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38B1 - 고정물 탈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물 탈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38B1
KR102562738B1 KR1020220056565A KR20220056565A KR102562738B1 KR 102562738 B1 KR102562738 B1 KR 102562738B1 KR 1020220056565 A KR1020220056565 A KR 1020220056565A KR 20220056565 A KR20220056565 A KR 20220056565A KR 102562738 B1 KR102562738 B1 KR 10256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bracket member
demounting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귀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유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유텍
Priority to KR102022005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에 천장등 커버를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천장등 커버인 경우에도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낙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등 커버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장치 브라켓 모듈;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물 탈장착구;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정물 탈장착 장치 {FIXING AND TAKING AWAY DEVICE OF FIXING OBJECTS}
본 발명은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고정물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고정물인 경우에도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도를 증대시키고 탈착장치의 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장을 포함하는 벽면에 천장등을 포함한 등기구뿐만 아니라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고정물을 탈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등기구인 천장등(조명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밝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실내장식을 위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통상 사각형이나 원형 등 설계에 따라 정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정해진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벽면이나 천장면에 장착되는 조명등 하우징(Housing)과, 상기 조명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켓(Socket)에 끼워져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의 제어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제어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조명등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실내공간으로 투과시키는 조명등 커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조명등의 구성에서 조명등 커버는 통상적으로 조명등 하우징에 대하여 다수 개의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그 장착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고, 조명등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램프를 교체하는 등의 수리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천장등 커버 고정장치는 볼트 또는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의 미려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한적인 형태의 천장등 커버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천장등 커버를 고정하려면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야 하므로 볼트와 너트가 채워지는 부분이 항상 존재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공조립이 매우 번거로우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좀 더 진보된 천장등 커버 고정장치로는 슬라이딩판을 끼워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 또한 한쪽 방향으로 치우진 형태로 형성되어서 천장등의 디자인이 제한되어 천장등 및 천장등 커버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립의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9052호(2017.03.22. 공고)에는, 천장등 커버를 천장에 장착된 등기구 프레임에 하부에서 상부로 눌러 결합하고, 탈거할 때에는 하부로 잡아 당겨 탈거할 수 있도록 한 천장등 커버 탈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천장등 커버를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는 있으나, 천장등 커버가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탈락 조작 없이도 쉽게 탈락되어 채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천장등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일정 기간이 경과 시 스프링의 지지력 약화로 인하여 천장등 커버가 스스로 탈락되어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9052호(2017.03.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19052(2017.03.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8216(2017.05.2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8799(2010.05.24.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36020(2010.12.28.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고정물인 경우에도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도를 증대시키고 탈착장치의 갯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등기구나 액자 또는 가전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고정물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장치 브라켓 모듈;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물 탈장착구;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은 단면 "U"자형 또는 "凸"형상의 의 고정 브라켓 부재;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브라켓 부재;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와 커버 브라켓 부재 간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와 커버 브라켓 부재 간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단부 내벽에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에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가 안착 지지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절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는 단면 아크 형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 또는 홈부에 위치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의 양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끼움 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양측벽의 하 단부 양측에 탈락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는 단면 아크 형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탈락방지턱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탈락방지턱에서 연장 형성되는 위치고정편과,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편이 삽입 결합되는 위치고정홈과,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후크 결합구멍 또는 후크 결합홈, 및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 결합구멍 또는 후크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 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에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는 단면 아크 형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탈락방지턱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U"자형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내측에 형성되되 단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 지지편과,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의 양단에서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양측 하단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장착되게 형성되는 절곡 연장편, 및 상기 절곡 연장편 사이에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곡 지지편의 하단이 안착되는 연장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편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편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에 양단부가 탄성 결합되는 탄성 결합부; 및 상기 탄성 결합부의 일변에서 단면 "J"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서 절개되어 일변을 축으로 직교되게 절곡되며, 하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ㄴ"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접촉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은 판상 프레임 또는 다각형이나 원형의 링형 프레임; 및 상기 