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580B1 -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580B1
KR102561580B1 KR1020210094522A KR20210094522A KR102561580B1 KR 102561580 B1 KR102561580 B1 KR 102561580B1 KR 1020210094522 A KR1020210094522 A KR 1020210094522A KR 20210094522 A KR20210094522 A KR 20210094522A KR 102561580 B1 KR102561580 B1 KR 10256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curity
security paper
senso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586A (ko
Inventor
최이진
Original Assignee
최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진 filed Critical 최이진
Priority to KR102021009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21H21/44Latent security elements, i.e. detectable or becoming apparent only by use of special verification or tampering devices or methods
    • D21H21/48Elements suited for physical verification, e.g. by ir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인가된 보안용 기록매체가 아닌 경우 인쇄를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보 안 인쇄장치에 마련되는 보안용 기록매체의 진위여부 판별 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는 보안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속이거나 식별 오류를 유발시킴으로써 보안용지가 아닌 기록매체에 인쇄를 하려는 보안 위반 행위를 감지하여 차단 할 수 있도록,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 문서 인쇄 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보안 인쇄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보안용지와 유사한 효과를 내도록 보안용지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해 제작된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를 구별함으로써 비보안용지 인쇄제한 기능을 무력화하려는 보안 위반 행위를 감지 및 차단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안용지 구분센서 감지 범위 안에 감지물질 또는 보안용지 일부를 부착함으로써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인식오류를 유도하여 보안 인쇄장치의 비보안용지 인쇄제한 기능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Security documen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identify the authenticity of security paper}
본 발명은 사용이 인가된 보안용 기록매체가 아닌 경우 인쇄를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보안 인쇄장치에 마련되는 보안용 기록매체의 진위여부 식별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나 필름과 같은 기록매체에 전기 또는 자기장 특성 등으로 구별이 가능한 금속성 감지물질이 스트립, 미세와이어 또는 입자 등의 형태로 내재되어 이루어진 보안용 기록매체(이하, ‘보안용지’라고 함)에만 인쇄를 하도록 보안용지구분 센서를 구비한 보안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속이거나 식별 오류를 유발시킴으로써 보안용지가 아닌 매체에 인쇄를 하려는 보안 위반 행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 문서 인쇄 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기업의 업무환경이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사용하는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중요한 문서나 도면 등의 기밀 데이터를 도난, 유출, 분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보보호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보호 방안 중 기 출력된 기록매체를 복사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업무를 진행하고 작성된 문서 중에 기업 보안정책에 따라 보안이 필요하다고 분류되는 문서를 인쇄장치로 출력하는 업무환경에서 종이와 같은 기록매체의 사용을 통제하는 출력 문서 보안기술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보안정책에 따라 보안이 필요한 정보가 인쇄된 문서의 반출을 통제할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종이나 필름과 같은 기록매체에 전기 또는 자기장 특성 등으로 구별이 가능한 금속성 감지물질이 스트립, 미세와이어 또는 입자 등의 형태로 혼합 또는 내재되어 이루어진 보안용 기록매체인 보안용지에만 출력이 가능한 보안용지용 인쇄장치 및 출입구에 보안용지 전자감응기를 설치하여 보안용지에 인쇄 및 복사된 출력물을 가지고 전자감응기를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경보신호를 냄으로써 출력된 문서의 무단 반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보안용 기록매체에 대한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4090호(특허문헌-001)와 제101775526호(특허문헌 00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001에서는 스트립 타입 보안용 감지물질을 내재한 합지 형태의 보안용지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 상기 합지 타입 보안용지에 적용되는 감지물질인 스트립의 가격이 비싸기에 이 방식의 보안용지는 한 장의 용지에 대략 2~3 개정도 스트립을 삽입하여 구현된다. 이 경우, 스트립 타입의 검출용 스트립이 부착된 보안용지는 인쇄 후에 약간의 도구를 사용하면 종이에 내재된 스트립을 제거할 수 있으며, 스트립만을 제거하면 출입구 전자감응기를 통과시 감지가 되지 않아 보안자료가 출력물 형태로 반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검출용 스트립의 존재를 쉽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검출용 스트립을 훼손하거나 제거하여 보안자료에 대한 출력물을 무단 유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방법으로 특허문헌-002에서는 전기 또는 자기장 특성 등으로 구별이 가능한 금속성 감지물질이 스트립형태로 용지의 특정 영역에 내재하는 합지방식 대신, 감지물질이 미세와이어 형태로 용지의 전체 영역에 분산 배치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한편, 상기 기술된 보안용지에만 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에는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가 구비되어져야하며,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식별결과에 따라 인쇄기능 진행 및 중지 등의 인쇄작업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안 용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보안용 인쇄장치의 핵심기능이 되며 이 기능에 오류가 발생하면 보안자료가 출력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게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비보안용지에 보안용지에 사용된 감지물질을 접목하거나, 보안용지 일부를 접합하는 형태 등의 방법으로 보안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속여 보안용지로 인식하게끔 유도하는 방법 및 가짜 보안용지를 가려냄으로써 진짜 보안용지에만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526호(특허문헌-002), 제10-20170037087호(특허문헌-003) 그리고 제10-20160004745호(특허문헌-004)에 각각 개시되어있다.
