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787B1 - 스틱 카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스틱 카운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4787B1 KR102564787B1 KR1020230014888A KR20230014888A KR102564787B1 KR 102564787 B1 KR102564787 B1 KR 102564787B1 KR 1020230014888 A KR1020230014888 A KR 1020230014888A KR 20230014888 A KR20230014888 A KR 20230014888A KR 102564787 B1 KR102564787 B1 KR 1025647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ischarge
- conveyor belt
- counting
- align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이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1공급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급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각각의 외측 표면상에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직립된 판 구조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판부; 한 쌍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제2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공급유닛; 상기 구획판부에 놓여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최상단으로 상승 이동된 상기 작업대상이 떨어져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3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제3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4컨베이어 벨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4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을 모으며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상기 작업대상을 배출용 컨베이어어 벨트로 배출시키는 카운팅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을 자동으로 하나씩 카운팅하여 일정 묶음 단위별로 모집하여 순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스틱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된 제품을 정해진 단위별로 묶어 이를 다시 포장 박스 안에 담아 출시되는 제품 형태로 완성하기 위해 기존에는 작업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다수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포장된 제품을 하나씩 계수(Counting)하여 포장 박스에 담는 형태를 라인형 공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 경우, 작업 과정에서 정확한 카운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작업 신뢰도의 불안성과 함께 작업의 양 및 난이도에 따라 점점 많은 작업자 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카운팅 공정을 자동화하고 정밀화하여 정확한 포장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필요한 작업자 인력의 수준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 개발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카운팅 공정의 자동화에 있어 우선적으로 필요한 센서를 이용해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제10-0250886호의 "이동 물체의 전/후진 및 통과 수량 확인 방법 및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화를 시도한 카운팅 장치의 경우, 작업대상을 카운팅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대로된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송 중간과정에서 장치 내 구성 자체 혹은 구성 간의 일부 공간에 끼이거나 이송 경로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화를 시도한 카운팅 장치의 경우, 작업대상의 카운팅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대상간의 정렬 상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카운팅 작업상의 오류를 발생시키거나 신뢰도를 낮추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화를 시도한 카운팅 장치의 경우, 카운팅 작업 후 모집되는 작업대상들을 일정 단위로 묶어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배출시키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단순히 일정 공간에 모집하는 것에 그치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상을 하나씩 정확히 분리하여 카운팅을 수행하고, 작업대상이 카운팅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이송됨에 있어 경로 이탈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 및 효율을 더욱 고도화 시킬 수 있는 카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상의 이송에 있어서의 정렬상태를 일정하고 우수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카운팅 작업이 완료된 작업대상을 일정 단위로 모집한 뒤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배출시킴에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카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틱 카운팅 장치는, 한 쌍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이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1공급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급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각각의 외측 표면상에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직립된 판 구조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판부; 한 쌍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제2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공급유닛; 상기 구획판부에 놓여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최상단으로 상승 이동된 상기 작업대상이 떨어져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3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제3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4컨베이어 벨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4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을 모으며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상기 작업대상을 배출용 컨베이어어 벨트로 배출시키는 카운팅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급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를 제1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1벨트 구동부; 및 제1이송경로상 일 지점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판 구조체를 소정의 회전반경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을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제1정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모듈은,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판 구조제로서, 제1회동축에 상단이 연결되는 정렬판부; 및 상기 정렬판부가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에 수직한 제1동작상태와 상기 제1회동축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하며 들려져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와 예각을 이루는 제2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급 유닛은, 제1이송경로상 상기 일 지점에 비해 후단 측에 위치한 타 지점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를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제2정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정렬 모듈은,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로서, 제2회동축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제1정렬 롤러부; 상기 제1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1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정렬 롤러부는, 중심에 상기 제2회동축의 단부가 연결되는 통 구조의 제1롤러 코어부분; 및 상기 제1롤러 코어부분의 외주면상에 회전반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 연결되는 판형 날개 구조체로서, 상기 제1롤러 코어부분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외측면이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제1롤러 날개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를 제3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3벨트 구동부; 및 제3이송경로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의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를 회전시켜 상기 제3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정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3정렬 모듈은, 한 쌍의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로서, 중심에 제3회동축의 단부가 연결되는 통 구조의 제2롤러 코어부분; 및 상기 제2롤러 코어부분의 외주면상에 회전반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 연결되는 판형 날개 구조체로서, 상기 제2롤러 코어부분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외측면이 상기 제3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제2롤러 날개부분;을 포함하는 제2정렬 롤러부; 상기 제2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3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3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2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후단에서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전단으로 떨어져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절단형 정렬벨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단형 정렬벨트부는, 상기 제3컨베이어 밸트부와 동일한 직물 재질의 벨트 일부분을 절단하여 마련된 벨트 조각부재가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후단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단이 배치되도록 직립하여 설치되는 제1정렬벨트부분; 상기 제3컨베이어 밸트부와 동일한 직물 재질의 벨트 일부분을 절단하여 마련된 벨트 조각부재가 상기 제1정렬벨트부분에 비해 후방측에서 하단 일정영역이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전단측 일정영역에 접촉하며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2정렬벨트부분; 및 상기 제1정렬벨트부분 및 제2정렬벨트부분의 상단이 일측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측에 연결되는 정렬벨트 설치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를 제4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4벨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모집공간에 모이는 과정에서 카운트 센싱(Count Sensing)을 수행하여 모인 상기 작업대상의 수를 카운팅하는 한 쌍의 카운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운팅 모듈은,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카운팅 홀이 구비된 카운팅 몸체부; 상기 카운팅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카운팅 홀을 지나 낙하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개수를 감지하는 카운팅 센서부; 통 형상의 버킷 몸체부분 내부가 격벽 부분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을 갖추도록 구획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로 개방된 작업대상 이동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 