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393B1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393B1
KR102566393B1 KR1020200082178A KR20200082178A KR102566393B1 KR 102566393 B1 KR102566393 B1 KR 102566393B1 KR 1020200082178 A KR1020200082178 A KR 1020200082178A KR 20200082178 A KR20200082178 A KR 20200082178A KR 102566393 B1 KR102566393 B1 KR 10256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on
collection container
docking
uni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2057A (en
Inventor
김시현
김현철
권기환
한정균
이현주
차승용
최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393B1/en
Publication of KR2021000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57A/en
Priority to PCT/KR2021/005933 priority patent/WO2022005013A1/en
Priority to CN202180046785.4A priority patent/CN115734735A/en
Priority to EP21831600.8A priority patent/EP4154786A4/en
Priority to KR1020220010213A priority patent/KR102470035B1/en
Priority to US18/089,993 priority patent/US20230146588A1/en
Priority to KR1020230103476A priority patent/KR20230121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18Impermeable dust collect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 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터리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진공 청소기와 연결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도킹 스테이션은 배터리와 접촉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와,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부와, 도킹부에 도킹된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도킹부는 집진통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 1방향과 다른 제 2방향으로 개방되는 도킹 개구를 포함한다.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battery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charging unit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in contact with the battery, a docking unit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box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and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ion box docked in the docking unit. and a suction device for suctioning, and the docking portion includes a docking opening that open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inserted therein.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Cleaning device compris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 내부 먼지를 자동 배출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king station and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dust inside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를 포함하여, 팬 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한 후 집진하여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ncludes a fan moto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sucks 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long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separates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from the air, and then collects dust for cleaning. It is a device that makes it work.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진공 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통에서부터 배출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074055호에 개시되어 있다.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dust collection containe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the user must periodically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rom the vacuum cleaner and discharge them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4055.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으로 이물질을 집진통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docking station of a vacuum cleaner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dust collection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의 충전과 동시에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docking station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of a vacuum cleaner and simultaneous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dust collection contain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 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터리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진공 청소기와 연결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배터리와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부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집진통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제 2방향으로 개방되는 도킹 개구를 포함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battery generating suction force,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re collected, and a d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charging unit provided to contact the battery and charge the battery, a docking unit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tub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tube, and the docking unit docked in the docking unit. and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e docking part includes a docking opening that open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serted.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도킹부보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harg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docking unit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방향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방향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집진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의 연장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도킹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box includes a body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around an extension shaf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unit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axis of the dust collection box.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통을 연결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의 장축과 상기 집진통의 연장축은 대략 직교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n extension tube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box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long axis of the extension pipe and the extension axis of the dust collection box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provided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통을 연결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부와 도킹될 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연장관의 장축이 상기 제 1방향이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n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ocked with the docking unit,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be supported on the docking station so that the long axis of the extension tube extend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집진통은 상기 바디의 연장축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집진통 개구와 상기 집진통 개구를 개폐하는 집진통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개구에 삽입될 시 상기 집진통 도어는 상기 도킹부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box further includes a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open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shaft of the body and a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When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is provided to be disposed inside the docking unit.

또한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 도어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고, 외력이 가압될 시 상기 집진통 도어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개구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box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provided to fix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to the body and provid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dock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stalled in the body. It is provided to press the fixing member when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또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개부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개방 가이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ocking unit includes an opening guide provided to press the fixing member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또한 상기 집진통 도어는 상기 바디의 일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개구에 삽입될 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집진통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is provided to be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disposed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body, and when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the rotation shaft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provided to be placed on top of.

또한 상기 집진통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바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provided such that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is biased toward the body.

또한 상기 집진통은 상기 바디와 상기 집진통 도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성부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box further includes a pair of magnetic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body and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또한 상기 집진통 도어는 상기 흡입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흡입장치에서 형성되는 흡입 기류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is provided to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by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when the suction device is driven.

또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흡입 장치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를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 상기 도킹부, 상기 포집부 및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lowing through the intake airflow formed by the suction device, and the charging unit, the docking unit, the collection unit, and the suction device are configured to arranged in sequential ord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 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터리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집진통과 각각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도킹되는 도킹 개구가 형성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도킹면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도킹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충전부와, 상기 도킹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도킹부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도킹 개구 삽입되도록 마련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generating suction force,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respectively. The sta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docking surface having a dock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dust collection box is docked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charging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formed on top of the docking surface in the first direction; , a dock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ocking opening and provided to insert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device, where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충전부와 상기 흡입 장치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harging unit and the suction device operate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과,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통을 연결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도킹되는 도킹 개구가 형성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도킹면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도킹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이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제 2방향으로 삽입되는 도킹부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연장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dust collected from the suction unit, and an extension tube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docking station has a docking opening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ocked and has a long axi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main body including a docking surface, a dock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ocking opening and insert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pipe extends.

또한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이다.Also,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s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모터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청소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cleaner body having a motor for generating suction airflow,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eaner bod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 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뿐만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can automatically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vacuum cleaner as well as charge the battery of the vacuum cleaner through the docking station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이 도킹 스테이션에 상하 방향으로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될 시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효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collection box of the vacuum cleaner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statio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 있어서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기 전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흡입 장치가 구동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기 전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기 전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개방 가이드가 구동된 상태에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12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tation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docking sta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docking statio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uction device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and an opening guide is drive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upper side", "lower side", and "front and rear direction"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 있어서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tation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docking sta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docking statio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ed ther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part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device.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청소장치(1)는 청소기(10)와, 도킹 스테이션(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cleaning device 1 may include a cleaner 10 and a docking station 100 .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1)와,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관(17)과, 연장관(1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18)과,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집진통(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10 includes a cleaner body 11, an extension tube 17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 a suction unit 18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tube 17, and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included.

청소기 본체(11)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 may include a suction motor (not shown) generating a suction force requir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집진통(20)은 흡입모터(미도시)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메인 흡입유닛(18)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진통(20)은 청소기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와 집진통(20)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의미는 사용상으로 임의로 집진통(20)이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되는 의미가 없는 구조를 뜻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진통(20)은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air flow rather than a suction motor (not shown) to filter out and collect dust or dirt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suction unit 18 .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eaner body 11 . The fact that the cleaner body 11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re integrally formed means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11 in us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cleaner body 11 .

청소기 본체(1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4)을 잡고, 청소기(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 may include a handle 14 so that a user can hold and manipulate the cleaner 10 . A user may hold the handle 14 and move the cleaner 10 forward and backward.

청소기 본체(11)는 집진통(20)과 연장관(17) 및 흡입유닛(18)를 연결시켜 집진통(20)으로 이물질을 가이드 하는 집진 가이드(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guide 15 for guid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by connect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the extension pipe 17 , and the suction unit 18 .

집진 가이드(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집진통(20)으로 가이드하면서 상술한 연장관(17)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집진 가이드(15)는 연장관(17) 외 흡입유닛(18)와 직접 결합되거나 보조 흡입 유닛과 같은 다른 구성들과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on guide 15 may be combined with the above-described extension tube 17 while guiding the foreign matter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guide 15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8 other than the extension pipe 17 or coupled to other components such as an auxiliary suction unit.

