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27B1 -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27B1
KR102562727B1 KR1020217039758A KR20217039758A KR102562727B1 KR 102562727 B1 KR102562727 B1 KR 102562727B1 KR 1020217039758 A KR1020217039758 A KR 1020217039758A KR 20217039758 A KR20217039758 A KR 20217039758A KR 102562727 B1 KR102562727 B1 KR 10256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using
folding
layer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756A (ko
Inventor
젠보 란
원 판
춘쥔 마
타오 황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는: 접이식 스크린- 접이식 스크린은 복수의 재료 층으로 이루어짐 -; 및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폴딩 샤프트를 사용하여 연결되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트랙션 메커니즘들이 배치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은 트랙션 메커니즘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을 드래그하여 서로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제1 방향은 폴딩 샤프트에 수직인 방향임 -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하우징들 상에 배치된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을 선행적으로 드래그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는 폴딩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시 접이식 스크린을 보조하여, 스크린의 아치형 및 다른 문제들을 회피하게 하다.

Description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삭제
본 출원은 전자 디바이스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접이식 스크린은 접착을 통해 복수의 재료 층을 함께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특정 두께를 갖는다. 현재,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접이식 스크린의 일부 상에 주름이 발생하고, 장시간의 주름은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접착제가 피로해지고 분리되고 스크린이 아치형이 되는 현상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친다. 접이식 스크린의 아치형(arching) 및 층들 사이의 분리를 회피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해결되어야 할 긴급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출원은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하우징들 상에 배치된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을 선행적으로 드래그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는 폴딩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 및 폴딩 방향을 따른 모션에 있어서 접이식 스크린을 보조하여, 스크린 폴딩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스크린의 일부의 손상 및 아치형이 회피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는: 접이식 스크린- 접이식 스크린은 복수의 재료 층으로 이루어짐 -; 및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폴딩 샤프트를 사용하여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은 트랙션 메커니즘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을 드래그하여 서로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제1 방향은 폴딩 샤프트에 수직인 방향임 -을 포함한다.
제1 양태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하우징들 상에 배치된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을 선행적으로 드래그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은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폴딩 방향을 따르는 접이식 스크린의 자유도를 해제하고, 폴딩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 및 폴딩 방향을 따르는 모션에 있어서 접이식 스크린을 보조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발생하는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아치형 및 분리를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스크린이 평평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접이식 스크린은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을 포함하고, 커버 층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이고, 디스플레이 층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이고,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 둘 다는 복수의 재료 층으로 이루어진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층은 폴딩 영역,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영역은 폴딩 영역의 양측에 위치되고, 폴딩 영역은 폴딩 샤프트에 대응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추가로: 제1 스크린 보강 시트강 시트-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하우징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은 제1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됨 -;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하우징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은 제2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됨 -를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스크린 보강 시트들은 먼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측면들에 체결되고, 그 후 디스플레이 층은 스크린 보강 시트들을 사용하여 트랙션 메커니즘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디스플레이 층의 최내측 측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강성이 더 높은 스크린 보강 시트와 접촉하여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들이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하우징 상에서 변위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의 효율 및 폴딩 방향을 따른 모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층은 폴딩 영역,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영역은 폴딩 영역의 양측에 위치되고, 폴딩 영역은 폴딩 샤프트에 대응하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1 하우징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2 하우징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하우징 및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하우징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스크린 보강 시트는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스크린 강화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클램핑 슬롯(clamping slot)들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트랙션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클램핑 슬롯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을 따라 클램핑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블록은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또는 제2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구현 방식에서,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하여 트랙션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잡성이 비교적 낮고, 트랙션 메커니즘의 비용이 더욱 감소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트랙션 메커니즘은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swing lever traction mechanism)이고,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일 단부는 폴딩 샤프트에 연결되고,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다른 단부는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다른 단부는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또는 제2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메커니즘들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구동 메커니즘들은 트랙션 메커니즘들을 구동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시프트 레버(시프트 레버 장치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고, 트랙션 메커니즘은 적어도 2개의 시프트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시프트 레버는 임의의 2개의 시프트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시프트 레버는 트랙션 메커니즘을 밀어 미끄러지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스프링이고, 폴딩 샤프트 및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트랙션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시트, 기어, 나비-형상 시트 또는 편심 휠 중 임의의 하나일 수도 있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하우징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터, 스프링, 또는 폴딩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하우징들 상에 배치된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을 선행적으로 드래그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은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들에 비해 움직이지 않는다. 