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277B1 -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277B1
KR102563277B1 KR1020210083158A KR20210083158A KR102563277B1 KR 102563277 B1 KR102563277 B1 KR 102563277B1 KR 1020210083158 A KR1020210083158 A KR 1020210083158A KR 20210083158 A KR20210083158 A KR 20210083158A KR 102563277 B1 KR102563277 B1 KR 10256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late
cover
wall
wall surface
deliver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707A (ko
Inventor
정세희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지케이우드
정세희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케이우드, 정세희, 김현철 filed Critical (주)지케이우드
Priority to KR102021008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and to each other to allow automatic collapsing and reerecting, e.g. by means of folds provided in the side walls and or in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3Lids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로서, 택배 배송에 사용된 후 이를 다시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택배 박스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Reusable delivery box}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 배송에 사용된 후 이를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택배 박스에 대한 것이다.
택배 배송 시 다수의 물건을 한꺼번에 보관 및 포장하거나 물건이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택배 박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택배 박스는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로 제작되어 대부분 일회성으로 이용한 후 폐기되기에 이로 인한 쓰레기 배출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택배 박스에 물건을 보관시킨 후 테이프를 이용하여 마감 처리하는데, 운송 중 내부 물건이 박스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확실한 밀폐를 위해서 테이프로 수회 감싸 포장한다. 이러한 경우, 택배 수령자가 택배 박스로부터 물건을 반출하기 위해 테이프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종이 재질의 택배 박스에 테이프, 송장, 스티커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해야 하므로 폐지 수거업체 등에서 수거를 거부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서 택배 박스에는 운송장이 부착되는데, 운송장에는 택배를 보내는 사람과 택배를 받는 사람에 대한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기에 운송 정보의 유출 시 개인 정보 또는 해당 기업의 물류정보가 악의적으로 도용되거나 이용될 위험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39591호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1-00528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택배 박스가 일회성으로 이용된 후 폐기됨에 따라 쓰레기 배출량이 많아지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택배 박스의 포장 시 테이프를 이용하여 마감 처리함에 따라 택배 수령자가 택배 박스에서 테이프를 제거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택배 박스에 부착되는 운송장에 민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됨에 따라 개인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고 기업 물류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는,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을 감싸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상기 벽면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를 밀폐시키는 바닥면; 및 상기 벽면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부를 개방과 밀폐시키는 덮개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닥면의 양측 끝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의 양측 끝단을 회절시키는 외각 관절부; 및 상기 바닥면의 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의 중단이 접혀져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삽입되도록 회절시키는 중심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은, 설정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굽힘 강도를 갖고 상기 바닥면의 중단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전방 바닥판과 후방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관절부는, 상기 전방 바닥판의 일측 끝단과 상기 후방 바닥판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바닥판과 상기 후방 바닥판이 일방향으로 회절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중심 힌지 부재; 및 상기 전방 바닥판과 상기 후방 바닥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끝단에 타방향으로 회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회절 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외각 관절부는, 전방 벽면의 하단 및 후방 벽면의 하단과 상기 전방 바닥판의 타측 끝단 및 상기 후방 바닥판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바닥판과 상기 후방 바닥판이 상기 전방 벽면 및 상기 후방 벽면을 향해 회절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외각 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덮개면의 일측 끝단과 후방 벽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면이 회절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덮개 힌지 부재; 및 상기 덮개면의 타측 끝단, 좌측 끝단 및 우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덮개 날개와 전방 벽면, 좌측 벽면 및 우측 벽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벨크로(velcro)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전방 벽면의 상단부에 구비된 걸림쇠; 및 상기 덮개면의 타측 끝단에는 구비되어 상기 걸림쇠와 체결되는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QR 코드 또는 RFID 태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수하여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택배 