판상 프레임 또는 링형 프레임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U"자형의 고정 브라켓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등기구뿐만 아니라 액자나 가전기기 등을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착할 수 있어 고정물의 설치와 교체 및 보수 등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천장등의 유지 관리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각 부품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조립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고정물을 채용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고정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고정물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물이 탈락하여 낙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의 초기 상태로서 천장 커버등이 얹혀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서 천장 커버등과 같은 고정물의 탈거(분리) 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서 천장 커버등과 같은 고정물의 장착 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일부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서 지지 돌출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가 커버 브라켓 부재와 고정물 탈장착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장치 브라켓 모듈의 일부 구성이 사각 링형 프레임으로 구성된 일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천장등을 포함한 등기구뿐만 아니라 액자 또는 가전기기 등의 다양한 고정물(10: 도 4 내지 도 6 참조)을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탈장착할 수 있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아래의 설명에서는 천장등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의 초기 상태로서 천장 커버등이 얹혀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서 천장 커버등과 같은 고정물의 탈거(분리) 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서 천장등 커버등과 같은 고정물의 장착 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100)는, 고정물(10)로서 천장등 모듈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브라켓 모듈(110)과, 고정물 탈장착구(120), 및 탄성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100)는, 천장등 모듈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등 모듈을 구성하는 천장등 프레임(고정 프레임) 또는 천장등 본체에 고정되는 장치 브라켓 모듈(110);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110)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고 그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고정물 탈장착구(120);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1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120)가 원래의 상태(초기 상태: 도 4 참조)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천장등 프레임은 천장에 직접 결합되는 금구이고, 천장등 본체는 PCB 및 커버가 부착되는 철재 절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110)은 천장등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두 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두 부재의 조립 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고정물 탈장착구(120)와 탄성 부재(130)가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110)은 중앙부에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부가 천장등 프레임에 고정되는 대략 "U"자형 또는 "凸"형상의 고정 브라켓 부재(111)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11)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브라켓 부재(112),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11)와 커버 브라켓 부재(112) 간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111)와 커버 브라켓 부재(112) 간이 조립 결합되도록 하는 부재간 결합수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11)는 단면 U자형의 바디부(111a), 및 상기 바디부(111a)의 양단부 각각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 피스가 관통되어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멍(111b)이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부(1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11)의 바디부(111a)와 프레임 결합부(111c)의 경계부에는 부재간 결합수단(113)의 일 구성부가 형성되며, 바디부(111a)의 상단부 내벽에는 지지편(111d)이 형성되어, 그 지지편(111d)에 커버 브라켓 부재(112)가 안착 지지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는 부재간 결합수단(113)을 통해 상기 바디부(111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그 바디부(111a)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형태(판상)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부재간 결합수단(113)의 일 구성부가 형성되며, 탄성 부재(130)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에는 탄성 부재(1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는 그의 양측부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절개부(112c)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전방 슬라이딩 이동 시 고정물 탈장착구(120)에 형성된 걸림턱부(123)가 절개부(112c)의 양 끝단에서 걸림되어 장치 브라켓 모듈(1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113)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111)의 바디부(111a)와 프레임 결합부(111c)의 경계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13a), 및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의 양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113a)에 끼워 결합되는 끼움 결합편(113b)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 결합편(113b)이 절곡 결합되어 탄성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120)는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110)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고 그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120)는 단면 아크(arc)형의 판상 또는 일측의 평면부(121a)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연장부(121b)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판상의 미끄럼 접촉부(121)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121)의 양측면을 형성하여 단면이 등기구나 커버를 지지하는 측벽부(122)와, 상기 측벽부(122)의 일단부(후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123),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121)의 일단부(후단부)에 형성되어 탄성 부재(13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123)는 측벽부(122)의 일단부(후단부)에서 그 측벽부(122)의 평면상으로 돌출 형성(즉, 커버 브라켓 부재(112)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 단면은 평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부(123)는 고정물 탈장착구(120)가 전방 슬라이딩 동작할 때 장치 브라켓 모듈(110)의 커버 브라켓 부재(112)의 절개부(112c)의 양단부에서 걸림되어 장치 브라켓 모듈(1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물 탈장착구(120)는 장치 브라켓 모듈(110)에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부재(130)는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1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12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탄성 부재(130)는 인장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고무 또는 테프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30)는 그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의 스프링 결합부(112b)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스프링 결합부(12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120)가 전후 슬라이딩 이후 및 회동 동작 시 초기 위치(도 4의 상태)에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부재(130)는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112)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J"자형의 지지 돌출편(112a)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어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회동 동작(도 5 참조) 시 및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후방 슬라이딩 이동 시, 그 지지 돌출편(112a)의 하단부에서 접촉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고정물 탈장착구(120)는 탄성 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가 