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403A -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403A
KR20230089403A KR1020210178003A KR20210178003A KR20230089403A KR 20230089403 A KR20230089403 A KR 20230089403A KR 1020210178003 A KR1020210178003 A KR 1020210178003A KR 20210178003 A KR20210178003 A KR 20210178003A KR 20230089403 A KR20230089403 A KR 20230089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vacuum cleaner
oil vapor
open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지원
유현선
손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403A/en
Publication of KR2023008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4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bot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is configured to share the suction power of a suction unit provided in a first tower with a second tower, and is configured to remove oil vapor in the air that is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and flows to the first tow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llect dust in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charge, place, and remove oil vapor from indoor ai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Description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Dust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실내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제거하는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무선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cordless vacuum cleaner that can selectively perform a function of removing oil vapor present in a room while performing a function of emptying a dust bin of a cordless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집하고 공기만 배출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sucked air using air suction force and performs cleaning while discharging only air.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전원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으면서 모터를 구동하는 유선 청소기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무선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wired cleaner that drives a motor while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through a power line, and a wireless cleaner that drives a motor using a battery.

상기 무선 청소기의 경우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기능과 해당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거치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충전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wireless cleaner, a charger for continuously charging the battery is required.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 charging cradle is provided that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charger for charging a battery of a wireless cleaner and as a cradle for holding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wireless cleaner.

상기한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가 제공되고 있다.Regarding the charging cradl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7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87,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7318 are provided.

특히,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의 기술과 같이 충전 거치대(도킹 스테이션) 내에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무선 청소기가 먼지통에 집진한 이물질을 충전 거치대 내의 수거 공간에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충전 거치대 내에 흡입장치가 포함되는 기술의 경우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에 결합될 때 동작되면서 먼지통 내에 집진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as in the technology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2057, a suc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charging cradle (docking station) so that the wireless cleaner can collec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in the collection space in the charging cradle. That is, in the case of the technology in which the suction device is included in the charging cradle, the wireless cleaner is operated when coupled to the charging cradle to collect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Accordingly, the user's inconvenienc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frequently can be eliminated.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먼지통 내의 이물질을 수거하지 않는 나머지 시간 동안에는 흡입장치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비사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먼지통 내의 이물질 수거시에만 일시적으로 흡입장치가 동작될 뿐 그 이외의 상황에서 상기 흡입장치는 대기 상태로만 유지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suction device is not used at all during the remaining time during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are not collected. That is, the suction device is temporarily operated only when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and the suction device is maintained only in a standby state in other situations.

이로써, 해당 충전 거치대의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많지 않아 사용자의 불만이 발생되었던 단점이 있다.As a result, despite the high price of the corresponding charging crad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user dissatisfaction occurs because there are not many uses of the charging cradle.

또한, 실내에는 다양한 유증기가 존재한다. 예컨대,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었던 유증기는 주방의 후드를 통해 대부분이 제거되지만 일부 유증기는 실내에 잔존하게 된다. 특히, 유증기의 잔존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후드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써 실내에는 많은 유증기가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oil vapors exist in the room. For example, most of the oil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in the kitchen is removed through the kitchen hood, but some oil vapor remains in the room. In particular, despite the large amount of oil vapor rem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was often stopped, and as a result, a lot of oil vapor existed in the room.

하지만, 실내에 사용되는 공기 정화기의 경우 대부분 먼지 등의 이물질 및 냄새 성분의 탈취를 위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증기에는 취약하다. 즉, 유증기가 집진용 필터에 부착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However, since most air purifiers used indoors are mainly used for deodoriza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odor components, they are vulnerable to oil vapor. That is, the oil vapor adhered to the filter for dust collection, and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was inevitably lowered.

물론, 고가의 공기 청정기의 경우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증기의 제거를 위한 구조를 공기 청정기에 포함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기 청정기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가격도 비싸질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in the case of expensive air purifiers, a function capable of removing oil vapor is provided. However, since the air purifier needs a space to include a structure for removing oil vapor in the air purifier, the overall size of the air purifier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price is inevitably increased.

또한, 종래에는 무선 청소기의 무게가 무거움에도 불구하고 충전 거치대가 상하로 긴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전 거치대가 전도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despite the heavy weight of the wireless cleaner, the charging cradle has a problem of overturning because the charging cradle is formed in a vertically long structure.

물론, 무선 청소기에 구비된 흡입노즐이 해당 충전 거치대의 전방측 전도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충전 거치대의 좌우측 전도를 방지하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좌우측으로의 전도가 우려되었던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the suction nozzle provided in the wireless cleaner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charging cradle from falling forward. However, since there is no structure for preventing left and right conduction of the charging cradle, there is a concern about conduction to the left and righ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7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8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731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2057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의 수거를 위한 동작 외에도 실내 유증기의 제거를 위한 용도로도 흡입장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uction devic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indoor oil vapor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거치대만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유증기 제거가 가능한 공기 정화기로의 사용을 위한 별도의 키트를 추가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only the charging cradle alone or to additionally purchase and use a separate kit for use as an air purifier capable of removing oil vapo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증기 제거 성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이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oil vapor removal performance can always be maintained consta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증기 제거 외에도 실내 공기에 대한 정화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purify indoor air in addition to oil vapor remov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타워 내에 구비되는 흡입부의 흡입력을 제2타워와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타워에서 발생된 공기 흡입력은 제2타워 내에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tower may be shared with the second tower. Thus, the air intake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t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제2타워 내로 흡입된 후 제1타워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door air may be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n flowed into the first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타워 내로 흡입되어 제1타워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유증기가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il vapor in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and flowing to the first tower may be remov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타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타워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tower may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2타워의 흡입구와 제2연통개구 사이에 유증기 필터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타워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공기 중의 유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il vapor filter modul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ort of the second tower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As a result, oil vapor in the air can be removed before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유증기 필터모듈은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vapor filte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move oil vapo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유증기 필터모듈은 유증기 필터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vapor filte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oil vapor filter from sagging.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유증기 필터모듈을 이루는 필터 설치부는 유증기 필터가 사용 정도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constituting the oil vapor filter modu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il vapor filter is replaceab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유증기 필터의 일단이 권취되는 공급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ly roller around which one end of the oil vapor filter is woun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유증기 필터의 타단이 권취되는 배출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출롤러는 권취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roller around which the other end of the oil vapor filter is wound may be included. The discharge roller may be rotated by driving a winding moto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권취모터는 제2타워 내의 유증기 필터의 공기 유입측 공간과 공기 유출측 공간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 차이를 이룰 경우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ke-up mot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hen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let space and the air outlet space of the oil vapor filter in the second tow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필터 설치부에는 유증기 필터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oil vapor filter may be included in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실내 유증기 량을 확인하기 위한 유증기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il vapor sensor may be provided to check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타워와 제2타워의 공기가 연통되는 부위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where air is communicated between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타워 내에 구비되는 흡입부의 흡입력을 제3타워와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타워에서 발생된 공기 흡입력은 제3타워 내에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tower may be shared with the third tower. Thus, the air intake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t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third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3타워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제1타워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may be sucked from the third tower and provided to the first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3타워의 내로 흡입된 공기는 이물질 필터모듈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cked into the third tower may be configured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by the foreign substance filter module.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3타워와 제1타워의 연통 부위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third tower and the first tower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타워와 제3타워의 연통 부위는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가 개방될 경우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타워를 이용한 유증기 제거 용도의 사용시 제3타워를 통한 공기 흡입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third tower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d when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is opened. Accordingly, when the second tower is used for removing oil vapor, a decrease in air suction power through the third tower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따르면, 제1타워와 제3타워의 연통 부위는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가 폐쇄될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3타워를 이용한 공기 정화기로의 사용시 제2타워를 통한 공기 흡입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third tower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is closed. Accordingly, when the third tower is used as an air purifier, a decrease in air suction power through the second tower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가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타워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ing condition for removing oil vapor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As a result, a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tower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에 형성된 장착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부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ing condition for removing oil vapor is satisfied,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first tower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In this way, intake of indoor air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유증기 제거 완료를 위한 종료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유증기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는 제2타워를 통해 실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 condition for completion of oil vapor removal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Accordingly, after the removal of oil vapor is completed, the inflow of indoor air through the second tower may be block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의 유증기량이 미리 설정된 량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의 동작 요청이 발생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유증기 제거를 위한 운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is greater than a preset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removing oil vapor are satisfied in at least one of the cases where a user's operation request occurs. can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에는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통 비움시 먼지통에 제공되는 공기 흡입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of the vacuum cleaner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Accordingly, when the dust bin is emptied, the air suction power provided to the dust bin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에 형성된 장착부의 개구가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first tower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when an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of the vacuum cleaner is satisfi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은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부에 장착될 경우, 사용자의 동작 요청이 발생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conditions for emptying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hen the dust bin of the clean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and when a user's operation request occurs.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은 유증기 제거를 위한 운전의 종료 조건이 만족될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conditions for emptying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n operation end condition for removing oil vapor is satisfi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3타워가 더 포함될 경우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는 개방하고, 제1타워와 제3타워의 연통부위는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ower is further included, the communication part between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is opened when the operation condition for removing oil vapor is satisfied, and the first tower and the third tow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tower can be controlled to close.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3타워가 더 포함될 경우 유증기 제거 완료를 위한 종료 조건이 만족되고 실내의 공기 정화를 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제1타워와 제3타워의 연통부위가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ower is further included, the end condition for completing the oil vapor removal is satisfied, and the indoor air purification op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art can be controlled to ope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1타워가 제2타워와는 개별적으로 제공되면서 청소기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w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tower and can be used only for storing the vacuum cleaner or collecting dust.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1타워가 제2타워와 함께 제공되면서 청소기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 뿐 아니라 실내 공기에 포함된 유증기의 제거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ower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tower, it can be used not only for storing the cleaner or collecting dust, but also for removing oil vapor contained in indoor ai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2타워가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유증기 제거를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ower can perform a function for removing oil vapor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1타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타워로 유동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타워 내를 통과한 공기는 제2타워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tower flows into the second tow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tower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3타워의 추가 제공에 의해 공기 정화기로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function as an air purifier by additionally providing a third tow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2타워에 의한 유증기 제거 운전이 수행될 경우 제3타워와 제1타워의 연통 부위는 폐쇄되기 때문에 실내 유증기에 의한 각 먼지필터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il vapor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tower, the communication part between the third tower and the first tower is closed, so damage to each dust filter by indoor oil vapor can be prevented. can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2배출개구에 배출그릴이 제공되기 때문에 제2배출개구로 배출된 공기가 흡입구(예컨대, 제2흡입구)로 곧장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ischarge grill is provided at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eg, the second suction port).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유증기 필터가 어느 정도 사용될 경우 비사용 부위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유증기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il vapor filter is used to a certain extent, it can be replaced with a non-used area, so that oil vapor can be smoothly removed.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제어방법은 각 타워의 저면에 받침대가 제공되기 때문에 각 타워가 넘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uppo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each tower, the problem of each tower falling over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2타워에 대한 외관 구조를 각 방향에서 본 각각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2타워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제1연통개구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1타워에 형성된 결합홈과 제1흡입개구를 상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1타워에 형성된 결합홈과 제1흡입개구를 하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1타워와 제2타워 간의 공기 유출입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유증기 필터모듈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통 수거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C”부 확대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구속해제부에 의한 먼지통덮개의 구속이 해제되는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공기 흐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유증기 제거 운전시 공기 흐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3타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정단면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공기 유출입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배출그릴을 나타낸 상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배출그릴이 배출개구를 폐쇄하는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5 is an enlarged view of “B” part of FIG. 3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state views of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tower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viewed from e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 second tower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openin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coupling groove and a first suction opening formed in a first tower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coupling groove and a first suction opening formed in a first tower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lower side;
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ain parts of the air inflow and outflow structure between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 oil vapor filter module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llecting dust bins;
18 is an enlarged view of the “C” part of FIG. 17
19 and 20 are enlarged views of main parts in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t of the dust box cover is released by the restraint release unit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during dust collection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during oil vapor removal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tower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and 2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ain parts of the air inflow and outflow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discharge grill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grill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loses the discharge op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1 attached.

