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38B1 -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38B1
KR102564438B1 KR1020160079019A KR20160079019A KR102564438B1 KR 102564438 B1 KR102564438 B1 KR 102564438B1 KR 1020160079019 A KR1020160079019 A KR 1020160079019A KR 20160079019 A KR20160079019 A KR 20160079019A KR 102564438 B1 KR102564438 B1 KR 10256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buoy
measurement
hull
inclina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838A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항내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시험장치는 해저(20)에 형성된 오목부(21)에 설치되어, 폰툰(10)의 스러스터(11)를 수용하는 수용유닛(60); 연결줄(32)에 의해 상기 해저(20)와 연결되고, 수면위에 위치하는 부표(30); 상기 폰툰(10)에 연결되는 계측봉(50); 및 상기 부표(30)와 상기 계측봉(50)을 연결하는 계측줄(40)을 포함하며, 경사시험 방법은 상기 경사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의 경사시험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Apparatus for inclining test and method of inclining test in harbor}
본 발명은 항내에서 이루어지는 선박의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류와 바람과 같은 외부 조건에 상관없이 정확한 경사시험이 가능한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비롯한 각종 해양구조물에 있어 경하중량(Light Weight)이란 선체 구조물의 자중으로서, 선체의 중량과 주 기관 및 각종 탑재 장비의 무게를 모두 합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하 상태에서 중량과 그 중심위치는 선체 구조물에 있어 복원 성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선박을 비롯한 각종 해양구조물들은 수많은 부재와 장비들을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고, 특히 설계 정보와 실제 시공 사이의 차이로 인해 정확한 중량과 그 중심위치를 산정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선체 구조물에 대한 중량과 그 중심위치의 파악을 위한 경사시험(Inclining Test)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종래 경사시험은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선체 구조물에 대한 건조가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졌고, 특히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무게중심의 변화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경사시험(Incline Experiment)은 건조된 선박의 중량과 무게중심을 파악함으로써 설계 초기에 계획된 적재능력과 복원성(Stability)이 적절하게 확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시험의 실시는 선주와의 계약사항일 뿐만 아니라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기도 하다. 특히 선박의 복원성(Stability)을 평가하기 위해서 선박 자체의 무게중심을 알아야 한다. 복원성(Stability) 평가에 가장 중요한 높이방향 중심(수직중심; VCG, Vertical Center of Gravity)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일정한 중량물을 선박의 좌/우현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변하는 경사각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계산할 수 있는 데, 이를 경사시험이라 통칭하고 있다.
경사시험은 선박의 무게중심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이러한 경사시험의 실시는 선주와의 계약사항일 뿐만 아니라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기도 하다. 통상 경사시험은 선박의 중심선에 진자를 달아 놓고 좌현과 우현의 정해진 위치에 중량물을 옮겨 놓을 때마다 진자의 변화된 경사각을 반복 계측하는 방식으로 선박의 무게 중심을 구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갑판 좌현 및 우현의 정해진 위치에 외경사 모멘트를 유발하기 위한 중량물을 놓고 경사시험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좌현과 우현 모두에 중량물을 놓고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중량물을 좌현 및 우현으로 옮기면서 변화되는 경사각의 반복된 계측을 통해 선박의 무게 중심을 구하게 된다.
또한 종래 경사시험에 있어 각 선급에서는 중량물의 이동에 의한 경사각도를 최소 1도 이상(최대 4도) 확보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때 미탑재 중량물들의 총합은 전체 경하중량의 2%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잠수식 시추선(Semi-RIG)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수면 하부에서 큰 부력(Buoyancy)의 확보를 위해 대형의 폰툰(Pontoon)이라는 부력 조절을 위한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폰툰의 상부 양측에 컬럼(Column)이라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을 매개로 각종 설비를 탑재하고 있는 상부 플랫폼이 갖춰져 있다.
종래 선박에 대한 경사시험은 선체의 좌/우현으로 이동시키는 중량물로 중량체(Solid Shifting Weight, 즉 블록 또는 평형수(Ballast Water)를 이용하는데, 중량체는 육상에 설치된 크레인 또는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의 좌/우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평형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또는 안티 롤링탱크(Anti Rolling Tank)를 이용한다.