일측이 상기 카운팅 몸체부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버킷부; 상기 버킷부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 작업대상 이동구 중 일 작업대상 이동구가 달라지도록 하는 버킷 회전구동부; 및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는 모집 제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 회전구동부를 통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로 쏟아져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모듈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 중 좌측 카운팅 모듈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를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상기 작업대상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제1유입공간을 제공하는 제1유입 몸체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 중 우측 카운팅 모듈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우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를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상기 작업대상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제2유입공간을 제공하는 제2유입 몸체부; 및 상기 제1유입 몸체부와 제2유입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출공간이 마련되며, 하방으로 개방되며 작업대상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 몸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1버퍼 판부분; 및 상기 제1버퍼 판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퍼 판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좌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로부터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제1유입공간으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1버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1버퍼부; 및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2버퍼 판부분; 및 상기 제2버퍼 판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버퍼 판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우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로부터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제2유입공간으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2버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2버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제1유입 몸체부 좌측에 배치되는 제1푸셔부분; 및 상기 제1푸셔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푸셔부분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모집된 상태의 상기 작업대상이 배출 몸체부 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푸셔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1푸셔부; 상기 제2유입 몸체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2푸셔부분; 및 상기 제2푸셔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푸셔부분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모집된 상태의 상기 작업대상이 배출 몸체부 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푸셔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2푸셔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제1유입 몸체부와 상기 배출 몸체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1스톱퍼용 틈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1스톱퍼부분; 및 상기 제1스톱퍼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톱퍼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제1유입공간과 상기 배출 몸체부의 배출공간을 구획 또는 연통시키는 제1스톱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1스톱퍼부; 및 상기 제2유입 몸체부와 상기 배출 몸체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2스톱퍼용 틈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2스톱퍼부분; 및 상기 제2스톱퍼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톱퍼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제2유입공간과 상기 배출 몸체부의 배출공간을 구획 또는 연통시키는 제2스톱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2스톱퍼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배출 몸체부의 하방으로 개방된 작업대상 배출구를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배출판부분; 및 상기 배출판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판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제1푸셔부 또는 상기 제2푸셔부에 의해 상기 배출 몸체부의 배출공간으로 밀려온 모집된 상태의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배출 몸체부 아래 설치된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배출판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카운팅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까지 작업대상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다회차에 걸친 다양한 형태의 정렬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작업대상간의 가장 효율적인 간격이 지속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 및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작업대상이 카운팅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로 이송됨에 있어 경로 이탈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 및 효율을 더욱 고도화 시킬 수 있다.
셋째, 카운팅 작업이 완료된 작업대상을 일정 단위로 모집한 뒤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모집 단위별로 엉키거나 섞이지 않고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함으로서, 배출 작업상의 효율성 및 정확성 역시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의 제2정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의 제2정렬모듈의 제1정렬 롤러부의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 및 제2공급유닛의 구조 및 구성 배치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진입 컨베이어 유닛,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카운팅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진입 컨베이어 유닛 및 경사 컨베이어 유닛의 구조 및 구성 배치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구조 및 구성 배치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세부 구성 및 세부 구성간 작동에 따른 배출 작업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의 제2정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의 제2정렬모듈의 제1정렬 롤러부의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제1공급유닛 및 제2공급유닛의 구조 및 구성 배치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진입 컨베이어 유닛,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카운팅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진입 컨베이어 유닛 및 경사 컨베이어 유닛의 구조 및 구성 배치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구조 및 구성 배치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세부 구성 및 세부 구성간 작동에 따른 배출 작업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스틱 카운팅 장치에 관한 설명>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틱 카운팅 장치(10)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S)의 계수(Counting)를 하나씩 수행하여 센 후 기 설정된 일정 단위별로 카운팅이 완료되면 이를 묶어 배출하여 최종 포장을 위한 개수만큼이 자동으로 분리 및 분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공급 유닛(100); 제2공급유닛(200);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 카운팅 유닛(500); 및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공급 유닛(100)은 한 쌍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110)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S)이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 작업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공급 유닛(10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제1벨트 구동부(115), 제1정렬 모듈(120) 및 제2정렬 모듈(130)을 포함한다.
우선,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양 단부를 필수로 하여 양 단부 사이에 실시에 따라 별도의 이송롤러가 설치될 수 있고, 이들 롤러간을 내측에 끼우는 벨트의 구성을 통해 구현되는 컨베이어 벨트모듈로서, 양 단부가 도1 및 도3과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와 같은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는 한 쌍을 이루어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벨트 구동부(115)는 한 쌍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를 제1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S)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1정렬 모듈(120)은 제1이송경로상 일 지점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판 구조체를 소정의 회전반경 내에서 회전시켜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을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해, 제1회동축(121), 정렬판부(122) 및 회전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렬판부(12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판 구조제로서, 제1회동축(121)에 상단이 연결된다.
또한, 회전 구동부(123)는 정렬판부(122)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에 수직한 제1동작상태(122)와 제1회동축(121)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하며 들려져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와 예각을 이루는 제2동작상태(122')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제1이송경로상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제1회동축(121)을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모터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일정 주기마다 정렬판부(122)가 전방측으로 들려지며 회전운동하여 제1동작상태(122)와 제2동작상태(122')를 반복함에 따라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대상(S)들은 너무 많은 양이 한꺼번에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정렬작업을 거치게 된다.
또한, 실시에 따라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렬 모듈(120)이 설치된 위치 바로 앞에는 이탈 방지판부(140)가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상측으로의 이탈을 제한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너무 많은 양의 작업대상(S)들이 투입되더라도 상측으로 넘치지 않으며 회전 구동부(123)에 의한 정렬판부(122)의 동작에 의해 작업대상(S)이 전방 상측으로 밀리거나 튕기더라도 상측으로 넘어가지 못한다.
