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922Y1 - 조명등 커버 - Google Patents

조명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922Y1
KR200401922Y1 KR20-2005-0014256U KR20050014256U KR200401922Y1 KR 200401922 Y1 KR200401922 Y1 KR 200401922Y1 KR 20050014256 U KR20050014256 U KR 20050014256U KR 200401922 Y1 KR200401922 Y1 KR 200401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mp cover
coupled
locking jaw
shaf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남
Original Assignee
홍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남 filed Critical 홍기남
Priority to KR20-2005-0014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등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장착부(200)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조명등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는, 복수개의 압출바가 연결된 사각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판(100)을 포함하는 조명등 커버로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상기 조명등 커버가 조명등장착부(200)의 단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한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축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축핀(12) 하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되고,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축핀(12)에 결합되는 축홈(22)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되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그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되는 판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등 커버 {COVER FOR LIGHTING LAMP}
본 고안은 조명등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조명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의 조명 및 인테리어를 위해 사용되는 조명등에는 일반적으로 램프가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천장에는 조명등장착부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소정의 갯수의 조명등이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매입등은 조명등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깔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 등과 같이 깔끔하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장소에서는 사용하기 부적절한 단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조명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조명등 커버가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의 볼트, 너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명등장착부에 커버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였기 때문에 조명등 커버의 고정 작업 및 분리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조명등의 교체시 또는 청소시 구조적으로 커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조명등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는, 복수개의 압출바가 연결된 사각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판(100)을 포함하는 조명등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상기 조명등 커버가 조명등장착부(200)의 단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한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축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축핀(12) 하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되고,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축핀(12)에 결합되는 축홈(22)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되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그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되는 판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분해도가 도시되며, 도 3 및 도 4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단면도들이 각각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는 프레임(10), 투광판(100), 선회작동편(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대체로 단면이 'ㄱ' 자 형상인 복수개의 압출바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연결 제작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투광판(100)이 삽입/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개구된 투광판삽입홈(14)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14)에 끼워지는 투광판(100)은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이거나 유리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압출바 연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T 자 형 끼움홈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에 'ㄱ' 자형 연결편(16)을 각 압출바의 연결부위인 코너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한후 연결편(16)에 체결된 나사(18)를 조여서 각 압출바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대체로 원형인 축핀(12)을 구비한다. 상기 축핀(12)은 후술하는 선회작동편(20)의 축홈(22)과 결합되어 선회작동편(20)의 선회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축핀(12) 하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된다. 상기 제 1 걸림턱(13)에는 후술하는 판스프링(30)의 일단부가 걸려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된다. 상기 선회작동편(20)은 조명등 커버가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장착부(200)의 단부와 클램핑 동작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회작동편(20)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편평한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개구된 축홈(22)을 구비한다. 상기 축홈(22)에는 상기 프레임(10) 외측 단부의 축핀(12)이 삽입되어 선회작동편(20)의 선회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된다. 상기 제 2 걸림턱(23)에는 후술하는 판스프링(30)의 타단부가 걸려 지지되며, 대체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는 판스프링(30)의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된다. 상기 판스프링(30)은 상기 선회작동편(20)이 헐겁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력적으로 회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선회작동편(20)이 선회되어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그 역방향으로 임의적인 선회를 방지하도록 탄력을 부여한다. 상기 판스프링(30)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활모양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지지되도록 그 양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및 도 4 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결합 및 분리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가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결합 전에는, 상기 선회작동편(20)이 상방으로 선회되어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선회작동편(20)과 프레임(10)의 결합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3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선회작동편(20)의 자중에 의한 선회가 일어나지않는다. 조명등(300)은 천장부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 조명등장착부(200)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조명등 커버를 상방으로 밀어주면, 천장에 선회작동편(20)의 상부가 맞닿으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선회작동편(20)이 축핀(12)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선회하게 된다.
상기 선회작동편(20)이 완전히 선회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30)이 복원되면서 상기 선회작동편(20)의 말단 하부가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장착부(200)의 단부에 걸려 지지된다. 이 경우에, 상기 선회작동편(20)과 프레임(10)은 판스프링(30)에 파지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프레임(10)과 투광판(100)의 하중에 의한 선회작동편(20)의 역방향으로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어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사용자가 조명등(300)의 교체등을 위해 조명등 커버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합의 경우와 반대로 상기 커버를 하방으로 당겨주면 된다. 상기 커버를 하방으로 당겨주면, 조명등장착부(200)의 단부에 걸려 지지되던 선회작동편(20)의 말단에 힘이 가해지면서 선회작동편(20)이 선회되어 재차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작동편(20)이 개방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0)이 조명등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투광판(100)만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 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명등 커버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5 는 투광판(10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투광판(100)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커버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압출바가 연결된 사각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판(100)을 포함하는 조명등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는 조명등장착부(200)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상기 투광판(100)을 상기 조명등 커버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한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축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축핀(12') 상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되고,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축핀(12')에 결합되는 축홈(22')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되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그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되는 판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구성에서 프레임(10) 및 선회작동편(20')의 결합 위치만 상이할 뿐 그 결합 구성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회작동편(20')이 투광판(100)을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커버에서 투광판(100)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선회작동편(20')이 개방된 상태에서 투광판(100)을 끼우고 선회작동편(20')을 폐쇄시키면 투광판(100)의 단부가 선회작동편(20')의 말단에 걸리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고정된다.
투광판(10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판(100)을 손으로 파지하여 하방으로 당기면 선회작동편(20')이 개방되어 투광판(100)만을 독립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광판(100)의 파지를 위해 투광판(100)의 말단부는 계단형으로 절곡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단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선회작동편(20,20')이 결합된다. 상기 선회작동편(20,20')의 결합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선회작동편(20,20')이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전체 조명등커버를 분리할 수도 있고, 투광판(100)만을 독립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회작동편(20,20')은 상기 사각 프레임(10)을 구성하는 4 개의 압출바 부분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압출바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등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조명등의 교체 또는 청소시에 커버의 분리 및 재결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분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결합 전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결합 후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투광판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투광판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레임 상하단에 모두 선회작동편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2, 12' : 축핀
13, 13' : 제 1 걸림턱 14 : 투광판삽입홈
16 : 연결편 18 : 나사
20, 20' : 선회작동편 22, 22' : 축홈
23,23' : 제 2 걸림턱 30, 30' : 판스프링
100 : 투광판 200 : 조명등장착부
300 : 조명등

