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379B1 -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79B1
KR102564379B1 KR1020220070643A KR20220070643A KR102564379B1 KR 102564379 B1 KR102564379 B1 KR 102564379B1 KR 1020220070643 A KR1020220070643 A KR 1020220070643A KR 20220070643 A KR20220070643 A KR 20220070643A KR 102564379 B1 KR102564379 B1 KR 10256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 scale
unit
drum
recycled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훈
Original Assignee
렘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렘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렘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0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briquetting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06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pellet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2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밀 스케일을 이송시키는 공급컨베이어와; 공급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밀 스케일을 받아 건조시킨 후 배출하는 건조부와;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밀 스케일에, 환원제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가하는 바인더공급부와; 바인더공급부를 통과한 밀 스케일과 바인더를 혼합하는 믹싱부와; 믹싱된 혼합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여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을 형성하는 브리켓머신이 구비된 브리켓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는,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되는 대량의 밀 스케일을 이송시키면서, 건조와 바인딩과 브리켓팅을 차례로 수행하여 양호한 물성의 브리켓 재활용품을 연속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과정으로서의 건조공정을 통해, 밀 스케일에 대한 수분을 미리 제거하므로, 재활용 브리켓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Mill scale recycling briquette manufacturing facility}
본 발명은, 제강공정이나 압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Mill scale)을 가공 처리하여, 철광석의 대용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 브리켓을 제작하는,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제강공정 및 압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 스케일(Mill scale)은, 800℃ 이상으로 가열 및 가공되는 강(鋼)의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이다. 이러한 밀 스케일은, 산화작용의 부산물로서, 유용성분인 철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하고 있다.
밀 스케일은, 분말상으로 존재하므로, 브리켓팅(briquetting)을 하지 않고 분말 상태 그대로 제강 공정에 투입할 경우, 반응용기 상부에 형성되는 강한 상승기류로 인하여 대부분이 유실되게 된다. 밀 스케일을 덩어리 형태로 뭉쳐 투입하기도 하는데, 그렇게 하더라도 반응용기 내에서 다시 분화되어 유실되는 경우가 많다.
밀 스케일을 고온의 용융 가스화로에 투입하더라도 풀리지 않고 일정 형상을 유지하게 하는 재횔용 브리켓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27710호 (강도가 강화된 밀 스케일 브리켓)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13024호 (초미립자 슬래그 미분말의 제조방법)에는, ⅰ) 제철/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볼밀(Ball Mill) 또는 롤러밀(Roller Mill)로 분쇄하여 100 ~ 150㎛의 입경분포를 가지는 슬래그를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분쇄된 슬래그에 황산, 염산, 질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액인 강산 또는 Ca(OH)2, NaOH, KOH 및 NaHCO3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액인 강염기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교반시키는 단계; ⅲ) 상기 교반된 반응물의 pH가 6~7이 되면, 여과 또는 여과 과정 없이 110 ~ 120℃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건조된 미분말은 채(sieve)나 초미분 분급기를 사용하여 미반응 슬래그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고, 분말도가 8,000~14,000 ㎠/g인 입경분포를 가지는 초 미립자 슬래그 미분말을 얻는 단계가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밀 스케일을 이송시키며 재활용 브리켓을 제조하되, 밀 스케일에 대한 수분을 미리 제거하여 양호한 물성의 재활용 브리켓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는, 밀 스케일을 이송시키는 공급컨베이어와; 공급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밀 스케일을 받아 건조시킨 후 배출하는 건조부와;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밀 스케일에, 환원제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가하는 바인더공급부와; 바인더공급부를 통과한 밀 스케일과 바인더를 혼합하는 믹싱부와; 믹싱된 혼합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여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을 형성하는 브리켓머신이 구비된 브리켓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프레임과, 받침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된 밀 스케일을 받아 수용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수단과, 회전드럼의 내부에 건조용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하류측에는, 회전드럼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부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출구가 