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538B1 -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 Google Patents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538B1
KR102566538B1 KR1020210139268A KR20210139268A KR102566538B1 KR 102566538 B1 KR102566538 B1 KR 102566538B1 KR 1020210139268 A KR1020210139268 A KR 1020210139268A KR 20210139268 A KR20210139268 A KR 20210139268A KR 102566538 B1 KR102566538 B1 KR 10256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heater
duty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647A (ko
Inventor
구본권
최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5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서비스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건조기로부터 상기 건조기의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서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A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dryer, and a medium storing a program to run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의류 등을 건조하는 건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건조기의 내부에서 의류 등이 건조될 때, 의류에서 린트 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린트 등은 일차적으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하지만, 일부는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지지 않을 수 있으며,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린트 등은 덕트 내부에 쌓일 수 있다.
그런데, 린트 필터 및/또는 덕트 등에 린트 등이 쌓이게 되면,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건조 성능이 저하되어 건조 시간이 지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송풍팬의 소비 전력 증가나 소음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화재까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0-009468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의 사용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의 사용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린트 필터의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 및 배기 덕트의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 방법을 건조기의 사용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장치 및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건조 성능의 저하 및/또는 건조 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장치 및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소비 전력과 소음을 저감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장치 및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동작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매체는 건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사용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건조기의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는 상기 히터의 온 듀티일 수 있다. 여기서, 히터의 온 듀티는 건조 행정에 걸린 시간에 대해 히터가 온인 시간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건조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는 건조기의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건조 행정에 걸린 시간에 대한 정보, 린트 필터의 탈착와 관련된 정보, 및 건조물의 양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건조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건조기의 린트 필터의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 및 건조기 배기 덕트의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건조기, 건조기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서버, 모바일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건조기로부터 상기 건조기의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서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건조기가 건조 행정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상기 히터의 온 시간의 비율인 히터 온 듀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막힘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고, 상기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보다 큰 제2 기준 듀티인 건조 행정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며, 상기 판단 기간 중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막힘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판단 기간 중 건조 행정 별로 상기 히터 온 듀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전에 학습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히터 온 듀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건조기의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 및 건조기의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히터 동작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건조기가 건조 행정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상기 히터의 온 시간의 비율인 히터 온 듀티를 기초로 결정된 감지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는 팝업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기 통신부는 서비스 단말로부터 건조기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기로부터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서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프로세싱 유닛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건조기의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상기 히터의 동작에 대한 정보는 상기 건조기가 건조 행정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상기 히터의 온 시간의 비율인 히터 온 듀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고, 상기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보다 큰 제2 기준 듀티인 건조 행정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며, 상기 판단 기간 중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사전에 학습된 결과를 이용하여,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건조기의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 및 건조기의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린트 필터의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 및 배기 덕트의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건조기 사용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 사용자는 건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건조기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 방법을 건조기의 사용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건조기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건조기의 건조 성능의 저하 및/또는 건조 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건조기의 소비 전력과 소음을 저감하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저장 매체는, 건조기의 동작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서버, 모바일 단말,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감지값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 각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건조기(100), 서비스 서버(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잇다. 사용자 단말(400)은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건조기(100)는 내부 공간에 투입된 빨래를 건조하거나, 또는 내부 공간에 투입된 의류나 침구류 등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건조기(100)는 서비스 서버(200)로 제1 데이터(data1)를 송신할 수 있다. 및/또는, 건조기(100)는 모바일 단말(300)로 제2 데이터(data2)를 송신할 수 있다. 