실시예들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사용하는 청소기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청소기가 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cleaner us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ttery-powered wireless cleaner.

예컨대, 상기 청소기(10)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흡입모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11), 배터리(도시는 생략됨)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12), 연장관(13) 및 흡입노즐(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1)에는 상기 흡입노즐(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15)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er 10 includes a cleaner body 11 equipped with a suction motor (not shown), a battery housing 12 accommodating a battery (not shown), and an extension pipe 13 as shown in FIG. ) and a suction nozzle 14. The cleaner body 11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15 in which dust included in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14 is collected.

상기 먼지통(15)은 바닥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바닥면에는 먼지통덮개(1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에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먼지통덮개(16)는 구속부(17)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폐쇄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속부(17)는 예컨대,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The dust bin 15 is formed with an open bottom surface, and a dust bin cover 16 is installed on the open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dust bin cover 16 is installed to rotate elastically on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 addition, the dust bin cover 16 is configured to be restrained by the restraining part 17 while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is closed. At this time, the restraining part 17 may be formed as, for example, a hook. Accordingly, when the restriction of the restraining part 17 is released, the dust bin cover 16 can be operated to completely open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설명한다.Next,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타워(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ower 100.

상기 제1타워(100)는 청소기(10)를 세워서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타워(10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하로 세워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ower 100 is configured to store the cleaner 10 upright. The first tower 100 has an inner space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erected vertically.

상기 제1타워(100)에는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10)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제1타워(100)의 어느 한 둘레면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ower 1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10 for mounting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with a concave on eith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wer 100 .

상기 장착부(110)는 후면(먼지통의 바닥과 대향되는 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은 상기 장착부(110) 내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예컨대,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제1타워(100)의 전면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110 is formed so that its rear surface (a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of the dust bin) is open, and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is mounted to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within the mounting part 110 .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concav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tower 100 .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장착부(110)의 후면에는 받침덮개(111)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덮개(111)는 상기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덮개(111)는 덮개 동작모터(112)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연결링크(113)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113)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3 and 4 , a support cover 11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0 . The support cover 111 is operab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bin cover 16 of the dust bin 15 rotates. The support cover 11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113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ver operating motor 112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link 113.

상기 제1타워(100)에는 상기 먼지통(15)의 구속부(17)를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구속해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해제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시 동작되면서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ower 100 may include a restraint release part 120 for automatically manipulating the restraint part 17 of the dust bin 15 . The restraint releas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t unit 17 while being operated upon receiving a control signal.

첨부된 도 5와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상기 구속해제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으로 동작되는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모터축에 구비되는 피니언(122)과, 상기 피니언(122)에 맞물려 동작되는 랙기어(123)와, 상기 랙기어(123)에 설치되면서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돌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속해제부(120)로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모터(121)와 랙기어(123) 및 조작돌기(124)의 순차적인 동작으로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조작돌기(124)는 연동부재(124a)에 결합되어 상기 구속부(17)를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5, 19 and 20, the restraint release unit 120 includes a motor 121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a pinion 122 provided on a motor shaft of the motor 121, It may include a rack gear 123 engaged with the pinion 122 and operated, and a manipulation protrusion 124 installed in the rack gear 123 and releasing restraint of the restraining part 17 . That is, when a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the restraint release unit 120,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t unit 17 is released through sequential operations of the motor 121, the rack gear 123, and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24. At this time,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24 is coupled to the interlocking member 124a and is formed to manipulate the restraining part 17 .

상기 제1타워(100)에는 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0)에 장착될 경우 상기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상기 충전부(130)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면서 배터리 충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에 배터리가 접속되면 해당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충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tower 10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130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vacuum cleaner 10 . That is, when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0, the battery of the cleaner 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ing part 130 so that the battery can be charged.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10, and the 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첨부된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제1타워(100) 내에는 흡입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부(140)는 상기 제1타워(100) 중 상기 장착부(110)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3 and 6, the suction part 140 is provided in the first tower 100. The suction part 140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mounting part 110 of the first tower 100 .

상기 흡입부(140)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로써, 팬하우징(143)과, 흡입팬(141) 및 팬모터(14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143)은 상기 흡입부(14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팬(141) 및 팬모터(142)는 상기 팬하우징(143) 내에 설치되 수 있다.The suction unit 14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ir suction force, and may include a fan housing 143, a suction fan 141, and a fan motor 142. The fan housing 143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ction part 140 , and the suction fan 141 and the fan motor 142 may be installed in the fan housing 143 .

또한, 상기 제1타워(100) 내에는 일단이 상기 장착부(110)의 개방된 후면에 연결되는 흡입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유로(150)의 제공으로 인해 상기 흡입부(140)에서 발생된 공기 흡입력으로 먼지통(15) 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uction passage 15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tower 100 . That is, due to the provision of the suction passage 150 , the dust in the dust bin 15 can be suctioned with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part 140 .

상기 제1타워(100) 내에는 집진용 하우징(16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은 흡입부(140)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은 팬하우징(143)의 공기 유입측과 흡입유로(150)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흡입유로(150)를 따라 유동된 먼지통(15) 내의 먼지들이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 내에 집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housing 160 for dust coll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tower 100 .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60 may be located on an air inlet side of the suction part 140 .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6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ir inlet side of the fan housing 143 and the air outlet side of the suction passage 150 . That is, the dust in the dust bin 15 flowing along the suction passage 150 can be collected in the housing 160 for dust collection.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 내에는 집진통(161)이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으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집진통(161)에 집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통(161)은 예컨대, 종이로 이루어진 봉투로 형성될 수도 있다.A dust collection container 161 may be positioned in the dust collection housing 160 . As a resul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60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61 and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t this tim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6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envelope made of paper.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과 상기 흡입부(14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171)는 집진용 하우징(160)을 통과하여 흡입부(140)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이다.At least one first filter 17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60 and the suction part 140 . The first filter 171 is 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in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14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60 .

상기 제1타워(100)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제1흡입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개구(101)로는 상기 흡입부(140)의 흡입력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A first suction opening 101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wer 100 . External air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art 140 .

이를 위해 상기 제1흡입개구(101)는 상기 흡입부(140)가 설치된 공간이나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 혹은, 상기 흡입유로(150)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입개구(101)는 상기 흡입부(140)가 설치된 공간 중 상기 흡입부(140)의 공기 흡입측에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space where the suction part 140 is installed, the housing 160 for dust collection, or the suction passage 150 . Preferably, the first intake opening 101 may be formed on an air intake side of the intake unit 140 in a space in which the intake unit 140 is installed.

