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525B1 -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525B1
KR102563525B1 KR1020220159903A KR20220159903A KR102563525B1 KR 102563525 B1 KR102563525 B1 KR 102563525B1 KR 1020220159903 A KR1020220159903 A KR 1020220159903A KR 20220159903 A KR20220159903 A KR 20220159903A KR 102563525 B1 KR102563525 B1 KR 10256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tag
sub
spa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221A (ko
Inventor
김용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2015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5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2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the type of document
    • G06V30/422Technical drawings; Geographical m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투영부;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생성부;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공간 태그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상기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선택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자동 제어는 건물의 설비(예컨대, 열원 설비, 공조 설비 등)와 센서 기반의 관제 제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건물의 자동 제어의 구동 중에 건물의 설비와 관제점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설계 도면이 필요하지만, 동일 건물 내에서도 공간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공간에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편, 종래에는 건물의 각 층에 속한 구역(Zone)을 나누어 건물의 공간을 분류 및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1층 A-Zone, 1층 B-Zone, 2층 A-Zone, 2층 B-Zone과 같은 방식으로 공간을 구분하였다.
만일, 1층의 A-Zone과 2층의 A-Zone이 동일한 크기가 아니고 위치도 동일하지 않다면, 설계 도면에서 A-Zone을 구분하기가 쉽지가 않고, 심지어 건물까지 다른 경우, 더욱 파악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건물 공간의 표현 방식으로는 건물의 설비 및 관제점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대응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46333호 (2014.04.1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을 통해 투영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일부를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하여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 정보에 설정된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하여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한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투영부;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생성부;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공간 태그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상기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선택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건물 관리 서버를 통해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상기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고,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상기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을 통해 투영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일부를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하여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 정보에 설정된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하여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한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건물의 공간을 정형화하여 표현함으로써 설비의 설치 공간 및 설비의 이상 여부를 보다 빠르게 감시 및 파악할 수 있고, 이상 상황 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 및 공간을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한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설비의 설치 위치, 설비의 서비스 영역 및 설비의 관제점의 파악이 용이하고, 정보를 쉽게 분류 및 조회할 수 있고, 설비 제어에 대한 접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서버(1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관리 서버(10)는 투영부(100), 추출부(110), 공간 정보 생성부(120), 공간 태그 생성부(130), 서비스 제공부(140), 설비 태그 추출부(150) 및 태그 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건물 관리 서버(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2e를 함께 참조하여 도 1을 설명하기로 한다.
투영부(100)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 영역은 건물의 설계 도면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건물의 평면(예컨대, 가상의 건물 바닥)을 가상으로 표현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영역은 각 서브 영역 및 이들마다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설비에 대한 설치 영역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공간 태그를 일률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2a 내지 2b를 함께 참조하면, 작업 영역(20)은 복수의 서브 영역은 건물의 공간 별 표기를 위한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5*5의 그리드 형태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영부(100)는 건물의 층별마다 작성되어 있는 설비 및 공조 도면(22)을 작업 영역(20)에 투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드 파일(예컨대, DWG 파일) 형식의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우, 투영부(100)는 해당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해당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을 작업 영역(20)에 투영시킬 수 있다. 만일,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건물의 실내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추출부(110)는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설비 및 공조 도면(2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의 정보는 설비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유형(신호 타입), 설비에서 제어되는 제어 대상에 대한 관제점 정보 및 설비 식별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110)는 기설정된 태그 형태의 태그 사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키고,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기초하여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태그 형태의 태그 사전은 현장으로부터 수집된 설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태그 형태는 예를 들어, [Type_관제점_N(*)_설비_N(*)]의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여기서, Type은 클라우드를 통한 관제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신호 타입에 대한 정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VI(virtual Input), VO(virtual Outp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제점은 설비의 제어 대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온도, 상태, 기동정지, 센서 등의 영문약자로 표현될 수 있다. 설비명은 설비(예컨대, 공조기, 냉동기, 보일러 등)마다 설정된 영문 약자로 표현될 수 있다.
