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899B1 -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899B1
KR102565899B1 KR1020230017742A KR20230017742A KR102565899B1 KR 102565899 B1 KR102565899 B1 KR 102565899B1 KR 1020230017742 A KR1020230017742 A KR 1020230017742A KR 20230017742 A KR20230017742 A KR 20230017742A KR 102565899 B1 KR102565899 B1 KR 10256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user
virtual reality
performanc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화현
김지연
유상현
이린아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바스
Priority to KR102023001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은,
HMD를 통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상기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System for determining mental state according to user's task performance i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기 위한,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리평가는 객관적 심리평가와 투사적 심리평가가 있다. 객관적 심리평가는 통계적 방법으로 표준화된 결과를 제공하지만 주관적 보고에 의존하기 때문에 방어적인 환자의 경우 정확한 평가 결과를 얻기 어렵다. 투사적 심리평가는 방어적 검사 대상자에게 효과가 높지만 통계적 데이터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행태 및 심리의 피노타입(behavioral and psychological phenotypes)에 기반한 심리 평가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피노타입 추출을 위해서 환자를 관찰하는 것은 상당한 수고와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Riva, Giuseppe. "Virtual reality in psychotherapy." Cyberpsychology & behavior 8.3 (2005): 220-230.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에서 심리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여기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심리치료는 단일의 가상 경험을 통해 신체 경험 장애(body experience disturbances)를 다루기 위해 시도되는 인지, 행태, 경험(cognitive, behavioral, and experiential)의 다양한 방법을 집적하여 시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환자가 인식하지 않고 신체적인 인지(bodily awareness or body schema)를 보정할 수 있는 제어된 센서 배치(controlled sensory rearrangement) 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나 체계적인 연구의 축적이 없다는 문제 외에도 가상 현실 환경의 특징을 반영하는 환자 행위의 분석기법이나 자동화 기법에 있어서도 아직 개발이 미흡한 수준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제안된 발명은 가상공간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된 성향 평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가상공간에서의 행위로부터 자동화된 피노타입 기반 성향 평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면적인 평가가 가능한 자동화된 피노타입 기반 성향 평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은,
HMD를 통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상기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수세미 객체가 상기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채도가 변경된 상기 식기 객체를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반영하여 상기 HMD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은 HMD를 통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책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책 객체의 크기, 색상, 및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책 객체가 책장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책장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책장 객체를 향한 상기 책 객체의 접촉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이벤트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지표에 기초해 상기 행동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지표는,
이벤트 수행 순서,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접촉한 가상 객체 식별 정보, 상기 가상 객체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점, 상기 가상 객체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종료 시점, 이벤트별 수행 시간, 최대 이벤트 수행 시간, 이벤트 지연 시간,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이벤트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이동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와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는 태스크 긴급도 및 태스크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는 성격 지표, 정신건강지표, 스트레스 대처 지표, 및 스트레스 반응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상태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HMD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수행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수행 동작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상기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HMD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수행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수행 동작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접촉된 책 객체의 크기, 색상, 및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공간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된 성향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공간에서의 행위로부터 자동화된 피노타입 기반 성향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면적인 평가가 가능한 자동화된 피노타입 기반 성향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제어장치(4)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5)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관리 장치(5) 부분의 동작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지표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행동 지표를 예시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성향 지표를 예시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행동 지표와 성향 지표의 매핑을 예시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동작을 예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순서도에 있어서, 각 단계는 일예이며, 각 순서를 다르게 변경 및/또는 조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제어장치(4)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5)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은 생체상태 측정기기(1), HMD(2), 핸드컨트롤러(3), 가상현실 제어장치(4), 및 관리 장치(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 제어장치(4)와 관리 장치(5)가 별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장치에서 상기 각 장치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생체상태 측정기기(1)는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HDM(2)는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가상현실 제어장치(4)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HMD(2)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고,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손이 포함된 영상을 가상현실 제어장치(4)로 전송하면, 가상현실 제어장치(4)에 의해 상기 손이 포함된 영상을 이용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가상의 손이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HMD(2)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3차원 공간 상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핸드컨트롤러(3)는 사용자의 손에 그립되는 것으로, 내측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한다. 