상기 제1타워(100)의 내부 공간 중 흡입부(140)의 공기 유출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필터(1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172)는 흡입부(140)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이다.At least one or more second filters 172 may be installed 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inlet 140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tower 100 . The second filter 172 is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let 14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2타워(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tower 200.

상기 제2타워(200)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실내의 유증기 제거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2타워(2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제1타워(100)에 제공되는 흡입부(140)는 먼지 수거외에도 실내의 유증기 제거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tower 200 is a component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an also be used for removing oil vapor in the room. That is, the suction unit 140 provided to the first tower 100 by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second tower 200 can be used for removing oil vapor in the room as well as collecting dust.

첨부된 도 1과 도 2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제2타워(200)는 상기 제1타워(100)와 동일한 높이 및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타워(200)는 상기 제1타워(100)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혹은, 더욱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1, 2 and 6, the second tower 20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nd width as the first tower 100.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tower 200 may be smaller than or larger than the first tower 100 .

이러한 제2타워(200)는 상기 제1타워(10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타워(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구매하여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This second tower 200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tower 100. That is, the second tower 200 is purchas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이를 위해 상기 제2타워(200)와 제1타워(100) 간의 대향면에는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the second tower 200 and the first tower 100.

첨부된 도 2와 도 7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상기 결합 구조는 두 타워(100,200)의 결합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 구조는 제1타워(100)에 형성되는 결합홈(103)과 제2타워(2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03)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제2타워(200)와 제1타워(100)의 대향면은 상기 제1타워(100)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과 그에 대향되는 제2타워(200)의 둘레면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2, 7 to 9, and 11 to 13,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in an interlocking structure for coupling of the two towers 100 and 200. For example,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coupling groove 103 formed in the first tower 100 and a coupling protrusion 203 formed in the second tower 200 . At this time,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second tower 200 and the first tower 100 may b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wer 10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opposite thereto. .

상기 결합홈(103)과 결합돌기(203)는 상기 제1타워(100)의 제1흡입개구(101)가 형성된 벽면 및 그에 대향되는 제2타워(200)의 대향 벽면에 대응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타워(100)에 결합홈(103)이 요입 형성되고, 제2타워(200)에는 결합돌기(20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groove 10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3 correspond to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tower 100 where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is formed and the opposite wall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opposite thereto. . For example, the coupling groove 103 may be concave i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3 may protrude in the second tower 200 .

첨부된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상기 제2타워(200)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제1흡입개구(101)와 일치되는 제1연통개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가 결합홈(103) 및 결합돌기(203)로 결합될 경우 상기 제1타워(100)에 형성된 제1흡입개구(101)는 제2타워(200)의 제1연통개구(201)와 연통된다. 즉, 흡입부(140)가 동작되면 제1흡입개구(101)와 제1연통개구(201)를 통해 제2타워(200) 내로 공기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의 대향면 중 상기 제1흡입개구(101)와 제1연통개구(201) 간의 접촉 부위에는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6 to 9 and 11 to 15, a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matching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there is. Accordingly, wh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are coupled by the coupling groove 10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3,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formed in the first tower 100 is the second tower I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of (200). That is, when the suction unit 140 is operated, air suction force may be transmitted into the second tower 200 through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 At this time, a packing member (shown) for preventing air leakage is formed at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among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is omitted) may be provided.

상기 제2타워(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204,2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04,205)를 통해 실내 공기가 제2타워(2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At least one suction port 204 or 20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tower 200 . Indoor air may be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200 through the intake ports 204 and 205 .

상기 흡입구(204,205)는 단일의 개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슬롯 혹은, 슬릿이 형성된 특정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흡입구(204,205)는 제2타워(200)의 외면에 작은 구멍을 다수 타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s 204 and 205 may be formed as a single opening, or may be a plurality of slots or a specific area in which slits are formed. For example, the intake ports 204 and 205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formed by drilling a plurality of small hol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

상기 흡입구(204,205)는 상기 제1연통개구(201)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204,205)는 상기 제2타워(200)의 중앙보다 높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를 부유하는 유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제2타워(200) 내로 원활히 흡입될 수 있다.The intake ports 204 and 205 may be formed above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 More specifically, the intake ports 204 and 205 may be formed on a side higher than the center of the second tower 200 . As a result, air containing oil vapor floating in the room can be smoothly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200 .

이러한 흡입구(204,205)는 상기 제2타워(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20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타워(200)의 상측 공기는 제2타워(200)의 상면을 통해 제2타워(2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These intake ports 204 and 205 may include a first intake port 2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 As a result, the air above the second tower 200 can be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200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

상기 흡입구(204,205)는 상기 제2타워(200)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구(20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타워(200)의 둘레측 공기는 제2타워(200)의 둘레면을 통해 제2타워(2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The intake ports 204 and 205 may include a second intake port 205 formed on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 As a result, the circumferential air of the second tower 200 can be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200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

상기 제2타워(200)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증기 필터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필터모듈(600)은 상기 흡입구(204,205)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제2타워(200)는 조리물을 조리시 실내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흡입 및 제거할 수 있다.At least on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tower 200. Th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serves to remove oil vapor from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s 204 and 205. For example, the second tower 200 may inhale and remove oil vapor present in the room when cooking food.

첨부된 도 6 및 도 16과 같이 상기 유증기 필터모듈(600)은 상기 제2타워(200)의 흡입구(204,205)와 제1연통개구(20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구(204,205)를 통해 제2타워(200) 내로 흡입된 공기가 제1연통개구(201)를 통해 제1타워(100)로 배출되기 전에 유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6 and 16, th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take ports 204 and 205 of the second tower 20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As a result, oil vapor can be removed b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tower 200 through the suction ports 204 and 205 is discharged to the first tower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

이러한 유증기 필터모듈(600)은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증기 필터(6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필터(610)는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면서 유증기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증기 필터(610)는 섬유 재질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필터(610)는 상기 제2타워(200) 내의 흡입구(204,205)가 형성된 공간과 제1연통개구(201)가 형성된 공간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may include an oil vapor filter 610 for removing oil vapor. The oil vapor filter 610 may be formed as a filter for filtering oil vapor while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oil vapor filter 610 may be formed of a fiber filter. The oil vapor filter 610 may be formed to block a space in the second tower 200 where the suction ports 204 and 205 are formed and a space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is formed.

상기 유증기 필터모듈(600)은 상기 유증기 필터(610)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6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부(620)는 상기 유증기 필터(610)를 제2타워(200) 내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may include a filter installation part 620 in which the oil vapor filter 610 is installed.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620 is a component for installing the oil vapor filter 610 in the second tower 200.

상기 유증기 필터(610)는 일정 시간의 사용시 자동으로 교체되도록 함으로써 유증기 제거 성능이 유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 설치부(620)는 유증기 필터(610)의 일단이 권취되는 공급롤러(621)와,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타단이 권취되는 배출롤러(62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롤러(621) 및 배출롤러(622)는 상기 제2타워(200) 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The oil vapor filter 6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intain oil vapor removal performance by automatically replacing the oil vapor filter 610 when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his end, the filter installation unit 620 may include a supply roller 621 on which one end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wound, and a discharge roller 622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wound. At this time, the supply roller 621 and the discharge roller 622 may be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tower 200, respectively.

상기 배출롤러(622)는 권취모터(623)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증기 필터(610) 중 유증기를 걸러주기 위해 사용된 부분은 권취모터(623)의 구동으로 배출롤러(622)에 권취되고, 공급롤러(621)에 권취된 비사용 부분은 제2타워(200) 내의 흡입구(204,205)와 제1연통개구(201)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된다.The discharge roller 622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rotated by a take-up motor 623 . As a result, the portion used to filter oil vapor out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wound around the discharge roller 622 by driving the take-up motor 623, and the unused portion wound around the supply roller 621 is wound around the second tower 200 ) and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상기 권취모터(623)는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를 토대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권취모터(623)는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 차이날 경우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덕트(200) 내에는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의 압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압력센서(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The take-up motor 62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ased on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let side and the air outlet side of the oil vapor filter 610 . For example, the take-up motor 62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air inlet side and the air outlet side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different than a set value. To this end, a pressure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uct 200 to check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let side and the air outlet side of the oil vapor filter 610.

상기 필터 설치부(620)는 유증기 필터(61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받침플레이트(624)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유증기 필터(610)의 경우 오랜 사용시 유증기의 무게로 처짐이 발생되어 어느 한 부위로의 유증기 뭉침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받침플레이트(624)의 제공으로 유증기 필터(610)의 저부를 받쳐주면서 텐션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받침플레이트(624)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다공판 혹은, 메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installation part 62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624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oil vapor filter 610. That is, in the case of the oil vapor filter 610, sagging occurs due to the weight of the oil vapor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thus the oil vapor may accumulate in one part. Considering this, the tension is maintained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oil vapor filter 610 by providing the support plate 624. The support plate 624 may be formed of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mesh network.

