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275B1 -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 Google Patents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275B1
KR102563275B1 KR1020210137874A KR20210137874A KR102563275B1 KR 102563275 B1 KR102563275 B1 KR 102563275B1 KR 1020210137874 A KR1020210137874 A KR 1020210137874A KR 20210137874 A KR20210137874 A KR 20210137874A KR 102563275 B1 KR102563275 B1 KR 10256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unit cells
pattern
frequency selection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4181A (ko
Inventor
김윤재
이원준
백상민
권재룡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3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Abstract

주파수 선택표면은 주기 격자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은, 비전도성 기판, 및 상기 비전도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기판은 각 단위 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INCREASED FLEXIBILITY}
본 발명은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은 스텔스 기술을 확보하고 이 기술을 이용한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각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주파수 선택표면은 스텔스 무기체계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기술로 주파수에 따라 그 특성이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스텔스 무기체계를 위한 저피탐 기술은 대표적으로 주파수 선택구조와 전파흡수구조를 들 수 있으며, 두 구조는 필요에 따라 목표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많은 경우에 주기 격자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물리적으로는 두 구조 모두 전자기 공진을 이용하여 전파의 흡수, 반사 등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적절한 기술적 방법으로 설계된 주파수 선택표면은 대역 투과(band-pass) 및 대역 반사(band-stop)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전파흡수구조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만족할 만한 전파흡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기 격자 구조의 특성은 단위 셀(unit cell)의 지역공진 특성과 주기적으로 배열된 배열 특성에 동시 영향을 받게 된다.
주파수 선택표면은 일반적인 전도성을 가진 금속성 물질로 일정한 형태로 설계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구리, 은, 알루미늄 박판이 주로 사용된다. 유전체 등의 비전도성 물질 위에 전도성 박막을 접합한 후 에칭으로 원하는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 비전도성 평판 위에 전자 인쇄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전도성 구조의 형태를 직접 인쇄하는 방법 등으로 주파수 선택표면은 제작될 수 있다.
제작된 기능성 주기 격자 구조는 하나의 얇은 평판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되며, 각 단위 셀이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평판 형태로 제작된 주기 격자 구조의 주파수 선택표면은 평면 혹은 곡면 형태의 무기체계 표면 구조에 삽입 또는 부착하는 형태로 적용된다.
무기체계의 외피는 다양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곡률이 한 방향으로 일정한 단일 곡면, 곡률이 방향별로 상이한 이중 또는 복합 곡면, 때로는 일정한 곡률을 정의할 수 없는 곡면 등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주기 격자 구조가 상당한 유연성의 가지고 있지 않으면 항공기 표면과 같은 다양한 곡면들에 주기 격자 구조를 적용하여 구현하기가 쉽지 않으며 모든 곡면을 정확하게 따라가면서 주기 특성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주기 격자 구조는 박판 형태로 목표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재 적층에 적응되므로 이 과정에서 구김 현상(wrinkle)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주기 격자 구조의 곡면 형태를 고려하여 제작 과정 중에 설계된 곡률을 추종하지 못하는 영역에서 주기 격자 구조를 적당한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주기 격자 구조의 전도성, 주기성 등의 훼손을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주기 격자 구조 제작 중 빈번하게 발생한다. 주기 격자 구조에 물리적 특성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주파수 성능에 심각한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기 격자 구조의 분할은 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요소로 간주되며, 주기 격자 구조를 이용하여 기능성 하이브리드 복합재를 제조할 때 되도록이면 절단면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기 격자 구조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최대한 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은 주기 격자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은, 비전도성 기판, 및 상기 비전도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기판은 각 단위 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은, 평면상에서 단위 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단위 셀의 가장자리까지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중앙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단위 셀의 연결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와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단위 셀의 크기보다 작은 사각형 형태이고, 가운데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제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 패턴은 평면상에서 링 형태이고, 상기 제거 패턴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 부분이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거 패턴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 부분이 크로스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을 기준으로 봤을 때, 평면상에서 90도 꺾인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 전체를 기준으로 봤을 때, 평면상에서 인접한 4개의 단위 셀의 꼭짓점이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크로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형태의 상기 개구 패턴은 단위 셀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은 인접한 단위 셀의 꼭짓점이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크로스 형태의 개구 패턴이 단위 셀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전도성 기판, 및 상기 비전도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패턴은, 평면상에서 단위 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단위 셀의 가장자리까지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중앙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단위 셀의 연결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단위 셀의 크기보다 작은 사각형 형태이고, 가운데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제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은 구조적으로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어 하이브리드 복합재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격자 구조 절단을 최소화하고 격자 구조 손상으로 인한 전자기적 성능 왜곡 현상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의 단위 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라 단위 셀을 자른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에 따라 단위 셀을 자른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I-III' 선에 따라 단위 셀을 자른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의 단위 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의 전자기 성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의 단위 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라 단위 셀을 자른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에 따라 단위 셀을 자른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10)은 복수의 단위 셀(11)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셀(11)은 평면상에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 셀(11)은 평면상에서 매트릭스 형태 또는 주기 격자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셀(11) 각각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영역을 차지하고, 사각형의 영역에서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단위 셀(11) 각각의 영역은 사각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단위 셀(11)은 각각의 영역에서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제거된 각 단위 셀(11)은 인접한 단위 셀(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 셀(11)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인접한 단위 셀(11)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파수 선택표면(10)을 형성할 수 있다.
