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598B1 -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598B1
KR102561598B1 KR1020210004033A KR20210004033A KR102561598B1 KR 102561598 B1 KR102561598 B1 KR 102561598B1 KR 1020210004033 A KR1020210004033 A KR 1020210004033A KR 20210004033 A KR20210004033 A KR 20210004033A KR 102561598 B1 KR102561598 B1 KR 10256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thermometer
cradle
ot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935A (ko
Inventor
곽광순
박순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티솔루션
곽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티솔루션, 곽광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0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8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for use in total air temperature [TAT]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크래들 본체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의 OTG 단자와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모듈부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고,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온도계 회로모듈부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될 부분에 마련되는 스마트폰 안착부; 및 상기 스마트폰 안착부와 협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썹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와, 상기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SMARTPHONE CRADLE THERMOMETERS AND HACCP MANAGING SYSTEM INCLUDING THE SMARTPHONE CRADLE THERMOMETER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소지 및 조작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일체화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배경이 되는 기술을 기재하지만 후술하는 배경 기술 중 일부는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검토하였지만 공개 내지 공연실시에까지는 이르지 아니한 기술을 포함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해썹(HACCP)은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의 영문 약자로 통상적으로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을 일컫는다. 해썹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식품 안전 관리 체계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연합, 국제기구(Codex, WHO, FAO) 등에서도 모든 식품에 해썹를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해썹 제도는 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인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사전에 위해요인의 발생여건들을 차단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규정으로,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 조리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관리점을 결정하여 자율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학교 급식 등 다수의 최종소비자가 섭취하는 식품의 경우 식중독 발생의 예방 등을 위해 더욱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해썹의 기준에 따라 식자재 검수, 조리 과정에서의 온도, 조리 후 배식까지의 시간 및 배식 시 온도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온도계는 필수이다.
예를 들어 학교 급식 시스템에서 해썹 기준에 따른 식자재 검수, 조리 과정에서의 온도, 조리 후 배식까지의 시간 및 배식 시 온도 등을 관리하는 온도계로는 접촉식/비접촉식 온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온도를 수기로 작성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온도계로 측정한 온도를 수기로 작성하는 것은 그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해썹 제도의 근본 취지에 맞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온도계에 블루투스나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온도계에서 측정된 온도를 근거리 통신으로 태블릿 PC또는 스마트에 무선 전송하여,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과 온도계가 연동하여 측정된 각종 온도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근본적으로 조리원 1명이 온도계와 별도로 테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조작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는 특히 식재료나 주방 기구 등이 복잡하게 늘어서 있고 화염과 물이 혼재해 있는 주방 환경 하에서는 사용자에게 매우 큰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접속 포트, 예를 들어 USB 포트를 이용하여 온도계와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방안도 고려된 바 있지만, 여전히 사용자가 2개의 단말기를 별도로 소지하고 조작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해소되지 않았고, 2개의 단말기를 각각 별도로 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도 해소되지 않았다.
또한, 온도계에 당일 온도 측정 음식 메뉴를 미리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검색, 온도 측정 및 저장, 온도 데이터 무선 전송하는 기기도 고려된 바 있으나 저장해둔 온도 측정 대상 식자재 및 음식 메뉴 검색에 있어 조작이 불편하고, 측정한 온도, 시간 및 데이터 측정 결과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해썹 시스템의 중요관리점(CCP: Critical Control Point)의 관리 결과가 부정확하며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없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 온도계와 관련하여 공개된 특허문헌 중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274호(특허문헌 1)의 스마트 접촉식 디지털 온도계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디지털 온도계와 휴대단말(예;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및/또는 서버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측정 대상자에 대한 체온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위험 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과 디지털 온도계가 각각 별도로 소지 및 