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941B1 -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941B1
KR102562941B1 KR1020200163217A KR20200163217A KR102562941B1 KR 102562941 B1 KR102562941 B1 KR 102562941B1 KR 1020200163217 A KR1020200163217 A KR 1020200163217A KR 20200163217 A KR20200163217 A KR 20200163217A KR 102562941 B1 KR102562941 B1 KR 10256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blind
space
blocking member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565A (ko
Inventor
송오성
김동호
박기덕
최유정
유혜리
김광배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9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슬랫에 있어서,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슬랫부 및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되, 제1슬랫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슬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가 서로 연통구를 통해 연통되는 오픈모드가 되거나 서로 차단되는 클로즈모드가 되며, 상기 오픈모드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이 가열되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입되어 상기 클로즈모드로 전환되는, 블라인드 슬랫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BLIND SLAT US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BLI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는 상변화물질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가 높아졌을 때 자동으로 햇빛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블라인드 시스템은 크게 버티컬 블라인드, 전동 블라인드, 원목 블라인드, 롤 스크린 블라인드, 콤비 블라인드 등 채광조절의 효율을 높이거나 전기를 이용해 이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시스템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일차적으로 일사광을 막는 기본적인 역할에 한정되거나, 전기적 설비를 추가적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건물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일사광을 차단하는 것을 넘어 일사광에 포함된 열에 대한 축열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블라인드 상품에서는 창을 통해 들어오는 일사광을 막는 기본적인 역할 이외에 기능적인 면모에 있어서는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3766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 및 블라인드 장치는 사용자가 블라인드 장치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일조량이나 잔존 축열에 따라 반자동으로 블라인드가 개폐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상변화물질의 액상화를 이용하여 무동력 동작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전기를 이용해 자동 개폐되어 일사광을 막는 장치와 달리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슬랫에 있어서,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슬랫부 및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되, 제1슬랫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슬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가 서로 연통구를 통해 연통되는 오픈모드가 되거나 서로 차단되는 클로즈모드가 되며, 상기 오픈모드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이 가열되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입되어 상기 클로즈모드로 전환되는, 블라인드 슬랫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가 연결되는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블라인드 슬랫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에 인접한 상기 제1슬랫부의 아랫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차단부재; 상기 연통구에 인접한 상기 제2슬랫부의 윗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모드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클로즈모드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가 접촉되며 상기 연통구가 차단되는, 블라인드 슬랫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슬랫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슬랫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로즈모드에서 상기 오픈모드로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슬랫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예 따른 블라인드 슬랫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는 상기 제1슬랫부의 상단과 상기 제2슬랫부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틸팅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랫부의 하단에 연결된 틸팅와이어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가 같이 회전되어 상기 제2슬랫부가 상기 제1슬랫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 및 블라인드 장치는 사용자가 블라인드 장치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일조량이나 잔존 축열에 따라 반자동으로 블라인드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상변화물질의 액상화를 이용하여 무동력 동작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전기를 이용해 자동 개폐되어 일사광을 막는 장치와 달리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의 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이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이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라인드 장치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슬랫(100a~100d)은 제1슬랫부(101), 제2슬랫부(102), 연통구(103), 제1차단부재(107a), 제2차단부재(107b), 탄성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랫부(101)는 내부 공간인 제1공간부(104)가 형성된 것으로서 창호에 블라인드 장치 설치시 태양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림막일 수 있다.
제2슬랫부(102)는 내부 공간인 제2공간부(105)가 형성되되, 제1슬랫부(10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슬랫부(101)와 같이 태양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림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슬랫부(101)와 제2슬랫부(102)는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도 1의 (a) 참조), 이 때에 태양광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열 배치된 서로 다른 블라인드 슬랫 사이로 투광될 수 있다. 다만, 제2슬랫부(102)가 제1슬랫부(101)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도 1의 (b) 참조)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 사이 틈새가 차단되어 태양광이 투광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도 1의 (c) 참조).