다음으로, 제2정렬 모듈(130)은 제1이송경로상 일 지점에 비해 후단 측에 위치한 타 지점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를 회전시켜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정렬 모듈(13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동축(131), 제1정렬 롤러부(132), 제1롤러 구동부(133) 및 제1높이 조절부(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정렬 롤러부(132)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로서, 제2회동축(131)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정렬 롤러부(13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제2회동축(131)의 단부가 연결되는 통 구조의 제1롤러 코어부분(132a)과 제1롤러 코어부분의 외주면상에 회전반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 연결되는 판형 날개 구조체로서의 제1롤러 날개부분(132b)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롤러 날개부분(132b)은 제1롤러 코어부분(132a)의 회전운동(W2)에 연동되어 외측면이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W1)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롤러 날개부분(132b)은 회전 시 외측면이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W1)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냄에 있어 기존의 원통형 롤러 혹은 원통형 롤러에 돌기가 구비된 구조에 비해 작업대상(S)의 포장재질에 영향을 더욱 적게 받으며, 정렬 작업 시 제대로 밀어내지 못해 롤러 위로 작업대상(S)이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롤러 날개부분(132b)은 제1롤러 코어부분(132a)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연결영역(132ba), 해당 연결영역(132ba)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판형 구조를 이루는 판영역(132bb) 및 판영역(132bb)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예각만큼 절곡된 뒤 연장 형성되어 판형 구조를 이루는 절곡영역(132bc)로 구성된다.
특히, 절곡영역(132bc)은 판영역(132bb)의 외측면으로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W1)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에 있어 균형적으로 일정 양의 작업대상(S)이 더 적게 밀리거나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정렬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특성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1롤러 구동부(133)는 제1정렬 롤러부(132)가 제1이송경로상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회동축(131)을 회전 구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높이 조절부(134)는 제1정렬 롤러부(132)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모듈로서, 제1정렬 롤러부(132)의 제2회동축(131) 단부가 설치된 블록 전체 또는 제1롤러 구동부(133)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제1정렬 롤러부(132) 하측과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간의 이격높이에 해당하는 틈의 규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공급유닛(200)은 제1공급유닛(100)을 통해 이송 및 정렬작업을 거친 작업대상(S)을 이어 받은 뒤, 경사면을 따라 일정 단위 별로 구획하여 상승 이동시킨 뒤, 순차적으로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에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제2공급유닛(200)은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 구획판부(220) 및 제2벨트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우선,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제1공급유닛(1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는 양 단부를 필수로 하여 양 단부 사이에 실시에 따라 별도의 이송롤러가 설치될 수 있고, 이들 롤러 간을 내측에 끼우는 벨트의 구성을 통해 구현되는 컨베이어 벨트모듈로서, 양 단부가 도5와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와 같은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는 한 쌍을 이루어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다음으로, 구획판부(220)는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 각각의 외측 표면상에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직립된 판 구조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구조체이다.
이와 같이 구획판부(220)에 의해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는 전단으로 유입되는 다수의 작업대상(S)들이 일정 단위로 각 영역에 구분되어 배치되고, 경사를 따라 상승 이동하는 과정에서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2벨트 구동부(230)는 한 쌍의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제2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작업대상(S)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은 도1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부(220)에 놓여 제2컨베이어 벨트부(210) 최상단으로 상승 이동된 작업대상(S)이 떨어져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가 설치된다.
또한,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은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상측에 형성된 제3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작업대상(S)이 제3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은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정렬 모듈(320), 제3벨트 구동부(330) 및 절단형 정렬벨트부(340)를 포함한다.
우선,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는 양 단부를 필수로 하여 양 단부 사이에 실시에 따라 별도의 이송롤러가 설치될 수 있고, 이들 롤러 간을 내측에 끼우는 벨트의 구성을 통해 구현되는 컨베이어 벨트모듈로서, 양 단부가 도7과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와 같은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는 한 쌍을 이루어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또한, 제3벨트 구동부(330)는 한 쌍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를 제3이송경로상에 놓인 작업대상(S)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
제3정렬 모듈(320)은 제3이송경로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를 회전시켜 제3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3정렬 모듈(320)은 제3회동축(321), 제2정렬 롤러부(322), 제2롤러 구동부(323) 및 제2높이 조절부(3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정렬 롤러부(322)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로서, 제2롤러 코어부분 및 제2롤러 날개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정렬 롤러부(322)는 앞 서 설명한 제1정렬 롤러부(132)와 구성적, 구조적으로 대응되어 동일한 형태를 갖추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롤러 코어부분 및 제2롤러 날개부분 역시 제1롤러 코어부분(132a) 및 제1롤러 날개부분(132b)의 구성적, 구조적 특징을 동일하게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롤러 코어부분은 중심에 제3회동축(321)의 단부가 연결되는 통 구조 부분에 해당하고, 제2롤러 날개부분은 제2롤러 코어부분의 외주면상에 회전반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 연결되는 판형 날개 구조체로서, 제2롤러 코어부분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외측면이 제3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롤러 구동부(323)는 제2정렬 롤러부(322)가 제3이송경로상 작업대상(S)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3회동축(321)을 회전 구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제2높이 조절부(324)는 제2정렬 롤러부(322)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모듈로서, 제2정렬 롤러부(322)의 제3회동축(321) 단부가 설치된 블록 전체 또는 제2롤러 구동부(323)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제2정렬 롤러부(322) 하측과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상측간의 이격높이에 해당하는 틈의 규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절단형 정렬벨트부(340)는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후단에 설치되어,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후단에서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으로 떨어져 이송되는 작업대상(S)의 정렬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절단형 정렬벨트부(340)는 제1정렬벨트부분(341), 제2정렬벨트부분(342) 및 정렬벨트 설치부분(343)을 포함한다.
