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638B1 - 상자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상자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638B1
KR102562638B1 KR1020230054229A KR20230054229A KR102562638B1 KR 102562638 B1 KR102562638 B1 KR 102562638B1 KR 1020230054229 A KR1020230054229 A KR 1020230054229A KR 20230054229 A KR20230054229 A KR 20230054229A KR 102562638 B1 KR102562638 B1 KR 10256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isposed
tape
roller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록
Original Assignee
윤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록 filed Critical 윤형록
Priority to KR102023005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9/00Devices for folding or bending wrappers around contents
    • B65B49/02Fixed or resiliently-mounted folders, e.g. non-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luid pressure acting directly on folds or on opposed surfaces, e.g. using hot-ai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상자 포장 장치가 제공된다. 상단에 상자가 배치 및 이동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하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하측 테이핑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한 쌍이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는 측면 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자의 높이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상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상측 테이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테이핑부는, 상기 상자에 테이프 부착 시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하측 테이핑부와 상기 상측 테이핑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가 배치된 방향으로 고온의 바람을 발생하는 열풍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자 포장 장치{BOX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상자를 접고 테이핑할 수 있는 상자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자는 양산된 각종 제품의 수납, 보관 및 안전한 운반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상자의 경우 입체형상으로 접이가 가능하도록 재단된 골판지 판재를 상자형태로 접어 수납공간이 조성되는 포장 상자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택배 시스템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자에 제품을 넣어 봉함시킨 후 배송되는 일이 크게 증가되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작업, 즉 제품을 상자에 넣은 후 날개를 접어 테이핑하는 작업을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제품의 최종 가격이 증가되고, 제품의 포장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결론적으로는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개함되지 않은 골판지 판재를 펼치고, 펼쳐진 판재의 밑면을 테이핑하여 내부에 수납 공간을 조성하며, 제품을 내부에 수납 후 개봉된 상자의 상면을 테이핑하여 봉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처리 가능한 제함기가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제함기는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규격의 상자와 테이프를 주로 사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규격의 테이프와 상자는 종래의 제함기를 이용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포장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는, 위와 같은 경우, 각각의 상자 및 테이프 규격에 맞는 제함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상당히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제함기는 상자를 접고 테이핑하는 부분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자가 정확하게 접혀지지 않거나, 상자가 얇은 소재로 형성되는 등의 경우 상자가 비뚤어지게 접혀진 상태로 테이핑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제함기는 초기에 상자가 접혀진 상태 그대로 테이핑되기 때문에, 초기에 비뚤어지게 접혀지게 되면 결과적으로도 상자가 비뚤어진 상태로 밀봉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함기는 롤러가 테이프를 누르는 힘만으로 상자를 테이핑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제함기는 상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롤러가 눌리며 부착되기 때문에, 상자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용물이 가벼운 경우 상자가 들뜨며 견고하게 접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제함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상자 및 테이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자가 정확히 접혀진 상태로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는 상자 포장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상자 및 테이프에 적용할 수 있으며, 테이프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는 상자 포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에 상자가 배치 및 이동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하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하측 테이핑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한 쌍이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는 측면 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자의 높이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상자의 상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상측 테이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테이핑부는, 상기 상자에 테이프 부착 시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하측 테이핑부와 상기 상측 테이핑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가 배치된 방향으로 고온의 바람을 발생하는 열풍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상자와 테이프를 하나의 장치에서 작업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상자 포장 장치는 소정 정도의 상자의 크기 변화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조절을 통해 가능하나, 테이프의 크기 조절은 불가능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상자 포장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상자 및 테이프에 적용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소량 생산하는 경우에도 수작업이 아닌 