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85B1 - 필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85B1
KR102562785B1 KR1020210023071A KR20210023071A KR102562785B1 KR 102562785 B1 KR102562785 B1 KR 102562785B1 KR 1020210023071 A KR1020210023071 A KR 1020210023071A KR 20210023071 A KR20210023071 A KR 20210023071A KR 102562785 B1 KR102562785 B1 KR 10256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filter
clea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801A (ko
Inventor
신익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신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64Splash guard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가 흡착된 필터에 물 분사에 따른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세척함에 따른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필터 세척장치{Filte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가 흡착된 필터에 물 분사에 따른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세척함에 따른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의 베란다에는 채광효과와 더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대형 유리를 프레임에 설치한 유리문을 사용한다.
이 경우 유리문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세척기를 들고 유리문의 외측을 닦아야 하는데 이때 고층일 경우, 사용자는 몸을 베란다 바깥쪽으로 내민 상태에서 세척을 하게 되며,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추락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방충망은 모기, 파리 등의 해로운 벌레들이 건물의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에 덧대어지는 망으로서, 한 변이 대략 1 ~ 2mm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격자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충망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통상 물걸레 등으로 방충망을 문질러 청소하거나, 또는 방충망에 물을 뿌리면서 브러쉬를 이용하여 방충망에 마찰을 가하여 방충망에 붙어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물걸레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청소하는 방법은 방충망의 격자 사이의 공간을 청소하기 어려워 방충망에 흡착된 먼지 및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으며, 방충망에 물을 뿌려가며 브러쉬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청소하는 방법은 창 안팎으로 물이 튀어 창틀, 건물 외벽 등에 얼룩을 남기는 단점이 있으며, 더불어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의 경우 창밖으로 튀는 물에 의해 아랫집에 피해를 주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방충망 청소과정 중 브러쉬로 방충망을 털거나 비비게 되면 방충망에 붙어있던 먼지 및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어, 청소시 많은 먼지를 마시게 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활 아이디어의 하나로 신문지를 방충망에 대고 분무기를 뿌려 붙인후, 신문지에 뿌려진 물이 마르면 방충망에서 신문지를 떼어냄으로써 방충망에 붙어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방충망에 들러붙은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방충망 격자 사이의 공간은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창문에 부착되어 있는 방충망은 대부분 창문의 바깥쪽 부분에 고정되어 있어 창문에서 분리하기 어려워 방충망 청소시, 창문에 부착된 방충망의 안쪽 면에서 청소를 진행함으로써, 방충망의 바깥쪽 면까지 깨끗하게 닦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방충망의 바깥쪽 면까지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해 방충망을 떼어내려는 경우 창문을 모두 제거한 후 방충망을 제거해야 함으로써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창문이 큰 경우에는 작업자가 창문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창문 밖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7-0077330호에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는, 창문틀 내부의 안쪽에 내측창문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창문의 바깥쪽에 외측창문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창문의 바깥쪽에 방충망이 설치되되, 상기 외측창문의 내측면 창틀에 내측창문의 바깥쪽면 유리창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1세척바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창문의 외측면 창틀에 방충망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2세척바가 설치되며, 상기 방충망의 망틀에 외측창문의 바깥쪽면 유리창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3세척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1세척바는, 상기 외측창문의 내측면 창틀에 밀착 고정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정면에 구비되어 내측창문 또는 외측창문의 열고 닫음으로 인해 내측창문의 바깥쪽면 유리창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제1지지대를 외측창문의 창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고정부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대는 제1고정부로 창틀에 고정되는 제1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밀착부의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1세척부가 부착되면서 제1세척부가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창의 끝단면까지 밀착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의 제1꺽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세척바는, 상기 외측창문의 외측면 창틀에 밀착 고정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후면에 구비되어 외측창문 또는 방충망의 열고 닫음으로 인해 방충망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세척부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외측창문의 창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세척바는, 상기 방충망의 망틀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3지지대와, 상기 제3지지대의 정면에 구비되어 외측창문 또는 방충망을 열고 닫음으로 인해 외측창문의 바깥쪽면 유리창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세척부 및 상기 제3지지대를 방충망의 망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 또는 피스로 구비된 제3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세척바는 내,외측창문과 방충망의 여닫음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틀과 망틀의 상,하부를 제외한 유리창과 방충망에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충망의 