우선, 제1정렬벨트부분(341)은 제3컨베이어 밸트부(310)를 구성하는 벨트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마련함에 따라 동일한 직물 재질을 갖춘 벨트 조각부재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후단측으로 이격되고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정렬벨트부분(341)의 하단이 배치되도록 직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상, 재질상 특징을 통해, 제1정렬벨트부분(341)은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후단에서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으로 떨어지며 이송되는 작업대상(S) 중 위상이 틀어진 상태로 떨어져 단차로 인해 한쪽 끝부분이 먼저 닿으며 더욱 틀어진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결국 추후 설명될 카운팅 유닛(500)에 모집될 때 세워져 떨어져 결국 버킷부(511)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제1정렬벨트부분(341)은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후단에서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으로 떨어지며 이송되는 작업대상(S) 중 위상이 틀어진 상태의 작업대상(S)을 똑바로 정렬시켜 전체적으로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에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위상의 틀어짐을 최소화한다.
이와 연계되어, 제2정렬벨트부분(342)은 제3컨베이어 밸트부(310)를 구성하는 벨트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마련함에 따라 동일한 직물 재질을 갖춘 벨트 조각부재로서, 제1정렬벨트부분(341)에 비해 긴 길이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정렬벨트부분(342)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렬벨트부분(341)에 비해 후방측에 위치하며, 하단 일정영역이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측 일정영역에 접촉하며 놓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구조를 통해,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으로 떨어져 이송되는 작업대상(S)들은 제2정렬벨트부분(342)의 하단 일정영역을 접촉하며 이송을 시작하게 된다.
이는 제3컨베이어 벨트부(310) 후단에서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으로 단차를 따라 작업대상(S)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뒤로 굴러 떨어지거나 튕겨 대상간 간격이 다시 좁혀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제2정렬벨트부분(342)을 통해 방지하여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의 전단측에서 작업대상(S)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상호 간격을 적절히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렬벨트 설치부분(343)은 제1정렬벨트부분(341) 및 제2정렬벨트부분(342)의 상단을 모아 일측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며, 타측이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 후단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1정렬벨트부분(341) 및 제2정렬벨트부분(342)의 설치형태를 고정시키는 브라켓 부재에 해당한다.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진입 컨베이어 유닛(3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가 설치된다.
또한,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은 제4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4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작업대상(S)이 경사면을 따라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 경사 조절부(420) 및 제4벨트 구동부(430)를 포함한다.
우선,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제4이송경로 전단에 정렬된 작업대상(S)이 놓이면, 제4이송경로를 따라 작업대상(S)이 후단으로 이송되게 한다.
여기서,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는 한 쌍을 이루어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또한, 경사 조절부(420)는 한 쌍의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 각각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로드 및 피스톤의 구성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4벨트 구동부(430)는 한 쌍의 제4컨베이어 벨트부(410)를 제2이송경로상에 놓인 작업대상(S)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
카운팅 유닛(500)은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을 모으며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작업대상(S)을 배출용 컨베이어어 벨트(미도시)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카운팅 유닛(500)은 카운팅 모듈(510), 배출 모듈(520) 및 회수 모듈(530)을 포함한다.
우선, 카운팅 모듈(510)은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이 하나씩 모집공간(511T)에 모이는 과정에서 카운트 센싱(Count Sensing)을 수행하여 모인 작업대상(S)의 수를 카운팅하는 장치로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팅 모듈(510)은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부(511), 카운팅 몸체부(512), 버킷 회전 구동부(513), 모집 제한부(514), 카운팅 센서부(515)를 포함한다.
우선, 카운팅 몸체부(512)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 후단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이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카운팅 홀(512H)이 구비된 구조체에 해당한다.
이와 더불어, 카운팅 센서부(515)는 카운팅 몸체부(512) 일측에 마련되어 카운팅 홀(512H)을 지나 낙하 이동되는 작업대상(S)의 개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경사 컨베이어 유닛(400) 후단을 지나 이송된 작업대상(S)은 카운팅 몸체부(512) 내부로 떨어져 내부 카운팅 홀(512H)을 지나며 낙하하게 되고, 이와 같은 낙하 영역 중 일정 역역에 카운팅 센서부(515)는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있어 특정 높이를 지나는 작업대상(S)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계수를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카운팅 몸체부(512)의 하단에는 구동상태에 따라 카운팅 몸체부(512)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모집 제한부(514)가 설치된다.
이러한 모집 제한부(514)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514b), 로드, 개폐판(514a)으로 구성되어 특정 제어명령신호의 수신에 따라 실린더를 작동시켜 로드를 전, 후진 시키는 방식으로 카운팅 몸체부(410)의 하단이 개폐판(514a)으로 인해 막히거나 열리는 제어 형태가 구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버킷부(511)는 카운팅 몸체부(512)의 카운팅 홀(512H)을 지나 낙하 이동되며 카운팅 센서부(515)를 통한 계수가 되어진 작업대상(S)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팅 몸체부(512)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모집되도록 하기 위한 통 구조체이다.
구체적으로, 버킷부(511)는 통 형상의 버킷 몸체부분(511a) 내부가 격벽 부분(511b)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511T)을 갖추도록 구획되며, 버킷 몸체부분(511a)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측면부에 복수의 모집공간(511T) 별로 개방된 작업대상 이동구가 각각 구비되는 구조를 갖춘다.
따라서 버킷부(511)는 버킷 몸체부분(511a)을 기본 구조적 골격으로 하되 내부 개방공간이 격벽 부분(511b)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511T)을 분획되며, 각 모집공간(511T)별로 하나씩의 작업대상 이동구가 마련되다.
