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856B1 -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856B1
KR102565856B1 KR1020230050245A KR20230050245A KR102565856B1 KR 102565856 B1 KR102565856 B1 KR 102565856B1 KR 1020230050245 A KR1020230050245 A KR 1020230050245A KR 20230050245 A KR20230050245 A KR 20230050245A KR 102565856 B1 KR102565856 B1 KR 10256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xial direction
coupling
axial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테크
Priority to KR102023005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4Other sealings for rotating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or stern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기관실 내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완충시켜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기관실 내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완충시켜 누수차단부재들간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며, 이중으로 이루어진 누수차단 장치가 있어 효과적으로 해수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Sea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for gland packing}
본 발명은 해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완충시켜 제1누수차단부재와 제2누수차단부재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수밀이 유지되어 해수침투로 인한 부품손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계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선박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력 발생 장치인 엔진(1)은 선내에 설치되고, 선체를 추진시키는 추진 장치인 프로펠러(2)는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어 수중에 위치하게 되고, 엔진(1)과 프로펠러(2) 사이에 동력 전달 수단인 축, 즉 샤프트(3)가 연결되어 있어서 엔진(1)에서 발생한 동력을 프로펠러(2)로 전달한다.
여기서, 샤프트(3)는 선박의 선미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의 프로펠러(2)와 고정 결합되고 샤프트(3)의 회전에 따라 프로펠러(2)가 회전됨으로써 선박이 추진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샤프트(3)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샤프트(3)가 관통되는 선박의 선미 부분, 즉 선미관(4)과 샤프트(3) 사이에는 샤프트(3) 회전을 위한 간극이 마련된다. 이러한 간극에는 샤프트(3)의 회전시 샤프트(3)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여 샤프트(3)가 심하게 요동치지 않도록 하는 리그넘바이트(5)가 삽입된다.
한편, 선미관(4)과 샤프트(3)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기관실 내로 유입된 해수는 기관실 내 여러 오염 물질과 혼합되어 축적된다. 이것을 빌지(bilge)라고 하는데, 빌지는 기관실 부식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바다로 배출될 경우 해양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빌지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고 해양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시급히 요망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선박의 기관실 내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완충시켜 누수차단부재들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해수유입방지장치를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97607호 (2005.09.27.)
본 발명은 엔진구동시 샤프트가 회전함에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누수차단부재들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심에 샤프트(3)의 회전공간이 형성된 선미관(4)의 플랜지부(4a)에 장착된 그랜드패킹(10)의 축방향 후단부에 추가로 장착되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 장치(100)에 있어서,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의 전방(Ab)에 제1몸체(110)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2몸체(12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전방(Ab)에 제2몸체(120)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3몸체(130)와, 상기 제1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고정부재(140)와, 상기 제2,3몸체(120,130)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50)와,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이 작동하는 범위 내에서 제2몸체(120)의 제1결합홈(128)과 상기 제2몸체(120)의 축방향 전단부에 수용된 제3몸체(130)의 제2결합홈(138)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어 제3몸체(130)가 제2몸체(1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해주는 제1결합부재(180)와, 상기 제3몸체(130)의 축방향 전단부에 배치되는 제2누수차단부재(160)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2,3몸체(110,120,130)을 동시에 나사결합하는 축방향 조임수단(170)을 포함하되, 상기 제2몸체(120)는 제2몸체(120)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제3몸체(130)의 후단부가 수용되는 제3몸체수용홈(126)과, 제2몸체(120)의 외측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1결합홈(128)을 포함하고, 상기 제3몸체(130)는 제3몸체(130)가 제2몸체(120)의 제3몸체수용홈(126)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홈(1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홈(138)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180)는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는 범위 내에서 제1결합홈(128)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3몸체(130)가 제2몸체(12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방지장치(100)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기관실 내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완충시켜 누수차단부재들간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며, 이중으로 이루어진 누수차단 장치가 있어 효과적으로 해수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미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선미관에 그랜드패킹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유입 방지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E를 확대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장착되는 종래의 그랜드패킹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종래의 그랜드패킹과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그랜드패킹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립도이다.
