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45B1 -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 Google Patents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345B1
KR102562345B1 KR1020220065757A KR20220065757A KR102562345B1 KR 102562345 B1 KR102562345 B1 KR 102562345B1 KR 1020220065757 A KR1020220065757 A KR 1020220065757A KR 20220065757 A KR20220065757 A KR 20220065757A KR 102562345 B1 KR102562345 B1 KR 10256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optric
coupling
clip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현
조경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드파티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드파티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드파티온
Priority to KR102022006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글렌즈(Len1)가 결합되는 프레임(10)의 양측단에는 고글다리(Br)가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고글에 있어서,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대(14)를 구성하되 브릿지(12)의 외주연은 결합대(14)의 외주연 보다 확장되어 결합대(14)에 대한 전방 지지벽체(12a)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도수클립(20)를 탈착가능토록 구성하되, 도수클립(20)의 좌우 안경테(21)에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되고 중앙의 브릿지(22)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대(24)를 구성하며, 중앙지지대(24)의 하단 좌우에는 각각 연결목(25)을 경유하여 상부로는 누름대(27)를 연장형성하고 하부로는 탄성결착대(28)를 연장형성하여 양쪽 누름대(27)를 내측으로 누름과 누름해제로 연결목(25) 부분의 텐션에 의해 좌우 탄성결착대(28) 간에 벌어지고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하고,
좌우 탄성결착대(28)로부터 브릿지(22)까지 이어지는 하부면의 형상은 프레임(10)의 결합대(14)의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토록 하여 서로 간에 접면을 이루게 하며, 상기 정의된 서로 간의 접면 중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대응형성하여 프레임(10)에 도수클립(20)의 견고한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GOGGLES FOR EASY REPLACEMENT OF PRESCRIPTION LENSES}
본 발명은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력이 나쁜 사람을 위해 고글렌즈 내측에 도수렌즈의 탈부착이 용이한 고글에 관한 것이다.
고글은 하이킹이나 산행을 비롯하여 다양한 스포츠와 레포츠 분야에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이킹이나 조깅을 비롯하여 스키 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 바람에 의해 눈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햇빛에 의해 눈이 부시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시력이 낮은 사람은 고글만을 착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고글의 내측면에 자기 시력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고글 내에 별도의 도수레즈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특허문헌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개된 내용을 살펴보면, 고글의 코받침 안쪽 프레임에 고정핀을 설치한뒤 도수클립을 거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좌우의 도수렌즈가 각각 따로 구성되어 고글의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서 결합에 견고성에 있어서 다소 문제가 되는 것으로서 운동시 도수렌즈가 흔들릴 수 있고 착용이 불편하다. 또한 도수렌즈의 무게에 의하여 고글이 자꾸만 아래로 내려 않게 되는 결함이 있었으며 강렬한 운동중 넘어졌을 경우 눈에 치명적인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있는 것이다.
국내등록등록실용신안 제20-0265738호“교정 시력을 지니는 고글”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의 시력에 맞는 도수렌즈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과 착용감이 우수한 고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글렌즈(Len1)가 결합되는 프레임(10)의 양측단에는 고글다리(Br)가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고글에 있어서,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대(14)를 구성하되 브릿지(12)의 외주연은 결합대(14)의 외주연 보다 확장되어 결합대(14)에 대한 전방 지지벽체(12a)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도수클립(20)를 탈착가능토록 구성하되, 도수클립(20)은 좌우 양쪽의 안경테(21)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되고 중앙의 브릿지(22)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대(24)를 구성하며, 중앙지지대(24)의 하단 좌우에는 각각 연결목(25)을 경유하여 상부로는 누름대(27)를 연장형성하고 하부로는 탄성결착대(28)를 연장형성하여 양쪽 누름대(27)를 내측으로 누름과 누름해제로 연결목(25) 부분의 텐션에 의해 좌우 탄성결착대(28) 간에 벌어지고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하고,
좌우 탄성결착대(28)로부터 브릿지(22)까지 이어지는 하부면의 형상은 프레임(10)의 결합대(14)의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토록 하여 서로 간에 접면을 이루게 하며, 상기 정의된 서로 간의 접면 중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대응형성하여 프레임(10)에 도수클립(20)의 견고한 탈착이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2)은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별도의 결합대(14)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대(14)에는 자신의 시력에 맞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된 도수클립(20)을 탈착가능토록 구성함에 따라 원하는 스타일의 고글(2)에 언제든지 교체 탈착이 가능하고, 견고한 결합과 착용감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글에 도수클립을 분리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글에 도수클립을 결합과 분리과정을 도시한 주요부 도면,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2)(이하 간단히 ‘고글’이라고도 함)은 프레임(10)의 내측으로 고글렌즈(Len1)가 결합되고, 프레임(10)의 양측단에는 고글다리(Br)가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고글(2)은 자신의 시력에 맞는 도수렌즈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과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는 고글을 구현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글(2)은 먼저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대(14)를 구성한다. 이때 브릿지(12)의 외주연은 결합대(14)의 외주연 보다 확장되게 함으로써 결합대(14)에 대한 전방 지지벽체(12a)가 형성되게 한다. 지지벽체(12a)는 후술할 도수클립(20)의 초입 결합시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도수클립(20)를 탈착가능토록 구성한다. 도수클립(20)은 좌우 안경테(21)에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되고 중앙의 브릿지(22)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대(24)를 구성한다.
