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49B1 -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49B1
KR102566449B1 KR1020180129784A KR20180129784A KR102566449B1 KR 102566449 B1 KR102566449 B1 KR 102566449B1 KR 1020180129784 A KR1020180129784 A KR 1020180129784A KR 20180129784 A KR20180129784 A KR 20180129784A KR 102566449 B1 KR102566449 B1 KR 10256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deck
tank
disposed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090A (ko
Inventor
오거성
이제명
김종석
유동근
정종헌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4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B63B2701/1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연료로써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와, LNG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스를 추진용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을, 선미부에 마련되는 엔진룸에 인접한 카고홀드에 배치하여, 연료가스 공급을 위한 배관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Arrangement of LFS System on Container Ship located adjacent to the Engine Room}
본 발명은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LNG Fuel System) 시스템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NG를 연료로 추진하는 컨테이너 선박에서 엔진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카고홀드 내부에 LFS 시스템을 배치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의 각종 선박은 엔진을 구동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선박의 추진 연료로 벙커C유 등의 중유(HFO)(혹은 MDO)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추진 연료로 사용되는 중유를 연소시킬 시,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문제가 있다. 환경오염 장지를 위한 요구는 범세계적으로 점차 강화되고 있으므로, 중유를 연료유로 사용하는 추진장치에 대한 규제 역시 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연료로 중유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는 대신에,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이하 'LNG'라 함)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로 냉각하여 액화시킨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다. 또한, LNG는 액화에 의해 1/600의 부피로 줄어들기 때문에 저장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LNG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추세와 더불어, 컨테이너 선박 역시 추진연료로 LNG를 사용하여 운항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대하여, 엔진룸의 전방에 설치되는 LNG 연료탱크로부터 선박의 추진장치까지의 LNG 연료공급을 위한 각종 장비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하여, 선내 공간 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의 배치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엔진룸의 전방에 LNG 연료탱크가 배치되는 선박에 관한 특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752959호(컨테이너선), 국내 등록특허 제10-1606701호(컨테이너 선박 및 그 배치 구조) 등이 있지만, 상기 특허들은 엔진에 대한 LNG 연료탱크의 배치에 관한 사항만 기술되어 있을 뿐, 연료가스 공급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에 연관되는 관련 설비의 배치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기술된 것은 아니다.
또한, 현재 엔진룸의 전방에 LNG 연료탱크를 배치하고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중에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특허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선실의 하측에 LNG 연료탱크를 배치하는 기존 기술에 추가하여, 연료가스 공급시스템(FGSS)와 관련되는 전반적인 배치에 관한 기술을 더하여, 실선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선박의 배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미부의 어퍼 데크 하부에 배치되며,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하는 엔진이 마련되는 엔진룸; 상기 엔진룸에 인접한 카고홀드에 상기 어퍼 데크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데크; 상기 제2 데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LNG 연료탱크에 저장된 LNG 또는 상기 LNG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BOG를 선박의 추진장치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LNG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돔(dome)의 일부를 포함하는 탱크 연결부; 및 상기 LNG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BOG를 배출하는 벤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파이프는 상기 엔진룸의 상측 어퍼 데크 상에 배치되는 연돌의 상부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탱크 연결부는 선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제2 데크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은 상기 탱크 연결부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에, 상기 탱크 연결부에 대하여 선체의 전방 측에 상기 탱크 연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데크 상에서 선체의 좌측벽 및 우측벽에 접하도록,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배치되는 벙커링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 연결부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 사이에는 LNG가 이송되는 배관들이 구비되는 파이프 트렁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드라이 파우더 및 질소가 저장되는 드라이 파우더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 파우더룸은 상기 탱크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NG 연료탱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에는 코퍼댐이 설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 상기 탱크 연결부 및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이 배치되는 구역의 상측 어퍼 데크는 단열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형성되는 사이드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탱크 연결부 및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에는 