그리고, 블라인드 슬랫은 제1슬랫부(101)와 제2슬랫부(102)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제1공간부(104)와 제2공간부(105)가 서로 연통구(103)를 통해 연통되는 오픈모드(도 1의 (a) 참조)가 되거나 서로 차단되는 클로즈모드(도 1의 (c) 참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통구(103)는 제1슬랫부(101)와 제2슬랫부(102)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자, 제1슬랫부(101)의 측면 일부분에 형성되는 홀과, 제2슬랫부(102)의 측면 일부분에 형성되는 홀이 맞춰져서 제1공간부(104)와 제2공간부(105)를 서로 연통시키는 부분이다. 연통구(103)는 제1슬랫부(101)와 제2슬랫부(102)가 서로 연결되는 중심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오픈모드(도 1의 (a) 참조)에서 제1공간부(104)에 저장된 상변화물질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면 제2공간부(105)로 유입되어 클로즈모드(도 1의 (c) 참조)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은 축열재로서, 온도와 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로 변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변화물질이 열을 흡수하면 액체가 되고, 열을 방출하면 고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변화물질은 창호에 제1슬랫부(101)가 창문측에 배치되고 제2슬랫부(102)가 실내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공간부(104)에 미리 저장(도 1의 (a) 참조)되어 있다가 태양광이 강해지는 오후시간대에 가열되어 제2공간부(105)로 유입될 수 있다(도 1의 (b 참조). 상변화물질이 계속 제2공간부(105)로 유입되면 제2슬랫부(102)의 무게가 무거워져서 제2슬랫부(102)라 제1슬랫부(101)의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다(도 1의 (c) 참조). 이로써, 블라인드 장치에서 태양광이 투광되던 틈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차단부재(107a)는 연통구(103)에 인접한 제1슬랫부(101)의 아랫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실리콘, 고무 등 점착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차단부재(107a)는 제1슬랫부(101)의 아랫측 단부에 고정되어 제1슬랫부(101)와 함께 이동되되, 연통구(10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차단부재(107b)는 연통구(103)에 인접한 제2슬랫부(102)의 윗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실리콘, 고무 등 점착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차단부재(107b)는 제2슬랫부(102)의 윗측 단부에 고정되어 제2슬랫부(102)와 함께 이동되되, 연통구(10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차단부재(107a)와 제2차단부재(107b)는 보조차단부재(10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차단부재(106)는 각각 제1슬랫부(101)의 윗측 단부와 제2슬랫부(102)의 아랫측 단부에 고정되고, 이 위에 제1차단부재(107a)와 제2차단부재(107b)가 각각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모드 변환에서 상변화물질이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오픈모드에서 제1차단부재(107a)와 제2차단부재(107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도 1의 (a) 참조)되고, 클로즈모드에서 제1차단부재(107a)와 제2차단부재(107b)가 접촉되며 연통구(103)가 차단될 수 있다(도 1의 (c) 참조). 즉, 오픈모드에서 제2슬랫부(102)가 제1슬랫부(101)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차단부재(107a)와 제2차단부재(107b)가 서로 가까워지고, 결국 서로 접촉되면서 연통구(103)가 차단되어 클로즈모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할 블라인드 장치의 틸팅와이어(320)의 조작 및 탄성부재(108)의 작동에 따라 제2슬랫부(102)의 제2공간부(105)에 수용된 상변화물질이 제1슬랫부(101)의 제1공간부(104)로 이동되면서 제2슬랫부(102)가 제1슬랫부(101)의 상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1의 (d)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의 탄성부재(108)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08)는 일측은 제1슬랫부(101)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슬랫부(102)에 연결되어, 클로즈모드에서 오픈모드로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탄성부재(108)는 블라인드 슬랫에서 상기 제1공간부(104) 및 제2공간부(105)가 배치된 부분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슬랫이 오픈모드에서 클로즈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2슬랫부(102)의 하강에 의해 탄성부재(108)는 이완될 수 있다(도 2의 (a), (b) 참조). 그리고 블라인드 슬랫이 클로즈모드에서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2공간부(105) 내의 상변화물질이 제1공간부(104)로 유입되고, 탄성부재(108)의 수축 탄성력에 의해 제2슬랫부(102)가 상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이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이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블라인드 장치는 상술한 블라인드 슬랫, 당김와이어(310), 틸팅와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와이어(310)는 블라인드 슬랫들이 배치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써, 당기고 풀어줌에 따라서 복수개의 블라인드 슬랫드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거나(도 3의 (c) 참조)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도 3의 (d) 참조).