형성된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회전드럼의 외측에는; 회전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고정링과, 고정링과 평행한 링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드럼회전수단은; 링기어에 치합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받침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링을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러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공급부는; 공기를 발생하는 블로워와, 블로워에서 만들어진 송풍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회전드럼의 내부로 분출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회전드럼의 출구측 단부를 수용하고, 회전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상향 유도하는 배기타워와, 배기타워에 이어지는 배기덕트와, 배기타워 내부의 기체를 배기덕트로 이동시키는 배기팬과, 배기되는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의 하부에는, 회전드럼의 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밀 스케일과 접하며, 밀 스케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는; 회전드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기력을 이용해 밀 스케일을 흡착하는 드럼마그네트와, 드럼마그네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드럼마그네트의 하부에는, 밀 스케일을 바인더공급부로 보내는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는,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되는 대량의 밀 스케일을 순차 이송시키면서, 건조와 바인딩과 브리켓팅을 차례로 수행하여 양호한 물성의 재활용 브리켓을 연속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전처리 과정으로서의 건조공정을 수행하므로, 양호한 품질의 재활용 브리켓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드럼의 회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드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기부와 드럼마그네트를 건조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회전드럼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회전드럼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링의 일부 확대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받침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0a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7의 E-E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는, 제철소에서 수거된 밀 스케일을 가공하여 재활용 브리켓으로 만드는 설비이다. 재활용 브리켓은, 밀 스케일을 재활용한 결과물(MSB : Mill Scale Briquette)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브리켓 제조설비는, 밀 스케일을, 바인더와 혼합하기에 앞서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갖는다. 밀 스케일을 바인더와 믹싱하기 전에 건조시킴으로써, 밀 스케일과 바인더와의 결합력이 상승하여, 제조된 재활용 브리켓의 물리적 강도가 향상된다. 즉, 브리켓을 반응용기에 투입하더라도 분화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드럼의 회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회전드럼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배기부와 드럼마그네트를 건조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10)는, 밀스케일공급부(11), 건조부(20), 바인더공급부(55), 믹싱부(57), 브리켓팅부(61)를 포함한다.
밀스케일공급부(1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밀 스케일(101)을 받아 건조부(2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리시빙호퍼(11a)와 공급컨베이어(11c)를 구비한다. 리시빙호퍼(11a)는 밀 스케일(101)을 일단 수용하며, 공급컨베이어(11c)로 내려 보낸다. 참고로 밀 스케일(101)에는 순수한 밀 스케일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분순물이 섞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후술하는 선별부(도 5의 46)에 의해 분리된다. 공급컨베이어(11c)는 리시빙호퍼(11a)에서 배출된 밀 스케일(101)을 회전드럼(21)의 내부로 공급한다.
건조부(20)는, 공급컨베이어(11c)를 통해 이송된 밀 스케일을 받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밀 스케일을 건조시키는 이유는, 밀 스케일과 바인더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밀 스케일과 바인더의 결합력이 커지면 밀 스케일 분말 간의 결합력도 당연히 강해진다. 밀 스케일에 수분이 남아 있을 경우, 바인더는 밀 스케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건조부(20)는, 받침프레임(24), 회전드럼(21), 드럼회전수단, 에어공급부(27), 배기부(41)를 구비한다.
받침프레임(24)은, 회전드럼(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받침프레임(24)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가령, 높낮이 조절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받침프레임(24)의 상부에는 다수의 받침롤러(26a)와 모터(25)가 설치된다. 받침롤러(26a)는 롤러베어링(26b)에 지지되는 롤 형태의 부재로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드럼(21)의 고정링(23)을 받쳐 지지한다. 회전드럼(21)이 회전할 때 받침롤러(26a)는 구름운동 한다. 회전드럼(21)은 받침롤러(26a)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을 유지하며 회전 운동한다.
모터(25)는 회전드럼(21)의 하부에서 구동기어(25a)를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드럼회전수단이다. 구동기어(25a)는 링기어(22)에 치합한다. 모터(25)의 회전력이 구동기어(25a)와 링기어(22)를 통해 회전드럼(21)에 전달됨은 당연하다. 결국 회전드럼(21)은 다수의 받침롤러(26a)에 받쳐진 상태로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운동 한다.