상기 사이드 통로로부터 이어지는 복도로 통하는 출입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출입구는 이중 도어를 가지는 에어로크(air-lock) 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탱크 연결부의 출입구는 에어로크로부터 상기 탱크 연결부의 내부로 연결되는 내측 도어가 볼티드 해치(bolted hatch)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탱크 연결부에는 비상탈출용 도어가 더 설치되고, 상기 비상탈출용 도어는 인사이드로크(inside-lock)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는, 선미부의 어퍼 데크 하부에 배치되며,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하는 엔진이 마련되는 엔진룸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는, 상기 엔진룸에 인접한 카고홀드에서 상기 어퍼 데크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데크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LNG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스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LNG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돔의 일부를 포함하는 탱크 연결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LNG 연료탱크로 LNG를 벙커링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은,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NG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상기 엔진룸의 상측 어퍼 데크 상에 배치되는 연돌의 상부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로 연장되는 벤트 파이프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LNG 연료탱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에 코퍼댐을 설치하여, 상기 LNG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 사이를 상호 격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LNG를 연료로 추진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과 관련되는 전반적인 배치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여, 실선에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구조가 적용된 컨테이너 선박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LNG 연료탱크의 상측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데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는 탱크 연결부의 출입구조를 나타내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구조가 적용된 컨테이너 선박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LNG 연료탱크의 상측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데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는 탱크 연결부의 출입구조를 나타내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선미부 어퍼 데크(Upper Deck) 하부에 배치되며,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하는 엔진이 마련되는 엔진 룸(E/R); 엔진룸에 인접한 카고홀드(Cargo Hold)에 상기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100); 및 LNG 연료탱크(100)로부터 추진용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Fuel Gas Supply Room, 2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에서, 엔진룸과, 엔진룸에 인접하여 LNG 연료탱크(100) 및 연료가스 공급룸(210) 등이 배치되는 카고홀드를 제외한 선체 내부 및 어퍼 데크 상에는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된다.
엔진룸에 마련되는 선박의 추진용 엔진으로는, 예컨데 DFDE(Dual Fuel Diesel Electric)와 같은 저압가스 분사엔진이나, ME-GI와 같은 고압가스 분사엔진, 그리고 가스터빈 등을 활용할 수 있는데, 이종(異種)연료를 연료로써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밖의 추진장치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LNG 연료탱크(100)는 극저온의 LNG가 수용되기 위하여 적절한 수준의 단열 및 밀봉 시스템을 포함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멤브레인형 또는 독립형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연료가스 공급룸(210)은 LNG 연료탱크(100)로부터 추진용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LNG 연료탱크(100)에 저장된 LNG 또는 LNG 연료탱크(10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Boil-Off Gas, BOG)를 엔진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온도 및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연료 공급용 장치로는, LNG의 처리를 위한 고압펌프 및 기화기, BOG의 처리를 위한 압축기, 그리고 열교환기 등이 있다.
연료가스 공급룸(210)의 상부에는 자재 및 장비의 출입을 위한 해치(H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추진 연료로써 사용되는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100)와, LNG 연료탱크(100)로부터 추진용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210)이, 엔진룸의 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카고홀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진룸에서 LNG 연료탱크(100) 및 연료가스 공급룸(210)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면, 연료가스가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연료공급 조건과 오차가 발생하여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극저온의 연료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이 길어짐에 따라 단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료가스 공급을 위한 배관 길이를 단축함으로써 효과적인 연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엔진룸에서 가장 인접한 카고홀드에 LNG 연료탱크(100)와 연료가스 공급룸(210)을 배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이 길어지면 단열 측면에서 열손실이 증대될 수 있기 때문에, 연료가스 공급룸(210) 및 후술할 벙커링 스테이션(Bunkering Station, 240) 또한 LNG 연료탱크(100)와 가능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엔진룸의 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카고홀드의 저부에 LNG 연료탱크(100)를 배치하고, LNG 연료탱크(100)의 상부에 근접하게 연료가스 공급룸(210) 및 벙커링 스테이션(240)을 배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엔진룸의 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카고홀드 내부에 어퍼 데크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데크(2nd Deck)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210)을 제2 데크 상에 배치한다.