도 13은 샤프트압력(P)을 받기 전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샤프트압력(P)을 받은 후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축방향에서 샤프트가 그 축방향에서 어긋난 외부압력을 받을 경우에 동작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2몸체와 제3몸체를 일자로 펼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제1몸체에 함몰부가 추가되고, 제2몸체에 돌출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방"이란 프로펠러(2,도 2)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엔진(1,도 2)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11에서 "전방"은 Ab로, "후방"은 Aa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해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기관실 내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방향의 압력을 완충시켜주어 제1누수차단부재와 제2누수차단부재의 밀착을 유지시켜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미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선미관에 그랜드패킹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유입 방지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E를 확대한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장착되는 종래의 그랜드패킹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종래의 그랜드패킹(10)과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그랜드패킹(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조립도이고, 도 13은 샤프트압력(P)을 받기 전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정단면도이고, 도 15는 샤프트압력(P)을 받은 후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정단면도이고, 도 17는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를 일자로 펼쳐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 내지 도 19는 제1몸체에 함몰부가 추가되고, 제2몸체에 돌출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여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는 중심에 샤프트(3)의 회전공간이 형성된 선미관(4)의 플랜지부(4a)에 장착된 그랜드패킹(10)의 축방향 후단부에 추가로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와, 샤프트고정부재(140)와, 탄성부재(150)와, 제1결합부재(180)와, 제2누수차단부재(160)와, 축방향 조임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도 7, 도 10을 참조하여 제1몸체(1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몸체(110)는 바디부(112)와, 제1,2체결홀(Ha,Hb)과, 제1,2절곡부(114,115)와, 제1관통홀(117)과, 샤프트조임부재(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12)대해 설명한다. 바디부(112)는 일측이 절개된 링형태를 특징으로 하며, 제1,2체결홀(Ha,Hb)과, 제1,2절곡부(114,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체결홀(Ha,Hb)에 대해 설명한다. 제1,2체결홀(Ha,Hb)은 상기 바디부(112)와 이어진 형태로 축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었으며 제1,2체결홀(Ha,Hb)을 통해 샤프트조임부재(119)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절곡부(114)에 대해 설명한다. 제1절곡부(114)는 상기 바디부(112)의 절개된 일단부에서 절곡되고, 축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체결홀(Ha)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12)의 외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체결홀(Ha)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절곡부(115)에 대해 설명한다. 제2절곡부(115)는 상기 바디부(112)의 절개된 타단부에서 절곡되고, 축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체결홀(Hb)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12)의 외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체결홀(Hb)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2절곡부(114,115)의 절곡의 정도는 상기 제1,2체결홀(Ha,Hb)이 수평을 이룰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1관통홀(117)에 대해 설명한다. 제1관통홀(117)은 상기 바디부(112)의 축방향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조임수단(170)이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샤프트조임부재(119)에 대해 설명한다. 샤프트조임부재(119)는 상기 제1,2체결홀(Ha,Hb)을 나사결합하여 샤프트고정부재(140)에 조임을 가하여 상기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와 상기 샤프트(3)를 밀착고정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도 7, 도 10을 참조하여 제2몸체(1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전방(Ab)에 제1몸체(110)와 동축상에 배치되며, 제2관통홀(127)과, 제1결합홈(128)과, 제1스프링수용홈(129)과, 제3몸체수용홈(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관통홀(127)에 대해 설명한다. 제2관통홀(127)은 상기 제2몸체(12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축방향조임수단(170)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결합홈(128)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몸체(120)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며,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이 작동하는 범위 내에서 제1결합부재(180)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제1스프링수용홈(129)에 대해 설명한다. 제1스프링수용홈(129)은 상기 제2몸체(120)의 전단부에 함몰형성되어 탄성부재(15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150)의 고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몸체수용홈(126)에 대해 설명한다. 제3몸체수용홈(126)은 상기 제2몸체(12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3몸체(130)의 후단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도 7,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제3몸체(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3몸체(130)는 상기 제2몸체(120)의 전방(Ab)에 제2몸체(120)와 동축상에 배치되며, 제3관통홀(137)과, 제2결합홈(138)과, 제2스프링수용홈(1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관통홀(137)에 대해 설명한다. 제3관통홀(137)은 상기 제3몸체(130)의 후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되어 축방향조임수단(170)의 전단부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조임수단(17)의 전단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138)에 대해 설명한다. 제2결합홈(138)은 제3몸체(130)가 제2몸체(120)의 제3몸체수용홈(126)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결합홈(1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스프링수용홈(139)에 대해 설명한다. 제2스프링수용홈(139)은 상기 제3몸체(130)의 후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탄성부재(15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150)의 고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도 4, 도 7, 도 10 을 참조하여 샤프트고정부재(140)에 대해 설명한다. 샤프트고정부재(140)는 오링의 형태로 제1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제1몸체(110)와 샤프트(3)를 밀착고정시켜주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조임부재(119)가 제1몸체(110)의 제1,2체결홀(Ha,Hb)에 나사결합하여 샤프트조임부재(119)의 조임압력으로 인해 제1,2절곡부(114,115)가 서로 가까워질때, 샤프트고정부재(140)의 내경이 수축되어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와 샤프트(3)를 밀착고정시켜 준다.