조작되어야 하고 각각 별도로 충전되어야 하는 등 해썹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개선점을 포함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274호(2019.03.0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Internet of Things; IoT(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스마트 온도계만으로 Critical Control Point:CCP (중요관리점)의 CCP 데이터를 측정, 무선 전송, 저장, 조회 및 자동 기록함으로써,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간편하게 해썹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일체화되어 소지 및 조작이 간편하고, 손쉽게 충전 및 작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크래들 본체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의 OTG 단자와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모듈부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고,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온도계 회로모듈부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될 부분에 마련되는 스마트폰 안착부; 및 상기 스마트폰 안착부와 협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상기 크래들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OTG를 충전모드와 OTG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부는, 회로모듈 삽입공간부가 위치하는 크래들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홀과; 상기 슬라이드 장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스위칭 노브; 및 상기 스위칭 노브의 내측에 결합된 스위치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OTG를 상기 충전모드와 상기 OTG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모듈은 접촉식 온도계 및 비접촉식 온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온도계 또는 상기 비접촉식 온도계로 측정된 온도 측정값을 USB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온도계는 프로브의 내부에 극세코일 전선으로 둘러 쌓인 세라믹 또는 유리 코어로 이루어진 저항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온도계는 적외선 온도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본체는, 본체 바닥부와; 상기 접속모듈부가 배치될 수 있는 접속모듈부 삽입공간부와; 상기 온도계 회로모듈부가 배치될 수 있는 회로모듈 삽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바닥부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렌즈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커버는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하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썹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와, 상기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일체화 되어 하나의 스마트 온도계로 작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소지 및 조작이 간편한 스마트 온도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없이 스마트폰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제공할 수 있어, 손쉽게 충전 및 작동이 가능한 스마트 온도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OTG 단자를 충전모드와 OTG 모드를 쉽게 전환할 수 있어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일체화 되어 하나의 스마트 온도계로 이용할 수 있는 해썹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 크래들 본체에 접속 모듈부와 온도계 회로모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 스위칭 모듈부의 스위칭 노브가 ON/OFF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 크래들 본체에 접속 모듈부와 온도계 회로모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크래들 본체(100), 접속 모듈부(200), 스위칭 모듈부(300), 온도계 회로모듈부(400), 스마트폰 안착부(500) 및 스마트폰 커버(6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접속 모듈부(200), 스위칭 모듈부(300) 및 온도계 회로모듈부(400)는 크래들 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스마트폰 안착부(500)는 크래들 본체(100)에 스마트폰(SP)이 거치될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스마트폰 안착부(500)의 형상 및 치수 등은 스마트폰(SP)이 안착할 수 있도록 설정되면 충분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폰 커버(600)는 스마트폰 안착부(500)와 협동하여 스마트폰(SP)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폰 커버(600)의 형상, 위치나 크기 등은 스마트폰 안착부(500)와 협동하여 스마트폰(S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정되면 충분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모듈부(200)는 스마트폰(SP)의 OTG 단자(GT)가 접속되는 모듈로, 스마트폰(SP)의 OTG 단자(GT)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예를 들어 크래들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OTG는 On-the-go의 약자로, 주 컴퓨터의 개입 없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나 MP3 플레이어,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포터블 장치들 간에서도 동작될 수 있도록 수정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규격이다. 주변 기기들 간의 점 대 점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 장치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호스트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HNP(HostNegotiationProtocol)와 장치들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대방 기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연결을 유지하는 SRP(Session Request Protocol) 등 두 가지 프로토콜이 기존의 USB 2.0 표준에 추가되었다. 전송 속도는LS(lowspeed)모드(1.5Mbps), FS(fullspeed)모드(12Mbps)로만 사용되며, HS(highspeed)모드(480Mbps)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케이블과 커넥터는 마이크로 B 타입의 경우 호스트 또는 슬레이브를 선택하는 ID핀이 추가되어 5핀이고, USB TYPE-C 커넥터의 경우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이용 호스트 또는 슬레이브를 선택하며, USB규격을 담당하는USB-IF(USBImplementersForum)에 의해 2003년 7월 최종 표준안이 발표되었다.
