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321B1 - 가스켓 - Google Patents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21B1
KR102564321B1 KR1020220005289A KR20220005289A KR102564321B1 KR 102564321 B1 KR102564321 B1 KR 102564321B1 KR 1020220005289 A KR1020220005289 A KR 1020220005289A KR 20220005289 A KR20220005289 A KR 20220005289A KR 102564321 B1 KR102564321 B1 KR 102564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asket
metal clad
sealing materia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093A (ko
Inventor
이정석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이정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ublication of KR2022002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093A/ko
Priority to KR102022011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15/0825Flat gaskets la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O-ring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의 편차커버가 우수한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가스켓은 메탈클래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의 제1 소프트실링재 및 제2 소프트실링재,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스켓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두 층의 메탈클래드, 메탈클래드의 내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및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내장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켓{GASKET}
본 발명은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플랜지의 편차커버가 우수한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켓은 연결되는 두 관체 사이에 끼워져, 그 관체 간의 틈새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밸브 또는 파이프 등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체의 연결부위인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이물질이 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기능을 갖는다.
즉, 밸브 또는 파이프 등의 플랜지 체결시,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가스켓의 부피가 압축되면서 연결부위인 플랜지 사이의 이음새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게 된다.
그런데, 플랜트(Plant) 내에 실제 장착되어 사용되는 가스켓은 여러 가지 환경과 조건에 반응하며 실링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스켓이 장착되는 플랜지의 크기나 위치, 체결을 위한 볼팅(bolting) 과정 등을 고려하여야 하고, 특히 플랜트의 운전조건이 가열과 냉각의 연속이어서, 관체(P1, P2) 내부에 고온 고압의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게 된다면, 관체(P1, P2)의 연결부위인 플랜지(F1, F2)의 편평도를 완벽하게 수평으로 유지시키기가 어렵게 되며, 따라서 플랜지(F1, F2)의 간격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적으로 벌어지게 된다(D2>D1).
이때, 제1 플랜지(F1)와 제2 플랜지(F2) 사이에 장착되는 가스켓이 이 편차를 극복하고 실링상태를 유지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스켓의 실링방향으로의 항복점이 높아야 하고 복원력이 커야 한다.
종래의 가스켓에 따르면, 플랜지에 가스켓을 최초 장착 시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기밀하게 체결되므로 관내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성에 문제가 없으나, 장기간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을 흐르는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이러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한다.
즉, 관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 변화에 따라 플랜지와 가스켓이 열적인 변화를 겪게 되면 열변형이 발생하여 플랜지와 가스켓이 접촉되는 면의 면접촉력이 저하되어 고압의 유체가 누설이 되기도 하며, 플랜지 또는 관의 진동에 의한 동적인 변화에 의하여 최초의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플랜지 또는 관과 가스켓의 면접촉에 간극이 발생하여 이 또한 관을 흐르는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열적 또는 동적인 변화에 가스켓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은 가스켓이 그 자체에서 보유하는 복원력이 낮으면, 양 측면의 복원력이 유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탈클래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의 소프트실링재 및 내측에도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메탈클래드, 코어스프링 등이 구비된 가스켓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스켓은 메탈클래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의 제1 소프트실링재 및 제2 소프트실링재,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스켓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두 층의 메탈클래드, 메탈클래드의 내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및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내장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켓과 플랜지의 면접촉력이 향상되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적 또는 동적 변화에 의해 플랜지의 요동 또는 플랜지와 가스켓의 간극의 변화에도 면접촉력이 저하되지 않아 실링성에 변화가 없는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켓이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켓의 수명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가스켓을 사용하여도 면접촉력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플랜지 사이의 간격에 편차가 발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로 인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전반적으로 판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도면 및 설명에서는 가스켓을 원형의 링 형상으로 설명하나, 가스켓의 전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이프 또는 플랜지의 형상 및 필요에 따라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스켓(1)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스켓(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메탈클래드(20), 메탈클래드(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하는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탈클래드(20)는 장방타원형의 단면 형상이 링 형상으로 360도 회전되어 가스켓(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넛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메탈클래드(2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측이 개방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메탈클래드(21)와 제1 메탈클래드(21)의 단면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으로, 상측이 개방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메탈클래드(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메탈클래드(21)는 하측이 개방되고, 제2 메탈클래드(22)는 상측이 개방된 링 형상이지만, 제1 메탈클래드(21) 내측에 제2 메탈클래드(22)가 밀착하여 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메탈클래드(20)는 하측 및 상측이 모두 폐쇄된 장방타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메탈클래드(21) 및 제2 메탈클래드(22)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되,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비되어, 수직 방향으로 높은 하중이 걸릴 때에도 메탈클래드(2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여 