연장관(17)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X)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sion pipe 17 may be extended to have a long axis (X) extending in one direc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집진 가이드(15)와 결합시켜 청소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leaning by combining various configurations with the dust collection guide 15 according to the cleaning situation.

집진통(20)은 연장관(17)의 장축(X)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Y)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집진 가이드(15)는 집진통(20)의 연장축(Y)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관(17)의 장축(X)이 향하도록 연장관(17)과 결합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extension axis Y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X of the extension tube 17 extends.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guide 15 may be coupled with the extension pipe 17 so that the long axis X of the extension pipe 17 is direc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집진통(20)과 연장축(Y)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22)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body 22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nd the extension shaft Y.

집진통(20)은 원통 형상의 바디(22)를 통해 원심 회전 분리를 통해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20)은 이물질을 원심 회전 분리로 집진하도록 멀티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through centrifugal separation through the cylindrical body 22 .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may include a multi-cyclon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by centrifugal separation.

집진통(20)은 연장축(Y)의 연장방향으로 집진 가이드(15)와 연결되는 부분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집진통(20)을 개폐하는 집진통 도어(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dispos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guide 15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sion shaft 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집진통(20)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포집될 시 사용자는 집진통 도어(21)를 개방하여 집진통(20)에 집진된 이물질을 집진통(20)으로부터 배출 시킬 수 있다.When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the user may op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to discharge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자세하게는 집진통 도어(21)는 집진통(20)의 바디(22)의 일단에 형성되고 연장축(Y)의 연장 방향으로 개방되는 집진통 개구(23)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detail,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23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22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nd open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sion shaft Y.

집진통 개구(23)는 연장관(17)의 장축(X)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box opening 23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X of the extension tube 17 extends.

집진통(20)을 중심으로 핸들(14)은 연장관(17)이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Wit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s the center, the handle 14 may be dispos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pipe 17 is disposed.

청소기(10)는 청소기(1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는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터리(16)는 핸들(1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10 may include a battery 16 provided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cleaner 10 . The battery 16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1 . Specifically, the battery 16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andle 14 .

이에 따라 배터리(16)는 집진통(20)을 중심으로 연장관(17)이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16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pipe 17 is disposed around the dust collector 20 .

배터리(16)는 후술할 도킹 스테이션(100)에 마련되는 충전단자(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6)는 도킹 스테이션(100)에 마련되는 충전단자(12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The battery 1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123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battery 16 may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harging terminal 123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

도킹 스테이션(100)는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충전될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configured to store or mount the cleaner 10 therein. The cleaner 10 may be charg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

도킹 스테이션(100)은 도킹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body housing 110 forming an exterior of the docking station 100 .

본체 하우징(1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장축은 바람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은 대략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110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long axis of the body housing 110 may preferabl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킹 스테이션(100)은 청소기(10)의 핸들(14)과 도킹되어 배터리(1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charger 120 docked with the handle 14 of the cleaner 10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16 .

충전부(120)는 배터리(16)이 안착되는 배터리 안착부(121)와 배터리(16)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122) 및 배터리(16)가 충전부(120)에 안착될 시 배터리(16)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20 includes a battery seating unit 121 on which the battery 16 is seated, a battery guide 122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battery 16, and a battery 16 when the battery 16 is seated on the charging unit 120. ) It may include a charging terminal 123 for supplying power.

배터리(16)는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10)는 하나 이상의 교체 가능한 배터리(16)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attery 16 may b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cleaner body 11 . Accordingly,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with one or more replaceable batteries 16 .

배터리(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청소기(10)의 본체(11)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충전부(120)는 배터리(16)가 배치되는 본체(11)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어 배터리(16)가 충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attery 16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 of the cleaner 10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120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11 on which the battery 16 is placed is seated so that the battery 16 is charged.

청소기(10)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연장 방향인 제 1방향(A)에 대해 대략 직교되는 방향인 제 2방향(B)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에 접근되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 이는 청소기(10)의 배터리(16)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는 동시에 청소기(10)의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기 위함이다.The cleaner 10 approaches the docking station 100 in a second direction B, which is approximately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100, and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can This is for the battery 16 of the cleaner 10 to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of the cleaner 10 to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at the same time.

종래의 도킹 스테이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킹 스테이션(100)은 추가적으로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집진통(20) 내부에 진집된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ocking sta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a battery when the cleaner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The docking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ischarges dust collected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when the cleaner 10 is additionally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o increase consumer convenience. can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청소기(10)의 사용 후 집진통(20)에 집진된 이물질을 직접 비워주어야 하여 번거로움이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청소기(10)가 도킹될 시 집진통(20)과 직접 도킹되어 집진통(20)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after using the cleaner 10, the user has to directly empty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which is inconvenient. However,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he docking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docked wit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o automatically remove dust collect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청소기(10)가 도킹될 시 청소기(10)의 배터리(16)를 충전하는 동시에 집진통(20)에 집진된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겠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도킹 스테이션(100)이 선택적으로 청소기(10)를 충전만 하도록 마련되거나, 충전 및 집진통(20)의 먼지가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16 of the cleaner 10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and to automatically discharg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t the same time. It can be.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by the user's selection, the docking station 100 is provided to selectively only charge the cleaner 10, or the charging and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of dust may be provided to be discharged.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30)를 포함하여 집진통(20)에 집진된 먼지를 집진통(2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suction device 130 to discharg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도킹 스테이션(100)은 사용자가 흡입 장치(130)를 구동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콘트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사용자는 콘트롤부(미도시)에 신호를 입력하여 도킹 스테이션(100)이 청소기(10)의 배터리(16)를 충전하면서 동시에 집진통(20)에 집진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도킹 스테이션(1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signal to drive the suction device 130 .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user inputs a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so that the docking station 100 charges the battery 16 of the cleaner 10 and simultaneously removes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ocking station 100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청소기(10)가 도킹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의 감지 값이 전달될 시 흡입 장치(130)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신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청소기(10)가 도킹될 시 자동으로 흡입 장치(130)가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docking station 100 drives the suction device 130 when a detection value of a sensor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the docking of the cleaner 10 is transmitted. The suction device 130 may be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without a user inputting a separate signal.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도록 마련되는 도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docking unit 140 provided to dock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o the docking station 10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0)은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방향(A)은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housing 110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The first direction (A)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킹부(14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킹부(140)는 본체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으로 충전부(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40 may be disposed above the body housing 110 . The docking unit 14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harging unit 12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10 .

바람직하게는 충전부(120)는 본체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으로 상단에 배치되고 도킹부(140)는 충전부(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unit 120 is disposed at an upper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10 and the docking unit 14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harging unit 120 .

이에 따라 청소기(10)의 배터리(16)가 배치되는 측이 제 1방향(A)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연장관(17)이 배치되는 측이 제 1방향(A)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ner 10 such that the battery 16 of the cleaner 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extension tube 17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 )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

흡입 장치(130)는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 장치(130)는 본체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device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housing 110 . In detail, the suction device 13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10 .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150)는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150)는 흡입 장치(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collecting unit 150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The collecting unit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housing 110 . The collecting unit 150 may be disposed above the suction device 130 .