특허문헌-002에서는 전체 영역에 감지물질이 미세와이어 형태로 존재하는 보안용지를 구비하고, 해당 용지가 이송 중일 때 용지 전체를 진행방향으로 3개 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전체 영역에 대해 보안 용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체 감지물질이 도포된 보안용지에 대해 제한된 적용이 가능하며, 인쇄가 되는 면을 비보안용지로하고, 그 배면에 보안용지를 접합해서 제작한 겹지 형태의 기록매체에 대해서는 어느 면의 종이가 보안용지인지 비보안용지인지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영역에 대한 보안용지 식별기능은 연속되어지는 인쇄 작업 시, 보안용지 구분센서 감지 범위 안에 감지물질 또는 보안용지 일부를 부착하게 되면, 구분센서는 항상 감지물질이 있다고 판단함으로써 센서를 통과하는 모든 기록매체를 보안용지로 식별해버리는 오인식의 문제점이 있다. 즉, 비보안 용지도 보안용지로 식별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003에서는 특허문헌-002와 같이 미세와이어가 용지 전체에 분포된 보안용지를 사용하는 보안 인쇄장치에서 이송중인 용지의 전체영역을 보안용지 구분센서가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특정부분에 보안용지를 덧붙이는 속임수를 감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003에서 개시된 기술도 특허문헌-002의 개시 기술과 동일하게, 보안용지여부를 식별하는 센서를 특정 영역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가 어느 정도 된다 할지라도 감지영역을 이송중인 용지의 전체영역으로 확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제기된 두가지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한다.
특허문헌-004는 적재부 일측에 회전부가 있는 누름판 방식으로 구성되어져 픽업되는 최상위 용지에 대해 보안용지 여부를 식별하고, 보안용지를 일부분 부착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행위를 포착하기위해 용지의 길이, 폭 방향으로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다수개 부착하여 용지 전체에 대해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적재부 일측에 설치되는 누름판 구조의 센서에서 센서의 감지영역을 인쇄대상용지의 전체 영역까지 확대하려면, 많은 수의 센서와 그 센서들을 위한 기구 공간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센서의 무게가 증가하게되는 결과를 초래함과 더불어, 누름판의 무게가 증가함으로써 프린터의 픽업기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인쇄 장치의 용지 픽업기능 실패 및 픽업유닛의 고장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의 특허문헌-002, 003, 004에 개시된 기술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보안용지 여부를 식별하기위해 용지에 혼입 또는 내재된 감지물질의 특성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영역을 인쇄대상 용지의 전체영역으로 확대하는 방법으로 센서 개수의 증가, 센서 감지 시간의 증가를 통해 보안용지 일부가 부착된 가짜 보안용지를 구별할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여기서 제시된 보안용지 구분기술의 핵심은 혼입 또는 내재된 감지물질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변화 특성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위해 인덕티브 센싱과 같은 투과성이 제공되는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인데, 연속으로 인쇄되는 출력작업 시 제 1종이가 인쇄되는 중에 제 2종이가 픽업되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용지가 공급되는 메커니즘 즉, 급지로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지는 통상의 프린터 구조에서, 보안용지가 아닌 비보안용지에 문서내용이 인쇄되는 것을 막거나 최소화하기위해서는 용지가 픽업되어 전사유닛에 도달하기 전까지 시간내에 이송중인 용지가 보안용지인지 그 여부를 식별해야 하는 제약조건이 주어진다. 따라서, 특허문헌-002, 003에서 개시된 기술을 적용한 보안 인쇄장치는 보안용지 식별 시간이 앞서 제약조건으로 제시된 시간이 아니라, 이송중인 용지 말단이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지날 때 까지 상당부분 인쇄가 진행된 시간에 이르러야 용지 1장에 대한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라 비보안용지에 내용파악이 가능한 정도로 인쇄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편으로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는 부분 면적에 대해 보안용지를 붙인 겹지형태 일부에서는 가짜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지만, 용지 전체면적에 대해 일반용지와 보안용지가 테이프나 약간의 접착제로 임시로 붙여진 겹지형태의 가짜보안용지는 식별하지 못해 보안용지로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40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526호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60004745호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700370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지로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되는 인쇄 메커니즘을 가짐으로써 비보안용지인 경우 인쇄가 최소로 되거나 또는 전혀 되지 않도록 제한된 센서 감지 유효시간 내에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상적인 보안 인쇄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보안용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해 제작된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를 구별하는 보안용지 진위여부 식별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보안용지 구분센서 감지 범위 안에 감지물질 또는 보안용지 일부를 부착함으로써 구분센서의 인식오류를 유도하는 보안 위반 행위를 가려내는 방법을 더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 진위여부 식별 방법과 그의 장치(이하,'겹지 구분센서' 라고 함)에 있어서, 겹지 구분센서를 픽업롤러와 전사유닛 사이에 설치하고, 이송중인 용지의 두께 또는 용지의 두께에 따라 변하는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 중 하나 이상의 특성변화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보안용지 일부 또는 전부를 비보안용지와 합쳐서 만든 겹지 형식의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실시예로는 이송되는 용지 두께, 겹지 구성 부분의 두께, 구성 재료의 유전율 및 단면적의 차이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겹지 형태를 가진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이송 용지 위면 및 아래면까지의 각각의 거리를 측정해 두께를 산출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광,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밀리미터파, 테라헤르츠파등을 이용하는 비접촉 방식을 사용하는 센서 기술과 이송용지의 상단과 하단의 특정부분들에 접촉함으로써 각각의 거리를 측정해 용지 두께를 산출하는 접촉식 방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보안용지 두께 허용 기준(보안용지 1매의 평균두께는 80μm에서 180μm사이이며, 보안용지 제조방식과 구성방식에 따라 두께 차이가 있으므로, 보안용지 두께 허용기준은 사용이 허가된 보안용지 방식과 사양이 정해지면 그에 맞춰 정해진다.)