망체에 묻은 먼지를 닦아줄 수 있도록 고무나 PP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천재질로 이루어진 제2세척바의 제2세척부를 갖추어 외측창문 또는 방충망을 열고 닫음에 따라 방충망의 망체를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외측창문 또는 방충망을 열고 닫음으로 인해 망체에 묻은 먼지의 세척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7-0077330호, 출원일; 2017년06월19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먼지가 흡착된 필터에 물 분사에 따른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세척함에 따른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필터 세척장치는, 미세먼지를 필터링가능하도록 틀에 고정된 필터(F)에 면접촉되도록 직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바닥면(111)에는 초음파를 전달가능하게 매질이 저장된 매질저장부(112)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척용 하우징(110)과,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매질저장부(112)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전원 공급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질저장부(112)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물이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를 통하여 공급됨에 따른 필터측으로 물을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용 물분사부(130)와,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전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원 공급선과 세척용 물공급호스를 내부로 안내하면서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손잡이부(140)와,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는 세척용 물공급호스와 전원 공급선을 연결 및 접속시켜 스위치를 각각 온(ON)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세척용 물분사부(130)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150)의 작동버튼을 온(ON)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에 내설된 복수 개의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통하여 세척된 필터(F)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도록 압축공기분사부(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 따르면, 미세먼지가 흡착된 필터에 물 분사에 따른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므로 인해, 상기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세척함에 따른 필터의 성능을 향상 및 재사용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필터를 고정체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게 필터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세척용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세척용 하우징 및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100)는, 미세먼지를 필터링가능하도록 틀에 고정된 필터(F)에 면접촉되도록 직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바닥면(111)에는 초음파를 전달가능하게 매질이 저장된 매질저장부(112)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척용 하우징(110)과,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매질저장부(112)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전원 공급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질저장부(112)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물이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를 통하여 공급됨에 따른 필터측으로 물을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용 물분사부(130)와,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전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원 공급선과 세척용 물공급호스를 내부로 안내하면서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손잡이부(140)와,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는 세척용 물공급호스와 전원 공급선을 연결 및 접속시켜 스위치를 각각 온(ON)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세척용 물분사부(130)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150)의 작동버튼을 온(ON)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통하여 세척된 필터(F)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도록 압축공기분사부(16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세척용 하우징(110)은, 미세먼지를 필터링가능하도록 틀에 고정된 필터(F)에 면접촉되도록 직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바닥면(111)에는 상기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필터(F)측으로 전달가능하게 매질이 저장된 매질저장부(11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 일측에는 상기 세척용 물분사부(130)와 압축공기분사부(160)로부터 분사되는 물과 압축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세척용 물분사안내홀(110a) 압축공기 분사안내홀(110b)이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매질저장부(112)는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매질저장부(112)에 저장되는 매질은 상기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필터(F)측으로 전달가능하도록 물로 구성된다.
상기한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매질저장부(112)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150)로부터 전원 공급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는 공지의 것으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세척용 물분사부(13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질저장부(112)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물이 세척용 물공급호스를 통하여 공급됨에 따른 필터(F)측으로 물을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세척용 물분사부(13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질저장부(112)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척용 물분사안내홀(110a)을 통하여 필터(F)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물분사노즐(132a)이 형성된 세척용 물분사관(132)과, 상기 세척용 물분사관(132)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배관된 세척용 물공급호스(131)의 타단과 유출구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척용 펌프(미도시함)와, 상기 세척용 펌프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용 물저장부(미도시함)로 구성된다.