이것은 폴딩 방향을 따르는 접이식 스크린의 자유도를 해제하고, 폴딩 프로세스에서의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 및 폴딩 방향을 따르는 모션에 있어서 접이식 스크린을 보조하고, 스크린이 접힐 때 발생하는 스크린의 일부의 주름 및 아치형을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발생하는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분리를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스크린이 평평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스크린의 측면-뷰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스크린의 메인-뷰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에 따라 커버 층이 하우징에 고정 부착되는 위치의 예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조성의 예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조성의 다른 예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조성의 또 다른 예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는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은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는 다른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는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발생하는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dislocation)의 예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접이식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의 단부면에서 발생하는 층 변위 효과의 예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접이식 스크린의 아치형(arching)의 예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3은 전자 디바이스가 본 출원에 따라 수직으로 배치될 때 존재하는 폴딩 샤프트(folding shaft) 및 제1 방향의 예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H, 디스플레이 층의 두께, 및 커버 층의 두께 사이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고;
도 16은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층이 디스플레이 층에 수직인 두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존재하는 폴딩 영역,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예의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8은 트랙션 메커니즘이 본 출원에 따른 슬라이딩 블록인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9는 본 출원에 따른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20은 본 출원에 따른 시프트 레버들 및 시프트 시트들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1은 본 출원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는 접이식 스크린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콘솔,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접이식 스크린을 갖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접이식 모바일 폰, 접이식 태블릿 컴퓨터, 접이식 노트북 컴퓨터, 접이식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미래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형태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 과학 및 기술들의 점진적인 발전에 따라, 접이식 스크린들의 기술이 더욱 성숙해지고 있다. 접이식 스크린은 접힐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접이식 스크린은 접착을 통해 복수의 재료 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접이식 스크린은 특정 두께를 갖는다. 도 1은 접이식 스크린의 측면-뷰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스크린은 커버 층(CL) 및 디스플레이 층을 주로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층(디스플레이 모듈 에셈블리라고로도 지칭될 수 있음)은 콘텐츠 또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층은 특정 두께를 갖고, 디스플레이 층은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버 층(플렉시블 커버 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은 디스플레이 층을 마모,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층과 사용자 사이의 직접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커버 층은 디스플레이 층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커버 층은 또한 특정 두께를 갖는다. 커버 층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 즉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층에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층 및 커버 층은 광학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함께 고정적으로 접착되고, 디스플레이 층은 접이식 스크린의 내부 층에 위치된다. 커버 층의 치수는 디스플레이 층의 치수보다 크다.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 둘 다는 복수의 재료 층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접이식 스크린의 메인-뷰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층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의 면적보다 크고, 커버 층은 스크린의 최외측 층(최상층)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층은 커버 층 아래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층에 대해, 커버 층은 여분의 영역을 갖는다.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커버 층의 치수는 디스플레이 층의 치수보다 크다. 디스플레이 층의 치수들에 대한 커버 층의 여분의 영역은 하우징(중간 프레임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사용된다(예를 들어, 하우징에 부착된다). 도 2의 폴딩 영역은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존재하는 굽힘 영역이다. 도 3은 커버 층이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위치의 개략도이다. 커버 층의 원주 부분만이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 상에는 폴딩 영역이 있고, 접이식 스크린은 주로 폴딩 영역에서 구부러진다.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 둘 다는 (예를 들어, 접착을 통해) 복수의 재료 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조성의 예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층은 경화된 케이스(hardened case, H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층,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및 PI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은 OCA, 터치 센서(touch sensor) 층, OCA, 편광기(polarizer, POL) 층, 패널 층(panel) OCA,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및 하부 필름(bottom film)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필름은 PI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조성의 다른 예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층은 HC 및 PI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은 OCA, POL, 터치 센서(touch sensor) 층, PSA, 패널 층(panel), PSA, 및 하부 필름(bottom film)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층은 전도성 유리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필름 층은 PI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조성의 다른 예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층은 HC, PI 층, OCA, 및 PI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은 OCA, POL, 터치 센서(touch sensor) 층, PSA, 패널 층(panel), PSA, 및 하부 필름(bottom film)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층은 전도성 유리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필름은 PI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며,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의 조성 및 모든 재료 층의 적층(접착)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층 또는 커버 층의 모든 재료 층은 다른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층 또는 커버 층은 더 많은 재료 층들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재료 층들의 적층 순서는 임의의 가능한 순서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접이식 스크린은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으로 분할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층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디스플레이 층 및 커버 층의 조성 재료들, 재료 적층 순서, 및 접이식 스크린의 복수의 층으로의 분할에 제한되지 않는다.