추출부(110)는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장비명,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치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설비는 공조 설비(예컨대, 공조기, 덕트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110)는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통해 건물의 설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설비 형태 및 텍스트를 추출하여 설비의 설치 영역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설비 태그 추출부(150)는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기본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 태그 추출부(150)는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제 1 설비의 정보('AHU_1')가 추출되면, 설비 태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AHU_1'을 포함하는 제 1 설비의 기본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설비 태그 데이터 베이스에는 설비 별로 설비의 기본 태그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공간 정보 생성부(120)는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정보 생성부(120)는 공간 정보에서 설비 영역으로 설정된 일부 영역을 제 1 색으로 표시하고(도 2c 참조), 공간 정보에서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된 일부 영역을 제 2 색으로 표시하여 형상화할 수 있다(도 2d 참조).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서비스 영역 및 설비 영역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설비 영역(제 1 색으로 표시됨)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기부여된 고유 식별자 및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을 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 각각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 및 아래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설비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을 향하는 대각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대표 고유 서브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2 설비(제 2 설비의 설비명은 AHU_4)가 위치한 설비 영역이 제 1 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해당 설비 영역의 좌측 상단의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알파벳 J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인 경우,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J11'로 생성할 수 있다.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서비스 영역(제 2 색으로 표시됨)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기부여된 고유 식별자 및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을 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 각각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 및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서비스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을 향하는 대각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대표 고유 서브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 3 설비(제 3 설비의 설비명은 FCU_10)를 통해 제어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이 제 2 색으로 표시되고, 해당 서비스 영역의 좌측 상단의 제 1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A이고, 제 1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4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3이고, 제 1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제 2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G이고, 제 2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3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2이고, 제 2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제 3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M이고, 제 3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인 경우,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A43G32M11'로 생성할 수 있다.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공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도 2c 및 2d를 함께 참조하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J11')를 공간 정보에 매핑하고,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A43G32M11')를 공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에 설비의 기본 태그를 추가로 매핑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를 함께 참조하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3 설비의 기본 태그('AI_TRM_1_FCU_10', 'AI_TRM_2_FCU_10', 'AI_TRM_3_FCU_10')를 제 3 설비에 의해 제어되는 서비스 영역에 매핑할 수 있다.
태그 선택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기본 태그에 포함된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 및 매핑하여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를 참조하면, 태그 선택부(160)는 제 2 설비의 기본 태그에 해당하는 'DI_OSF_1_AHU_1'(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가 'DI(Digital Input)'이고, 제 2 설비의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가 'OSF_1'이고, 제 2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가 'AHU_1')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J11'을 매핑하여 제 1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1 서브 태그(DI_OSF_1_AHU_1_J11)를 통해 제 2 설비의 운전형태 및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태그 선택부(160)는 제 2 설비의 기본 태그(DI_OSF_1_AHU_1)에서 선택된 제 2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에 해당하는 'AHU_1'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J11'을 매핑하여 제 2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2 서브 태그(AHU_1_J11)를 통해 제 2 설비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d를 참조하면, 태그 선택부(160)는 제 3 설비의 기본 태그에 해당하는 'DI_OSF_1_FCU_10'(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가 'DI(Digital Input)'이고, 제 2 설비의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가 'OSF_1'이고, 제 2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가 'FCU_10')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A43G32M11'을 매핑하여 제 3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3 서브 태그(DI_OSF_1_FCU_10_A43G32M11)를 통해 제 3 설비의 운전형태 및 서비스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태그 선택부(160)는 제 3 설비의 기본 태그(DI_OSF_1_FCU_10)에서 선택된 제 3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에 해당하는 'FCU_10'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A43G32M11'을 매핑하여 제 4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2 서브 태그(FCU_10_A43G32M11)를 통해 제 3 설비가 담당하는 서비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40)는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4b를 함께 참조하면, 건물의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통해 건물 관리자가 공간 별 쾌적도 정보(40)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한 공간 환경(쾌적도, 온도, 습도)에 대한 평가 정보(401) 및 공간명(403)과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설비가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태그 정보(405)를 제공할 수 있다.