회전드럼(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직경의 원통형 부재로서, 드럼본체(21b)와 고정블레이드(21c)를 갖는다. 드럼본체(21b)는 건조공간(21a)을 제공하고, 일측에 입구(21e), 반대측에 출구(21f)를 갖는다. 입구(21e)에는, 공급컨베이어(11c)와 송풍덕트(27d)가 인입되어 있다. 고정블레이드(21c)는, 드럼본체(21b)의 내주면에 고정된 부재로서, 밀 스케일을 뒤섞는 작용을 한다. 고정블레이드(21c)의 모양이나 사이즈는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공급컨베이어(11c)는 밀 스케일을 회전드럼(21)의 건조공간(21a)으로 공급한다. 또한 송풍덕트(27d)는 건조공간에 건조용 공기를 분출한다. 출구(21f)는, 건조가 완료된 밀 스케일이 빠져나가는 통로이다. 출구(21f)를 통해 배출되는 밀 스케일은 배출컨베이어(53)에 로딩되어 계량호퍼(54)를 향한다.
출구의 하부에는 선별부(46)가 위치한다. 선별부(46)는, 출구(21f)와 회전드럼(21)의 틈새 사이로 빠진 밀 스케일을, 자력(磁力)으로 붙여 이송컨베이어(51)에 올린다. 특히, 선별부(46)는, 밀 스케일에 섞여 있을 수 있는 비자성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을 하부이송컨베이어(52)로 유도한다. 하부이송컨베이어(52)로 빠지는 이물질의 부피를 통해, 현재 건조되고 있는 밀 스케일의 순도를 가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회전드럼(21)의 외측에는 링기어(22)와 두 개의 고정링(23)이 설치된다. 링기어(22)는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로서, 회전드럼(21)의 중앙에 위치하며 구동기어(25a)와 치합한다. 고정링(23)은 링기어(22)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고정된 링형 부재이다. 고정링(23)과 구동기어(25a)는 평행하다. 고정링(23)의 외주면은 받침롤러(26a)에 지지된다.
에어공급부(27)는, 회전드럼(21)의 내부에 건조용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서, 블로워(27a), 히터(27b), 송풍덕트(27d)를 구비한다.
블로워(27a)는 회전드럼(21) 내부로 공급할 공기를 펌핑하는 에어펌프이다. 블로워의 형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히터(27b)는 블로워에서 발생한 송풍공기를 가열한다. 히터(27b)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는 50℃ 내외 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히터(27b)를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송풍덕트(27d)는 히터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회전드럼(21)의 내부로 분출하는 덕트이다. 송풍덕트(27d)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회전드럼(21)을 채우며, 밀 스케일의 수분을 제거한다.
한편, 배기부(41)는, 회전드럼(21)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회전드럼의 출구(21f)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먼지, 분진, 습기)를 포집 및 정화 처리 한 후 외부로 배기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부(41)는, 배기타워(41a), 배기덕트(45a), 배기팬(45), 필터(43)를 포함한다.
배기타워(41a)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체로서, 그 내부에 회전드럼(21)의 출구(21f)를 수용한다. 배기타워(41a)의 내부공간은 상향유도공간(41b)으로서, 출구(21f)로부터 나오는 기체를 상부로 유도한다.
또한 배기타워(41a)의 하측부에는 전면통로(41d)와 후면통로(41e)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통로(41d)는 배출컨베이어(53)를 설치하기 위한 통로이다. 배출컨베이어(53)의 일부가 전면통로(41d)를 통해 출구(21f)에 근접 배치된다. 후면통로(41e)는 하부이송컨베이어(52)의 일부가 설치되는 통로이다. 하부이송컨베이어(52)는, 밀 스케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수단이다.
도면부호 41c는 차단스커트이다. 차단스커트는, 배출컨베이어(53)에 로딩된 밀 스크린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밀 스크린이 차단스커트(41c)의 하부를 스쳐 지나가며 높이가 일정해지는 것이다.