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일회성 택배 박스 사용에 따른 쓰레기의 환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운송장을 삽입할 수 있는 투명 포켓이 마련되어 기존 접착 방식으로 운송장을 부착하거나 제거함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서 QR 코드나 RFID 태그를 통해 택배 박스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아울러 QR 코드나 RFID 태그에 운송장 정보를 포함하도록 입력하고 이를 리더기를 통해 인식함으로써 별도의 운송장 서류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운송장에 포함되는 민감한 개인 정보의 유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벨크로 부재를 통해 택배 박스가 밀폐될 수 있고 잠금 수단을 통해 권한 있는 자만이 택배 박스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 테이프 등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는 미사용시에 접힘 상태로 전환시켜 그 부피를 완전히 줄일 수 있으므로 택배 박스의 보관과 이송의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으며, 또한 택배 박스의 사용을 위해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전환시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펼쳐지게 되어 편리성이 더욱 도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면의 중심 관절부에 대한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면의 탄성 부재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면의 회절 방지턱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서 잠금 수단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 대한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 대한 펼침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택배 배송에 사용된 후 이를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택배 박스를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박스(100)는 벽면(120), 바닥면(미도시), 덮개면(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벽면(120)은 전방 벽면(120a), 후방 벽면(120b), 우측 벽면(120c) 및 좌측 벽면(120d)을 포함하여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을 감싸며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100)는 사용 상태에 따라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선택적 유지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펼침 상태에서 일정 수준의 외력에 의해서도 내부 공간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전방 벽면(120a)과 후방 벽면(120b)은 설정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굽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방 벽면(120a)과 후방 벽면(120b)은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힘 상태로 변경 시 충분하게 그 부피가 줄어들 수 있도록 우측 벽면(120c)과 좌측 벽면(120d)은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우측 벽면(120c)과 좌측 벽면(120d)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섬유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택배 박스의 골격을 구성하는 주요 프레임 부분은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그 이외 구성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미도시)은 벽면(1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벽면(120)을 통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하단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닥면은 펼침 상태에서 내부 공간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일정 수준의 외력에 의해서도 내부 공간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굽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힘 상태로 변경시 바닥면의 중단 부분을 기준으로 접혀져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향해 접혀지는 중심 관절부와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을 향해 접혀지는 외각 관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100)의 바닥면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닥면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면의 중심 관절부에 대한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상기 도 2에서 A-A' 부분의 절단도로서 바닥면의 탄성 부재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도 2에서 B-B' 부분의 절단도로서 바닥면의 회절 방지턱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한다.
박닥면(130)은 중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배치되는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은 중심 관절부를 통해 회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전방 바닥판(130a)의 일측 끝단과 후방 바닥판(130b)의 일측 끝단에는 교번하여 서로 맞물리며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힌지 결합부(131a, 131b)와 힌지 결합부(131a, 131b)의 관통홀에 삽입된 중심 회전 지지봉(133)을 포함하는 중심 힌지 부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중심 힌지 부재를 통해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은 그 일측 끝단이 내부 공간을 향해 삽입되면서 접혀지도록 회절될 수 있다.
아울러 외각 관절부도 상기에서 살펴본 중심 관절부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전방 바닥판(130a)이 전방 벽면(120a)을 향해 회절하고 후방 바닥판(130b)이 후방 벽면(120b)을 향해 회절될 수 있다.
또한 중심 관절부는 택배 박스(10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시에 자동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의 힌지 결합부(131a, 131b)가 교번하여 서로 맞물리는 그 사이에 탄성부재로서 토션 스프링(13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135)의 양측 다리(135a, 135b)는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며,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로 변경시 외력에 의해 토션 스프링(135)이 압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되고, 택배 박스(100)의 펼침 상태로 변경시 토션 스프링(135)의 복원력으로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이 자동적으로 회절되어 펼쳐지게 된다.