본체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으로 충전부(120), 도킹부(140), 포집부(150) 및 흡입 장치(1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harging unit 120, the docking unit 140,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suction device 13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110.

도킹 스테이션(100)은 도킹부(140)와 포집부(150)를 연결하고 집진통(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도킹부(140)을 통해 포집부(150)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14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로(141)는 도킹부(140)와 포집부(150)를 연결하도록 본체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connects the docking unit 140 and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suction passage ( 141) may be included. The suction passage 141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10 so as to connect the docking unit 140 and the collecting unit 150 .

도킹부(140)는 흡입 유로(141)와 연통되고 집진통(20) 안착되는 안착 공간(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부(140)는 도킹 스테이션(100) 외부에서부터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에(100) 도킹되도록 마련되는 도킹 개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40 may include a seating space 142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assage 141 and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seated. The docking unit 140 may include a docking opening 143 provided to dock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o the docking station 100 from outside the docking station 100 .

집진통(20)의 적어도 일부는 도킹 개구(14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20)은 도킹 개구(143)를 통해 안착 공간(142) 상에 안착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143 .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space 142 through the docking opening 143 .

도킹 개구(143)는 본체 하우징(110)의 장축의 연장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도킹 개구(143)는 제 1방향(A)에 직교되는 제 2방향(B)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The docking opening 143 may ope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body housing 110 . That is, the docking opening 143 may open toward a second direction (B)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

상술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도킹 개구(143)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측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station 100 is provided in a box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ocking opening 143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100 .

안착 공간(142)의 일단은 도킹 개구(143)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안착 공간(142)의 타단은 흡입 유로(141)와 연통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공간(142)은 제 2방향(B)에서부터 제 1방향(A)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ating space 14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ocking opening 143 and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space 14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assage 141 . Accordingly, the seating space 142 may be provided in a shape b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B) to the first direction (A).

도킹 개구(143)가 제 2방향(B)을 향해 개방되는바 집진통(20)은 본체 하우징(110)의 장축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과 도킹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제 2방향(B)으로 도킹 스테이션(100)과 도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docking opening 143 opens toward the second direction B,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docked with the docking station 100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of the body housing 110 extends. there is.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to be docked with the docking station 100 in the second direction (B).

본체 하우징(110)은 도킹 개구(143)가 배치되고 청소기(10)가 도킹되는 방향에 마련되는 도킹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면(111)은 본체 하우징(110)의 일면을 형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킹면(111)은 도킹 개구(143)가 개방되는 방향인 제 2방향(B)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110 may include a docking surface 111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cking opening 143 is disposed and the cleaner 10 is docked. The docking surface 111 may be provided to shape one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0 . The docking surface 111 may be provided to face the second direction B,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docking opening 143 is opened.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킹면(111)은 평면 또는 곡면 외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ocking surface 111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a flat or curved surface.

도킹면(11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 도킹면(111)의 장축은 제 1방향(A)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docking surface 111 may extend in a planar shape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dy housing 110 is provided in a box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surface 111 may exten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A). there is.

도킹면(111) 상에는 도킹 개구(143) 및 충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전부(120)는 도킹면(111)의 상측, 자세하게는 도킹면(111)의 연장방향으로 도킹면(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 docking opening 143 and a charging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docking surface 111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unit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docking surface 111, in detail, above the docking surface 111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ocking surface 111.

청소기(1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도킹면(111)이 향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제 2방향(B)으로 도킹 스테이션(100)과 도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leaner 10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cking surface 111 faces in the docking station 100 .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to be docked with the docking station 100 in the second direction (B).

청소기(1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도킹면(111)의 장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제 1방향(A)직교되는 제 2방향(B)으로 도킹 스테이션(100)과 도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leaner 10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surface 111 extends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to be docked with the docking station 100 in a second direction (B)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이에 따라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본체 하우징(110)의 장축의 연장 방향인 제 1방향(A)과 집진통(20)의 연장축(Y)은 대략 대응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o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body housing 110, and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or 20 are approximately corresponding. It may be provided to face in the direction.

즉, 집진통(20)의 연장축(Y)은 제 2방향(B)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의 도킹 개구(14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청소기(10)의 연장관(17)의 장축(X)은 제 1방향(A)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관(17)의 장축(X)과 집진통(20)의 연장축(Y)이 직교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이다.That is, the extension shaft 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opening 143 of the docking station 10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B. Accordingly,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long axis X of the extension tube 17 of the cleaner 1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A. This is because the long axis X of the extension pipe 17 and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의 장축과 직교되지 않는 방향으로 도킹될 시 청소기(10)의 연장관(17)이 제 1방향(A) 외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가 연장관(17)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기(10)를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시킬 시 심미감이 떨어질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100) 주위의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docked in a direction that is not orthogonal to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station 100, the extension tube 17 of the cleaner 10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direction (A)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extension tube 17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without separating the cleaner 10, aesthetics may deteriorate and utilization of space around the docking station 100 may decrease.

또한, 사용자는 집진 가이드(15)에 결합될 수 있는 연장관 또는 흡입 유닛을 분리하는 것이 불편하여 도킹 스테이션(100)의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Also, since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separate an extension tube or a suction unit that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guide 15 , the usability of the docking station 100 may decreas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청소기(10)의 집진 가이드(15)에 연장관(17) 또는 흡입 유닛(18)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청소기(10)를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시키고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집진통(20)의 포집물이 자동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leaner 10 even in a state where the extension pipe 17 or the suction unit 18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guide 15 of the cleaner 10. )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and collected object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automatically discharged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즉, 청소 장치(1)는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청소기(10)의 연장관(17)의 장축(X)이 향하는 방향이 도킹 스테이션(100)의 장축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 1방향(A)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leaning device 1,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X of the extension tube 17 of the cleaner 10 faces extends along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station 100. It may be provided to be in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the direction to be.

집진통(20) 내부에는 사이클론(24)이 배치될 수 있다. 집진통(20)은 사이클론(24)의 하측(24a)으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20)은 1차적으로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 1집진부(20a)와 사이클론(24)에 의해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 2집진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A cyclone 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on the lower side 24a of the cyclone 24 .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ing part 20a which primarily collects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0b which collects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by the cyclone 24. there is.

제 1집진부(20a)와 제 2집진부(20b)는 모두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될 시 외부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Both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0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0b may be provided to open to the outside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is opened.

이에 따라 바디(22)의 일단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될 시 집진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집진통(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22 is opene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집진통(20)의 적어도 일부가 도킹 개구(143)를 통해 도킹부(140)에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집진통(20)의 본체(22)의 일단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21)는 도킹부(140) 내부에 마련되는 안착 영역(142)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unit 140 through the docking opening 143 . In detail,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dispos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2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disposed in the seating area 142 provided inside the docking unit 140 .