장치 브라켓 모듈(110)에서 돌출된 상태(도 4 참조)가 되고, 이 경우 그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측벽(122) 상단 일측인 지지편부(122a)에 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장착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물 탈장착구(120)를 회동시켜서 천장등 커버를 탈거한다, 구체적으로,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플랜지부(11)가 지지편부(122a)를 압박하고 걸림턱부(123)가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탈장착구(120)가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편부(122a)가 경사지게 되어 고정물 탈장착구(120)는 후방으로(장치 브라켓 모듈(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천장등 커버를 탈거할 수 있게 되며, 탈거 후 지지편부(122a)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30)에 의해 초기 위치(도 4)로 복원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를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미끄럼 접촉부(121)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밀어올리게 되면 고정물 탈장착구(120)는 후방으로(장치 브라켓 모듈(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상단 위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탄성 부재(130)에 의해 초기 위치(도 4)로 복원되어 그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상단 일측에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장착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200)는, 천장등에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브라켓 모듈(210)과, 고정물 탈장착구(220), 및 탄성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200)는, 천장등에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장치 브라켓 모듈(210);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210)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고 그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고정물 탈장착구(220);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2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220)가 원래의 상태(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210)은 천장등(고정물)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두 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두 부재의 조립 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탈장착구(220)와 탄성 부재(230)가 내부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210)은 중앙부에 수용부를 갖고 형성되는 대략 "U"자형의 고정 브라켓 부재(211)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며, 양단부에서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커버 브라켓 부재(212),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와 커버 브라켓 부재(212) 간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211)와 커버 브라켓 부재(212) 간이 체결 결합되도록 하는 부재간 결합수단(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는 U자형의 절곡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는 양측벽의 양 단부에서 돌출되는 탈락방지턱(211a)이 형성될 수 있어,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시 고정물 탈장착구(220)에 형성된 걸림턱부(223)가 걸림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21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재간 결합수단(213)의 구성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2)는 부재간 결합수단(213)을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그 고정 브라켓 부재(211)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판상)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 피스가 관통되어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멍(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2)에는 탄성 부재(2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212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부재간 결합수단(213)의 구성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230)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212c)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213)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의 탈락방지턱(211a)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편(213a)과,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편(213a)이 삽입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되는 위치고정홈(213b)과,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후크 결합구멍 또는 후크 결합홈(213c), 및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1)에서 돌출되고 단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 결합홈(213c)에 결합되는 후크 결합편(21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220)는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210)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고 그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220)는 일측의 평면부(221a)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연장부(221b)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판상의 미끄럼 접촉부(221)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221)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전단부 상단 일측에 지지편부(222a)를 갖는 측벽부(222)와, 상기 측벽부(222)의 일단부(후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223),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221)의 일단부(후단부)에 형성되어 탄성 부재(23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223)는 측벽부(222)의 일단부(후단부)에서 그 측벽부(222)와 직교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223)는 고정물 탈장착구(220)가 전방 슬라이딩 동작할 때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211)의 탈락방지턱(211a)에 걸림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211)에서 탈락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물 탈장착구(220)는 장치 브라켓 모듈(210)에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부재(230)는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2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22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탄성 부재(230)는 인장스프링이나, 고무 또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30)는 그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2)의 스프링 결합부(212b)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스프링 결합부(224)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220)가 전후 슬라이딩 이후 및 회동 동작 시 초기 위치에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부재(230)는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212)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J"자형의 지지 돌출편(212c)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어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회동 동작 시 및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후방 슬라이딩 이동 시, 그 지지 돌출편(212c)의 하단부에서 접촉 지지된다.
이러한 고정물 탈장착구(220)는 도 9의 (A)와 같이, 탄성 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가 장치 브라켓 모듈(210)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이 경우 그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상단 일측에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장착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B)와 같이, 고정물 탈장착구(220)를 회동시켜서 천장등 커버를 탈거한다. 구체적으로,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플랜지부(11)가 지지편부(222a)를 압박하고 걸림턱부(223)가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탈장착구(220)가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편부(222a)가 경사지게 되어 고정물 탈장착구(220)는 후방으로(장치 브라켓 모듈(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천장등 커버를 탈거할 수 있게 되며, 탈거 후 지지편부(222a)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230)에 의해 초기 위치(도 9의 (A))로 복원된다.