에서 벗어나는 두께를 가진 용지가 지나갈 때 작동되는 갭센서를 구성함으로써 겹지로 구성된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이송중인 용지에 빛을 조사하고 용지의 사양(두께, 구성재료, 투과성, 색상, 빛의 흡수 및 반사정도 등)에 따른 반사 또는 통과 특성 및 변화값들을 수집하여 보안용지 특성과 직접 비교하거나 패턴비교 또는 클러스터링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을 위한 겹지 구분센서를 적재부에 설치하는 실시예로서, 적재부 일측에 힌지 기구물을 달고 용지 누름판 형태로 또는 적재함 위 프린터 본체에 힌지 기구물에 연결하여 구성하는 형태로 겹지 구분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에 놓여진 용지에 대해 픽업 전에 적재중인 용지의 최상위 용지가 겹지 형태의 가짜보안용지 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또한, 적재부에서 픽업되어 이송중인 용지에 대해서도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적재중 또는 픽업되어 이송중인 용지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값을 이용하는데, 용지의 사양(두께, 구성재료, 색상, 빛의 흡수 및 반사정도 등)에 따라 달라지는 빛 반사 특성값을 수집하여 보안용지 특성과 직접 비교하거나, 패턴비교 또는 클러스터링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안테나 주변 즉, 구분센서의 감지영역내 감지물질이 부착되어있을 때, 보안용지 구분센서는 감지영역내 비보안용지가 있더라도 감지영역내 부착된 감지물질로 인하여 보안용지로 판별할 수 있는 수준의 값을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어부는 비보안 용지를 보안용지로 잘못 판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보안용지로 잘못 판별된 비보안용지인 경우에서는 용지 두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게됨으로써, 제어부의 보안용지 진위여부를 판별하기위해 구비되는 겹지 판별 기능이 경우에 따라 무력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감지영역내 보안용지 일부 또는 감지물질이 놓여져 있거나, 부착되어져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보안 인쇄장치의 용지 픽업, 이송유닛에 속한 센서 출력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포함하고, 용지 픽업 및 이송 상태와 안테나 감지 값 간의 상관 관계를 비교해서, 인쇄 작업이 없는데도 보안용지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 안테나에 감지되면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무력화하려는 보안위반 행위가 시도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지로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되는 인쇄 메커니즘을 가지는 통상의 보안 인쇄장치에서, 비보안용지인 경우 인쇄가 최소로 되거나 또는 전혀 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센서 감지 유효시간 내 이송중인 용지가 보안용지 인지 아닌지 그 여부를 판별하면서, 보안용지와 유사한 효과를 내도록 보안용지 일부 또는 전부를 비보안용지의 일측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된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를 구별함으로써, 비보안용지 인쇄제한 기능을 무력화하려는 보안위반행위를 차단 및 방지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보안용지 구분센서 감지 범위 안에 감지물질 또는 보안용지 일부를 부착함으로써 구분센서의 인식 오류를 유도하여 보안 인쇄장치의 비보안용지 인쇄제한 기능을 무력화하려는 보안위반 행위를 가려내고 차단하는 효과도 더 제공한다.
도 1은 보안용지로 인식하도록 제작되는 가짜보안용지 제작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급지로가 최소화되는 설계가 적용되는 보안용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감지영역을 표시하기위한 용지상 표시 기준과 비보안용지 인쇄 제한기능이 최대로 제공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감지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설치위치가 적재부인 경우와 픽업유닛 이후 이 송경로상인 경우에 대한 각각의 가짜 보안용지 감지 절차에 대한 것이다.
도 4는 픽업유닛에서 전사유닛사이 이송경로 일측에 구비되어져 보안용지 진위여부 식별을 제공하는 겹지 구분센서의 설치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겹지 형태로 제작된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하기위해 이송경로 일측에 설치된 겹지 구분센서에 적용 가능한 방법들에서 특히, 종이두께 값 또는 용지의 두께에 따라 변하는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 중 하나이상의 특성변화를 감지하고 분석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5의 (a)는 비접촉 방식으로 두께를 (b)는 접촉방식으로 종이의 두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도 5의 (c)는 접촉식 갭 센서를 이용해 일정 두께 이상의 용지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d)는 용지에 빛 투과시 용지 두께 및 용지 사양에 따라 변하는 광특성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적재부에서 설치되어 적재중인 또는 픽업되어 이송중인 용지의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하는 제어부에 이송중인 용지의 보안용지 진위 판별에 필요한 물리량을 감지하고 원시데이터로 제공하는 겹지 구분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6의 (a)는 프린터 메커니즘상에서 겹지 구분센서가 적재부에 위치하는 것에 대한 것이며, (b)는 작동예, (c)는 설치예에 대한 것이다.
