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72B1 - 개선된 식물 성장을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식물 성장을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72B1
KR102565972B1 KR1020177000221A KR20177000221A KR102565972B1 KR 102565972 B1 KR102565972 B1 KR 102565972B1 KR 1020177000221 A KR1020177000221 A KR 1020177000221A KR 20177000221 A KR20177000221 A KR 20177000221A KR 102565972 B1 KR102565972 B1 KR 10256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iostimulant
composition
biostimulant composition
adhato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488A (ko
Inventor
알. 라드하크리쉬난
씨. 발라쿠마
에스. 카티레산
아룬 벤카타찰람
엘. 케이. 바부라즈
Original Assignee
이아이디 패리 (인디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디 패리 (인디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아이디 패리 (인디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 기반의 추출물, 예컨대 바시신을 함유하는 애드하토다 질라니카(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 추출물, 조류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 및 부형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식물 성장을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BIO-STIMULANT COMPOSITION FOR IMPROVED PLANT GROWTH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성장은 내부 및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내부 메카니즘은 식물의 유전체 구성에서 유래하고 성장의 범위와 시기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내부 메카니즘은 식물 세포 내에서, 세포들 사이에서, 또는 식물 자체의 주변에서 전달되는 다양한 유형의 신호에 의해 규제된다. 외부 요인은 식물을 둘러싼 직접적인 환경과 직접 관련된다. 이들 외부 영향은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물, 영양, 온도, 빛, 비료, 살충제, 생물자극제 등과 같은 요인을 포함한다. 외부 환경은 내부 메카니즘에 의해 허용되는 식물의 성장 및 발육의 범위에 제약을 가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두 요소는 토양에서 물 및 영양 공급의 가용성과 관련이 있다.
세포 팽창은 물 공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물이 부족하면 작은 식물이 된다. 미네랄 영양소는 식물의 생화학 공정에 필요하다.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경우, 성장은 덜 왕성하게 되거나, 극한의 경우 성장이 중단된다. 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으로는 1차 다량영양소(macronutrient)인 질소(N), 인(P), 및 칼륨(K); 2차 다량영양소인 칼슘(Ca), 황(S), 및 마그네슘(Mg); 및 미량영양소 또는 미량무기질인 붕소(B), 염소(Cl),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셀레늄(Se)이 있다. 또한, 최적의 온도가 식물 성장에 필요하다. 필요한 온도 범위는 종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의 식물은 낮은 온도, 즉 0 ℃ 내지 10 ℃에서 서서히 자라며, 일부 열대 식물은 동결온도 초과의 낮은 온도에서 손상되거나 심지어 죽는다. 또한, 빛은 광합성 과정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식물 성장의 조절에 있어 중요하다.
식물 생물자극제는 비료라기 보다는 잎에 뿌려지거나 토양에 첨가될 경우 식물 성장 및/또는 대사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다. 식물 생물자극제는 일반적으로 호르몬-함유 제품, 식물 추출물계 제품, 미량영양소계 제품, 아미노산-함유 제품 및 부식산(humic acid)-함유 제품 중 하나의 범주에 속하지만 이러한 범주에만 엄격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 생물자극제는 성장 속도를 높이고, 스트레스 내성을 높이며, 광합성 속도를 높이고, 질병 내성을 높이는 능력을 고려하여 상업적 환경에서 작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식물 생물자극제는 일반적으로 식물 호르몬을 상향 조절하거나 하향 조절함으로써 작동한다고 여겨진다.
수많은 비료 및 식물 생물자극제의 상업적 이용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필요에 부응할 수 있는 개선된 제품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식물 성장 반응 및 발육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 및 방법이 요구된다.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계통에 속하는 애드하토다 질라니카(Adhatoda zeylanica) (일반적으로, 애드하토다바시카(Adhatoda vasica), 말라바 넛(Malabar Nut), 애둘사(Adulsa), 애드하토다(Adhatoda), 바사(Vasa), 바사카(Vasaka), 바시카(Vasica)로 알려짐)는 주로 인도 지역와 전세계에서 발견되는 작은 상록수의 관목으로서, 전통적인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아유르베다 외에도, 이 허브는 유나니(Unani)에서도 다양한 질병 및 장애의 치료에도 사용되어 왔다. 바시카는 호흡기 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바시카의 잎은 호흡기에 자극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시카는 항경련제 및 거담제 효과를 나타내고,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기타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많은 성공을 거두며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다. Adhatoda zeylanica의 여러 부분에 대한 식물화학적 연구는 알칼로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및 글리코사이드가 주요 부류의 화합물로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주요 구성성분은 주요 알칼로이드로서 바시신(Vasicine)을 비롯한 퀴나졸린 알칼로이드이다.
농업에서, Adhatoda zeylanica 나무껍질, 잎, 및 꽃의 추출물은 살아있는 사과응애(red spider mites)와 알을 잎에서 근절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이 식물은 특정 효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Adhatoda zeylanica를 식물성 영양제나 살충제가 아닌 식물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정의할 수 있는 생물자극제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달리 말하면, 생물자극제는 소량 적용할 경우, 그 반응이 전통적인 식물 영양의 적용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없는 정도로 식물의 성장 및 발육을 촉진시키는 유기 물질이다.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 (호스래시시 나무 또는 드럼스틱 나무라고도 함)는 인도의 히말라야 지역에서 원래 발견된 식물이다. 이 식물은 모링가과(Moringaceae) 계통에 속한다. 이것은 관목으로서 2.5 m 내지 10 m 높이의 작은 낙엽수이다. 성숙되면 열매는 갈색이 되고 내부에 10-50개의 씨가 들어있다(Vlahof et al., 2002). 이 식물은 아프리카, 중동, 남동아시아, 태평양 제도, 카리브 제도 및 남부 아메리카에서 널리 재배되며, 현재 대만과 중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인도에서, M.  oleifera의 잎과 열매는 원래 요리에서 호스래디시 대체품 역할을 하는 뿌리 있는 채소로 사용되었다. 또한, 이 식물은 다양한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및 영양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esamani, 1999). M.  oleifera 나무의 구성성분, 예컨대 잎, 꽃, 열매, 및 나무껍질은 염증, 마비, 및 고혈압 치료를 위한 허브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많은 보고에 의하면, M.  oleifera는 사람에 있어서 강력한 항염증(Ezeamuzle et al., 1996), 간보호(Pari and Kumar, 2002), 항고혈압(Faizi et al., 1995) 및 항종양(Murakami et al., 1998) 특성을 갖는다. 또한, 그 종자는 강한 응고 및 항균 특성을 갖는다(Eilert et al., 1981). 종자유는 올리브유와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많은 양의 토코페롤을 함유한다(Tsaknis et al,. 1999). 잎 추출물은 쥐의 갑상선 상태와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ahiliani et al., 2000; Ghasi, 2000). 따라서, 고콜레스테롤 치료에 유용한 약제로 개발될 수 있다. M. oleifera 의 여러 부위를 스크리닝한 결과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의 존재를 밝혀냈으며, 그 중에서 퀘세틴(quercetin)이 주요 플라보노이드이다.