틸팅와이어(320)는 블라인드 슬랫의 배치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슬랫부(101)의 상단과 제2슬랫부(10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 제1슬랫부 와이어(321)와 제2슬랫부 와이어(3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슬랫부(101)의 하단에 연결된 제1슬랫부 와이어(321)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슬랫부(101)와 제2슬랫부(102)가 같이 회전되어 제2슬랫부(102)가 제1슬랫부(101)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라인드 장치(200a~200f)에서 복수개의 블라인드 슬랫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200a)에서 상변화물질의 이동에 따라 제2슬랫부(102)가 제1슬랫부(101)의 하방으로 하강되는 상태(200b)를 볼 수 있다. 또한, 틸팅와이어(320)의 조작에 따라 블라인드 슬랫이 틸팅되며 상변화물질이 다시 복원 이동되는 상태(200c)와 제2슬랫부(102)가 제1슬랫부(101)의 상방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태(200d)를 볼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슬랫이 당김와이어(310)의 조작에 의해 서로 모여서 간이하게 배치되되, 상변화물질이 액체인 상태(200e)와 상변화물질이 고체인 상태(200f)를 볼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 및 블라인드 장치는 사용자가 블라인드 장치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일조량이나 잔존 축열에 따라 반자동으로 블라인드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상변화물질의 액상화를 이용하여 무동력 동작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전기를 이용해 자동 개폐되어 일사광을 막는 장치와 달리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100d: 블라인드 슬랫 101: 제1슬랫부
102: 제2슬랫부 103: 연통구
104: 제1공간부 105: 제2공간부
106: 보조차단부재 107a: 제1차단부재
107b: 제2차단부재 108: 탄성부재
310: 당김와이어 320: 틸팅와이어
321: 제1슬랫부 와이어 322: 제2슬랫부 와이어

Claims (5)

  1. 블라인드 장치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슬랫에 있어서,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슬랫부 및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되, 제1슬랫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슬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가 서로 연통구를 통해 연통되는 오픈모드가 되거나 서로 차단되는 클로즈모드가 되며,
    상기 오픈모드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이 가열되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입되어 상기 클로즈모드로 전환되는, 블라인드 슬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가 연결되는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블라인드 슬랫.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에 인접한 상기 제1슬랫부의 아랫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차단부재;
    상기 연통구에 인접한 상기 제2슬랫부의 윗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모드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클로즈모드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가 접촉되며 상기 연통구가 차단되는, 블라인드 슬랫.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슬랫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슬랫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로즈모드에서 상기 오픈모드로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슬랫.
  5. 제1항 내지 제4항에 따른 블라인드 슬랫 중 어느 하나의 블라인드 슬랫; 및
    상기 제1슬랫부의 상단과 상기 제2슬랫부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틸팅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랫부의 하단에 연결된 틸팅와이어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슬랫부와 상기 제2슬랫부가 같이 회전되어 상기 제2슬랫부가 상기 제1슬랫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장치.
KR1020200163217A 2020-11-27 2020-11-27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256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17A KR102562941B1 (ko) 2020-11-27 2020-11-27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17A KR102562941B1 (ko) 2020-11-27 2020-11-27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565A KR20220074565A (ko) 2022-06-03
KR102562941B1 true KR102562941B1 (ko) 2023-08-03

Family

ID=8198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217A KR102562941B1 (ko) 2020-11-27 2020-11-27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9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5204A (ja) 2017-08-10 2019-03-07 永大産業株式会社 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230A (ko) * 2006-08-14 2008-02-19 노홍구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KR20140022567A (ko) * 2012-08-14 2014-02-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변환물질을 이용한 도어 장치
KR101837665B1 (ko) 2017-09-29 2018-03-12 박효선 항균성과 발향성을 가진 우드블라인드 슬랫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8596A (ko) * 2018-02-14 2019-08-22 남기호 단열 및 차음 효과가 우수한 셔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5204A (ja) 2017-08-10 2019-03-07 永大産業株式会社 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565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044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875718B1 (ko) 밀폐기능이 있는 롤 스크린
CN104100192B (zh) 一种门窗
WO2004001175A1 (en) Simplified device for mangnetically operating blinds within a glass-enclosed chamber
KR102220205B1 (ko) 무전원 루버 자동 개폐 시스템
KR102562941B1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블라인드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JP6249255B2 (ja) 貫通開口用の閉鎖システム
KR101562239B1 (ko) 슬라이딩 도어
WO2013171771A1 (en) Movement assembly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 leaves, skylights, orient able slats and the like
KR101177990B1 (ko) 다층유리 및 이 다층유리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KR101764957B1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JP5385644B2 (ja) 上げ下げ窓
US7591297B2 (en) Window blinds with alternate lift mechanism
KR20100123171A (ko) 간소화된 엑츄에이터 구조를 갖는 도어 스토퍼장치
KR101892349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200022402A (ko)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창틀 스크린
CN105569501B (zh) 墙体
RU192908U1 (ru) Подъемное ограждение
CN105698473A (zh) 一种带有翻转梁的对开门冰箱
JP4473121B2 (ja) スイッチ手段の位置を手動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076208B1 (ko)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창틀 스크린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KR100342881B1 (ko) 개폐형 문지방
KR20160002615U (ko) 탄력수단이 구비된 분배전반용 경첩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