및/또는 건조기(100)는 사용자 단말(400)로 제3 데이터(data3)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데이터(data1), 제2 데이터(data2), 및/또는 제3 데이터(data3)는 건조기(1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번호, 건조기(100) 내부의 공기 흐름에 대한 정보, 건조기(100)의 운전 횟수에 대한 정보, 건조기(100)의 운전 시 내부 공간에 투입된 내용물의 양에 대한 정보, 및 린트 필터의 탈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00)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정보는 건조기(100) 내부의 공기 유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건조기(10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건조기(100)의 사용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기(100)는 사용자에게 린트 필터 및/또는 배기 덕트의 청소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건조기(100)가 사용자에게 건조기(100)의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건조기(100)를 대표로 도시하였으나, 서비스 서버(200)로 제1 데이터(data1)를 송신하는 건조기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조기(100)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위해,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접속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는 와이파이(wifi) 모뎀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기(100)로부터 제1 데이터(data1)를 수신하고, 제1 데이터(data1)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건조기들 각각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200)는 제1 데이터(data1)에 기초하여 건조기(1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건조기의 사용자에게 건조기 상태 정보 및/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 방법이나 사용 방법 등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200)는 내부의 공기 흐름이 막혔다고 판단된 건조기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300)로 제1 메시지(msg1)를 전송하거나, 해당 건조기의 사용자 단말(400)로 제2 메시지(msg2)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건조기의 상태 정보 및/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 방법이나 사용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메시지(msg1) 및/또는 제2 메시지(msg2)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전송되는 팝업 메시지일 수도 있고, 이메일(email)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200)는 건조기(100)로 제3 메시지(msg3)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조기의 상태 정보나,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사용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기 상태 정보는 건조기(1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는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치 방법이나 상기 사용 방법은 린트 필터 및/또는 배기 덕트의 청소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1 메시지(msg1)를 수신하고, 제1 메시지(msg1)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건조기의 상태 정보,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30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에 따라 팝업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건조기의 상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300)은 건조기(100)로부터 제2 데이터(data2)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data2)에 기초하여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건조기의 상태 정보,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200)로 제4 데이터(data4)를 송신할 수 있다. 제4 데이터(data4)는 건조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또는 건조기(100)의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전화 번호 및/또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2 메시지(msg2)를 수신하고, 제2 메시지(msg2)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건조기의 상태 정보,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400)은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으며, 제2 메시지(msg2)은 이메일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건조기(100)로부터 제3 데이터(data3)를 수신하고, 제3 데이터(data3)에 기초하여 건조기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건조기의 상태 정보,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서비스 서버(200)로 제5 데이터(data5)를 송신할 수 있다. 제5 데이터(data5)는 건조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또는 건조기(100)의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캐비닛(101), 드럼(102), 열풍 덕트(103), 린트 필터(104), 블로워 유닛(105), 배기 덕트(106), 및 히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1)은 건조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드럼(102)은 캐비닛(10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102)은 의류나 침구류 등이 투입되는 내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열풍 덕트(103)는 히터(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드럼(102)의 내부 공간(2)으로 유도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린트 필터(104)는 내부 공간(S)에 투입된 내용물(의류나 침구류 등)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예를 들면, 보푸라기 등)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로워 유닛(105)은 건조기(100)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로워 유닛(105)의 동작에 따라 건조기(100)의 내부 공간(S)의 공기가 배기 덕트(106)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건조기(100)의 내부 공간(S)의 공기는 린트 필터(104)를 통해 걸러질 수 있다. 및/또는, 블로워 유닛(105)의 동작에 따라 건조기(100)의 내부 공간(S)의 공기 및/또는 건조기(100)의 외부의 공기가 히터(130) 및 열풍 덕트(103)를 통과하여 내부 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배기 덕트(106)는 내부 공간(S)의 공기를 건조기(100)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배기 덕트(106)는 내부 공간(S)에서 내용물(예를 들면, 의류나 침구류 등)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히터(130)는 내부 공간(S)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건조기(100)의 사용에 따라, 린트 필터(104) 및/또는 배기 덕트(106)에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린트 필터(104) 및/또는 배기 덕트(106)에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 쌓이게 되면, 건조기(100) 내부의 공기 흐름이 막히게 되고, 이 경우 건조기(100) 내부의 다습한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건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건조기(100)의 특정 부분이 과열될 수 있고, 이 경우 화재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제어부(110), 히터 구동부(120), 히터(130), 센서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히터 구동부(1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내부 공간(도 2의 S)의 온도에 따라 히터 구동부(1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블로워 유닛(도 2의 10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내부 공간(도 2의 S)의 습도에 따라 블로워 유닛(도 2의 105)를 제어하여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기 덕트(도 2의 106)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건조기(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도 1에서 설명한 제1 데이터(data1), 제2 데이터(data2), 및 제3 데이터(data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건조기(100)의 상태 정보,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안내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또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CPU), 그래픽처리장치 (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218)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히터 