배기팬(45)은 상향유도공간(41b) 내부의 공기를 위로 빨아 내는 역할을 한다. 배기팬(45)에 의해 흡기된 공기는 배기덕트(45a)를 통해 외부로 빠진다. 배기덕트(45a)는 배기타워(41a)의 상단부에 연결된 덕트이다.
필터(43)는, 배기팬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통과시키며, 회전드럼(21)으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나 분진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회전드럼(21)의 출구(21f) 하부에는 선별부(46)가 설치된다. 선별부(46)는, 회전드럼의 출구로부터 낙하하는 일부 밀 스케일과 접하며, 밀 스케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것이다. 회전드럼(21)에서 배출되는 밀 스케일은 거의 대부분 배출컨베이어(53)로 넘어가지만 일부는, 배출컨베이어(53)와 출구(21f)의 사이 틈새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데, 틈새로 떨어지는 밀 스케일과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물질은, 예를 들어, 밀 스케일을, 제철소에서 브리켓 재활용 공장으로 운송할 때, 또는 재활용 공장에 야적 시 얼마든지 들어갈 수 있다. 이물질로서 모래나 흙 또는 비철 금속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선별부(46)는, 드럼마그네트(47)와 구동모터(48a)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8a)는 드럼마그네트(47)의 회전축(47a)에 체인(48b)으로 연결되며, 드럼마그네트(47)를 회전시킨다.
드럼마그네트(47)는 원통의 형상을 취하며 영구자석을 내장한다. 상기한 틈새를 통해 하부로 낙하한 밀 스케일은, 드럼마그네트(47)의 외주면에 흡착된 상태로 회전하고, 이송컨베이어(51)의 상부에 도달했을 때, 드럼마그네트(47)로부터 분리되어 이송컨베이어(51)에 로딩된다. 하지만 자성이 없는 이물질은 드럼마그네트(47)에 부딪힌 후 화살표 c방향으로 내려가 하부이송컨베이어(52)에 실린다. 하부이송컨베이어(52)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이다.
상기 선별부(46)를 설치 운용하는 이유는, 건조가 완료된 밀 스케일의 순도를 알기 위한 것이다. 말하자면 배출컨베이어(53)로 넘어가는 밀 스케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부피를 가늠하기 위한 것이다. 화살표 c방향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의 부피가 많으면 많을수록, 배출컨베이어(53)로 넘어가는 밀 스케일이 순도가 좋지 않는 것이다. 이 때에는 설비를 멈추어 적절한 조치를 취하거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다른 공정을 추가한다.
하지만 밀 스케일의 순도가 보장된다면, 배출컨베이어(53)를 출구(21f)의 하부에 까지 진입시키고, 선별부(46)는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컨베이어(53)를 통해 이송되는 밀 스케일은 계량호퍼(54)로 이동한다. 계량호퍼(54)는 밀 스케일을 설정된 양만큼 씩 하부로 내려 보낸다. 즉, 바인더공급부(55)에서 공급될 바인더의 부피에 대응하는 양 만큼 내려 보내는 것이다. 계량호퍼(54)에서 배출되는 밀 스케일은 이송컨베이어(51)을 타고 바인더공급부(55)의 하부로 이동한다. 선별부(46)에 의해 선별된 밀 스케일의 부피는 무시할 수 있는 양이다.
바인더공급부(55)는,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밀 스케일에, 환원제(코크스더스트, 침전코크스, 미분탄 및 무연탄, 유연탄, 흑연 등)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가하는 것으로서, 바인더를 수용하는 사일로(55a)를 포함한다. 사일로(55a)에서 배출된 바인더는 밀 스케일과 함게 이송컨베이어(51)를 타고 믹싱부(57)로 이동한다.
믹싱부(57)는, 밀 스케일과 바인더를 혼합하는 혼합장치이다. 믹싱부(57)에서 혼합된 혼합물은 믹서호퍼(57b)를 통해 배출되어 다른 이송컨베이어(58)를 타고 브리켓팅부(61)로 이동한다.