한편, 상기 제1타워(100) 혹은, 제2타워(200)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유증기센서(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 유증기 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실내 유증기 량을 토대로 유증기 제거를 위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n oil vapor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first tower 100 or the second tower 2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mount of indoor oil vapor, and based on the checked amount of indoor oil vapor, operation for removing oil vapor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첨부된 도 12와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제1타워(100)의 제1흡입개구(101)에는 제1개폐판(4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폐판(410)은 사용자에 의해 제1흡입개구(101)를 폐쇄하는 덮개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제1흡입개구(101) 혹은, 제1연통개구(2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12, 14 and 15, a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of the first tower 100. At this time,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selectively opens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or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as needed, unlike a cover that closes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by the user. It may be oper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예컨대, 상기 제1개폐판(410)은 도시되지 않은 동작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모터와 제1개폐판(410)의 회전 중심을 축결합함으로써 상기 동작모터의 구동으로 제1개폐판(410)이 제1흡입개구(101)를 폐쇄하거나 혹은, 개방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driving a motion motor (not shown). That is, by axially coupl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motion motor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can close or open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by driving the motion motor. .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각 타워(100,200)의 저면에 받침대(500)가 제공될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destal 5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each tower 100 or 200 .

상기 받침대(500)는 상기 두 타워(100,200)의 일괄적인 설치를 위한 구성이다. 즉, 두 타워(100,200)는 상기 받침대(500)에 얹힌 상태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500)는 상기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의 저면이 동시에 얹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500 is a configuration for the collective installation of the two towers 100 and 200. That is, the two towers 100 and 200 can be built on the floor while resting on the pedestal 500 . At this time, the pedestal 500 may b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are simultaneously put on and coupled to each other.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500)는 서로 결합된 두 타워(100,200)의 저면보다 더욱 넓은 전후 폭 혹은,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edestal 500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front-to-front width or left-to-right width tha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wo towers 100 and 200 coupled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받침대(500)로 인해 각 타워(100,200)가 넘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a problem in which the towers 100 and 200 fall due to the pedestal 500 can be prevented.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타워(100)만 단독으로 제공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가 함께 제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Prior to description,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first tower 100 is provided and used, or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are provided together. and can be used

상기 제1타워(100)가 단독으로 제공될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거치 혹은, 먼지 수거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tower 100 is provided alon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ly for holding a vacuum cleaner or for collecting dust.

상기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가 함께 제공될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거치 혹은, 먼지 수거 용도뿐 아니라 유증기의 제거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are provided together,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removing oil vapor as well as for setting a vacuum cleaner or collecting dust can also be used as

상기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가 함께 제공될 경우 상기 제2타워(200)는 제1타워(100)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타워(200)의 결합돌기(203)가 제1타워(100)의 결합홈(103)에 결합됨으로써 두 타워(100,200)는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두 타워(100,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타워(100)의 제1흡입개구(101)는 상기 제2타워(200)에 형성된 제1연통개구(201)는 일치된다.Wh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are provided together, the second tower 200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tower 100. That is, as the coupling protrusions 203 of the second tower 20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103 of the first tower 100, the two towers 100 and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combining the two towers 100 and 200,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of the first tower 100 coincid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formed in the second tower 200.

그리고, 전술된 두 타워(100,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혹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동작 가능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two towers 100 and 200 are combined, they can be used for each purpos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r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be a controller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lectrically operable components.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가 결합되어 함께 제공될 때의 각 사용 용도별 운전 과정을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n operation process for each use wh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are combined and provided together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거치 및 충전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holding and charging a vacuum cleaner.

즉, 첨부된 도 3과 같이 청소기(10)를 제1타워(100)의 장착부(110)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청소기(10)는 제1타워(100)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청소기(10)의 배터리는 제1타워(100)의 충전부(130)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면서 충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에 배터리가 접속되면 해당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충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by mounting the cleaner 10 to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first tower 100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3 , the cleaner 10 can be stor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tower 100 . In addition, the battery of the vacuum cleaner 10 can be charg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ing unit 130 of the first tower 100 .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10, and the 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러한 거치 용도로의 사용은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 혹은, 유증기 제거를 위한 운전의 수행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배터리 충전이 여타 운전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The use for such a mounting purpos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an operation for collecting dust or an operation for removing oil vapor is performed. Of course, it may be set to prioritize battery charging over other drivin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의 먼지통(15)에 대한 먼지 수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ollecting dust from the dust bin 15 of the vacuum cleaner.

이러한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은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Operation for dust collec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버튼(도시는 생략됨)의 조작될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청소기(10)가 제1타워(100)에 장착되어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충전부(13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즉, 제1타워(100)의 장착부(110)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되면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may include,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user manipulates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for emptying the dust bin. That is,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nd an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may be performed. Of course, when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battery of the cleaner 10 is connected to the charger 13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at is, when the dust bin 15 of the vacuum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0 of the first tower 100,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has occurred and the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can be set to be performed. .

그리고,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개폐판(410)은 상기 제1타워(100)의 제1흡입개구(101)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제1흡입개구(101)가 개방된 상태라면 동작모터(도시는 생략됨)가 구동되면서 제1개폐판(410)이 상기 제1흡입개구(101)를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이는 첨부된 도 15와 같다.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operation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is satisfied,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is operated so that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of the first tower 100 is closed. That is, when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is open,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is operated to close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while driving an operation motor (not shown).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 15.

또한,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장착부(110)에 구비된 받침덮개(111)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장착부(110)의 개구된 후면이 개방된다. 이는, 첨부된 도 17 및 도 18과 같다. 물론, 상기 받침덮개(111)는 제1타워(100)의 장착부(110)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될 경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건의 만족 여부와 상관없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받침덮개(111)가 설정 각도만 회전되는 이유는 받침덮개(111)의 열림 각도가 클수록 먼지통덮개(16)의 개방시 부딪힘에 따른 충격 소음이 커지기 때문이다. 즉, 받침덮개(111)의 열림 각도를 줄여 먼지통덮개(16)의 개방시 충격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받침덮개(111)의 열림 각도는 구속해제부(120)의 동작시 구속부(17)의 구속이 완전히 해제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is satisfied, the support cover 111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110 is rotated by a set angle, and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s opened.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S. 17 and 18. Of course, when the dust bin 15 of the vacuum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0 of the first tower 100, the base cover 111 rotates by a set angl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is satisfied. may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base cover 111 is rotated only at the set angle is that the larger the opening angle of the base cover 111 is, the greater the impact noise due to the collision when the dust box cover 16 is opened. That is, by reducing the opening angle of the support cover 111, impact noise can be reduced when the dust box cover 16 is opened. The opening angle of the support cover 111 may be an angle at which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t part 17 can be completely relea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straint release part 120 .

그리고, 상기 받침덮개(111)가 일정 각도 회전되어 장착부(110)의 후면 개구가 일부 개방된 이후에는 구속해제부(120)가 동작된다. 즉, 첨부된 도 19 및 도 20과 같이 구속해제부(120)의 동작으로 구속부(17)가 구속 해제 위치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로써 먼지통덮개(16)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회전되면서 먼지통(15)의 바닥면(첨부된 도 18의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 벽면)을 개방하게 된다.And, after the support cover 111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to partially open the rear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110, the restraint release part 120 is operated. That is,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restraint unit 17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restraint release unit 120. As a result, the restraint of the dust bin cover 16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dust bin cover 16 is momentarily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bin 15 (the right side wall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FIG. 18 attached) ) is opened.

상기 구속해제부(120)가 동작될 경우에는 덮개 동작모터(112)가 함께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 동작모터(112)는 구속해제부(120)의 모터(121)와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되거나 혹은, 동시에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restraint release unit 120 is operated, the lid operation motor 112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together. At this time, the lid operation motor 112 and the motor 121 of the restraint release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simultaneously.

상기 덮개 동작모터(112)가 동작되면 이에 연결된 연결링크(113)가 동작되면서 받침덮개(111)를 후퇴 이동시키고, 이의 경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상기 받침덮개(111)와 함께 이동된다. 이로써 먼지통(15)은 완전히 개방된다.When the lid operation motor 112 is operated, the connection link 113 connected thereto is operated to move the support cover 111 backward, and in this case, the dust box cover 16 moves with the support cover 11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re moved together As a result, the dust bin 15 is completely opened.

또한, 상기 구속해제부(120)가 동작될 경우에는 흡입부(140)의 팬모터(142)가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통(15)이 개방될 경우 흡입팬(151)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먼지통(15) 내에 집진된 이물질이 흡입유로(150)를 따라 집진용 하우징(160)으로 유동된 후 상기 집진용 하우징(160) 내의 집진통(161)에 집진된다. 상기 이물질과 함께 집진용 하우징(160)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61)를 통과한 후 흡입부(140)를 추가로 통과하면서 제1타워(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21과 같다.Also, when the release unit 120 is operated, the fan motor 142 of the suction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s a result, when the dust bin 15 is opene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15 are flowed along the suction passage 150 to the housing 160 for dust collection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151, and then to the dust collection housing 160. Dust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61 in the dust housing 160.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60 for dust collection together with the foreign substances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6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uction part 1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ower 100 . This i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21.