장치를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는 열풍을 이용하여 테이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깔끔하고 미려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자 포장 장치는 단순히 테이프의 접착력만을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열풍을 이용하여 테이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구겨진 곳 없이 깔끔하게 테이프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무게가 무거운 제품을 포장하거나 외관이 중요한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 본 발명의 테이핑 과정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포장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는 상자를 접은 후 정렬할 수 있어, 상자가 비뚤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포장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자 포장 장치는 상자를 접은 후 이동패널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정렬되고 테이핑되어, 포장의 완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포장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측 테이핑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측 테이핑부의 제1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측면 롤러의 제1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조절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포장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자 포장 장치(100)는 상자(B)를 접고 상측 및 하측을 테이핑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자(B)의 하측을 접고 내용물을 내부에 담은 상태로 상자 포장 장치(100)에 인입시키면, 상자 포장 장치(100)는 상자(B)의 상측을 접고 상하측을 테이핑하여 밀봉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상자 포장 장치(100)는 반자동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또는 타 장치에서 상자(B)의 하측을 접고 내용물을 인입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한 후의 다음 단계를 이어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자 포장 장치(100)에 의해 접힘 및 테이핑되는 상자(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택배 포장 상자와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자(B)는 한 쌍의 내측날개(B1)와 한 쌍의 외측날개(B2)가 상측 면과 하측 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측날개(B1)를 접은 후, 외측날개(B2)를 내측날개(B1)의 상측에 접고 외측날개(B2)를 테이핑하여 포장을 마무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자 포장 장치(100)는 이와 같은 상자(B)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이핑하는 방식의 상자이면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상자 포장 장치(100)는 설치면에 배치되어 상단에 상자(B)가 배치 및 이동되는 메인프레임(110),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관통 배치되어 상자(B)의 하측을 테이핑하는 하측 테이핑부(120),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자(B)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측면 롤러(130),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이격 배치되어 상자(B)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프레임(140) 및 상단프레임(140)에 관통 배치되어 상자(B)의 상측을 테이핑하는 상측 테이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설치면에 배치되어, 상자(B)가 상단에 배치 및 이동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수평 방향으로 평탄한 부재로 형성되어, 상자(B)가 메인프레임(110)의 평탄한 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인프레임(11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치면에서 소정 정도 높이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프레임(110)은 설치면에서 1m 내외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110)은 상자(B)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평탄한 면에 다수 개의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롤러는 별도의 동력 연결 없이 형성되나, 후술할 측면 롤러(130)에 의해 상자(B)가 이동되는 동안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상자(B)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10)은 상자(B)가 인입되는 인입부(111), 상자(B)가 이동되며 상하면이 테이핑되는 작업부(112) 및 테이핑 된 상자(B)가 인출되는 인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인입부(111), 작업부(112) 및 인출부(113)는 순서대로 연결 배치되어 상자(B)가 인입부(111), 작업부(112) 및 인출부(113) 순으로 통과하며 접이 과정 및 테이핑 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업부(112)는 측면 롤러(130)가 용이하게 배치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인입부(111) 및 인출부(113)보다 양측 방향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부(112)의 중심부에는 하측 테이핑부(120)가 관통 배치되고, 상단에는 측면 롤러(130)가 배치되어 상자(B)가 작업부(112)를 통과하면서 테이핑될 수 있다. 또한, 작업부(112)의 상단에는 상측 테이핑부(150)가 이격 배치되어, 상자(B)의 상측 및 하측 면을 동시에 테이핑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측 테이핑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하측 테이핑부(120)는 메인프레임(110)에 관통 배치되어, 상자(B)의 하면에 테이프(T)를 부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측 테이핑부(120)는 작업부(112)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자(B)가 작업부(112)의 상단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테이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측 테이핑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자(B)의 하면과 상자(B)의 하면에 이어지는 측면 일부까지 테이핑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테이핑부(12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작업부(112)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121), 상자(B)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제1회동암(122), 제1회동암(122)과 이격 배치되며 마지막으로 상자(B)와 접촉되는 제2회동암(123), 테이프(T)를 컷팅하는 새들(124), 제1,2회동암(122, 123)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링크부재(125), 각각의 구성이 탄력적으로 이동과 원복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126a) 및 제2스프링(126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작업부(11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21)은 작업부(112)의 중심 하단에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1)이 