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556A -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556A
KR20170069556A KR1020150176906A KR20150176906A KR20170069556A KR 20170069556 A KR20170069556 A KR 20170069556A KR 1020150176906 A KR1020150176906 A KR 1020150176906A KR 20150176906 A KR20150176906 A KR 20150176906A KR 20170069556 A KR20170069556 A KR 2017006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endanc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erv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욱
김현철
조대제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성호
주식회사 디피시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성호, 주식회사 디피시정보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556A/ko
Publication of KR2017006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출석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어 동시체크, 대리출석 등과 같은 부정출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며, 출결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는 할 수 있는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UTOMATIC ATTENDANCE AND ABSENCE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A FOR MANAGING AUTOMATIC ATTENDANCE AND ABSENCE}
본 발명은 자동출결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이 관리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석체크는 강의 별로 수강자에 대한 출석을 확인하는 것으로, 미리 작성된 출석부의 이름을 호명하여 출석부에 출석상태를 기록하거나, 강의 종료 후 퇴실 전에 출석표시를 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출석체크가 이루어지게 되면, 별도로 출석체크를 위한 시간이 할당되어야 하므로 수업시간이 낭비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학기말에 출석부를 최종적으로 취합하여 전체적인 통계를 산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출석부를 과목별로 제작해야 함에 따라 소모품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FID 태그, 얼굴인식, 지문인식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전자출결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출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RFID 리더기, 지문인식기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들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출결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자출결시스템의 기능을 악용하여 신분증 및 사진을 이용한 부정출석 등을 관리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출석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어 동시체크, 대리출석 등과 같은 부정출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며, 출결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 확인되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를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청부는, 상기 로그인을 위해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제1 공개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생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및 학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확인부는, 상기 자동출결서버로부터 암호화된 학생정보와 제2 공개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학생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NFC 태그, 비콘(BLE Beacon), QR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여 상기 검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출석관리정보의 생성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요청하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 확인되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를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NFC 태그, 비콘(BLE Beacon), QR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여 상기 검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출석관리정보의 생성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가 음성정보인 경우,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요청하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자동출결서버는,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석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결관리부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응답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 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결관리부는, 상기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 별 사용자를 자동 카운트하여 산출되는 제1 개수와, 상기 출석체크를 요청한 단말장치의 제2 개수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자동출결서버의 동작방법은,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정보관리단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석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결관리단계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응답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결관리단계는, 상기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 별 사용자를 자동 카운트하여 산출되는 제1 개수와, 상기 출석체크를 요청한 단말장치의 제2 개수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따르면,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출석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어 동시체크, 대리출석 등과 같은 부정출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출결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통신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와 자동출결서버가 연동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방안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와 자동출결서버가 연동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방안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출결서버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통신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통신 환경은, 단말장치(100) 및 자동출결서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발신)하거나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시도되는 통화를 수신(착신)하는 등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유선 단말일 수도 있고 무선 단말일 수도 있다.
물론, 단말장치(100)는,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 외에도, 메시지(예: SMS, MMS 등)를 발/착신하는 등의 메시지 서비스와,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정보 검색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및 노트북 등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정보 검색 등의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출결서버(200)는,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특정장소 내 위치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관리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단말장치(100) 만이 자동으로 출석체크 되도록 제어하여 부정출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특정장소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소정의 목적(예: 교육, 강의 등)을 위해 진입하여 출석체크가 이루어지는 장소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는,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한 후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한해 자동으로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이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비콘(BLE Beacon),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은 특정장소 내에 특정위치(예: 책상, 의자, 벽 등)에 설치되게 된다.
이에, 자동출결서버(200)는,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으로부터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부터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출결서버(200)는,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정확하게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요청부(110),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확인부(120), 및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 확인되는 인증관련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예: 사용자 이름, 학번, 전화번호, 수강과목, 강의실 등)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요청부(110), 정보확인부(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100)의 전체 구성이 애플리케이션(이하, 출결관리앱)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장치(100) 내에 설치된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결국,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와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더라도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된 이후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가 정확하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기만 한다면 자동으로 출석체크를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요청부(11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청부(110)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자동출결서버(200)로 로그인을 요청한다.