현재, 접이식 스크린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접착제 분산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주로 체결된다. 도 7은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는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은 펼쳐진 상태에 있다. 접이식 스크린이 단면 Z-Z를 따라 절단되면,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도가 획득되고, Z-축 방향은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이다. 커버 층(10)은 접이식 스크린의 외부 층으로서 간주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층(20)은 접이식 스크린의 내부 층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접이식 스크린은 회전 샤프트(폴딩 샤프트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50)를 따라 접힌다. 회전 샤프트(50)는 하우징을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으로 분할한다.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은 각각 회전 샤프트의 양측에 위치된다. 커버 층(10)의 주변부는 접착제(60)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접착된다.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은 접착제(60)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접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스크린의 외부 층(커버 층(10)) 및 내부 층(디스플레이 층(20)) 둘 다는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은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는 다른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접이식 스크린은 펼쳐진 상태에 있고, Z-축 방향은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이다. 접이식 스크린이 단면 Z-Z를 따라 절단되면,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도가 획득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층(10)의 주변부는 접착제(60)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접착된다. 디스플레이 층(20)은 제1 하우징(30) 또는 제2 하우징에 연결되지 않는다. 즉, 접이식 스크린의 외부 층(커버 층(10))만이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발생하는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의 개략도이다. 도 9에서, 접이식 스크린이 2개의 층을 갖는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접이식 스크린을 형성하는 층들의 수량은 도 9에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의 가장 좌측 도면은 접이식 스크린의 이상적인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다. 접이식 스크린 전체에서 주름 또는 아치형이 발생하지 않고, 스크린의 층들은 폴딩 프로세스에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의 중간 도면은 접이식 스크린 본체의 실제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다. 접이식 스크린 본체는 접이식 스크린이 전자 디바이스의 중간 프레임 또는 하우징에 체결되지 않고, 접이식 스크린만이 접힌 상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전체 접이식 스크린 상에서 주름 또는 아치형이 발생하지 않고, 폴딩 프로세스에서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이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 9의 가장 우측 부분은 접이식 스크린이 전자 디바이스의 중간 프레임 또는 하우징에 체결된 후에 복수 회 접힌 후에 존재하는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아치형 및 주름과 층들 사이의 분리는 접이식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은 접착을 통해 복수의 재료 층을 함께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접이식 스크린은 특정 두께를 갖는다. 폴딩 프로세스에서의 스크린의 길이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길이와 동일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스크린의 층들의 상대적 변위를 보장하고 폴딩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아치형과 같은 문제들을 회피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스크린의 층들의 길이들은 스크린이 접힐 때 단부 면 상에서 상이할 것이다(층 변위 효과). 도 10은 접이식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 단부 면 상에서 발생하는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의 층 변위 효과의 개략도이다. 도 10으로부터,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의 길이들은 이상적인 상태에서 단부 면 상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는 OCA 또는 PSA에 의해 구현된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접이식 스크린의 커버 층의 주변부는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층은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이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지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층은 특정 두께를 갖고 복수의 재료 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접이식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커버 층의 층들 사이에, 커버 층과 디스플레이 층 사이에, 또는 디스플레이 층의 재료 층들 사이에 자유롭고 상호적인 변위가 구현될 수 없다.
그 결과, 스크린의 층들은 원활하게 변위될 수 없고, 스크린의 일부 상에 추가의 주름이 발생한다. 장시간 주름은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접착제의 지침(fatigue)으로 인한 분리를 야기한다. 전자 디바이스를 복수 회 접는 프로세스에서,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 사이에 분리 및 스크린 아치형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도 11에 도시된 접이식 스크린의 아치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출원은 스크린이 접힐 때 스크린의 일부 상에 주름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스크린의 일부 상에 발생하는 아치형을 대부분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발생하는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분리를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스크린이 평평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단면 Z-Z를 따라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Z-축 방향은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접이식 스크린(접이식 스크린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접이식 스크린은 커버 층(10)과 디스플레이 층(20)을 고정적으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커버 층(10) 및 디스플레이 층(20) 둘 다는 복수의 재료 층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커버 층은 또한 플렉시블 커버 층으로 지칭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층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다. 커버 층(10)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이고, 커버 층(10)은 접이식 스크린의 전면, 즉, 사용자가 보거나 터치할 수 있는 접이식 스크린의 측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20)은 접이식 스크린의 내부 층이다. 접이식 스크린의 내부 층은 또한 접이식 스크린의 후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의 후면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고, 전자 디바이스의 회로 보드와 같은 요소와 접촉하고,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커버 층(10)과 디스플레이 층(20)의 위치 관계, 치수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커버 층(10) 및 디스플레이 층(20) 등의 층들의 조성 재료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은 폴딩 샤프트(50)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은 폴딩 샤프트(50)를 사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은 또한 중간 프레임 또는 지지 컴포넌트로 지칭될 수 있고,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은 또한 각각 제1 중간 프레임(30) 및 제2 중간 프레임(40), 또는 제1 지지 컴포넌트(30) 및 제2 지지 컴포넌트(40)로 지칭될 수 있다. 폴딩 샤프트는 또한 회전 샤프트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은 폴딩 샤프트(50)를 따라 또는 이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제1 하우징(30) 상에 배치되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제2 하우징(40) 상에 배치된다.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또한 슬라이딩 메커니즘들 등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은 각각 Z-축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 상에 클램핑된다. 즉, 트랙션 메커니즘(70)은 Z-축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30)에 대해 이동할 수 없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Z-축 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40)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커버 층(10)은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커버 층(10)의 3개의 측면은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된 연결은,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해 또는 나사 및 너트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여기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이다.