로켓 식물(Erucavesicaria subsp . sativa)에서 성장, 생화학 및 호르몬 함량을 증가시키는 생물자극제로서 Moringaoleifera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은 문헌에 잘 개시되어 있다(Int. J. Plant Physiol. Biochem. Vol. 5(3), pp. 42-49, September 2013).
조류(Algae), 해조류, 및 해조류-유래 제품은 많은 식물 성장 자극 화합물을 가지기 때문에 증강제(enhancer)로서 농업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붉은 해조류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갈락탄, 카라키난 및 한천은 씨의 발아를 돕고 뿌리를 길게 하며 토양에 수분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해조류 추출물은 금속단백질 활성 사이트에 존재하는 다량영양소(N, P, K, Ca, S, Mg) 및 미량영양소(Fe, Mn, Co, Cu)의 풍부한 원천이기도 하다.
Adhatoda zeylanica 추출물로부터 바시신 추출의 다양한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95% 알코올로 식물의 잎을 추출하고, 2% H2SO4 수용액으로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 처리하고, 산성 수용액을 암모니아로 염기성화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클로로포름을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이 추출물을 다시 2% H2SO4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암모니아에 의한 염기성화 공정을 반복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함으로써, Adhatoda zeylanica 잎으로부터 바시신을 분리할 수 있다(C. K. Atal.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Vasicine―A new oxytoxic and abortifacient." Raj. Bandhu Ind. Co., New Delhi, 1980). 이 공정의 단점은 추출을 위하여 H2SO4와 같은 강한 무기산을 사용함으로써 바시신의 상당한 분해를 초래하고, 이는 동일한 무기산 처리를 두번 반복함으로써 더욱 악화된다.
다른 선행기술에서, 바시신은 다음과 같이 Adhatoda zeylanica 잎으로부터 분리된다(D. R. Mehta, J. S. Naravane and R. M. Desai.Vasicinone. A Bronchodilator Principle from Adhatoda Vasica Nees (N. O. Acanthaceae) J. Org. chem. 28, 445-448, 1963). 잎을 90% 알코올로 환류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얻어진 알코올 추출물을 고온의증류수로 추출하고 수성 추출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한 다음, 5% 가성소다로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다시 클로로프름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5% 염산으로 추출한 후, 산성 용액을 암모니아에 의해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다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공정을 두번 반복한 후, 최종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농축하여 조질의(crude) 총 알칼로이드를 얻었고, 이것으로부터 바시신이 바시신 염산염으로 분리되었다(수율: 2 g). 상기 공정의 첫번째 단점은 뜨거운 물에 의해 알코올 추출물을 추출한다는 점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추가적 한계를 갖는다: (a) 바시신은 수용액으로부터 정량적으로 추출될 수 없음. 및 (b) 뜨거운 물 추출은 바시신을 자동 산화 산물인 바시시논(vasicinone)으로 변환시킴. 상기 공정의 두번째 단점은 추출을 위하여 염산과 같은 5% 무기산을 사용하면서 그것도 2번이나 사용한다는 점이다. 강한 무기산을 사용하면 바시신이 상당히 분해되어 그 결과 바시신의 수율이 낮아진다.
US 6676976 B2는 Adhatoda vasica로부터 바시신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주변온도에서 건조 및 분쇄된 잎을 알코올 추출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된 추출뭉를 얻는 단계, 추출물을 유기산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2-24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유기용매로 산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유기층과 산성 수용액층으로 분리하는 단계, 산성 수용액을 염기로 염기성화시키는 단계, 염기성화된 용액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유기층을 분리하는 단계, 건조 및 여과시키는 단계, 유기층을 증발시켜 비정질 잔류물을 얻는 단계, 및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혼합물로 비정질 잔류물을 처리하여 바시신을 얻는 단계. 이 공정조차도 부식성 산의 사용 및 낮은 수율의 결점이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면, 효과적인 방식으로 Adhatoda zeylanica 식물로부터 바시신을 추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식물 성장 촉진을 위한 생물자극제인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의 사용을 연구하고, 농업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제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바시신 및 복수의 부형제를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물자극제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은 0.05 - 50.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생물자극제 조성물 중의 부형제는 담체, 착색제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과립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Moringa oleifera 추출물을 0.05 - 1.00 w/w%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조류 추출물을 0.01 - 1.00 w/w%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담체는 석영 모래, 벤토나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담체는 48.50 - 98.35 w/w%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착색제는 0.01 - 0.4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밀랍, 파라핀 왁스, 식물성 왁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접착제는 0.05 - 4.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부형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필러, 용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성물은 엽면 적용 또는 점적 적용을 위한 액체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45.00 - 80.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안정화제는 에폭시화 식물유, 에톡시화 식물유, 수소화 식물유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안정화제는 0.00 - 5.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필러는 해바라기유, 참기름, 피마자유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필러는 3.00 - 50.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용매는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매는 15.00 - 25.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담체 재료를 접착제 층으로 코팅하여 제1 과립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제1 과립 혼합물 상에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착색제, 및 선택적으로 Moringa 추출물 또는 조류 추출물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제2 과립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c) 제2 과립 혼합물을 접착제 층으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도 1은 Adhatoda zeylanica 1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대표적인 구현예를 기술한다. 보다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세부사항 및 대표적인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공된 구현예 및 방법과 관련하여 본 항목에서 설명된다. 다양한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관점에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지적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a)" "하나(an)" 및 "그(the)"는 문맥에서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한 언급은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내용에서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단위 w/v을 갖는 비율은 부피(밀리리터로 측정됨)에 대한 중량(그램으로 측정됨) 비율을 가리킨다. 단위 v/v을 갖는 비율은 부피(부피 단위로 측정됨)의 비율을 가리킨다. 다른 모든 비율은 중량(질량 단위로 측정됨)의 비율을 가리킨다.