즉, 요청부(110)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된 경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등록될 수도 있으며, 가입과정에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그인을 수행하기 이전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게 된다.
이러한,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얼굴이미지, 홍채, 지문 등과 같이 사용자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장치(100)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되면서 한 번의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에는 수강체크를 요청할 때마다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인식 및 검증한 결과에 따라 출석체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그인이 수행되기 이전 단계에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출석체크를 위한 로그인 과정을 매번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만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출석체크를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면, 요청부(110)는, 로그인 요청을 위해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제1 공개키(CPubkey)를 포함하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요청부(110)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로그인을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공개키(CPubkey)는, 단말장치(100)의 공개키이다.
정보확인부(12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120)는,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로그인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로그인승인메시지에 포함되는 학생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로그인승인메시지는 암호화된 학생정보 및 제2 공개키(SPubKey)를 포함하며, 학생정보에는, 단말장치(100)와 관련되는 사용자의 이름 및 학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개키(SPubKey)는, 자동출결서버(200)의 공개키이다.
이에, 정보확인부(120)는, 제2 공개키(SPub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는 학생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면,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가 요청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가 요청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전술에 따라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했을 때, 검증이 성공한 경우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130)는,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비콘(BLE Beacon),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단순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확인하여 출석체크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특정장소에 인접한 위치(예: 복도)에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더라도 동일한 GPS 허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어 부정출석이 가능했던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출석체크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부터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정확하게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하게 될 것이다.
물론,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보다 강력한 부정출석 방지를 위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단위로 갱신되는 QR 코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130)는,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인증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장소 내에 설치된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특정장소 내 설치된 NFC 태그의 식별자(ID) 및 비콘(BLE Beacon)의 식별자(ID)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30)는,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 단말장치(100)의 식별자(이하, 단말식별자)(예: IP 주소)를 포함하는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를 요청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증관련정보가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130)는, 인증관련정보가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이하, 단말위치관련정보)를 전송할 것을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으로 요청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단말위치관련정보와 특정장소의 위치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30)는, 단말위치관련정보와 특정장소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특정장소 인근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30)는, 특정장소 내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QR 코드/비밀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특정장소 내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30)는,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단말위치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전술과 같이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대리출석을 방지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0)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자동출결서버(200)로 요청하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자동출결서버(200)로 특정음성질의의 음성이 기 등록된 음성과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자동출결서버(200)에서 다루기로 한다.
전술과 같이 출석체크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요청한 이후 출석완료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출석체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가 입력되어 출결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조회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 상태정보, 출결통계 등을 포함하는 출결조회응답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상, 단말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서버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서버(200)는,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정보관리부(210), 단말장치(100)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부(220), 및 단말장치(100)로부터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출석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동출결서버(200)는,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예: 사용자 별 출석체크 상태정보, 출결통계, 강의실정보 등)를 저장하는 저장부(2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저장부(24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사용자등록정보와, 인증관리부(220)에서 관리되고 있는 특정장소 내 NFC 태그의 식별자(ID), 비콘(BLE Beacon)의 식별자(ID)와, 소정의 시간 단위로 갱신되는 QR 코드 및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등록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사용자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일 수 있으며, 학생정보(이름, 학번 등) 이외에도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정보관리부(210), 인증관리부(220), 출결관리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하는 자동출결서버(2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서버(2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와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더라도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자동출결서버(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관리부(210)는,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로그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로그인요청메시지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및 제1 공개키(CPubkey)를 검출한다.
이후, 정보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로그인승인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정보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제1 공개키(CPubkey)를 이용하여 제1 비밀키를 생성한다. 이후, 정보관리부(210)는, 제1 비밀키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한다. 이어서, 정보관리부(210)는, 암호화된 학생정보와 제2 공개키(SPub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승인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정보관리부(210)는, 로그인승인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로그인이 승인되었음을 알린다.
인증관리부(2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관리부(220)는, 특정장소 내에 설치된 NFC 태그의 식별자(ID) 및 비콘(BLE Beacon)의 식별자(ID)를 미리 저장하고, 단말장치(100)의 요청 시 이를 전송한다.
또한, 인증관리부(220)는,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출력부(예: 스크린) 상에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QR 코드 및 비밀번호의 생성을 관리한다.