따라서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집진통 도어(21)가 도킹부(140) 내부에서 개방되어 집진통(20)에 집진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도킹 스테이션(100) 내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opened inside the docking unit 140 so tha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20 are not scattered to the outside and the docking station ( 100) can be vented from the inside.

흡입 유로(141)는 도킹부(140)에서부터 포집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유로(141)는 흡입 장치(130)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의 흐름을 집진통(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흡입 장치(130)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 기류가 포집부(150)를 통해 흡입 유로(141) 및 안착 영역(142)을 따라 집진통(20) 내부로 전달되고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20) 내부의 이물질이 기류의 흐름에 따라 집진통(20)에서 안착 영역(142)으로 배출된 후 흡입 유로(141)를 통해 포집부(150)에 포집될 수 있다.The suction passage 141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unit 150 from the docking unit 140 . The suction passage 141 may transfer the flow of air current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30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That is,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30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or 20 along the suction passage 141 and the seating area 142 through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dust collector 20 is transferred by the suction airflow. ) Inside the foreign mat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o the seating area 142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flow and then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150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1 .

포집부(150)는 포집부 하우징(151)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하우징(15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포집부(150)는 포집부(15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흡입 유로(141)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더스트 백(1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150 may include a collecting unit housing 151 . The collecting unit housing 151 may form an internal space. The collecting unit 150 may include a dust bag 152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collecting unit 150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1 .

더스트 백(152)은 공기는 투과되고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어 집진통(20)에서부터 포집부(15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The dust bag 152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permeable to air and does not transmit foreign substances,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nto the collection unit 150 can be collected.

더스트 백(152)은 직접 흡입 유로(1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더스트 백(152)은 포집부(15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ust bag 15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141 and the dust bag 152 may b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collecting unit 150 .

포집부(15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킹 스테이션(100)이 구동되어 더스트 백(152)에 이물질이 포집될 시 사용자가 외부에서부터 더스트 백(152)을 교체하도록 본체 하우징(110)에서부터 분리되는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널(미도시)을 분리하고 포집부 하우징(151)을 개방하여 더스트 백(152)을 포집부(150)와 분리하고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포집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llecting unit 150 is separated from the body housing 110 so that the user can replace the dust bag 152 from the outside when the docking station 100 is driven and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in the dust bag 152. A panel (not shown) may be included. The user may separate the dust bag 152 from the collector 150 by separating the panel (not shown) and opening the collector housing 151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

포집부(15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더스트 백(152) 외 추가 집진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집진통(미도시)의 내부 공간은 집진통(20)의 내부 공간보다 크도록 마련되고 집진통(20)과 같이 사이클론을 포함하여 미세한 이물질도 포집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llecting unit 150 may include an additional dust collecting container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dust bag 152 . The internal space of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s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nd lik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 cyclone may be included to collect fine foreign substances.

흡입 장치(130)는 흡입팬(131)과 흡입팬(431)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 장치 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device 130 may include a suction device housing 132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suction fan 131 and the suction fan 431 are disposed.

흡입팬(131)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흡입 장치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에서 포집부(150)와 흡입 유로(141)를 거쳐 집진통(20)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suction airflow formed by the suction fan 131 may be suppli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via the collecting part 150 and the suction passage 141 in the inner space of the suction device housing 132 .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50)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량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flow rate changing device 160 provided to selectively change the intake air flow rate supplied to the dust collector 50 .

집진통(20)의 집진통 도어(21)를 통해 집진통(20) 내부의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 유로(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물질 중 일부는 집진통(20)의 내부 구성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Ai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1 throug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t may get caught in it and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예를 들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집진통(20) 내부 구성에 걸려 집진통 도어(21)의 하측으로 발생하는 흡입기류에 이물질이 집진통(2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집진통(20) 내부에 잔존될 수 있다.For example,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are caught o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nd are no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by the inhalation flow gener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but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remain.

집진통(20)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 기류는 집진통(20)의 집진통 개구(23)의 개방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이물질은 흡입 기류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20)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e suction airflow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formed to be directed only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23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Accordingly, some foreign substances may have resistanc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air flow is formed, so that they may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20 by the suction air flow.

이에 따라 집진통(20) 내부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a problem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흡입 기류 외 추가적인 외기를 집진통(20)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Docking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include a flow rate changing device 160 provided to provide additional outside air other than intake air flow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

유량 변화장치(150)는 집진통(20)의 내부에 흡입 기류가 공급되어 흡입 장치(130)에 의해 집진통(2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중에 집진통(20)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2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e device 150 changes the flow rate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20 while the suction airflow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box 20 and the air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20 is sucked by the suction device 130. The flow of air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be variously changed.

유량 변화장치(160)는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량 변화장치(160)는 포집부(150)와 흡입 장치(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량 변화장치(160)는 포집부(150)와 흡입 장치(130)가 연결되는 유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e device 1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housing 110 . The flow rate change device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suction device 130 . In detail, the flow rate change device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 to which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suction device 130 are connected.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량 변화장치(160)는 포집부(150)와 흡입 유로(141)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flow rate change device 16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suction passage 141 .

흡입 장치(130)와 유량 변화장치(160)와 포집부(150)와 도킹부(140)는 모두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device 130, the flow rate change device 160, th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docking unit 140 may all be disposed inside the body housing 110.

제 1방향(A)을 기준으로 충전부(120), 도킹부(140), 포집부(150), 유량 변화장치(160) 및 흡입 장치(130)는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rection (A), the charging unit 120, the docking unit 140, the collecting unit 150,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60, and the suction device 13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는 제 1방향(A)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first direction (A).

집진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 1집진부(20a)와 사이클론(24)에 의해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 2집진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ng part 20a, which is primarily collected and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0b, which is collected by the cyclone 24 and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can include

제 1집진부(20a)와 제 2집진부(20b)는 모두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될 시 외부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될 시 제 1집진부(20a)와 제 2집진부(20b)는 모두 외부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Both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0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0b may be provided to open to the outside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is opened. At this time,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is opened, both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0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0b may be provided to open to the outside.

집진통 도어(21)는 집진통(20)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바디(22)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21a)와 집진통(20)이 폐쇄될 시 제 2집진부(20b)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21a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body 22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kept closed,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0b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closed. It may include a cap portion (21b)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scattering to the outside.

집진통 도어(21)는 집진통 개구(23)가 형성되는 바디(22)의 일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21c)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집진통 개구(23)를 개폐시킬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may open and clos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opening 23 while being rotated around a rotating shaft 21c disposed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body 22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opening 23 is formed.

회전축(21c)은 바디(22)의 일단 상에서 핸들(14)과 인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21c)은 집진통(20)의 연장축(Y)을 중심으로 연장관(17)이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21c may be disposed on one end of the body 22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handle 14 . That is, the rotating shaft 21c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pipe 17 is disposed around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이는 후술하겠으나, 청소기(10)가 도킹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회전축(21c)이 제 1방향(A)으로 집진통(20)의 상단에 배치되기 위함이다.Although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rotary shaft 21c is disposed on top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n the first direction (A).