"w/w%" 또는 "%"에 있어서, 다양한 양의 표현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전체 용액 또는 조성물의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모든 인용된 참고문헌은 그 전체가 참조로 여기에 통합된다. 모든 참고문헌의 인용은 청구된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서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결정에 관한 승인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산물 및 제조방법 측면에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 및 복수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Moringa oleifera 추출물 및 조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 및 부형제를 함유하는 과립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들 추출물은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생물자극제"라는 용어는 영양소 및 살충제를 제외한 물질 및 재료를 의미하며, 특정한 제형으로 식물, 씨 또는 성장하는 기질에 적용될 경우, 성장, 발육 및/또는 스트레스 대응에 잠재적 이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식물의 생리적 과정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상기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0.05 - 50.00% 범위의 양으로, Moringa oleifera 추출물을 0.05 - 1.00% 범위의 양으로, 조류 추출물을 0.01 - 1.00%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또한,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담체에 활성물질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친유성 접착제를 함유한다. 접착제는 0.05 - 4.00%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밀랍, 파라핀 왁스, 식물성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담체 및 착색제를 더 포함한다.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토양에 적용하기에 특히 유용한 과립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과립 제형은 석영 모래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 예컨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담체에 분산된 생물자극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제형은 보통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적절한 입자 크기로 예비성형된 과립 담체에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담체는 석영 모래 또는 벤토나이트이며, 담체는 48.50 - 98.3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착색제"라 함은 색상 변화를 유발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첨가되는 물질이다. 착색제는 염료, 색소 또는 유색 화학물질일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조성물에 첨가되어 매력적이고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관심을 끌도록 만든다. 착색제는 0.01 - 0.40%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엽면 또는 점적 적용을 위한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a)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b) 비이온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필러, 용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0.05 - 50.00% 범위의 양으로 함유한다.
허브 추출물에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은 고온에 노출될 경우 분해되기 쉽고 대기에 노출될 경우 산화되기 쉽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비보호된 저장 또는 매우 장기간 동안의 저장은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이 그 효능을 잃거나 완전히 사용불가능하게 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활성 허브 화합물을 저장시 열분해 및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안정화제를 0.00 - 5.00% 범위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정화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에폭시화 식물유, 에톡시화 식물유, 수소화 식물유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식물에 엽면 적용을 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 제형을 유화 농축액(emulsifiable concentrate: EC)이라고 한다. EC로 제형화된 제품에서 주요 불활성 성분은 유화제, 즉 활성 허브 성분이 물과 혼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세제 유사 물질이다. 유화제의 한 부류는 "표면 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생물자극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45.00 - 80.00%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필러는 조성물의 보관 및 취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물질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농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필러는 3.00 - 50.00%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러의 비제한적 예로는 해바라기유, 참기름, 피마자유 및 이들의 조합물을 들 수 있다.
점적 적용을 위한 액체 형태의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좋기로는 15.00 - 25.00% 범위의 양으로, 및 더욱 좋기로는 20.00%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Adhatoda zeylanica의 건조 부분을 분쇄하는 단계; (b) 적합한 용매로 콜드 퍼콜레이션(cold percolation)함으로써 상기 분쇄 부분을 복수회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액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농축액을 건조시켜 1차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1차 추출물을 물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복수회 추출하여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Adhatoda zeylanica에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인 바시신은 식물의 잎, 줄기, 및 꽃에 국한되어 있다. 콜드 퍼콜레이션에 의한 추출 전에, 식물을 건조하고 분쇄한다. 추출을 위하여 선택된 건조 부분은 꽃, 줄기, 잎 또는 식물 전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콜드 퍼콜레이션"이라는 용어는 약초사가 사용하는 전통적인 추출 방법이다. 설정은 용기 또는 플라스크 위에 매달린 원뿔 또는 튜브로 구성된다. 튜브 또는 플라스크의 바닥에는 분쇄된 식물 재료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 천공된 받침대가 있다. 용매를 튜브 상단에 부어서 허브 재료에 스며들면 활성 성분이 침출되어 튜브의 하단을 통해 용기로 전달된다. 콜드 퍼콜레이션에 사용되는 적합한 용매는 식물 재료로부터 바시신을 추출할 수 있는 용매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용매는 메탄올, 물, 에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콜드 퍼콜레이션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적합한 용매는 메탄올과 물의 비율이 80:20인 혼합물이다.
콜드 퍼콜레이션에 의한 식물의 복수회 추출은 바시신을 추출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각 추출 후, 용매는 여과에 의해 분쇄된 식물 재료로부터 분리된다. 모든 추출 단계에서 얻은 여과액을 합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하여 농축액을 형성한다. 농축액은 좋기로는 1차 추출물을 얻기 위해 분무 건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분무 건조된(spray dried)"이라 함은 고온 가스로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써 액체 또는 슬러리로부터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열에 민감한 허브 추출물을 건조시키는데 있어 바람직한 방법이다. 가열된 공기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건조 매체이다; 그러나, 허브 추출물이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가연성 용매, 또는 산소에 의한 산화에 민감한 항산화제를 함유할 경우, 고온의 질소 가스가 건조 매체로 사용된다.
1차 추출물을 물 및 에탄올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복수회 추출한다. 모든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쳐서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의도된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하는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에서 보고된 모든 부, 백분율, 및 비율은 중량 기준이며, 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든 시약은 화학 공급자로부터 수득되거나 제조가능하다. 해조 추출물은 E.I.D Parry (India) Ltd, Nutraceuticals Division에서 조달되었다.
실시예 1
Adhatoda Zeylanica 1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건조된 식물 재료로부터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의 1차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1차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도 1의 흐름도에서 일반적으로 묘사된다.
Adhatoda zeylanica의 식물 재료를 건조하고 추출을 위해 분쇄하였다. 분쇄된 식물 재료를 추출 용기에 넣고 메탄올과 물을 80:20의 비율로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콜드 퍼콜레이션에 의해 추출하였다. 분쇄된 식물 재료 대 용매의 비율은 1:5 (wt/Vol)였다. 분쇄된 식물 재료를 용매에 6-15시간 동안 담근 후, 여과하여 잔류물 및 바시신을 0.10-0.20% w/w 범위로 함유하는 여과액(F1)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과 물을 80:20의 비율로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콜드 퍼콜레이션에 의해 추출한 후, 여과하여 잔류물 및 바시신을 0.05-0.10% w/w 범위로 함유하는 여과액(F2)을 수득하였다. 상기 두번째 추출에서 식물 재료(잔류물) 대 용매의 비율은 1:4 (wt/Vol)였다. 잔류물을 메탄올과 물을 80:20의 비율로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콜드 퍼콜레이션에 의해 다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잔류물 및 바시신을 0.01-0.05% w/w 범위로 함유하는 여과액(F3)을 수득하였다. 상기 세번째 추출에서 식물 재료(잔류물) 대 용매의 비율은 1:4 (wt/Vol)였다. 여과액 F1, F2 및 F3를 합하고 65℃에서 1 KgHg의 압력 하에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하여 바시신을 0.50-1.00% w/w 범위로 함유하는 농축액을 얻었다. 농축액을 분무 건조하여 바시신을 1.00-3.00% w/w 범위로 함유하는 1차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1차 추출물로부터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약 1-5 kg의 1차 추출물 및 2-8 L의 물을 추출용기에서 완전히 혼합하고 균질화시켰다. 그런 다음, 2 L의 에틸 알코올 및 4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30분 내지 수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상부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수집하였다. 1 L의 물을 첨가하고 하부층과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에 1 L의 에틸 알코올 및 4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추가 30분 내지 수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상부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수집하였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부 수층을 세번째 추출하고 상부 에틸 아세테이트를 수집하였다. 총 3개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농축하였고, 여기서 Adhatoda Zeylanica 의 농축 추출물 중에서 바시신의 농도는 10,000 ppm이었다.