한편, 인증관리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즉, 출석관리정보에는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가 포함되므로, 인증관리부(220)는, 출석관리정보로부터 검출된 인증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출석관리정보로부터 검출된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및 학생정보와 기 등록된 사용자등록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서, 사용자등록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사용자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일 수 있으며, 학생정보(이름, 학번 등) 이외에도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비교한 결과 어느 하나라도 불일치 하는 경우에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인증관리부(22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인증이 실패했음을 단말장치(100)로 알린다.
만일, 비교한 결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관리부(22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했음을 출결관리부(230)로 알린다.
출결관리부(23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결관리부(23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인 경우, 출석관리정보의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를 검출한다.
즉, 출결관리부(230)는, 학생정보와 매칭되는 시간 별 수강과목정보를 확인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를 검출하고,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출석체크완료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출결관리부(230)는, 출석완료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수강해야 하는 다수의 수강과목정보가 존재하더라도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가 자동으로 확인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출석체크 해야 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출결관리부(230)는, 출석체크를 수행하기 이전에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출결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응답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출석체크를 수행하기로 결정한 경우 전술한 과정에 따라 출석체크를 수행하여 출석완료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만일, 출석체크의 수행완료 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조회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 상태정보, 출결통계 등을 포함하는 출결조회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장소 내 배치된 의자에 장착되는 센서(예: smart chair with sensor)를 통해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 별 사용자를 자동 카운트하여 산출되는 제1 개수와 출석체크를 요청한 단말장치의 제2 개수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출석체크가 재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출결관리부(230)는, 제1 개수와 제2 개수의 차이값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부정으로 출석체크를 수행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출석체크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부정출석확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한편, 출결관리부(230)는, 출석체크 완료 후 퇴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단위로 인증관련정보가 입력되도록 제어하여 소정의 시간 단위로 출석체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단말장치와 자동출결서버가 연동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방안 및 제2 방안에 대한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자동출결서버가 연동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방안에 대한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1 방안은,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부터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자동출결서버(200)로 로그인을 요청한다(S100, S101).
즉, 단말장치(100)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된 경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등록될 수도 있으며, 가입과정에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그인을 수행하기 이전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게 된다.
이러한,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얼굴이미지, 홍채, 지문 등과 같이 사용자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장치(100)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되면서 한 번의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에는 수강체크를 요청할 때마다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인식 및 검증한 결과에 따라 출석체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그인이 수행되기 이전 단계에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출석체크를 위한 로그인 과정을 매번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만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출석체크를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면, 단말장치(100)는, 로그인 요청을 위해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제1 공개키(CPubkey)를 포함하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S102). 이후, 단말장치(100)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로그인을 요청하게 된다(S103). 여기서, 제1 공개키(CPubkey)는, 단말장치(100)의 공개키이다.
자동출결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04, S105).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출결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로그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로그인요청메시지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및 제1 공개키(CPubkey)를 검출한다.
이후, 자동출결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로그인승인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자동출결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제1 공개키(CPubkey)를 이용하여 제1 비밀키를 생성한다. 이후, 자동출결서버(200)는, 제1 비밀키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한다. 이어서, 자동출결서버(200)는, 암호화된 학생정보와 제2 공개키(SPub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승인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자동출결서버(200)는, 로그인승인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로그인이 승인되었음을 알린다.
이처럼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06).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로그인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로그인승인메시지에 포함되는 학생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로그인승인메시지는 암호화된 학생정보 및 제2 공개키(SPubKey)를 포함하며, 학생정보에는, 단말장치(100)와 관련되는 사용자의 이름 및 학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개키(SPubKey)는, 자동출결서버(200)의 공개키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2 공개키(SPub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는 학생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면,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07-S11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가 요청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가 요청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전술에 따라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했을 때, 검증이 성공한 경우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100)는,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비콘(BLE Beacon),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단순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확인하여 출석체크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특정장소에 인접한 위치(예: 복도)에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더라도 동일한 GPS 허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어 부정출석이 가능했던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출석체크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부터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100)는,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인증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장소 내에 설치된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특정장소 내 설치된 NFC 태그의 식별자(ID) 및 비콘(BLE Beacon)의 식별자(ID)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 단말식별자(예: IP 주소)를 포함하는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말장치(100)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를 요청하게 된다.