핸드컨트롤러(3)는 화면 제어 또는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우스 역할을 수행하거나 참여자의 손 위치를 트랙킹한다. 그리고, 트랙킹된 사용자의 손 동작은 가상의 손과 정합되어 HMD(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출력되면, 사용자가 핸드컨트롤러(3)의 트리거 버튼(미도시)를 클릭하고, 트리거 버튼(미도시)에 의해 트리거 신호가 전송되면 가상의 손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리거 버튼(미도시)의 클릭이나 좌 핸드컨트롤러 및 우 핸드컨트롤러 사이의 접촉 등(핸드컨트롤러에 센서 구비)으로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서 가상의 손의 가상의 객체에 대한 다양한 동작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가상현실 제어장치(4)는 제어부(41a) 및 저장부(41b)를 포함하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 및/또는 제어부(42a) 및 저장부(42b)를 포함하는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현실 제어장치(4)는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태블릿, 노트북 등 상담사 단말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 및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이 서로 별개의 구성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가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의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거나,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가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는 등, 하나의 장치에서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와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의 동작이 모두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와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가 별개로 존재하고,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는 HMD(2)를 통해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고 이를 관리 장치(5)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제어부(41a)는 HMD(2)로 집안 정리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며, HMD(2)를 통해 집안 정리 가상 현실 컨텐츠를 구성하는 태스크별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포함한 이벤트를 인식하여,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한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a)는 HMD(2)로 집안 정리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HMD(2)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손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정합된 가상의 손 또는 핸드컨트롤러(3)를 통해 동기화된 가상의 손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을 조작함에 따른 이벤트를 인식하여,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한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 지표는 피노타입에 기반한 지표일 수 있다. 피노타입은, 심리학에서 어떠한 심리학적인 기질(유전자형)로 인해 나타나는
일련의 관찰 가능한 표현형(observable phenotype)으로써 외적인 행동 양상
(external behavioral trait)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라, 각 태스크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행동 지표는 미리 HMD(2)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컨텐츠는 복수의 태스크에 의해 정의되고, 각 태스크는 복수의 이벤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안 정리 가상 현실 컨텐츠는 설거지, 책상 정리와 같은 복수의 태스크로 정의되고, 설거지 태스크는 수세미를 식기에 문지르는 이벤트 등으로 정의되고, 책상 정리 태스크는 책 선택 이벤트, 책을 책상에 놓는 이벤트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a)는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이벤트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지표에 기초해 상기 행동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태스크에 대응되는 이벤트 지표는 미리 HMD(2)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지표를 나타내며,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지표는, 이벤트 수행 순서(sequence), 이벤트 종류(Event),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접촉한 가상 객체 식별 정보(Object), 상기 가상 객체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점(start time), 상기 가상 객체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종료 시점(end time), 이벤트별 수행 시간(lead time, 이벤트 종료 시점에서 이벤트 발생 시점 차감), 최대 이벤트 수행 시간, 이벤트 지연 시간(현재 이벤트 시작 시각에서 이전 이벤트 종료 시각을 차감),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가상의 손이 가상의 객체와 접촉)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이벤트 종료 시점(가상의 손이 가상의 객체로부터 이격)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이동 거리(이벤트 종료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와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위치 사이의 거리 차이값),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참조하면, 예를 들어, 첫번째로 설거지 과제가 수행되고, 이어서, 책상 정리가 수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행동 지표를 예시하며,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count), 태스크 수행 시간(total_lead_time, 총 이벤트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delay_time, 총 이벤트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태스크 수행의 완성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총 이동 거리(total_mo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는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복수의 각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복수의 각 객체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되면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이벤트가 수행되고, 이벤트 수행 결과가 반영된 가상 현실 컨텐츠가 HMD(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는 가상 객체의 속성, 타입, 크기, 색상, 위치값, 주제, 가능한 제어 동작 이벤트(예> 수도꼭지 객체의 경우 45도 이상의 각도로 움직이면 물 객체가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는 생체상태 측정기기(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상태에 기초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 장치(5)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가상 현실 제어 장치(4)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가상 현실 제어 장치(4)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것으로, 제어부(51) 및 저장부(52)를 포함하는 태블릿, 노트북, 모바일 단말 등의 전자 기기와 서버 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관리 장치(5)의 제어부(51)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행동 지표(A) 및/또는 태스크별 특성 정보(T)를 이용해 성향지표DB(526)를 참조해 사용자의 성향 지표(W)를 결정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를 참조하면, 자가보고식 성향 검사 데이터도 함께 참조되어 사용자의 성향 지표(W)가 결정될 수 있다.