브리켓팅부(61)는 브리켓머신(61a)을 갖는다. 브리켓머신(61a)은 혼합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여, 혼합물을 재활용 브리켓으로 성형하는 장치이다. 브리켓머신(61a)의 구성이나 작동 방식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리켓팅부(61)에서 브리켓으로 성형된 '재활용 브리켓'은 이송컨베이어(63)를 통해 이송되어, 야적되거나 운반트럭에 실린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회전드럼(21)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드럼(21)에 다수의 스케일라이저(28)가 더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케일라이저(28)는 고정링(23)에 지지된다.
스케일라이저(28)는 회전드럼(21) 내에서 고정블레이드에 의해 뒤섞이고 있는 밀 스케일을 더욱 활발히 혼합하는 것으로서, 푸싱블록(28c), 연장로드(28d), 스프링(28b), 고정힌지(28f), 회전아암(28g), 밀폐커버(28a)를 포함한다.
스케일라이저(28)를 적용하기 위하여, 고정링(23)에는 링홀(23a)이, 드럼본체(21b)에는 로드관통공(21g)이 형성되어 있다. 링홀(23a)과 로드관통공(21g)은 일직선을 이루는 관통구멍이다. 특히 로드관통공(21g)의 내경은 링홀(23a)의 내경보다 작다.
푸싱블록(28c)은 육면체형 부재로서, 스프링(28b)과 함께 링홀(23a)내에 수용된다. 푸싱블록(28c)은 외부로부터 가해진 화살표 p방향의 힘에 의해, 스프링(28b)을 압축하며 링홀(23a) 내측으로 밀려들어간다.
스프링(28b)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드럼본체(21b)에 걸린 상태로 푸싱블록(28c)을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연장로드(28d)는, 일단부가 푸싱블록(28c)에 고정되며 드럼본체(21b) 내측으로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연장단부에 로드헤드(28k)를 갖는다. 로드헤드(28k)는 연결핀(28e)을 통해 회전아암(28g)에 링크되는 부재로서, 로드관통공(21g)의 내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져, 로드관통공(21g)으로 빠지지 않는다. 로드헤드(28k)는 스프링(28b)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관통공(21g)의 테두리부에 걸려 지지된다.
고정힌지(28f)는 로드관통공(21g)의 측부에 고정된 부재로서, 회전아암(28g)의 단부를 지지한다. 회전아암(28g)은 고정힌지(28f)를 기준으로 화살표 f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아암(28g)은 연결핀(28e)을 통해 로드헤드(28k)와 링크된다.
따라서, 푸싱블록(28c)을 화살표 E방향으로 가압하면, 회전아암(28g)은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하며 벽에 쌓여 있는 밀 스케일을 들어 다른 밀 스케일의 상부로 얹는다. 회전아암(28g)의 회전운동에 의해 밀 스케일의 혼합이 더욱 활발해지는 것이다.
밀폐커버(28a)는 링홀(23a)을 밀폐하며, 이물질이 드럼본체(21b)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드럼본체(21b) 내부의 건조용 공기가 유실되지 않게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케일라이저(28)는, 회전드럼(21)의 회전 시 받침롤러(26a)을 통과하며 받침롤러(26a)로부터 화살표 E방향의 힘을 받아 동작한다. 받침롤러(26a)가 원주방향으로 두 개 이므로, 회전아암(28g)은, 회전드럼(21)이 일 회전할 때 두 번 동작한다. 또한 푸싱블록(28c)이 눌리지 않을 때에는, 회전아암(28g)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드럼본체(21b)의 내벽면에 최대한 근접 대기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회전드럼(21)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고정링의 일부 확대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받침롤러의 사시도이며, 도 10a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b는 도 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회전드럼(21)에는 특이한 형상의 고정링(23)이 적용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23)의 내주면이 드럼본체(21b)의 외주면에 면접 밀착한다. 고정링(23) 내주면이 이루는 원(도 10a의 R1)의 중심점(S1)은, 당연히 드럼본체의 회전중심축선에 위치한다.