또한, 종래 반잠수식 시추선에 대한 경사시험이 깊은 흘수(Draft)에서 진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폰툰의 하부에는 약 5m 높이의 스러스터(Thruster)가 설치되기 때문에 실제 경사시험을 위한 수심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야드(Yard) 내가 아닌 외항의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여 경사시험을 수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종래 반잠수식 시추선에 대한 경사시험의 진행을 위해서는 깊은 흘수 조건과 폰툰 하부에 설치되는 쓰러스터의 높이를 고려하여 시험위치를 선정해야 하므로, 수심에 제한이 있는 야드 내에서는 수행이 어려웠고,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은 야드 밖 외항으로 시험위치를 옮겨야만 한다. 이 결과, 종래 반잠수식 시추선에 대한 경사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수반된다. 먼저, 반잠수식 시추선을 야드에서 외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4대 이상의 예인선(Tug boat)이 상시 지원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외항의 특정 위치에서 반잠수식 시추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본선과의 계류설비를 제어(Mooring Control)해야 한다. 이때, 대략 2일간의 왕복 이동 시간 및 경사시험 수행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인력과 연료 소비 등의 제반 비용(식비, 청수)의 발생이 수반된다. 즉, 반잠수식 시추선의 가동을 위한 대략 70여명의 인력(Commissioning People)이 대기해야 하고, 경사시험의 수행기간 동안 승선 인원을 위한 거주시설(Accommodation)을 마련해야 하며, 경사시험 대기 시간 및 비상 상황을 위해 별도의 예인선을 운용해야 한다.
또한, 외항은 야드에 비해 환경 조건(파도, 바람, 조류 등)이 열악하기 때문에 대기 시간의 소요에 따른 제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경사시험의 수행 결과에 있어도 신뢰도가 낮을 수 있고, 드래프트 리딩(Draft Reading), 중량물(Weight)의 운반 및 이동, 작업선(Work Boat)을 이용한 각종 물자의 지원 등 경사시험의 수행에 있어 각종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안전성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게 된다. 아울러, 현장 업무(Sea Trial 및 Commissioning 등)의 일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공기의 단축은 물론 건조 납기일을 맞추는 데에 도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한편, 항내에서는 외항에서보다 조류 및 바람과 같은 외력의 영향이 작으므로, 외항에서 경사시험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항내에서 경사시험을 하는 경우에 보다 신뢰도 있는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항내에서는 경사시험에 필요한 수심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수심 확보를 위해서는 안벽 내의 준설이 필요하며, 이 경우 막대한 비용 및 시간이 든다.
이에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의 형상특성을 고려한 최소 준설 비용 및 제반 장치를 가지고 항내에서 경사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8623호 (2012.02.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0720호 (2015.05.1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내에서 경사시험을 위한 수심을 확보하고, 정확한 경사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항내 경사검사 장치는 해저에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되어, 폰툰의 쓰러스터를 수용하는 수용유닛; 연결줄에 의해 상기 해저와 연결되고, 수면위에 위치하는 부표; 상기 폰툰에 연결되는 계측봉; 및 상기 부표와 상기 계측봉을 연결하는 계측줄을 포함한다. 상기 계측줄의 일단은 상기 부표에 고정되고, 상기 계측줄의 타단은 상기 계측봉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계측줄의 타단에는 무게추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계측봉은 일단이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계측봉의 타단이 개방되어, 상기 계측봉의 타단으로 상기 계측줄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폰툰이 상기 부표로 이동하면, 상기 계측봉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게추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항내 검사장치는 수용용기를 덮는 메쉬 시트 형상의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내 경사시험 방법은 상기 항내 경사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시험을 수행한다. 항내 경사시험 방법은 상기 폰툰를 경사시험 수행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폰툰의 쓰러스터를 상기 수용유닛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부표와 상기 계측봉 사이에 상기 계측줄을 설치하여 상기 부표 와 상기 계측봉을 연결하는 계측줄설치단계; 경사시험의 초기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기 선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단계; 및 상기 선체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측정단계를 포함한다. 항내 경사시험 방법은 상기 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선체를 이동시켜 상기 부표와 상기 계측봉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정단계; 및 상기 경사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선체의 이동 흘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선체의 부력을 확보하는 부력확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경사시험을 항내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경사시험 비용, 경사시험의 소요시간 및 시험 시 소요 인력을 크게 절감하여 시험 시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시험을 통해 선박의 복원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선박 건조에 반영하여 선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항내에서의 경사시험시 필요한 수심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준설에 비해 적은 양의 준설이 필요하므로, 기존 준설에 대비하여 준설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항내에 선체가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계측줄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계측줄과 계측봉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부표와 계측줄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덮개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덮개의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하측’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하고,‘상측’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항내에 선체가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경사시험 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내 경사시험 장치는 부표(30), 계측줄(40), 계측봉(50) 및 수용유닛(60)을 포함한다.