실시예 3
Moringa oleifera 추출물의 제조
20-35℃에서 콜드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3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3-10 L의 에탄올에 약 1-5 kg의 Moringa oleifera 건조 잎 분말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상층액인 에탄올 층을 수집하였다. 마찬가지로, 하부의 잔류물을 에탄올로 세번 추출하였다. 모든 에탄올 추출물을 합하고 50℃의 진공하에 증류하여 300 mL까지 농축하였다.
실시예 4-9: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하 각 값의 단위는 "w/w%", 즉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이다. 표 1에 제시된 조성물은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실시예
번호 성분 4 5 6 7 8 9
1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바시신 함유) 0.05 0.50 1.00 4.00 20.00 45.00
2 담체 98.35 97.90 97.40 94.40 78.40 53.40
3 착색제 0.10 0.10 0.10 0.10 0.10 0.10
4 바인더/접착제 1.50 1.50 1.50 1.50 1.50 1.50
실시예 10-12: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하 각 값의 단위는 "w/w%", 즉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이다. 표 2에 제시된 조성물은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실시예
번호 성분 10 11 12
1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바시신 함유) 0.05 1.00 4.00
2 조류 추출물 0.01 0.50 1.00
3 담체 98.34 96.90 93.40
4 착색제 0.10 0.10 0.10
5 바인더/접착제 1.50 1.50 1.50
실시예 13-17: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Moringa Oleifera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하 각 값의 단위는 "w/w%", 즉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이다. 표 3에 제시된 조성물은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실시예
번호 성분 13 14 15 16 17
1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바시신 함유) 0.05 1.00 1.00 0.05 4.00
2 Moringa oleifera 0.05 0.50 1.00 0.01 1.00
3 담체 98.30 96.90 96.40 98.34 93.40
4 착색제 0.10 0.10 0.10 0.10 0.10
5 바인더/접착제 1.50 1.50 1.50 1.50 1.50
실시예 18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 이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양은 표 1에 제시됨.
제1 과립 혼합물의 제조: 담체(과립) 재료를 10-30 메시로 체질하고 수분 함량이 0.5 w/w%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시킨다. 60℃까지 가열함으로써 필요량의 파라핀 왁스(접착제)를 헥산에 용해시킨다. 고온의 왁스 용액을 필요량의 담체(과립) 위에 분무한다. 과립을 고온의 공기 흐름에서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담체 위에 접착제 층을 도포한다.
제2 과립 혼합물의 제조: 상기 과립 상에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용이하게 코팅하기 위하여,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의 필요량을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필요량의 녹색 염료를 취하고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용액과 혼합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과 염료와의 용액을 상기 왁스 코팅된 과립(제1 과립 혼합물) 상에 분무하고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제2 과립 혼합물을 헥산 중의 왁스 고온 용액으로 처리하고 공기 흐름에서 건조시켜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형성한다.
실시예 19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 이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양은 표 2에 제시됨.
담체(과립) 재료를 10-30 메시로 체질하고 수분 함량이 0.50 w/w%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시킨다. 60℃까지 가열함으로써 필요량의 파라핀 왁스를 헥산에 용해시킨다. 고온의 왁스 용액을 필요량의 담체(과립) 위에 분무한다. 과립을 고온의 공기 흐름에서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상기 과립 상에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조류 추출물을 용이하게 코팅하기 위하여,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조류 추출물의 필요량을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필요량의 녹색 염료를 취하고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과 조류 추출물과의 용액과 혼합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과, 조류 추출물과, 염료와의 용액을 상기 왁스 코팅된 과립 상에 분무하고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과립을 다시 헥산 중의 왁스 고온 용액으로 처리하고 공기 흐름에서 건조시켜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형성한다.
실시예 20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MoringaOleifer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 이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양은 표 3에 제시됨.
담체(과립) 재료를 10-30 메시로 체질하고 수분 함량이 0.50 w/w%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시킨다. 60℃까지 가열함으로써 필요량의 파라핀 왁스를 헥산에 용해시킨다. 고온의 왁스 용액을 필요량의 담체(과립) 위에 분무한다. 과립을 고온의 공기 흐름에서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상기 과립 상에 용이하게 코팅하기 위하여,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Moringa oleifera 추출물의 필요량을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필요량의 녹색 염료를 취하고 극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과 Moringa oleifera 추출물과의 용액과 혼합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과, Moringa oleifera 추출물과, 염료와의 용액을 상기 왁스 코팅된 과립 상에 분무하고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과립을 다시 헥산 중의 왁스 고온 용액으로 처리하고 공기 흐름에서 건조시켜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형성한다.
실시예 21-29
엽면 적용을 위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하 각 값의 단위는 "w/w%", 즉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이다. 표 4에 제시된 조성물은 엽면 적용을 위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로 제형화된다.
엽면 적용을 위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실시예
제형 성분 21 22 23 24 25 26 27 28 29
1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바시신 함유) 0.5 1.0 2.0 4.0 25.0 45.0 1.0 2.0 4.0
2 비이온
계면활성제
50.0 50.0 50.0 50.0 50.0 50.0 45.0 45.0 45.0
3 안정화제 0.0 0.0 0.0 2.0 2.0 2.0 5.0 5.0 5.0
4 필러(식물유) 49.5 49.0 48.0 44.0 23.0 3.0 49.0 48.0 46.0
실시예 30-34
점적 적용을 위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하 각 값의 단위는 "w/w%", 즉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이다. 표 5에 제시된 조성물은 점적 적용을 위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로 제형화된다.