도 4, 도 7, 도 10, 도 13, 도 14를 참조하여 탄성부재(150)에 대해 설명한다. 탄성부재(150)는 제2,3몸체(120,130)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몸체(120)의 제1스프링수용홈(129)과 상기 제1스프링수용홈(129)에 대향되는 제3몸체(130)의 제2스프링수용홈(139)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 사이에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해주어 제1누수차단부재(14)와 제2누수차단부재(160)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3, 도 4, 도 7, 도 10을 참조하여 제1결합부재(180)에 대해 설명한다. 제1결합부재(180)는 상기 제2몸체(120)에 포함되는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이 작동하는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
제1결합홈(128)은 제1결합부재(180)의 동작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제1결합부재(180)는 제3몸체(130)의 제2결합홈(138)이 제1결합홈(128)을 통해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다.
샤프트(3)에는 외부압력이 작용하는데, 이때 제1결합부재(180)는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제1누수차단부재(14)와 제2누수차단부재(160)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이때,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제1결합홈(128)의 너비(W) 범위 내에서 움직여 완충작용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축방향에서 샤프트가 그 축방향에서 어긋난 외부압력을 받을 경우에 동작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2몸체와 제3몸체를 일자로 펼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매우 중요하고도 차별성 있는 부분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즉 샤프트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두고 가해지는 외부 압력일 경우, 다수의 제1결합부재(180)들의 동작들을 이하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a)의 경우에는 제1결합부재(180)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이다.
도 17의 (b)의 경우, 4개의 제1결합부재(180) 중 상측의 두개는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나머지 2개의 제1결합부재는 그대로 원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는에 불균일한 외력이 작용하여 결국, 여러개의 탄성부재(150)중 일부의 탄성부재만이 변위를 일으키게 된 경우이다.
이에 반하여, 도 17의 (c)의 경우에는 4개의 제1결합부재 중에서 아래 두개의 제1결합부재만이 원위치 (도 17 (a))로부터 움직여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는 도 17의 (b)와는 다른 외부 압력이 샤프트에 작용하여 이에 따라 여러개의 탄성부재 중 일부의 탄성부재만의 변위를 일으킨 것으로 도 17 (c)의 하측의 제1결합부재에 대응된 두 개의 탄성부재가 변위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축방향과 다소 각도를 이루는 외부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수밀 능력이 보장된다.
도 4, 도 7, 도 10을 참조하여 제2누수차단부재(160)에 대해 설명한다. 제2누수차단부재(160)은 상기 제3몸체(130)의 축방향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몸체(130)의 제1누수차단부재(14)에 일측면에 밀착배치되어 제1누수차단부재(14)와 함께 누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도 7, 도 10을 참조하여 축방향 조임수단(170)에 대해 설명한다. 축방향 조임수단(170)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2,3몸체(110,120,130)을 동시에 나사결합해둔다.
또한, 상기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100)와 그랜드 패킹(10)의 최초 결합시 사용하며, 결합시 상기 제1관통홀(117)과 상기 제2관통홀(127)과 제3관통홀(137)을 나사결합해준다.