중앙지지대(24)의 하단 좌우에는 각각 연결목(25)을 경유하여 상부로는 누름대(27)를 연장형성하고 하부로는 탄성결착대(28)를 연장형성한다. 따라서 양쪽 누름대(27)를 내측으로 누름 또는 누름해제 함에 따라 연결목(25) 부분의 텐션에 의해 좌우 탄성결착대(28) 간에 벌어지고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좌우 탄성결착대(28)로부터 브릿지(22)까지 이어지는 하부면의 형상은 프레임(10)의 결합대(14)의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토록 함으로써 서로 간에 접면을 이루게 하여 안정적인 결합이 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정의된 서로 간의 접면 중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대응형성하여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 도수클립(2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바와 같이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중앙홈(19a)과 양측에 각각 측부홈(19b)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수클립(20)에는 중앙돌기(29a)와 양측에 측부돌기(29b)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결합대(14)와 도수클립(20)의 탄성결착대(28) 간의 접면은 상협하광으로 형성하면 탈착이 보다 용이하다. 특히 도 3에 도수클립(20) 결합시에는 도수클립(20)의 좌우 탄성결착대(28)를 결합대(14)의 상에 올린 후 하부로 밀어내리면 좌우 탄성결착대(28)가 벌어진 후 자연적으로 상기 설명한 중앙홈(19a), 측부홈(19b)에 중앙돌기(29a), 측부돌기(29b)가 끼워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프레임(10)의 구성은 크게 변경되는 부분이 없으며, 변경되는 구성을 갖는 도수클립(20A)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수클립(20A) 역시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탈착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수클립(20A)의 좌우 안경테(21)에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된다.
좌우 안경테(21) 서로 간의 내측(바람직하게는 내측 상단부분)에는 누름대(27)를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누름대(27)의 하단부에서 외측 하부방향으로는 탄성결착대(28)를 일체로 연장형성한다. 그리고 누름대(27)와 탄성결착대(28) 간의 만나는 부분이나 그 근방 부분에는 연결목(25)을 매개로 중앙지지대(24)에 결합되게 하여 좌우 안경테(21)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도수클립(20A)은 양쪽 누름대(27)와 연결되어 있는 좌우 안경테(21)의 내측 상부 모서리 근방부분을 동시에 잡고 내측으로 누름과 누름해제시키면 연결목(25) 부분의 텐션에 의해 좌우 탄성결착대(28) 간에 벌어지고 오므라든다.
이러한 도수클립(20A)은 앞서 설명한 도수클립(20)에 비하여 누름과 누름해제 작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안경테(21)의 내측 상부 모서리 부분에 별도의 파지돌부(21a)를 형성하면 이 또한 누름과 누름해제 작동을 보다 쉽도록 도와준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도수클립(20)과 마찬가지로 좌우 탄성결착대(28)로부터 중앙지지대(24)까지 이어지는 하부면의 형상은 프레임(10)의 결합대(14)의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토록 하여 서로 간에 접면을 이루게 하며, 상기 정의된 서로 간의 접면 중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대응형성한다.