점적 적용을 위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실시예
제형 성분 30 31 32 33 34
1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바시신 함유) 0.5 1.0 2.0 4.0 25.0
2 비이온 계면활성제 79.5 79.0 78.0 76.0 55.0
3 용매 20.0 20.0 20.0 20.0 20.0
실시예 35
엽면 적용을 위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 이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양은 표 4에 제시됨.
필요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 용기에 넣고 교반을 시작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의 필요량을 취하여 교반하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천천히 첨가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이 계면활성제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필요량의 안정화제를 취하여 상기 혼합 용기에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마지막으로, 필요량의 식물유를 상기 혼합 용기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질한 액체를 얻는다.
실시예 36
점적 적용을 위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 이 방법에 사용된 성분의 양은 표 5에 제시됨.
필요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 용기에 넣고 교반을 시작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의 필요량을 취하여 교반하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천천히 첨가한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이 계면활성제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필요량의 용매를 취하여 상기 혼합 용기에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실시예 37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식물 성장 촉진(plant growth promotion: PGP) 효과/ 생물자극 효과/ 생체 효능(bio-efficacy)을 1 평방미터 웅덩이(pit)에서 평가한 후, 현장 시험 결과를 검증하였다.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웅덩이 시험(Pit trials):
a. 플롯(plot)의 준비: 1 평방미터 및 1.5 피트 깊이의 플롯을 준비하고 폴리텐 시트로 라인을 만들어 물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웅덩이는 농장의 비료(manure)와 혼합된 토양으로 채워졌다. 각 플롯의 오른쪽 구석에는, 과량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출구를 제공하였다.
b. 종자 준비: 100 g의 벼 종자(시장에서 조달)을 250 mL의 물에 24시간 동안 담갔다. 종자를 씻고 젖은 천 봉지에 싸서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천에 주기적으로 물을 뿌렸다. 48시간 후, 발아된 종자를 플라스틱 트레이(12" × 16")에 뿌렸다. 트레이에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유지하였다.
c. 이식: 파종한 지 25일 후, 묘목을 플라스틱 트레이에서 뿌리 뽑고, 6 × 6 cm 간격으로 줄지어 상기 플롯에 이식하였다. 상기 플롯에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유지하였다.
d. 적용: 이식 후 12일에, 과립형 생물자극제의 적용이 시작되었다. 1 g의 샘플을 6 g의 모래와 혼합하고, 얇은 수분 막을 갖는 플롯에 적용하였다. 각 플롯에 처리 세부사항을 태그로 표시하였다. 급수는 이틀에 한번 급수하고 과량의 물은 필요할 때마다 배출하였다.
e. 관찰 방법:
- 식물 성장 변수, 예컨대 초장(plant height), 분얼력(tillering ability) 및 근장(root length)의 관찰은 이식 후 45일에 이루어졌다.
- 초장: 토양 표면에서부터 가장 높은 이삭(panicle)의 끝까지의 초장을 센티미터 단위로 측정하고 정수로 기록하였다.
- 분얼력 : 한 언덕(hill)에 있는 분얼의 수를 기록하였다.
- 근장 : 식물을 뿌리 뽑고, 뿌리 끝에서부터 어린싹(shoot)과의 교차점까지 근장을 센티미터 단위로 측정하고 정수로 기록하였다.
웅덩이 시험에서 벼(paddy)에 대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웅덩이 시험에서 벼 적용된
과립 생물자극제 조성물
식물 성장 변수( 이식후 45일) 및
비처리 대조군( UTC ) 대비 백분율 증가
초장
(cm)
분얼 개수 근장
(cm)
1 실시예 4 46.1
(5.7%)
7.8
(9.9%)
18.7
(8.1%)
2 실시예 5 49.2
(12.8%)
9.5
(33.8%)
20.1
(16.2%)
3 실시예 6 48.9
(12.2%)
9.5
(33.8%)
20.7
(19.7%)
4 실시예 7 45.3
(3.9%)
7.4
(4.2%)
18.2
(5.2%)
5
(블랭크)
모래-98.4%
왁스-1.5%
착색제-0.1%
44.1
(1.1%)
6.6
(-7%)
17.4
(0.6%)
6
( UTC )
비처리 대조군 43.6 7.1 17.3
전술한 결과는 본 발명의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이 웅덩이 시험에서 벼에 적용시 성장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결과는 50 ppm 및 100 ppm의 바시신 농도에 해당하는, 0.5% 및 1%의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이 각각 벼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최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웅덩이 시험에서 벼에 대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웅덩이 시험에서 패디에 적용된 과립 생물자극제 조성물 식물 성장 변수( 이식후 45일) 및
비처리 대조군( UTC ) 대비 백분율 증가
초장
(cm)
분얼 개수
1 실시예 10 47.2
(6.8%)
7.6
(8.6%)
2 실시예 11 49.2
(11.3%)
8.2
(17.1%)
3 실시예 12 46.9
(6.1%)
7.4
(5.7%)
4
(블랭크)
모래-98.4%
왁스-1.5%
착색제-0.1%
44.2
(0%)
7.1
(1.4%)
5
( UTC )
비처리 대조군 44.2 7.0
웅덩이 시험에서 벼에 대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Moringa oleifer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웅덩이 시험에서 패디에 적용된 과립 생물자극제 조성물 식물 성장 변수( 이식후 45일) 및
비처리 대조군( UTC ) 대비 백분율 증가
초장
(cm)
분얼 개수
1 실시예 16 48.9
(7.7%)
8.3
(10.7%)
2 실시예 14 50.9
(12.1%)
8.7
(16.0%)
3 실시예 17 50.2
(10.6%)
8.1
(8.0%)
4
(블랭크)
모래-98.4%
왁스-1.5%
착색제-0.1%
45.7
(0.7%)
7.4
(-1.3%)
5
( UTC )
비처리 대조군 45.4 7.5
실시예 38
웅덩이 시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벼의 성장 및 수확량(yield)을 개선하기 위한 최적의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결정하기 위한 현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을 위하여 선택된 벼의 유형은 ASD 16이었다.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현장 시험: 이 시험 프로토콜은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에 적용된다.
a. 이식: 파종한 지 25일 후, 묘목을 모판에서 뿌리 뽑고, 6 × 6 cm 간격으로 줄지어 플롯에 이식하였다. 상기 플롯에 농장 관행에 따라 물을 주었다.
b. 적용: 이식 후 12일에, 과립형 생물자극제의 적용이 시작되었다. 모든 조성물을 4 kg/에이커의 속도로 적용하였다.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필요량의 모래와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c. 관찰 방법:
- 식물 성장 변수의 관찰: 식물 성장 변수, 예컨대 초장 및 분얼 개수(number of tillers)의 관찰은 이식 후 45일에 이루어졌다. 초장은 토양 표면에서부터 가장 높은 이삭의 끝까지의 초장을 센티미터 단위로 측정하고 정수로 기록하였다. 한 언덕에 있는 분얼의 수를 기록하였다.
