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212B1 -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212B1
KR102566212B1 KR1020220176242A KR20220176242A KR102566212B1 KR 102566212 B1 KR102566212 B1 KR 102566212B1 KR 1020220176242 A KR1020220176242 A KR 1020220176242A KR 20220176242 A KR20220176242 A KR 20220176242A KR 102566212 B1 KR102566212 B1 KR 10256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pain
initial treatment
cognitive
progr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현
윤찬
Original Assignee
에버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380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6203A1/ko
Priority to KR1020230103164A priority patent/KR2024006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212B1/ko
Priority to US18/531,481 priority patent/US202401536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Abstract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AIN}
본 발명은 통증 환자에게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지 행동 치료(C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란, 사람의 생각, 감정 및 행동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치료 과정 속에서 환자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고 잘못된 생각을 찾아내어, 문제가 되는 행동을 변화시키는 심리 치료 방법이다.
최근에는, 인지 행동 치료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우울, 불안, 불면, 통증 등 정신 건강 문제에 인지 행동 치료를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인터넷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종래 오프라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행동패턴은, 점차적으로 온라인(on-line)으로 옮겨갔으며, 현재에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활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의 변화에 맞추어, 의료 산업과 같은 서비스의 특성상 오프라인(off-line)에 기반을 둔 산업 분야 역시, 온라인을 통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환자, 즉 사용자는 인터넷이 연결된 전자기기를 통해, 몇번의 클릭 만으로, 의료진과 질병에 대한 의료 상담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5512호는 온라인 의료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한 의료 서비스 제공 지점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를 기반으로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반영하여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인지 행동 치료 진행에 따른 통증 환자의 차도에 근거하여, 통증 환자에게 업데이트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주제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치료 프로세스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치료 프로그램은, 특정 치료 프로그램에 매칭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치료 모듈은, 특정 주제에 대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세부 범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서버에는, 서로 다른 주제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은, 상기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매칭된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각각에 매칭된 사용자 그룹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치료 프로그램 또는 치료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은,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급성 통증 및 높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1 사용자 그룹,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급성 통증 및 낮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2 사용자 그룹,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만성 통증 및 높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3 사용자 그룹 및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만성 통증 및 낮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4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고, 급성 통증 및 만성 통증을 구분하는 기준은, 통증의 지속 기간이 기준 기간을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높은 인지 왜곡 및 낮은 인지 왜곡을 구분하는 기준은, 인지 왜곡과 관련한 복수의 질문에 근거하여 수집되는 스코어(SCORE)가 기준 스코어를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특정 치료 모듈들을,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치료 모듈들에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예정된 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 중,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의 치료 주차 별로 제공되는 치료 모듈들에서 요구되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의 업데이트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 중 상기 초기 치료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치료 기간에 할당된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 및 상기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정, 통증, 불면, 인지왜곡 및 스트레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서로 다른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중 상기 통증 환자의 문제 증상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치료 기간에 할당된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 및 상기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결과, 상기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에서 제공되는 예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특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예정된 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을 유지할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에 대한 업데이트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 보다 짧은 기간으로 단축 또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연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일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워크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통증 환자에게 상기 통증 환자의 과거 상태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중 현재 치료 주차에 해당하는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상기 현재 치료 주차 이전의 치료 주차에서 제공된 워크지 모듈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를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서로 다른 주제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며,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고,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며,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
나아가,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통증 환자에게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방법 및 시스템은, 질환에 따른 획일적인 인지 행동 치료를 통증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질병을 갖더라도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을 통증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증 환자는 자신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치료 주차(week)에 따라,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증 환자는 체계적으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받음으로써, 중도 탈락하지 않고 인지 행동 치료를 끝까지 마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인지 행동 치료 진행 과정에서 수집된 치료 응답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치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초기에 결정된 인지 행동 치료 방법을 통증 환자에게 계속해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통증 환자의 차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도 4, 도 5a, 도5b, 도 6a 및 도 6b는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 도 8a, 도8b, 도8c 및 도 8d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통증 환자의 통증에 대한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통증 환자 별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protocol)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통증 환자를 중심으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인지 행동 치료는,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통증 환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예를 들어, 암, 당뇨, 고혈압 등)으로 인한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증 환자”는, 질환으로 인한 통증(Pain)을 느끼는 환자로, “환자” 또는 “사용자”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통증 환자의 경우, 동일한 질환(또는 질병)을 갖고 있더라도, 환자 마다 통증에 대한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가 다양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통증에 대한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반영하여, 통증 환자에게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통증 환자를 위한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 도 4, 도 5a, 도5b, 도 6a 및 도 6b는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며, 도 7, 도 8a, 도8b, 도8c 및 도 8d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이하,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이라 명명함, 100)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치료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치료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상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플레이스토어)을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사용자 단말(10) 상에 초기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의 구성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10)는, '이동 단말' 또는 ‘전자기기’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본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과 별도로 특정 목적(예를 들어, 인지 행동 치료 제공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축된 서버(이하, 서버라고 명명함)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서버와는 별도의 시스템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이 서버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모듈 통해 인지 행동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상에 인지 행동 치료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을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를 이용하여, ‘환자’(U)의 통증에 대한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진단하고, 이를 고려하여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protocol)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인지 왜곡’은, 통증, 주변 상황, 사건 등에 대한 그릇된 가정이나 잘못된 개념을 이끌어 내는 인지적 오류를 의미하며, ‘인지 왜곡 정도’는 환자가 인지 왜곡을 얼만큼 하고 있는지를 표현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지 왜곡 정도’는, ‘인지 왜곡 상태’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인지 왜곡 스코어(score)’ 또는 ‘인지 왜곡 점수’로 수치화 될 수 있다.
한편, 환자(U)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환자 자신의 통증에 대한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진단하고,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는 등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환자(U)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환자인 사용자의 계정을 ‘환자 계정(또는 사용자 계정)’이라고 명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계정(account)’은, 위의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된 페이지를 통해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계정’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계정이 발급된 시스템을 구분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에 기반한, 계정을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에 기 등록된 계정” 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10)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설명에 따른 장치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 사이, 또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 (100)과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치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로부터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에 따른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수집된 설문 응답 데이터, 설문 응답 데이터에 따른 진단 결과, 진단 결과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 등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부(120)와 별도로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저장소 역시 “데이터베이스”라고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지 행동 치료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페이지(또는 서비스 페이지300)를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300)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된 페이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페이지(300)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페이지(3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CPU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통증 환자에게 인지 행동 치료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통증 환자에게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10).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 상에,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10)의 터치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설문(또는 질문, 또는 문제, 또는 문항, 또는 테스트) 데이터는, 통증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상태 평가를 위한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증과 관련된 인자들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과 관련된 인자는,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건강, 및 신체 건강과 같이, 통증과 관련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기 다양한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자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통증과 관련된 인자는,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모든 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임은 당연한다.
