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784B1 -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784B1
KR102561784B1 KR1020220109247A KR20220109247A KR102561784B1 KR 102561784 B1 KR102561784 B1 KR 102561784B1 KR 1020220109247 A KR1020220109247 A KR 1020220109247A KR 20220109247 A KR20220109247 A KR 20220109247A KR 102561784 B1 KR102561784 B1 KR 10256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current time
beacon data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곤
이규원
이다솜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애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to KR102022010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80Arrangements enabling lawful interception [L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2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geo-location information, e.g. location data, time, relative position or proximity to other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real rime clock) 모듈;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 모듈;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TERMINAL CONTROL SYSTEM USING BEACON DATA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콘 데이터를 이용해 단말기를 통제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함) 기반의 유무선 인터넷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과 유무선 인터넷 기술이 결합된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과 유무선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유무선 인터넷망 둘 모두에 접속, 즉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고, 이동 중에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인터넷을 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음성 및 메시지 통신, 근거리 데이터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와 같은 스마트기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에게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시스템들 중 하나가 학원 및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NFC 또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통제하는 통제 시스템이다.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비콘(beacon)을 이용할 수 있다. 비콘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로서, 통신 단말간 페어링(pairing)절차가 불필요하고, 저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콘은 일대다는 물론 다대다 통신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광고, 정보 전송, 홈오토메이션, 결제 등 다양한 비콘 서비스에 이용되고 있다. 이런한 비콘을 이용하여 보안 구역 내에서는 단말기의 동작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05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콘 데이터를 이용해 단말기를 통제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은,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real rime clock) 모듈;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 모듈;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현재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현재 시간을 상기 제1 현재 시간으로 결정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차단모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모두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차단모드 요청은 NFC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비콘 데이터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활성화 정보를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는 상기 장소에서 개최되는 회의 또는 보관된 문서의 보안등급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암호화를 통한 단말기 통제 방법은, 제1 단말기에서,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의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비콘 데이터를 이용해 단말기를 통제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단말기가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였음에도 양자를 비교하여 단말기를 통제할 수 있다.
셋째,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 중 활성화되는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사용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들보다 이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엘리먼트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클래스 엘리먼트들 및 태스크 엘리먼트들과 같은 엘리먼트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엘리먼트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엘리먼트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엘리먼트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든 "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부"가 수행하는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기능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 또는 '모듈' 등으로 지칭될 수 있는 블록은 논리 게이트, 집적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메모리, 수동 전자 부품, 능동 전자 부품, 광학 컴포넌트,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wired circuits) 등과 같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되고, 선택적으로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 통제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로서, 최대 70 m 반경까지 단말기(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할 수 있어, 단말기에 태그할 필요 없이 비콘이 설치된 특정 장소나 매장에 방문객들이 입장하는 순간 안내 서비스나 모바일 쿠폰이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지원하는 비콘 단말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GPS의 경우 수십 미터의 오차가 있는 반면, 비콘은 5 cm 정도까지의 정교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므로, 특히 실내에서의 비콘을 이용한 단말기를 통제할 때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는 예를 들어,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같은 전자 장치 중 하나로서,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단말기(110)는 비콘 단말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비콘 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120)는 특정 영역(13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여 여러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단말기(120)는 암호화를 위해 제1 단말기(110)와 마찬가지로 비콘 단말기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단말기(110)는 특정 영역(130) 내에 위치하는 제2 단말기(120)로 비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단말기(120)는 수신된 비콘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영 및 녹음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의 신호 세기를 미리 조절하여 제1 단말기(110)의 신호를 제2 단말기(12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해둔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가 비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제2 단말기(120)가 제어될 수 있는 영역으로, 상기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의 신호세기의 조절을 통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가 설치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가 설치된 장소와 동일하거나 제1 단말기(110)가 설치된 장소보다 더 큰 영역일 수 있다.
제2 단말기(120)는 제2 단말기(12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수신된 비콘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영 및 녹음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110)가 비콘 데이터를 전송하면 제2 단말기(120)는 수신된 비콘 데이터와 제2 단말기(120)에서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 단말기(120)의 기능을 통제(또는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10) 역시 제2 단말기(120)와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11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도 1의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RTC(real time clock)(220), 암호화 모듈(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RTC(220)는 현재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컴퓨터 시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RTC(220)는 엡손(Epson), 인터실(Intersil), IDT, 맥심(Maxim), NXP반도체, 텍사스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또는 S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 Microelectronics) 등의 제조사에서 생산된 것일 수 있다.