그리고 도 9의 (C)와 같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를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미끄럼 접촉부(221)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밀어올리게 되면 고정물 탈장착구(220)는 후방으로(장치 브라켓 모듈(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상단 위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탄성 부재(23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그 고정물 탈장착구(220)의 상단 일측에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장착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일부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300)는, 천장등에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브라켓 모듈(310)과, 고정물 탈장착구(320), 및 탄성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300)는, 천장등에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의 장착과 분리(탈거)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장치 브라켓 모듈(310);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310)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고 그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고정물 탈장착구(320);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3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32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3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장등 모듈인 천장등 프레임 또는 천장등 본체에 고정되고, 두 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되며, 두 부재의 조립 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탈장착구(320)와 탄성 부재(33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310)은 중앙부에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부가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대략 "U"자형의 고정 브라켓 부재(311)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게 조립되는 커버 브라켓 부재(312),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와 커버 브라켓 부재(312) 간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311)와 커버 브라켓 부재(312) 간이 조립 결합되도록 하는 부재간 결합수단(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는 단면 U자형의 바디부(311a), 및 상기 바디부(311a)의 양단부 각각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 피스가 관통되어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멍(311b)이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부(3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바디부(311a)와 프레임 결합부(311c)에는 부재간 결합수단(313)의 일 구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는 부재간 결합수단(313)을 통해 상기 바디부(311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그 바디부(311a)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형태(판상)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부재간 결합수단(313)의 일 구성부가 형성되며, 탄성 부재(330)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3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는 탄성 부재(1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312b)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313)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바디부(311a)의 양측벽에서 "U"자형으로 절개된 절개부(313a)와, 상기 절개부(313a)의 절개로 그 절개부(313a) 내측에 형성되되 단면 "ㄱ"자 형태로 일단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 지지편(313b)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의 양단에서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313a)의 양측 하단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일면에 장착되게 절곡 연장되는 절곡 연장편(313c), 및 상기 절곡 연장편(313c) 사이에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곡 지지편(313b)의 하단(연장단)이 안착되는 연장편(313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313)의 형성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프레임 결합부(311c)의 배면과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의 절곡 연장편(313c)이 절곡되어 배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프레임 결합부(311c)의 배면과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의 배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 및 아래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320)는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310)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장착되고 그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320)는 일측의 평면부(321a)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연장부(321b)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판상의 미끄럼 접촉부(321)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321)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타단부(전단부) 상단 일측에 지지편부(322a)가 형성되는 측벽부(322)와, 상기 측벽부(322)의 일단부(후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323),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321)의 일단부(후단부)에 형성되어 탄성 부재(33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3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323)는 측벽부(322)의 일단부(후단부)에서 그 측벽부(322)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즉, 커버 브라켓 부재(11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323)는 고정물 탈장착구(320)가 전방 슬라이딩 동작할 때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311)의 절곡 지지편(313b)에 의해 형성된 내면측 공간에서 이동하고, 그 절개부(313a)의 양단부에서 걸림되어 장치 브라켓 모듈(3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고정물 탈장착구(320)는 장치 브라켓 모듈(310)에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부재(330)는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3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32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탄성 부재(330)는 인장스프링이나, 고무 또는 테프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30)는 그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의 스프링 결합부(312b)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스프링 결합부(32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320)가 전후 슬라이딩 이후 및 회동 동작 시 초기 위치에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부재(330)는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J"자형의 지지 돌출편(314)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어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회동 동작 시 및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후방 슬라이딩 이동 시, 그 지지 돌출편(312a)의 하단부에서 접촉 지지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편(314)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브라켓 부재(312)의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 개구부에 양단부가 탄성 결합되는 탄성 결합부(314a), 및 상기 탄성 결합부(314a)의 일변에서 단면 "J"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 지지부(314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돌출편(314)은 다른 실시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서 지지 돌출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편(315)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서 절개되고 일변을 축으로 직교되게 절곡되며, 하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 부재(330)의 측면을 "ㄴ"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물 탈장착구(32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탄성 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일부는 장치 브라켓 모듈(310)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이 경우 그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상단 일측에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장착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정물 탈장착구(320)를 회동시켜서 천장등 커버를 탈거한다. 