이러한 통증과 관련된 인자는,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공신력 있는 설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 서버 또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설문을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설문 데이터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터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함께, 설문 데이터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 사용자 단말(10) 상에는, 복수의 설문 중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표시하기 위한 설문 영역(401)과, 상기 표시된 설문에 대한 환자의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응답 영역(402)을 포함한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응답 영역(420)에는, 설문 영역(401)에 표시된 설문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응답 각각에 대응되는 응답 그래픽 객체(402a, 402b)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통증 환자는, 표시된 어느 하나의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써, 응답 영역(402)에 출력된 후보 응답들 중 사용자의 상태에 가장 적합(또는 적절, 또는 정확)하다고 생각되는 후보 응답을 설문 응답 데이터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20, 도 2 참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의 응답 영역(402)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에 대한 제1 설문(ex: “장혜련님의 무릎 통증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에 대응하는 복수의 응답 그래픽 객체(402a, 402b)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선택된 응답 그래픽 객체(402a)에 대응되는 응답(ex: “1 주일 전”)을, 제1 설문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설문은, 복수의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에는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설문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설문들에 대한 응답을, 설문 응답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제2 설문()에 대응되는 복수의 응답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선택된 응답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응답(ex: “3”)을, 제2 설문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설문은, 복수의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에는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설문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설문들에 대한 응답을, 설문 응답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제2 설문의 예시로는, i) 나는 통증이 멈추지 않을까봐 항상 걱정하게 된다, ii) 나는 더 견딜 수 없을 것 같다고 느껴 진다, iii) 통증이 너무 고통스러워서, 나는 절대 나아지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iv)나의 통증은 신체적 활동으로 인해 생겼다, v) 신체적 활동은 나의 통증을 악화 시킨다, vi) 나의 통증은 업무 혹은 업무 중의 사고로 인해 생겼다 등과 같이, 통증 파국화(Pain Catastrophizing Scale) 및 공포(또는 위험) 회피(Fear Avoidance Beliefs)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설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것과 달리,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는 우울감, 불면 등을 판단하기 위한 설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30, 도 2 참조 ).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통증 환자의 설문 응답 데이터로부터 추출(획득 또는 검출)된 통증 지속 기간(450)을 제1 기준(ex: “3개월”, 450a)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기준(450a)은, 통증 지속 기간(또는 통증 지속 기간에 따른 통증 성질)을, “제1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급성 통증, 451)” 및 “제2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만성 통증, 452)” 중 어느 하나로 분류(또는 구분)하기 위한 기 정의된 기준 기간(ex: “3개월”)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비교 결과,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450)이 기 정의된 기준 기간(450a) 보다 짧으면(즉, 기 정의된 기준 기간 이하)이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을, “제1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급성 통증, 451)”으로 분류(구분 또는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450)이 기 정의된 기준 기간(450a)보다 길면(즉, 기 정의된 기준 기간 초과이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을 “제2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만성 통증, 452)”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증 지속 기간(450)이 기준 기간(450a)을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을, 급성 통증 및 만성 통증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설문 응답 데이터로부터 추출(획득 또는 검출)된 인지 왜곡 정도(460)를 제2 기준(460a)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통증 파국화(Pain Catastrophizing Scale) 및 공포(또는 위험) 회피(Fear Avoidance Beliefs)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기준(460a)은,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를 “제1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높은 인지 왜곡, 461)” 및 “제2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낮은 인지 왜곡, 462)” 중 어느 하나로 분류(또는 구분)하기 위한 기 정의된 기준 스코어(ex: “24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460)를 기 정의된 기준 스코어(460a)와 비교하기 위하여,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SCORE)를 산출(도출 또는 계산)할 수 있다.
인지 왜곡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설문(ex: 나는 통증이 멈추지 않을까봐 항상 걱정하게 된다)에 대한 복수의 선택 항목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점수(ex: 전혀 그렇지 않다: 0점, 조금 그렇다: 1점, 보통 많이 그렇다: 2점, 많이 그렇다: 3점, 항상 그렇다 4점)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응답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일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른 선택 항목에 매칭된 점수를 이용하여,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SCORE)를 산출(도출 또는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 응답 데이터로부터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설문 응답 데이터의 합 또는 평균을 이용하여,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설문 응답 데이터 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할당(부여)하여,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산출된 인지 왜곡 스코어와 기 설 정의된 기준 스코어(460a)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가 기 정의된 기준 스코어(460a) 보다 높으면 (즉, 기 정의된 스코어 초과이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를, “제1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높은 인지 왜곡, 461)”로 분류(구분 또는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스코어가 기 정의된 기준 스코어(460a) 보다 낮으면(즉, 기 정의된 인지 왜곡 스코어 이하이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를 “제2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낮은 인지 왜곡, 462)”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인지 왜곡 스코어가 기준 스코어를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통증 환자의 인지 왜곡 정도를, 높은 인지 왜곡 및 낮은 인지 왜곡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40, 도2 참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증 지속 기간(450) 및 인지 왜곡 정도(460)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그룹(410, 420, 430, 440)을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증 지속 기간(450) 및 인지 왜곡 정도(460)에 따라 서로 다른 “4개”의 사용자 그룹이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그룹 각각은, 제1 사용자 그룹(410), 제2 사용자 그룹(420), 제3 사용자 그룹(430) 및 제4 사용자 그룹(440)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그룹을 분류하는 조건 항목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 그룹(410, 420, 430, 440) 각각에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을 분류하는 분류 기준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 정보는, 저장부(120) 또는 외부 서버에 미리 정의되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그룹(410)에는, 제1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급성 통증, 451) 및 제1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높은 인지 왜곡, 461)가 분류 기준 정보로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그룹(420)에는, 제1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급성 통증, 451) 및 제2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낮은 인지 왜곡, 462)가 분류 기준 정보로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그룹(430)에는, 제2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만성, 452) 및 제1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높은 인지 왜곡, 461)가 분류 기준 정보로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사용자 그룹(440)에는, 제2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만성, 452) 및 제2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낮은 인지 왜곡, 462)가 분류 기준 정보로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410, 420, 430, 440) 중,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분류 기준 정보가 매칭된 특정 사용자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증 환자(ex: “김철수 환자”)의 상태 정보에, 제1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급성 통증, 451) 및 제1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높은 인지 왜곡, 46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통증 환자를,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제1 사용자 그룹(410)에 속하는 통증 환자로 특정(또는 분류)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통증 환자(ex: “이영숙 환자”)의 설문 응답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상태 정보에, 제1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급성 통증, 451) 및 제2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낮은 인지 왜곡, 462)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2 통증 환자를,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제2 사용자 그룹(420)에 속하는 통증 환자로 특정(또는 분류)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통증 환자(ex: “최민철 환자”)의 상태 정보에, 제2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만성, 452) 및 제1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높은 인지 왜곡, 461 )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3 통증 환자를,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제3 사용자 그룹(430)에 속하는 통증 환자로 특정(또는 분류)할 수 있다.