상기한 손잡이부(14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전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원 공급선과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를 안내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 외주면에는 손으로 파지시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미끌림방지부가 형성된 중공의 관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손잡이부(140)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손잡이부(140)는 일단이 세척용 하우징(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 구비되는 제1손잡이바(141)와, 상기 제1손잡이바(141)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손잡이바(142)로 구성되되, 제1손잡이바(141)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요홈(141a)이 형성되고, 제2손잡이바(142) 일단 외주면에는 하나의 나사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요홈(141a)에 삽입되도록 가압나사부(143a)가 형성된 가압부(1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2손잡이바(142)의 타단 외주면에는 손으로 파지시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미끌림방지부(144)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손잡이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부(143)를 통하여 손잡이부(14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세척용 하우징에 용접에 의해 고정 구비되는 제1손잡이바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바와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제2손잡이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어부(150)는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는 세척용 물공급호스(131)와 전원 공급선을 연결 및 접속시켜 스위치를 각각 온(ON)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초음파 액츄에이터(13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어부(150)는 내부가 격벽(미도시함)에 의해 다분할되어 상기 세척용 물분사부(130)의 세척용 물저장부와 세척용 펌프를 저장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면에는 세척용 물공급호스(131)와 전원 공급선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어용 하우징(151)과, 상기 제어용 하우징(15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세척용 물저장부 및 세척용 펌프와 분리되어 전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충전방식의 배터리(미도시함)와, 상기 제어용 하우징(151) 전면에 설치되어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측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작동버튼(15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압축공기분사부(160)는 세척용 물분사부(130)와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의 작동에 의해 필터(F)가 세척됨에 따른 상기 필터(F)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압축공기분사부(16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물분사부(130)의 세척용 물분사관(132)과 일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압축공기공급호스(161)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분사안내홀(110b)을 통하여 세척된 필터(F)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162a)이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관(162)과, 상기 세척용 물분사관(132)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배관된 세척용 물공급호스(161)의 타단과 유출구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펌프(미도시함)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3중 필터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의 갖추어진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에 해당되는 작동버튼(152)을 누른다.
상기 작동버튼(152)의 누름으로 상기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의 세척용 펌프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세척용 펌프의 구동으로 세척용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손잡이부(140)내측으로 배관된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를 통하여 복수 개의 물분사노즐(132a)이 형성된 세척용 물분사관(132)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용 물분사관(132)측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복수 개의 물분사노즐(132a)과 세척용 하우징(110)의 세척용 물분사안내홀(110a)을 통하여 필터측으로 분사된다.
이때, 파지하고 있던 손잡이부(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중인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의 초음파 진동이 필터에 전달되면서 필터에 흡착된 미세먼지가 필터로부터 탈락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를 통하여 상기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정지시킨 후, 압축공기분사부(160)에 해당되는 작동버튼(152)을 누른다.
그로 인해, 상기 압축공기분사부(160)의 에어펌프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으로 만들어진 압축공기는 압축공기공급호스(161)를 통하여 복수 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162a)이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관(162)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용 물분사관(132)측으로 공급된 물은 복수 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162a)과 세척용 하우징(110)의 압축공기 분사안내홀(110b)을 통하여 필터측으로 분사되어 필터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필터의 세척이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 ; 필터 100 ; 필터 세척장치
110 ; 세척용 하우징 120 ;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
130 ; 세척용 물분사부 140 ; 손잡이부
150 ; 제어부 160 ; 압축공기분사부

Claims (6)

  1. 필터 세척장치는,