구체적으로,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플랜지부(11)가 지지편부(322a)를 압박하고 걸림턱부(323)가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탈장착구(320)가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편부(322a)가 경사지게 되어 고정물 탈장착구(320)는 후방으로(장치 브라켓 모듈(3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천장등 커버를 탈거할 수 있게 되며, 탈거 후 지지편부(322a)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33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를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미끄럼 접촉부(321)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밀어올리게 되면 고정물 탈장착구(320)는 후방으로(장치 브라켓 모듈(3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천장등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고정물 탈장착구(120)의 상단 위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탄성 부재(33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그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상단 일측에 천장등 커버(고정물(10))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장착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가 커버 브라켓 부재와 고정물 탈장착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331)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일단부는 커버 브라켓 부재(312)의 내면에서 절곡 돌출된 스프링 결합부(312b)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물 탈장착구(320)의 후단부의 스프링 결합부(324)에 걸림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312)에 형성되는 "J"자형의 지지 돌출편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이 적용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장치 브라켓 모듈의 일부 구성이 천장등 프레임 또는 천장등 본체로 구성된 예시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브라켓 모듈의 커버 브라켓 부재는 생략되고, 복수의 고정 브라켓 부재 자체가 모두 사각링형 천장등 프레임(도 16) 또는 천장등 본체(도 17)의 네 모서리부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그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는 돌출편이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끼음 결합된 후 일측으로 절곡시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물 탈장착 장치에 의하면, 각 부품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조립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고정물을 매우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착시킬 수 있어 설치 및 교체 또는 보수 등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관리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고정물을 채용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재질적 선택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고정물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고정물이 탈락하여 낙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정물(천장등 커버)
11: 고정물의 플랜지부
100, 200, 300: 고정물 탈장착 장치
110, 210, 310: 장치 브라켓 모듈
111, 211, 311: 고정 브라켓 부재
111a, 311a: 바디부
111b, 311b: 체결구멍
111c, 311c: 프레임 결합부
112, 212, 312: 커버 브라켓 부재
112a, 212c, 314, 315: 지지 돌출편
112b, 312b: 스프링 결합부
112c: 절개부
113, 213, 313: 부재간 결합수단
113a: 걸림홈
113b: 끼움 결합편
120, 220, 320: 고정물 탈장착구
121, 221, 321: 미끄럼 접촉부
122, 222, 322: 측벽부
123, 223, 323: 걸림턱부
124, 224, 324: 스프링 결합부
130, 230, 330, 331: 탄성 부재
211a: 탈락방지턱
212a: 체결구멍
213a: 위치고정편
213b: 위치고정홈
213c: 후크 결합홈
213d: 후크 결합편
223: 걸림턱부
313a: 절개부
313b: 절곡 지지편
313c: 절곡 연장편
313d: 연장편
314a: 탄성 결합부
314b: 스프링 접촉 지지부

Claims (13)

  1.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고정물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장치 브라켓 모듈;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물 탈장착구;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은, 단면 "U"자형의 고정 브라켓 부재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브라켓 부재,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와 커버 브라켓 부재 간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와 커버 브라켓 부재 간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양측벽의 하 단부 양측에 탈락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의 양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끼움 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2. 천장을 포함한 벽면에 고정물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고정물 탈장착 장치로서,
    장치 브라켓 모듈;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전후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물 탈장착구; 및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브라켓 모듈은, 단면 "U"자형의 고정 브라켓 부재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브라켓 부재,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와 커버 브라켓 부재 간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 부재와 커버 브라켓 부재 간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부재간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양측벽의 하 단부 양측에 탈락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간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탈락방지턱에서 연장 형성되는 위치고정편과,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편이 삽입 결합되는 위치고정홈과,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후크 결합구멍 또는 후크 결합홈, 및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 결합구멍 또는 후크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단부 내벽에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에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가 안착 지지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되고,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절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는 단면 아크 형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 또는 홈부에 위치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는 단면 아크 형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탈락방지턱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단면 U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물 탈장착구는 단면 아크 형태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탈락방지턱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미끄럼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스프링이나 토션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편은 상기 고정 브라켓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편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에 양단부가 탄성 결합되는 탄성 결합부; 및
    상기 탄성 결합부의 일변에서 단면 "J"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편은,
    상기 커버 브라켓 부재에서 절개되어 일변을 축으로 직교되게 절곡되며, 하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ㄴ"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접촉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상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물 탈장착 장치.