구동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 구동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히터(13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히터(130)는 내부 공간(도 2의 S)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내부 공간(도 2의 S)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내부 공간(도 2의 S)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린트 필터(도 2의 104)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린트 필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을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건조기(100)의 상태 정보, 적절한 조치 방법, 및 적절한 사용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터치 입력 디바이스,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입력 스위치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표준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어부(도 3의 110)가 히터 구동부(120)로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3의 110)는 건조기(100)의 내부 공간(도 2의 S)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구동부(1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히터(도 2 및 도 3의 130)를 온/오프 할 수 있다. 동작 초기에는 내부 공간(도 2의 S)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제어부(도 3의 110)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히터를 온 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도 3의 110)는 내부 공간(도 2의 S)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히터(도 2 및 도 3의 130)가 온 되고, 제2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히터(도 2 및 도 3의 130)가 오프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린트 필터(도 2의 104) 및/또는 배기 덕트(도 2의 106)가 막힌 경우, 내부 공간(도 2의 S)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기가 동작하는 동안에 내부 공간(도 2의 S)의 온도가 많이 내려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건조기(10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즉, 린트 필터(도 2의 104) 및/또는 배기 덕트(도 2의 106)가 막힌 경우)에는, 건조기(10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히터의 온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서버(200), 모바일 단말(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200), 모바일 단말(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서버(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은 도 3에 나타낸 컴퓨팅 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52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통신부(510)를 통해 건조기(도 1의 100)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조기(도 1의 100)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조치 방법 및/또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건조기(도 1의 100)의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520)의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제어부(110)와 유사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건조기(도 1의 100)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감지값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각 단계는 건조기(도 1의 100)의 제어부(도 3의 110) 또는,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도 5의 5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건조 행정 중, 히터(도 2 및 도 3의 130)의 온 시간 및/또는 오프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S110 단계). 건조기(도 1의 100)의 제어부(도 3의 110)가 S110 단계를 수행할 경우, 제어부(도 3의 110)가 히터 구동부(도 3의 120)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히터의 온 시간 및/또는 오프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도 5의 520)가 S110 단계를 수행할 경우, 건조기(도 1의 100)로부터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히터의 온 시간 및/또는 오프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데이터(data1), 제2 데이터(data2), 및 제3 데이터(data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는 히터의 온 시간, 히터의 오프 시간, 및 건조 행정에 소요된 시간 중 2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히터(도 2 및 도 3의 130)의 온 듀티를 연산할 수 있다(S120 단계). 본 발명에서 히터의 온 듀티는 건조 행정에 소요된 총 시간 중에 히터가 온 된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것이 하나의 건조 행정 전체라고 한다면, 히터의 온 듀티는 (T1+T3+T5+T7)/( T1+T2+T3+T4+T5+T6+T7+T8)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값을 결정할 수 있다(S130 단계). 감지값은 S120 단계에서 판단된 히터의 온 듀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의 온 듀티가 제1 기준값(예를 들면, 75%) 이상이면, 감지값은 0이고, 히터의 온 듀티가 제2 기준값(예를 들면, 50%) 이상 제1 기준값 미만이면, 감지값은 1이고, 히터의 온 듀티가 제3 기준값(예를 들면, 25%)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이면, 감지값은 2이고, 히터의 온 듀티가 제4 기준값(예를 들면, 0%) 이상 제3 기준값 미만이면, 감지값은 3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감지값의 결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감지값은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건조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기 내부에서 린트 필터(도 2의 104) 및/또는 배기 덕트(106)에 이물질이 쌓여 막히게 되면, 건조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나빠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히터의 동작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정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각 단계는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도 5의 5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 이상인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및/또는 히터 온 듀티가 제1 기준 듀티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단계). 예를 들면, 건조기(100)는 수행한 건조 행정 마다 감지값 또는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건조기(100)가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경우,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는 히터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감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는 판단 기간(예를 들면, 최근 7일)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예를 들면, "2") 이상인 데이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기간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 이상인 데이터가 있다면,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건조기에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S240 단계). 실시예에 따라,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 방법이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 이상인 데이터가 없다면,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판단 기간(예를 들면, 최근 7일)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보다 작은 제2 기준 감지값(예를 들면, 1)인 경우(및/또는 히터 온 듀티가 제1 기준 듀티보다 큰 제2 기준 듀티인 경우)의 비율이 기준 비율(예를 들면, 40%)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단계).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보다 작은 제2 기준 감지값인 경우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라면,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판단 기간(예를 들면, 최근 7일) 중 건조 시간 지연(예를 들면, 건조 행정에 소요된 시간이 120분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단계).