건물의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통해 건물 관리자가 리스크 공간에 대한 정보(42)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건물에서 현재 운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간(즉,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40)는 건물의 공간 별 운영의 정도를 등급화(예컨대, 크리티컬 공간, 메이저 공간 등)하여 제공함으로써 공간 제어에 대한 이상 상황이 설비의 문제인지, 공간의 문제(예컨대, 창문이 열려 있는지 등)인지를 이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설비의 문제인 경우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설비의 설치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표시하거나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가 설치된 공간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간의 문제인 경우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건물 관리자 또는 해당 공간의 관리자의 단말에게 해당 공간을 확인 요청하도록 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140)는 관리자가 건물의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관심 구역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공간에 대한 공간 태그와 공간에 설치된 설비의 기본 태그를 결합함으로써 설정된 공간에 대하여 최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4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설비 별로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40)는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시간별 또는 일별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복수의 서브 태그 중 공간 온도를 제어하는 설비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 및 해당 설비의 관제점(예컨대, 온도)에 대한 서브 태그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입력된 서브 태그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서비스 영역들 간의 온도 정보(공간의 실내 온도 정보)를 시간별 또는 일별로 비교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투영부(100), 추출부(110), 공간 정보 생성부(120), 공간 태그 생성부(130), 서비스 제공부(140), 설비 태그 추출부(150) 및 태그 선택부(1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킬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09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공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단계 S311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건물 관리 서버
100: 투영부
110: 추출부
120: 공간 정보 생성부
130: 공간 태그 생성부
140: 서비스 제공부
150: 설비 태그 추출부
160: 태그 선택부

Claims (15)

  1.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투영부;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생성부;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공간 태그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선택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인,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정보는 설비의 유형, 관제점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및 상기 제 3 요소를 포함하는 기본 태그를 추출하는 설비 태그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선택부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가 위치한 설비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1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것인,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선택부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가 위치한 설비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2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것인,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선택부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상기 제 2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3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것인,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선택부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상기 제 2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4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것인, 서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기설정된 관심 구역에 대한 상기 제 1 공간 태그 또는 상기 제 2 공간 태그와 상기 기본 태그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관심 구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인, 서버.
  8. 건물 관리 서버를 통해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정보는 설비의 유형, 관제점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및 상기 제 3 요소를 포함하는 기본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가 위치한 설비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1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가 위치한 설비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2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상기 제 2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3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설비에 대한 상기 제 3 요소 및 상기 특정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상기 제 2 공간 태그만을 포함하는 제 4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관심 구역에 대한 상기 제 1 공간 태그 또는 상기 제 2 공간 태그와 상기 기본 태그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관심 구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15.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고,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서브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59903A 2019-11-11 2022-11-25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6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903A KR102563525B1 (ko) 2019-11-11 2022-11-25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87A KR102472307B1 (ko) 2019-11-11 2019-11-11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59903A KR102563525B1 (ko) 2019-11-11 2022-11-25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87A Division KR102472307B1 (ko) 2019-11-11 2019-11-11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221A KR20220166221A (ko) 2022-12-16
KR102563525B1 true KR102563525B1 (ko) 2023-08-04

Family

ID=761431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87A KR102472307B1 (ko) 2019-11-11 2019-11-11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59903A KR102563525B1 (ko) 2019-11-11 2022-11-25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87A KR102472307B1 (ko) 2019-11-11 2019-11-11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2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502A1 (ja) * 2022-05-09 2023-11-16 スパイダープラス株式会社 詳細図切出システム、詳細図切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4708A1 (en) 2016-05-25 2018-10-04 Kabushiki Kaisha Toshiba Energy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937203B1 (ko) 2012-02-22 201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333A (ko) 2012-10-10 2014-04-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도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04284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빌딩 에너지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59593B1 (ko) * 2014-10-10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203B1 (ko) 2012-02-22 201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US20180284708A1 (en) 2016-05-25 2018-10-04 Kabushiki Kaisha Toshiba Energy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307B1 (ko) 2022-11-30
KR20220166221A (ko) 2022-12-16
KR20210056717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1676A1 (en) Hvac system configuration and zone management
US8830267B2 (en) Augmented reality building operations tool
EP2579113B1 (de) Struktur eines Gebäudeautomationssystems
EP2629210B1 (en) Method of providing data included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file,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system using the method
US20210200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multiple bim files in a single interface
KR102563525B1 (ko)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2713115A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DE102012219619B4 (de) Optimierung der freien Kühlung von Datenzentren durch wettergestützte intelligente Steuerung
US10289132B2 (en) Automated engineering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JP5635873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ポイント情報作成方法
JP6542445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20230014504A1 (en) Railway management system with data repository
CN112204559B (zh) 测控设计辅助装置
WO2017072817A1 (en) Operation control model generator, operation control model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60042668A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운전 방법
Wollschlaeger et al. Navigating the Jungle of Assistance Systems: A Comparison of Standards for Assistance Functionality.
CN114327713A (zh) 设备参数的组态监控方法、组态化监控系统的搭建系统
US9769036B1 (en) Port assignment of network devices reference and management
US20170316596A1 (en) Data visualization
JP6917750B2 (ja)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方法
KR102580969B1 (ko)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8033796A (ja) 換気設備プラン作成システム
KR102545146B1 (ko) 난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난방 정보 제공 방법
JP7481920B2 (ja) 店舗環境管理システム
US202202999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