상기 흡입부(140)의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흡입부(140)의 동작이 정지되면 덮개 동작모터(112)가 동작되면서 받침덮개(111)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받침덮개(111)가 접촉된 먼지통덮개(16)도 받침덮개(111)와 함께 닫힘 방향으로 이동(전진 이동)된 후 먼지통(15)의 개방된 바닥을 폐쇄하면서 구속부(17)에 의해 구속된다.The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140 may be performed for a set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140 is stoppe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cover operation motor 112 is operated to move the support cover 111 forward. In this case, the dust bin cover 16 in contact with the base cover 111 is also moved (forward) together with the base cover 111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n the restraining part 17 closes the open bottom of the dust bin 15. bound by

그리고, 전술된 먼지 수거 동작이 완료되면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10)를 이루는 배터리의 충전 및 청소기(10)의 보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After the above-described dust collec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is used for charging a battery constituting the cleaner 10 and storing the cleaner 1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실내 유증기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remove indoor oil vapor.

이러한 실내 유증기의 제거를 위한 운전은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Operation for removing the indoor oil vapor may be performed whe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실내 유증기의 제거를 위한 제2동작 조건은 실내의 유증기량이 미리 설정된 량보다 많은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의 유증기량에 대한 확인은 유증기센서(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즉, 유증기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싱 값을 기준으로 실내의 유증기량이 설정된 량에 도달될 경우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동작 조건은 사용자의 동작 요청이 발생된 경우,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for removing the indoor oil vapor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is greater than a preset amount. At this time, the confirmation of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may be sensed by an oil vapor sensor (not shown). That is, when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reaches a set amount based on the sensing value sensed by the oil vapor senso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Of course, the second operation cond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rrival of a set time period when a user's operation request is generated.

그리고,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1타워(100)에 구비된 받침덮개(111)가 장착부(110)의 개방된 후면을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이는 첨부된 도 3과 같다. 이때, 청소기(10)의 먼지통덮개(16)가 개방된 상태의 경우 상기 받침덮개(111)는 상기 먼지통덮개(16)를 닫도록 동작된다. 즉, 받침덮개(1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먼지통덮개(16)는 먼지통(15)의 후면을 폐쇄한 상태로 구속부(17)에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만일, 받침덮개(111)가 장착부(110)의 개방된 후면을 폐쇄하고 있을 경우에는 해당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된다.And, whe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support cover 111 provided on the first tower 100 is operated to close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0. This i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3. At this time, when the dust bin cover 16 of the cleaner 10 is open, the support cover 111 is operated to close the dust bin cover 16 .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cover 111, the dust bin cover 16 is bound to the restraining part 17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ust bin 15 is closed. If, when the support cover 111 is closing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the state is controlled to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의 연통 부위가 개방되도록 동작된다. 즉, 동작모터의 구동으로 제1개폐판(410)이 동작되면서 제1흡입개구(101)를 개방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is operated to open. That is, as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is operated by driving the operating motor,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is opened.

또한,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흡입부(140)가 동작되면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1타워(100)의 장착부(110)는 받침덮개(111)에 의해 개방 부위가 폐쇄된 상태이다. 이로써 상기 공기 흡입력은 온전히 제1흡입개구(101)로 제공되어 제2타워(200) 내로 공기 흡입력이 전달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ir suction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suction unit 140 operates. 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first tower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open portion is closed by the support cover 111 . As a result, the air suction force is completely provided to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and the air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into the second tower 200 .

상기 제2타워(200)로 전달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제2타워(200)의 흡입구(204,205)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상기 제2타워(200) 내에 설치된 유증기 필터모듈(600)의 유증기 필터(610)를 통과하면서 해당 공기에 포함된 유증기가 제거된다.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s 204 and 205 of the second tower 200 by the air su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tower 200 . Subsequently,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oil vapor filter 610 of th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installed in the second tower 200, the oil vapor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그리고, 상기 유증기가 제거된 공기는 제2타워(200) 내를 유동한 후 제1연통개구(201)를 통과하여 제1타워(100)로 제공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타워(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부(140)를 통과한 후 제1타워(100) 내의 제2필터(172)를 거쳐 미세 먼지가 추가 제거된 후 제1타워(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22와 같다.Then, the air from which the oil vapor has been removed flows through the second tower 2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to be provided to the first tower 100 . Subsequent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tower 100 passes through the inlet 14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in the first tower 100 to further remove fine dust, and then the first tower 100 )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 22.

전술된 과정은 유증기 제거 완료를 위한 종료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먼지통덮개(16)를 구속하던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실내 유증기량이 설정량 보다 낮을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흡입부(140)의 구동이 중단된다.The above process may be performed until the termination condition for completing oil vapor removal is satisfied. At this time, the end condition is an operation by the user, the arrival of a set time period, when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ing part 17 that restrains the dust bin cover 16 is released, when the operation conditions for emptying the dust bin are satisfied, the amount of indoor vapor If at least one of the cases lower than the set amount occurs,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satisfied. That is, 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driving of the suction unit 140 is stopped.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의 연통 부위가 폐쇄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동작모터의 구동으로 제1개폐판(410)이 동작되면서 제1흡입개구(101)를 폐쇄하는 것이다.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may be operated to be closed. That is, when the end condition is satisfied,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is operated by driving the motion motor to close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

한편, 상기 유증기 필터모듈(600)을 이루는 유증기 필터(610)는 설정 주기 혹은, 필터링 성능 저하가 발생될 경우 교체된다.On the other hand, the oil vapor filter 610 constituting the oil vapor filter module 600 is replaced in a set period or when filtering performance deterioration occurs.

상기 필터링 성능 저하는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를 토대로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 차이날 경우 해당 유증기 필터(610)의 교체가 필요함으로 확인될 수 있다.The deterioration in filtering performance may be confirmed based on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let side and the air outlet side of the oil vapor filter 610 .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air inlet side and the air outlet side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different than a set valu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rresponding oil vapor filter 610 needs to be replaced.

그리고, 상기 유증기 필터(610)의 교체가 필요함으로 확인되면 권취모터(623)가 구동되면서 배출롤러(622)가 강제 회전된다. 이로써 유증기 필터(610) 중 유증기를 걸러주기 위해 사용된 부분은 권취모터(623)의 구동으로 배출롤러(622)에 권취되고, 공급롤러(621)에 권취된 비사용 부분은 제2타워(200) 내의 흡입구(204,205)와 제1연통개구(201)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된다.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placement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necessary, the take-up motor 623 is driven and the discharge roller 622 is forcibly rotated. As a result, the portion used to filter oil vapor out of the oil vapor filter 610 is wound around the discharge roller 622 by driving the take-up motor 623, and the unused portion wound around the supply roller 621 is wound around the second tower 200 ) and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1.

결국,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타워(100)가 제2타워(200)와는 개별로 제공되면서 청소기(10)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wer 1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tower 200 and can be used only for storing the cleaner 10 or collecting dust.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타워(100)가 제2타워(200)와 함께 제공되면서 청소기(10)의 보관이나 먼지의 수거 뿐 아니라 실내 공기 중의 유증기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ower 10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tower 200, it can be used not only for storage of the cleaner 10 and collection of dust, but also for removing oil vapor from indoor air.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7과 같이 제3타워(300)를 포함하는 제2실시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ing the third tower 300 as shown in FIGS. 23 to 27 attach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3타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tower 300.

상기 제3타워(300)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공기 정화기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3타워(3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제1타워(100)에 제공되는 흡입부(140)는 먼지 수거외에도 공기 정화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third tower 300 is a component provid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an additionally perform the function of an air purifier. That is, the suction unit 140 provided to the first tower 100 by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third tower 300 can be used for air purification as well as dust collection.

상기 제3타워(300)는 상기 제1타워(100) 혹은, 제2타워(200)와 동일한 높이 및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3타워(300)는 상기 제1타워(100)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혹은, 더욱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third tower 30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nd width as the first tower 100 or the second tower 200 .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tower 300 may be smaller than or larger than the first tower 100 .

이러한 제3타워(300)는 상기 제1타워(10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3 내지 도 25와 같이 제1타워(100)의 어느 한 측(도면상 좌측)에는 제2타워(200)가 결합되고, 제1ㅌ타워(100)의 다른 한 측(도면상 우측)에는 제3타워(300)가 결합될 수 있다.This third tower 300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tower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3 to 25, the second tower 200 is coupled to eithe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tower 100, and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tower 100 ) may be coupled to the third tower 300.

상기 제3타워(300)와 제1타워(100) 간의 대향면에는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는 두 타워(100,200)의 결합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 구조는 제1타워(100)에 형성되는 결합홈(103)과 제3타워(3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03)로 형성될 수가 있다.A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the third tower 300 and the first tower 100 .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in an interlocking structure for coupling of the two towers 100 and 200. For example,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coupling groove 103 formed in the first tower 100 and a coupling protrusion 303 formed in the third tower 300 .

상기 결합홈(103)과 결합돌기(303)는 상기 제1타워(100)의 제2흡입개구(104)가 형성된 벽면 및 그에 대향되는 제3타워(300)의 대향 벽면에 대응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흡입개구(104)는 제1흡입개구(101)와는 별개로 제1타워(100)의 흡입부(140)가 구비된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개구이다. 상기 제1흡입개구(101)와 제2흡입개구(104)는 제1타워(100)의 서로 다른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groove 10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03 correspond to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tower 100 where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is formed and the opposite wall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opposite thereto. . At this time,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is an opening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rovided with the suction part 140 of the first tower 100 separately from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and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may be formed on different wall surfaces of the first tower 100 .