이처럼 단말장치(100)로부터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면,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S111).
즉, 출석관리정보에는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가 포함되므로,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로부터 검출된 인증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출석관리정보로부터 검출된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및 학생정보와 기 등록된 사용자등록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서, 사용자등록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사용자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일 수 있으며, 학생정보(이름, 학번 등) 이외에도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비교한 결과 어느 하나라도 불일치 하는 경우에는,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인증이 실패했음을 단말장치(100)로 알린다.
만일, 비교한 결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는,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했음을 출결관리부(230)로 알린다.
한편,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12).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인 경우, 출석관리정보의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를 검출한다.
즉, 자동출결서버(200)는, 학생정보와 매칭되는 시간 별 수강과목정보를 확인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이처럼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리출석을 방지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S113-S115).
즉, 단말장치(100)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자동출결서버(200)로 요청하게 되며, 자동출결서버(200)는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자동출결서버(200)로 응답을 전송하게 된다.
전술에 따라 대리출석을 방지하는 과정의 수행이 완료되어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확인결과가 정답인 경우, 자동출결서버(200)는, 출석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여 출석완료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S116, S117).
전술과 같이 출석완료메시지가 수신되어 출석체크가 완료된 이후,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가 입력되어 출결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조회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한다(S118, S119).
자동출결서버(200)는, 출결조회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 상태정보, 출결통계 등을 포함하는 출결조회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S120, S121).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자동출결서버가 연동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방안에 대한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2 방안은, 인증관련정보가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를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정확하게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하여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방안의 경우 전술한 제1 방안과 동일한 동작 흐름을 유지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승인되어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200-206).
한편,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했을 때 성공인 경우,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수집되면,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207-S212).
즉, 단말장치(100)는, 인증관련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수집되면, 인증관련정보,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비콘(BLE Beacon),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증관련정보가 QR 코드 및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이하, 단말위치관련정보)를 전송할 것을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으로 요청한다. 이어서, 단말장치(100)는, 단말위치관련정보와 특정장소의 위치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검출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단말위치관련정보와 특정장소의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특정장소 인근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특정장소 내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QR 코드/비밀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특정장소 내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단말위치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말장치(100)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를 요청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한 이후의 동작 흐름은 제1 방안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결국,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정확하게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한 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와 자동출결서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부(11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청부(110)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자동출결서버(200)로 로그인을 요청한다(S300, 310).
즉, 요청부(110)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된 경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등록될 수도 있으며, 가입과정에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그인을 수행하기 이전 단계에서 미리 등록되게 된다.
이러한,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얼굴이미지, 홍채, 지문 등과 같이 사용자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단말장치(100)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결관리앱이 활성화되면서 한 번의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에는 수강체크를 요청할 때마다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인식 및 검증한 결과에 따라 출석체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그인이 수행되기 이전 단계에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출석체크를 위한 로그인 과정을 매번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만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출석체크를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면, 요청부(110)는, 로그인 요청을 위해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제1 공개키(CPubkey)를 포함하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S320). 이후, 요청부(110)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로그인을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공개키(CPubkey)는, 단말장치(100)의 공개키이다.
전술에 따라 로그인요청메시지에 응답으로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정보확인부(12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330, S340).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120)는, 자동출결서버(200)로부터 로그인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로그인승인메시지에 포함되는 학생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로그인승인메시지는 암호화된 학생정보 및 제2 공개키(SPubKey)를 포함하며, 학생정보에는, 단말장치(100)와 관련되는 사용자의 이름 및 학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개키(SPubKey)는, 자동출결서버(200)의 공개키이다.
이에, 정보확인부(120)는, 제2 공개키(SPub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는 학생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면,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350, S36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가 요청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가 요청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전술에 따라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했을 때, 검증이 성공한 경우 자동출결서버(200)로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130)는,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비콘(BLE Beacon),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단순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확인하여 출석체크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특정장소에 인접한 위치(예: 복도)에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더라도 동일한 GPS 허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어 부정출석이 가능했던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정장소 내에서만 확인될 수 있는 인증관련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출석체크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단말장치(100)로부터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정확하게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인증하게 될 것이다.