S2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판단 기간 중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하였다면,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건조기에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S240 단계). 실시예에 따라,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 방법이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사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보다 작은 제2 기준 감지값인 경우의 비율이 기준 비율 미만이거나, S2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판단 기간 중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1 기준 감지값 이상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판단 기간 중 감지값이 제2 기준 감지값인 경우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고 1회 이상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한 경우, 건조기(100)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건조기(100)의 막힘 현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린트 필터는 주기적으로 청소함을 고려하여, 배기 덕트(도 2의 106)의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는 기계 학습이 가능한 신경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 회로망은 복수개의 레이어(layer)(예를 들면, 3개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예를 들면, 2개의 레이어)는 특성 학습(feature learning)을 위한 레이어이고, 나머지(예를 들면, 1개의 레이어)는 구조화(classification)을 위한 레이어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형태의 감지값 및/또는 린트 필터의 탈착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신경 회로망을 학습시킨 후, 학습된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건조기(100)의 린트 필터 막힘 여부 및/또는 배기 덕트 막힘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학습 데이터는 건조 행정 별 건조 의류량, 건조 행정 별 감지값, 건조기의 사용 기간, 건조기의 사용 횟수, 린트 필터의 탈착 여부, 동일한 감지값의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각각의 경우의 린트 필터 막힘 여부 및 배기 덕트 막힘 여부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기계학습된 제어부(520)에 입력 데이터로 건조 행정 별 건조 의류량, 건조 행정 별 감지값, 건조기의 사용 기간, 건조기의 사용 횟수, 린트 필터의 탈착 여부, 동일한 감지값의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520)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린트 필터 막힘 여부 및/또는 배기 덕트 막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서버(도 1의 200), 모바일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520)가 기계 학습 가능한 경우에 학습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 각각의 x축은 건조 행정 횟수를 나타내며, y축은 감지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값이 높다는 것은 히터의 온 듀티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건조기의 린트 필터 및/또는 배기 덕트에 이물질이 누적되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감지값이 낮다는 것은 히터의 온 듀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건조기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T_cl은 린트 필터의 청소 시점을 나타내고, T_bl은 배기 덕트가 막힌 시점을 나타낸다. 린트 필터의 청소 시점은 감지값의 변화로 추정할 수도 있고, 린트 필터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도 있다.
먼저, 도 8을 참고하면, T_cl 시점 이전에는 높은 감지값이 출력되다가, T_cl 시점 이후에는 감지값이 0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_cl 시점에 린트 필터의 청소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T_cl 시점의 데이터에 린트 필터가 탈거되었다가 장착되었다는 정보(즉, 린트 필터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값)가 포함됨으로써 알 수도 있고, T_cl 시점 전후로 감지값의 변화가 큰 것으로부터 추정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데이터 중 T_cl 시점 이전의 데이터는 린트 필터가 막힌 상태이고, 배기 덕트는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면, T_cl 시점 이후에 일시적으로 감지값이 약간 낮아진다. 즉, T_cl 시점에 린트 필터의 청소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도 8과 달리 T_cl 시점 이후에도 감지값이 0이 되지는 않았다. 이후, T_bl 시점 이후에는 전체적으로 감지값이 높아진다. 즉, 린트 필터를 청소한 이후에도 감지값이 확연히 낮아지지 않고, 린트 필터의 청소 후 많은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음에도 감지값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T_bl 시점에 배기 덕트가 막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9에 나타낸 감지값(특히, T_cl 시점 이후의 데이터)은 배기 덕트가 막혔을 때에 출력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일시적으로 감지값이 높은 경우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감지값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10의 데이터는 린트 필터 및 배기 덕트 모두 막히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로서, 일시적인 오류 등으로 인해 감지값이 높은 경우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건조기로부터 수신한 감지값 및/또는 린트 필터의 탈착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제어부(520)에 학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된 제어부(520)에 건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부(520)는 해당 건조기의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 및/또는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 각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사용자(600)는 도 1의 모바일 단말(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0)일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11을 참고하면, 건조기(100)는 서비스 서버(200)에 자신의 제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311 단계). S311 단계에서, 건조기(100)는 자신의 고유 번호(예를 들면, 맥 어드레스 및/또는 일련 번호 등)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data1)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600)는 건조기(100)의 제품 정보와 연계하여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S321 단계). S321 단계에서, 사용자(600)는 자신의 전화 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제4 데이터(data4)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건조기(100)의 제품 정보(예를 들면, 고유 번호)와 사용자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기(100)는 건조 행정 마다 히터 동작과 관련된 정보, 감지값, 린트 필터의 탈착에 관한 정보, 건조 의류량, 및 건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과, 건조기(100)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data1)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31 단계). 건조기(100)는 제1 데이터(data1)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일정 횟수의 건조 행정을 수행했을 때마다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제1 데이터(data1)를 분석하여 건조기(100)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건조기(100)가 막혔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600)에게 막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600)에게 팝업 메시지 형태로 막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이메일 형태로 막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막힘 정보는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 조치 방법, 및 적절한 사용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건조기(100) 및 서비스 서버(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S312 단계는 도 11에서 설명한 S311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S332 단계는 도 11에서 설명한 S331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제1 데이터(data1)를 분석하여 건조기(100)의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건조기(100)가 막혔다고 판단될 경우, 건조기(100)로 막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2 단계). 