상기 제1타워(100)의 제2흡입개구(104)에는 제2개폐판(4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개폐판(420)은 제2흡입개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개폐판(420)은 도시되지 않은 동작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모터와 제2개폐판(420)의 회전 중심을 축결합함으로써 상기 동작모터의 구동으로 제2개폐판(420)이 제2흡입개구(104)를 폐쇄하거나 혹은, 개방할 수 있게 된다.A second opening/closing plate 42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of the first tower 100 . At this tim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420 may be operably install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 For example, the second opening/closing plate 42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driving a motion motor (not shown). That is, by axially coupling the motion motor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plate 420, the second opening/closing plate 420 can close or open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by driving the motion motor. .

상기 제3타워(300)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제2흡입개구(104)와 일치되는 제3연통개구(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타워(100)와 제3타워(300)가 결합홈(103) 및 결합돌기(303)로 결합될 경우 상기 제1타워(100)에 형성된 제2흡입개구(104)는 제3타워(300)의 제3연통개구(301)와 연통된다. 즉, 흡입부(140)가 동작되면 제2흡입개구(104)와 제3연통개구(301)를 통해 제3타워(300) 내로 공기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워(100)와 제3타워(300)의 대향면 중 상기 제2흡입개구(104)와 제3연통개구(301) 간의 접촉 부위에는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A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matching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 Accordingly, wh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third tower 300 are coupled by the coupling groove 10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03,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formed in the first tower 100 is the third tower It communicates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of 300. That is, when the suction unit 140 is operated, air suction force may be transmitted into the third tower 300 through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 At this time, a packing member (shown) for preventing air leakage is formed at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among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tower 100 and the third tower 300. is omitted) may be provided.

상기 제3타워(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304,3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304,305)를 통해 실내 공기가 제3타워(3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304,305)는 단일의 개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슬롯 혹은, 슬릿이 형성된 특정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흡입구(304,305)는 제3타워(300)의 외면에 작은 구멍을 다수 타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uction port 304 or 305 may be formed in the third tower 300 . Indoor air may be sucked into the third tower 300 through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 The inlets 304 and 305 may be formed as a single opening, or may be a plurality of slots or a specific area in which slits are formed. For example,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formed by drilling a plurality of small hol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

특히, 상기 흡입구(304,305)는 상기 제3연통개구(301)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304,305)는 상기 제3타워(300)의 중앙보다 높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를 부유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상기 제3타워(300) 내로 원활히 흡입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may be formed above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 More specifically,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may be formed on a side higher than the center of the third tower 300 .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ating in the room can be smoothly sucked into the third tower 300 .

이러한 흡입구(304,305)는 상기 제3타워(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30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제3타워(300)의 상측 공기는 제3타워(300)의 상면을 통해 제3타워(3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These intake ports 304 and 305 may include a first intake port 3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 Accordingly, air above the third tower 300 may be sucked into the third tower 300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

상기 흡입구(304,305)는 상기 제3타워(300)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구(30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제3타워(300)의 둘레측 공기는 제3타워(300)의 둘레면을 통해 제3타워(3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The intake ports 304 and 305 may include a second intake port 305 formed on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 As a result, air on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hird tower 300 can be sucked into the third tower 300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

상기 제3타워(300)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310,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310,320)는 상기 흡입구(304,305)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각종 이물질이나 오염 성분 혹은, 냄새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t least one or more filters 310 and 320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tower 300 . The filters 310 and 320 serve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minants, and odor components from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

이러한 필터(310,320)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 냄새의 탈취를 위한 필터, 세균의 사멸을 위한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310,320)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프리필터(Pre-Filter)(311,321),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312,322),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탈취필터(313,323)를 포함하는 필터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These filters 310 and 3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 filter for deodorizing odor, and a filter for killing bacteria. For example, the filters 310 and 320 include pre-filters 311 and 321 for removing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HEPA filters 312 and 322 for removing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and removal of odor components. It may be provided as a filter module including deodorizing filters 313 and 323 for

상기 필터(310,320)는 상기 제3타워(300)의 내부 중 제1흡입구(304)가 형성된 부위에 구비되는 제3필터(31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흡입구(304)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제3필터(310)에 의해 이물질 혹은, 냄새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The filters 310 and 320 may include a third filter 310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hird tower 300 where the first inlet 304 is formed. Accordingly, the third filter 310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odor components from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304 .

상기 필터(310,320)는 상기 제3타워(300)의 내부 중 상기 제2흡입구(305)가 형성된 부위에 구비되는 제4필터(3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필터(320)는 제3타워(300)의 각 둘레면마다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원통형(혹은, 반원이나 다각통형)과 같이 제3타워(300)의 내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흡입구(305)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제4필터(320)에 의해 이물질 혹은, 냄새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The filters 310 and 320 may include a fourth filter 320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third tower 300 where the second inlet 305 is formed. At this time, the fourth filter 320 may be provided on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and has a shape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tower 300,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semicircular or polygonal cylindrical shape). can be formed as Accordingly, the fourth filter 320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odor components from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inlet 305 .

상기 제3타워(300) 내에는 흡입용 안내가이드(3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안내가이드(330)는 상기 흡입구(304,305)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기 제3연통개구(301)가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구(304,305)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용 안내가이드(33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3연통개구(301)로 유동될 수 있다.A guide guide 330 for suction may be formed in the third tower 300 . The suction guide guide 330 may be formed from a portion where the suction ports 304 and 305 are formed to a portion where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is formed. 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may flow to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guide 330 for inta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운전 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ir cleaner us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3타워(300)는 제1타워(100)에 결합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제3타워(300)가 제1타워(100)에 결합됨으로써 제3타워(300)는 흡입부(140)의 구동에 따른 공기 흡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3타워(300)는 제2타워(200)와 함께 제1타워(100)에 결합된 상태로 동작되거나 혹은, 제2타워(200)가 생략된 상태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third tower 300 may be opera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first tower 100 . That is, since the third tow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tower 100, the third tower 300 can receive air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uction unit 140. Of course, the third tower 300 may be operated in a state coupled to the first tower 100 together with the second tower 200, or may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ower 200 is omitted.

상기 공기 청정기의 운전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제3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may be performed when the third operating condition for purifying indoor air is satisfied.

상기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제3동작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실내 공기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에 도달될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The third operating condition for purifying indoor air may be determined to be satisfied when at least one of a user's manipulation, arrival of a set time period, and a case where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reaches a set level of pollution occurs.

그리고, 상기 제3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1타워(100)에 구비된 받침덮개(111)가 장착부(110)의 개방된 후면을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이때, 청소기(10)의 먼지통덮개(16)가 개방된 상태의 경우 상기 받침덮개(111)의 동작에 의해 먼지통(15)의 후면이 폐쇄된 상태로 구속부(17)에 구속된다. 만일, 받침덮개(111)가 장착부(110)의 후면을 폐쇄하고 있을 경우에는 해당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된다.And, when the thir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support cover 111 provided on the first tower 100 is operated to close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t this time, when the dust bin cover 16 of the vacuum cleaner 10 is open, the rear surface of the dust bin 15 is closed to the restriction part 17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cover 111 . If, when the support cover 111 is cl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the state is controlled to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제3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1타워(100)와 제2타워(200)의 연통 부위가 폐쇄되도록 동작된다. 즉, 동작모터의 구동으로 제1개폐판(410)이 동작되면서 제1흡입개구(101)를 폐쇄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tower 200 is operated to be closed. That is,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is operated by driving the operating motor to close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

또한, 상기 제3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제1타워(100)와 제3타워(300)의 연통 부위는 개방되도록 동작된다. 즉, 동작모터의 구동으로 제2개폐판(420)이 동작되면서 제2흡입개구(104)를 개방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tower 100 and the third tower 300 is operated to open. That is, as the second opening/closing plate 420 is operated by driving the operating motor,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is opened.

또한, 상기 제3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흡입부(140)가 동작되면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1타워(100)는 장착부(110)의 개구와 제1흡입개구(101)가 폐쇄된 상태이고 제2흡입개구(104)만 개방된 상태이다. 이로써 상기 제1타워(100)에서 발생된 공기 흡입력은 상기 제2흡입개구(104)를 통해 제3타워(300)에 전달된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ir suction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suction unit 140 operates. At this time, in the first tower 100,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are closed, and only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is open. As a result,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tower 100 is transmitted to the third tower 300 through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

그리고, 상기 제3타워(300)로 전달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제3타워(300)의 흡입구(304,305)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제1흡입구(304)에 위치된 제3필터(310) 및 제2흡입구(305)에 위치된 제4필터(320)를 통과하면서 해당 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In addition,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of the third tower 300 by the air su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third tower 300 . At this time,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third filter 310 located at the first inlet 304 and the fourth filter 320 located at the second inlet 305,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are removed. .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제3타워(300) 내를 유동한 후 제3연통개구(301)를 통과하여 제1타워(100)로 제공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타워(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부(140)를 통과한 후 제1타워(100) 내의 제2필터(172)를 거쳐 미세 먼지가 추가 제거된 후 제1타워(100)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lows through the third tower 3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opening 301 to be provided to the first tower 100 . Subsequent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tower 100 passes through the inlet 14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in the first tower 100 to further remove fine dust, and then the first tower 100 )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전술된 과정의 반복으로 실내 공기는 정화된다.Accordingly, indoor air is purified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전술된 과정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종료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설정된 시간 주기 도래, 먼지통덮개(16)를 구속하던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흡입부(140)의 구동이 중단되면서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동작이 종료된다.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performed until an end condition for purifying indoor air is satisfied. At this time, the end condition is at least one of a user's operation, the arrival of a set time period, a case in which the restriction of the restraining part 17 that restrains the dust box cover 16 is released, and an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being satisfied. If it occurs, it can be judged to be satisfied. That is, 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operation of purifying indoor air is terminated while driving of the suction unit 140 is stopped.