물론, 단말장치(100)가 NFC 기술 및 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보다 강력한 부정출석 방지를 위해 특정장소 내에서 소정의 단위로 갱신되는 QR 코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130)는, 인증관련정보가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인증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장소 내에 설치된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특정장소 내 설치된 NFC 태그의 식별자(ID) 및 비콘(BLE Beacon)의 식별자(ID)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30)는, NFC 태그 및 비콘(BLE Beaco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자(예: IP 주소)를 포함하는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를 요청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증관련정보가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130)는, 인증관련정보가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이하, 단말위치관련정보)를 전송할 것을 위치확인시스템(예: GPS, AP, 기지국 등)으로 요청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단말위치관련정보와 특정장소의 위치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30)는, 단말위치관련정보와 특정장소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특정장소 인근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30)는, 특정장소 내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QR 코드/비밀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장소 내 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특정장소 내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30)는, QR 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단말위치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출석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출석관리정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전술과 같이 출석체크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대리출석을 방지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S380).
즉, 제어부(130)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자동출결서버(200)로 요청하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자동출결서버(200)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출석체크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요청한 이후 출석완료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출석체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390, S395).
이때,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가 입력되어 출결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조회요청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자동출결서버(200)로 전송하여 출결조회를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결서버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부(210)는,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400, S410).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로그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로그인요청메시지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및 제1 공개키(CPubkey)를 검출한다.
이후, 정보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로그인승인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정보관리부(21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동출결관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제1 공개키(CPubkey)를 이용하여 제1 비밀키를 생성한다. 이후, 정보관리부(210)는, 제1 비밀키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한다. 이어서, 정보관리부(210)는, 암호화된 학생정보와 제2 공개키(SPub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승인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정보관리부(210)는, 로그인승인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로그인이 승인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인증관리부(2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420).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관리부(220)는, 특정장소 내에 설치된 NFC 태그의 식별자(ID) 및 비콘(BLE Beacon)의 식별자(ID)가 미리 저장하고, 단말장치(100)의 요청 시 이를 전송한다.
또한, 인증관리부(220)는, 특정장소 내에 위치하는 출력부(예: 스크린) 상에 소정의 시간 단위로 QR 코드 및 비밀번호가 갱신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QR 코드 및 비밀번호의 생성을 관리한다.
한편, 인증관리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인증관련정보 및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S430, S440).
즉, 출석관리정보에는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학생정보, 인증관련정보가 포함되므로, 인증관리부(220)는, 출석관리정보로부터 검출된 인증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출석관리정보로부터 검출된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및 학생정보와 기 등록된 사용자등록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서, 사용자등록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최초 자동출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사용자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일 수 있으며, 학생정보(이름, 학번 등) 이외에도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자(예: IP 주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비교한 결과 어느 하나라도 불일치 하는 경우에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인증관리부(22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인증이 실패했음을 단말장치(100)로 알린다.
만일, 비교한 결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관리부(22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했음을 출결관리부(230)로 알린다.
한편, 출결관리부(230)는, 출석체크를 수행하기 이전에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출결관리부(230)는, 출석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할 것을 요청 받게 된다.
이에,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460).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을 단말장치(100)로 입력하는 경우, 출결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한다(S470).
이때,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은, 음성 및 문자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확인결과가 정답인 경우, 출결관리부(23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480-S495).
보다 구체적으로, 출결관리부(230)는, 출석관리정보에 대한 검증이 성공인 경우, 출석관리정보의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를 검출한다.