이때, 나사이동에 의해 제1,2,3몸체(110,120,1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14)와 제2누수차단부재(160)이 밀착되는 한편, 이 과정에서 조임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샤프트고정부재(140)은 상기 제1몸체(110)의 축방향 전단부에 밀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최종 결합완료 후 결합을 풀어 밀착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에 축방향으로 압력(P)이 가해질시 탄성부재(150)가 수축되어 제1결합부재(180)가 제1체결홈(128)을 따라 이동하고 압력(P)의 정도에 따라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압력(P)를 완충해주며 최대 너비(W)만큼 이동한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는 제1몸체(110)의 전방(Ab) 일측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함몰부(111)를 더 포함하고, 제2몸체(120)는 제2몸체(120)의 후방(Aa)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함몰부(111)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2몸체(120)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123)를 더 포함하며, 제1몸체(110)의 함몰부(111)와 제2몸체(120)의 돌출부(123)를 통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결합시 헛돌지 않게 하여 고정력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3,4오링(O1,O2,O3,O4)에 대해 설명한다. 제1,2,3,4오링(O1,O2,O3,O4)은 각 장치의 결합시 밀착형성에 도움을 주며, 종래의 기술이기에 자세 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도 5, 도 8,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장착되는 그랜드패킹에 대해 설명한다. 그랜드패킹(10)은 그랜드패킹본체(11)와, 이물질차단부재(12)와, 제1누수차단부재(14)와, 호스연결부재(16)와, 제2결합부재(1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종래의 기술이기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110 : 제1몸체
111 : 함몰부
112 : 바디부
114 : 제1절곡부
115 : 제2절곡부
117 : 제1관통홀
119 : 샤프트조임부재
120 : 제2몸체
123 : 돌출부
126 : 제3몸체수용홈
127 : 제2관통홀
128 : 제1결합홈
129 : 제1스프링수용홈
130 : 제3몸체
137 : 제3관통홀
138 : 제2결합홈
139 : 제2스프링수용홈
140 : 샤프트고정부재
150 : 탄성부재
160 : 제2누수차단부재
170 : 축방향조임수단
180 : 제1결합부재
10 : 그랜드패킹
11 : 그랜드패킹본체
12 : 이물질차단부재
14 : 제1누수차단부재
16 : 호스연결부재
19 : 제2결합부재
Ha : 제1체결홀
Hb : 제2체결홀
A : 축방향
Aa : 후방
Ab : 전방
W : 제1결합홈 너비
P : 샤프트 축방향 압력
Pa : 제1압력
Pb : 제2압력
Pc : 제3압력
Pd : 제4압력
1 : 엔진
2 : 프로펠러
3 : 샤프트
4 : 선미관
4a : 플랜지부
5 : 리그넘바이트
O1 : 제1오링
O2 : 제2오링
O3 : 제3오링
O4 : 제4오링
(a) : 작동 전 장치
(b) : 제1,2압력(Pa,Pb)이 가해진 작동 후 장치
(c) : 제3,4압력(Pc,Pd)이 가해진 작동 후 장치

Claims (4)

  1. 중심에 샤프트(3)의 회전공간이 형성된 선미관(4)의 플랜지부(4a)에 장착된 그랜드패킹(10)의 축방향 후단부에 추가로 장착되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 장치(100)에 있어서,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의 전방(Ab)에 제1몸체(110)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2몸체(12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전방(Ab)에 제2몸체(120)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3몸체(130)와,
    상기 제1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고정부재(140)와,
    상기 제2,3몸체(120,130)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50)와,
    상기 제2몸체(120)의 각각의 제1결합홈(128)을 관통하여 제3몸체(130)의 각각의 제2결합홈(138)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부재(180)와,
    상기 제3몸체(130)의 축방향 전단부에 배치되는 제2누수차단부재(160)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2,3몸체(110,120,130)을 동시에 나사결합하는 축방향 조임수단(17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110)는
    일측이 절개된 링형태를 특징으로하는 바디부(112)와,
    상기 바디부(112)의 절개된 일단부에서 절곡되고, 축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체결홀(Ha)을 포함하는 제1절곡부(114)와,
    상기 바디부(112)의 절개된 타단부에서 절곡되고, 축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체결홀(Hb)을 포함하는 제2절곡부(115)와,
    상기 바디부(112)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축방향조임수단(170)에 나사결합되는 제1관통홀(117)과,
    상기 제1,2체결홀(Ha,Hb)에 체결되는 샤프트조임부재(119)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120)는
    제2몸체(120)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제3몸체(130)의 후단부가 수용되는 제3몸체수용홈(126)과,
    제2몸체(12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축방향조임수단(170)이 나사결합되는 제2관통홀(127)과,
    제2몸체(120)의 외측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1결합홈(128)과,
    제2몸체(120)의 전단부에 함몰형성되어 탄성부재(150)을 수용할 수 있는 제1스프링수용홈(129)을 포함하고,

    상기 제3몸체(130)는
    제3몸체(130)의 후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되어 축방향조임수단(170)의 전단부가 수용되는 제3관통홀(137)과,
    제3몸체(130)가 제2몸체(120)의 제3몸체수용홈(126)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홈(1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홈(138)과,
    제3몸체(130)의 후단부에 축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탄성부재(150)가 수용되는 제2스프링수용홈(139)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고정부재(140)는