  13. 삭제
KR1020220056565A 2022-05-09 2022-05-09 고정물 탈장착 장치 KR10256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65A KR102562738B1 (ko) 2022-05-09 2022-05-09 고정물 탈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65A KR102562738B1 (ko) 2022-05-09 2022-05-09 고정물 탈장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38B1 true KR102562738B1 (ko) 2023-08-02

Family

ID=8756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565A KR102562738B1 (ko) 2022-05-09 2022-05-09 고정물 탈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3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319A (ja) * 2002-08-16 2004-03-11 Nec Lighting Ltd 照明器具
KR200448799Y1 (ko) 2007-09-28 2010-05-24 이제석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KR20100136020A (ko)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알토 조명등 커버의 장착장치
KR101322295B1 (ko) * 2013-04-10 2013-10-28 룩스플랜(주)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KR101398387B1 (ko) * 2013-12-03 2014-05-23 김재형 조명등의 장착장치
KR101696184B1 (ko) * 2015-10-15 2017-01-17 (주)우영 조명커버 착탈용 탄지구
KR101702880B1 (ko) * 2015-10-15 2017-02-08 (주)우영 조명등용 탄력장착구
KR101719052B1 (ko) 2015-04-09 2017-03-22 변경호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KR101738216B1 (ko) 2014-12-03 2017-05-22 이영규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2077840B1 (ko) * 2019-02-21 2020-04-02 변경호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KR20200069798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알토 조명 기구 고정 장치
KR102171881B1 (ko) * 2020-05-06 2020-10-29 신성진 엣지타입 엘이디 등기구 장착용 취부금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319A (ja) * 2002-08-16 2004-03-11 Nec Lighting Ltd 照明器具
KR200448799Y1 (ko) 2007-09-28 2010-05-24 이제석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KR20100136020A (ko)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알토 조명등 커버의 장착장치
KR101322295B1 (ko) * 2013-04-10 2013-10-28 룩스플랜(주)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KR101398387B1 (ko) * 2013-12-03 2014-05-23 김재형 조명등의 장착장치
KR101738216B1 (ko) 2014-12-03 2017-05-22 이영규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719052B1 (ko) 2015-04-09 2017-03-22 변경호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KR101696184B1 (ko) * 2015-10-15 2017-01-17 (주)우영 조명커버 착탈용 탄지구
KR101702880B1 (ko) * 2015-10-15 2017-02-08 (주)우영 조명등용 탄력장착구
KR20200069798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알토 조명 기구 고정 장치
KR102077840B1 (ko) * 2019-02-21 2020-04-02 변경호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KR102171881B1 (ko) * 2020-05-06 2020-10-29 신성진 엣지타입 엘이디 등기구 장착용 취부금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101256021B1 (ko) 천정 매립형 조명등기구
KR102562738B1 (ko) 고정물 탈장착 장치
KR20230098743A (ko) 고정물 탈장착 장치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EP1468221B1 (en) Light fitting
KR20100044953A (ko) 천정등기구
KR100654519B1 (ko) 조명기구
KR101011995B1 (ko) 커버틀체의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천장 매립등
KR20170002927U (ko)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
KR200401922Y1 (ko) 조명등 커버
KR101901176B1 (ko) 암부 발생이 최소화되게 한 커버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362104Y1 (ko) 조명등 장착구조
KR200376068Y1 (ko) 조명등 장착구조
KR200248707Y1 (ko) 조명기구
KR101755419B1 (ko)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KR102262767B1 (ko)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KR102413626B1 (ko) 천장등
US20110199761A1 (en) Light fixture
KR100885132B1 (ko) 조명기구 취부용 고정구
KR20230164273A (ko) 고정물 탈장착 장치
KR200308647Y1 (ko) 조명등 커버의 구조
KR200197748Y1 (ko) 형광등용 등기구
KR200201519Y1 (ko) 조명등 액세서리 체결구
KR200208057Y1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