나아가서 중심 관절부에는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의 일측 끝단이 일방향으로만 회절되고 타방으로는 회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절 방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바닥면(130a)의 힌지 결합부(131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회절 방지턱(132)이 형성됨으로써 중심 힌지 부재를 통해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이 회절시 일측 방향으로만 회절이 가능하고 타측 방향으로는 회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1로 회귀하여 택배 박스(100)에 대하여 계속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덮개면(110)은 일측 끝단이 후방 벽면(120b)의 상단에 연결되어 벽면(120)을 통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면(110)에는 타측 끝단, 좌측 끝단 및 우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덮개 날개(111a, 111c, 111d)가 형성된다. 덮개 날개(111a, 111c, 111d)의 내측면에는 덮개 벨크로(velcro) 부재(112a, 112c, 112d)가 마련된다. 이에 대응되어 전방 벽면(120a), 후방 벽면(120b), 우측 벽면(120c) 및 좌측 벽면(120d)의 상단부에도 벽면 벨크로 부재(121a, 121b, 121c, 121d)가 마련된다.
택배 박스(100)가 펼침 상태에서 덮개 벨크로 부재(112a, 112c, 112d)와 벽면 벨크로 부재(121a, 121c, 121d)의 상호 체결을 통해 덮개면(110)이 택배 박스(100)의 내부 공간 밀폐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택배 박스(100)가 접힘 상태에서는 덮개면(110)의 타측 끝단 덮개 날개(111a)에 구비된 덮개 벨크로 부재(112a)가 후방 벽면(120b)의 벽면 벨크로 부재(121b)에 체결되어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 부재의 배치 위치, 개수,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서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로 전환을 용이하게 도모하기 위해서 덮개면(110)에는 접힘 상태에 따라 절곡되는 절곡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면(110)의 타측 끝단에는 잠금 수단(140)이 구비되며, 잠금 수단(140)에 대응되어 전방 벽면(120a)의 상단부에 걸림쇠(145a)가 구비된다. 또한 후방 벽면(145b)에도 걸림쇠(145b)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면(110)이 택배 박스(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 잠금 수단(140)이 걸림쇠(145a)에 체결됨으로써 권한이 있는 사람 이외에는 택배 박스(100)의 개방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택배 박스(100)가 접힘 상태에서 잠금 수단(140)이 후방 벽면(145b)의 걸림쇠(145b)에 체결됨으로써 권한이 있는 사람 이외에는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를 해제하여 펼침 상태로 변환시킬 수 없게 된다.
택배 박스의 잠금 수단(140)과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일례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잠금 수단(140)은 몸체(141), 비밀번호 입력 수단(142), 잠금 돌기(1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 수단(142)은 회전되면서 설정된 비밀번호로 위치되는 경우 잠금 돌기(144)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식 잠금 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잠금 수단은 기계식 잠금 수단 이외에도 전자식 잠금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택배 박스(100)가 펼침 상태에서 잠금 수단(140)은 전방 벽면(120a)에 마련된 걸림쇠(145a)에 체결되어 택배 박스(100)의 덮개면(110) 개방을 제한할 수 있으며, 택배 박스(100)가 접힘 상태에서 잠금 수단(140)은 후방 벽면(120b)에 마련된 걸림쇠(145b)에 체결되어 택배 박스(100)를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서 덮개면(110)에는 운송 손잡이(151)가 구비되며, 또한 전방 벽면(120a)과 후방 벽면(111c)에도 운송 손잡이(152, 153)가 구비될 수 있다. 운송 손잡이의 개수와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덮개면(110)의 상면에는 운송장이 삽입될 수 있는 투명 포켓(113)이 마련된다.