Claims (7)

  1. 복수개의 압출바가 연결된 사각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판(100)을 포함하는 조명등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상기 조명등 커버가 조명등장착부(200)의 단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한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축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축핀(12) 하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되고,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축핀(12)에 결합되는 축홈(22)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되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그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되는 판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상기 투광판(100)을 상기 조명등 커버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한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축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축핀(12') 상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되고,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축핀(12')에 결합되는 축홈(22')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되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그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되는 판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3. 복수개의 압출바가 연결된 사각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판(100)을 포함하는 조명등 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는 조명등장착부(200)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상기 투광판(100)을 상기 조명등 커버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선회가능한 선회작동편(20')이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축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축핀(12') 상방의 프레임(10) 내측에는 제 1 걸림턱(13')이 돌설되고, 상기 선회작동편(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고 그 말단에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축핀(12')에 결합되는 축홈(22')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22') 배면에는 제 2 걸림턱(23')이 돌설되며, 상기 제 1 걸림턱(13')과 제 2 걸림턱(23')에 그 양단이 걸려 고정/지지되는 판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0,30')은 활모양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걸림턱(13,13')과 제 2 걸림턱(23,23')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지지되도록 그 양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100)의 말단부는 계단형으로 절곡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단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작동편들(20,20')은 상기 사각 프레임(10)을 구성하는 4 개의 압출바 부분에 모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작동편들(20,20')은 상기 사각 프레임(10)을 구성하는 4 개의 압출바 중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압출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KR20-2005-0014256U 2005-05-20 2005-05-20 조명등 커버 KR200401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256U KR200401922Y1 (ko) 2005-05-20 2005-05-20 조명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256U KR200401922Y1 (ko) 2005-05-20 2005-05-20 조명등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922Y1 true KR200401922Y1 (ko) 2005-11-23

Family

ID=4370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256U KR200401922Y1 (ko) 2005-05-20 2005-05-20 조명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9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79B1 (ko) * 2007-08-21 2009-11-19 박윤종 부착형 조명구
KR200458964Y1 (ko) 2010-05-07 2012-03-21 김용식 천정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79B1 (ko) * 2007-08-21 2009-11-19 박윤종 부착형 조명구
KR200458964Y1 (ko) 2010-05-07 2012-03-21 김용식 천정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594B1 (ko) 간편 설치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100007653U (ko) 안전 등기구 구조
KR200397579Y1 (ko) 조명등 커버
KR101256021B1 (ko) 천정 매립형 조명등기구
KR20090012509A (ko) 조명등기구 설치용 걸이부재와, 이 걸이부재를 이용하여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조명등기구 및 이러한 조명등기구의설치방법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200401922Y1 (ko) 조명등 커버
KR20120110407A (ko) 원터치식 등기구커버 탈착장치
KR100724758B1 (ko) 조립이 용이한 조명등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0401921Y1 (ko) 조명등 커버
KR200408792Y1 (ko) 천정 등기구 회전식 체결구 및 이를 구비한 천정 등기구
KR20090008228U (ko)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천장등기구
KR200390208Y1 (ko) 조명등 커버
JP2007200789A (ja) 器具及びオプション部材及び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方法
KR101862037B1 (ko)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KR200403391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0978199B1 (ko) 천장등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장치
KR200382421Y1 (ko) 조명등용 전등갓 고정장치
JP4340737B2 (ja) 照明器具のグローブ着脱構造
KR101040970B1 (ko) 회동 개폐되는 등커버를 갖는 조명등 케이스
KR20190079100A (ko)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JP2003257231A (ja) 埋め込み形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