성향지표DB(526)는 사용자의 행동 지표와 태스크별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미리 기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별 특성 정보(T)는 태스크 긴급도(urgency), 태스크 난이도(difficulty), 및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문 객체로부터 각 태스크 수행 영역까지의 거리(dista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태스크 수행 영역은 설거지 수행 영역, 책상 정리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거지 수행 영역은 설거지 수행을 위한 객체들이 배치된 영역이고, 책상 정리 영역은 책상 정리를 위한 객체들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성향 지표는 도 9를 참조하면, 성격 지표, 정신건강지표, 스트레스 대처 지표, 및 스트레스 반응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성격 지표는 개방성, 외향성, 신경증, 성실성, 친화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신건강지표는 우울, 불안, 행복, 긍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 지표는 문제중심대처, 사회적지지대처, 정서중심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스 반응 지표는 사고력저하, 피로, 감정기복, 신체화, 걱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1)는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더 참조해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상태 측정기기(1)로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습도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51)는 사용자의 긴장 정도를 더 반영해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관리 장치(5) 부분의 동작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피검자 단말(미도시)은 피검자로부터 피검자 인적 사항(예> 고객명, 전화번호 등) 및 상담 내용을 입력받아 관리 장치(5)로 전송하고, 관리 장치(5)는 저장부(52)의 피검자DB(521)에 피검자 인적 사항을, 상담내역DB(522)에 상담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s1). 그러면, 피검자 단말(미도시)은 관리 장치(5)로부터 수신된 링크정보(검사 url)를 통해 피검자 부가 정보(예> 생년월일/성별/학력 등)를 관리 장치(5)로 전송하고, 관리 장치(5)는 피검자 부가 정보를 저장부(52)의 피검자DB(521)에 저장할 수 있다(s2).
이후, 피검자 단말(미도시)는 피검자의 자가보고식 성향 검사를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관리 장치(5)로 전송하고, 관리 장치(5)는 결과데이터를 성향검사DB(523)에 저장할 수 있다(s3).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는 복수 피검자 중 선택된 피검자 정보를 기초로 검사 실행의 시작을 HMD(2)로 전송하고(s4), HMD(2)로 집안 정리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며, HMD(2)를 통해 집안 정리 가상 현실 컨텐츠를 구성하는 태스크별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포함한 이벤트를 인식하여,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한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s5).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가 결정된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관리 장치(5)로 전송하면, 관리 장치(5)는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행동지표DB(525)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는 생체상태 측정기기(1)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장치(5)로 전송하고(s6), 관리 장치(5)는 피검자DB(521)로부터 검색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체정보DB(524)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는 HMD(2)가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42)로부터 제공받은 힐링컨텐츠 및/또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기초로 반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측정하는 생체 상태 측정기기(1)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 장치(5)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한 후 이를 성향지표DB(526)에 저장하고 HMD(2) 및/또는 피검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s7).