LNG 연료탱크(100)는 제2 데크의 하측에 배치하되, LNG 연료탱크(100)와 제2 데크 사이에 코퍼댐(cofferdam, 20)을 형성함으로써, LNG 연료탱크(100)와 연료가스 공급룸(210) 사이를 상호 격리하여 서로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코퍼댐(20)이란 한 쌍의 격벽(bulk head) 사이에 빈 공간, 즉 보이드(void)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한편, LNG 연료탱크(100)의 내부에서는 지속적으로 BOG가 발생하여 탱크 내압력 상승을 초래하고, 이러한 탱크의 압력 상승을 방치하면 폭발 등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LNG 연료탱크(100)에는 기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파이프(VP)가 연결된다.
벤트 파이프(VP)는 엔진룸의 상측 어퍼 데크 상에 배치되는 연돌(Funnel)의 상부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VM)로 연장되어, LNG 연료탱크(100)에서 기화된 가스가 벤트 마스트(VM)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데크 상에는 LNG 연료탱크(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돔(dome)의 일부가 위치하는 탱크 연결부(Tank Connection Space, 220); 화재 진압을 위한 드라이 파우더 및 질소가 저장되는 드라이 파우더룸(Dry Powder Room, 230); 및 LNG 연료탱크(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LNG 연료탱크(100)로 LNG를 벙커링하는 벙커링 스테이션(2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탱크 연결부(220)는 LNG 연료탱크(100)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구역으로서, LNG 연료탱크(100)로부터 LNG 또는 BOG를 연료로써 추진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액화가스 공급라인 또는 증발가스 공급라인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로 LNG 연료탱크(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돔의 일부를 포함한다.
LNG 연료탱크(100)의 돔이 코퍼댐(20)과 제2 데크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탱크 연결부(220) 내부에는 돔의 상단이 위치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 공급라인 또는 증발가스 공급라인을 통해 LNG 연료탱크(100)로부터 토출되는 LNG 또는 BOG는, 연료가스 공급룸(210)에 의해 적절히 처리되어 추진용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료가스 공급룸(210)에서 추진용 엔진까지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선체 하부 혹은 측면에 연료가스 공급용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탱크 연결부(220)의 상부에는 LNG 연료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카고 펌프 등의 유출입을 위한 해치(H2)가 설치될 수 있다.
탱크 연결부(220)는 제2 데크 상에서 선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 배치되고, 탱크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선체의 우현측(혹은 좌현측)에 연료가스 공급룸(210)이 배치되며, 선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연료가스 공급룸(210)의 반대측에 드라이 파우더룸(230)이 배치될 수 있다.
연료가스 공급룸(210)과 드라이 파우더룸(230)은 선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탱크 연결부(220)는 연료가스 공급룸(210)의 후방측에 연료가스 공급룸(21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탱크 연결부(220)는 연료가스 공급룸(210)와 별도의 룸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돔의 주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LNG 연료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카고 펌프(cargo pump) 등의 장비들의 인입이나 인출이 효율적으로 구현하고, 또한 작업자가 돔에 형성되는 연료 공급라인 또는 각종 장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에 관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719918호에는, 연료가스 공급룸 내에 서브 스페이스로 탱크 연결룸을 두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단열을 위한 과도한 인슐레이션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ISO 및 실제 선급에서도 적용을 꺼리는 배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료가스 공급룸(210)과 탱크 연결부(220)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들 상호간에 간격을 두는 배치를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룸에 대한 단열 적용과 리스크(risk) 관리가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벙커링 스테이션(240)은 선박의 운항, 정박, 근접 등의 용이성을 위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마련되며, 벙커링 스테이션(240)의 측면을 통해 벙커링 수단이 유입되어 벙커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벙커링 스테이션(240)은 측면이 선체의 외벽 상에 노출되도록 선체의 좌측벽 및 우측벽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스테이션(240)은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통로(Side Passage way)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이드 통로는 벙커링 스테이션(240)을 우회하도록 경로가 변경 설계될 수 있다.
