 2021-03-17 진공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55Y1 (ko) * 2012-12-12 2013-03-13 광림특장공업(주) 진공흡입청소차용 소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2433B1 (en) * 2012-03-09 2020-05-06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775678B1 (ko) 2016-02-12 2017-09-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청소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55Y1 (ko) * 2012-12-12 2013-03-13 광림특장공업(주) 진공흡입청소차용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50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2805B2 (ja) エアクリーナ構造
US7861814B2 (en) Air intake system with flow-diverting plenum box
JP6175560B2 (ja) 掃除機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RU2367331C2 (ru) Пылесос
KR102567063B1 (ko) 진공청소차
KR100686643B1 (ko) 도로용 터널의 집진장치 시설
US7165525B2 (en) Intak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468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CN206956639U (zh) 一种清扫车的扬尘过滤系统
CN203050855U (zh) 汽车尾气的湿式除尘装置
JP3676627B2 (ja) プリクリーナ
CN204984666U (zh) 发动机进气系统出气管组件
RU185930U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мультициклонный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465855Y1 (ko) 진공흡입청소차용 소음기
KR101718122B1 (ko) 집진 필터 모듈을 구비하는 고진공 노면 청소차
CN101392705A (zh) 自动二轮车用空气滤清器
CN101392706B (zh) 自动二轮车用空气滤清器
US10625194B1 (en) Filter cartridges with tubular filter members
JP2014097117A (ja) 集塵機
CN206409326U (zh) 减噪空气滤清器
CN203899330U (zh) 一种空气过滤器
CN217220425U (zh) 过滤件、污水箱和清洁装置
KR20120048272A (ko)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
CN217440134U (zh) 废气颗粒捕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