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은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고정된 연결은,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해 또는 나사 및 너트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제1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30)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1 하우징(30)에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제1 하우징(3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제1 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40)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하우징(40)에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제2 하우징(4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폴딩 샤프트(50)에 수직인 방향이다. 제1 방향은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는 폴딩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이다. 도 12에 도시된 트랙션 메커니즘은 "I"-형 트랙션 메커니즘이고, "I"-형 트랙션 메커니즘의 상부 부분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I"-형 트랙션 메커니즘의 하부 부분은 하우징 상에 클램핑되고, "I"-형 트랙션 메커니즘은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스프링(90)을 사용하여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될 수 있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스프링(100)을 사용하여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폴딩 샤프트(50)는 스프링(90)을 사용하여 트랙션 메커니즘(70)을 밀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30)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스크린을 접을 때, 사용자의 작용력은 폴딩 샤프트(50)에 작용하고, 폴딩 샤프트(50)는 스프링(9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작용력에 기초하여 트랙션 메커니즘(70)을 밀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30)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이동시키고, 폴딩 샤프트(50)는 스프링(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작용력에 기초하여 트랙션 메커니즘(80)을 밀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40)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이동시킨다. 트랙션 메커니즘(70)의 슬라이딩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의 슬라이딩 둘 다는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커버 층(10)이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스크린 폴딩 프로세스에서,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대한 커버 층(10)의 위치들은 변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커버 층(10)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디스플레이 층(20)에 포함된 층들 사이의 상호 변위 및 커버 층(10)에 대한 디스플레이 층(20)의 상호 변위는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상대 변위를 돕기 위해 보조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하우징 상에 배치된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을 드래그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은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여, 폴딩 방향을 따른 접이식 스크린의 자유도를 해제하고, 폴딩 방향을 따른 모션 및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를 보조하고, 스크린이 접힐 때 발생하는 스크린의 일부의 주름 및 아치형을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발생하는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분리를 회피하고, 스크린이 복수 회 접힌 후에 스크린이 평평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트랙션 메커니즘(70)은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전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스프링(90) 또는 스프링(10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이 폴딩 샤프트에 연결되지 않을 때, 구동 메커니즘들이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 메커니즘들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을 구동하여 제1 하우징(30) 및 제1 하우징(40) 상에서 각각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디스플레이 층에 포함된 층들 사이의 상호 변위 및 커버 층(10)에 대한 디스플레이 층(20)의 상호 변위는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 사이의 상대 변위를 돕기 위해 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메커니즘은 모터일 수 있고, 모터는 트랙션 메커니즘(80)을 밀어 제1 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40)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이동하는 능동 푸싱 힘(pushing force)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생성된 능동 푸싱 힘은, 기어, 나비-형상 시트, 편심 휠 등을 사용하여, 트랙션 메커니즘(80)을 밀어 제1 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40) 상에서 슬라이딩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여기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구동 메커니즘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 트랙션 메커니즘(70)는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트랙션 메커니즘(80)는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는 스프링(90) 또는 스프링(10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스크린 상에 내부 응력이 발생되고,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층이 트랙션 메커니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내부 응력은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을 구동하여 각각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은 단지 예일 뿐이고, 본 출원에서 트랙션 메커니즘의 특정 구조, 트랙션 메커니즘들의 수량, 하우징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의 위치 등을 한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트랙션 메커니즘은 제1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층의 에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은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시트, 슬라이딩 블록 등일 수 있다. 이것은 여기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폴딩 샤프트(50)는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상이한 방식들에 기초하여 접이식 스크린의 2개의 인접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스크린이 수평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때, 폴딩 샤프트(50)는 Y-축 방향에 평행할 수 있는데, 즉 접이식 스크린은 X-축 방향을 따라 접힌다. 대안적으로, 폴딩 샤프트(50)는 X-축 방향에 평행할 수 있는데, 즉 접이식 스크린은 Y-축 방향을 따라 접힌다. 폴딩 샤프트(50)는 접이식 스크린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거나, 접이식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은 하나 이상의 폴딩 샤프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폴딩 샤프트(50)에 수직인 방향이다. 제1 방향은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전자 디바이스가 수직으로 배치될 때 존재하는 폴딩 샤프트(50) 및 제1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샤프트(50)는 Z-축 방향을 따르고, 제2 하우징(40)의 하부 에지는 X-축 방향에 있고, Y-축 방향은 X-축 방향에 수직이고 X-축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제1 방향은 X-축 방향이고, Z 축은 Y-축 방향 및 X-축 방향에 수직이다. 제1 방향은 접이식 스크린의 폴딩 방향이다. 도 13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폴딩 샤프트의 위치 및 방향을 한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폴딩 샤프트는 대안적으로 접이식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폴딩 샤프트의 방향은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샤프트는 X-축 방향을 따르거나, Z-축 방향에 대해 특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폴딩 샤프트의 방향, 접이식 스크린 상의 폴딩 샤프트의 위치, 폴딩 샤프트들의 수량 등은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커버 층(10)의 3개의 측면은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이 접힐 때, 커버 층(10)의 길이가 변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이 최대로 접힐 때, 커버 층(10)에 대한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의 신장량은 D이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이 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트랙션 메커니즘들이 보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트랙션 메커니즘이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는 L일 수 있으며, 여기서 0<L≤D이다. 이것은 스크린이 접힐 때 스크린의 일부에서 발생하는 스크린의 주름 및 아치형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D의 값은 공식 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공식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은 커버 층(10)의 굽힘 반경이고, r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층의 굽힘 반경이다. H는 커버 층(10)의 굽힘 반경과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층의 굽힘 반경 사이의 차이이다. 도 15는 H, 디스플레이 층(20)의 두께, 및 커버 층(10)의 두께 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H는 커버 층(10)의 두께의 절반과 디스플레이 층(20)의 두께의 합이다.