수용유닛(60)은 해저(20)에 형성된 오목부(21)에 설치된다.
오목부(21)는 해저(20)의 바닥을 준설하여 형성한다. 오목부(21)에 수용유닛(60)을 설치하지 않고 경사시험을 수행할 경우에, 오목부(21)의 벽이 붕괴되면, 해저(20)에 쓰러스터(11, thruster)가 접촉하거나, 선체(11)가 해저(20)에 좌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오목부(21)의 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목부(21)에 수용유닛(60)이 설치된다.
수용유닛(60)은 원통형상이며, 내부식성을 갖는 강청(steel)로 형성된다. 수용유닛(60)의 하면(62)은 원판형상이고, 수용유닛(61)의 옆면(61)은 하면(62)의 둘레를 따라 연결된다. 경사시험 시에 폰툰(10, pontoon)에 연결된 쓰러스터(11)가 수용유닛(60)의 내부에 위치한다. 쓰러스터(11)와 수용유닛(60)의 하면(62)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유닛(60)의 옆면(61)의 높이는 폰툰(10)으로부터 쓰러스터(11)가 졸출된 길이(C) 보다 길게 형성된다. 수용유닛(60)의 하면(62)의 직경은 쓰러스터(11)와 수용유닛(60)의 옆면(61)의 충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경사시험 시에 폰툰(10)은 바닷물 상에서 부동(free floating) 상태에 놓인다. 쓰러스터(11)는 슈용유닛(6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이 경우 조류의 영향으로 폰툰(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즉, 경사시험 중에는 폰툰(10)의 쓰러스터(11)는 수용유닛(60)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쓰러스터(11)와 수용유닛(60)의 옆면(61)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유닛(60)의 하면(62)의 직경은 쓰러스터(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수용유닛(60)은 쓰러스터(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수용유닛(60)은 적어도 쓰러스터(11)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된다. 참고로, 도 1에는 8개의 쓰러스터(11)에 대응하는 8개의 수용유닛(8)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유닛(60)의 높이 및 직경은 쓰러스터(11)의 크기 및 항내에서의 조류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폰툰(10)의 상단부에는 계측봉(50)이 연결된다. 계측봉(50)은 일단(52)이 폰툰(1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일단(51)의 반대측 단부인 타단(51)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즉, 계측봉(50)은 폰툰(10)의 상단부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계측봉(50)은 길이 방향으로 마킹이 되어 있어서, 계측봉(50)이 수면 아래로 잠긴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계측봉(50)은 폰툰(10)에 연결되므로, 계측봉(50)의 잠긴 깊이를 확인함으로써, 폰툰(10)이 수면 아래로 잠긴 깊이 내지 흘수를 확인할 수 있다.