아울러, 버킷부(511)는 버킷 몸체부분(511a)의 측면부 일측이 카운팅 몸체부(512)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카운팅 몸체부(512)의 카운팅 홀(512)을 지나 낙하 이동되며 카운팅 센서부(515)를 통한 계수가 되어진 작업대상(S)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팅 몸체부(512)의 하단으로 배출되면 작업대상 이동구를 통과해 버킷부(511)의 특정 모집공간(511T)에 모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킷 회전 구동부(513)는 버킷부(511)를 회전 구동시켜 카운팅 몸체부(512)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버킷 몸체부분(511a)의 측면부에 구비된 복수의 모집공간(511T) 별 작업대상 이동구 중 일 작업대상 이동구가 달라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버킷 회전구동부(513)를 통해 버킷부(511)가 회전하게 되면 카운팅 몸체부(512)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작업대상 이동구와 연통된 모집공간(511T)이 달라진다.
다음으로, 배출 모듈(52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카운팅 모듈(51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어, 버킷 회전구동부(513)를 통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된 작업대상(SG1, SG2)이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로 쏟아져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배출 모듈(520)은 제1유입 몸체부(521a), 제2유입 몸체부(521b), 배출 몸체부(522), 제1버퍼부(524a), 제2버퍼부(524b), 제1푸셔부(523a), 제2푸셔부(523b), 제1스톱퍼부(525a), 제2스톱퍼부(525b) 및 배출부(526)를 포함한다.
우선, 제1유입 몸체부(521a)는 한 쌍의 카운팅 모듈(510) 중 좌측 카운팅 모듈(510) 아래에 배치되어, 좌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작업대상(SG1)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제1유입공간을 내부에 제공하는 몸체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제2유입 몸체부(521b)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510) 중 우측 카운팅 모듈(510) 아래에 배치되어, 우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작업대상(SG2)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제2유입공간을 내부에 제공하는 몸체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아울러, 배출 몸체부(522)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입 몸체부(521a)와 제2유입 몸체부(521b)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출공간이 마련되며, 하방으로 개방되며 작업대상 배출구(OH)를 구비하는 몸체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버퍼부(524a)는 제1유입 몸체부(521a)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모듈로서, 제1유입 몸체부(521a) 내부로 모집된 작업대상(SG1)이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으로부터 떨어져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며, 이를 위해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1버퍼 구동부분(524a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버퍼 판부분(524aa)은 제1유입 몸체부(521a)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체이다.
또한, 제1버퍼 구동부분(524ab)은 제1버퍼 판부분(524aa) 일측에 연결되어, 제1버퍼 판부분(524aa)의 전후 이동을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작업대상(SG1)이 좌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로부터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으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2버퍼부(524b)는 제2유입 몸체부(521b)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모듈로서, 제2유입 몸체부(521b) 내부로 모집된 작업대상(SG2)이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으로부터 떨어져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며, 이를 위해 제2버퍼 판부분(524ba) 및 제2버퍼 구동부분(524b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버퍼 판부분(524ba)은 제2유입 몸체부(521b)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체이다.
또한, 제2버퍼 구동부분(524bb)은 제2버퍼 판부분(524ba) 일측에 연결되어, 제2버퍼 판부분(524ba)의 전후 이동을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작업대상(SG2)이 우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로부터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으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푸셔부(523a)는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좌측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제1유입 몸체부(521a) 내에 유입된 작업대상(SG1')을 우측 배출 몸체부(522) 내부로 밀어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제1푸셔부분(523aa) 및 제1푸셔 구동부분(523ab)을 포함하다.
여기서, 제1푸셔부분(523aa)은 제1유입 몸체부(521a) 좌측에 배치되는 실질적인 밀기 작업을 수행하는 판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제1푸셔 구동부분(523ab)은 제1푸셔부분(523aa) 일측에 연결되어, 제1푸셔부분(523aa)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모집된 상태의 작업대상(SG1')이 배출 몸체부(522) 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제2푸셔부(523b)는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우측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제2유입 몸체부(521b) 내에 유입된 작업대상(SG2')을 좌측 배출 몸체부(522) 내부로 밀어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제2푸셔부분(523ba) 및 제2푸셔 구동부분(523bb)을 포함하다.
여기서, 제2푸셔부분(523ba)은 제2유입 몸체부(521b) 우측에 배치되는 실질적인 밀기 작업을 수행하는 판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제2푸셔 구동부분(523bb)은 제2푸셔부분(523ba) 일측에 연결되어, 제2푸셔부분(523ba)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모집된 상태의 작업대상(SG2')이 배출 몸체부(522) 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스톱퍼부(525a)는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을 좌우로 구획 또는 연통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제1스톱퍼부분(525aa) 및 제1스톱퍼 구동부분(525a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스톱퍼부분(525aa)은 제1유입 몸체부(521a)와 배출 몸체부(522)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1스톱퍼용 틈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춘 판 구조체에 해당한다.
아울러, 제1스톱퍼 구동부분(525ab)은 제1스톱퍼부분(525aa) 일측에 연결되어, 제1스톱퍼부분(525aa)의 전후 이동을 통해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을 구획 또는 연통시킨다.
또한, 제2스톱퍼부(525b)는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1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을 좌우로 구획 또는 연통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제2스톱퍼부분(525ba) 및 제2스톱퍼 구동부분(525b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스톱퍼부분(525ba)은 제2유입 몸체부(521b)와 배출 몸체부(522)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2스톱퍼용 틈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춘 판 구조체에 해당한다.
아울러, 제2스톱퍼 구동부분(525bb)은 제2스톱퍼부분(525ba) 일측에 연결되어, 제2스톱퍼부분(525ba)의 전후 이동을 통해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을 구획 또는 연통시킨다.
마지막으로, 배출부(526)는 배출 몸체부(522) 하부에 개방되며 작업대상 배출구(OH)의 개폐를 조절하는 모듈로서, 배출판부분(526a) 및 배출판 구동부분(526b)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출판부분(526a)은 배출 몸체부(522)의 하방으로 개방된 작업대상 배출구(OH)를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체에 해당한다.