본 출원의 일부 특정 구현들에서, 디스플레이 층의 강도와 같은 인자들을 고려하면, 트랙션 메커니즘들(예를 들어, 슬라이딩 블록들) 및 디스플레이 층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디스플레이 층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하우징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트랙션 메커니즘들이 디스플레이 층의 최내측 측면에 직접 고정적으로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층 및 트랙션 메커니즘의 접촉 면적이 디스플레이 층의 면적에 비해 작기 때문에, 스크린이 접힐 때, 트랙션 메커니즘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층의 부분은 제1 방향으로 하우징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지만; 트랙션 메커니즘과 접촉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층의 부분은 제1 방향으로 하우징을 따라 이동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주름 또는 아치형이 디스플레이 층 상에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린 보강 시트들은 트랙션 메커니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층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 보강 시트는 디스플레이 층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크린 보강 시트의 경도 및 강도는 디스플레이 층보다 높을 수 있다. 스크린 보강 시트들은 먼저 디스플레이 층에 체결될 수 있고, 이어서 트랙션 메커니즘은 스크린 보강 시트들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층(20)은 폴딩 영역(21),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으로 분할될 수 있다. 폴딩 영역(21)은 폴딩 샤프트(5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층(20)의 영역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층(20)이 디스플레이 층에 수직인 두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존재하는 폴딩 영역(21),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의 개략도이다. 폴딩 영역(21)은 폴딩 샤프트(5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층 영역이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폴딩 영역(21)은 구부러진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은 폴딩 영역(21)의 양측에 위치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면적,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면적, 및 폴딩 영역(21)의 면적의 합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면적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층(20)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디스플레이 층(20)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최내측 측면의 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측면의 면적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최내측 측면의 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면적의 합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면적보다 작다. 폴딩 영역(21),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물리적 분할이 아니고, 디스플레이 층(20)은 여전히 전체 디스플레이 층이라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폴딩 영역(21),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은 3개의 개별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니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단면 Z-Z를 따라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를 절단함으로써 획득된 개략적인 구조도의 다른 예이다. Z-축 방향은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이다. 접이식 스크린은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를 포함한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는 먼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측면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고정된 연결은,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해 또는 나사 및 너트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하우징(30)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70)이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먼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최내측 측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그 후 제2 하우징(40)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80)이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스크린 보강 시트들은 먼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측면들에 체결되고, 이어서 디스플레이 층은 스크린 보강 시트를 사용하여 트랙션 메커니즘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디스플레이 층의 최내측 측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더 높은 강성을 갖고 스크린 보강 시트와 접촉하여 그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들이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하우징 상에서 변위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의 효율 및 폴딩 방향을 따른 모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의 면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측면의 전체면에 배치된다. 물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의 면적은 대안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측면의 표면의 일부에 배치된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는 트랙션 메커니즘(70)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에지에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의 면적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거나,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의 면적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트랙션 메커니즘(80)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에지에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의 면적의 합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면적보다 작다.