압축에 따른 가스켓의 압착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메탈클래드(2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메탈클래드(20)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도록 각각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 메탈클래드(20)와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 사이에 또 다른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는 플랜지와 가스켓(1)이 접촉하는 실링면의 손상부분을 보완하고 실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익스팬디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마이카(Mica)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제1 소프트실링재(11)는 메탈클래드(2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소프트실링재(12)는 메탈클래드(20)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제2 소프트실링재(12)는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이되, 중심부가 제1 메탈클래드(21)의 개방된 하측 양 끝단 사이로 삽입되어 제2 메탈클래드(22)의 하면과 접하도록 단차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소프트실링재(12)의 중심부는 제2 메탈클래드(22)의 하면과 접하되, 가장자리부는 제1 메탈클래드(21)에 접하도록 제1 메탈클래드(21)의 두께만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소프트실링재(12)는 하측이 개방된 제1 메탈클래드(21)의 개방된 하측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제1 메탈클래드(21)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된 제2 메탈클래드(22)의 하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메탈클래드(22)와 제2 소프트실링재(12)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적절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과도한 외력에도 제2 메탈클래드(22)와 제2 소프트실링재(12)가 서로 완충 작용을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각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내측 구성이 상이한 실시예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공통적으로 메탈클래드(20)의 내측에 코일스프링(30)을 더 포함하고 있는 바, 공통된 구성인 코일스프링(30)을 먼저 설명하고 이하 각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코일스프링(30)은 메탈클래드(20)의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 각각의 단면 내측에 링 형상의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코일 스프링(30)을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으로 각각 단면 내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 한 쌍은 단면을 기준으로 한 쌍이며, 단면 기준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에 각각 위치된 코일스프링(30)은 연속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이어진 하나의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단면을 기준으로도 한 쌍 이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30)의 내측에 단면 직경이 보다 작은 코일 스프링(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30)은 단면을 기준으로 한 쌍 이상, 링 형상의 코일스프링(30)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단면을 기준으로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에 구비되되, 장방타원 형상의 양측 곡선부 즉,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에 각각 링 형상으로 코일스프링이(30)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의 형상 및 간극에 따라 각각의 코일스프링(30)이 각각 별개로 탄성력 및 복원력을 작용하여 기밀하게 배관을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스프링(30)은 링 형상이되, 스프링형상으로 감겨진 형상으로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쌍의 코일스프링(30) 각각의 외경 및 내경은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단면의 지름은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내장링(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2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메탈클래드(21)의 내측 상면 및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 하면에 접하도록 제1 내장링(41)이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내장링(41)은 한 쌍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구비되어, 링 형상의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내장링(43) 및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에 구비되되, 제3 내장링(43)의 상면 및 하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 내장링(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3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메탈클래드(21)의 내측 상면 및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한 쌍의 제2 내장링(42)이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내장링(42)은 제1 메탈클래드(21)의 내측 상면 및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별도의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제2 내장링(42) 사이에 단면이 직사각 형상의 제3 내장링(4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내장링(42) 및 제3 내장링(43)의 외경 및 내경은 서로 동일하되, 제3 내장링(43)의 두께가 제2 내장링(42)보다 두껍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내장링(42)은 단면이 각각 제1 메탈클래드(21) 및 제2 메탈클래드(22)의 두께를 합한 두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 내장링(43)은 제2 내장링(42) 한 쌍 중 한 측의 두께의 3배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4 내장링(44) 및 한 쌍의 제4 내장링(44) 사이에 구비되어 단면이 물결 형상인 웨이브링(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4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메탈클래드(21)의 내측 상면 및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한 쌍의 제4 내장링(44)이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4 내장링(44)은 제1 메탈클래드(21)의 내측 상면 및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별도의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제4 내장링(44) 사이에 단면이 물결 형상인 웨이브링(50)이 링 형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4 내장링(44)은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제2 내장링(4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내장링(42)의 두께보다 2배 두껍게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웨이브링(50)은 도 4의 단면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4 내장링(44)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4 내장링(44) 중 상측에 구비된 제4 내장링(44)의 하면에 산이 접하고, 제4 내장링(44) 중 하측에 구비된 제4 내장링(44)의 상면에 골이 접하는 물결형상으로 구비되되, 물결형상의 단면이 360도 회전하여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각 구성의 재질에 따른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의 제1 내장링(41), 제2 실시예의 제2 내장링(42) 및 제3 내장링(43), 및 제3 실시예의 제4 내장링(44)은 각각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재질은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높은 온도(약 325)에서도 안정적으로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특성도 양호하며 불연성으로 내후성이 좋고, 비점착성으로 마모계수도 작으며 무독성 재질이다. 