배치된 부분에는 작업부(112)가 개방 형성되어, 하측 테이핑부(120)가 작업부(112)의 상단에 일부 돌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은 상측 끝단에 테이핑롤(TR)이 배치되며, 일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회동암(122)은 하측 테이핑부(120)의 전단에 힌지 연결되며 후단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회동암(123)은 하측 테이핑부(120)의 후단에 힌지 연결되며 전단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은 상자(B)가 이동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하측 테이핑부(120)의 양 끝단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자(B)가 하측 테이핑부(120)를 통과하며 돌출되었던 테이핑롤(TR)을 누르게 되면,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은 각각에 연결된 테이핑롤(TR)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측 테이핑부(120)의 중심 방향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은 링크부재(125)로 연결되어, 제1회동암(122)이 하강 시, 제2회동암(123)도 하강될 수 있다. 즉, 상자(B)가 메인프레임(110)을 따라 인입되면서 상자(B)에 의해 눌린 제1회동암(122)이 하강되고, 링크부재(125)로 연결된 제2회동암(123)이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25)의 일측은 제2스프링(126b)으로 연결되어, 상자(B)가 지나가고 난 후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이 다시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회동암(122)의 전단에는 지지축(122a) 및 지지바(122b)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축(122a)의 제1회동암(122)의 전단(앞부분)에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축(122a)에는 후술할 실시예의 테이프 조절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축(122a)에는 지지부(122b)가 제1회동암(122)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바(122b)는 테이프(T)가 상자(B)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이프(T)를 소정 정도 눌러주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바(122b)는 지지축(122a)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제1회동암(122)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새들(124)은 하측 테이핑부(12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새들(124)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하측 테이핑부(120)의 전단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자(B)가 메인프레임(110)을 따라 인입되면서 새들(124)이 눌리게 되면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인입되었다가 상자(B)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 상승되며 테이프(T)를 컷팅할 수 있다.
즉, 새들(124)은 제1스프링(126a)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어, 하강된 후 다시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들(124)은 테이프(T)를 컷팅하기 위한 컷팅날(124a)을 포함할 수 있다. 컷팅날(124a)은 새들(124)의 일측에 배치되어, 테이프(T)를 컷팅할 수 있다. 컷팅날(124a)은 새들(124)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T)를 폭 방향으로 컷팅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컷팅날(124a)은 새들(124)에 힌지 연결되어, 테이프(T)를 타격하며 컷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새들(124)이 회동됨에 따라 컷팅날(124a)도 따라 회동되며 테이프(T)를 컷팅하기 때문에, 테이프(T)를 더욱 강하게 타격하며 컷팅할 수 있다.
한편, 측면 롤러(130)는 작업부(112)의 상단에 한 쌍이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자(B)의 양측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측면 롤러(130)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되어, 상자(B)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측면 롤러(13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자(B)의 양 측면이 측면 롤러(130)와 접촉되어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면 롤러(130)는 상자(B)의 크기에 맞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롤러(130)는 작업부(1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인입부(111)에서 인입된 상자(B)를 인출부(113)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단프레임(140)은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이격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인입부(111) 및 작업부(11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140)은 상자(B)의 높이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단프레임(140)은 상자(B)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자(B)의 상측 날개부(B1, B2)와 접촉되며 접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단프레임(140)은 상자(B)의 날개부(B1, B2)를 접고, 테이핑되게 하며, 상자(B)가 이동되는 동안 상측으로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프레임(140)은 상측 테이핑부(150)가 배치되고 상하 이동되는 상하이동프레임(141), 상자(B)의 내측날개(B1)를 접기 위한 중심 연장부(142) 및 상자(B)의 외측날개(B2)를 접기 위한 양측 연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이동프레임(141)은 상측 테이핑부(150)가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하이동프레임(141)은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2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하이동프레임(141)은 판형 또는 바(bar)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되, 상측 테이핑부(150)가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면 세부적인 형상은 무관하다.
중심 연장부(142)는 상하이동프레임(141)의 일측에 돌출 배치되되, 상자(B)가 인입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심 연장부(142)는 상하이동프레임(141)의 전면 중심에 배치되어, 상자(B)가 인입부(111)를 통해 인입되는 경우 내측날개(B1)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자(B)의 내측날개(B1)는 중심 연장부(142)에 접촉된 상태로 인입부(111)를 통해 작업부(112)로 이동되면서 상자(B)의 중심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 연장부(142)는 판형 또는 바(bar)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판형 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외측날개(B2)가 내측날개(B1)의 상측에 접히는 데에 방해되지 않도록하기 위해 중심 연장부(142)가 위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심 연장부(142)는 내측날개(B1)의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접촉된 상태로 상자(B)가 이동되어, 내측날개(B1)의 양측에 배치된 외측날개(B2)가 중심 방향으로 접히더라도 간섭받지 않고 접힐 수 있다.