실시예에 따라 관리 장치(5)는 사용자의 성향 지표에 대응되는 힐링컨텐츠를 힐링컨텐츠DB(527)로부터 추출해 HMD(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동작을 예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제어부(41a)는 상기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상기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a)는 가상 현실 환경에서 문 객체로부터 설거지 태스크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의 가상의 손에 의해 인터랙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HMD(2)의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3차원 위치와 기 저장된 문 객체로부터 설거지 태스크 수행 영역까지의 거리를 비교해 설거지 태스크 수행의 시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더불어, 하나의 가상의 손이 수세미 객체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의 가상의 손이 식기 객체에 접촉되면 설거지 태스크가 진행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식기 객체(예> 냄비, 접시, 컵, 후라이팬 등)는 인터랙션 대상이 되는 주 객체로, 수도꼭지 객체, 물빠짐 마개 객체, 수세미 객체(설거지 도구 객체) 등과 같은 비식기 객체는 인터랙션 대상이 되는 보조 객체로 메타데이터가 저장부(41b)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1a)는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것은 두 개의 핸드컨트롤러(3)의 접촉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예> 핸드컨트롤러(3)에 구비된 터치감지 센서 이용). 구체적으로,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가상의 손이 수세미 객체 및/또는 식기 객체에서 이격된 이벤트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을 이벤트 수행 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시간(예> 5초)이 경과하여 가상의 손이 수세미 객체 및/도는 식기 객체에서 이격된 경우, 해당 식기 객체에 대한 설거지 태스크는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다른 식기 객체에 수세미 객체가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 1초 접촉시 태스크 수행 20%, .., 5초 접촉시 태스크 수행 100%). 이는 모든 식기 객체에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a)는 위와 같은 식기 객체들에 대한 이벤트들의 수행 시간을 모두 합산하여 태스크 수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a)는 상기 수세미 객체가 상기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채도가 변경된 상기 식기 객체를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반영하여 상기 HMD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초 접촉시, 식기 객체의 채도가 80%인 반면, 5초 접촉시 식기 객체의 채도가 0%인 것으로 반영될 수 있다. 즉, 식기 객체의 채도값과 태스크 수행도는 서로 반비례하도록 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a)는 가상의 손이 수도꼭지 객체에 접촉하여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예>45도) 기울어지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을 인식한 경우, 물 객체가 출력되도록 가상 현실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수행 결과가 반영된 가상 현실 컨텐츠를 HMD(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41a)는 가상의 손이 물빠짐 마개 객체에 접촉하여 물빠짐 마개 객체가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을 인식한 경우, 물 객체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하는 가상 현실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동작을 예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제어장치(41)의 제어부(41a)는 상기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책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책 객체의 크기, 색상, 및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a)는 가상 현실 환경에서 문 객체로부터 책상 정리 태스크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의 가상의 손에 의해 인터랙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HMD(2)의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3차원 위치와 기 저장된 문 객체로부터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영역까지의 거리를 비교해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의 시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더불어, 가상의 손이 책 객체에 접촉되면 책상 정리 태스크가 진행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a)는 가상의 손이 접촉된 소정 갯수의 책 객체 각각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크기에 대한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가상의 손이 접촉된 소정 갯수의 책 객체 각각의 색상이 동일한 경우 색상에 대한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가상의 손이 접촉된 소정 갯수의 책 객체 각각의 주제가 동일한 경우 주제에 대한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41a)는 상기 책 객체가 책장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책장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책장 객체를 향한 상기 책 객체의 접촉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a)는 복수의 책 객체 중 소정의 개수의 책 객체가 동일한 책장 객체의 위치에 놓여진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즉, 상기 책 객체 각각이 동일한 책장 객체의 단면과 접촉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이를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책장 객체의 위치는 책장층 및/또는 책장 측부(좌측부/우측부/상측부/하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책 객체 각각이 책장의 동일층에 위치된 것을 감지하거나, 책장의 동일 측부에 위치된 것을 감지하면 이는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a)는 복수의 책 중 소정의 개수의 책 각각의 책장 객체를 향한 접촉 단면이 동일한 경우, 이를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책 객체 각각을 눕혀서 놓아 책의 하면 또는 상면(Bk1)이 책장 객체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책 각각을 세워서 놓아 책의 일측면(Bk2(전/후/좌/우측면))이 책장 객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이를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41a)는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순차적으로 모든 책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와 모든 책 객체가 책장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를 기초로 책상 정리 태스크 수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a)는 가상의 손이 책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상의 손이 식기 객체에 접촉된 것은 핸드컨트롤러(3)의 누름 버튼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의 손이 책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가상의 손이 책 객체로부터 이격된 이벤트 종료 시점, 즉, 책 객체가 책장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발생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이벤트 수행 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책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동일/유사하게 수행한 수행 시간을 총 합산하여 태스크 수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 형태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의 양상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 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 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HMD를 통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이벤트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지표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 및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에 기초해 성향지표DB를 참조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상기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수세미 객체가 상기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채도가 변경된 상기 식기 객체를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반영하여 상기 HMD로 전송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3. HMD를 통해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이벤트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지표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는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 및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에 기초해 성향지표DB를 참조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책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책 객체의 크기, 색상, 및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현실 제어장치는,
    상기 책 객체가 책장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책장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책장 객체를 향한 상기 책 객체의 접촉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지표는,
    이벤트 수행 순서,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접촉한 가상 객체 식별 정보, 상기 가상 객체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점, 상기 가상 객체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종료 시점, 이벤트별 수행 시간, 최대 이벤트 수행 시간, 이벤트 지연 시간,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이벤트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이동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는 태스크 긴급도 및 태스크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는 성격 지표, 정신건강지표, 스트레스 대처 지표, 및 스트레스 반응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생체상태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가상현실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더 참조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1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HMD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이벤트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지표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 및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에 기초해 성향지표DB를 참조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스크가 설거지 태스크인 경우, 수세미 객체가 식기 객체에 접촉된 이벤트 수행 시간에 비례해 상기 태스크 수행도를 결정하는,
    가상현실 제어장치.