따라서,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화학성분에도 변형이 적으며, 고온에도 장기간 변형이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의 제2 내장링(42) 및 제3 실시예의 제4 내장링은 상술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보다 더 소프트(Soft)한 재질의 익스팬디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완충작용 및 내구성이 뛰어난 가스켓(1)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1을 기준으로 메탈튜브 오링(60)이 추가 또는 변형되는 실시예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적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한 쌍의 코일스프링(30) 내측에 메탈튜브 오링(60)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탈튜브 오링(60)은 은 가스켓(1)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켓(1)이 수직방향으로 하중을 받음에 따라 내경 또는 외경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켓(1)의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메탈튜브 오링(60)은 가스켓(1)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코일스프링(30) 내측에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실링폭이 넓어짐에 따라 실링성이 향상되고, 메탈튜브 오링(60)의 탄성에 의해 코일스프링(30)의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메탈튜브 오링(60)은 녹이 슬지 않는 금속 예를 들어 합금강이나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스프링(30)이 구비되지 않고, 코일스프링(30) 대신 한 쌍의 메탈튜브 오링(60)이 구비될 수 있다. 메탈튜브 오링(60)은 내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탄성력 및 복원력을 작용하여 기밀하게 배관을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탈튜브 오링(60)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양 측에 한 쌍으로 둘 구비되되, 단면의 지름은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메탈클래드(22)의 내측에 구비되되, 장방타원 형상의 양측 곡선부 즉, 가스켓(1)의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에 각각 링 형상으로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된 메탈튜브 오링(60)의 내측에 코일스프링(30)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코일스프링(30)은 메탈튜브 오링(60)의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탈튜브 오링(60)의 단면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7 실시예는 제4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한 쌍의 제4 내장링(44) 상측면에 접하도록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의 제3 소프트실링재(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4 내장링(44) 하측면에 접하도록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의 제4 소프트실링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소프트실링재(13) 및 제4 소프트실링재(14)는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3 소프트실링재(13) 및 제4 소프트실링재(14)는 제4 내장링(44)과 동일한 재질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나,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와 동일한 재질인 익스팬디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마이카(Mica)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7 실시예는 제1 소프트실링재(11)와 제2 소프트실링재(12) 사이에 외주면 방향이 개구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탈클래드(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링(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커버링(70)은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소프트 플루오로에틸렌(Soft 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링(70)에 의해 파이프 사이로 이동되는 유체가 가스켓 구성들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스켓 자체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제8 실시예는 제7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 제7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되, 여기서 커버링(70)은 제1 소프트실링재(11)의 상면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의 하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외주면 방향이 개방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7 실시예의 커버링(70)은 가스켓의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반면, 제8 실시예의 커버링(70)은 메탈클래드(20)의 외측에 구비되되,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가 커버링(7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가스켓(1)의 효과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플랜지 사이의 간격에 편차가 발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사이에 형성된 제1 플랜지(F1) 및 제2 플랜지(F2) 사이에 상술한 본 발명의 가스켓(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노후된 배관 또는 장기간 가스켓(1)의 사용에 의해 제1 플랜지(F1) 및 제2 플랜지(F2)의 손상 등에 의해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지 않게 구비된 경우, 본 발명의 가스켓(1)을 적용하는 경우 제1 플랜지(F1) 및 제2 플랜지(F2)의 간극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기밀하게 밀착되어 실링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가스켓(1)의 손상과 관체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제1 플랜지(F1)와 제2 플랜지(F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약간의 편차가 발생하여 틈이 생기더라도 메탈 가스켓(1)의 복원력에 의해 실링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가스켓 11: 제1 소프트실링재
12: 제2 소프트실링재 13: 제3 소프트실링재
14: 제4 소프트실링재 20: 메탈클래드
21: 제1 메탈클래드 22: 제2 메탈클래드
30: 코일스프링 41: 제1 내장링
42: 제2 내장링 43: 제3 내장링
44: 제4 내장링 50: 웨이브링
60: 오링 70: 커버링

Claims (16)

  1. 제1 플랜지(F1)와 제2 플랜지(F2) 사이에 장착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1)에 있어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메탈클래드(20);
    상기 메탈클래드(20) 상측에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소프트실링재(11);
    상기 메탈클래드(20) 하측에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소프트실링재(12);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 각각의 단면 내측에 링 형상의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0);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 이상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4 내장링(44);
    상기 한 쌍의 제4 내장링(44) 사이에 구비되어 단면이 물결 형상인 웨이브링(50);
    상기 한 쌍의 제4 내장링(44)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소프트실링재(13);
    상기 한 쌍의 제4 내장링(44)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4 소프트실링재(14); 및
    제1 소프트실링재(11)와 제2 소프트실링재(12) 사이에 외주면 방향이 개구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탈클래드(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2. 제1 플랜지(F1)와 제2 플랜지(F2) 사이에 장착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1)에 있어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메탈클래드(20);
    상기 메탈클래드(20) 상측에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소프트실링재(11);