그런데, 고정링(23)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도 10a의 R2)의 중심점(S2)은, 내주면이 이루는 원(R1)의 중심점(S1)와 일치하지 않는다. 외주면이 이루는 원(R2)이, 내주면이 이루는 원(R1)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고정링(23)에는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 즉 후부(厚部)(23Y)와 박부(薄部)(23X)가 형성된다. 후부(23Y)의 최대 두께(Z1)는, 박부(23X)의 최대두께(Z2)의 2배 내지 3배 일 수 있다.
그리고 후부(23y)에는 다수의 진동유발홈(23d)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유발홈(23d)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이룬다. 진동유발홈(23d)은 회전드럼(21)이 회전할 때 받침롤러(26a)의 상부를 통과하며, 받침롤러(26a)와 충돌하여 진동을 발생한다. 고정링(23)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회전드럼(21) 내부의 밀 스케일로 전달된다. 덩어리져 있는 밀 스케일은 진동에너지를 받아 풀어진다.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23)의 외주면은 폭방향으로 둥글게 마감되어 있고, 받침롤러(26a)에는 구속홈(26d)이 형성되어 있다. 구속홈(26d)은 고정링(23)의 외주면에 선접촉하는 홈으로서, 고정링(23)이 화살표 n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두 개의 고정링(23)은 후부(23y)와 박부(23x)가 반대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를테면, 도 7의 좌측 고정링(23)의 후부(23y)가 12시 방향에 위치한다면, 우측 고정링(23)의 후부는 6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터(25)를 구동하면, 회전드럼(21)이 축회전함과 동시에 화살표 t방향으로도 요동(搖動)하고, 또한 진동유발홈(23d)이 받침롤러(26a)를 통과하는 동안 진동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드럼본체(21b) 내부의 밀 스케일이 더욱 활발히 뒤섞이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제조설비 11:밀스케일공급부 11a:리시빙호퍼
11c:공급컨베이어 20:건조부 21:회전드럼
21a:건조공간 21b:드럼본체 21c:고정블레이드
21e:입구 21f:출구 21g:로드관통공
22:링기어 23:고정링 23a:링홀
23d:진동유발홈 23x:박부(薄部) 23y:후부(厚部)
24:받침프레임 25:모터 25a:구동기어
26a:받침롤러 26b:롤러베어링 26d:구속홈
27:에어공급부 27a:블로워 27b:히터
27d:송풍덕트 28:스케일라이저 28a:밀폐커버
28b:스프링 28c:푸싱블록 28d:연장로드
28e:연결핀 28f:고정힌지 28g:회전아암
28k:로드헤드 41:배기부 41a:배기타워
41b:상향유도공간 41c:차단스커트 41d:전면통로
41e:후면통로 43:필터 45:배기팬
45a:배기덕트 46:선별부 47:드럼마그네트
47a:회전축 48a:구동모터 48b:체인
51:이송컨베이어 52:하부이송컨베이어 53:배출컨베이어
54:계량호퍼 55:바인더공급부 55a:사일로
57:믹싱부 57b:믹서호퍼 58:이송컨베이어
61:브리켓팅부 61a:브리켓머신 63:이송컨베이어
101:밀스케일

Claims (7)

  1. 밀 스케일을 이송시키는 공급컨베이어와;
    공급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밀 스케일을 받아 건조시킨 후 배출하는 건조부와;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밀 스케일에, 환원제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가하는 바인더공급부와;
    바인더공급부를 통과한 밀 스케일과 바인더를 혼합하는 믹싱부와;
    믹싱된 혼합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여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을 형성하는 브리켓머신이 구비된 브리켓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프레임과,
    받침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된 밀 스케일을 받아 수용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수단과,
    회전드럼의 내부에 건조용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하류측에는, 회전드럼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회전드럼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출구가 형성된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회전드럼의 외측에는;
    회전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고정링과, 고정링과 평행한 링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드럼회전수단은;
    링기어에 치합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받침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링을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은 후부(두꺼운 부분)와, 상기 후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는 갖는 박부(얇은 부분)가 형성되되, 각각의 고정링은 후부와 박부가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후부에는 다수의 진동유발홈이 형성되는,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공기를 발생하는 블로워와,
    블로워에서 만들어진 송풍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회전드럼의 내부로 분출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하는,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회전드럼의 출구측 단부를 수용하고, 회전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상향 유도하는 배기타워와,