나아가, 제4 통증 환자(ex: “방민지 환자”)의 상태 정보에, 제2 타입의 통증 지속 기간(ex: 만성, 452) 및 제2 타입의 인지 왜곡 정도(ex: 낮은 인지 왜곡, 462 )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4 통증 환자를,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제4 사용자 그룹(440)에 속하는 통증 환자로 특정(또는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50, 도 2 참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주제(510a 내지 580a)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510 내지 5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은,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에 매칭되는 주제에 따른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주제(510a 내지 580a)”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510 내지 580)에 각각 대응되며, ,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i) 동기 강화(이하, 제1 주제, 510a)는 제1 프로그램(510), ii) 감정 확인(이하, 제2 주제, 520a)는 제2 프로그램(520), iii) 행동 전략(이하, 제3 주제, 530a)는 제3 프로그램(530), iv) 주의 전환(이하, 제4 주제, 540a)는 제4 프로그램(540), v) 생각 전환(이하, 제5 주제, 550a)는 제5 프로그램(550), vi) 사고 기록(이하, 제6 주제, 560a)는 제6 프로그램(560), vii) 관리 전략(이하, 제7 주제, 570a)는 제7 프로그램(570), viii) 미래의 나(이하, 제8 주제, 580a)는 제8 프로그램(58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제1 주제(동기 강화)는, 인지행동치료와 통증에 대한 인지도식을 이해하고, 통증 환자 자신의 목표를 정해 치료 동기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관련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주제(감정 확인)는, 통증과 감정, 통증 환자 자신의 대처 방식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서, 통증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부정적 감정, 신체반응, 행동을 알아보고, 통증 환자 자신의 대처방식을 알아보기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주제(행동 전략)은, 통증 환자가 활동 목표를 정해 새로운 대처 행동 방식을 설정하고, 호흡법, 점진적 이완법을 이용해 통증에 대처하는 방식에 대한 치료로서, 이를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주제(주의 전환)은, 활동, 감정, 오감 등을 활용한 주의전환법을 이용해 통증에 대처하는 치료로서, 이를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5 주제(생각 전환)은, 통증과 관련된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탐색하고, 자동적 사고에 따른 감정, 행동을 확인하는 것으로서, 자동적 사고에 반박 증거를 찾는 과정이 진행되고, 이를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6 주제(사고 기록)은, 통증 환자 자신의 비합리적인 사고유형을 탐색하고, 인지적 유연성을 찾는 과정으로서, 이를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7 주제(관리 전략)은, 긍정적인 혼잣말을 수행하고, 통증관리전략을 연습하는 것으로서, 긍정적인 혼잣말을 이용해 통증에 대처하고, “멈춤-생각-평가-행동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8 주제(미래의 나)는, 돌부리(치료 저항) 넘어가 기 및 긍정적인 자아상 키우기와 관련되며, 이전에 배웠던 대처방법들을 정리하고, 통증 대처를 위한 통증 환자 자신 만의 레시피(통증 대처 레시피)를 만들고, 예상되는 어려움에 대한 대안을 확인하기 위한 치료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제(510a 내지 580a)는, 기 정의되어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제의 개수 및 내용(또는 종류)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정 치료 프로그램은, 특정 치료 프로그램에 매칭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치료 프로그램(510)은, 제1 주제(ex: “동기 강화”, 510)와 관련된 복수의 치료 모듈(511 내지 51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치료 모듈”은, 특정 주제에 대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세부 범주(또는 서브 주제)와 관련된 콘텐츠(contents)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제(ex: “동기 강화”, 510a)와 관련된 복수의 치료 모듈(511 내지 515)은, “나에게 통증이란 치료 모듈(511)”, “통증 인지도식 치료 모듈(512)”, “통증 질문지 치료 모듈(513)”, “목표 설정하기 치료 모듈(514)”, “통증 기록 연습 치료 모듈(515)”을 포함할 수 있다(도 5a 참조). 본 발명에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된 치료 모듈을, “특정 주제 대응 치료 모듈”로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치료 모듈”은, “챕터(chapter)”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사용자 그룹(410, 420, 430, 440) 각각에는, 서로 다른 치료 프로토콜(410a, 420a, 430a, 440a)이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그룹(410, 420, 430, 440) 각각에 매칭된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410a, 420a, 430a, 440a)은, 사용자 그룹(410, 420, 430, 440)의 통증 지속 기간(450) 및 인지 왜곡 정도(460)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치료 프로그램 또는 치료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그룹(410)에 매칭된 제1 치료 프로토콜(410a) 및 제3 사용자 그룹(430)에 매칭된 제3 치료 프로토콜(430a)은, 서버에 저장된 모든 치료 모듈(Full modules)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치료 모듈은, 제1 내지 제8 주제 각각에 매칭된 복수의 치료 모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1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통증환자에 대해서는, 제1 내지 제8 주제 각각에 포함된 모든 치료 모듈들을 이용하여 인지 행동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그룹(420) 및 제4 사용자 그룹(440)에 매칭된 치료 프로토콜에는, 서버에 저장된 모든 치료 모듈(Full modules)이 아닌 일부의 치료 모듈들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그룹(420) 및 제4 사용자 그룹(440)에 매칭된 치료 프로토콜에는 제1 내지 제8 주제 각각에 매칭된 복수의 치료 모듈들 중 일부의 치료 모듈들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그룹(420) 및 제4 사용자 그룹(440)에 속하는 통증환자에 대해서는, 제1 내지 제8 주제를 구성하는 치료 모듈들 중 일부의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인지 행동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사용자 그룹(420)에 매칭된 제2 치료 프로토콜(420a)은, 대처 방법, 호흡법 및 질병 교육과 관련된 모듈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4 사용자 그룹(440)에 매칭된 제4 치료 프로토콜(440a)은, 수용 전념과 관련된 모듈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510 내지 580) 각각은,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워크지 모듈(515, 522, 531, 541, 551, 561, 571, 5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워크지 모듈 각각에는, 워크지 모듈이 포함된 치료 프로그램의 특정 주제와 관련되어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사용자 응답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나아가, 워크지 모듈 각각에는, 치료 프로그램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내용 뿐만 아니라,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응답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치료 프로그램(510)에 포함된 워크지 모듈(515)은, 제1 주제(“동기 강화”, 510a)와 관련하여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사용자 응답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치료 프로그램(520)에 포함된 워크지 모듈(522)은, 제2 주제(“감정 확인”, 520a)와 관련하여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사용자 응답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워크지 모듈은,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시점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크지 모듈은 각각의 치료 모듈에 가장 마지막 또는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워크지 모듈이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위치는, 통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워크지 모듈은,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에서, 가장 마지막 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다. 