스마트폰(SP)의 OTG 단자(GT)는 USB 단자와 같이 충전단자(CT)와 단일의 부재로 일체화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도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접속 모듈부(200)는 스마트폰(SP)의 OTG 단자(GT)에 대응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모듈부(200)의 접속부재가 스마트폰(SP)의 OTG 단자(GT)에 접속되면,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스마트폰과 온도계를 일체화한 스마트 온도계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OTG 단자에 온도계의 OTG 접속부재를 접속시키는 것만으로는 온도계가 온전히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스마트폰의 OTG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자체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정된 충전모드와, OTG 단자에 연결된 외부 기기(온도계)에 스마트폰의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OGT 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가지고, 이 두 가지 모드가 택일적으로 작동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
달리 말하면, 스마트폰의 OTG 단자에 외부단자의 OTG 접속부재를 접속시킨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의 OTG 단자가 전술한 충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온도계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어 온전히 작동하지 않는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온도계를 일체화한 스마트 온도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OTG를 전술한 충전모드와 OTG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모드 전환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모드 전환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크래들 본체(100)는 평판형태를 갖는 본체 바닥부(110)에 접속 모듈부 삽입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접속 모듈부(200)가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접속모듈 삽입 공간부(120)의 바깥쪽에 접속모듈 보호커버(130)가 위치하고 있다. 접속모듈 보호커버(130)는 본체 바닥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 바닥부(110)에는 회로모듈 삽입공간부(140)가 구비되어 온도계 회로모듈부(400)가 삽입, 고정될 수 있고, 회로모듈 삽입공간부(14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스마트폰(SP)의 렌즈가 노출될 수 있는 렌즈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OTG를 충전모드와 OTG 모드를 전환할 수 있어야 필요하므로, 접속 모듈부(200)에는 스위칭 모듈부(300)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모듈부(300)는 스마트폰의 OTG를 충전모드와 OTG 모드 사이에서 전환한다. 스위칭 모듈부(300)는 회로모듈 삽입공간부(140)가 위치되는 크래들 본체(100)의 측벽에 슬라이드 장홀(310)이 구비되어 있고, 슬라이드 장홀(310)에 스위칭 노브(3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스위칭 노브(320)의 내측에 스위치 단자부(33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 단자부(330)는 슬라이드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모듈부(300)의 작동에 의해 접속 모듈부(200)에 접속된 OTG 단자(GT)가 충전모드 또는 OTG 모드로 전환된다. 충전모드에서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접속된 스마트폰(SP)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OTG 모드에서는 스마트폰(SP)으로부터의 전력이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공급되고 스마트폰(SP)과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USB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크래들 본체(100)에 내장된 온도계 회로모듈부(400)는 온도감지모듈(460)를 구비하여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계 회로모듈부(400)는 회로 기판(410)에 마련된 접촉식 온도계 회로부(420) 및 비접촉식 온도계 회로부(430)를 구비하고,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과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하여 접촉식 온도 측정값 또는 비접촉식 온도 측정값이 USB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온도계 회로부(430)에 접속되는 온도감지모듈(460)은 접촉식 온도계(461)와 비접촉식 온도계(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식 온도계(461)는 예를 들어 프로브의 내부에 긴 극세코일 전선으로 둘러 쌓인 세라믹 또는 유리 코어로 이루어진 PT 1000Ω을 갖는 저항온도센서로 구성되어, 접촉식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비접촉식 온도계(462)는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어 비접촉식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접촉식 온도계(461)와 비접촉식 온도계(462)를 포함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에 따라 적합한 방식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회로 기판(410)에는 별도로 바코더 회로부(440)와 접속된 바코드 리더기(441)가 접속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441)를 포함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바코드에 저정된 정보, 예를 들면 식자재의 명칭, 제조사, 제조일시 등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취득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레이저 포인터(LP)가 접속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LP)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접촉식 온도계(462)로 측정하는 부위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안착부(500)는 크래들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 안착부(500)는 평판형태를 갖는 안착 몸체(510)와, 접속모듈부(200)를 덮는 접속모듈 보호커버부(520)와, 온도계 회로모듈(400)과 온도감지 모듈(4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모듈 보호커버부(53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커버(600)는 스마트폰 안착부(500)에 안착된 스마트폰(SP)의 상부 및/또는 하부를 덮고 스마트폰 안착부(500)와 협동하여 스마트폰(SP)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 커버(600)는 스마트폰(SP)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600a)와 하부를 덮는 하부 커버(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모듈부(300)의 작동에 의해 접속 모듈부(200)에 접속된 OTG 단자(GT)가 충전모드 또는 OTG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 스위칭 모듈부의 스위칭 노브가 ON/OFF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 스위칭 노브(320)는 크래들 본체(100)의 측벽에 구비된 슬라이드 장홀(31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노브(320)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단자부(330)가 OFF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충전기 전원이 차단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노브(320)가 장홀(31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단자부(330)가 ON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충전기 전원이 인가되어 스마트폰이 충전될 수 있게 된다.