RTC(220)는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RTC(220)는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때 마다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암호화 모듈(230)로 제공하고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제공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하여 암호화 과정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230)은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제1 단말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특정 데이터는 외부의 다른 암호화 장치 또는 복호화 장치가 암호화 모듈(230)과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복호화 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키(KEY)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가 동일한 시간을 기초로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항상 동일한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암호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제1 단말기(21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특정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단말기(250)로 공유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210)는 처음 변경된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하면서 상기 변경된 특정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암호화 모듈(230)은 DES, TDES, AES, SEED, RSA, ARIA, SEED, ARIA 또는 3DES 등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리아(ARIA) 암호화 알고리즘은 국가 보안 기술 연구소(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된 민관 겸용 블록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비콘 데이터 생성을 완료한 제1 단말기(210)는 상기 비콘 데이터를 통신 모듈(240)을 통해 제2 단말기(27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40)은 제1 단말기(210)의 현재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비콘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모드는 차단모드 및 해지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모드는 제2 단말기(250)의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시키는 모드이며, 해지모드는 다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동작모드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에서 회의를 시작하는 경우 동작모드를 차단모드로 선택하고 회의가 종료된 이후는 상기 동작모드를 해지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은 제1 단말기(210)에 구비된 입력 모듈(미도시)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버튼 또는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210)는 평상시에는 해지모드로 동작하다가 필요한 경우(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차단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단말기(210)는 평상시에는 차단모드로 동작하다가 필요한 경우(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지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의실 또는 문서 보관실에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경우, 회의 시간 또는 문서 열람 가능시간 외의 시간에는 해지모드로 동작하다가 회의 시간 또는 문서 열람 가능시간 차단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는 10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 제1 단말기(210)는 다음번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까지는 실시간으로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TC(220)에서 10시 00분 시간을 계산하고 암호화 모듈(230)에서 10시 00분을 기초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면, 제1 단말기(210)는 10시 10분 전까지 상기 10시 00분을 기초로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는 초, 분, 시, 일, 주 및 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주기는 초, 분 및 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인,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 내에 특정 영역(130)에 진입한 제2 단말기(120)는 모두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가 10분이고, 10시 00분에 새로운 비콘 데이터가 생성되면, 10시 05분에 특정 영역(130)에 진입한 제2 단말기와 10시 07분에 특정 영역(130)에 진입한 제2 단말기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생성한 이후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전송하는 것 외에도,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따라 비콘 데이터 생성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하여 제1 단말기(210)를 셋팅하고,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따라 비콘 데이터 생성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210)는 특정 시간 동안 비콘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의실 또는 문서 보관실에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경우, 제1 단말기(210)는 회의 시간 또는 문서 열람 가능시간 등의 시작 시간에 맞추어 차단모드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회의 시간 또는 문서 열람 가능시간의 종료 시간에 맞추어 해지모드로 비콘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생성하고 이후에는 비콘 데이터 생성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은 제1 단말기(21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 새롭게 셋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210)를 소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비콘 데이터 생성 요청을 제1 단말기(210)에 입력하여 제1 단말기(210)로 하여금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비콘 데이터 생성이 완료되면, 암호화 모듈(230)은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통신 모듈(2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TC(220)도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암호화 모듈(230)에 제공한 상기 현재 시간을 통신 모듈(24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240)은 비콘 데이터 또는 비콘 데이터 및 현재 시간을 네트워크(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를 통해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숭한 미리 설정 시간 단위가 제2 단말기(250)에 공유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2 단말기(250)는 RTC(220)가 계산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별도의 전원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50)는 통신 모듈(260), RTC(270), 암호화 모듈(280) 및 제어부(2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40, 260)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또는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말기(250)의 통신 모듈(260)은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한 비콘 데이터, 동작모드 신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50)의 RTC(270)는 제1 단말기(210)의 RTC(220)와 동일하게 현재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컴퓨터 시계일 수 있다. 따라서, RTC(270)는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RTC(270)는 제2 단말기(270)가 새로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때마다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암호화 모듈(280)로 제공하고 암호화 모듈(280)은 RTC(270)로부터 제공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 모듈(280)은 RTC(270)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하여 암호화 과정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280)은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 단말기(210)와 공유하고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기(210)가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과 제2 단말기(250)가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은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으므로, 비콘 데이터와 암호화 데이터는 항상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제1 단말기(210)와 제2 단말기(2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 제2 단말기(250)가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라면, 암호화 모듈(280)은 RTC(270)에서 계산한 현재 시간을 비콘의 RTC(220) 가 계산한 현재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간주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가 10분이고 제1 단말기(210)가 10시 00분 시간에 기초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암호화 모듈(280)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RTC(270)로부터 획득한 시간이 10시 06분 10초 일지라도 현재 시간은 10시에서 10분이 경과하지 않았으므로, 암호화 모듈(280)은 현재 시간을 10시 00분으로 간주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RTC(220)가 계산한 시간이 함께 수신된 경우라면, 암호화 모듈(280)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를 확인할 필요 없이, 곧바로 수신된 현재 시간 및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250)에 제1 단말기(210)와 동일한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비콘 데이터와 제2 단말기(250)에서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는 동일할 수밖에 없다.