만약 벙커링 스테이션(240)이 선박의 어퍼 데크 상에 설치되면, 벙커링 스테이션(240)의 구조물에 의해 해당 구역에 컨테이너를 선적할 수 없게 되어 적재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은 벙커링 스테이션(240)을 어퍼 데크의 하측에 마련함으로써 어퍼 데크 상의 컨테이너 적재 공간을 침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LNG를 이송하는 배관이 길어지면 단열 측면에서 열손실이 증대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본 발명은 벙커링 스테이션(240)을 LNG 연료탱크(100)의 상부에 근접하게 배치한다.
벙커링 스테이션(240)과 탱크 연결부(220) 사이에는 LNG가 이송되는 배관들이 구비되는 파이프 트렁크(Pipe Trunk, 2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는 각 룸(210, 220, 230, 240)으로의 출입은 사이드 통로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룸(210, 220, 230, 240)에는 사이드 통로로부터 이어지는 복도(corridor)로 통하는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위험구역으로 분류되는 연료가스 공급룸(210), 탱크 연결부(220), 그리고 벙커링 스테이션(240)의 출입구는 에어로크(air-lock)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탱크 연결부(220)의 에어로크 출입구조(도 3 참조)는, 복도로 연결되는 에어로크의 외측 도어는 힌지 운동에 의한 개폐가 가능한 기밀식 도어(gastight door)로 마련되고, 탱크 연결부(220)의 내부로 연결되는 에어로크의 내측 도어는 볼티드 해치(bolted hatch)의 형태로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에어로크 구조는, 에어로크의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를 모두 기밀된 힌지 도어(hinged door)로 마련하는 구조인데, 탱크 연결부(220)는 LNG 연료탱크(100)의 돔이 위치하는 공간이므로 엄격한 기밀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통상의 에어로크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통상의 에어로크 구조로는 선급에서 규정하는 바를 만족시키지도 못한다.
본 발명은 탱크 연결부(220)에 내측 도어를 볼티드 해치 형태로 마련하는 에어로크 출입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탱크 연결부(220)에 대한 엄격한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선급 규정 또한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위험구역으로 분류되는 연료가스 공급룸(210) 및 탱크 연결부(220)에는 에어로크 출입구조 외에 비상탈출용 도어(escape door)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비상탈출용 도어는 안쪽에서만 개폐가 가능하도록 인사이드로크(inside-lock)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연료가스 공급룸(210), 탱크 연결부(220) 및 벙커링 스테이션(240)은 모두 위험구역으로 분류되는 구역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 구역을 같은 데크 상에 배치함으로써, 위험구역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데크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화재나 폭발 등에 의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가스 공급룸(210), 탱크 연결부(220) 및 벙커링 스테이션(240)이 배치되는 구역의 상측 어퍼 데크는 예컨데 A-60 격벽과 같이 화재 발생시 열과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단열 격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는 각 룸(210, 220, 230, 240)과 어퍼 데크 사이에는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를 두어 상호 격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료가스 공급룸(210)과 탱크 연결부(220)는 액화가스를 다루는 구역으이므로 벤틸레이션(ventilation)이 요구될 수 있다.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는 각 룸(210, 220, 230, 240)의 벤틸레이션은 IFG Code의 요구사항(Mech. Exh. - 30 AC/h)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LNG 연료탱크
210 : 연료가스 공급룸 220 : 탱크 연결부
230 : 드라이 파우더룸 240 : 벙커링 스테이션
250 : 파이프 트렁크
H1, H2 : 해치 VP : 벤트 파이프
VM : 벤트 마스트

Claims (11)

  1. 선미부의 어퍼 데크 하부에 배치되며,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하는 엔진이 마련되는 엔진룸;
    상기 엔진룸에 인접한 카고홀드에 상기 어퍼 데크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데크;
    상기 제2 데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LNG 연료탱크에 저장된 LNG 또는 상기 LNG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BOG를 선박의 추진장치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LNG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돔(dome)의 일부를 포함하는 탱크 연결부; 및
    상기 LNG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BOG를 배출하며 상기 엔진룸의 상측 어퍼 데크 상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로 연장되는 벤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탱크 연결부는 각각 별도의 룸으로 마련되어 분리 배치되되, 상기 탱크 연결부는 선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제2 데크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은 상기 탱크 연결부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에 배치되며,
    상기 돔은 상기 제2 데크를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탱크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탱크 연결부는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를 포함하여 이중의 에어로크 출입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은 상기 탱크 연결부에 대하여 선체의 전방 측에 상기 탱크 연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데크 상에서 선체의 좌측벽 및 우측벽에 접하도록,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배치되는 벙커링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 연결부와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 사이에는 LNG가 이송되는 배관들이 구비되는 파이프 트렁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드라이 파우더 및 질소가 저장되는 드라이 파우더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 파우더룸은 상기 탱크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LNG 연료탱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에는 코퍼댐이 설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 상기 탱크 연결부 및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이 배치되는 구역의 상측 어퍼 데크는 단열 격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형성되는 사이드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탱크 연결부 및 상기 벙커링 스테이션에는 상기 사이드 통로로부터 이어지는 복도로 통하는 출입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출입구는 이중 도어를 가지는 에어로크(air-lock) 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탱크 연결부의 출입구는 에어로크로부터 상기 탱크 연결부의 내부로 연결되는 내측 도어가 볼티드 해치(bolted hatch)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탱크 연결부에는 비상탈출용 도어가 더 설치되고, 상기 비상탈출용 도어는 인사이드로크(inside-lock)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8. 선미부의 어퍼 데크 하부에 배치되며, LNG를 연료로 공급받아 추진하는 엔진이 마련되는 엔진룸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서,