또한, 배출판 구동부분(526b)는 배출판부분(526a) 일측에 연결되어, 배출판부분(526a)의 전후 이동을 통해 제1푸셔부(523a) 또는 제2푸셔부(523b)에 의해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으로 밀려온 모집된 상태의 작업대상(SG1'', SG2'')이 상기 배출 몸체부(522) 아래 설치된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배출 모듈(520)의 작동형태는 하나의 작동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실시 변형 가능하나 하나의 예시로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우선, 도10(a)와 같이 제1버퍼부(524a) 및 제2버퍼부(524b)는 전방으로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을 이동시켜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상측 및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상측을 덮어 닫힌 상태로 두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배출부(526)는 전방으로 배출판부분(526a)을 이동시켜 배출 몸체부(522)의 하방으로 개방된 작업대상 배출구(OH)가 덮이며 닫힌 상태로 두는 것 역시 기본상태가 된다.
또한, 제1스톱퍼부(525a) 및 제2스톱퍼부(525b)는 전방으로 제1스톱퍼부분(525aa) 및 제2스톱퍼부분(525ba)을 이동시켜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각각이 상호 구획되어 진 상태가 기본이 된다.
이에 따라, 도10(a)와 같이 좌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작업대상(SG1)과 우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작업대상(SG2) 모두가 우선적으로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 위에 놓인 상태가 된다.
이에 이어, 도10(b)와 같이 제1버퍼부(524a) 및 제2버퍼부(524b)가 후방으로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으로 이동시켜면,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상측 및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상측이 개방되며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 위에 놓여 있던 작업대상(SG1, SG2)들은 아래로 떨어져 각각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및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내부에 유입된다.
다음으로, 도11(a)와 같이 제1버퍼부(524a) 및 제2버퍼부(524b)는 전방으로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으로 이동시켜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상측 및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상측을 덮어 닫힌 상태로 두어 더 이상 추가적으로 작업대상(SG1, SG2)들이 유입되지 않고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 위에 놓여 대기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도11(a)와 같이 제1푸셔부(523a)가 먼저 제1푸셔부분(523aa)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스톱퍼부(525a)가 제1스톱퍼부분(525aa)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이 연통되게 하고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내에 유입된 작업대상(SG1')이 밀려 배출 몸체부(522) 내부 배출공간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제1푸셔부(523a)는 제1푸셔부분(523aa)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최대치까지 수행하고 나면, 즉각 제1푸셔부분(523aa)을 다시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태를 최초 상태로 회복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11(b)와 같이 제1푸셔부(523a)에 의해 밀려 배출 몸체부(522) 내부 배출공간에 놓이게 된 작업대상(SG1'')은 배출부(526)가 배출판부분(526a)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 몸체부(522)의 작업대상 배출구(OH)가 개방됨에 따라 아래로 떨어져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배출부(526)는 배출판부분(526a)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최대치까지 수행하고 나면, 즉각 배출판부분(526a)을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태를 최초 상태로 회복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놓인 작업대상(SG1''')은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최종 목적지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스톱퍼부(525a)는 도11(b)와 같이 제1스톱퍼부분(525aa)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태를 기본으로 회복시킴으로서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을 구획시킨다.
그리고 도12(a)와 같이 제2푸셔부(523b)가 이어 제2푸셔부분(523ba)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스톱퍼부(525b)가 제2스톱퍼부분(525ba)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이 연통되게 하고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내에 유입된 작업대상(SG2')이 밀려 배출 몸체부(522) 내부 배출공간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제2푸셔부(523b)는 제2푸셔부분(523ba)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최대치까지 수행하고 나면, 즉각 제2푸셔부분(523ba)을 다시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태를 최초 상태로 회복시키게 된다.
이에 이어, 도12(b)와 같이 제2푸셔부(523b)에 의해 밀려 배출 몸체부(522) 내부 배출공간에 놓이게 된 작업대상(SG2'')은 배출부(526)가 배출판부분(526a)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 몸체부(522)의 작업대상 배출구(OH)가 개방됨에 따라 아래로 떨어져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놓인 작업대상(SG2''')은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최종 목적지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스톱퍼부(525b)는 도12(b)와 같이 제2스톱퍼부분(525ba)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태를 기본으로 회복시킴으로서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과 배출 몸체부(522)의 배출공간을 구획시킨다.
이와 같은 도10 내지 도12의 일련의 배출 공정을 반복 진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좌측 및 우측 카운팅 모듈(510)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를 통해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작업대상(SG1, SG2)들을 섞이지 않고 묶음 단위별로 구분하여 배출 가능하다.