워크지 모듈은, 각각의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들 중 가장 마지막 모듈로서 배치되어, 통증 환자가 해당 치료 프로그램의 치료 모듈들을 모두 진행한 후 워크지 모듈을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통증 환자의 치료 효과, 객관화 또는 통증 환자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치료 프로그램에 각각 포함된 워크지 모듈은 통증의 심한 정도, 통증 경험 시 기분, 통증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정도, 통증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 등에 대하여, 통증 환자가 점수를 매기도록(점수 선택, 입력 등)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워크지 모듈에서 수신한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워크지 모듈이 포함된 치료 프로그램이, 통증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효과가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통증 점수가 낮게 매겨진 치료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치료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치료 프로그램은, 뒤에서 설명된 치료 프로토콜의 업데이트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60, 도 2 참조).
여기에서, “치료 주차”는, 환자가 치료 프로그램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를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또는 활성화)하는 순서(또는 기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료 주차의 “총 횟수(回數)” 및 각 치료 주차에 대응하는 “주차별 치료 기간”이 미리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체 치료 기간”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체 치료 기간은, 기 설정된 총 횟수와 기 설정된 주차별 치료 기간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횟수는 “8”이고, 주차별 치료 기간이 1주일(7일)인 경우, 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은, “8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 주일의 치료 기간 마다, 서로 다른 치료 주차가 “8번” 도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치료 주차는, 제1 치료 회기에 도래하고, 제2 치료 주차는 제2 치료 회기에 도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치료 주차”는, “치료 회기”, “치료 회차”, “치료 기간”, “치료 순서”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치료 주차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치료 주차에, 특정 치료 주차가 설정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치료 주차의 총 횟수(ex: “8”)는 기 정의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이, 기 정의된 치료 주차 횟수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서로 다른 치료 주차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제1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8 치료 프로그램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8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제1 치료 주차 내지 제8 치료 주차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8 치료 프로그램에는 앞서 살펴본 제1 주제 내지 제8 주제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즉, i) 제1 치료 프로그램은 제1 주제(동기 강화)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고, ii) 제2 치료 프로그램은 제2 주제(감정 확인)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며, iii) 제3 치료 프로그램은 제3 주제(행동 전략)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고, iv) 제4 치료 프로그램은 제4 주제(주의 전환)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며, v) 제5 치료 프로그램은 제5 주제(생각 전환)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고, vi) 제6 치료 프로그램은 제6 주제(사고 기록)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며, vii) 제7 치료 프로그램은 제7 주제(관리 전략)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고, viii) 제8 치료 프로그램은 제8 주제(미래의 나)와 관련된 훈련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이, 기 정의된 치료 주차 횟수에 미달(shortfall)되는 경우,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치료 주차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정의된 치료 주차에 따른 치료가 수행되도록, 동일 주제를 서로 다른 주차에 반복해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정의된 치료 주차가 8주이고,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서 선정된 치료 프로그램이 7개인 경우, 제어부는, 7개의 치료 프로그램 중 하나를 특정 주차에 반복해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6주차 및 제7주차에 동일 주제(ex: 사고 기록, 560a)를 반복해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에 따라,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특정 치료 주차에 대응하는 치료 기간 동안, 특정 치료 주차가 설정된 특정 치료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특정 치료 프로그램의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특정 치료 프로그램의 상태를, 특정 치료 프로그램의 “모드(Mode)”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 프로그램 활성화 모드”는,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모듈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열람(또는 이용)이 가능한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치료 프로그램 비활성화 모드”는,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모듈 전부에 대한 열람(또는 이용)이 불가능한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치료 주차(1주차) 도래에 근거하여, 제1 치료 주차가 설정된 제1 치료 프로그램(510)의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2 치료 주차(2 주차) 도래에 근거하여, 제2 치료 주차가 설정된 제2 치료 프로그램(520)의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환자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설정된 치료 주차에 따라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인지 행동 치료를 체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특정 치료 모듈들을,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에 맞추어, 사용자 단말(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주차 치료 주차에, 제1 치료 프로그램(5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치료 모듈(511 내지 515)을 사용자 단말(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도 5a 참조).