집진통(20)은 바디(22) 일단의 타측에 배치되고 결합돌기(21a)를 지지하여 집진통 도어(21)가 바디(22)의 일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ncludes a fixing member 25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one end of the body 22 and suppo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1a to preven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body 22. can do.

고정부재(25)는 결합돌기(21a)와 후크 결합되어 결합돌기(21a)가 바디(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5 is hook-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21a to prevent the coupling protrusion 21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22 .

고정부재(25)는 외력에 의해 가압될 시 회동되어 결합돌기(21a)와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푸시부(25a)와 푸시부(25a)와 연동되고 결합돌기(25a)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25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5 is rotated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o interlock with the push portion 25a and the push portion 25a provided to release the hook engagemen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21a and hook-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25a. A hook portion 25b may be included.

고정부재(25)는 푸시부(25a)에 의해 고정부재(25)가 가압되지 않을 시 후크부(25b)와 결합돌기(25a)가 후크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5 is an elastic member (not shown) provided so that the hook portion 25b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5a remain hooked when the fixing member 25 is not pressed by the push portion 25a. can include

탄성부재(미도시)는 집진통 도어(21)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크부(25b)가 결합돌기(21a)의 후크 결합이 유지되도록 후크부(25b)가 결합돌기(21a)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not shown) presses the hook part 25b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21a so that the hook part 25b maintains the hook engagement of the engaging protrusion 21a when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closed. can be biased.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이 푸시부(25a)에 가압될 시 후크부(25b)는 푸시부(25a)와 연동되어 회동되고 후크부(25b)와 결합돌기(21a)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s pressed on the push part 25a, the hook part 25b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part 25a, and the hook part 25b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1a are rotated. The hook coupling may be released.

따라서 푸시부(25a)에 바디(22)의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가압될 시 푸시부(25a)는 바디(22)의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후크부(25b)는 바디(22)의 반경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돌기(21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art 25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22, the push part 25a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22, and thus the hook part 25b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22 and may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21a.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푸시부(25a)를 가압하여 집진통(20)을 개방하고 집진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을 집진통(2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press the pusher 25a to op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

이하에서는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어 집진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echnical feature of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기 전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흡입 장치가 구동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FIG. 6 is a vacuum cleaner in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in a state in which a cleaner is docked in a docking station, and FIG. 7 is a part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uction device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It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통(20)은 연장축(Y)이 제 2방향(B)을 향하도록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통(20)은 중력 방향인 제 1방향(A)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축(Y)이 배치되도록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such that the extension shaft Y faces the second direction B. Accordingly,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such that the extension shaft Y is dispos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the direction of gravity.

집진통(20)의 연장축(Y)이 중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시, 집진통 개구(23)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되고 집진통 도어(21)는 집진통(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재(25)가 가압될 경우, 집진통 도어(21)는 중력에 의해 바디(22)에서 이탈되어 회전축(21c)을 중심으로 중력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집진통 개구(23)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extension shaft (Y) of the dust collector 20 is dispos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dust collector opening 23 is disposed to be open downward, and the dust collector door 21 closes the dust collector 20. Can be placed at the bottom.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member 25 is pressed,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separated from the body 22 by gravity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round the rotating shaft 21c, and accordingly, the dust collector opening 23 opens. can be open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집진통(20)의 연장축(Y)의 연장 방향이 중력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시 집진통 도어(21)는 고정부재(25)가 가압되어도 추가적인 외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집진통 개구(23)를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or 20 i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or door 21 does not support the dust collector 21 even when the fixing member 25 is pressed. When an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not generated,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23 is closed may be maintained.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통 도어(21)의 회전축(21c)이 집진통(20)의 연장축(Y)을 중심으로 연장관(17)이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청소기(10)가 도킹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회전축(21c)이 제 1방향(A)으로 집진통(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집진통 도어(21)는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어도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shaft 21c of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21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tube 17 is disposed around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so that the cleaner 10 )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rotating shaft 21c is disposed on top of the dust collector 20 in the first direction A, so that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not affected by gravity even when it is openable. and can remain closed.

즉,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20)의 연장축(Y)이 제 2방향(B)을 향하도록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기 때문에 집진통(20)이 도킹된 상태에서 도킹부(140)의 내부에서 고정 부재(25)가 가압되어도 집진통 도어(21)가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since the dust collection box 2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such that the extension axis Y of the dust collection box 20 faces the second direction B, the dust collection box ( 20), even when the fixing member 25 is pressed inside the docking part 140 in a docked stat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may remain closed.

도킹부(140)는 집진통(20)이 도킹 개구(143)를 통해 안착 공간(142)에 안착될 시 푸시부(25a)를 가압하여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는 개방 가이드(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40 presses the push unit 25a when the dust collector 2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142 through the docking opening 143 so that the dust collector door 21 can be opened. An opening guide 145 provided may be included.

개방 가이드(145)는 안착 공간(142)에 있어서 제 2방향(B)으로 안착 공간(142)의 전방에 배치되고 도킹 개구(143)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도킹 개구(143)를 형성하는 전방 내주면(144)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ening guide 14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ing space 142 in the second direction (B) in the seating space 142 and forms a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osition where the docking opening 143 is connected. (144).

개방 가이드(1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전방 내주면(144)의 일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 가이드(145)는 전방 내주면(144)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일 영역이나 돌출면, 내주면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리브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guide 145 may be formed as a partial area of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opening guide 145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as a region or a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from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toward the cente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enter, or a rib.

전방 내주면(144)은 대략 바디(2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킹 개구(143)의 내주면의 원주와 집진통 바디(22)의 원주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may be substantially provided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2 . In detail,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cking opening 143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dust collector body 22 may be provid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즉,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전방 내주면(144)과 바디(22)의 외주면은 소정의 이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ust collecto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2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집진통(20)이 도킹 개구(143)를 통해 안착 공간(142)에 안착될 시 집진통(20)은 바디(22)의 외주면이 전방 내주면(144)을 따라 제 2방향(B)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142 through the docking opening 143,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2 along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in the second direction (B). can be moved to

이 때, 바디(22)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부(25a)는 개방 가이드(145)에 가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 portion 25a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2 may be pressed against the opening guide 145 .

자세하게는 집진통(20)이 제 2방향(B)으로 이동되면서 바디(22)의 외주면 외측에 배치된 푸시부(25a)는 개방 가이드(145)에 의해 제 1방향(A)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푸시부(25a)가 바디(22)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후크부(25b)와 결합돌기(21a)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집진통 도어(21)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수 있다.In detail, as the dust collector 2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 the push part 25a dispos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2 is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A) by the opening guide 145, Accordingly, as the push part 25a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2, the hook connection between the hook part 25b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a is released, and thus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opened. There are possible states.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통 도어(21)는 집진통 개구(23)를 개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추가적인 외력이 발생하지 않을 시 개방되지 않는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23 can be opened, and is not opened when no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집진통(20)은 집진통 도어(21) 상에는 집진통 도어(21)와 바디(22)의 내주면(22a) 사이를 실링하는 개스킷(26)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26)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되어 바디(22)의 내주면(22a)과 집진통 도어(21)사이를 실링하여 집진통(20)에 집진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may include a gasket 26 seal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a of the body 22 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oor 21 . The gasket 2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o se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a of the body 22 and the dust collector door 21 to prevent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20 from being scattered to the outside.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26)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바 집진통 도어(21)가 폐쇄상태일 시 바디(22)의 내주면(22a)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asket 2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may be bias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a of the body 22 when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in a closed state.