- 수확량의 관찰: 1 평방미터를 수확하여 곡물 수확량을 계산하였다. 특정 조성의 경우, 5개 장소의 1 평방미터의 면적에서 수확을 수행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그런 다음, 그 결과를 외삽하여 에이커당 수확량을 계산하였다.
현장 시험에서 벼에 대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현장 시험에서 벼에 적용된 과립 생물자극제 조성물 식물 성장 변수( 이식후 45일) 및 비처리 대조군( UTC ) 대비 백분율 증가 수확량
초장
(cm)
분얼 개수 곡물 수확량 (kg/acre)
1 실시예 4 60.8
(3.9%)
22
(10%)
3160
(8.4%)
2 실시예 5 62.7
(7.2%)
24
(20%)
3225
(10.7%)
3 실시예 6 62.3
(6.5%)
24
(20%)
3219
(10.5%)
4 실시예 7 60.5
(3.4%)
23
(15%)
3098
(6.3%)
5
(블랭크)
모래-98.4%
왁스-1.5%
착색제-0.1%
58.4
(-0.2%)
21
(5%)
2922
(0.3%)
6
( UTC )
비처리 대조군 58.5 20 2914
현장 시험 결과로부터,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0.50% 및 1.00%(각각 50 ppm 및 100 ppm의 바시신 함량과 동등함)로 함유하는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적용은 식물 성장 및 수확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분명하다.
실시예 39
엽면 분무를 위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생물자극 효과/ 생체 효능을 Leonard Jar 실험에서 예비적으로 평가한 다음, 그 결과를 화분 연구(pot study)에서 검증하였다.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에 대한 Leonard Jar 실험
a. Leonard Jar의 준비: - A beer bottle of 500-800 ml 용량의 맥주병을 두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병은 목을 포함하는 부분과 하단 부분을 얻도록, 점점 좁아지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절단하였다). 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실험에서는 진한 갈색 병이 선호되었다. 병의 목 부분을 붕대 천으로 감쌌다. 붕대 천으로부터 8 cm의 면 심지(wick)가 매달리게 하고, 이를 400 ml의 시험 용액(화학물질이 있거나 없는 Hoagland 용액)을 담은 병의 나머지 절반에 놓는다. 거꾸로 된 병의 목에 체친 모래 250 g을 첨가한다. 토양을 보유하고 있는 붕대 천에 매달린 심지가 Hoagland 용액에 닿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은 심지가 하부 용기로부터 Hoagland 용액을 흡수하고 이를 묘목과 모래가 놓인 상부에 공급하는 것을 돕는다.
b. 묘목: 상업적 묘목장(질병 및 곤충 공격이 없음)에서 구입한 20일된 칠리 묘목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Leonard jar에 이식하기 전에 묘목에 물을 주었다.
c. 묘목의 이식: Leonard jar에 이식하기 위해 균일한 높이와 잎의 수를 갖는 칠리 묘목들(20일됨)이 선택되었다. 그런 다음, 전체 설정은 오픈 필드에서 유지되었다. 각 처리마다 충분한 수의 복제(replicate)를 유지하였다.
d. 분무 용액의 제조 및 분무: 이식 후 3일에, 묘목에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분무한 다음, 15일 간격을 두고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다시 분무하였다.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분무액이 잎사귀로부터 굴러 떨어질 때까지 칠리 식물 잎에 핸드 분무기를 사용하여 분무하였다.
e. 관찰: 두번째 분무 후 7일에 초장, 근장 및 잎의 수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Leonard Jar 실험에서 칠리에 대한 엽면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Leonard Jar 실험에서 칠리에 적용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 식물 성장 변수( 이식후 60일) 및
비처리 대조군 대비 백분율 증가
초장
(cm)
근장
(cm)
잎의 수
1 실시예 27 32.4
(15.3%)
21.9
(17.1%)
14.2
(7.6%)
2 실시예 28 34.6
(23.1%)
23.5
(25.7%)
14.8
(12.1%)
3 실시예 29
33.7
(19.9%)
22.4
(19.8%)
14.4
(9.1%)
4
(블랭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45%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 5%
해바라기유/참기름- 50%
28.2
(0.4%)
18.9
(1.1%)
13.5
(2.3%)
5
( UTC )
비처리 대조군 28.1 18.7 13.2
전술한 결과는 본 발명의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Leonard Jar 실험에서 칠리 식물에 적용시 성장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결과로부터, 2% 농도(200 ppm의 바시신 함량)의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이 칠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최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0
Leonard Jar 실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칠리 식물의 성장 및 수확량을 개선하기 위한 최적의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결정하기 위한 화분 시험을 수행하였다.
엽면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화분 시험:
a. 화분 채우기: 실험은 24 x 24 인치 크기의 흙 화분에서 수행하였다. 화분을 화분 혼합물(붉은 토양, 모래 및 건조 소 분뇨의 비율 2:1:1)로 채웠다.
b. 칠리 묘목의 획득: 15일된 칠리(유형 NS1761) 묘목을 묘목장에서 구입하여 화분에 이식하였다. 화분에 심은 칠리 식물에 매일 아침에 물을 주고 해충과 질병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였다. 이식 후 1주일에, 비료(NPK 19:19:19)를 화분당 10 g의 비율로 적용하였다.
c. 분무 용액의 제조 및 분무 내용: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의 액체 제형 2 mL을 측정하고 이를 물로 희석하여 1 L가 되게 함으로서 분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식 후 3일에 묘목에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칠리 식물에 첫번째 분무한 다음, 15일 간격을 두고 다시 한번 분무하였다. 용액은 분무액이 잎사귀로부터 굴러 떨어질 때까지 핸드 분무기를 사용하여 분무하였다.