    배기타워에 이어지는 배기덕트와,
    배기타워 내부의 기체를 배기덕트로 이동시키는 배기팬과,
    배기되는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하부에는,
    회전드럼의 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밀 스케일과 접하며, 밀 스케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가 더 설치된,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7. 제6항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회전드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기력을 이용해 밀 스케일을 흡착하는 드럼마그네트와, 드럼마그네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드럼마그네트의 하부에는, 밀 스케일을 바인더공급부로 보내는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된,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KR1020220070643A 2022-06-10 2022-06-10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KR10256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43A KR102564379B1 (ko) 2022-06-10 2022-06-10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43A KR102564379B1 (ko) 2022-06-10 2022-06-10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379B1 true KR102564379B1 (ko) 2023-08-07

Family

ID=8756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643A KR102564379B1 (ko) 2022-06-10 2022-06-10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3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155A (ja) * 1998-12-25 2000-07-11 Sumitomo Metal Ind Ltd 水分および油分を含むスラッジの処理方法
JP2003262470A (ja) * 2002-03-08 2003-09-19 Meidensha Corp 加熱処理方法とその装置及び施設
KR20110027327A (ko) * 2009-09-10 2011-03-16 진기철 원광미분 가공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원광 가공방법
KR20150129596A (ko) * 2014-03-03 2015-11-2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사쿠 고형 연료 제조 장치 및 고형 연료 제조 방법
KR102291543B1 (ko) * 2021-05-18 2021-08-20 (주)대성앤텍 양방향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155A (ja) * 1998-12-25 2000-07-11 Sumitomo Metal Ind Ltd 水分および油分を含むスラッジの処理方法
JP2003262470A (ja) * 2002-03-08 2003-09-19 Meidensha Corp 加熱処理方法とその装置及び施設
KR20110027327A (ko) * 2009-09-10 2011-03-16 진기철 원광미분 가공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원광 가공방법
KR20150129596A (ko) * 2014-03-03 2015-11-2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사쿠 고형 연료 제조 장치 및 고형 연료 제조 방법
KR102291543B1 (ko) * 2021-05-18 2021-08-20 (주)대성앤텍 양방향 슬러지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253B2 (en) Processed DRI material
CN111455165B (zh) 一种高铁氰化尾渣的悬浮磁化焙烧破氰-弱磁选提铁装置
JP6179898B2 (ja) 製鋼用転炉排気残留物を再生利用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JP2018109229A (ja) 鉄鋼スラグの処理方法
KR102564379B1 (ko) 밀 스케일 재활용 브리켓 제조설비
CN101195167B (zh) 从炼钢污泥粗颗粒中提纯铁粉的方法
CN201026458Y (zh) 石灰石粉制备新系统
CA2833829C (en) Equipment to prepare ore concentrate for pelletizing
CN110639320A (zh) 一种转炉炼钢除尘废弃物回收利用装置及使用方法
KR20180030268A (ko) 압분체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6462189B (zh) 一种去除碳纳米管金属杂质的方法
KR102538357B1 (ko) 재활용 밀 스케일 건조장치
KR102538353B1 (ko) 밀 스케일 가공용 건조장치
JP2013234239A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設備および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US3420453A (en) Damp grinding for agglomeration
WO2006115651A2 (en) Auto shredder air scrubber
JPS6320047A (ja) 原料塊の粉砕方法およびその粉砕装置
CN211496087U (zh) 一种脱料管
KR20100078062A (ko) 용철 제조장치
JP3779873B2 (ja) 回転炉床式還元炉の操業方法
US2807534A (en) Metalliferous agglomerates having improved green strength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3268425A (ja) 高炉ダストの処理方法
KR102538364B1 (ko) 밀 스케일 브리켓팅 설비용 분진 제거장치
JP5103919B2 (ja) 冶金原料用造粒物の製造方法
CN219273325U (zh) 一种高纯石英砂的磁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