여기에서, “치료 모듈 순서”는, 특정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모듈이 제공되는 순서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치료 모듈의 활성화 모드”는, 치료 모듈에 대한 열람(또는 이용)이 가능한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치료 모듈의 비활성화 모드”는, 치료 모듈에 대한 열람(또는 이용)이 불가능한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치료 모듈 순서에 따라, 특정 순서에 대응하는 치료 모듈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순서의 다음 차례에 대응하는 치료 모듈의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변경(또는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치료 프로그램(510)은 제1 치료 모듈 내지 제5 치료 모듈(511 내지 515)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치료 모듈(511)의 인지 행동 치료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2 치료 모듈(512)의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치료 프로그램의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치료 모듈 중 순서가 가장 빠른 치료 모듈의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치료 프로그램(510)이 활성화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제1 치료 프로그램(510)에 포함된 복수의 치료 모듈(511 내지 515) 중 최우선(제1 순서)에 대응하는 제1 치료 모듈(511)의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차 치료 프로그램(510)을 제외한 제2 주차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8 주차 치료 프로그램(520 내지 580)에서의 최우선 치료 모듈은, 이전 치료 주차에서 제공된 워크지 모듈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지난 워크지 점검 모듈이 최우선 순서에 대응되는 제1 치료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에게, 통증 환자의 과거 상태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 중 현재 치료 주차에 해당하는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현재 치료 주차 이전의 치료 주차에서 제공된 워크지 모듈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를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2 주차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제1 주차 치료 프로그램에서 제공된 워크지 모듈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전의 치료 주차에 제공된 워크지 모듈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는, 다양한 시점에 제공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정 치료 프로그램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치료 모듈 중 최우선(ex: 제1 순서)에 대응하는 지난 워크지 모듈의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치료 모듈들에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활성화된 특정 치료 모듈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에 특정 치료 모듈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치료 모듈에 대응하는 페이지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인지 행동 치료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치료 프로그램(510)에 포함된 치료 모듈(511)에 대응되는 페이지는, 제1 주제(ex: “동기 강화”, 510a)와 관련된 인지 행동 치료 콘텐츠(ex: “나에게 통증이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치료 모듈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특정 주제 관련 페이지”로 명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특정 주제 관련 페이지를 통해, 특정 치료 모듈과 관련된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수행에 따른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치료 모듈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치료 응답 데이터를, 특정 주제 와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응답 데이터와 매칭되는 특정 주제는, 특정 치료 모듈과 관련된 주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그램(510)에 포함된 특정 모듈(511 내지 515 중 어느 하나)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 상에 특정 치료 모듈에 대응되는 페이지(ex: 통증 기록 연습 페이지)를 제공하였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상기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제1 주제(ex: “동기 강화”, 510a)와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도 5a 참조).
다른 예를 들어, 제2 프로그램(510)에 포함된 특정 모듈(521 또는 522)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 상에 특정 모듈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제공하였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상기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제2 주제(ex: “감정 확인”, 520a)와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도 5a 참조).
한편,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가, 특정 치료 모듈에 대응되는 페이지 상에 특정 치료 모듈에서 요구되는 치료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통증 강도 인지와 관련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페이지의 일 영역에는 통증 강도를 질문하는 질문 데이터(ex: “오늘의 통증은 어떤가요?”)를 표시하고, 다른 일 영역에는, 복수의 통증 강도(ex: “통증 강도 1 부터 통증 강도 5) 각각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페이지에서 특정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환자의 통증 강도에 대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감정 전환 방법에 대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페이지의 일 영역 상에, 통증 환자가 시도하고자 하는 감정 전환 방법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Text Input Field)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 필드에 입력되는 감정 전환 방법과 관련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해, 상술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인지 행동 치료 콘텐츠를 포함한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페이지를 통해 인지 행동 치료에 필요한 다양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진행되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특히,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특정 치료 주차 이후에 대응하는 치료 프로그램(또는 치료 프로그램을 이루는 치료 모듈)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은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된 치료 프로토콜을 의미하고, “업데이트 치료 프로토콜”은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 및 초기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프로토콜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는데 활용되는 정보는, 치료 모듈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치료가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ex: 초기 4주간) 동안 매일 1회 질문을 통해 i)환자의 통증 정도, ii) 부정적인 감정 정도(우울감), iii) 불면 여부, iv)인지 왜곡 정도(파국화, 위험 회피), v) 통증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vi) 일상 생활에서 가장 불편한 사항(직업, 대인관계 등), vii) 통증 대처에 관한 유능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사(정보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치료가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 동안 주 1회 간격으로, viii)환자가 주관적으로 통증 대처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치료 모듈 또는 방법에 대한 조사(정보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위에서 조사된 정보에 대한 분석에 근거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나아가, 위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정보 수집 알람을 다양한 방식(ex: 애플리케이션 푸쉬 메시지 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정보 수집을 위한 답변이 작성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수집을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은 제한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평가 시간을 부여하고, 해당 평가 시간 내에, 위에서 살펴본 i) 내지 viii)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의 i) 내지 viii)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입력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치료 응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는 빈도 및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편의를 위하여, 전체 치료 기간이 “8주”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치료 기간은 환자 및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인지 행동 치료와 관련된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ex: “8주”) 중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ex: “4주”)가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수집된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하기 위하여,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석 카테고리 별로, 통증 환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석 카테고리”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하여 치료 응답 데이터의 분석 대상이 되는 범주로, 예를 들어, 감정, 통증, 불면, 인지왜곡, 스트레스(Stress), 유능감(Competence), 불편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i)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통증 분석 카테고리 관련), ii) 부정적인 감정 정도(감정 분석 카테고리 관련), iii) 불면증 정도(불면 카테고리 관련), iv) 통증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스트레스 분석 카테고리 관련), v) 통증 대처에 대한 유능감 정도(유능감 카테고리), vi) 일상 생활에 대한 불편함 정도 및 vii) 인지 왜곡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분석 결과를 획득(또는 도출 또는 산출 또는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카테고리 별 통증 환자의 상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 상태 분석을 위한 기계 학습을 수행한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 카테고리 별 통증 환자의 상태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한 상태 분석 결과는,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중 통증 환자의 문제 증상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특정 분석 카테고리(ex: “불면”)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한 상태 분석 결과는,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별 분석 스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별 분석 스코어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비교하여,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중 통증 환자의 문제 증상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분석 카테고리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치료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카테고리 별 분석 스코어를 산출(또는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객관식에 대응하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또는 계산)하여 분석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초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인공 지능 분석을 수행하여 텍스트로 이루어진 