전술된 제3타워(300)가 추가로 제공되는 제2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제2타워(200)를 이용한 유증기 제거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제1타워(100)의 장착부(110)의 개구와 제2흡입개구(104)는 폐쇄되고, 제1흡입개구(101)가 개방된다. 이로써 상기 제1타워(100)에서 발생된 공기 흡입력은 상기 제1흡입개구(101)를 통해 제2타워(200)에만 전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third tower 300 described above is additionally provided, when the oil vapor removal operation using the second tower 200 is performed,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110 of the first tower 100 and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is closed, and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is open. Accordingl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tower 100 can be transmitted only to the second tower 200 through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첨부된 도 21과 도 22 및 도 27 내지 도 29와 같은 제3실시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21 and 22 and FIGS. 27 to 29 .

이러한 제3실시예의 경우, 제1타워(100) 내의 흡입부(140)를 통과한 공기가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 중 적어도 어느 한 타워 내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140 in the first tower 100 passes through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an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예컨대, 첨부된 도 27 내지 도 29와 같이 제1타워(100)의 양 측 벽면에는 흡입부(14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개구(10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제1배출개구(102)는 상기 제1타워(100)의 외면 중 제2필터(172)의 공기 유출측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27 to 29 , first discharge openings 102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140 is discharged may b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tower 100 .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discharge openings 102 may be formed 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second filter 172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tower 100 .

이와 함께, 제2타워(200) 및 제3타워(300)에는 상기 각 제1배출개구(102)와 연통되는 제2연통개구(202,30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배출개구(102) 및 각 제2연통개구(202,302)가 형성되는 외면은 각 타워(100,200,300) 간의 대향면이 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타워(100)의 제1배출개구(102)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2연통개구(202,302)를 통해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타워(100))의 양 측 벽면에 형성되는 각 제1배출개구(102)에는 별도의 개폐판(430,440)이 각각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별도의 개폐판(430,440)은 전술된 제1개폐판(410) 혹은, 제2개폐판(420)과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개폐판(410)이 제1흡입개구(101)를 폐쇄하도록 동작될 경우 어느 한 개폐판(430)도 제1배출개구(102)를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고, 제2개폐판(420)이 제2흡입개구(104)를 개방하도록 동작될 경우 다른 한 개폐판(440)은 제2흡입개구(104)를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ddition, second communication openings 202 and 302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first discharge openings 10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tower 200 and the third tower 300 ,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n which the first discharge opening 10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s 202 and 302 are formed may be opposite surfaces between the towers 100 , 200 and 300 .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opening 102 of the first tower 100 may flow into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s 202 and 302 . Meanwhile, separate opening/closing plates 430 and 44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discharge openings 102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tower 10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eparate opening/closing plates 430 and 44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opening/closing board 410 or the second opening/closing board 42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first opening/closing plate 410 is operated to close the first suction opening 101, any one opening/closing plate 430 can also be operated to close the first discharge opening 102,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plate When the 420 is operated to open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the other opening/closing plate 440 can be operated to open the second suction opening 104.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28 and 29.

또한, 상기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개구(206,30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제2배출개구(206,30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may be formed with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

상기 제2타워(200)의 제2배출개구(206)는 제2타워(200)의 흡입구(204,205)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배출개구(206)는 상기 제2타워(200)의 중앙보다 낮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배출개구(206)는 제2타워(200) 내의 흡입용 안내가이드(230)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배출개구(206)로 배출된 공기가 제2흡입구(205)로 곧장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opening 206 of the second tower 200 may be formed below the intake ports 204 and 205 of the second tower 20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206 may be formed at a side lower than the center of the second tower 200 . Preferably,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206 may be formed below the suction guide 230 in the second tower 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206 from directly flowing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205 .

상기 제3타워(300)의 제2배출개구(306)는 제3타워(300)의 흡입구(304,305)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배출개구(306)는 상기 제3타워(300)의 중앙보다 낮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배출개구(306)는 제3타워(300) 내의 흡입용 안내가이드(330)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배출개구(306)로 배출된 공기가 제2흡입구(305)로 곧장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opening 306 of the third tower 300 may be formed below the intake ports 304 and 305 of the third tower 30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306 may be formed at a side lower than the center of the third tower 300 . Preferably,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306 may be formed below the guide guide 330 for suction in the third tower 3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306 from directly flowing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305 .

따라서, 상기한 제3실시예에 따른 형태로 인해 제1타워(100) 내를 통과한 공기는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shap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tower 100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한편,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 받침대(500)는 세 타워(100,200,300)가 동시에 얹혀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 타워(100,200,300)는 상기 받침대(500)에 얹힌 상태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edestal 500 may be formed so that the three towers 100, 200, and 300 are installed on top of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three towers 100 , 200 , and 300 may be erected on the floor while resting on the pedestal 500 .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500)는 서로 결합된 세 타워(100,200,300)의 저면보다 더욱 넓은 전후 폭 혹은,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edestal 500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front-to-front width or left-to-right width than bottom surfaces of the three towers 100, 200, and 300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첨부된 도 21과 도 22와 도 27 내지 도 29와 같은 제4실시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1 and 22 and FIGS. 27 to 29 attached thereto.

이러한 제4실시예의 경우,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 내에는 제2배출개구(206,306)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배출용 안내가이드(240,3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타워(100)를 통과한 후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로 유입되어 제2배출개구(206,306)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용 안내가이드(240,340)의 안내를 받아 더욱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guide guides 240 and 34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to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 That i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ower 10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is guided by the guide guides 240 and 340 for discharge. and made it possible to discharge more smoothly.

상기 배출용 안내가이드(240,340)는 그의 일단이 제2연통개구(202,302)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배출개구(206,306)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용 안내가이드(240,34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각 개구(202,302,206,306)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guide guides 240 and 340 may have one end positioned at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202 and 302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at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206 and 306 . Preferably, the two guide guides 240 and 340 for discharge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spective openings 202 , 302 , 206 , and 306 while forming a pair.

따라서, 상기한 제4실시예에 따른 형태로 인해 제2연통개구(202,302)를 통과하여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2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제2배출개구(206,306)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shap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2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s 202 and 302 passes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can be guided smoothly.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9와 같은 제5실시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1 to 29 attached.

이러한 제5실시예의 경우,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의 제2배출개구(206,306)에는 배출그릴(250,3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내를 유동한 후 제2배출개구(206,306)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ifth embodiment, discharge grills 250 and 35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of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 Through this,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after flowing in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can be guided.

상기 배출그릴(250,350)은 첨부된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전방(혹은, 후방)을 향해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30과 같이 상기 배출그릴(350)은 상하 방향을 향해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grills 250 and 350 may be formed to guide the discharge flow of air toward the front (or rea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23 and 24 . Of course, as shown in FIG. 30, the discharge grill 350 may be formed to guide the discharge flow of air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한 배출그릴(250,350)에 의해 제2배출개구(206,306)로 배출된 공기가 흡입구(예컨대, 제2흡입구)(205,305)로 곧장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by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grills 250 and 3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cked into the intake ports (eg, the second intake ports) 205 and 305 .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첨부된 도 31과 같이 제6실시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31 attached.

이러한 제6실시예의 경우, 제2타워(200) 혹은, 제3타워(300)의 제2배출개구(206,306)에 구비되는 배출그릴(250,350)은 제2배출개구(206,306)를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ixth embodiment, the discharge grills 250 and 350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of the second tower 200 or the third tower 300 are operated to close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can

예컨대, 상기 제3타워(300)에 형성되는 배출그릴(350)의 동작으로 제2배출개구(306)가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그릴(350)의 동작은 수동 조작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은 동작부의 제공으로 자동 동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306 may be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grill 350 formed in the third tower 300 .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grill 350 may be performed by manual manipulation or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provid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타워(200)에 형성되는 배출그릴(250)의 동작으로 제2배출개구(206)가 폐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206 may be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grill 250 formed in the second tower 200 .