도 7은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감지영역내 감지물질을 부착해, 제어부가 비보안용지를 보안용지로 잘못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보안위반 행위에 대한 것이다.
도 8은 가짜 보안용지 판별시 현장 및 원격지에 경보를 전달하고 표시하는 구성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실시예등을 설명하기위해 자기장 또는 전기장의 성분이 단일 또는 조합되어져 구성된 파동 영역에서 전기 또는 자기장 특성등으로 구별이 가능한 금속성 감지물질이 스트립, 미세와이어 또는 입자등의 형태로 내재되어 이루어진 종이나 필름과 같은 기록매체를 보안용 기록매체(이하, ‘보안용지’라고 함)라 하였다. 따라서 보안용지가 아닌 다른 인쇄가능한 미디어(매체)를 포괄하여 비보안용지라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결과물이 적용될 대상은 보안용지에만 인쇄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 달리 표현하면 비보안용지에 대해서는 인쇄를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인데, 이를 본 발명에서는 보안 인쇄장치로 명명하고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인쇄장치에서 감지해야하는 가짜보안용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보안 인쇄장치에서 사용 가능하며, 보안용지 구분센서(210)가 보안용지로 구분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감지물질을 갖추지 않은 초지, 일반 복사용지, 아트지등을 모두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비보안용지(30)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비보안용지에 보안 인쇄장치에서 보안용지로 인식되도록 보안용지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겹지방식으로 제작하게되면, 보안용지가 부착된 영역이 보안용지 두께와는 차이를 가지지만 감지물질이 포함되어짐으로써 보안용지인 것처럼 통상의 보안용지 구분센서(210) 또는 보안 인쇄장치를 속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짜보안용지는 보안 인쇄장치가 보안용지로 판별하도록 제작되어진 용지로 한정하지 않고 보안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210)를 속여서 비보안용지지만 보안용지로 인식되게 만든 상황에서 인쇄장치에서 인쇄를 위해 이송중인 비보안용지도 가짜 보안용지 범위에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가짜보안 용지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기술하면, 도 1의 (a)는 사용이 허가된 보안용지의 일부가 인쇄장치에서 인쇄면으로 사용하는 면(이후,‘인쇄면’이라고 함)에 위치하도록, 그리고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센서감지 유효시간동안 감지가 되는 면적이상의 크기만큼 비보안용지 한쪽 면(인쇄면)에 붙여서 보안 인쇄장치에서 인쇄 가능하도록 제작된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50) 구성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의 (b)는 사용이 허가된 보안용지의 일부 또는 1매 전부를 비보안용지 한쪽 면(인쇄면의 배면)에 붙여서 보안 인쇄장치에서 인쇄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50) 구성 실시예를 보여준다. 가짜보안용지(50)는 보안용지를 부착하되 인쇄 후 부착한 보안용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한다. 통상적인 보안 인쇄장치에 도 1에서 개시한 가짜보안용지(50)를 제작하여 인쇄를 시도하면, 모두 정상 출력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지로가 최소화되는 설계가 적용되는 통상의 보안용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의 감지영역을 보여주고자 도시한 것이다. 보안용 인쇄장치에서 픽업을 한 후 이송중인 용지(10)에 대해서, 비보안용지로 판단되면 인쇄를 제한함으로써 정보 유출이 없다고 판단되는 정도의 최소 출력 또는 아무런 인쇄가 되지 않은 백지상태로 출력되게하는 기능(이하,‘비보안 용지 인쇄제한 기능' 이라고 함)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보안 인쇄장치에 속한 프린터 및 복합기등은 용지 이송에서의 기계적 오작동의 여지를 감소시키면서, 연속 인쇄 속도 향상을 위해 실제로 인쇄가 이루어지는 지점인 전사 유니트(140)와 용지의 이송이 시작되는 픽업 유닛(110) 지점간의 경로(125, 이하, '이송경로' 또는 '급지로'를 같은 의미로 사용함) 길이가 짧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는 이송중인 용지(10)가 전사 유닛(140)에 진입하기 직전까지 보안용지 여부를 결정한 후 그 결과에 따른 인쇄 기능 중지 및 지속에 관련된 제어명령을 내려야 하기에, 이송중인 용지에 대해 감지물질 존재 유무 및 전기적, 자기적 특성변화를 감지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210)는, 제어부(200)가 보안용지 판별을 위해 수집하는 데이터가 최대한 많도록, 센서 감지 유효시간이 최대한 확보되는 위치인 적재부(100) 또는 픽업유닛(110) 주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실질적인 인쇄장치 구동 메커니즘에서 전사롤러 및 전사유닛(140)에 진입하기 직전까지 시간동안 픽업된 용지에 대해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유효시간동안 이송되는 방향으로 센서 감지 영역을 정한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선두에서 용지길이의 30%(±10% 오차범위) 내로 제한되어진다.