단위 셀(11)은 비전도성 기판(100) 및 비전도성 기판(100) 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101, 102)을 포함한다. 비전도성 기판(100)은 유연한 플라스틱, 유전체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패턴(101, 102)은 구리, 은,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101, 102)은 비전도성 기판(100) 위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후 에칭 과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비전도성 기판(100) 위에 전자 인쇄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패턴(101, 102)은 중앙부(101) 및 연결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01)는 평면상에서 단위 셀(11)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연결부(102)는 평면상에서 단위 셀(1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연결부(102)는 복수의 단위 셀(11) 간의 전류 전도 경로이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101)는 단위 셀(11)의 크기보다 작은 사각형 형태이고, 사각형의 가운데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제거 패턴(1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거 패턴(103)이 평면상에서 링 형태이고 제거 패턴(103)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101) 부분이 원형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평면상에서 단위 셀(11)의 제1 방향(X)(가로 방향)으로의 폭 및 제2 방향(Y)(세로 방향)으로의 폭이 L일 때, 중앙부(101)의 제1 방향(X)으로의 폭 및 제2 방향(Y)으로 폭은 L보다 작고, 중앙부(101)는 단위 셀(11)의 가장자리와 중첩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02)는 평면상에서 중앙부(101)로부터 단위 셀(11)의 가장자리까지 사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02)는 중앙부(101)로부터 제1 방향(X)(가로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세로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2)의 폭은 단위 셀(11)의 폭 L보다 작은 W일 수 있다. 중앙부(101)로부터 단위 셀(11)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연결부(102)는 인접한 단위 셀(11)의 연결부(102)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중앙부(101)와 연결부(102)는 제조 공정상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전도성 기판(100) 위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후 각 단위 셀(11)의 가장자리의 일부분과 가운데의 제거 패턴(103) 부분을 에칭함으로써 중앙부(101)와 연결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비전도성 기판(100) 위에 전자 인쇄 과정을 통해 중앙부(101)와 연결부(102)가 패터닝될 수 있다.
각 단위 셀(11)의 가장자리에서 전도성 패턴(101, 10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단위 셀(11)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부(102)를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여 비전도성 기판(100)에는 개구 패턴(10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비전도성 기판(100)의 일부분에 개구 패턴(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패턴(105)은 각 단위 셀(11)의 가장자리에서 전도성 패턴(101, 10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개구 패턴(105)은 비전도성 기판(100)을 관통하는 구멍(void)일 수 있다.
개구 패턴(105)은 각 단위 셀(11)을 기준으로 봤을 때,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90도 꺾인 막대 형태 또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 패턴(105)은 주파수 선택표면(10) 전체를 기준으로 봤을 때,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인접한 4개의 단위 셀(11)의 꼭짓점이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크로스(cross) 형태로 형성되고, 단위 셀(11)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 패턴(105)은 복합재 적층 공정에서 프리프레그(prepreg)의 레진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공간이 메워지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악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오히려 비전도성 기판(100)에 개구 패턴(105)이 주기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곡면 형상을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이와같이, 비전도성 기판(100)에 인접한 단위 셀(11)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 패턴(105)이 주기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단위 셀(11) 간에는 연결부(1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파수 선택표면(10)이 형성됨으로써, 주파수 선택표면(10)의 유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복합재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격자 구조 절단을 최소화하고 격자 구조 손상으로 인한 전자기적 성능 왜곡 현상을 경감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이 있는 주파수 선택표면(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4와 비교하여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2의 III-III' 선에 따라 단위 셀을 자른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전도성 기판(100)에서 전도성 패턴(101, 102)의 제거 패턴(103)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비전도성 기판(100)에서 제거 패턴(103)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관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전도성 기판(100)이 접착 필름 등에 의해 접착 및 고정된 상태에서 제거 패턴(103)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전도성 패턴(101, 102)에 제거 패턴(103)이 형성됨과 동시에 비전도성 기판(100)에 제거 패턴(103)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5와 비교하여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의 단위 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10')에서 복수의 단위 셀(11') 각각에 형성된 제거 패턴(103)의 형태가 도 1 내지 5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다. 도 1 내지 5에서는 제거 패턴(103)이 링 형태이고, 제거 패턴(103)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101) 부분이 원형인 반면, 도 6 및 7의 실시예에서는 제거 패턴(103)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101) 부분이 크로스 형태가 되도록 제거 패턴(103)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10')은 도 1 내지 5에 설명한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의 전자기 성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단위 셀(11, 11')의 연결부(102)의 폭 W의 크기는 단위 셀(11, 11')의 폭(크기) W에 따라 결정되며, W와 L의 비에 따라 주파수 선택표면(10, 10')의 전자기 성능은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턴(1st pattern)은 도 1 내지 4의 실시예의 주파수 선택표면(10)을 의미하고, 제2 패턴(2nd pattern)은 도 6 및 7의 실시예의 주파수 선택표면(10')을 의미한다.
주기 격자 구조의 주파수 선택표면(10, 10')의 공진주파수 이하는 W값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공진주파수 이상에서는 W값이 크기에 따라 고차모드(higher mode)의 영향으로 전자기 특성이 변화하므로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며, L/W의 최대값은 10 이하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 주파수 선택표면
11, 11': 단위 셀
100: 비전도성 기판
101: 중앙부
102: 연결부
103: 제거 패턴
105: 개구 패턴