아울러 택배 박스(100)에는 택배 박스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식별 태그(160)가 구비될 수 있다. 식별 태그(160)는 QR 코드(161) 또는 RFID 태그(1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태그(160)는 QR 코드나 RFID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식별 태그(160)가 부착되는 위치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식별 태그(160)는 해당 식별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식별 태그(160)를 통해 택배 박스(100)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식별 태그(160)에 택배 운송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식별 태그(160)에 택배 운송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투명 포켓(113)에 삽입된 운송장을 확인하지 않고도 리더기를 통해 택배 박스(100)의 운송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별도의 운송장을 택배 박스(100)에 부착시키지 않고도 식별 태그(160)를 통해 택배 박스(100)의 운송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100)는 사용 상태에 따라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로 선택적 변경될 수 있는데, 도 6 및 도 7을 통해 택배 박스(100)의 사용 상태에 따른 동작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6의 (a)와 같은 펼침 상태의 택배 박스(100)는 상품 등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택배 박스(100)의 바닥면(130) 중단에는 중심 관절부(131)가 마련되고 바닥면(130)의 전방과 후방 양측 끝단에는 외각 관절부(135a, 135b)가 마련되어 있어, 중심 관절부(131)와 외각 관절부(135a, 135b)를 통해 택배 박스(100)를 접힘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도 6의 (b)와 같이 바닥면(130)의 중단을 내부 공간을 향해 밀어 넣으면 중심 관절부(131)와 외각 관절(135a, 135b)의 회절 기능을 통해 바닥면(130)의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이 접혀져 내부 공간 상으로 삽입될 수 잇다.
상기 도 6의 (c)와 같이 택배 박스(100)를 접힘 상태로 전환시 앞서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면(110)의 타측 끝단 덮개 날개(111a)에 구비된 덮개 벨크로 부재(112a)가 후방 벽면(120b)의 벽면 벨크로 부재(121b)에 체결되어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 수단(140)을 후방 벽면(120b)에 마련된 걸림쇠(145b)에 체결시켜 접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권한 있는 자 이외에는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 해제를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100)는 미사용시에 접힘 상태로 전환시켜 그 부피를 완전히 줄일 수 있으므로 택배 박스(100)의 보관과 이송의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의 (a)와 같이 택배 박스(100)의 접힘 상태에서 사용을 위해 택배 박스(100)를 펼침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 앞서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면(110)의 타측 끝단 덮개 날개(111a)에 구비된 덮개 벨크로 부재(112a)를 후방 벽면(120b)의 벽면 벨크로 부재(121b)로부터 분리시켜 펼침 상태로의 전환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수단(140)이 후방 벽면(120b)에 마련된 걸림쇠(145b)에 체결되어 잠금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권한 있는 자에 의한 잠금 수단(14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택배 박스(100)의 펼침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면, 앞서 상기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 7의 (b)와 같이 자동적으로 바닥면(130)의 전방 바닥판(130a)과 후방 바닥판(130b)이 중심 관절부(131)와 외각 관절(135a, 135b)의 회절 기능을 통해 펼쳐지게 된다.
중심 관절부(131)와 외각 관절(135a, 135b)의 회절 기능을 통해 바닥면(130)이 펼쳐짐으로써 상기 도 7의 (c)와 같이 내부 공간이 마련된 택배 박스(100)의 펼침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배 박스(100)는 사용을 위해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전환시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펼쳐지게 되어 편리성이 더욱 도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택배 박스,
110 : 덮개면,
120 : 벽면,
120a : 전방 벽면, 120b : 후방 벽면,
120c : 우측 벽면, 120d : 좌측 벽면,
130 : 바닥면,
130a : 우측 바닥판, 130b : 좌측 바닥판,
131 : 줌심 관절부
135a, 135b : 외각 관절부.