도수클립(20)(20A)의 중앙지지대(24)에는 노즈패드(3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고글(2)의 착용감을 높여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2)은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별도의 결합대(14)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대(14)에는 자신의 시력에 맞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된 도수클립(20)(20A)을 탈착가능토록 구성함에 따라 원하는 스타일의 고글(2)에 언제든지 교체 탈착이 가능하고, 견고한 결합과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10)--프레임 (12)--브릿지
(12a)--지지벽체 (14)--결합대
(19a)--중앙홈 (19b)--측부홈
(20)(20A)--도수클립 (21)--안경테
(21a)--파지돌부 (22)--브릿지
(24)--중앙지지대 (25)--연결목
(27)--누름대 (28)--탄성결착대
(29a)--중앙돌기 (29b)--측부돌기
(30)--노즈패드
(Len1)--고글렌즈 (Len2)--도수렌즈
(Br)--고글다리

Claims (4)

  1. 고글렌즈(Len1)가 결합되는 프레임(10)의 양측단에는 고글다리(Br)가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고글에 있어서,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대(14)를 구성하되 브릿지(12)의 외주연은 결합대(14)의 외주연 보다 확장되어 결합대(14)에 대한 전방 지지벽체(12a)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도수클립(20)를 탈착가능토록 구성하되, 도수클립(20)의 좌우 안경테(21)에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되고 중앙의 브릿지(22)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지지대(24)를 구성하며, 중앙지지대(24)의 하단 좌우에는 각각 연결목(25)을 경유하여 상부로는 누름대(27)를 연장형성하고 하부로는 탄성결착대(28)를 연장형성하여 양쪽 누름대(27)를 내측으로 누름과 누름해제로 연결목(25) 부분의 텐션에 의해 좌우 탄성결착대(28) 간에 벌어지고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하고,
    좌우 탄성결착대(28)로부터 브릿지(22)까지 이어지는 하부면의 형상은 프레임(10)의 결합대(14)의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토록 하여 서로 간에 접면을 이루게 하며, 상기 서로 간의 접면 중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대응형성하여 프레임(10)에 도수클립(2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2. 고글렌즈(Len1)가 결합되는 프레임(10)의 양측단에는 고글다리(Br)가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고글에 있어서,
    프레임(10) 중앙의 브릿지(12)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대(14)를 구성하되 브릿지(12)의 외주연은 결합대(14)의 외주연 보다 확장되어 결합대(14)에 대한 전방 지지벽체(12a)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10)의 결합대(14)에는 도수클립(20A)를 탈착가능토록 구성하되, 도수클립(20A)의 좌우 안경테(21)에는 도수렌즈(Len2)가 결합되고 좌우 안경테(21) 서로 간의 내측에는 각각 누름대(27)를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누름대(27)의 하단부에서 외측 하부방향으로는 탄성결착대(28)를 일체로 연장형성하며, 누름대(27)와 탄성결착대(28) 간의 만나는 부분이나 그 근방 부분에는 연결목(25)을 매개로 중앙지지대(24)에 결합되게 하여 좌우 안경테(21)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양쪽 누름대(27)와 연결되어 있는 좌우 안경테(21)의 내측 상부 모서리 근방부분을 동시에 잡고 내측으로 누름과 누름해제시키면 연결목(25) 부분의 텐션에 의해 좌우 탄성결착대(28) 간에 벌어지고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하고,
    좌우 탄성결착대(28)로부터 중앙지지대(24)까지 이어지는 하부면의 형상은 프레임(10)의 결합대(14)의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토록 하여 서로 간에 접면을 이루게 하며, 상기 서로 간의 접면 중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대응형성하여 프레임(10)에 도수클립(20A)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의 결합대(14)와 도수클립(20)(20A)의 탄성결착대(28) 간의 접면은 상협하광 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수클립(20)(20A)의 중앙지지대(24)에는 노즈패드(30)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KR1020220065757A 2022-05-30 2022-05-30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KR10256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57A KR102562345B1 (ko) 2022-05-30 2022-05-30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57A KR102562345B1 (ko) 2022-05-30 2022-05-30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345B1 true KR102562345B1 (ko) 2023-08-01

Family

ID=8756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757A KR102562345B1 (ko) 2022-05-30 2022-05-30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08Y1 (ko) * 1998-02-24 2000-04-01 강정근 착탈식 보조안경
KR200265738Y1 (ko) 2001-11-23 2002-02-25 주식회사아이닷컴 교정 시력을 지니는 고글
KR200338153Y1 (ko) * 2003-09-02 2004-01-13 기노성 스키용 고글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150004511U (ko) * 2014-06-10 2015-12-18 현도명 고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08Y1 (ko) * 1998-02-24 2000-04-01 강정근 착탈식 보조안경
KR200265738Y1 (ko) 2001-11-23 2002-02-25 주식회사아이닷컴 교정 시력을 지니는 고글
KR200338153Y1 (ko) * 2003-09-02 2004-01-13 기노성 스키용 고글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150004511U (ko) * 2014-06-10 2015-12-18 현도명 고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KR200250343Y1 (ko) 레저용 선글라스
KR101618451B1 (ko) 스포츠용 고글
KR102562345B1 (ko) 도수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고글
JP3212105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73905Y1 (ko)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
KR20130013290A (ko) 안경 구조
KR101620167B1 (ko) 스포츠용 고글
JP4827012B2 (ja)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KR200460798Y1 (ko) 렌즈교환이 가능한 고글
KR101620203B1 (ko) 스포츠용 고글
CN110908137A (zh) 一种环抱式镜片可更换运动眼镜
CN211348881U (zh) 一种环抱式镜片可更换运动眼镜
KR200465087Y1 (ko) 교체형 안경테
KR100721039B1 (ko) 다기능 안경테
CN221101183U (zh) 眼镜
CN220820411U (zh) 拼接式眼镜
KR101983911B1 (ko) 렌즈교환형 안경
US20090027615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glass frame and wearing portion
CN220020003U (zh) 带有镜套的眼镜框结构
CN218825001U (zh) 一种快拆快装眼镜
KR102480469B1 (ko)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CN21635159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眼镜
CN212569314U (zh) 一种眼镜托架
KR20120054942A (ko) 착용수단 교체형 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