또한, 중심 연장부(142)는 끝단이 날카롭지 않고 완만한 경사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심 연장부(142)가 내측날개(B1)에 접촉된 상태로 상자(B)가 접혀지고 포장되기 때문에 중심 연장부(14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양측 연장부(143)는 상하이동프레임(141)의 일측에 돌출 배치되되, 중심 연장부(142)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양측 연장부(143)는 중심 연장부(142)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자(B)의 외측날개(B2)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자(B)의 외측날개(B2)는 양측 연장부(143)에 접촉된 상태로 인입부(111)를 통해 작업부(112)로 이동되면서 상자(B)의 중심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양측 연장부(143)는 끝단이 외측 방향으로 소정 정도 휘어지게 형성되며, 중심 연장부(142)에 고정되는 부분은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양측 연장부(143)는 중심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퍼지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외측날개(B2)가 크거나 작더라도 원활하게 외측날개(B2)를 접을 수 있다.
한편, 상측 테이핑부(150)는 상단프레임(140)에 관통 배치되어, 상자(B)의 상면에 테이프(T)를 부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테이핑부(150)는 하측 테이핑부(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측 테이핑부(150)는 하측 테이핑부(120)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하이동프레임(141)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자(B)의 상측 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측 테이핑부의 제1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변형예는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되, 하측 테이핑부(120)가 열풍 발생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풍 발생부(129)는 상측 테이핑부(150)에도 마찬가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하측 테이핑부(120)에 배치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변형예는 하측 테이핑부(120)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상측 테이핑부(150)에 배치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열풍 발생부(129)는 하측 테이핑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자(B)에 테이핑 작업 진행 시 고온의 바람을 분사할 수 있다. 열풍 발생부(129)는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풍 발생부(129)는 하측 테이핑부(120)의 하측 중심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제1회동암(122)과 제2회동암(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풍 발생부(129)는 강한 접착력이 요구되는 테이프(T)의 테이핑 작업 시 작동되어, 테이프(T)가 상자(B)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열풍 발생부(129)는 상자(B)가 테이핑될 때 열품을 분사하여 테이프(T)가 구겨지지 않고 상자(B)에 더욱 깔끔하고 미려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접착력이 향상되어 상자(B)에 테이프(T)가 강한 강도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측면 롤러의 제1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변형예는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되, 측면 롤러(130)가 제1롤러(131), 제2롤러(132) 및 이동패널(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측면 롤러(130)는 하측 테이핑부(120)를 기준으로 두 개의 컨베이어 벨트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벨트의 사이에는 상자(B)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판형 부재가 배치되어, 상자(B)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롤러(131)는 측면 롤러(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되되, 하측 테이핑부(120)가 배치되지 않은 앞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롤러(131)는 작업부(112)의 양 측면에 배치되되, 하측 테이핑부(120)가 배치되지 않은 앞단의 작업부(112)까지만 배치될 수 있다.
제2롤러(132)는 제1롤러(131)와 마찬가지로 측면 롤러(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되되, 하측 테이핑부(120)가 배치된 부분부터 작업부(112)의 끝까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롤러(132)는 작업부(112)의 양 측면에 배치되되, 하측 테이핑부(120)와 작업부(112)의 끝까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롤러(132)는 제1롤러(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롤러(131)와 제2롤러(132)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되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롤러(131)와 제2롤러(132)는 작업부(112)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하측 테이핑부(120)가 시작되는 부분을 지점으로 나눠진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롤러(131)와 제2롤러(13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자(B)를 인출부(113)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패널(133)은 제1롤러(131)와 제2롤러(132)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작업부(112)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동패널(133)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초기에는 제1롤러(131)와 제2롤러(132)의 사이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이동패널(133)은 상자(B)가 하측 테이핑부(120)로 인입되기 전에 상자(B)의 이동 경로인 작업부(112)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상자(B)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롤러(131)는 지속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상자(B)가 이동패널(133)과 제1롤러(131)에 의해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후, 이동패널(133)이 제1롤러(131)와 제2롤러(132)의 사이 내측으로 다시 인입되어, 정렬된 상자(B)가 하측 테이핑부(120)로 이동되며 테이핑될 수 있다. 