즉, 바디(2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22)의 반경 방향으로 개스킷(26)이 바이어스되면서 집진통 도어(21)가 외력이 발생되지 않을 시, 개스킷(26)은 개방되지 않도록 바디(22)에서부터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지 않도록 집진통 도어(2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asket 26 is bia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22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dy 22 and no exter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dust collector door 21, the gasket 26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body ( From 22),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is not opened.

따라서 개방 가이드(145)에 의해 고정 부재(25)가 가압되어도 집진통 도어(21)가 바디(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fixing member 25 is pressed by the opening guide 145,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22.

이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장치(130)가 구동되어 흡입 기류가 안착 공간(142)을 통해 집진통(20)으로 유입될 시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 도어(21)에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어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고 집진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안착 공간(142)을 통해 포집부(150)로 유동되어 포집부(150)에서 포집될 수 있다.After that, as shown in FIG. 7, when the suction device 130 is driven and the suction airflow flows in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hrough the seating space 142,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by the suction air flow.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21 is opened, so that the door 21 of the dust collector 21 is opened, an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20 flow to the collecting unit 150 through the seating space 142, and the collecting unit 150 ) can be collected.

안착 공간(142)은 집진통(20)이 삽입되고 집진통 도어(21)가 안착 공간(142)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ating space 14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inserted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rotates inside the seating space 142 .

도킹부(140)는 안착 공간(142)에서 제 2방향(B)으로 도킹 개구(143)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유로 가이드(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40 may include a flow guide 145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cking opening 143 in the second direction B in the seating space 142 and formed in a curved surface.

유로 가이드는 제 2방향(B)에서부터 제 1방향(A)으로 연결되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guide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connected from the second direction (B) to the first direction (A).

상술한 바와 같이 도킹 개구(143)는 제 2방향(B)을 향해 형성되고 흡입 장치(130)는 도킹부(140)보다 제 1방향(A)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흡입 장치(130)에서 발생되는 흡입 기류가 집진통(20)으로 유동될 시 제 1방향(A)과 제 2방향(B)이 직교되는 부분과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되거나 압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opening 143 is forme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B), and the suction device 130 is disposed lower than the docking part 140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is generated in the suction device 130. When the suction airflow flows into the dust collector 20, it collides with a portion where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cross at right angles, and noise or pressure loss may occur.

유로 가이드(145)는 제 1방향(A)과 제 2방향(B)이 직교되는 부분인 안착 공간(142)에서 제 2방향(B)으로 도킹 개구(143)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흡입 기류가 원활하게 제 1방향(A)에서 제 2방향(B) 또는 그 반대로 유동되도록 흡입 기류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flow guide 145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cking opening 143 in the second direction (B) in the seating space 142, which is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at the suction air flow It is possible to guide the intake airflow so that it smoothly flows from the first direction (A) to the second direction (B) or vice vers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집진통(20)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dust collector 20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기 전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기 전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before a vacuum cleaner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the vacuum cleaner before it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20)은 집진통 도어(21)의 회전축(21c)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7)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27 disposed on the rotary shaft 21c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

탄성 부재(27)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7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as a torsion spring.

탄성 부재(27)는 집진통 도어(21)가 바디(22)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7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oor 21 of the dust collector is biased toward the body 22 .

이에 따라 집진통(20)의 고정 부재(25)가 가압되어 집진통 도어(21)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어도, 집진통 도어(21)는 탄성 부재(27)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집진통 개구(23)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ixing member 25 of the dust collector 20 is pressed and the dust collector door 21 becomes openable,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7 and no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f not, it may be provided to clos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23 .

다만, 이 때 흡입 장치(130)에 의해 흡입 기류가 발생될 시 시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 도어(21)에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어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고 집진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안착 공간(142)을 통해 포집부(150)로 유동되어 포집부(150)에서 포집될 수 있다.However,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airflow is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30,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ust collector door 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opened by the suction airflow, and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opened and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20 may flow to the collecting unit 150 through the seating space 142 and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150 .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20)은 바디(22)와 집진통 도어(21)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성부재(28)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9 ,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may include a pair of magnetic members 28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body 22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

한 쌍의 자성부재(28) 중 제 1자성부재(28a)는 바디(22)에 배치되고 한 쌍의 자성부재(28) 중 제 2자성부재(28b)는 집진통 도어(21)에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 pair of magnetic members 28, the first magnetic member 28a is disposed on the body 22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28b among the pair of magnetic members 28 is disposed on the door 21 of the dust collector. can

이에 따라 집진통(20)의 고정 부재(25)가 가압되어 집진통 도어(21)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어도, 집진통 도어(21)는 한 쌍의 자성 부재(28)에 의해 자성 지지되어 외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집진통 개구(23)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ixing member 25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pressed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becomes openabl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is magnetically supported by the pair of magnetic members 28 and exerts an external force. When this does not occur, it may be provided to clos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23 .

다만, 이 때 흡입 장치(130)에 의해 흡입 기류가 발생될 시 시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 도어(21)에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어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고 집진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안착 공간(142)을 통해 포집부(150)로 유동되어 포집부(150)에서 포집될 수 있다.However,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airflow is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30,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ust collector door 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opened by the suction airflow, and the dust collector door 21 is opened and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20 may flow to the collecting unit 150 through the seating space 142 and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15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개방 가이드(147)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opening guide 147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개방 가이드가 구동된 상태에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and FIG. 11 is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nfigurations with the opening guide driven, with the vacuum cleaner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집진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면서 고정 부재(25)가 가압되기 때문에 집진통 도어(21)는 개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통 도어(21)에 외력이 발생하지 않을 시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지 않는다.Since the fixing member 25 is pressed while the dust collecto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dust collector door 21 can be maintained in an openable stat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no exter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is not opened.

다만, 도킹 스테이션(100)에 예정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질 시 이에 따라 집진통 도어(21)에 외력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어 집진통(20)에 포집되었던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when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21 accordingly, and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21 is opened accordingly, so tha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are removed from the outside. A scattering problem may occur.

즉, 흡입 장치(13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집진통 도어(21)가 흡입 기류가 아닌 다른 외력에 의해 개방될 시, 집진통(20)에 포집되었던 이물질이 도킹 스테이션(100)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ust collecting box door 21 is opened by an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suction air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device 130 is not driven,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re scattered outside the docking station 100. It can be.

도킹 스테이션(100)은 청소기(10)가 도킹될 시 청소기(10)의 배터리(16)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와 집진통(20)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도록 흡입 장치(130)가 구동되는 흡입 모두가 모두 진행되거나, 충전 모드 또는 흡입 모드만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is a charging mode in which the battery 16 of the cleaner 10 is charged when the cleaner 10 is docked, and a suction device 130 is driven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t may be arranged that all proceeds, or only the charge mode or the suction mode proceeds.