통상적인 보안 인쇄장치는 급지로 또는 이송경로(125) 길이가 짧기 때문에, 용지 전체에 대한 보안 용지의 여부 판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이송중인 용지의 선단 30% 위치까지 영역에 대해서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보안용지로 결정되면, 해당 용지에 대한 인쇄 작업을 시작 또는 계속 진행 한다. 그런데 전술한 보안 인쇄장치에 도 1과 같은 가짜보안용지(50)가 사용되면 해당 용지를 보안용지로 인식하여 가짜보안용지(50)에 인쇄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용지의 종단까지 계속하여 보안용지 전체 영역에 대해 보안용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용지 이송 방향에 따른 용지의 전체 길이(A4용지의 경우 297mm)에 걸쳐서 보안용지 여부를 판별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인쇄가 시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지로 또는 이송경로(125) 전체 길이가 최소한 인쇄용지의 세로 길이이(A4용지의 경우 297mm)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급지로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하는 통상적인 보안 인쇄장치의 필요성과 충돌됨으로서 산업적 이용성이 적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안 인쇄장치의 센서 감지 유효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선두에서 용지길이의 30%(±10% 오차범위)내로 제한되어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용지 구분센서(210) 위치에 따른 가짜 보안용지(50) 감지 절차를 가지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통해 보안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의 감지 유효영역은 용지길이의 30%(±10% 오차범위)내로 제한되는데, 보안용지 구분센서(210)는 최대한의 센서 감지 유효시간을 확보하기위해 적재함 또는 픽업롤러 주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3의 (a)는 픽업유닛(110)과 전사 유닛(140) 사이에 보안용지 구분센서(210)가 위치된 보안 인쇄장치에 적용되는 가짜보안용지(50) 감지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보안 인쇄장치는 인쇄가 시작되면 용지를 픽업한 후 보안용지를 피딩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전사유닛(140)까지 용지가 이송되기 전에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보안용지가 아니면 인쇄를 제한하도록 하고, 보안 용지이면 해당 용지가 가짜보안용지인지 여부를 더 판별하는데, 특히 겹지형태로 제작된 것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겹지형태로 제작된 가짜 보안용지(50)이면 인쇄를 제한 또는 중지하고 진짜 보안용지이면 인쇄를 진행하는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3의 (b)에서는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의 위치가 픽업유닛(110) 전단부로 구분되는 적재부(100) 내부에 있으며, 여기서도 도 3의 (a)와 같이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한 후 해당 용지가 가짜보안용지인지 여부를 특히 겹지형태로 제작된 가짜 보안용지(50) 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가짜 보안용지이면 인쇄를 제한 또는 중단하고 진짜 보안용지이면 인쇄를 진행하는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110)에서 전사유닛(140)사이 이송경로(125) 일측에 위치한 보안용지 진위여부 식별을 위한 겹지 구분센서(250)에 대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두께 변화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겹지로 제작되는 가짜보안용지(50)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송중인 한 장의 용지에 대해 상기 센서 작동 유효시간내 보안용지를 구분하는 특성을 감지하는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와, 이와 별도로 제어부(200)가 가짜 보안용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이송중인 용지의 용지사양 특성에 따른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인 겹지 구분센서(25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이송중인 용지 두께 또는 두께 및 용지 구성 재료에 따른 저항변화, 임피던스 변화, 커패시턴스변화, 인덕턴스 변화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특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추가)
통상적으로 가짜보안용지 여부를 판별하는 장치는 픽업롤러(110)와 전사유닛(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재부(100)에도 설치 가능하다. 특히, 겹지형태의 가짜 보안용지(50)를 용지의 두께 정보 또는 두께에 따라 변하는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 중 하나 이상의 특성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보안용지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원시 데이터로 제공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한다. 겹지 구분센서(250)에 적용가능한 방식에 대한 실시예들을 크게 비접촉식방식, 접촉식방식, 갭센서방식, 광조사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번째 실시예로 (a) 비접촉식 거리 측정방식을 이용하는 두께변화 감지방법이 있으며, 더 상세히는 두개의 세부 분류를 가질 수 있다.