Claims (16)

  1. 주기 격자 구조로 배열되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인접한 단위 셀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은,
    비전도성 기판; 및
    상기 비전도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평면상에서 단위 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단위 셀의 가장자리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단위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단위 셀의 연결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은 인접한 단위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전도성 기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주기 격자 구조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격자 구조 절단을 줄여서 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중앙부의 폭보다 작은 주파수 선택표면.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표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단위 셀의 크기보다 작은 사각형 형태이고, 가운데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제거 패턴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패턴은 평면상에서 링 형태이고, 상기 제거 패턴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 부분이 원형인 주파수 선택표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패턴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 부분이 크로스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거 패턴이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표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을 기준으로 봤을 때, 평면상에서 90도 꺾인 막대 형태인 주파수 선택표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 전체를 기준으로 봤을 때, 평면상에서 인접한 4개의 단위 셀의 꼭짓점이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크로스 형태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표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형태의 상기 개구 패턴은 단위 셀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표면.
  12. 인접한 단위 셀의 꼭짓점이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크로스 형태의 개구 패턴이 단위 셀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전도성 기판; 및
    상기 비전도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평면상에서 단위 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단위 셀의 가장자리까지 제1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단위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단위 셀의 연결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단위 셀 각각은 인접한 단위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셀은 주기 격자 구조로 배열되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단위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전도성 기판은 각 단위 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주기 격자 구조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격자 구조 절단을 줄여서 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13. 삭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중앙부의 폭보다 작은 주파수 선택표면.
  15. 삭제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단위 셀의 크기보다 작은 사각형 형태이고, 가운데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제거 패턴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KR1020210137874A 2021-10-15 2021-10-15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KR10256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74A KR102563275B1 (ko) 2021-10-15 2021-10-15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74A KR102563275B1 (ko) 2021-10-15 2021-10-15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81A KR20230054181A (ko) 2023-04-24
KR102563275B1 true KR102563275B1 (ko) 2023-08-02

Family

ID=8614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74A KR102563275B1 (ko) 2021-10-15 2021-10-15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97A (ko) * 2014-07-28 2016-02-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형 광대역 전파 흡수체
KR20190118832A (ko) * 2018-04-11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단위 셀 구조
KR102639417B1 (ko) * 2019-05-10 2024-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81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6792A (en) Antenna array panel structure
US8592687B2 (en) Signal line and circuit substrate
EP2337152B1 (en) Dual-polarisation reflectarray antenna with improved cross-polarization properties
US20190356058A1 (en) Antenna element having a segmentation cut plane
KR101920958B1 (ko) 차량 동체와 안테나를 통합시키는 방법
KR102644502B1 (ko) 신규 중공 경량 렌즈 구조
US9825370B2 (en) Antenna reflector phase correction film and reflector antenna
KR101751638B1 (ko) 전자파 흡수기
CN205488534U (zh) 超材料结构及超材料天线罩
KR102563275B1 (ko) 유연성이 향상된 주파수 선택표면
JP6874910B2 (ja) 樹脂基板、および樹脂基板の製造方法
US20220368034A1 (en) Antenna array device
CN106558756B (zh) 超材料、超材料天线面板和超材料平板天线
CN104253311B (zh) 超材料复合结构及其制造方法
CN102810761B (zh) 夹芯超材料及其制造方法和夹芯超材料天线罩的制造方法
JP2007067596A (ja) 平面アンテナ
CN103296406B (zh) 超材料天线罩
CN112310661B (zh) 一种多频天线阵列及基站系统
CN204905387U (zh) 带通滤波结构、天线罩及天线系统
US8974893B2 (en) Artificial microstructure and artificial electromagnetic material using the same
US20110240744A1 (en) Antenna substrate and rfid tag
CN210956948U (zh) 一种超材料、除冰装置、雷达罩及飞行器
TWI794301B (zh) 攝像元件安裝基板
JP2000031684A (ja) 電波吸収体
CN107732379B (zh) 空间滤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