    상기 메탈클래드(20) 하측에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소프트실링재(12);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 각각의 단면 내측에 링 형상의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0);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 이상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4 내장링(44);
    상기 한 쌍의 제4 내장링(44) 사이에 구비되어 단면이 물결 형상인 웨이브링(50);
    상기 한 쌍의 제4 내장링(44)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소프트실링재(13);
    상기 한 쌍의 제4 내장링(44)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4 소프트실링재(14); 및
    제1 소프트실링재(11)의 상면 및 제2 소프트실링재(12)의 하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외주면 방향이 개방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커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내주면 방향 및 외주면 방향 각각의 단면 내측에 링 형상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메탈튜브 오링(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코일스프링(30) 내측에 링 형상의 메탈튜브 오링(60);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5. 제 3 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메탈튜브 오링(60) 내측에 링 형상의 코일스프링(30);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 이상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 내장링(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 및 한 쌍 이상의 코일스프링(30) 사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내장링(43); 및
    상기 메탈클래드(20)의 단면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3 내장링(43)의 상면 및 하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 내장링(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클래드(20)는,
    링 형상으로, 하측이 개방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메탈클래드(21); 및
    상기 제1 메탈클래드(21)의 단면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으로, 상측이 개방된 장방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메탈클래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프트실링재(12)는,
    내측이 개구된 원판 형상이되, 중심부가 상기 제1 메탈클래드(21)의 양 끝단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메탈클래드(22)의 하면과 접하도록 단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1. 제 7 항에 있어서,
    제3 내장링(43)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구비되고, 제2 내장링(42)은 익스팬디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장링(44)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익스팬디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프트실링재(11) 및 상기 제2 소프트실링재(12)는,
    익스팬디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마이카(Mica)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20005289A 2020-02-10 2022-01-13 가스켓 KR102564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76A KR20220132498A (ko) 2020-02-10 2022-09-19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470 2020-02-10
KR2020200000470 2020-02-10
KR2020210000352U KR20210001881U (ko) 2020-02-10 2021-02-02 가스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52U Division KR20210001881U (ko) 2020-02-10 2021-02-02 가스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576A Division KR20220132498A (ko) 2020-02-10 2022-09-19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093A KR20220027093A (ko) 2022-03-07
KR102564321B1 true KR102564321B1 (ko) 2023-08-08

Family

ID=772925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52U KR20210001881U (ko) 2020-02-10 2021-02-02 가스켓
KR1020220005289A KR102564321B1 (ko) 2020-02-10 2022-01-13 가스켓
KR1020220117576A KR20220132498A (ko) 2020-02-10 2022-09-19 가스켓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52U KR20210001881U (ko) 2020-02-10 2021-02-02 가스켓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576A KR20220132498A (ko) 2020-02-10 2022-09-19 가스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210001881U (ko)
WO (1) WO202116222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03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국일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KR101527571B1 (ko) * 2014-01-06 2015-06-09 제일 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프로파일을 구비한 메탈 오링 타입 가스켓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4764A (en) * 1959-07-20 1965-03-23 Us Gasket Company Jacketed gasket
JP3291204B2 (ja) * 1996-08-07 2002-06-10 ニチアス株式会社 うず巻形ガスケット
KR101184927B1 (ko) * 2010-05-28 2012-09-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개스킷
KR102614023B1 (ko) * 2015-03-13 2023-12-18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개스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03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국일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KR101527571B1 (ko) * 2014-01-06 2015-06-09 제일 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프로파일을 구비한 메탈 오링 타입 가스켓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98A (ko) 2022-09-30
KR20210001881U (ko) 2021-08-19
KR20220027093A (ko) 2022-03-07
WO2021162223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061B2 (en) Gas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407214A (en) Fire barrier gasket seal
KR101184927B1 (ko) 메탈 개스킷
US5511797A (en) Tandem seal gasket assembly
JP4324607B2 (ja) 非石綿ガスケット
JP5204550B2 (ja) メタルガスケット
US6916024B2 (en) Gasket
KR102097272B1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US10753521B1 (en) Inner diameter seal gasket
KR102564321B1 (ko) 가스켓
US10865901B2 (en) All-metal pressure relief valve
CN109505982A (zh) 机械密封用复合型辅助密封圈
CN211423536U (zh) 一种阀门密封件
KR20200029734A (ko) 해양플랜트용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가스켓
KR20170000076U (ko) 멀티 캠프로파일 가스켓
CN206572102U (zh) 金属缠绕式垫片
KR101184921B1 (ko) 메탈 개스킷
KR102506198B1 (ko) 고온용 가스켓
KR20220149257A (ko) 가스켓
EP0392470B1 (en) Plastic bore seal
KR102284029B1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102144410B1 (ko) 가스켓
AU2018263240B2 (en) Sealing device for gasket and gasket including the same
RU2635950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для фланц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20020050497A1 (en) Shutof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