초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분석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산출된 카테고리별 분석 스코어 각각을, 카테고리별 기 설정된 문제 점수와 비교하고, 분석 스코어가 기 설정된 문제 점수를 초과하는 분석 카테고리를, 통증 환자의 문제 증상이 있는 카테고리로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기반한 통증 환자의 상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치료 프로그램 및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도록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치료 주차 내지 제4 치료 주차 각각에 설정된 제1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4 치료 프로그램(510 내지 540)에 따른 치료 응답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5 치료 주차 내지 제8 치료 주차 각각에 설정된 제5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8 치료 프로그램(550 내지 580) 중 적어도 일부의 프로그램(550, 560)을 새로운 프로그램(550’, 56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ex: 1주-4주)을 제외한 나머지 치료 기간(5주-8주)에 할당된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 및 상기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된 분석 카테고리(ex: “불면”)와 관련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 치료 프로토콜(810)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초기 치료 프로토콜(810)은, 제1 주차 내지 제8 주차 각각에, 서로 다른 주제와 관련된 제1 초기 치료 프로그램 내지 제8 초기 치료 프로그램(811 내지 818)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811 내지 818)에는, 각 주제에 대응하는 치료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초기 치료 프로그램(815)에는 제5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815a 내지 815f)이 포함되고, 제6 초기 치료 프로그램(816)에는 제6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816a 내지 816f)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대한 통증 환자의 상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815 내지 816)에 포함된 치료 모듈(815a 내지 815f 및 816a 내지 816f) 중 적어도 일부(815d 내지 815f 및 816d 내지 816f)를 제외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토콜(820)의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815 내지 816)에는, 제외되지 않은 적어도 일부의 치료 모듈(815a 내지 815c 및 816a 내지 816c)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외되지 치료 모듈(815a 내지 815c 및 816a 내지 816c)은, 특정된 분석 카테고리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대한 통증 환자의 상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또는 초기 치료 주차)에 설정된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나머지 치료 기간(나머지 치료 주차) 중 적어도 일부에 재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또는 초기 치료 주차)에 매칭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치료 프로그램을, 나머지 치료 기간(또는 나머지 치료 주차)에 재할당(또는 재설정 또는 재배정)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3 주차에 설정된 제3 치료 프로그램(813)을 제5 주차에 재설정하고, 제4 주차에 설정된 제4 치료 프로그램(814)을 제6 주차에 재설정할 수 있다. 업데이트 된 치료 프로그램(830)에는 기 진행된 치료 프로그램(813, 814)이, 서로 다른 주차에 중복(또는 반복)해서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 진행된 치료 프로그램이 재진행되도록,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중복 또는 반복하여 진행되는 치료 프로그램은, 통증 환자에게 가장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통증 환자로부터 수신되는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정보, 워크지 모듈을 통해 수신한 통증에 대한 수치(ex: 통증의 심한 정도, 통증 경험시 기분, 통증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정도, 통증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에 대한 수치(점수))의 변화, 특정 치료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통증에 대한 대처법의 사용 빈도, 사용 시간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다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재할당된 치료 프로그램(813, 814)은 특정된 분석 카테고리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나머지 치료 기간(나머지 치료 주차)에, 서로 다른 주제 각각에 대응하는 치료 모듈로 구성된 치료 프로그램이 설정되도록, 초기 치료 프로그램(810)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업데이트된 프로토콜(830)에는, 복수의 주제에 대응하는 치료 모듈이 조합된 치료 프로그램(84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료 프로그램(841)은, 제3 주제와 관련된 치료 모듈(813a-813c) 및 제4 주제와 관련된 치료 모듈(813a-813c)이 포함되며, 제5 치료 주차에 설정될 수 있다. 즉, 나머지 치료 기간(나머지 치료 주차)에 설정된 치료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841)에는, 기 설정된 초기 치료 기간(또는 초기 치료 주차)에 제공된 치료 모듈 중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나머지 치료 기간(나머지 치료 주차)에, 초기 프로토콜에 설정된 모듈과는 다른 모듈을 새롭게 추가하여,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프로토콜(810)을 구성하는 제5 치료 프로그램에(815)에, 6개의 제5 주제 치료 모듈(815a 내지 815f)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가정하자(도 8a 참조). 제어부(130)는, 기 포함된 제5 주제에 따른 치료 모듈(815a 내지 815f)에 포함되지 않았던, 새로운 제5 주제의 치료 모듈을 제5 치료 프로그램(815)에 추가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815)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기 포함된 제5 주제 치료 모듈(815a 내지 815f) 중 적어도 일부를 제외하고, 새로운 치료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 포함된 제5 주제 치료 모듈(815a 내지 815f)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새로운 치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 포함된 치료 모듈과는 다른 전혀 새로운 치료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 포함된 치료 모듈은 제외되거나 유지되거나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결과에 근거하여, 나머지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에서 제공되는 예문(example sentence)들 중 적어도 일부를, 특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중 통증 환자의 문제 증상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를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중 기 설정된 개수(ex: 2개) 만큼의 카테고리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감정, 통증, 불면, 인지왜곡, 스트레스(Stress), 유능감(Competence) 및 불편함 카테고리 중, 분석 스코어가 가장 높은 ‘우울감’ 및 ‘분석’ 카테고리를 특정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예문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환자의 계정과,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예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매칭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매칭 정보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 외에도, 통증 환자가 이미 진행한 치료 모듈들에서 제공된 예문들 중 통증 환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예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매칭 정보로서 저장된 예문들도, 통증 환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예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존재하는 예문 정보에 근거하여, 나머지 치료 주차에 매칭된 치료 프로그램(550 내지 580)에, 특정된 분석 카테고리와 관련된 예문이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나머지 치료 주차에 매칭된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치료 모듈들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예문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 히스토리에 해당하는 예문 정보에 저장된 선택된 예문들로 변경(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울 카테고리가 특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5 주차에 설정된 제5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특정 치료 모듈에, “장헤련님, ‘내 울적한 마음은 다시 좋아질 수 없어’ 라고 생각하시나요”의 예문을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불면 카테고리가 특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6 주차에 설정된 제6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특정 치료 모듈에, “장헤련님, ‘통증이 있다면 절대로 깊게 잘 수 없어’ 라고 생각하시나요”의 예문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과거 통증 환자가 선택했던 예문 또는 특정 카테고리의 예문을 통증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함으로써, 해당 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객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진행되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특히,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그대로 유지할지 또는 변경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에 근거하여,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기 설정된 전체 치료 기간을 그대로 유지시킬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130)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체 치료 기간에 대한 업데이트는, 전체 치료기간을 연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체 치료 기간을 축소(또는 중단, 단축)할지, 전체 치료 기간을 그대로 유지할지 또는 전체 치료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치료 기간을 연장할 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위의 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ex: 치료 중단, 유지, 연장과 관련하여 각각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를 중단, 유지 또는 연장하는 것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를 점수 등으로 수치화할 수 있으며, 해당 점수가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포함되었는지에 따라서 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를 중단, 유지 또는 연장하는 것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 점수가 제1 구간(중단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에 대한 인지 행동 치료를 중단(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인지 행동 치료 결과는 제1 구간의 점수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전체 치료 기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축소되는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니터링이 이루어진 시점까지 선행된 치료만 수행하고, 이후 치료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증 환자에 대한 인지 행동 치료는 중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 점수가 제2 구간(유지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에 대한 인지 행동 치료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프로토콜에서 설정된 치료 기간(ex: 8주)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가, 보통인 경우, 인지 행동 치료 결과는 제2 구간의 점수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전체 치료 기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초기 프로토콜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초기 프로토콜에 대한 업데이트는 앞서 도 8a 내지 도 8d에서 함께 살펴본 설명들과 같이 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위의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 점수가 제3 구간(유지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에 대한 인지 행동 치료의 치료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프로토콜에서 설정된 치료 기간(ex: 8주)는 더 연장(ex: 12주 등)될 수 있다.