즉, 사용자는 청소기(10)를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하면서, 충전 모드만 진행되도록 도킹 스테이션(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 모드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될 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control the docking station 100 to proceed only in the charging mode while docking the cleaner 10 to the docking station 100 . In this way, when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21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mode is not performed, a problem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cattered to the outside may occur.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30)가 구동될 시에만 도킹된 집진통(20)의 고정부재(25)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개방 가이드(147)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ocking statio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ess the fixing member 25 of the docked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only when the suction device 130 is driven. An opening guide 147 may be included.

개방 가이드(147)는 전방 내주면(144)보다 전방 내주면(144)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또는 리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guide 147 may be provided in a protrusion or rib shape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rather than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4 .

개방 가이드(147)는 집진통(20)이 도킹 개구(143)를 통해 도킹부(140) 내부로 삽입되어 도킹될 시 집진통(20)의 고정부재(25)보다 제 2방향(B)으로 도킹부(1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dust collection box 20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part 140 through the docking opening 143 and docked, the opening guide 147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B from the fixing member 25 of the dust collection box 20. 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cking unit 140 .

이에 따라 집진통(20)이 도킹된 상태에서 개방 가이드(147)는 고정부재(25)를 가압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ning guide 147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press the fixing member 25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docked.

따라서 집진통(20)이 도킹부(140)에 도킹되어도 고정부재(25)가 가압되지 않아 집진통 도어(21)에 외력이 가해져서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지 않는다.Therefore, even i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part 140, the fixing member 25 is not pressed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so that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is not opened.

도킹부(140)는 개방 가이드(147) 구동되도록 개방 가이드(147)와 연동되는 구동장치(148)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40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148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guide 147 to drive the opening guide 147 .

구동 장치(148)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개방 가이드(147)를 제 2방향(B)으로 병진 이동 되도록 개방 가이드(147)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148 may drive the opening guide 147 to translate the opening guide 147 in the second direction (B) according to a signal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docking station 100 .

구동장치(148)는 흡입 장치(130)가 구동될 시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신호를 받아 개방 가이드(147)가 제 2방향(B)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개방 가이드(147)를 구동시킬 수 있다.When the suction device 130 is driven, the driving device 148 receives a signal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docking station 100 and moves the opening guide 147 forward in the second direction B. (147) can be driven.

구동장치(148)는 모터,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148 may be provided in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motor and a solenoid valve.

개방 가이드(147)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개방 가이드(147)는 고정 부재(25)를 가압하고 집진통 도어(21)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the opening guide 147 moves forward, the opening guide 147 presses the fixing member 25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21 may be provided in an openable state.

따라서 개방 가이드(147)와 구동장치(148)는 흡입 장치(130)가 구동될 시에만 집진통 도어(21)가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25)를 가압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게 집진통(20)에 집진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ning guide 147 and the driving device 148 can selectively press the fixing member 25 so that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21 is opened only when the suction device 130 is driven, uninten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20)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구동장치(148)를 직접 제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입 장치(130)의 구동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별도로 구동장치(148)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장치(148)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directly controls the driving device 148. That is, the driving device 148 can be driven by a user separately inputting a signal to drive the driving device 148 as well as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docking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uction device 130. can be arranged so that

사용자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콘트롤러(미도시)에 구동장치(148)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흡입 장치(130)의 구동과 별도로 구동 장치(148)를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device 148 to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docking station 100 so that the user may control the driving device 148 separately from the driving of the suction device 130 .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 가이드(147)와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중간 부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개방 가이드(147)를 직접 이동시키도록 중간 부재(미도시)와 연동되는 푸시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rough an intermediate member (not shown)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opening guide 147, a push interlocked with the intermediate member (not shown) allows the user to directly move the opening guide 147 by physical force. A button (not shown) may be included.

푸시 버튼(미도시)는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 가이드(147)를 통해 집진통 도어(21)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push button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110 so that a user can easily open the dust container door 21 through the opening guide 147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킹 스테이션(200)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docking station 200 to be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2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acuum cleaner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ed to a docking sta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의 본체 하우징(210)은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2, the body housing 210 of the docking station 200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본체 하우징(210)의 도킹면(211)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1방향(A)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제 3방향(D)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surface 211 of the body housing 210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 axis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D) hav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 .

이에 따라 도킹면(211)은 상하 방향인 제 1방향(A)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cking surface 211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 which is a vertical direction.

도킹면(211) 상에는 집진통(20)이 삽입되는 도킹 개구(143)가 마련됨에 따라 청소기(10)는 도킹 스테이션(200)에서 도킹면(211)이 향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제 3방향(D)에 대해 직교되는 제 4방향(E)으로 도킹 스테이션(200)과 도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4방향(E)은 제 2방향(B)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the docking opening 143 into which the dust collector 20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docking surface 211,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cking surface 211 faces in the docking station 200. It can be.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to be docked with the docking station 200 in a fourth direction E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D. The fourth direction (E)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B).

청소기(10)는 도킹 스테이션(200)에서 도킹면(211)의 장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제 3방향(D)직교되는 제 4방향(E)으로 도킹 스테이션(200)과 도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leaner 10 may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2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surface 211 extends from the docking station 200 .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to be docked with the docking station 200 in a fourth direction (E)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D).

청소기(1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는 방향이 수평 방향인 제 2방향(B)에 대해 비스듬한 제 4방향(E)으로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기(10)를 도킹스테이션(200)에 용이하게 도킹시킬 수 있다.As the cleaner 1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200 in a fourth direction E oblique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B,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the user can move the cleaner 10 to the docking station 200. Can be docked easily.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청소 장치
10; 청소기
20: 집진통
100: 도킹 스테이션
110; 본체 하우징
120; 충전부
130; 흡입 장치
140; 도킹부
150; 포집부
160: 유량 변화 장치
One; cleaning device
10; vacuum cleaner
20: dust collector
100: docking station
110; body housing
120; live part
130; suction device
140; docking part
150; collection unit
160: flow change device