Claims (5)

  1.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을 감싸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상기 벽면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설정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굽힘 강도를 갖고 바닥면의 중단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전방 바닥판과 후방 바닥판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를 밀폐시키는 바닥면;
    상기 벽면에 체결되고, 다단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부를 개방과 밀폐시키는 덮개면;
    상기 덮개면의 일측 끝단과 후방 벽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면이 회절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덮개 힌지 부재;
    상기 덮개면의 타측 끝단, 좌측 끝단 및 우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덮개 날개와 전방 벽면, 좌측 벽면 및 우측 벽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벨크로(velcro) 부재;
    전방 벽면의 상단부 및 후방 벽면의 상단부에 각각 구비된 걸림쇠; 및
    상기 덮개면의 타측 끝단에는 구비되어 상기 걸림쇠와 체결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닥면의 양측 끝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의 양측 끝단을 회절시키되, 전방 벽면의 하단 및 후방 벽면의 하단과 상기 전방 바닥판의 타측 끝단 및 상기 후방 바닥판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바닥판과 상기 후방 바닥판이 상기 전방 벽면 및 상기 후방 벽면을 향해 회절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외각 힌지 부재를 포함하는 외각 관절부; 및
    상기 바닥면의 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의 중단이 접혀져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삽입되도록 회절시키되, 상기 전방 바닥판의 일측 끝단과 상기 후방 바닥판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바닥판과 상기 후방 바닥판이 일방향으로 회절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중심 힌지 부재와, 상기 전방 바닥판과 상기 후방 바닥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끝단에 타방향으로 회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회절 방지턱을 포함하는 중심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덮도록 펼쳐지고 상기 잠금 수단은 전방 벽면의 상기 걸림쇠에 체결되어 상기 덮개면의 개방을 제한하고, 상기 바닥면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덮개면은 다단으로 절곡되고 상기 잠금 수단은 후방 벽면의 상기 걸림쇠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면의 접힌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의 전환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택배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태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박스.
KR1020210083158A 2021-06-25 2021-06-25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KR10256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158A KR102563277B1 (ko) 2021-06-25 2021-06-25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158A KR102563277B1 (ko) 2021-06-25 2021-06-25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07A KR20230000707A (ko) 2023-01-03
KR102563277B1 true KR102563277B1 (ko) 2023-08-07

Family

ID=8492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58A KR102563277B1 (ko) 2021-06-25 2021-06-25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641B2 (ja) * 1991-10-17 2001-05-21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用ケース
KR102136639B1 (ko) * 2020-01-22 2020-07-22 쿠팡 주식회사 보냉 포장박스
KR102159902B1 (ko) * 2020-02-25 2020-09-24 송재호 접이식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641U (ja) * 2011-03-28 2011-06-23 株式会社ワールド・ピース・システムズ 記録媒体の保管用トランク
KR101839591B1 (ko) 2017-09-14 2018-03-22 나정균 보온 및 보냉 기능이 향상된 택배 포장용 박스
KR20210052842A (ko) 2019-11-01 2021-05-11 홍석관 택배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641B2 (ja) * 1991-10-17 2001-05-21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用ケース
KR102136639B1 (ko) * 2020-01-22 2020-07-22 쿠팡 주식회사 보냉 포장박스
KR102159902B1 (ko) * 2020-02-25 2020-09-24 송재호 접이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07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7392A1 (en) Reusable Packaging Assembly
US7726552B2 (en) System for secure collection and disposal of large volumes of documents
US8505469B2 (en) All in one multifunction pallet
US4927074A (en) Document container
US5899337A (en) Collapsible octagonal box for heavy load (5,000+ pounds)
US97711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bag delivery
KR102563277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택배 박스
US5249685A (en) Reusable and recyclable packaging for shock and static sensitive objects
JP5099149B2 (ja) 梱包装容器
US5131543A (en) Reusable and recyclable packaging for shock and static sensitive objects
JP2010241434A (ja) 物品収納箱
PT1467923E (pt) Fecho reutilizavel para um recipiente
DE4028276A1 (de) Mehrwege-versandschachtel mit rahmen fuer wechseletiketten und markier- oder codierbarem versiegelungs-etikett
US20040129039A1 (en) Security container system and a method of transporting or shipping at least one item
JPH11171170A (ja) ロール状物の梱包輸送用通函
JP4012191B2 (ja) 梱包装置
JP6802614B1 (ja) 通い箱
KR20220001532U (ko) 친환경 택배박스
EP4166470A1 (en) Packaging container and folding methods for packaging container
KR102502119B1 (ko) 포장박스
WO2001066422A1 (en) Reusable container for packaging
JPH089387B2 (ja) 段ボール箱
JP4501358B2 (ja) 梱包装方法
KR101567910B1 (ko) 포장용 상자
JP7496174B2 (ja) ロック手段を設けられた折り畳み式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