부표(30)는 수면(70) 위에 위치하며, 연결줄(32)에 의해 해저(20)에 연결된다. 해저(20)에는 해저(20)와 연결줄(32)을 연결하는 고정대(33)가 설치된다. 연결줄(32)의 일단은 고정대(33)에 연결되고, 타단은 부표(30)에 연결된다. 부표(30)는 부력에 의해 수면(70)에 위치하며, 고정대(33)의 수직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부표(30)의 위치로부터 고정대(3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용유닛(60) 근처에 고정대(33)를 설치하면, 수면(70) 밖에서, 부표(30)의 위치로부터 수용유닛(6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계측줄(40)은 부표(30)와 계측봉(50)을 연결한다. 계측줄(40)의 일단은 부표(30)에 연결되고, 타탄은 계측봉(50)의 내부로 삽일될 수 있어서, 부표(30)와 계측봉(50)에 연결되는 계측줄(40)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계측줄(40)에는 일정한 길이마다 마킹되어 있어서, 계측줄(40)의 길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계측줄(40)에 표시된 마킹으로부터 부표(30)와 계측봉(50)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계측줄(40)은 일정한 거리마다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경사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쓰러스터(11)는 수용유닛(6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쓰러스터(11)와 수용유닛(60)의 옆면(61)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쓰러스터(11)가 수용유닛(60)의 옆면(61)에 접촉하는 경우에 부표(30)와 계측봉(50)의 길이를 미리 측정하면, 이때 측정된 길이는 계측줄(40)의 최소 허용 길이가 된다. 따라서, 경사시험 중에는 계측줄(40)의 길이가 최소 허용 길이보다 길도록 폰툰(10)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한편, 폰툰(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폰툰(10)에 4개 이상의 계측봉(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우측 상부에 2개의 계측봉(50)이 설치되고, 그 중 하나의 계측봉(50)은 우측에 위치하는 부표(30)에 연결되고, 다른 계측봉(50)은 하측에 위치하는 부표(3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2개의 계측봉(50) 중 하나는 좌측에 위치하는 부표(30)에 연결되고, 다른 계측봉(50)은 상측에 위치하는 부표(30)에 연결된다.
도 3은 계측줄(40)과 계측봉(50)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측줄(40)의 타단은 계측봉(50)의 내부로 삽입된다. 계측줄(40)의 타단에는 무게추(41)가 연결되어 있으며, 계측봉(50)의 자유단인 타단(51)은 개방되어 있다. 계측줄(40)의 무게추(41)는 계측봉(50)의 타단(51)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계측봉(5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무게추(41)에 의해서 계측줄(40)에는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폰툰(10)이 부표(30) 쪽으로 이동하면, 계측봉(50)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게추(41)가 계측봉(50)의 하방으로 이동하며, 폰툰(10)이 부표(3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무게추(41)가 계측봉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부표(30)와 계측봉(50) 사이의 계측줄(40)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무게추(41)에 의해 계측줄(4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부표(30)가 계측봉(5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부표(30)와 계측봉(50) 사이에 계측줄(40)을 연결하기 이전에, 부표(30)를 항내 고정된 시설에 줄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부표(3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부표(30)와 계측줄(40)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표(30)는 일단이 개구된 오목부(30a)를 포함하며, 도 4의 C 방향으로 고정편(31)이 오목부(30a)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편(31)은 계측줄(40)의 일단에 연결되며, 고정편(31)이 부표(30)의 오목부(30a)에 삽입됨으로써, 부표(30)와 계측줄(40)을 연결한다. 그리고, 수면(70)위에서, 사용자가 고정편(31)을 부표(30)의 오목부(30a)에 끼워넣음으로써, 계측줄(40)과 부표(3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덮개(23)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덮개(23)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용유닛(60)의 상부에는 덮개(23)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23)는 메쉬 시트 형상이어서, 덮개(23)로 해수가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3)는 자갈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시에는 덮개(23)를 수용유닛(60)에 설치하더라도, 해수가 메쉬를 갖는 덮개(23)를 통과하여 수용유닛(6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덮개(23)가 해수가 통과할 수 없는 면으로 형성될 경우, 수압에 의해 덮개(23)를 수용유닛(6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수용유닛(60)은 해저(20)의 오목부(21)에 설치되므로, 조류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조건에 의해 수용유닛(60) 내부로 모래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침범할 수 있다. 그리고, 항내에서는 견인선(Tug) 및 기타 선박들이 운항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선박들의 프로펠러에 의한 영향 및 조류의 영향으로 오목부(21)가 붕괴될 수도 있다. 오목부(21)가 붕괴되거나, 이물질이 수용유닛(60) 내부로 지속적으로 침범하게 되면, 경사시험 시에 쓰러스터(11, 도 2 참조)가 수용유닛(60) 내부의 이물질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시험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용유닛(60) 상부에 덮개(23)를 설치하여, 수용유닛(60) 내부로의 이물질 침범을 방지한다. 그리고, 동일한 선종의 경사시험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오목부(21)의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미 형성된 오목부(21)를 이용하여 경사시험을 할 수 있다. 즉, 동일 선종의 다른 폰툰(10, 도 1 및 도 2 참조)에 대한 경사시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오목부(21)를 만들지 않고, 기존의 오목부(21)를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오목부(21)의 붕괴를 막기 위해 수용유닛(60)을 이용하고, 오목부(21)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범의 막기 위해 수용유닛(60) 위에 덮개(23)를 설치한다.