즉, 이동패널(133)은 상자(B)가 테이핑되기 전에 상자(B)를 일시 정시시키며 정렬되게 하여 상자(B)가 정확히 정렬된 상태로 테이핑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동패널(133)은 상자(B)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상자(B)가 비뚤어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테이핑되게 하여 포장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조절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되, 테이프(T)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테이프 조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테이프 조절부(160)는 다양한 상자(B)의 크기에 맞게 테이프(T)의 폭을 조절하여 포장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테이프 조절부(160)는 하측 테이핑부(120) 및 상측 테이핑부(150)에 배치되어, 테이프(T)의 일부분을 컷팅하여 상자(B)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측 테이핑부(120)에 배치된 테이프 조절부(160)를 기준으로 설명하되, 테이프 조절부(160)는 상측 테이핑부(150)에도 하측 테이핑부(120)에 배치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테이프 조절부(160)는 제1회동암(122)의 전단에 배치된 지지축(122a)에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테이프(T)를 소정 정도 컷팅하여, 상자(B)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자(B)가 일반적인 규격보다 매우 작은 경우, 테이프 조절부(160)를 통해 테이프(T)를 일반적인 규격 사이즈보다 작은 폭으로 컷팅하여 포장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자(B)가 일반적인 규격보다 매우 큰 경우에는 테이프 조절부(160)를 사용하지 않거나, 가장 외측으로 후술할 폭조절 컷팅날(162)을 이동시켜 테이프(T)를 일반적인 규격 사이즈보다 큰 폭으로 부착하여 포장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조절부(160)는 테이프(T)가 컷팅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컷팅패널(161), 테이프(T)를 컷팅하는 폭조절 컷팅날(162), 컷팅패널(161)을 지지축(12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63), 컷팅패널(16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바(164), 고정바(164)가 인입되는 제1홀(165) 및 제2홀(166)을 포함할 수 있다.
컷팅패널(161)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테이프(T)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컷팅패널(161)은 제1회동암(122)의 전단에 배치된 지지축(12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되, 테이프(T)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테이프(T)의 폭을 양 끝단에서부터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컷팅패널(161)은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 개의 홀 또는 홈인 폭조절 홀(16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폭조절 홀(161a)은 다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정도 이격 배치되어, 원하는 위치에 폭조절 컷팅날(162)이 연결됨으로써 테이프(T)가 컷팅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폭조절 컷팅날(162)은 컷팅패널(161)에 연결되어, 테이프(T)의 일측을 컷팅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폭조절 컷팅날(162)은 한 쌍이 컷팅패널(16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테이프(T)의 양 끝단을 컷팅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폭조절 컷팅날(162)은 컷팅패널(161)에 세로 방향(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테이프(T)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T)의 일측을 컷팅하여 상자(B)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폭조절 컷팅날(162)은 조절하고자 하는 테이프(T)의 폭에 따라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테이프(T)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힌지부(163)는 컷팅패널(161)과 지지축(122a) 간에 배치되어, 컷팅패널(161)을 지지축(122a)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부(163)는 컷팅패널(161)을 제1회동암(122)이 배치된 방향(테이프가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바(164)를 제거하게 되면 컷팅패널(161)이 제1회동암(122)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힌지부(163)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바(164)는 바(bar)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힌지부(163)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바(164)는 힌지부(163)와 연결된 컷팅패널(161)이 배치되는 위치를 정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바(164)는 하우징(121)의 폭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어, 하우징(121)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홀(165) 및 제2홀(166)은 하우징(121)의 일측에 개방된 홀로 형성되며, 각각 한 쌍으로 하우징(121)에 좌우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홀(165) 및 제2홀(166)은 제1회동암(122)의 전단 측면에 해당되는 위치의 하우징(121)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제1홀(165)은 제1회동암(122)의 전면에 개방 형성되되, 지지축(122a)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홀(165)에 고정바(164)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부(163)의 후단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바(164)는 힌지부(163)가 제1회동암(122)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테이프(T)가 컷팅되지 않고 전체가 전부 부착되는 경우에 이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홀(166)은 제1회동암(122)의 전면에 개방 형성되되, 지지축(122a)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홀(166)은 고정바(164)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부(163)의 전단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바(164)는 힌지부(163)가 제1회동암(122)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홀(165)에서 고정바(164)를 제거하는 경우, 힌지부(163)의 탄력에 의해 컷팅패널(161)이 제1회동암(122)이 배치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런데, 상자(B)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힌지부(163)가 튕겨지며 제1회동암(122)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고정바(164)를 하우징(121)을 관통하며 제2홀(166) 및 힌지부(163)의 전단에 관통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바(164)를 배치 시, 힌지부(163)가 탄력에 의해 회동되려고 하더라도 고정바(164)에 의해 회동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컷팅패널(161)이 제1회동암(122)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으며 테이프(T)를 컷팅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고정바(164)가 제1홀(165) 및 힌지부(163)의 후단을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컷팅패널(161)이 제1회동암(122) 방향으로 회동되며 테이프(T)를 컷팅하고 사용하는 경우, 고정바(164)가 제2홀(166) 및 힌지부(163)의 전단을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테이프 조절부(160)가 테이프(T)와 접촉 및 비접촉 되도록 고정바(16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상자와 테이프를 하나의 장치에서 작업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상자 포장 장치는 소정 정도의 상자의 크기 변화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조절을 통해 가능하나, 테이프의 크기 조절은 불가능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상자 포장 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상자 및 테이프에 적용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소량 생산하는 경우에도 수작업이 아닌 장치를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다.