Claims (30)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터리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상기 진공 청소기와 연결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 바디와,
상기 집진통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집진통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집진통 도어와,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집진통 바디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될 시 상기 집진통 바디에 대한 상기 집진통 도어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을 가지는 스테이션 본체와,
상기 배터리와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이 안착되는 도킹부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도킹부의 개구와 상기 흡입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 기류에 의해 상기 집진통 내부에서부터 상기 도킹부의 개구를 통해 유동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더스트백과, 상기 더스트백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포집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포집부와,
상기 도킹부의 개구에서부터 상기 포집부를 통해 상기 흡입 장치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흡입 기류가 유동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부 하우징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포집부 하우징을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포집부 하우징은 상기 더스트백을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더스트백은 포집부 하우징이 개방되고 상기 포집부에서 분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도킹부의 개구는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제 2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도킹부의 개구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가 상기 스테이션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 2방향에서부터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가지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도킹부의 개구와 상기 집진통 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개방 가이드와, 상기 개방 가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가이드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되는 중에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 가이드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개방 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청소 장치.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battery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are collecte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includes,
The dust collector is
A dust collector body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dust collection container opening formed at one end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A fixing member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is fix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and provid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when pressurized by an external force,
The docking station
a station body having a front surface extending in the long axis direction;
A charging unit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battery;
a docking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seated;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cked in the docking unit;
A dust bag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and the suction device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by suction airflow, and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dust bag is detachably seated; A collecting unit including a collecting unit housing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from the outside;
A flow path provided to extend from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to the suction device through the collecting unit and inclu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uction airflow flows,
The station body further includes a panel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front of the station body and exposes the collector housing to be accessible from the outside,
The panel opens the collecting unit housing in a direction toward which the front of the station body faces,
The collecting unit housing opens the dust bag in a direction toward which the front of the station body faces,
The dust bag is provided so that the collecting unit housing is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collecting unit,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ion body and is provided to open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flow path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and includes a flow path guide having a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second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low path extends downwar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side the station body. do,
The docking part includes an opening guide that presses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dust collection box door is opened and the opening of the docking part communicates with the dust collection box opening, and a driving device that drives the opening guide;
The opening guide is provided to linearly reciprocat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open the door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y pressing the fixing member while being linearly recipr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motor, and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drive the opening guide so that the opening guide moves linearly and reciprocally in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도킹부보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docking unit in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향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향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 바디의 연장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도킹부의 개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docking part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shaft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통을 연결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의 장축과 상기 집진통의 연장축은 직교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n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long axis of the extension pipe and an extension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provid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집진통을 연결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부와 도킹될 시, 상기 연장관의 장축이 상기 제 1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지지되는 청소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n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vacuum cleaner is supported by the docking station so that a long axis of the extension pip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ocked with the dock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부의 개구에 연결될 시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도킹부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is disposed inside the docking unit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가이드는 상기 도킹부의 개구의 반경 방향으로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guide is a cleaning device that protrud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 도어는 상기 집진통 바디의 일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과 상기 도킹부의 개구가 연결될 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집진통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is provided to be rotated around a rotation shaft disposed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opening of the docking unit are connec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집진통 바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provided such that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is biased towar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 바디와 상기 집진통 도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pair of magnetic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 도어는 상기 흡입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흡입장치에서 형성되는 흡입 기류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is provided to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a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when the suction device is dr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 상기 도킹부, 상기 포집부 및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unit, the docking unit, the collecting unit, and the suction device are disposed sequentially in the firs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블록(block)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low path control device provided to selectively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path.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상기 집진통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1집진부와, 상기 제 1집진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집진부와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제 2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집진통 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 1집진부와 상기 제 2집진부 모두에 흡입 기류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on portion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ody, and a second dust collection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portion and provided to be partition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portion,
The docking unit is provided so that suction airflow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both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by open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와 접촉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배터리가 상기 충전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진공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시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unit further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contacting the battery and a battery guide gu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battery contacts the charging terminal,
The docking st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docking unit and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when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흡입 장치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충전부와 상기 흡입 장치를 각각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ocking sta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charging unit and the suction device, respectively, so that the charging unit and the suction device are independently driv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82178A 2020-07-03 2020-07-03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566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78A KR102566393B1 (en) 2020-07-03 2020-07-03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CT/KR2021/005933 WO2022005013A1 (en) 2020-07-03 2021-05-12 Cleaning device compris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N202180046785.4A CN115734735A (en) 2020-07-03 2021-05-12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21831600.8A EP4154786A4 (en) 2020-07-03 2021-05-12 Cleaning device compris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0220010213A KR102470035B1 (en) 2020-07-03 2022-01-24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18/089,993 US20230146588A1 (en) 2020-07-03 2022-12-28 Cleaning apparatus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0230103476A KR20230121703A (en) 2020-07-03 2023-08-08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78A KR102566393B1 (en) 2020-07-03 2020-07-03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213A Division KR102470035B1 (en) 2020-07-03 2022-01-24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0230103476A Division KR20230121703A (en) 2020-07-03 2023-08-08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57A KR20210002057A (en) 2021-01-06
KR102566393B1 true KR102566393B1 (en) 2023-08-14

Family

ID=741288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178A KR102566393B1 (en) 2020-07-03 2020-07-03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0220010213A KR102470035B1 (en) 2020-07-03 2022-01-24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0230103476A KR20230121703A (en) 2020-07-03 2023-08-08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213A KR102470035B1 (en) 2020-07-03 2022-01-24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0230103476A KR20230121703A (en) 2020-07-03 2023-08-08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46588A1 (en)
EP (1) EP4154786A4 (en)
KR (3) KR102566393B1 (en)
CN (1) CN115734735A (en)
WO (1) WO202200501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393B1 (en) * 2020-07-03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406189B1 (en) * 2020-10-0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ystem
KR20220046312A (en) * 2020-10-07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102440910B1 (en) * 2021-01-13 2022-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115253A (en) * 2021-02-10 202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220117591A (en) 2021-02-17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KR20220127060A (en) * 2021-03-10 202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220170572A (en) 2021-06-23 2022-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KR102376262B1 (en) * 2021-08-30 2022-03-21 (주) 캐치웰 Cleaning apparatus with automatic electric charging and dust discharging
CN113693482A (en) * 2021-09-13 2021-11-26 广东一沐科技有限公司 Handheld wireless dust collection and suction cleaner
KR20230089397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WO2023113225A1 (en) * 2021-12-13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on device, vacuum cleaner, and cleaning device
KR20230089399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0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398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air cleaner and air cleaner
KR20230089396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230089620A (en) 2021-12-13 2023-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2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1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3A (en)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624A (en) * 2005-04-11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70074146A (en)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system
JP6119915B2 (en) * 2014-02-27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DE102014119191A1 (en)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e station for a vacuum cleaner
KR102603584B1 (en) *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for Cleaner
KR102519650B1 (en) * 2017-03-03 202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cleaner and cleaner unit
DE202018103929U1 (en) * 2018-07-10 2018-07-18 New Icon Development Limited Combination of a hand vacuum cleaner and a receiving station
KR102166773B1 (en) * 2018-12-14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566393B1 (en) * 2020-07-03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035B1 (en) 2022-11-25
CN115734735A (en) 2023-03-03
EP4154786A1 (en) 2023-03-29
KR20230121703A (en) 2023-08-21
KR20220016265A (en) 2022-02-08
KR20210002057A (en) 2021-01-06
EP4154786A4 (en) 2023-12-27
WO2022005013A1 (en) 2022-01-06
US20230146588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393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11134818B2 (en) Cleaning apparatus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3860417B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07007206B (en) Electric dust suction device
KR20200073975A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220045717A (en) Cleaning system and dock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220115253A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12004703B2 (en) Cleaning apparatus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240009277A (en)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KR102406189B1 (en) Cleaner system
WO2022201586A1 (en) Vacuuming system
KR102527189B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CN112401745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1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124

Effective date: 2022051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