경사시험을 하지 않는 평시에는 수용유닛(60)의 상부에 덮개(23)를 설치하여, 해수는 수용유닛(60) 내부로 들어갈 수 있지만, 자갈이나 다른 장애물들은 수용유닛(60)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덮개(23)는 경사시험 전에 제거되고, 평시에는 수용유닛(60) 상부에 설치하여, 동일 선종의 다른 선체의 경사시험이 가능하도록 수용유닛(6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용유닛(60)은 덮개(23)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덮개(23)는 수용유닛(60) 고정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23b)를 포함한다. 결합부(23b)는 고정부(24)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편(25)이 관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항내 경사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준설 및 설치 단계에서, 해저(20)에 수용유닛(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21)가 형성시키고, 오목부(21)에 수용유닛(60)을 설치한다. 동일한 선종의 다른 선체에 대한 경사시험을 수행하는 경우하면, 수용유닛(60)을 1회만 설치하고, 다른 선체의 경사시험마다 이미 설치된 수용유닛(60)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동단계에서 경사시험의 대상체인 선체를 경사시험 수행위치로 이동시키며, 폰툰(10)의 쓰러스터(11)를 수용유닛(6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쓰러스터(11)를 수용유닛(60) 내에 위치시키기 전에는, 쓰러스터(11)는 해저(20)의 상측에 위치하여야 쓰러스터(11)와 해저(2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단계 이후의 위치조정단계에서는, 폰툰(10)을 이동시켜 부표(30)와 계측봉(50)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 때, 부표(30)와 계측봉(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유닛(60)과 쓰러스터(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수용유닛(60)의 중앙부 상측에 쓰러스터(11)가 위치하도록 폰툰(10)을 견인선 등으로 미세조정한다.
다음으로, 계측줄(40) 설치단계에서는, 부표(30)와 계측봉(50)에 각각 계측줄(40)을 설치한다. 고정편(31)을 부표(30)의 오목부(30a)에 끼워넣음으로써 계측줄(40)의 일단을 부표(30)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계측줄(40)의 타단을 계측봉(50)의 개방된 타단(51)에 무게추(41)를 삽입시킴으로써 계측줄(40)의 타단을 계측봉(50)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부력조절단계에서는, 경사시험의 초기 조건에 부합하도록 폰툰(10)의 부력을 조절한다. 폰툰(10)의 부력을 조절하여, 선체의 흘수를 증가시키면, 쓰러스터(11)는 수용유닛(60) 내부로 들어간다.
경사측정단계에서는 선체의 경사를 측정한다. 선체의 경사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폰툰(10)은 정위치를 이탈할 수 있으므로, 이 때 견인선으로 폰툰(10)의 위치를 재조정한다. 부표(30) 및 계측봉(50) 사이의 계측줄(40)의 길이를 수시로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선체의 선수 및 선미 측의 변위량을 동시에 체크하여야 한다.