암호화 모듈(280)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부(290)는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제2 단말기(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통신 모듈(260)을 통해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말기(250)는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 또는 특정 영역(130)에 진입하며 차단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50)의 소지자는, 제2 단말기(250)가 iOS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전자장치인 경우,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 또는 특정 영역(130)에 진입하며 상기 장소에 설치된 NFC 단말기(미도시) 근처에 제2 단말기(250)를 위치시킴으로써 제2 단말기(250)를 차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250)의 소지자는, 제2 단말기(250)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전자장치인 경우,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단말기(250)를 차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 단말기(250)가 통신 모듈(260)을 통해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한 것이 아닌, 제2 단말기(250)의 소지자가 직접 제2 단말기(250)의 차단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차단모드는 제2 단말기(250)의 촬영 및 녹음 기능 모두를 비활성화 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가 현재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임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290)는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단말기(210)가 현재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임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290)는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말기(250)는 반드시 제1 단말기(210)로부터 현재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50)는 외부 서버(미도시) 로부터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경우처럼, 제2 단말기(250)가 위치 기반으로 촬영 및 녹음 기능의 활성화를 결정한다면, 제2 단말기(250)는 별도의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90)는 제2 단말기(250)가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을 활성화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250)는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250)의 현재 위치을 파악하고, 제어부(290)는 제2 단말기(250)이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를 벗어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을 다시 활성화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추적기술은 기지국 지오펜싱 기술,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Energy, BLE), 와이파이 위치 측위 기술(WiFi Positioning System, WPS),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사운드 큐알(Sound QR, SQ),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및 적외선 기반 위치추적 기술(IR, infrar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설치된 장소에 따라 제2 단말기(250)의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출입문과 같이 모든 사람이 통과할 수밖에 없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50)의 촬영 및 녹음 기능 모두를 비활성화 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상기 장소에서 개최되는 회의 보안등급 또는 상기 장소에 보관된 문서의 보안등급을 고려하여 촬영 및 녹음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상기 장소와 관련된 보안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 이상인 경우는, 촬영 및 녹음 기능을 모두 비 활성화시키고, 보안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 미안인 경우는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해지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설치된 장소에 따라 제2 단말기(250)의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상기 장소와 관련된 보안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 이상인 경우는,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보안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 미안인 경우는 촬영 및 녹음 기능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리 설정된 등급은 적어도 하나의 등급을 포함하며, 상기 등급이 많아질수록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확성화 여부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의 보안등급과 관계없이 제2 단말기(250)의 촬영 및 녹음 기능을 모두 비활성화 시키거나 모두 비활성화 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단말기(250)가 차단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도, 제2 사용자 단말기(250)의 소지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지자의 신분을 입증함으로써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보안 시설(예를 들어, 국방부)에 설치되고 장성급 장교(General Officer) 이상은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기(250)의 소지자는 자신의 계급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증함으로써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50)는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의 각 단계들은 RTC(220, 270), 암호화 모듈(230, 280), 통신 모듈(240, 260) 및 제어부(290)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제2 단말기(250) 통제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에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반대로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에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말기(250) 통제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단말기(250) 통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그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1 단말기(210)의 RTC(220)는 현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S310].
RTC(220)는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RTC(220)는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때 마다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암호화 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획득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320].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하여 암호화 과정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모듈(230)은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말기(210)는 통신 모듈(240)을 통해 비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이 경우, 제1 단말기(210)는 비콘 데이터만을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하거나 비콘 데이터와 함께 동작모드 신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50)는 비콘 데이터와 제2 단말기(250)가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제2 단말기(250)는 통신 모듈(260)을 통해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한 비콘 데이터, 동작모드 신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S410].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는 RTC(270)를 통해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S420]. 이 경우, 단계 S410 및 단계 S420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는 암호화 모듈(280)을 통해 RTC(270)로부터 획득한 현재 시간 및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430]. 이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 단말기(210)와 공유하고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의 제어부(290)는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제2 단말기(250)를 제어할 수 있다 [S440].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제1 단말기(210)의 현재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90)는 제1 단말기(210)의 현재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인 경우,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세서 상기 동작모드는 제1 단말기(210)에 의해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즉, 동작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외부 서버(미도시) 로부터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단말기(25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50)가 위치 기반으로 촬영 및 녹음 기능의 활성화를 결정한다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별도의 동작모드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단말기(210)는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S510]. 다음으로, 제1 단말기(210)는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520]. 다음으로, 제1 단말기(210)는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S530].