특히, 테이프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규격 상자에 비해 과도하게 크거나 작은 상자에도 알맞은 폭의 테이프를 접착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경우에는 상자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규격화 된 폭의 테이프를 주로 사용하여 포장하기 때문에, 매우 작은 상자의 경우 테이프가 상자 전체를 덮거나, 매우 큰 상자의 경우 테이프를 여러 번 사용하여 포장의 완성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100)는 상자의 크기에 맞게 테이프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접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의 완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100)는 열풍을 이용하여 테이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깔끔하고 미려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자 포장 장치(100)는 단순히 테이프의 접착력만을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열풍을 이용하여 테이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구겨진 곳 없이 깔끔하게 테이프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무게가 무거운 제품을 포장하거나 외관이 중요한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 본 발명의 테이핑 과정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포장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자 포장 장치(100)는 상자를 접은 후 정렬할 수 있어, 상자가 비뚤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포장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자 포장 장치(100)는 상자를 접은 후 이동패널(133)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정렬되고 테이핑되어, 포장의 완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동시에 실시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실시예 및 변형예만 단독적으로 실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B: 상자 T: 테이프
TR: 테이핑롤
100: 상자 포장 장치 110: 메인프레임
111: 인입부 112: 작업부
113: 인출부 120: 하측 테이핑부
121: 하우징 122: 제1회동암
123: 제2회동암 124: 새들
125: 링크부재 126a: 제1스프링
126b: 제2스프링 129: 열풍 발생부
130: 측면 롤러 131: 제1롤러
132: 제2롤러 133: 이동패널
140: 상단프레임 141: 상하이동프레임
142: 중심 연장부 143: 양측 연장부
150: 상측 테이핑부
160: 테이프 조절부 161: 컷팅패널
162: 폭조절 컷팅날 163: 힌지부
164: 고정바 165: 제1홀
166: 제2홀

Claims (7)

  1. 상단에 상자(B)가 배치 및 이동되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상자(B)의 하면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하측 테이핑부(12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한 쌍이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자(B)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는 측면 롤러(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자(B)의 높이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프레임(140);
    상기 상단프레임(140)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상자(B)의 상면에 테이프(T)를 부착하는 상측 테이핑부(150); 및
    상기 테이프(T)의 일측을 컷팅하여 상기 상자(B)에 부착되는 상기 테이프(T)의 폭을 변경할 수 있는 테이프 조절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테이핑부(120)는,
    상기 상자(B)에 테이프(T) 부착 시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하측 테이핑부(120)와 상기 상측 테이핑부(15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T)가 배치된 방향으로 고온의 바람을 발생하는 열풍 발생부(129);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조절부(160)는,
    상기 하측 테이핑부(120)와 상기 상측 테이핑부(15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T)의 컷팅 시 하강되는 컷팅패널(161); 및
    상기 컷팅패널(161)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T)의 양측을 컷팅하는 폭조절 컷팅날(162);를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140)은,
    상기 상자(B)의 내측날개(B1)를 눌러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상단프레임(140)에 배치되되, 상기 상자(B)가 인입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중심 연장부(142);를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140)은,
    상기 상자(B)의 외측날개(B2)를 눌러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상단프레임(140)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 연장부(142)의 양측에 한 쌍이 연장 형성되는 양측 연장부(143);를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롤러(130)는,
    상기 하측 테이핑부(120)의 앞단에 배치되는 제1롤러(131); 및
    상기 제1롤러(131)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제1롤러(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롤러(132);를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면 롤러(130)는,
    상기 상자(B)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일시 정지되어, 상기 상자(B)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1롤러(131)와 상기 제2롤러(1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자(B)의 이동 경로로 인입 및 인출되는 이동패널(133);을 더 포함하는, 상자 포장 장치.