    미세먼지를 필터링가능하도록 틀에 고정된 필터(F)에 면접촉되도록 직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바닥면(111)에는 초음파를 전달가능하게 매질이 저장된 매질저장부(112)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척용 하우징(110)과;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매질저장부(112)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전원 공급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질저장부(112)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물이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를 통하여 공급됨에 따른 필터측으로 물을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용 물분사부(130)와;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전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원 공급선과 세척용 물공급호스를 내부로 안내하면서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손잡이부(140)와;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는 세척용 물공급호스와 전원 공급선을 연결 및 접속시켜 스위치를 각각 온(ON)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용 물분사부(130)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150)의 작동버튼을 온(ON)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에 내설된 복수 개의 세척용 초음파 액츄에이터(120)와, 세척용 물분사부(130)를 통하여 세척된 필터(F)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도록 압축공기분사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40)는, 일단이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 구비되는 제1손잡이바(141)와, 상기 제1손잡이바(141)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손잡이바(142)로 구성되되, 제1손잡이바(141)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요홈(141a)이 형성되고, 제2손잡이바(142) 일단 외주면에는 하나의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요홈(141a)에 삽입되도록 가압나사부(143a)가 형성된 가압부(143)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부(16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용 물분사부(130)의 세척용 물분사관(132)과 일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압축공기공급호스(161)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분사안내홀(110b)을 통하여 세척된 필터(F)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162a)이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관(162)과, 상기 세척용 물분사관(132)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배관된 세척용 물공급호스(161)의 타단과 유출구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 일측에는 물과 압축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세척용 물분사안내홀(110a) 압축공기 분사안내홀(110b)이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 물분사부(130)는, 상기 세척용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질저장부(112)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세척용 물공급호스(1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척용 물분사안내홀(110a)을 통하여 필터(F)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물분사노즐(132a)이 형성된 세척용 물분사관(132)과, 상기 세척용 물분사관(132)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배관된 세척용 물공급호스(131)의 타단과 유출구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척용 펌프와, 상기 세척용 펌프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용 물저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10023071A 2021-02-22 2021-02-22 필터 세척장치 KR10256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071A KR102562785B1 (ko) 2021-02-22 2021-02-22 필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071A KR102562785B1 (ko) 2021-02-22 2021-02-22 필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801A KR20220119801A (ko) 2022-08-30
KR102562785B1 true KR102562785B1 (ko) 2023-08-02

Family

ID=8311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071A KR102562785B1 (ko) 2021-02-22 2021-02-22 필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149A (ja) * 2002-03-25 2003-09-30 Global:Kk 窓ガラス掃除装置
KR200343675Y1 (ko) * 2003-11-28 2004-03-05 주식회사 세호무역 청소기 손잡이의 길이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51B1 (ko) 2015-12-28 2021-03-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GaN FET를 이용한 펄스드 레이더용 200W급 전력증폭기
KR102057325B1 (ko) * 2018-03-08 2019-12-18 양창학 유리벽 세척을 위한 로봇 청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149A (ja) * 2002-03-25 2003-09-30 Global:Kk 窓ガラス掃除装置
KR200343675Y1 (ko) * 2003-11-28 2004-03-05 주식회사 세호무역 청소기 손잡이의 길이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801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4330A (en) Portable power operated window washer
KR101591948B1 (ko) 창문닦이
CN109758055B (zh) 用于蒸汽清洁机器的表面清洁头
JP2001327449A (ja) スチーム洗浄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ブラシ用部品
KR102562785B1 (ko) 필터 세척장치
KR200398703Y1 (ko) 스팀 겸용 진공 청소기
CN209869866U (zh) 一种新型吸尘黑板
KR20100137906A (ko) 휴대용 물청소기
KR100436763B1 (ko) 청소기용 스팀분사장치
KR20140086592A (ko) 방충망용 청소기
KR100804741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얼굴 세척기
WO2011159990A2 (en) Directional atomizer system for cleaning chandeliers
CN211066455U (zh) 一种平板拖把清洁装置
CN219980438U (zh) 一种便于清洁的滤波装置屏柜
KR101475259B1 (ko) 다목적 청소기
KR20080114668A (ko) 스팀형 창문 청소장치
KR10121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청소기
JPH10295972A (ja) 衣類等の部分洗い洗浄装置
CN219073825U (zh) 一种洗箱机
KR200305298Y1 (ko) 다용도 기구겸 테이프청소기
JP2002000530A (ja) 洗浄装置
CN220527981U (zh) 一种光伏组件的积土处理工具
CN218458028U (zh) 一种扫地机器人用防护装置
KR20080066326A (ko) 1단,2단 물탱크 청소기
KR930000528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