막힘 정보는 린트 필터의 막힘 여부, 배기 덕트의 막힘 여부, 조치 방법, 및 적절한 사용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막힘 정보를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서버(200)가 막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건조기(100)가 서비스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건조기(100)가 모바일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200) 또는 기타 다른 장치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모바일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건조기의 린트 필터 및/또는 배기 덕트의 막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단말(700)에 막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에서, 서비스 단말(700)는 서비스 센터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서비스 센터의 직원이 가지고 있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S313 단계는 도 11에서 설명한 S311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S333 단계는 도 11에서 설명한 S331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제품에 이상이 생긴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센터로 제품을 입고하거나, 출장 서비스 등을 신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의 직원은 서비스 단말(7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조기의 제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63 단계).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건조기의 막힘 정보를 서비스 단말(700)로 전송할 수 있다(S373 단계). 서비스 센터의 직원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기의 수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건조기 200 : 서비스 서버
300 : 모바일 단말 400 : 사용자 단말
101 : 캐비닛 102 : 드럼
103 : 열풍 덕트 104 : 린트 필터
105 : 블로워 유닛 106 : 배기 덕트
130 : 히터

Claims (16)

  1. 건조기로부터 상기 건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서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 별 건조 의류량, 건조 행정 별 감지값, 건조기의 사용 기간, 건조기의 사용 횟수, 린트 필터의 탈착 여부, 동일한 감지값의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변화 및 사전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린트 필터 청소 시점, 린트 필터 막힘 여부 및 배기 덕트 막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서비스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은 상기 건조기가 건조 행정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히터의 온 시간의 비율인 히터 온 듀티인 서비스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막힘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고, 상기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보다 큰 제2 기준 듀티인 건조 행정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며, 상기 판단 기간 중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막힘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은 상기 건조기가 건조 행정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히터의 온 시간의 비율인 히터 온 듀티를 기초로 결정되는 서비스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수신하는 서비스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는 팝업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서비스 단말로부터 건조기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기로부터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에서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막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기로부터 건조 행정 별 건조 의류량, 건조 행정 별 감지값, 건조기의 사용 기간, 건조기의 사용 횟수, 린트 필터의 탈착 여부, 동일한 감지값의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의 변화 및 사전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린트 필터 청소 시점, 린트 필터 막힘 여부 및 배기 덕트 막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은 상기 건조기가 건조 행정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히터의 온 시간의 비율인 히터 온 듀티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 이하인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고, 상기 판단 기간 중 상기 히터 온 듀티가 상기 제1 기준 듀티보다 큰 제2 기준 듀티인 건조 행정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며, 상기 판단 기간 중 건조 시간 지연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조기에서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16. 삭제
KR1020210139268A 2021-10-19 2021-10-19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256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68A KR102566538B1 (ko) 2021-10-19 2021-10-19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68A KR102566538B1 (ko) 2021-10-19 2021-10-19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47A KR20230055647A (ko) 2023-04-26
KR102566538B1 true KR102566538B1 (ko) 2023-08-10

Family

ID=8609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268A KR102566538B1 (ko) 2021-10-19 2021-10-19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5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18B1 (ko) * 2006-12-2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KR20100094686A (ko) 2009-02-19 201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47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6528B (zh) 用于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US10756922B2 (en) External communications module for household devices
US20170183811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114192A1 (zh) 空调自清洁控制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78100A1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N102026524A (zh) 自清洁机壳
US7992320B2 (en) Clogging detection method for dryer
CN103732823B (zh) 用于操作滚筒干燥机的方法
EP1778909B1 (en) Controlling methof for automatically drying
US20230183906A1 (en) Clothing treatment system and clothing treatment device
CN109477283B (zh) 在处理循环期间纺织件负载量的检测和/或监测
CN107208348A (zh) 烘干机及其控制方法
CN111809340B (zh) 烘干控制方法及装置、烘干设备
KR102566538B1 (ko)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조기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US11598045B2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10395941A1 (en) Embedded temperature sensors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articles and status of drying or cleaning cycles
WO2015127995A1 (en) Laundry dryer with a cloth disentangling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722842A (zh) 一种衣物数据收集分析方法及系统
EP2034086B1 (en) Household tumble dryer with an improved cycle termination
US11212388B2 (en) Serve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in
CN113529335A (zh) 晾衣机空闲晾衣点的确定方法、洗衣机及晾衣机
CN113671839A (zh) 晾衣设备控制方法、晾衣设备及洗涤设备
CN112639197A (zh) 洗衣机及与其连接的电子设备
CN114877485B (zh) 用于空调器防潮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