즉, 출결관리부(230)는, 학생정보와 매칭되는 시간 별 수강과목정보를 확인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를 검출하고,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출석체크완료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출결관리부(230)는, 출석완료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수강해야 하는 다수의 수강과목정보가 존재하더라도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가 자동으로 확인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출석체크 해야 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만일, 출석체크의 수행완료 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학번 및 특정수강과목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조회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 상태정보, 출결통계 등을 포함하는 출결조회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출결관리부(230)는, 특정장소 내 배치된 의자에 장착되는 센서(예: smart chair with sensor)를 통해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 별 사용자를 자동 카운트하여 산출되는 제1 개수와 출석체크를 요청한 단말장치의 제2 개수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출결관리부(230)는, 제1 개수와 제2 개수의 차이값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부정으로 출석체크를 수행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출석체크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부정출석확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자동출결서버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출석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어 동시체크, 대리출석 등과 같은 부정출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며, 출결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따르면, 출결관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예: RFID 리더, 지문인식기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출석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어 동시체크, 대리출석 등과 같은 부정출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출결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요청부 120: 정보확인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200: 자동출결서버
210: 정보관리부 220: 인증관리부
230: 출결관리부 240: 저장부

Claims (13)

  1.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 확인되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를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상기 로그인을 위해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제1 공개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요청메시지를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및 학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확인부는,
    상기 자동출결서버로부터 암호화된 학생정보와 제2 공개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그인승인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학생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NFC 태그, 비콘(BLE Beacon), QR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여 상기 검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출석관리정보의 생성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요청하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자동출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한 검증 후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특정공간 내에서 확인되는 인증관련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를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전송하여 출석체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NFC 태그, 비콘(BLE Beacon), QR코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정보가 일치하여 상기 검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출석관리정보의 생성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요청하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출결서버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8.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석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출결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부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응답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 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출결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부는,
    상기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 별 사용자를 자동 카운트하여 산출되는 제1 개수와, 상기 출석체크를 요청한 단말장치의 제2 개수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출결서버.
  11.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학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정보관리단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출석체크를 위한 인증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인증관련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출석관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석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점에서 출석체크 되어야 하는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출결관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출결서버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단계는,
    대리출석체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정음성질의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음성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응답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수강과목정보에 대한 출석체크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출결서버의 동작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관리단계는,
    상기 특정공간 내 위치하는 단말장치 별 사용자를 자동 카운트하여 산출되는 제1 개수와, 상기 출석체크를 요청한 단말장치의 제2 개수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재 출석체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출결서버의 동작방법.
KR1020150176906A 2015-12-11 2015-12-11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69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06A KR20170069556A (ko) 2015-12-11 2015-12-11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06A KR20170069556A (ko) 2015-12-11 2015-12-11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56A true KR20170069556A (ko) 2017-06-21

Family

ID=5928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906A KR20170069556A (ko) 2015-12-11 2015-12-11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5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40A1 (ko) * 2017-11-17 2019-05-23 주식회사 체크시스 출결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399551B1 (ko) * 2021-09-23 2022-05-18 (주)지투아이넷 비대면 점호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관리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40A1 (ko) * 2017-11-17 2019-05-23 주식회사 체크시스 출결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399551B1 (ko) * 2021-09-23 2022-05-18 (주)지투아이넷 비대면 점호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관리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4260B1 (en) Augmented reality security access
US20190205510A1 (en) Online account access control by mobile device
CN107113315B (zh) 一种身份认证方法、终端及服务器
US9325683B2 (en) Mobile application management framework
JP2018532301A (ja) 本人認証方法及び装置
WO2019129037A1 (zh) 设备认证方法、空中写卡方法及设备认证装置
US20160241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dential Management
US969965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henticating and controlling access over customer data
US9294474B1 (en) Verification based on input comprising captured images, captured audio and tracked eye movement
TW201516914A (zh) 一種安全支付方法及相關設備、系統
TW201424326A (zh) 基於位置認證的方法和用戶裝置
CN109002875B (zh) 二维码加密方法、二维码传输系统及存储介质
CN108597066B (zh) 一种访客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124868A (ko) 개인정보 유출과 스미싱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이중 인증 방법
US8990887B2 (en) Secure mechanisms to enable mobile device communication with a security panel
CN109964499B (zh) 用于存在识别的方法、设备和系统
JP2022535763A (ja) モバイル機器の位置関連アクティビティを報告および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64373A (ko) 순차적 무선 인증을 통한 스마트기기의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방법
KR101891781B1 (ko) Mac 주소 확인에 기초한 근태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008096B2 (en) Secure authentication
KR20170069556A (ko) 자동출결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자동으로 출결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6251961A (ja) 生体認証機能を有する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の生体認証不可能時の救済方法
KR20190045486A (ko) 분산형 출퇴근 이력 관리 방법
KR101692161B1 (ko) 비콘 발신기와 일회성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20150135171A (ko) 고객 전화번호 입력에 기초한 로그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