KR1020230054229A 2023-04-25 2023-04-25 상자 포장 장치 KR10256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229A KR102562638B1 (ko) 2023-04-25 2023-04-25 상자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229A KR102562638B1 (ko) 2023-04-25 2023-04-25 상자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638B1 true KR102562638B1 (ko) 2023-08-01

Family

ID=875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229A KR102562638B1 (ko) 2023-04-25 2023-04-25 상자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0526A (en) * 1975-12-09 1977-06-11 Nishino Shiyouji Kk Method of moistureeproof construction and moistureeproof sheet
JP2007237327A (ja) * 2006-03-08 2007-09-20 Kineshio:Kk テープ切断用のカッター構造、該カッター構造を備えるテープ収容容器と取り付け型カッター
KR20080088029A (ko) * 2007-03-28 2008-10-02 유호준 봉함기
JP2018080004A (ja) * 2016-11-14 2018-05-24 井関農機株式会社 箱搬送設備
KR20210004545A (ko) *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삼원기계 랜덤 박스 포장용 테이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0526A (en) * 1975-12-09 1977-06-11 Nishino Shiyouji Kk Method of moistureeproof construction and moistureeproof sheet
JP2007237327A (ja) * 2006-03-08 2007-09-20 Kineshio:Kk テープ切断用のカッター構造、該カッター構造を備えるテープ収容容器と取り付け型カッター
KR20080088029A (ko) * 2007-03-28 2008-10-02 유호준 봉함기
JP2018080004A (ja) * 2016-11-14 2018-05-24 井関農機株式会社 箱搬送設備
KR20210004545A (ko) *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삼원기계 랜덤 박스 포장용 테이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2886B2 (ja) 物品または積重ね体を包装するための装置
CA2229665C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s for articles of merchandise
US20180079585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cooking popcorn and automated method for closing such a device
US5664684A (en) Shrink wrapped packag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ITBO990182A1 (it) Sbozzato di materiale di incarto per il confezionamento di un involucro rigido con coperchio incernierato per un gruppo ordinato di pacchett
KR102562638B1 (ko) 상자 포장 장치
US4126220A (en) Display carton and blank therefor
ITBO990385A1 (it) Scatola di cartone ondulato per l' imballaggio di prodotti e metodo ed apparato per la realizzazione e per l' impiego su scala industriale d
US7968133B2 (en) Element for producing a package for packaging a food product, corresponding package, assembly comprising such a package and a food product, cutting installation and method
CA3031122A1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916859A (en) Method of opening and resealing a carton
US2070736A (en) Method of covering articles with wrappers
EP0009650B1 (en) Package for the display of goods
US3462915A (en) Wrapping machines
US20110083980A1 (en) Snus foil pack in side opening hard pack
BR0300797B1 (pt) aparelho e processo para realizar embrulhos decorativos de artigos.
ITBO20080512A1 (it) Apparecchiatura di confezionamento.
US5024331A (en) Packing wrapper for packaging pasty products and pasty product packaged therewith
CN215972410U (zh) 一种纸箱用的胶带封装打包机
CN220713767U (zh) 一种挡片重力自回旋式抽纸盒
CN213677662U (zh) 一种易于折叠使用的瓦楞纸箱
CN219447499U (zh) 一种用于纸盒包装的封口装置
CN219770423U (zh) 一种体积可调的新型瓦楞纸箱
CN216944394U (zh) 一种可以自动展开的唇膏包装
CN220743664U (zh) 一种缓冲包装盒成型纸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