따라서, 상기한 제6실시예에 따른 형태로 인해 제2배출개구(206,306)로의 공기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air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openings 206 and 306 due to the shap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렇듯,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As such,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10. 청소기 11. 청소기 본체
12. 배터리 하우징 13. 연장관
14. 흡입노즐 15. 먼지통
16. 먼지통덮개 17. 구속부
100. 제1타워 101. 제1흡입개구
102. 제1배출개구 103. 결합홈
104. 제2흡입개구 110. 장착부
111. 받침덮개 112. 덮개 동작모터
113. 연결링크 120. 구속해제부
121. 모터 122. 피니언
123. 랙기어 124. 조작돌기
130. 충전부 140. 흡입부
141. 흡입팬 142. 팬모터
150. 흡입유로 160. 집진용 하우징
161. 집진통 171. 제1필터
172. 제2필터 200. 제2타워
201. 제1연통개구 202. 제2연통개구
203. 결합돌기 204. 제1흡입구
205. 제2흡입구 206. 제2배출개구
230. 흡입용 안내가이드 240. 배출용 안내가이드
250. 배출그릴 300. 제3타워
301. 제3연통개구 302. 제4연통개구
303. 결합돌기 304. 제1흡입구
305. 제2흡입구 306. 제2배출개구
310. 제3필터 320. 제4필터
330. 흡입용 안내가이드 340. 배출용 안내가이드
350. 배출그릴 410. 제1개폐판
420. 제2개폐판 500. 받침대
600. 유증기 필터모듈 610. 유증기 필터
620. 필터 설치부 621. 공급롤러
622. 배출롤러 623. 권취모터
624. 받침플레이트
10. Cleaner 11. Cleaner body
12. Battery housing 13. Extension tube
14. Suction nozzle 15. Dust bin
16. Dust cover 17. Restraint part
100. First tower 101. First suction opening
102. First discharge opening 103. Coupling groove
104. Second suction opening 110. Mounting part
111. Support cover 112. Cover motion motor
113. Connection link 120. Restraint release part
121. Motor 122. Pinion
123. Rack gear 124. Operating protrusion
130. Charging part 140. Suction part
141. Suction fan 142. Fan motor
150. Suction oil 160. Housing for dust collection
161. Dust collector 171. First filter
172. Second filter 200. Second tower
201. First communication opening 202.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203. Coupling protrusion 204. First inlet
205. Second inlet 206. Second discharge opening
230. guide guide for suction 240. guide guide for discharge
250. Exhaust grill 300. 3rd tower
301. 3rd communication opening 302. 4th communication opening
303. Coupling protrusion 304. First inlet
305. Second inlet 306. Second discharge opening
310. Third filter 320. Fourth filter
330. guide guide for suction 340. guide guide for discharge
350. Discharge grill 410. First opening/closing plate
420. Second opening/closing plate 500. Pedestal
600. Oil vapor filter module 610. Oil vapor filter
620. Filter installation part 621. Feed roller
622. Discharge roller 623. Take-up motor
624. Support plate

Claims (20)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고,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 제1흡입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흡입개구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가 구비된 제1타워;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된 공기 중의 유증기를 걸러주기 위한 유증기 필터모듈이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제1타워의 제1흡입개구과 일치되는 제1연통개구가 형성된 제2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 first tower equipped with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first suction opening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suction part generating a suction power to the first suction opening;
An intake port for intake of indoor air is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and an oil vapor filter module for filtering oil vapor in the sucked air is provided inside, and at least one outer surface coincides with the first intake opening of the first tower.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econd tower in which a first communication opening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워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흡입부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타워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제1타워의 제1배출개구에 일치되는 제2연통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ower is formed with a first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rt is discharged;
and a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opening of the first tower is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2타워의 흡입구와 상기 제1연통개구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il vapor filter module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of the second tower and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필터모듈은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증기 필터와, 상기 유증기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il vapor filter module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il vapor filter for removing oil vapor, and a filter installation portion in which the oil vapor filter is install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치부는
상기 제2타워 내의 일측에 위치되어 유증기 필터의 일단이 권취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제2타워 내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유증기 필터의 타단이 권취되는 배출롤러와,
상기 배출롤러를 회전시키는 권취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A supply roller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second tower and having one end of the oil vapor filter wound thereon;
A discharge roller located on the other side in the second tower and around which the other end of the oil vapor filter is wound;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ke-up motor for rotating the discharge roll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모터는 상기 제2타워 내의 유증기 필터의 공기 유입측 공간과 공기 유출측 공간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 차이를 이룰 경우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winding motor is operated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air inlet space and the air outlet space of the oil vapor filter in the second tower is greater than a set valu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치부는 상기 유증기 필터를 받쳐주면서 텐션을 유지하는 받침플레이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includes 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oil vapor filter and maintaining ten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워 혹은, 제2타워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실내 유증기 량을 확인하기 위한 유증기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n oil vapor sensor for checking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is provid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first tower or the second t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워의 제1흡입개구 혹은, 상기 제2타워의 제1연통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유증기 제거를 위한 운전시 해당 개구가 개방되도록 동작되는 개폐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part of the first suction opening of the first tower or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of the second tower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plate that operates to open a corresponding opening during operation for removing oil vap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워에 결합되는 제3타워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3타워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제1타워의 제1흡입개구과 일치되는 제2연통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tower coupled to the first tower is further include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coincident with the first suction opening of the first tower is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third tow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타워의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타워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이물질 필터모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n intake port for intake of indoor air is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third tower,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foreign matter filter module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sucked air is provided inside the third tow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타워의 제2연통개구는 상기 제2타워의 제1연통개구가 개방될 경우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of the third tower is clos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of the second tower is open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타워의 제2연통개구는 상기 제2타워의 제1연통개구가 폐쇄될 경우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of the third tower is open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of the second tower is closed.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를 가지는 제1타워와, 상기 제1타워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부의 공기 흡입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실내 공기를 흡입하며, 유증기 필터모듈을 가지는 제2타워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를 개방하는 타워 연통단계;
상기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에 형성된 장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장착부 폐쇄단계;
제1타워 내의 흡입부를 동작하는 유증기 제거단계;
유증기 제거 완료를 위한 종료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를 폐쇄하는 연통 차단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A first tower having a mounting part to which a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and a suction part generating air suction power, and coupled to the first tower to selectively receive the air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part to suck in indoor air and have an oil vapor filter module. In the control method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including two towers,
A tower communication step of opening a communication part between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when an operating condition for removing oil vapor is satisfied;
a mounting part closing step of closing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first tower when the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n oil vapor removal step of operating the suction unit in the first tower;
A control method for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blocking step of clos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for completion of oil vapor removal is satisfi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은
실내의 유증기량이 미리 설정된 량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의 동작 요청이 발생된 경우, 설정된 시간 주기의 도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Operating conditions for removing the oil vapor
A method of controll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when the amount of oil vapor in the room is greater than a preset amount, when a user's operation request is generated, and when a set time period arrives.
제 14 항에 있어서,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를 폐쇄하는 과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ontrol method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process of closing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is performed when an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satisfied.
제 14 항에 있어서,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에 형성된 장착부의 개방 부위를 개방하는 과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ontrol method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process of opening an open portion of a mounting part formed in the first tower is performed when an operation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satisfied.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 조건은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부에 장착될 경우, 사용자의 동작 요청이 발생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6 or 17,
The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cases where a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and a user's operation request is generated.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를 가지는 제1타워와, 상기 제1타워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부의 공기 흡입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실내 공기를 흡입하며, 유증기 필터모듈을 가지는 제2타워와, 상기 제1타워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부의 공기 흡입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실내 공기를 흡입하며, 이물질 필터모듈을 가지는 제3타워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는 개방하고, 제1타워와 제3타워의 연통부위는 폐쇄하는 타워 연통단계;
상기 유증기 제거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에 형성된 장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장착부 폐쇄단계;
제1타워 내의 흡입부를 동작하는 유증기 제거단계;
유증기 제거 완료를 위한 종료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연통 부위를 폐쇄하는 연통 차단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A first tower having a mounting part to which a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and a suction part generating air suction power, and coupled to the first tower to selectively receive the air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part to suck in indoor air and have an oil vapor filter module. In the control method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including two towers and a third tower coupled to the first tower to selectively receive the air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 to suck indoor air and having a foreign matter filter module,
A tower communication step of opening the communication parts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parts of the first tower and the third tower when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removing oil vapor are satisfied;
A mounting part closing step of closing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first tower when the operation condition for removing the oil vapor is satisfied;
An oil vapor removal step of operating the suction unit in the first tower;
A control method for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blocking step of clos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for completion of oil vapor removal is satisfie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제거 완료를 위한 종료 조건이 만족되고 실내의 공기 정화를 위한 동작 조건의 만족시 제1타워와 제3타워의 연통부위를 개방하는 공거 정화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9,
When the end condition for the completion of the oil vapor removal is satisfied and the operating condition for cleaning the indoor air is satisfied, a common cleaning step of opening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 first tower and the third tower is performed. control method.
KR1020210178003A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2300894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003A KR20230089403A (en)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003A KR20230089403A (en)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403A true KR20230089403A (en) 2023-06-20

Family

ID=8699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003A KR20230089403A (en)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403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87A (en)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cleaner
KR20200027318A (en)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leaner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2057A (en)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87A (en)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cleaner
KR20170126379A (en)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cleaner
KR20200027318A (en)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leaner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2057A (en)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089B1 (en) Cleaner
JP4084323B2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KR101248722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1100296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9504310A (en) Dust collection container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container cover support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20050198771A1 (en) Vacuum cleaner
CN108024676B (en) Separating device
EP3964115A1 (en) Dust deposition base and cleaning apparatus assembly having same
EP1733671B1 (en) Vacuum cleaner
CN209953473U (e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assembly
CN210124714U (e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assembly
KR20230089403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CN216823274U (en) Sewage tank and cleaning device
KR20230089396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CN117677329A (en) Dust collector station
KR20230089620A (en) dust collecting device
JP2002349918A (en) Air cleaner
KR20230089398A (en)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air cleaner and air cleaner
CN111904322B (en) Dust deposition base and cleaning equipment assembly with same
KR20230089399A (en)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2A (en)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0A (en)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401A (en)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397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846904B1 (en) Vaccum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