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인지 행동 치료 결과는 제3 구간의 점수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전체 치료 기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연장되는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연장되는 기간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가 안좋은 환자일수록 연장되는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치료 기간이 연장되는 경우, 연장된 치료 기간 동안 수행될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결정을 수행하고, 결정된 치료 프로그램이 연장된 치료 기간에 더 할당되도록,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론, 초기 치료 프로토콜의 업데이트는, 연장된 치료 기간에 대한 프로그램에 대한 결정 뿐만 아니라, 이미 할당된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연장된 치료 기간에 대해 어떠한 치료 프로그램을 더 할당할지 여부를, 통증 환자가 수행한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연장되는 치료 기간에 대하여 치료 프로그램을 할당하기 위하여, 기 수행된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된 분석 카테고리 별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정, 통증, 불면, 인지왜곡, 스트레스(Stress), 유능감(Competence), 불편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 카테고리 별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환자에 대해 치료가 더 수행되어야할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이 연장된 치료 기간에 더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장된 치료 기간에 대하여 할당되는 치료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환자의 치료 프로그램의 연장에 대한 환자의 의사를 수신할 수 있다. 환자의 의사를 수신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치료기간이 완료되는 시점 또는 기 설정된 치료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시점에, 환자에게 치료 기간의 연장을 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의사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팝업 페이지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환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환자로부터 치료 기간의 연장에 대한 의사를 수신한 경우, 치료 프로그램을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연장의 기간은 환자로부터 선택받는 것 또한 가능하다. 나아가, 연장된 치료 프로그램의 주제 또는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 프로그램 또는 치료 모듈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다.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와 관련된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통증 환자에게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 방법 및 시스템은, 통증 환자의 질환에 따른 획일적인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질병을 갖더라도 통증 환자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를 고려하여 통증 환자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증 환자는 자신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치료 주차(week)에 따라, 복수의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증 환자는 체계적으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받음으로써, 중도 탈락하지 않고 인지 행동 치료를 끝까지 마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인지 행동 치료 진행 과정에서 수집된 치료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증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치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제공하는 것에 아니라, 통증 환자의 차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된 인지 행동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또는 기록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전체 치료 주차 중 기 설정된 기간의 초기 치료 주차 동안,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맞추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예정된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 보다 짧은 기간으로 단축 또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연장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중 상기 초기 치료 주차를 제외한 나머지 치료 주차에 대응되는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 동안,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이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들을,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 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은, 상기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서로 다른 주제가 매칭된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매칭된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은,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 중 적어도 일부가 제외되거나,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기 제공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 중 특정 주제와 관련된 치료 프로그램이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반복해서 할당되거나,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기 제공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 중 서로 다른 복수의 주제 각각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모듈들이 조합되어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할당되며,
    상기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주제는, 상기 통증 환자의 동기 강화 관련 주제, 감정 확인 관련 주제, 행동 전략 관련 주제, 주의 전환 관련 주제, 생각 전환 관련 주제, 사고 기록 관련 주제, 관리 전략 관련 주제, 미래의 나 관련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각각에 매칭된 사용자 그룹의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치료 프로그램 또는 치료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은,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급성 통증 및 높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1 사용자 그룹,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급성 통증 및 낮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2 사용자 그룹,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만성 통증 및 높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3 사용자 그룹 및
    통증 지속 기간 및 인지 왜곡 정도 특성과 관련하여, 만성 통증 및 낮은 인지 왜곡을 갖는 제4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고,
    급성 통증 및 만성 통증을 구분하는 기준은, 통증의 지속 기간이 기준 기간을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높은 인지 왜곡 및 낮은 인지 왜곡을 구분하는 기준은, 인지 왜곡과 관련한 복수의 질문에 근거하여 수집되는 스코어(SCORE)가 기준 스코어를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초기 치료 모듈들은, 상기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초기 치료 주차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분석은,
    감정, 통증, 불면, 인지왜곡 및 스트레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서로 다른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이루어지고,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석 카테고리 중 상기 통증 환자의 문제 증상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카테고리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할당된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 및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초기 치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초기 치료 모듈에서 제공되는 예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특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치료 프로그램 및 상기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통증 환자의 통증 정도, 통증 지속 기간, 정신 건강 상태 및 신체 건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기 위한 워크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워크지 모듈은,
    상기 통증 환자에게 상기 통증 환자의 과거 상태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초기 치료 프로그램 및 상기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 중 현재 치료 주차에 해당하는 특정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상기 현재 치료 주차 이전의 치료 주차에서 제공된 워크지 모듈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를 우선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10.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서로 다른 주제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치료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고,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전체 치료 주차 중 기 설정된 기간의 초기 치료 주차 동안,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맞추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예정된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 보다 짧은 기간으로 단축 또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연장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중 상기 초기 치료 주차를 제외한 나머지 치료 주차에 대응되는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 하고,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 동안,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이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들을,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 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은, 상기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서로 다른 주제가 매칭된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매칭된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은,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 중 적어도 일부가 제외되거나,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기 제공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 중 특정 주제와 관련된 치료 프로그램이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반복해서 할당되거나,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기 제공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 중 서로 다른 복수의 주제 각각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모듈들이 조합되어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할당되며,
    상기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주제는, 상기 통증 환자의 동기 강화 관련 주제, 감정 확인 관련 주제, 행동 전략 관련 주제, 주의 전환 관련 주제, 생각 전환 관련 주제, 사고 기록 관련 주제, 관리 전략 관련 주제, 미래의 나 관련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 제공 시스템.