    오링의 형태로 상기 샤프트조임부재(119)의 조임압력으로 인해 제1,2절곡부(114,115)가 서로 가까워질때, 샤프트고정부재(140)의 내경이 수축되어 상기 샤프트(3)를 제1몸체(110)에 밀착고정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제2몸체(120)의 제1스프링수용홈(129)과 상기 제1스프링수용홈(129)에 대향되는 제3몸체(130)의 제2스프링수용홈(139) 사이에 배치되어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 사이에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도록하고,
    상기 샤프트(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3몸체(120,1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결합부재(180)는
    제1결합홈(128)과 제2결합홈(138)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고,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한 압력을 받아 제2,3몸체(120,130)가 동축상 축방향에서 어긋나게 될 때 이에 대응하여 제1결합홈(128)을 따라 이동되면서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작용되도록 하여 제1누수차단부재(14)와 제2누수차단부재(160)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되,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는 범위 내에서 제1결합홈(128)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3몸체(130)가 제2몸체(12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조임수단(170)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나사이동에 의해 제1,2,3몸체(110,120,1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14)와 제2누수차단부재(160)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10)는
    제1몸체(110)의 전방(Ab) 일측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함몰부(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120)는
    제2몸체(120)의 후방(Aa)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함몰부(111)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2몸체(120)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방지장치.
  4. 삭제
KR1020230050245A 2023-04-17 2023-04-17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KR10256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245A KR102565856B1 (ko) 2023-04-17 2023-04-17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245A KR102565856B1 (ko) 2023-04-17 2023-04-17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856B1 true KR102565856B1 (ko) 2023-08-11

Family

ID=8756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245A KR102565856B1 (ko) 2023-04-17 2023-04-17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8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887A (ja) * 1993-12-09 1995-06-20 Yamaha Motor Co Ltd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のシール構造
KR200397607Y1 (ko) 2005-07-26 2005-10-05 현학삼 선미관 축계 밀봉 장치
KR20060118749A (ko) * 2005-05-17 2006-11-24 현학삼 선미관 축계 밀봉 장치
KR101654270B1 (ko) * 2016-04-12 2016-09-05 박영섭 선박용 실링장치
KR102246486B1 (ko) * 2020-06-04 2021-04-29 서효진 선박용 실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887A (ja) * 1993-12-09 1995-06-20 Yamaha Motor Co Ltd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のシール構造
KR20060118749A (ko) * 2005-05-17 2006-11-24 현학삼 선미관 축계 밀봉 장치
KR200397607Y1 (ko) 2005-07-26 2005-10-05 현학삼 선미관 축계 밀봉 장치
KR101654270B1 (ko) * 2016-04-12 2016-09-05 박영섭 선박용 실링장치
KR102246486B1 (ko) * 2020-06-04 2021-04-29 서효진 선박용 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787B2 (ja) 水上船舶用の推進システム
KR102565856B1 (ko) 그랜드패킹 장착용 해수유입 방지장치
US20130260622A1 (en) Mount for a boat propulsion unit
KR100888391B1 (ko) 선박용 일체형 선미관의 경화재 밀봉용 분리식 실링장치
KR102203428B1 (ko) 선박 포드 선체 시일 어셈블리
JP2010280369A (ja) 油圧シリン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推進機
US6758707B2 (en) Propeller drive shaft mounting support unit for an inboard drive marine vess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487943B1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KR100856908B1 (ko)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JP6716891B2 (ja) ソナー装置
KR200397607Y1 (ko) 선미관 축계 밀봉 장치
KR102044301B1 (ko) 선박용 추진축의 해수 유입 차단장치
KR102382466B1 (ko) 로프형 계류라인 수중 청소로봇
KR20060133391A (ko) 프로펠러 관측용 광학 장치 및 그것을 갖춘 선박
CN109555788B (zh) 用于船舶水下装置的密封轴承
KR101616992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US2562624A (en) Stuffing box for boats
KR102639147B1 (ko)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RU2469905C1 (ru) Бесшу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гребного винта маневренной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20230144713A (ko) 씰링장치
KR102663967B1 (ko) 소형선박 나포장치
KR102477293B1 (ko) 선박용 엔진 조립체
US1075080A (en) Stuffing-box and bearing for shafts of marine propellers.
CN208616182U (zh) 潜海器穿舱的正反转摆动轴与舱壳间的密封结构
JP3104177U (ja) 船尾管配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