화분 시험에서 칠리에 대한 엽면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화분 시험에서 칠리에 적용된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 식물 성장 변수( 이식후 60일) 및 비처리 대조군 대비 백분율 증가 수확량
어린싹 길이
(cm)
가지의 수 열매 수확량
(gm/식물)
1 실시예 27 43.1
(7.2%)
18.5
(11.4%)
670
(9.8%)
2 실시예 28 45.8
(13.9%)
18.8
(13.3%)
700
(14.8%)
3 실시예 29 43.9
(9.2%)
18.1
(9.0%)
658
(7.9%)
4
(블랭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45%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 5%
해바라기유/참기름- 50%
40.6
(1.0%)
16.9
(1.8%)
615
(0.8%)
5
( UTC )
비처리 대조군 40.2 16.6 610
화분 시험을 근거로,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2% 농도(200 ppm의 바시신 함량)로 함유하는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이 칠리 식물의 성장 및 수확량을 촉진하는데 최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토마토 식물의 성장 및 수확량의 개선하기 위한 점적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최적의 조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화분 시험을 수행하였다.
점적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화분 실험:
- 종자 발아: 상업 시장에서 구입한 토마토 종자(Naamdhari501)를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구입한 종자를 코코넛 섬유(coco peat)를 갖는 포트레이에 뿌린 다음 물로 적셨다. 동이한 포트레이에서 발아한 묘목에 20일 동안 물을 주고 키웠다. 30일 후, 식물을 흙 화분으로 이식하였다.
- 화분 준비: 이 연구는 12 x 12 인치 크기의 흙 화분에서 수행하였다. 화분을 화분 혼합물(붉은 토양, 모래 및 건조 소 분뇨의 비율 2:1:1)로 채우고, 30일된 묘목을 포트레이에서 화분으로 이식하였다. 화분에 심은 토마토 식물에 매일 아침 물을 주고 해충과 질병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였다. 이식 후 15일에, NPK 19:19:19 비료를 사용하여 1회 비료분을 적용하였다.
- 점적 용액의 제조: 이식 후 20일에,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화분에 심은 식물에 점적 관수를 통해 적용하였다.
화분 시험에서 토마토 식물에 대한 점적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PGP 효과
번호 화분 시험에서 토마토에 적용된 생물자극제 조성물 ( 이식후 60일) 및
비처리 대조군 대비 백분율 증가
초장
(cm)
가지 수
1 실시예 30 66.80
(11.0%)
5.71
(14.9%)
2 실시예 31 68.10
(13.1%)
5.93
(19.3%)
3 실시예 32 66.10
(9.8%)
5.66
(13.9%)
4 실시예 33 64.30
(6.8%)
5.16
(3.8%)
5
(블랭크)
비이온 계면활성제- 80 w/w %
용매- 20 w/w %
60.40
(0.3%)
4.99
(0.4%)
6
( UTC )
비처리 대조군 60.20 4.97
화분 시험을 근거로, 50 ppm 및 100 ppm의 바시신 함량에 해당하는,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을 0.5% 및 1% 농도로 함유하는 점적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이 토마토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최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42
엽면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식물독성:
뽕나무 식물에 분무함으로써, Adhatoda zeylanica 추출물(2%, 200 ppm의 바시신 함유)을 함유하는 점적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식물독성을 평가하였다. 1 mL의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측정하고 물로 희석하여 1 L가 되게 함으로써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마찬가지로, 2 mL 및 4 mL의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시험 변수는 식물독성 증상, 예컨대 일소병(Scorching), 시듦(wilting), 괴사, 엽맥투화(vein clearing), 상편생장(epinasty) 및 하편생장(hyponasty)이었다.
방법: 어린싹이 있는 식물을 선택하고 처리 내용을 태그로 표시하였다. 핸드 분무기를 사용하여 시험 용액을 분무하였다. 식물을 시험 용액으로 흠뻑 적시고 미처리 대조군 식물에는 물을 분무하였다.
관찰 방법: 관찰은 처리 후 24시간 및 최대 7일까지 기록하였다. 이하에 정의된 변수, 예컨대 일소병, 시듦, 괴사, 엽멱투화, 상편생장 및 하편생장을 관찰시 고려하였다. 식물독성 증상의 백분율은 아래 주어진 척도에 따라 평가되었다.
식물독성 등급 차트
척도 식물독성 ( % ) 척도 식물독성 ( % )
0 식물독성 없음 6 51-60
1 1-10 7 61-70
2 11-20 8 71-80
3 21-30 9 81-90
4 31-40 10 91-100
5 41-50 - -
일소병: 표면적으로 타거나, 잎이 변색하거나 잎의 질감이 손상되거나, 또는 강렬한 열로 시들거나 바싹 마르는 것.
시듦: 식물의 처진 증상 및 전체 가지/어린싹/잎의 시드는 증상.
괴사: 특히 몸통의 국소 부위에서의, 상해 또는 질병을 통한 세포 또는 조직의 죽음.
엽맥투화: 골격을 제외한 잎의 엽록소 및 기타 성분이 결여된, 잎 물질의 비워짐(clearance).
상편생장: 위쪽 면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해 잎 또는 다른 식물 부위가 아래로 구부러지는 것.
하편생장: 아래쪽 면의 성장으로 인해 잎 또는 다른 식물 부위가 위로 구부러지는 것.
뽕나무 식물에 대한 엽면용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식물독성
번호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
시험 용액 식물독성 (평가) 7DAT
일소병 시듦 괴사 엽맥투화 상편생장 하편생장
시험 식물: 뽕나무
1 실시예 28 1ml/리터 0 0 0 0 0 0
2 실시예 28 2ml/리터 0 0 0 0 0 0
3 실시예 28 4ml/리터 0 0 0 0 0 0
4 비처리 대조군
(물 분무)
0 0 0 0 0 0
식물독성 결과로부터, Adhatoda zeylanica 추출물(바시신 함유)을 함유하는 액체 생물자극제 조성물은 모든 시험 농도에서 식물에 대한 식물독성 효과가 없음이 분명해진다.
본 발명의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특정 구현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

  1. 바시신(Vasicine)을 함유하는 애드하토다 질라니카(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복수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생물자극제 조성물로서,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은 0.05 - 50.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담체, 착색제 및 접착제이고, 상기 조성물은 과립 형태인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 추출물을 0.05 - 1.00% w/w 범위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조류 추출물(algal extract)을 0.01 - 1.00% w/w 범위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담체는 석영 모래, 벤토나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담체는 48.50 - 98.35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착색제는 0.01 - 0.4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밀랍, 파라핀 왁스, 식물성 왁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접착제는 0.05 - 4.00 %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필러, 용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성물은 엽면 적용 또는 점적 적용을 위한 액체 형태인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45.00 - 80.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에폭시화 식물유, 에톡시화 식물유, 수소화 식물유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안정화제는 0.00 - 5.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필러는 해바라기유, 참기름, 피마자유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필러는 3.00 - 50.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용매는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매는 15.00 - 25.0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생물자극제 조성물.