  1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HMD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 상의 가상 객체들에 대한 사용자의 태스크별 이벤트들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태스크별 이벤트들에 기초해 이벤트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지표에 기초해 상기 태스크별 상기 사용자의 행동 지표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행동 지표 및 상기 태스크별 특성 정보에 기초해 성향지표DB를 참조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 지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지표는 태스크 수행 순서, 태스크 수행 빈도, 태스크 수행 시간, 태스크 지연 시간, 태스크 수행도, 태스크 수행 규칙성, 및 상기 가상 객체들의 총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스크가 책상 정리 태스크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이 접촉된 책 객체의 크기, 색상, 및 주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태스크 수행 규칙성을 결정하는,
    가상현실 제어장치.

KR1020230017742A 2023-02-10 2023-02-10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KR10256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742A KR102565899B1 (ko) 2023-02-10 2023-02-10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742A KR102565899B1 (ko) 2023-02-10 2023-02-10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899B1 true KR102565899B1 (ko) 2023-08-11

Family

ID=8756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742A KR102565899B1 (ko) 2023-02-10 2023-02-10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8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597A (ko) * 2010-12-02 2012-06-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게임을 위한 행위분석 기반 스크립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46124A (ko) * 2016-10-27 2018-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용자 특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47058B1 (ko) *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다중데이터 처리방식으로 사용자의 정신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03883B1 (ko) * 2021-11-12 2022-06-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센서 기반 이탈리아 요식업 직무 간접 경험을 통한 집중 및 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597A (ko) * 2010-12-02 2012-06-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게임을 위한 행위분석 기반 스크립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46124A (ko) * 2016-10-27 2018-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용자 특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47058B1 (ko) *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다중데이터 처리방식으로 사용자의 정신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03883B1 (ko) * 2021-11-12 2022-06-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센서 기반 이탈리아 요식업 직무 간접 경험을 통한 집중 및 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595B (zh) 通过触摸输入校准眼睛跟踪系统的方法
US20150127365A1 (en) Hand hygiene use and tracking in the clinical setting via wearable computers
CA2853709C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eye gaze data
CN104054038B (zh) 个体鉴别装置和个体鉴别方法
US20160364895A1 (en) Communicating emotional information via avatar animation
JP5958825B2 (ja) 感性評価システム、感性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95101B2 (en) Interest degree determination device, interest Degree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6725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리스 입력
JP2019091498A (ja) 回答の較正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Vaduganathan et al. Potential implications of expande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labeling for sacubitril/valsartan in the US
KR102466438B1 (ko)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CN106095340A (zh) 测量仪数据存储方法和装置
KR20160101605A (ko)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59676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tress relief by same
Intarasirisawat et al. Exploring the touch and motion features in game-based cognitive assessments
Sitbon et al. Novel composite clinical endpoints and risk scores used in clinical trials in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KR102565899B1 (ko)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태스크 수행에 따른 심리 상태 결정 시스템
US10719703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line-of-sight analysis program, line-of-sight analysis method, and line-of-sight analysis apparatus
Goldsack et al. It takes a village: development of digital measures for computer scientists
CN113450889A (zh) 一种对象处理方法及其装置
WO20220450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9631B1 (ko) 카드 게임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Ozkaynak et al. Emerging methods for patient ergonomics
KR102493365B1 (ko) 대전 게임 방식을 이용한 칼로리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889228B2 (ja) 手指衛生管理装置、手指衛生管理方法及び手指衛生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