(1) 용지 두께 변화가 반영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커패시턴스 를 통해 구할 수 있는데
여기서 ε=유전율, A= 용지 면적, d=용지 두께 이다. 따라서 이 식에 따르면 구성 용지의 두께변화, 구성된 재료의 유전율 변화 및 단면 적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변하게 됨을 알 수 있고,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 값이 수집 가능하다. 이에 다양한 용지 구성에 대한 전기적 특성 변화 값을 수집함으로써, 보안용지만 구성되어졌을 때와 직접 변화 값을 비교하거나 패턴비교 또는 클러스터링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2) 광파, 음파, 전파중 하나이상을 이용해 용지 위아래 거리 측정한 결과 이용
이송 중인 용지의 두께 측정을 위해 광파, 음파, 전파 등의 거리에 따른 시간차 또는 각도차 또는 위상차의 단일특성 변화 또는 조합된 특성변화를 감지하는 상측센서 (253, SENSOR_TOP)와 하측센서(254, SENSOR_BOTTOM)을 용지가 이송하는 경로상의 한 지점 또는 다수개의 지점에 용지의 위아래 방향에 설치한다. 측정원리는 상측센서(253) 이용하여 센서와 이송중인 용지의 한 면(상부)까지의 거리(A)를 측정하고 하측센서(254)을 이용하여 센서와 용지의 다른 면(하부)까지의 거리(B)를 측정하여 두개 센서 사이의 거리(D)에서, A+B를 뺀 거리 즉, D-A(+B)가 측정물체 두께(T)가 되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측정된 두께가 겹지 두께 기준에 부합되는지 즉, 보안용지 기준두께 이상의 값인지를 가지고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5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지 구성에 대한 거리 측정 및 두께 산출 값을 수집함으로써, 보안용지만 구성되어졌을 때와 직접 값을 비교하거나 패턴비교 또는 클러스터링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로, (b) 접촉식 거리 측정방식을 이용하는 두께변화 감지방법이 있다. 이는 프루브 형태로 용지면에 접촉하는 접촉식 상측센서 (253, SENSOR_TOP)와 하측센서(254, SENSOR_BOTTOM)을 용지가 이송하는 경로상의 한 지점 또는 다수개의 지점에 용지의 위아래 방향에 설치함으로써 이송중인 용지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원리는 (a)의 비접촉식 방식일 때와 같으며, 상측센서(253) 이용하여 이송중인 용지의 한 면(상부)까지의 거리(A)를 측정하고 하측센서(254)를 이용하여 센서와 용지의 다른 면(하부)까지의 거리(B)를 측정하여 두개 센서 사이의 거리(D)에서, A+B를 뺀 거리 즉 D-A(+B)가 측정물체 두께(T)가 되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측정된 두께가 겹지 두께 기준에 부합되는지 즉, 보안용지 허용 두께 기준(보안용지 1매의 평균두께는 80μm에서 180μm사이이며, 보안용지 제조방식과 구성방식에 따라 두께 차이가 있음, 보안용지 두께 허용기준은 사용이 허가된 보안용지 방식과 사양이 정해지면 그에 맞춰 정해진다.)을 벗어난 값인지를 가지고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지 구성에 대한 거리 측정 및 두께 산출 값을 수집함으로써, 보안용지만 구성되어졌을 때와 직접 값을 비교하거나 패턴비교 또는 클러스터링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세번째 실시예로는, (c) 지정된 두께(상기 보안용지 허용 두께 기준에 맞추어 임계값을 지정하고, 임계값만큼의 높이를 지정된 두께로 함) 이상의 두께를 가진 용지가 밀려오면 위쪽 방향으로 밀려가는 접촉식 갭센서(255)를 구비해서 지정한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진 용지가 지나갈 때, 스위치가 작동되어 겹지로 제작된 가짜 보안용지(50)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네번재 실시예로는, (d) 용지 상단에 광센서의 발광부(251)를 하단에 수광부(252)를 설치하여, 빛이 조사되는 재료 또는 표면의 특성(투과성, 구성재료, 색상, 빛의 흡수 및 반사정도 등)에 따라 빛의 밝기, 세기, 색깔(파장)등 빛의 성질을 구별할 수 있는 물리량은 변하게 된다. 이러한 광 변화 특성을 이용하면 동일한 종이인지, 이종의 종이가 부착된 겹지인지 등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지들에 대한 빛의 용지 통과특성 즉, 빛이 보안용지만 통과할 때, 겹지를 통과할 때, 비보안용지만 통과할 때 등의 광통과 변화 특성치를 수집하여 보안용지만 통과할 때와 직접 비교하거나 패턴비교 또는 클러스터링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가짜 보안용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100)에서 설치되어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 기능을 제공하는 겹지 구분센서(25)에 대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실시예를 들면, 적재부(100) 일측에 힌지 기구물을 달고 용지 누름판 형태로 또는 적재함 위 프린터 본체에 힌지 기구물 이용하여 적재함(100)에 놓여진 용지(20)에 대해 픽업 전에 적재중인 용지의 최상위 용지가 겹지 형태의 가짜보안용지 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또한, 픽업되어 이송중인 용지(10)에 대해서도 레지유닛(130) 또는 전사유닛(140)에 도달하기 전까지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도시되어졌다.