스위치 단자부(330)의 구성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를 도시한 블록도인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접속 모듈부(300)에 스마트폰(SP)의 충전단자(CT)가 접속된 상태에서 스위치 단자부(330)가 정방향으로 이동(도 4a의 상태)되면 스마트폰(SP)으로 인가되는 충전기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OTG 설정핀에 의하여 OTG 모드가 활성화됨으로써, 스마트폰(SP)의 전원이 온도계 회로모듈부(400)로 인가된다.
이때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스마트폰(SP)과 USB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과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하여 온도계 회로모듈부(400)의 접촉식 온도계 회로부(420)와 비접촉식 온도계 회로부(430)를 통해 측정값이 전송된다.
한편, 스위치 단자부(330)가 역방향으로 이동(도 4b의 상태)되면 OTG 설정핀에 의하여 OTG 모드가 비활성화됨으로써, 충전모드로 변경되어 스마트폰(SP)은 충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온도계 회로모듈부(400)의 회로 구성에 따라서는 스마트폰(SP)이 아닌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직접 구동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스마트폰(SP)을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의 구동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SP)의 충전과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의 구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SP)의 OTG가 충전모드이기 때문에, 스마트폰(SP)과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간의 USB 통신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나, 측정대상물의 온도 측정이 시급한 경우에는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스위칭 노브(320)를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딩시켜 스위치 단자부(330)를 수동으로 정,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식 스위칭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도6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스위치 단자부(330)는 마그네틱 릴레이부(MR)로 구비된 자동식 구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마그네틱 릴레이부(MR)는 충전기 전원 또는 OTG 모드핀 감지회로를 통해 자동으로 전술한 도 5의 스위치 단자부(330)와 동일한 기능 및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스마트폰(SP)의 전원과 온도계 전원이 접속되어 있고, OTG 설정핀이 OTG 모드 설정과 접속된 상태, 즉 OTG 모드에서의 스위치 접속 상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충전모드에서는 스위치 접속 상태가 반대로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는 스마트폰(SP)과 일체화되어 하나의 스마트 온도계로 이용할 수 있고, 이를 적용하여 해썹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스마트 온도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해썹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앱 기능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활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온도계로 측정된 온도 및 측정 시각은 물론이고, 측정 대상물인 식자재의 사진, 생산지, 가격, 생산 시간, 구매 시간, 보관 시간 등의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가 쉽게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대상물의 조리법, 관리법, 측정 대상물과 관련된 다른 식자재에 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쉽게 취득하고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썹 시스템은 도시되지 아니한 다른 장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냉동고 및/또는 냉장고 등의 온도를 감지하는 거치형 온도 모니터링 장비, 스마트 온도계 및/또는 거치형 온도 모니터링 장비 등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는 DB 서버, DB 서버로부터 데이터 등을 전송받고 경보 등을 발령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크래들 본체 110:본체 바닥부
120:접속모듈부 삽입공간부 130:접속모듈 보호커버
140:회로모듈 삽입공간부 150:렌즈홀
200:접속 모듈부 300:스위칭 모듈부
310:슬라이드 장홀 320:스위칭 노브
330:스위치 단자부 400:온도계 회로모듈부
410:회로 기판 420:접촉식 온도계 회로부
430:비접촉식 온도계 회로부 460:온도감지모듈
500:스마트폰 안착부 510:안착 몸체
520:접속모듈 보호커버부 530:감지모듈 보호커버부
600:스마트폰 커버

Claims (10)

  1. 크래들 본체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고, 스마트폰의 OTG 단자와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모듈부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고,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온도계 회로모듈부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될 부분에 마련되는 스마트폰 안착부와;
    상기 스마트폰 안착부와 협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 커버; 및
    상기 크래들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OTG를 충전모드와 OTG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드는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아닌 외부의 전력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OTG 모드는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의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에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부는,
    회로모듈 삽입공간부가 위치하는 크래들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홀과;
    상기 슬라이드 장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스위칭 노브; 및
    상기 스위칭 노브의 내측에 결합된 스위치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OTG를 상기 충전모드와 상기 OTG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모듈은 접촉식 온도계 및 비접촉식 온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온도계 또는 상기 비접촉식 온도계로 측정된 온도 측정값을 USB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온도계는 프로브의 내부에 극세코일 전선으로 둘러 쌓인 세라믹 또는 유리 코어로 이루어진 저항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온도계는 적외선 온도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본체에 내장되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본체는,