스크린 보강 시트는 폴딩 영역(21)의 최내측 측면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다른 특정 구현들에서, 스크린 보강 시트 및 트랙션 메커니즘은 먼저 함께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스크린 보강 시트를 갖는 트랙션 메커니즘이 하우징 상에 고정적으로 클램핑되고, 스크린 보강 시트를 갖는 일 단부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의 예는 이하의 2개의 방식으로 설명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방식에서,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는 먼저 트랙션 메커니즘(7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은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어서 함께 조립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은 버클, 나사 및 너트 등을 사용하여 접착을 통해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그 후,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가 조립되는 트랙션 메커니즘(70)이 제1 하우징(30) 상에 클램핑되고, 스크린 보강 시트(110)의 일 단부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대안적으로 먼저 트랙션 메커니즘(8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어서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가 조립되는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제2 하우징(40) 상에 클램핑되고, 스크린 보강 시트(120)를 갖는 일 단부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2 방식에서,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에서,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전체로서 형성된다.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트랙션 메커니즘(70)이 일체로 형성된 후에, 스크린 보강 시트(110)를 갖는 일 단부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제1 하우징(30) 상에 클램핑된다. 유사하게, 스크린 보강 시트(12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은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 보강 시트(120)의 일 단부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3)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제2 하우징(40) 상에 클램핑된다.
본 출원의 일부 특정 구현들에서,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단지 폴딩 영역(21)의 양측에 배치되고, 스크린 보강 시트는 폴딩 영역(21)의 최내측 측면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구부러지지 않는다.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구부리는 동안 폴딩 영역(21)에서 아치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강화 시트의 층은 전체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층에 더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스크린 강화 시트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20)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고, 스크린 강화 시트는 또한 폴딩 영역(21)의 최내측 측면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스크린 강화 시트는 접착을 통해 전체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즉, 스크린 강화 시트는 접이식 스크린에 포함된 재료 층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스크린 강화 시트 및 폴딩 영역(21)은 동시에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스크린 강화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크린 강화 시트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는데, 즉 스크린 강화 시트의 한 층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 상의 전체 표면 상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린 강화 시트의 면적은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와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의 면적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를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의 모션은 스크린 강화 시트의 모션을 안내할 수 있어, 스크린 강화 시트가 전체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전체 디스플레이 층의 표면의 평탄도가 보장될 수 있어, 스크린 아치형 등을 회피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스크린 강화 시트는 스테인리스강 시트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의 두께는 0.03mm일 수 있고, 스테인리스강 시트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층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힐 때, 스테인리스강 시트는 접이식 스크린과 함께 접힐 수 있다. 스크린 강화 시트가 디스플레이 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접이식 스크린과 함께 접힐 수 있다면, 스크린 강화 피스(screen strengthening piece)는 대안적으로 다른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특정 구현들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층에서 스크린 강화 시트에 직접 추가로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또는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특정 구현들에서, 클램핑 슬롯이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트랙션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클램핑 슬롯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을 따라 클램핑 슬롯에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블록은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서 스크린 향상 시트(screen enhancement sheet)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몇몇 특정 구현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도 18은 트랙션 메커니즘이 슬라이딩 블록인 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슬라이딩 블록(7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슬롯(72)이 제1 하우징(30) 상에 제공되고, 클램핑 슬롯(72)은 슬라이딩 블록(71)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슬라이딩 블록(71)은 클램핑 슬롯(72) 내에서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체결 나사(73)는 슬라이딩 블록(71)과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를 고정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블록(71)은 스프링(90)을 사용하여 폴딩 샤프트(50)에 연결된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폴딩 샤프트(50)는 스프링(90)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블록(71)을 밀어서 제1 하우징(30)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이동시킨다. 슬라이딩 블록(71)의 이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를 보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할 수 있다. 유사하게, 트랙션 메커니즘(80)는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트랙션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잡성이 비교적 낮고, 트랙션 메커니즘의 비용이 더욱 감소된다.