그리고 회수 모듈(530)은 한 쌍의 카운팅 모듈(510) 각각의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와 전부방향 기준으로 반대되는 제2배출경로(P2)로 모집 후 배출되는 작업대상들을 회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5컨베이어 벨트부(531) 및 제5벨트 구동부(5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5컨베이어 벨트부(531)는 좌우방향을 따라 벨트가 이송을 수행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카운팅 모듈(510)의 아래에 설치되는 단일 구성으로서, 버킷 회전구동부(513)를 통해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된 작업대상(SG1, SG2)이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2배출경로(P2)로 쏟아질 경우 낙하되어 놓이게 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제5벨트 구동부(532)는 제5컨베이어 벨트부(531)를 회수경로상에 놓인 모집된 작업대상(SG1, SG2)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
제어모듈(미도시)은 제1벨트 구동부(115), 회전 구동부(123), 제1롤러 구동부(133), 제2벨트 구동부(230), 제2롤러 구동부(323), 제3벨트 구동부(330), 경사 조절부(420), 제4벨트 구동부(430), 버킷 회전 구동부(513), 모집 제한부(514), 제1버퍼 구동부분(524ab), 제2버퍼 구동부분(524bb), 제1푸셔 구동부분(523ab), 제2푸셔 구동부분(523bb), 제1스톱퍼 구동부분(525ab), 제2스톱퍼 구동부분(525bb), 배출판 구동부분(526b) 및 제5벨트 구동부(5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제어모듈(미도시)은 순차적으로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모집된 작업대상(SG1, SG2)이 버킷부(511)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P1)로 쏟아져 배출 모듈(520)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버킷 회전구동부(513)의 제어를 통해 버킷부(5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W3)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및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내부에 모집된 작업대상(SG1', SG2')이 유입되어 있고, 제1유입 몸체부(521a)의 제1유입공간 및 제2유입 몸체부(521b)의 제2유입공간 상측을 덮은 제1버퍼 판부분(524aa) 및 제2버퍼 판부분(524ba) 위에도 모집된 작업대상(SG1, SG2) 놓여 대기 중인 상태에서, 이에 더해 추가적으로 버킷부(511)의 모집공간(511T)에 작업대상(SG1, SG2)이 모집되어 배출이 필요할 경우, 작업 중복을 막기 위해 제어모듈(미도시)은 버킷 회전구동부(513)의 제어를 통해 버킷부(5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W4)할 수 있게 하여, 제2배출경로(P2)를 따라 제5컨베이어 벨트부(531)에 쏟아져 일단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틱 카운팅 장치
100 : 제1공급유닛
110 : 제1컨베이어 벨트부 115 : 제1벨트 구동부
120 : 제1정렬 모듈 130 : 제2정렬 모듈
200 : 제2공급유닛
210 : 제2컨베이어 벨트부 220 : 구획판부
230 : 제2벨트 구동부
300 : 진입 컨베이어 유닛
310 : 제3컨베이어 벨트부 320 : 제3정렬 모듈
330 : 제3벨트 구동부 340 : 절단형 정렬벨트부
400 : 경사 컨베이어 유닛
410 : 제4컨베이어 벨트부 420 : 경사 조절부
430 : 제4벨트 구동부
500 : 카운팅 유닛
510 : 카운팅 모듈 520 : 배출 모듈
530 : 회수 모듈
100 : 제1공급유닛
110 : 제1컨베이어 벨트부 115 : 제1벨트 구동부
120 : 제1정렬 모듈 130 : 제2정렬 모듈
200 : 제2공급유닛
210 : 제2컨베이어 벨트부 220 : 구획판부
230 : 제2벨트 구동부
300 : 진입 컨베이어 유닛
310 : 제3컨베이어 벨트부 320 : 제3정렬 모듈
330 : 제3벨트 구동부 340 : 절단형 정렬벨트부
400 : 경사 컨베이어 유닛
410 : 제4컨베이어 벨트부 420 : 경사 조절부
430 : 제4벨트 구동부
500 : 카운팅 유닛
510 : 카운팅 모듈 520 : 배출 모듈
530 : 회수 모듈
Claims (13)
- 한 쌍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이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1공급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급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컨베이어 벨트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각각의 외측 표면상에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서 직립된 판 구조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판부; 한 쌍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제2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공급유닛;
상기 구획판부에 놓여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최상단으로 상승 이동된 상기 작업대상이 떨어져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컨베이어 벨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3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제3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정렬을 거치며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4컨베이어 벨트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4이송경로 전단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을 모으며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상기 작업대상을 배출용 컨베이어어 벨트로 배출시키는 카운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를 제3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3벨트 구동부;
제3이송경로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의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를 회전시켜 상기 제3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정렬 모듈; 및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후단에서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전단으로 떨어져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절단형 정렬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정렬 모듈은,
한 쌍의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로서, 중심에 제3회동축의 단부가 연결되는 통 구조의 제2롤러 코어부분; 및 상기 제2롤러 코어부분의 외주면상에 회전반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 연결되는 판형 날개 구조체로서, 상기 제2롤러 코어부분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외측면이 상기 제3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제2롤러 날개부분;을 포함하는 제2정렬 롤러부;
상기 제2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3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3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2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형 정렬벨트부는,
상기 제3컨베이어 밸트부와 동일한 직물 재질의 벨트 일부분을 절단하여 마련된 벨트 조각부재가 상기 제3컨베이어 벨트부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후단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단이 배치되도록 직립하여 설치되는 제1정렬벨트부분;
상기 제3컨베이어 밸트부와 동일한 직물 재질의 벨트 일부분을 절단하여 마련된 벨트 조각부재가 상기 제1정렬벨트부분에 비해 후방측에서 하단 일정영역이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전단측 일정영역에 접촉하며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2정렬벨트부분; 및
상기 제1정렬벨트부분 및 제2정렬벨트부분의 상단이 일측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측에 연결되는 정렬벨트 설치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를 제1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1벨트 구동부; 및
제1이송경로상 일 지점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판 구조체를 소정의 회전반경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을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제1정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모듈은,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판 구조제로서, 제1회동축에 상단이 연결되는 정렬판부; 및
상기 정렬판부가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에 수직한 제1동작상태와 상기 제1회동축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하며 들려져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와 예각을 이루는 제2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상태를 제어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 유닛은,
제1이송경로상 상기 일 지점에 비해 후단 측에 위치한 타 지점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를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며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제2정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정렬 모듈은,
한 쌍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구조체로서, 제2회동축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제1정렬 롤러부;
상기 제1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1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 롤러부는,
중심에 상기 제2회동축의 단부가 연결되는 통 구조의 제1롤러 코어부분; 및
상기 제1롤러 코어부분의 외주면상에 회전반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위치들에 연결되는 판형 날개 구조체로서, 상기 제1롤러 코어부분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외측면이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제1롤러 날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 및