경사측정단계 이후의 부력확보단계에서는 선체의 이동 흘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폰툰(10)의 부력을 확보한다. 즉, 수용유닛(60) 내부에 쓰러스터(11)가 위치한 상태에서 폰툰(10)이 이동하면, 쓰러스터(11)와 수용유닛(60)이 충돌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폰툰(10)의 부력을 확보하여 충분한 이동 흘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부력확보단계에서는 천체의 부력을 증가시켜 흘수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계측줄해체단계에서는, 부표(30)와 계측봉(50) 사이에 설치된 계측줄(40)을 제거한다. 계측줄(40)에 연결된 고정편(31)을 부표(30)의 오목부(30a)부터 분리하고, 계측줄(40)에 연결된 무게추(41)를 계측봉(50)의 내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부표(30)와 계측봉(50)으로부터 계측줄(40)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체를 안벽으로 이동시키고, 경사시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폰툰 11 쓰러스터
20 해저 21 오목부
23 덮개 24 고정부
25 결합편 30 부표
31 고정편 32 연결줄
33 고정대 40 계측줄
41 무게추 50 계측봉
60 수용유닛 70 수면

Claims (8)

  1. 해저에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되어, 폰툰의 쓰러스터를 수용하는 수용유닛;
    연결줄에 의해 상기 해저와 연결되고, 수면위에 위치하는 부표;
    상기 폰툰에 연결되는 계측봉; 및
    상기 부표와 상기 계측봉을 연결하는 계측줄을 포함하고,
    상기 계측줄의 일단은 상기 부표에 고정되고 상기 계측줄의 타단은 상기 계측봉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계측줄의 타단에는 무게추가 연결되되,
    상기 계측봉은 일단이 선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계측봉의 타단이 개방되어 상기 계측봉의 타단으로 상기 계측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내 경사시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가 상기 부표로 이동하면, 상기 계측봉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게추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내 경사시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을 덮는 메쉬 시트 형상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항내 경사시험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항내 경사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시험을 수행하는 항내 경사시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폰툰을 경사시험 수행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폰툰의 쓰러스터를 상기 수용유닛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부표와 상기 계측봉 사이에 상기 계측줄을 설치하여 상기 부표 와 상기 계측봉을 연결하는 계측줄설치단계;
    경사시험의 초기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기 선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단계; 및
    상기 선체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시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 이후에, 상기 선체를 이동시켜 상기 부표와 상기 계측봉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정단계; 및
    상기 경사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선체의 이동 흘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선체의 부력을 확보하는 부력확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경사시험 방법.
KR1020160079019A 2016-06-24 2016-06-24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KR10256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019A KR102564438B1 (ko) 2016-06-24 2016-06-24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019A KR102564438B1 (ko) 2016-06-24 2016-06-24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38A KR20180000838A (ko) 2018-01-04
KR102564438B1 true KR102564438B1 (ko) 2023-08-09

Family

ID=6099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019A KR102564438B1 (ko) 2016-06-24 2016-06-24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4607A (zh) * 2022-05-24 2022-08-02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辅助船舶倾斜试验的顶推工装及船舶倾斜试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7B1 (ko) * 2007-11-08 2008-04-30 한만송 위험선 표시 부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878B1 (ko) 2010-07-19 2017-05-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KR20140022999A (ko) * 2012-08-16 2014-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50050720A (ko) 2013-10-31 2015-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경사 시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462U (ko) * 2014-07-30 2016-02-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경사시험 장치
KR101654608B1 (ko) * 2014-11-18 2016-09-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리그 및 반잠수식 리그의 경사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7B1 (ko) * 2007-11-08 2008-04-30 한만송 위험선 표시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38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80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CA2407139C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KR101837237B1 (ko) 시초 기둥을 구비한 해양 플랫폼
US6435773B1 (en) Articulated multiple buoy marine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BRPI0808590A2 (pt) Embarcação de apoio elevatória e seu uso"
BR112012005671B1 (pt) embarcação de casco único para implementação e recuperação de equipamentos na região offshore e método para submergir equipamento
NO20160906A1 (en) Sea bed terminal for drilling
US6719495B2 (en) Articulated multiple buoy marine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2712348A (zh) 通过延伸浮筒增加在张力腿上的漂浮性和稳定性的系统
CN104411577A (zh) 浮动海上平台和中间开口龙骨板
CN104981396A (zh) 使用浸没式浮桥的系泊装置
US656528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assembling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101877037B1 (ko) 모형 실험용 계류계 앵커의 위치 조절 장치 및 방법
ES2542427T3 (es) Método de carga de casco spar
NO339313B1 (no) Skliskoinnretning for lasting og transport av store strukturer
KR102564438B1 (ko)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US20190106854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ving fixed offshore platforms
KR101654608B1 (ko) 반잠수식 리그 및 반잠수식 리그의 경사시험 방법
TWI760516B (zh) 水下設置錨之強度測試方法
AU2001288897B2 (en) Articulated multiple buoy marine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2450502B1 (ko) 반잠수식 리그선의 종방향 경사시험 방법
Bennett Proven Alternative Hull Designs for Surface Drilling/Production Systems
RU85439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по внутренним водным путям
WO2017164919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ving fixed offshore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