몇몇 다른 가능한 구현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은 슬라이드 레일, 슈트, 슬라이딩 트랙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어, 트랙션 메커니즘이 슬라이드 레일, 슈트 또는 슬라이딩 트랙의 방향으로 하우징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도 19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예의 분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접이식 스크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 폴딩 샤프트(50), 제1 하우징(30), 제2 하우징(40),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을 포함한다. 접이식 스크린은 커버 층(10)과 디스플레이 층(20)을 고정적으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는 폴딩 샤프트(50)의 양측에 위치된다.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제1 하우징(30) 상에 배치되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제2 하우징(40) 상에 배치된다. 트랙션 메커니즘(70)은 제1 스크린 보강 시트(1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80)은 제2 스크린 보강 시트(12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은 각각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19에는 5개의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5개의 트랙션 메커니즘(80)이 도시되어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70)의 수량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의 수량은 대안적으로 다른 값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하우징(30)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70)의 위치, 제2 하우징(40)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80)의 위치, 트랙션 메커니즘(70)의 수량,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의 수량은,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이,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를 보조할 수 있다면,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몇몇 가능한 구현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은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일 수 있다.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일 단부는 폴딩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타 단부는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또는 제2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스윙 레버의 일 단부는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회전 샤프트는 스윙 레버를 밀어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스윙 레버의 이동은 스윙 레버 트랙션 메커니즘의 타 단부를 구동하여 이동시켜서,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이 드래그되어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본 출원의 몇몇 특정 구현들에서, 예를 들어, 트랙션 메커니즘이 폴딩 샤프트에 연결되지 않을 때, 구동 메커니즘들이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메커니즘은 제1 하우징(30) 및 제1 하우징(4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0) 상의 구동 메커니즘은 제1 하우징(30)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70)을 구동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하우징(40) 상의 구동 메커니즘은 제2 하우징(40) 상의 트랙션 메커니즘(80)을 구동하여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이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드래그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접이식 스크린을 접는 프로세스에서 스크린의 층들의 변위 및 폴딩 방향을 따른 모션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 상의 구동 메커니즘의 위치 및 구동 메커니즘들의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시프트 레버(시프트 레버 장치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고, 트랙션 메커니즘은 적어도 2개의 시프트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시프트 레버는 임의의 2개의 시프트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시프트 레버는 트랙션 메커니즘을 밀어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0은 구동 메커니즘들, 시프트 레버들, 및 트랙션 메커니즘들의 시프트 시트들의 개략도이다. 구동 메커니즘의 시프트 레버는 트랙션 메커니즘의 2개의 시프트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2개의 시프트 시트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시프트 레버는 트랙션 메커니즘을 밀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트랙션 메커니즘의 2개의 시프트 시트 사이의 거리(또는 2개의 시프트 시트의 위치)는 시프트 레버의 변위 또는 스트로크를 결정하고, 시프트 레버의 변위 또는 스트로크는 트랙션 메커니즘의 왕복 운동 변위(reciprocal motion displacement)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몇몇 특정 구현들에서, 트랙션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시트, 기어, 나비-형상 시트 또는 편심 휠과 같은 메카니즘일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의 특정 구조 및 형태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 특정 구현들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모터, 스프링, 하우징 상의 폴딩 샤프트 등일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의 특정 구조 및 형태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트랙션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는 구동력은 접이식 스크린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접이식 스크린이 접히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 층은 응력을 발생할 수 있고, 응력은 트랙션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트랙션 메커니즘에 작용한다.
본 출원의 일부 특정 구현들에서, 접이식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구동 메커니즘은 접이식 스크린이 평탄화된 상태에 있도록, 제1 방향을 따라 그리고 접이식 스크린의 외측을 향해 접이식 스크린을 당기기 위해 트랙션 메커니즘을 구동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1은 단면 Z-Z를 따라 펼쳐진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절단함으로써 획득된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여기서 Z-축 방향은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이다. 접이식 스크린이 편평화된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90)은 접이식 스크린의 외측을 향해 트랙션 메커니즘(70)을 밀기 위한 힘을 가질 수 있다. 푸싱 힘에 의해 구동되는, 트랙션 메커니즘(70)은 도 2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당기기 위한 풀링 힘(pulling forc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은 미리 설계된 푸싱 힘을 가질 수 있어서,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90)은 접이식 스크린의 외측을 향해 트랙션 메커니즘(70)을 미는 힘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트랙션 메커니즘(80)은 도 2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층(20)의 최내측 측면을 당기기 위한 풀링 힘을 가질 수 있다. 트랙션 메커니즘(70) 및 트랙션 메커니즘(80)의 풀링 힘에 의해 구동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층(20)은 평탄화된 상태에 있게 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이식 스크린이 평탄화된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하는 주름 또는 아치형을 회피한다.
본 출원에서 "고정된 연결"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제 분산 또는 용접 등을 통한 컴포넌트의 체결로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의 연결"은 접착제 분산 또는 용접을 통하는 것과 같은 복수의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체결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제한 컴포넌트는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체결된다"는 것은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다른 방향에 "평행" 또는 "수직"인 방향은 "대략 평행" 또는 "대략 수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들이지,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종속될 것이다.