도 6의 (a)는 프린터 메커니즘상에서 적재부(100)에 위치한 진위여부 식별 장치인 겹지 구분센서(250)를 보여주고 있으며, (b)는 작동예를 도시하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부의 최상위 용지면 또는 픽업되어 이송중인 용지면 위로 빛을 쏘고 반사되는 광 특징 변화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적재함 일측에 광센서 방식의 겹지 구분센서(250)의 발광부(251)와 수광부(252)를 구비하고, 발광부(251)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특성(색깔, 세기 등)이 동일할 때, 적재중인 용지(20) 또는 이송중인 용지(10) 일면에 조사되는 빛 흡수 및 반사 특성의 차이로 수광부(252)에 들어오는 빛의 물리량(광량, 광세기, 스펙트럼 등)의 측정값 또는 유도된 값들에 차이가 발생한다. (c)는 설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적재함 일측에 힌지 기구물 달고 용지 누름판형태로 겹지 구분센서를 정착하는 방법과 적재함 위 인쇄장치 본체 일측에 힌지 기구물을 제작하여 장착하거나 고정시키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에서 감지물질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안테나(211)의 감지영역내 감지물질이 부착되면, 보안용지 구분센서(210)는 센서 감지영역내 비보안용지가 있더라도 감지영역내 위치한 감지물질때문에 보안용지에 해당하는 값이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부에 제공된다. 이에 제공받은 신호를 분석해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가 비보안 용지를 보안용지로 잘못 판단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의 안테나(211) 감지영역내 감지물질이 존재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보안위반 행위에 대한 대비가 없는 통상적인 보안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은, 해당 용지를 보안용지로 판단하게되며, 더욱이 겹지가 아닌 비보안용지를 보안용지로 식별한 경우에는, 두께가 보안용지 허용기준에 속하게 되어 비보안 용지에 대한 보안용지 진위여부 식별 까지 실패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바와 같이 제어부(200)의 보안용지 판단 기능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보안용지 구분센서(210)가 보안용지 수준의 특성을 감지하도록 센서 감지영역내 감지물질을 위치시키는 보안위반행위는, 보안 인쇄장치의 핵심기능인 비보안용지 인쇄제한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기에 반드시 해결되어져야 한다. 이에,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보안용지 구분기능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고 방지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보안용지 구분센서(210)의 안테나(211) 감지영역에 보안용지나 보안용지를 구성하는 감지물질이 놓여져 있거나 부착되어져 있을 때, 안테나(211)를 통해 감지되는 측정값은 센서 감지영역내 전기적 또는 자기장 변화요인이 없기 때문에 그 측정값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안테나(211)의 감지 값을 수집하면서, 일정시간 이상 안테나에 보안용지로 인식할 수준의 값이 변화 없이 동일한 값 범위로 감지된다면, 제어부(210)의 보안용지 여부 판단 기능에 대한 무력화 시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용지의 픽업 또는 이송에 관한 정보를 인쇄장치가 사용하는 정보 즉, 피드 센서 정보 또는 픽업 상태감지 정보를 인쇄장치에 연결하여 얻어낸 후, 용지 이송 상태와 안테나 감지 값 간의 상관 관계를 비교해서, 인쇄 작업이 없는데도 보안용지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 안테나(211)에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210)의 보안용지 여부 판단 기능에 대한 무력화 시도가 있음을 충분히 알아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보안용지(50) 판별시 경보 표시 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8의 (a)에서는 겹지 방식의 가짜 보안용지(50) 구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수신 또는 분석을 통해 겹지형태의 가짜보안용지를 식별하였을 때 보안인쇄장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 또는 경고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경보발생 신호처리부(291)를 부가함으로써 가짜보안용지 사용에 대한 경보발생 사실을 인쇄장치가 있는 위치에서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의 (b)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292)을 더 부가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지정된 장치로 해당 경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보발생 사실을 원격지에 있는 별도의 관리장치에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도시되어져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인쇄대상 용지
20 : 적재중인 용지
30 : 비보안용지(1매)
40 : 보안용지(1매)
50 : 겹지형태의 가짜보안용지
51 : 보안용지 일부분(1매 면적의 30%이하)
52: 보안용지 일부분(1매 면적의 70%이상)
100 : 적재부(수납장치)
110 : 픽업 유닛
120 : 이송 유닛
125 : 이송경로
130 : 레지유닛
140 : 전사 유닛
160 : 정착및 배출 유닛
200 : 제어부
210 : 보안용지 구분센서
211 : 보안용지 구분센서용 안테나
250 : 겹지 구분센서
251 : 발광부(TRANSMITTER)
252 : 수광부(RECEIVER)
253 : 상측센서(SENSOR_TOP)
254 : 하측센서(SENSOR_BOTTOM)
255 : 접촉식 갭센서(GAP SENSOR)
291 : 경보발생 신호처리부
292 : 유무선 통신모듈

Claims (21)

  1. 용지를 적재하는 적재부,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전사유닛, 및 픽업유닛으로부터 전사유닛까지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경로를 포함하고,
    인쇄를 위해 픽업 및 이송되는 상기 용지에 포함된 감지물질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해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용지 구분센서와,
    픽업 및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사양(형태, 구성, 재료)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변화를 감지해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센서모듈은, 보안용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보안용지 일측에 붙여서 제작된 겹지 형태의 가짜 보안용지를 구별하는 겹지구분센서이고,
    상기 보안용지 구분센서와 겹지구분센서가 상기 적재부, 상기 픽업유닛에 인접하는 영역, 및 상기 이송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보안용지 구분 센서의 신호를 수집 및 분석해서 일반용지와 보안용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보안용지에서 상기 겹지구분센서의 신호를 수집 및 분석하여 가짜 보안용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전사유닛까지 이송되기전에 일반용지와 보안용지를 판별한 후, 일반용지면 인쇄를 제한하고, 보안용지이면 가짜보안용지인지 여부를 더 판별하여 가짜 보안용지이면 인쇄를 제한하고 진짜 보안용지이면 인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픽업 또는 이송중인 용지의 두께 측정값 또는 두께를 산출할 수 있는 측정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이송중인 용지 두께 또는 두께 및 용지 구성 재료에 따른 저항변화, 임피던스 변화, 커패시턴스변화, 인덕턴스 변화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특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픽업 또는 이송중인 용지 두께, 용지 표면 특성 및 용지 구성재료에 따른 빛의 반사 특성, 빛의 투과 특성, 및 음파 또는 전자기파의 반사, 투과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용지의 두께를 산출하고, 상기 용지의 