  13.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생물자극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담체를 접착제 층으로 코팅하여 제1 과립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제1 과립 혼합물 상에 바시신을 함유하는 Adhatoda zeylanica 추출물 및 착색제, 및 선택적으로 Moringa 추출물 또는 조류 추출물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제2 과립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c) 제2 과립 혼합물을 접착제 층으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과립형 생물자극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KR1020177000221A 2015-05-06 2016-03-10 개선된 식물 성장을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5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310/CHE/2015 2015-05-06
IN2311/CHE/2015 2015-05-06
IN2311CH2015 2015-05-06
IN2310CH2015 2015-05-06
PCT/IB2016/051364 WO2016178101A1 (en) 2015-05-06 2016-03-10 Bio-stimulant composition for improved plant growth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488A KR20170139488A (ko) 2017-12-19
KR102565972B1 true KR102565972B1 (ko) 2023-08-10

Family

ID=5721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221A KR102565972B1 (ko) 2015-05-06 2016-03-10 개선된 식물 성장을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24352B2 (ko)
KR (1) KR102565972B1 (ko)
CN (1) CN106535641B (ko)
WO (1) WO2016178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2637A (zh) * 2017-07-28 2017-11-24 王娟 一种生物刺激素的制备方法
BR112020019592A2 (pt) * 2018-03-28 2021-01-05 Jrx Biotechnology, Inc. Composições agrícolas
US20210380498A1 (en) * 2018-11-15 2021-12-09 Arun Vitthal SAWANT Novel oil dispersion composition
US20220348519A1 (en) * 2021-04-28 2022-11-03 ArrMaz Products Inc. Green coating containing biostimulants for hygroscopic substrates
CN113812423A (zh) * 2021-10-25 2021-12-21 山东邹平农药有限公司 一种海洋植物源农药及其制备方法及农药生产用设备
US11903390B1 (en) * 2023-09-05 2024-02-20 King Faisal University Enhanced Curcuma longa productivity and medicinal values by using Moringa oleifera leaf extra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7393A1 (en) 2004-01-19 2005-08-25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Herbal formulation comprising extracts of adhatoda, hedychium and curcuma as cough syrup
WO2006097700A1 (en) 2005-03-12 2006-09-21 Plant Impact Plc Plant growth enhancement
WO2007046113A2 (en) 2005-10-18 2007-04-26 Panacea Biotec Ltd.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lkaloid and process thereof
US20070280981A1 (en) 2006-06-02 2007-12-06 The Andersons, Inc. Adherent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carrier granu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8104A (en) * 1997-09-11 1999-09-28 Nonomura; Arthur 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plant growth
CN1182539A (zh) 1997-10-30 1998-05-27 仲伟德 一种以植物为原料的杀虫剂
CN1198509C (zh) * 1999-04-01 2005-04-27 美国金秋公司 海藻提取液的生产方法,所得海藻提取液及其复合肥料
AUPR115300A0 (en) * 2000-10-31 2000-11-23 Emerald Forest Pharmaceuticals Pty Ltd A pyrethrin free head lice formulation
US6676976B2 (en) 2002-03-21 2004-01-13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vasic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7393A1 (en) 2004-01-19 2005-08-25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Herbal formulation comprising extracts of adhatoda, hedychium and curcuma as cough syrup
WO2006097700A1 (en) 2005-03-12 2006-09-21 Plant Impact Plc Plant growth enhancement
WO2007046113A2 (en) 2005-10-18 2007-04-26 Panacea Biotec Ltd.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lkaloid and process thereof
US20070280981A1 (en) 2006-06-02 2007-12-06 The Andersons, Inc. Adherent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carrier gran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1709A1 (en) 2020-07-16
US10624352B2 (en) 2020-04-21
CN106535641B (zh) 2020-09-04
KR20170139488A (ko) 2017-12-19
WO2016178101A1 (en) 2016-11-10
US20180153175A1 (en) 2018-06-07
US11122809B2 (en) 2021-09-21
CN106535641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972B1 (ko) 개선된 식물 성장을 위한 생물자극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548B1 (ko) 과실 품질 향상 및 적과용 비료 조성물
ES2513595T3 (es) Uso de aminoácidos individuales a bajas concentraciones para influir en los procesos vitales de cultivos
Alinejad et al. Variation in physiological traits, yield and secondary metabolites of jimsonweed (Datura stramonium L.) under different irrigation regimes and nutrition systems
CN106613226A (zh) 一种提高春砂仁产量的种植方法
Kwiatkowski Yield and quality of chamomile (Chamomilla recutita (L.) Rausch.) raw material depending on selected foliar sprays and plant spacing
CN107711115A (zh) 一种豪猪刺扦插育苗的方法
CN104072309B (zh) 一种花生生物肥
Shankar et al. Effect of sea weed extracts on the growth, yield attribute and nutrient uptake of sesame (Sesamum indicum L.)
CN105638782A (zh) 具有促进植物生长并增产的植物保健素及其制备方法
Setiaji et al. In vitro propagation of Vanda orchid: a review
Abou et al. Seaweed extract and brassinolide can enhance the dwarfing characteristics of potted Chrysanthemum.
Elgubbi et al. Enhanced growth and yield parameters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var. peto 111 plant using Cladophoropsis gerloffii aqueous extract foliar
Negahban et al. The effect of phosphorus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Mexican marigold (Tagetes minuta L.)
El-Shanhorey et al. Effect of foliar applied salicylic acid on growth and flowering of Gazania rigens L. plant under salt stress
JP5735345B2 (ja) 植物成長調整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生育方法
Kwiatkowski et al. Evaluation of spent mushroom substrate, mineral NPK fertilization and manure fertilization on chamomile (Chamomilla recutita L. Rausch) yield and raw material quality.
Sagar et al. A new concept in organic farming: Efficacy of brassinosteroids as foliar spray to ameliorate growth of marigold plants
Sabu et al. Cultivation of Solanum nigrum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using organic fertilizer
Subasinghe Restoration of Santalum album L. resource in Sri Lanka: distribution, seed storage, germination and establishment
CN108713560A (zh) 一种适用于蔬菜地杂草的草甘膦除草剂及其制备方法
Ullah et al. Foliar application of plant extracts and salicylic acid affects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
Pirvash et al. The effect of urea, nano-nitrogen fertilizer and amino acid on polyphenolic compounds of purple coneflower
Abdul-Sahib et al. Effect of organic residues and boric acid on growth and flowering parameters of rocket larkspur Delphinium ajacis L
KHALILI et al. Effect of harvesting time and iron application on Moldavian ba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