  11.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 상에, 통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문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통증 환자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복수의 치료 프로토콜 중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전체 치료 주차 중 기 설정된 기간의 초기 치료 주차 동안,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설정된 치료 주차(week)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맞추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초기 치료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증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예정된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 보다 짧은 기간으로 단축 또는 상기 전체 치료 기간을 상기 전체 치료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연장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중 상기 초기 치료 주차를 제외한 나머지 치료 주차에 대응되는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 동안,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이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들을,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 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 치료 프로토콜은, 상기 통증 환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서로 다른 주제가 매칭된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초기 치료 프로그램 각각에 매칭된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치료 프로그램은,
    상기 나머지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복수의 초기 치료 모듈 중 적어도 일부가 제외되거나,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기 제공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 중 특정 주제와 관련된 치료 프로그램이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반복해서 할당되거나,
    상기 초기 치료 주차에 기 제공된 초기 치료 프로그램들 중 서로 다른 복수의 주제 각각에 대응되는 초기 치료 모듈들이 상기 나머지 치료 주차에 조합되어 할당되고,
    상기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주제는, 상기 통증 환자의 동기 강화 관련 주제, 감정 확인 관련 주제, 행동 전략 관련 주제, 주의 전환 관련 주제, 생각 전환 관련 주제, 사고 기록 관련 주제, 관리 전략 관련 주제, 미래의 나 관련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176242A 2022-11-03 2022-12-15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6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3807 WO2024096203A1 (ko) 2022-11-03 2023-03-22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03164A KR20240063752A (ko) 2022-11-03 2023-08-07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8/531,481 US20240153614A1 (en) 2022-11-03 2023-12-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in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5283 2022-11-03
KR1020220145283 2022-11-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164A Division KR20240063752A (ko) 2022-11-03 2023-08-07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212B1 true KR102566212B1 (ko) 2023-08-11

Family

ID=8756577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242A KR102566212B1 (ko) 2022-11-03 2022-12-15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77460A KR102566213B1 (ko) 2022-11-03 2022-12-16 디지털 기반의 근골격계 재활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01838A KR20240063751A (ko) 2022-11-03 2023-08-03 디지털 기반의 근골격계 재활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03164A KR20240063752A (ko) 2022-11-03 2023-08-07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460A KR102566213B1 (ko) 2022-11-03 2022-12-16 디지털 기반의 근골격계 재활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01838A KR20240063751A (ko) 2022-11-03 2023-08-03 디지털 기반의 근골격계 재활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03164A KR20240063752A (ko) 2022-11-03 2023-08-07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2566212B1 (ko)
WO (2) WO202409620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967A (ko) * 2007-09-11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및 증상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6911A (ko) * 2017-05-19 2018-11-28 (주)오상헬스케어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05073A (ko) * 2019-05-02 2022-01-12 클로즈드 룹 메디신 엘티디 환자에게 개인 맞춤 약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6004A (ko) * 2020-07-07 2022-01-14 유니 참 코포레이션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86B1 (ko) * 2018-09-21 2020-04-07 이계복 사용자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0558B1 (ko) * 2019-03-27 2019-12-03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신체 측정 및 성장 곡선을 이용한 어린이 또는 청소년 회원의 회원 관리 시스템
KR102339971B1 (ko) * 2019-12-17 2021-12-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재활치료 경과기록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815B1 (ko) * 2020-06-29 2021-01-12 주식회사 퓨처플랫폼 정신건강 자가관리 제공 방법 및 정신건강 자가관리 제공 시스템
KR102323492B1 (ko) * 2021-03-17 2021-11-09 주식회사 엑스바디 영상 분석을 통한 근골격계 균형 진단 및 이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KR102427390B1 (ko) * 2022-05-24 2022-08-01 주식회사 야나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967A (ko) * 2007-09-11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및 증상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6911A (ko) * 2017-05-19 2018-11-28 (주)오상헬스케어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05073A (ko) * 2019-05-02 2022-01-12 클로즈드 룹 메디신 엘티디 환자에게 개인 맞춤 약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6004A (ko) * 2020-07-07 2022-01-14 유니 참 코포레이션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213B1 (ko) 2023-08-11
WO2024096203A1 (ko) 2024-05-10
KR20240063751A (ko) 2024-05-10
KR20240063752A (ko) 2024-05-10
WO2024096204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80663B (zh) 数字个性化医学平台和系统
Barnes Conversation analysis of communication in medical care: description and beyond
US11930087B1 (en) Matching patients with 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to improve engagement and retention
Sellers et al. A brain-computer interface for long-term independent home use
Schueller et al. Understanding people’s use of and perspectives on mood-tracking apps: interview study
Vydra et al. Diffusion and use of tethered personal health records in primary care
First et al. Classif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How to make ICD and DSM better able to serve clinicians
US20200090812A1 (en) Machine learning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rapeutics
Bray et al. Disentangling the effects of self leader perceptions and ideal leader prototypes on leader judgments using loglinear modeling with latent variables
Symons et al. Machine learning vs addiction therapists: A pilot study predicting alcohol dependence treatment outcome from patient data in behavior therapy with adjunctive medication
De Joode et al. The use of standard calendar software by individual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nd cognitive complaints: a mixed methods study
KR101894536B1 (ko)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Hall et al. The effects of offering proactive student-success coaching on community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istence
Arndt et al. The assessment of emotional clarity via response times to emotion items: Shedding light on the response process and its relation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O2022086292A1 (ko) 인지 예비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인지 강화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Meng et al. Exploring user needs for a mobile behavioral-sensing technology for depression management: qualitative study
US20190172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dical risk factors for patients
Vaid et al. Smartphones in personal informatics: a framework for self-tracking research with mobile sensing
Kraaij et al. Personalized support for well-being at work: an overview of the SWELL project
Bentley et al. Implementing machine learning models for suicide risk prediction in clinical practice: focus group study with hospital providers
Pignatti et al. Specific impairments of selective attention in mild Alzheimer’s disease
O'Brien et al. Addressing racial and ethnic inequities in data-driven health technologies
Adiani et al. Multimodal job interview simulator for training of autistic individuals
US11547345B2 (en) Dynamic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tool
KR102566212B1 (ko) 통증 환자를 위한 인지 행동 치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