Claims (9)

  1.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로서,
    접이식 스크린- 상기 접이식 스크린은 복수의 재료 층으로 이루어짐 -; 및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폴딩 샤프트(folding shaft)를 사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트랙션 메커니즘들이 배치되고,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은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들은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층들을 드래그하여 서로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폴딩 샤프트에 수직인 방향임 -을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스크린은 폴딩 영역,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폴딩 샤프트에 대응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의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은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됨 -; 및
    제2 스크린 보강 시트-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상의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은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됨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스크린은 폴딩 영역,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폴딩 샤프트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의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에 제1 스크린 보강 시트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상의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에 제2 스크린 보강 시트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스크린 강화 시트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및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스크린 강화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스크린 강화 시트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및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는 상기 스크린 강화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클램핑 슬롯(clamping slot)들이 배치되고,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클램핑 슬롯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클램핑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스크린 보강 시트 또는 상기 제2 스크린 보강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구동 메커니즘들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들은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시프트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은 적어도 2개의 시프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는 임의의 2개의 시프트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는 상기 트랙션 메커니즘을 밀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스크린은 커버 층 및 디스플레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층은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외측 층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층은 상기 접이식 스크린의 최내측 층이고, 상기 커버 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층 둘 다는 복수의 재료 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KR1020217039758A 2019-05-13 2020-05-13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KR102562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95424.5 2019-05-13
CN201910395424.5A CN111930177B (zh) 2019-05-13 2019-05-13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PCT/CN2020/089914 WO2020228714A1 (zh) 2019-05-13 2020-05-13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756A KR20220004756A (ko) 2022-01-11
KR102562727B1 true KR102562727B1 (ko) 2023-08-03

Family

ID=7328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758A KR102562727B1 (ko) 2019-05-13 2020-05-13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75415A1 (ko)
EP (1) EP3958089A4 (ko)
KR (1) KR102562727B1 (ko)
CN (1) CN111930177B (ko)
WO (1) WO2020228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9465A (zh) * 2020-11-23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3014702B (zh) * 2021-02-19 2024-0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以及电子设备
CN113345325A (zh) * 2021-04-23 2021-09-03 陈波 一种折叠屏
CN113242337B (zh) * 2021-06-08 2023-06-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KR20230025598A (ko) * 2021-08-13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4105A1 (en) * 2015-08-17 2017-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endable device with a window top layer
US20170160769A1 (en) 2015-06-16 2017-06-0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134A (ko) * 2006-09-26 2008-03-3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TWI327264B (en) * 2007-01-19 2010-07-11 Asustek Comp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00039350A1 (en) * 2008-08-15 2010-0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oveable displays and related devices
KR20100104078A (ko) * 2009-03-16 2010-09-29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드 힌지 모듈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908365B2 (en) * 2012-06-25 2014-12-09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having a continuous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s
KR101911047B1 (ko) * 2012-07-25 2018-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TWI618131B (zh) * 2013-08-30 2018-03-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剝離起點形成裝置及形成方法、疊層體製造裝置
CN107831830B (zh) * 2015-12-29 2020-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US9952627B2 (en) * 2016-04-27 2018-04-24 Dell Products, Lp Folding computing device with bending display
US11785834B2 (en) * 2016-12-09 2023-10-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6788536B (zh) * 2016-12-23 2019-05-1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
CN107071096B (zh) * 2017-01-26 2023-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件、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102426694B1 (ko) *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564423B (zh) * 2017-07-13 2019-07-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式柔性显示装置
CN208314628U (zh) * 2018-06-15 2019-01-0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柔性屏支撑机构
CN112513961A (zh) * 2018-06-15 2021-03-16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屏防尘机构、电子装置及柔性屏防尘机构的制造方法
CN208689844U (zh) * 2018-07-13 2019-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600469A (zh) * 2019-02-18 2019-04-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210670850U (zh) * 2019-02-23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限位组件、滑动连接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0809073A (zh) * 2019-02-23 2020-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支撑组件及智能终端
CN209982520U (zh) * 2019-02-23 2020-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WO2022098125A1 (en) *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0769A1 (en) 2015-06-16 2017-06-0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170054105A1 (en) * 2015-08-17 2017-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endable device with a window top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5415A1 (en) 2022-03-10
CN111930177A (zh) 2020-11-13
KR20220004756A (ko) 2022-01-11
WO2020228714A1 (zh) 2020-11-19
EP3958089A1 (en) 2022-02-23
CN111930177B (zh) 2023-04-04
EP3958089A4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727B1 (ko) 접이식 전자 디바이스
US11385686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nd hinges
CN113056899B (zh) 用于电子设备的滚动显示装置
WO2021169697A1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20230244274A1 (en) Foldab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209765931U (zh) 柔性叠层胶带及电子设备
CN111615275B (zh) 一种限位组件、滑动连接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0599903B (zh) 柔性显示面板
CN210670850U (zh) 一种限位组件、滑动连接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0197620A (zh) 一种柔性显示模组及柔性显示装置
US11406032B2 (en)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11968791B2 (en) Slidable display device
CN210183377U (zh) 电子设备
US20140062000A1 (en)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feeding device
GB2603253A (en) Foldable display device
TW201413419A (zh) 攜帶式電子裝置
CN113140155A (zh) 电子设备
CN113194174A (zh) 电子设备
CN111951692B (zh) 拼接显示器
CN215581236U (zh) 屏幕模组、显示组件及电子设备
CN216487087U (zh) 折叠显示模组及显示设备
CN101730424A (zh) 滑盖机构及具有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2011097280A (ja) 連結部材及び電子機器
CN211860186U (zh) 一种折叠屏的保护结构和可折叠终端设备
CN220378699U (zh) 一种铰链转轴装置以及柔性屏折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