상기 제4컨베이어 벨트부를 제4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4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모집공간에 모이는 과정에서 카운트 센싱(Count Sensing)을 수행하여 모인 상기 작업대상의 수를 카운팅하는 한 쌍의 카운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운팅 모듈은,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카운팅 홀이 구비된 카운팅 몸체부;
상기 카운팅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카운팅 홀을 지나 낙하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개수를 감지하는 카운팅 센서부;
통 형상의 버킷 몸체부분 내부가 격벽 부분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을 갖추도록 구획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로 개방된 작업대상 이동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 일측이 상기 카운팅 몸체부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버킷부;
상기 버킷부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 작업대상 이동구 중 일 작업대상 이동구가 달라지도록 하는 버킷 회전구동부; 및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는 모집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 회전구동부를 통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로 쏟아져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모듈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 중 좌측 카운팅 모듈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를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상기 작업대상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제1유입공간을 제공하는 제1유입 몸체부;
한 쌍의 상기 카운팅 모듈 중 우측 카운팅 모듈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우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를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 후 하방으로 쏟아지는 상기 작업대상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제2유입공간을 제공하는 제2유입 몸체부; 및
상기 제1유입 몸체부와 제2유입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출공간이 마련되며, 하방으로 개방되며 작업대상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1버퍼 판부분; 및 상기 제1버퍼 판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퍼 판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좌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로부터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제1유입공간으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1버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1버퍼부; 및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2버퍼 판부분; 및 상기 제2버퍼 판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버퍼 판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된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우측 카운팅 모듈의 상기 버킷부 내측 하부에 마련된 제1배출경로로부터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제2유입공간으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2버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2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제1유입 몸체부 좌측에 배치되는 제1푸셔부분; 및 상기 제1푸셔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푸셔부분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모집된 상태의 상기 작업대상이 배출 몸체부 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푸셔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1푸셔부;
상기 제2유입 몸체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2푸셔부분; 및 상기 제2푸셔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푸셔부분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모집된 상태의 상기 작업대상이 배출 몸체부 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푸셔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2푸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제1유입 몸체부와 상기 배출 몸체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1스톱퍼용 틈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1스톱퍼부분; 및 상기 제1스톱퍼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톱퍼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제1유입 몸체부의 제1유입공간과 상기 배출 몸체부의 배출공간을 구획 또는 연통시키는 제1스톱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1스톱퍼부; 및
상기 제2유입 몸체부와 상기 배출 몸체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2스톱퍼용 틈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제2스톱퍼부분; 및 상기 제2스톱퍼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톱퍼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제2유입 몸체부의 제2유입공간과 상기 배출 몸체부의 배출공간을 구획 또는 연통시키는 제2스톱퍼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제2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배출 몸체부의 하방으로 개방된 작업대상 배출구를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춘 판 구조의 배출판부분; 및 상기 배출판부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판부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제1푸셔부 또는 상기 제2푸셔부에 의해 상기 배출 몸체부의 배출공간으로 밀려온 모집된 상태의 상기 작업대상이 상기 배출 몸체부 아래 설치된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낙하 이동되는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배출판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4888A KR102564787B1 (ko) | 2023-02-03 | 2023-02-03 | 스틱 카운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4888A KR102564787B1 (ko) | 2023-02-03 | 2023-02-03 | 스틱 카운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4787B1 true KR102564787B1 (ko) | 2023-08-10 |
Family
ID=8756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4888A KR102564787B1 (ko) | 2023-02-03 | 2023-02-03 | 스틱 카운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478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2293A (ko) * | 2013-03-13 | 2014-09-23 | 김우진 | 스틱형 과자 이송장치 |
KR20180135215A (ko) * | 2017-06-12 | 2018-12-20 | 박병용 | 스틱형 식품을 설정된 수량 단위로 정렬하는 장치 |
KR102354770B1 (ko) * | 2021-09-09 | 2022-01-25 | 정광수 | 스틱 카운팅 장치 |
-
2023
- 2023-02-03 KR KR1020230014888A patent/KR1025647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2293A (ko) * | 2013-03-13 | 2014-09-23 | 김우진 | 스틱형 과자 이송장치 |
KR20180135215A (ko) * | 2017-06-12 | 2018-12-20 | 박병용 | 스틱형 식품을 설정된 수량 단위로 정렬하는 장치 |
KR102354770B1 (ko) * | 2021-09-09 | 2022-01-25 | 정광수 | 스틱 카운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20593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ounting, inspecting and stacking planar food products | |
US4824307A (en) | Apparatus for vertically stacking battery plates | |
US3717249A (en) | Sorter and stacker for veneer sheet and strip material | |
US5873448A (en) | Automated separating packaging system for continuously feeding warp flakes | |
CN1950261A (zh) | 包装机器 | |
EP0491507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pasted battery plates | |
GB2200884A (en) | System and process for sorting and conveying articles | |
KR102354770B1 (ko) | 스틱 카운팅 장치 | |
CN110789964B (zh) | 物料计数系统 | |
JPH0367854A (ja) | ソート装置 | |
CA1097279A (en) |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rticles | |
KR102564787B1 (ko) | 스틱 카운팅 장치 | |
EP07744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received from vertically spaced platforms of a moving transport unit | |
US5823318A (en) | Slice stacker particularly for cheese slices | |
JPH02243431A (ja) | 未装本の堆積のための分離装置 | |
CN106043858B (zh) | 一种全自动包装生产线 | |
CN109351667B (zh) | 电芯分选机 | |
EP0085646B1 (en) | Apparatus for counting and collecting paperboards | |
GB2312410A (en) | Biscuit inverter mechanism | |
US4618055A (en) | Collator section of lasagna packer | |
CN211613482U (zh) | 旋转皮带分级秤 | |
US3374904A (en) | Machine for arranging letters and the like into rows | |
US2901952A (en) | Apparatus for feeding, counting and stacking magazines, books and other articles | |
US6179548B1 (en) | Folded carton stacking and packing apparatus | |
US4132320A (en) | Pan stack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