이후, 제2 단말기(250)는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S540].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는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550].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는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S560]. 단계 S510 내지 S530은 단계 S310 내지 S330과 각각 대응되며, 단계 S540 내지 S560은 S410 내지 S440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단말기(250)의 기능 중 촬영 및 녹음 기능의 활성화를 결정함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활성화 여부의 결정 대상은 촬영 기능, 녹음 기능, 인터넷 기능, 전화 기능, 문자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210)의 관리자 및/또는 사용자 또는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의 관리자 등은 보안등급에 따라 제2 단말기(250)의 기능 중 어떤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지를 미리 결정하여 상기 결정과 대응되도록 제1 단말기(210)를 셋팅할 수 있고, 상기 셋팅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단말기(210)와 제2 단말기(250) 간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단말기(210, 250)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를 들어,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단말기 통제 시스템
110 : 제1 단말기
120 : 제2 단말기
210 : 제1 단말기
250 : 제2 단말기

Claims (10)

  1.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real rime clock) 모듈;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 모듈;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현재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현재 시간을 상기 제1 현재 시간으로 결정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차단모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모두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차단모드 요청은 NFC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비콘 데이터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활성화 정보를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는 상기 장소에서 개최되는 회의 또는 보관된 문서의 보안등급과 관련된 것인, 단말기 통제 시스템.
  9. 암호화를 통한 단말기 통제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에서,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촬영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통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현재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현재 시간을 상기 제1 현재 시간으로 결정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기 통제 방법.
KR1020220109247A 2022-08-30 2022-08-30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KR10256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247A KR102561784B1 (ko) 2022-08-30 2022-08-30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247A KR102561784B1 (ko) 2022-08-30 2022-08-30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784B1 true KR102561784B1 (ko) 2023-08-01

Family

ID=8756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247A KR102561784B1 (ko) 2022-08-30 2022-08-30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7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52A (ko) 2007-11-22 200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tc를 이용하는 암호시스템간 보안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89703A (ko) * 2013-01-07 2014-07-16 주식회사 안랩 모바일 데이터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15000613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에서 암호화 적용 방법 및 장치
KR20180051609A (ko) * 2015-12-09 2018-05-16 구글 엘엘씨 근접 기반 네트워크 보안
KR101909149B1 (ko) * 2018-02-14 2018-10-17 주식회사 커널로그 저전력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갖는 비콘 기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3190A (ko) * 2017-08-01 2019-02-11 권형석 이벤트 장소에서 휴대폰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52A (ko) 2007-11-22 200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tc를 이용하는 암호시스템간 보안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89703A (ko) * 2013-01-07 2014-07-16 주식회사 안랩 모바일 데이터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15000613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에서 암호화 적용 방법 및 장치
KR20180051609A (ko) * 2015-12-09 2018-05-16 구글 엘엘씨 근접 기반 네트워크 보안
KR20190013190A (ko) * 2017-08-01 2019-02-11 권형석 이벤트 장소에서 휴대폰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09149B1 (ko) * 2018-02-14 2018-10-17 주식회사 커널로그 저전력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갖는 비콘 기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594B2 (en) Mobile user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medium
US10419907B2 (en) Proximity application discovery and provisioning
CN106416317B (zh) 用于提供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US10650825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130217333A1 (en) Determining rewards based on proximity of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broadcasts
US11651642B2 (en) Release monitoring through check-in and tethering system
US97230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ate machine security device
JP2017514328A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モードおよびモード制御能力の自動切替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記憶媒体
CN106412906A (zh) 用于无线设备的隐私增强
US20130271280A1 (en) Mobile tracking identific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189643A1 (en) Proximity application discovery and provisioning
US102572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9742810B2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20120078313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장치
TW201537204A (zh) 追蹤裝置以及追蹤裝置控制方法
CN107079273B (zh) 在不建立持久连接的情况下的设备之间的通信
KR20160112487A (ko)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61784B1 (ko)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KR102299402B1 (ko) 비콘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KR102597073B1 (ko) 비콘 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위 내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방법 및 방법
CN110072280B (zh) 一种空间定位方法、系统及无线通信设备
US20210326665A1 (en) Two-dimensional barcode encryption method, two-dimensional barcode transmiss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553830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개인화된 모바일 게임 아이템 제공 방법
KR20170069556A (ko)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90081286A (ko)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