두께가 80μm에서 180μm사이의 값을 가지며, 사전에 정해진 보안용지 두께 허용기준에 속하는지를 더 비교함으로써, 상기 용지가 겹지 형태로 제작된 가짜 보안용지 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짜보안 용지를 식별하는 동작을, 픽업된 용지가 이송되어 전사유닛에 도달하기 직전까지의 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이 내보내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한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해서 보안용지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거나, 신호 처리한 값을 가공 및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기법을 더 사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송중인 용지에 대해 상기 센서모듈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짜 보안용지 여부를 판별 후 가짜 보안용지로 판명되면, 보안 인쇄 장치에 대한 보안위반 행위 발생 경보를 주변이나 관리자가 인지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경보발생 신호처리부에 경보 발생 명령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보안 인쇄장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부착된 스피커 또는 경고등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송중인 용지에 대해 상기 센서모듈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짜보안용지 여부인지 식별 후 가짜보안용지로 판명되면, 보안 인쇄 장치에 대한 보안위반 행위 발생 경보를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 또는 관리용 장치에서 인지하도록,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모듈에 경보 전달명령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용지 구분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용지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가 보안 용지로 판별되더라도 상기 겹지구분센서를 통해 용지의 픽업 또는 이송 상태 정보를 더 추가하여 보안용지 여부를 최종 판단함으로써, 상기 보안용지 구분센서의 감지영역내 보안용지 일부 또는 감지물질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비보안용지를 보안용지로 잘못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보안위반 행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10094522A 2021-07-19 2021-07-19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KR10256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22A KR102561580B1 (ko) 2021-07-19 2021-07-19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22A KR102561580B1 (ko) 2021-07-19 2021-07-19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86A KR20230013586A (ko) 2023-01-26
KR102561580B1 true KR102561580B1 (ko) 2023-07-28

Family

ID=8511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522A KR102561580B1 (ko) 2021-07-19 2021-07-19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432A (ja) * 2000-10-05 2002-04-19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2002163820A (ja) * 2000-11-27 2002-06-07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安全線条、偽造防止用紙及び貴重印刷物並びにその真偽判別装置
JP2011123722A (ja) 2009-12-11 2011-06-23 Toppan Printing Co Ltd セキュリティスレッド、セキュリティ用紙及び検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522A (ja) 2007-06-08 2008-12-18 Koreit Co Ltd 保安用印刷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4745A (ko) 2014-07-04 2016-01-13 (주)애니원씨앤씨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101775526B1 (ko) 2015-07-22 2017-09-06 주식회사 소재의맥 화상형성기의 보안용 기록매체 식별유닛
KR101733096B1 (ko) 2015-09-25 2017-05-24 강건우 전자레인지용 밥솥
KR101902233B1 (ko) * 2016-11-03 2018-10-01 방완주 보안용지 구별용 인쇄 장치 및 복수의 인쇄장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432A (ja) * 2000-10-05 2002-04-19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2002163820A (ja) * 2000-11-27 2002-06-07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安全線条、偽造防止用紙及び貴重印刷物並びにその真偽判別装置
JP2011123722A (ja) 2009-12-11 2011-06-23 Toppan Printing Co Ltd セキュリティスレッド、セキュリティ用紙及び検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86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7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nauthorized dissemination of documents and portable media
JP4673366B2 (ja) フィブラスメディアの認識と追跡の方法と装置
US9734363B2 (en) Card reader
KR101734222B1 (ko) 일반 용지 인쇄 제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JPH08329306A (ja) 偽造防止文書の信憑性を検出する方法
US8281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verifying serial numbers using smart labels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KR101195116B1 (ko) 태그가 구비된 기능성 용지 식별용 인쇄장치
KR101775526B1 (ko) 화상형성기의 보안용 기록매체 식별유닛
KR101700166B1 (ko)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프린터의 보안용지 식별장치
KR102561580B1 (ko) 보안용지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보안문서 인쇄방법 및 보안 인쇄장치
WO2011129556A2 (ko) 태그가 구비된 기능성 용지 식별용 인쇄장치
US105731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value documents for marking ink
CN108352098B (zh) 读卡装置、配备读卡装置的自助服务终端及其监控方法
EP3678137B1 (en) Card reader
JP4259156B2 (ja) 印刷出力紙管理装置および方法
RU21559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онтроля защищенных от подделки документов
US7152793B2 (en) Sheets handling machine and sheets discrimination method
EP200679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acitive reading of a code
KR101834751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금융기기
KR102011604B1 (ko)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JP2003517646A (ja) 光学的回折効果を有する安全要素の構造及びその種の要素の制御装置
KR101906147B1 (ko) Fpcb형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한 보안용지 식별장치
KR20230022330A (ko) 유사 보안용지에 대한 인쇄제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인쇄장치
JP4158914B2 (ja) シート状被測定物の材料判別装置及び材料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