    상기 LNG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를 상기 엔진룸에 인접한 카고홀드에서 상기 어퍼 데크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데크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LNG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스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LNG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돔의 일부를 포함하는 탱크 연결부를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하되,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과 상기 탱크 연결부를 각각 별도의 룸으로 구획하여 분리 배치하고,
    상기 돔은 상기 제2 데크를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탱크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탱크 연결부는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를 포함하여 이중의 에어로크 출입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LNG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파이프를 상기 엔진룸의 상측 어퍼 데크 상에 배치되는 연돌의 상부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로 연장하여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LNG 연료탱크와 상기 제2 데크 사이에 코퍼댐을 설치하여, 상기 LNG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 사이를 상호 격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LNG 연료탱크로 LNG를 벙커링하는 벙커링 스테이션을 상기 연료가스 공급룸 및 상기 탱크 연결부와 함께 상기 제2 데크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20180129784A 2018-10-29 2018-10-29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256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84A KR102566449B1 (ko) 2018-10-29 2018-10-29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84A KR102566449B1 (ko) 2018-10-29 2018-10-29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90A KR20200048090A (ko) 2020-05-08
KR102566449B1 true KR102566449B1 (ko) 2023-08-11

Family

ID=7067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784A KR102566449B1 (ko) 2018-10-29 2018-10-29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96A (ko) 2020-12-31 2022-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연료 추진 컨테이너 선박의 배치구조 및 상기 lng 연료 추진 컨테이너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CN113428293B (zh) * 2021-07-21 2022-08-3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油船船舱布置系统
CN115258041A (zh) * 2022-07-08 2022-11-01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用于lng双燃料船的lng透气桅架
JP2024010807A (ja) * 2022-07-13 2024-01-25 三菱造船株式会社 浮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16B1 (ko) * 2009-10-16 2012-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95895B1 (ko) * 2016-06-21 2017-0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주입 도어를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728B1 (ko) * 2015-02-09 2016-1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20160120177A (ko) * 2015-04-07 2016-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16B1 (ko) * 2009-10-16 2012-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95895B1 (ko) * 2016-06-21 2017-0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주입 도어를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9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449B1 (ko) 엔진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1966581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1780116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327407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075978B1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2327408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95978B1 (ko) 벙커링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297873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340141B1 (ko) 선박
KR20230078041A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2670761B1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459475B1 (ko) 선박
KR102459476B1 (ko) 선박
KR102297871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00077837A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102340138B1 (ko) 선박
KR20240025313A (ko)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배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20220163253A (ko) 선박
KR20220147451A (ko) 선박
KR20220147442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