    본체 바닥부와;
    상기 접속모듈부가 배치될 수 있는 접속모듈부 삽입공간부와;
    상기 온도계 회로모듈부가 배치될 수 있는 회로모듈 삽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바닥부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렌즈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커버는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와, 상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KR1020210004033A 2021-01-12 2021-01-12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KR10256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33A KR102561598B1 (ko) 2021-01-12 2021-01-12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33A KR102561598B1 (ko) 2021-01-12 2021-01-12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35A KR20220101935A (ko) 2022-07-19
KR102561598B1 true KR102561598B1 (ko) 2023-08-01

Family

ID=8260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033A KR102561598B1 (ko) 2021-01-12 2021-01-12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2567A1 (en) 2005-04-01 2006-10-05 Hafellner Body fluid testing component for simultaneous analyte detection
KR101384699B1 (ko) 2012-11-26 2014-04-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수납 케이스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온도 측정 전자장치
KR101386854B1 (ko) 2013-03-28 2014-04-18 이진우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101575979B1 (ko) * 2014-09-25 2015-12-11 주식회사 콕스 모바일 디바이스에 탈착가능한 휴대용 계측장치 및 이 계측장치를 이용한 계측방법
KR101694434B1 (ko) 2014-10-13 2017-01-09 한국식품연구원 복합 식품 검수 단말기
WO2020047579A1 (en) 2018-09-05 2020-03-12 Rubicon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plant stress determination and irrigation based there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607A (ko) * 2009-09-08 2011-03-16 제일기술(주) Haccp 모바일 단말장치
KR20170011610A (ko) * 2015-07-23 2017-02-02 (주)파트론 온도 측정 장치
KR102466471B1 (ko) * 2016-08-17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59453A (ko) * 2015-12-08 2016-05-26 아티슨앤오션 주식회사 스마트폰 탑재용 케이스장치 및 다이빙로그시스템
KR20180070014A (ko) * 2016-12-16 2018-06-26 김도엽 휴대 단말기용 커버
KR20190024274A (ko) 2017-08-31 2019-03-08 박성순 스마트 접촉식 디지털 온도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2567A1 (en) 2005-04-01 2006-10-05 Hafellner Body fluid testing component for simultaneous analyte detection
KR101384699B1 (ko) 2012-11-26 2014-04-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수납 케이스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온도 측정 전자장치
KR101386854B1 (ko) 2013-03-28 2014-04-18 이진우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101575979B1 (ko) * 2014-09-25 2015-12-11 주식회사 콕스 모바일 디바이스에 탈착가능한 휴대용 계측장치 및 이 계측장치를 이용한 계측방법
KR101694434B1 (ko) 2014-10-13 2017-01-09 한국식품연구원 복합 식품 검수 단말기
WO2020047579A1 (en) 2018-09-05 2020-03-12 Rubicon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plant stress determination and irrigation bas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35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93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rcode scanner
US20200150740A1 (en) Smart battery balance system and method
NL2011059C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voltage and frequency to be supplied to a voltage.
TWI541655B (zh) 使用近場通訊(nfc)之多無線電無線快閃驅動器
CN105474124A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热缓解调整
KR20170084253A (ko) 전자 디바이스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CN108254697B (zh) 电池类型检测方法、检测终端及存储介质
CN104062710B (zh) 一种光纤熔接机
CN104048687B (zh) 具有图像捕获能力的测量系统
JPWO2008117785A1 (ja) 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プログラム、閲覧端末、および閲覧プログラム
US20170195470A1 (en) Encrypted wireless system with nfc function
US20150222497A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and server
KR102561598B1 (ko) 스마트폰 크래들 온도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썹 관리 시스템
US20150236547A1 (en) Battery charging mode selection
JP2015118035A (ja) 充放電試験システムおよび試験結果管理方法
EP3104658B1 (en)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for setting operation environment
US20220043074A1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5808460B (zh) 外部设备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81186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operational data from circuit breakers
US105230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a beacon and/or sensor device
EP3462136A1 (en) Electronic metering system
KR101750348B1 (ko) 계측의 편의성이 향상된 멀티미터 전용 계측시스템
CN205565908U (zh) 非接触充电装置及pos系统
JP562357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7150796B2 (ja) 充電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充電情報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