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529B1 -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529B1
KR102561529B1 KR1020210121851A KR20210121851A KR102561529B1 KR 102561529 B1 KR102561529 B1 KR 102561529B1 KR 1020210121851 A KR1020210121851 A KR 1020210121851A KR 20210121851 A KR20210121851 A KR 20210121851A KR 102561529 B1 KR102561529 B1 KR 10256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flame
sensor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023A (ko
Inventor
신무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2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01J5/0018Flames, plasma or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은 불꽃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의 듀얼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각 감지영역(S)별로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의 로직 연산을 최적으로 설정한 후, 각 감지영역(S)별로 설정된 최적 로직을 기반으로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각 감지영역(S)별로 최적 로직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각 감지영역(S)의 특성과 환경을 감안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Fire detecting system for enhancing frie detec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화재 감지율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불꽃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의 듀얼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각 감지영역(S)별로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의 로직 연산을 최적으로 설정한 후, 각 감지영역(S)별로 설정된 최적 로직을 기반으로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기술이 발달하고 전자부품이 고도화됨에 따라, 각종 산업현장에는 다수의 복잡한 전선류들 및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설비들이 산재하고 있고, 이에 따라 부품 과부하, 과열, 누전, 접촉불량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사고는 산업현장의 직간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대형 인명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사고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와, 화재감지센서에 의한 화재 감지 시, 소화약제, 물 등을 현장으로 고압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장치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진압 프로세스에 따라 소화장치가 동작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화재진압 프로세스는 우선 공정 중단을 기반으로 운영됨에 따라 과도한 시간, 인력 및 비용 소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수의 센서들을 활용하되, 각 센서의 측정값들에 대한 연산 로직을 최적으로 구성하는 기술이 필요하나, 아직 종래에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175202호(발명의 명칭 :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개시된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화재감지장치(110)와, 모니터링 서버(120), 유관 기관 서버(130)로 이루어진다.
화재감지장치(110)는 대상 건축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도록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부(111)와, 센서부(111)로부터 실시간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112)와, 각각이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건축물의 층별 또는 구역별 설치되어 센서부(111)의 상태를 확인하는 메인 제어기(113)와, 메인 제어기(113)로부터 전송되는 층별 또는 구역별 화재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건축물 전체의 화재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 장치(114)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니터 장치(114)는 센서부(111)에서 감지되는 연기 또는 불꽃 감지 정보, 온도 상승 정보, 단기간 비정상적으로 급등되는 공기 중의 휘발물질의 농도 정보, 기준치 이상의 유해가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화재 발생을 최초 감지한 센서부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화재 정보와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발화점을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링 서버(120)는 화재감지장치(110)로부터 수신 받은 화재정보 및 상황정보를 수신 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경고레벨을 설정한 후, 경고레벨에 따라 현장의 위치 및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130)로 통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원격에서 각 현장의 화재 감지 및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각 센서의 측정값들을 기반으로 화재 감지 시, 각 센서의 측정값들에 대한 로직을 어떻게 최적으로 구성할지에 대한 기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화재 감지의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일시적인 에러 및 오류로 인해 센서부(111)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센서부(111)의 오작동을 판별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센서부(111)의 오작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져 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소화설비는 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 시, 소화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라인, 전원라인, 기체공급라인 또한 차단되기 때문에 소화설비가 구동되지 못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나, 종래기술(100)은 이러한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아, 정전 발생 시, 구축된 소화설비를 운영하지 못하여 화재 진압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불꽃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의 듀얼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각 감지영역(S)별로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의 로직 연산을 최적으로 설정한 후, 각 감지영역(S)별로 설정된 최적 로직을 기반으로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각 감지영역(S)별로 최적 로직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각 감지영역(S)의 특성과 환경을 감안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각 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 감지가 지속되는 경과시간(△T)을 측정한 후, 측정된 경과시간(△T)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여 경과시간(△T)이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센서의 화재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일시적인 센서의 오류 및 장애로 인한 화재 감지를 검증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산업현장의 기 할당된 감지영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불꽃감지센서들과, 상기 감지영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들과,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측정값을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실행되며, 각 감지영역(S)의 각 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상태를 감지상태라고 하되,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미감지상태라고 할 때, 각 감지영역(S)의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감지영역(S)의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에 대한 로직 회로인 최적 로직 정보가 설정되는 최적 로직 설정부;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을 분석하여 각 감지영역(S)의 각 센서에 대한 상태정보들을 검출하는 상태정보 검출부;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 감지영역(S)의 상태정보들을 분석하여,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별하는 화재발생여부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발생여부 판단부는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 감지영역(S)별 상태정보들을 입력받는 상태정보 입력모듈; 상기 최적 로직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각 감지영역(S)별 최적 로직 정보와, 상기 상태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각 감지영역(S)별 상태정보를 활용하여, 각 감지영역(S)의 한 쌍의 상태정보들에 대하여, 해당 감지영역의 최적 로직정보를 적용시켜 각 감지영역(S)별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감지영역(S)들 각각에 설치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발생여부 판단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 결정될 때,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S)에 대응하는 소화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 상기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재진압 데이터를 해당 소화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는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들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모듈; 각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동일 감지영역(S)에 설치된 센서들의 측정값들을 매칭시키는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 상기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각 감지영역(S)의 불꽃감지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해당 불꽃감지센서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 상기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하되, 상기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에서 해당 불꽃감지센서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하는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 상기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에 의한 제1 경과시간(△T1)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 Threshold1)과 비교하며, 1)제1 경과시간(△T1)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해당 불꽃감지센서의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에러)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제1 경과시간(△T1)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해당 불꽃감지센서에서 불꽃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제1 판단모듈; 상기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각 감지영역(S)의 온도감지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각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비교하며, 온도-측정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 상기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하되, 상기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에서 해당 온도감지센서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하는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 상기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에 의한 제2 경과시간(△T2)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 Threshold2)과 비교하며, 1)제2 경과시간(△T2)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의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에러)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제2 경과시간(△T2)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에서 온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제2 판단모듈; 각 감지영역(S)의 불꽃감지센서(51)에 의한 상태정보와, 온도감지센서에 의한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은 1)상기 제1 판단모듈에서, a)불꽃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해당 불꽃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검출하되, b)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해당 불꽃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검출하고, 2)상기 제2 판단모듈에서, a)온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검출하고, b)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에서 이상온도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해당 온도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검출하고, 상기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은 최적 로직이 'AND'로 설정된 감지영역(S)들에 대해서는, 상기 불꽃감지센서의 상태정보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상태정보가 모두 미감지상태이면, 해당 감지영역(S)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며, 최적 로직이 'OR'로 설정된 감지영역(S)들에 애해서는 상기 불꽃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태정보가 미감지상태이면, 해당 감지영역(S)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최적 로직은 ‘AND’, ‘OR’ 또는 ‘N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은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발생여부 판단부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 결정되면, 화재가 발생된 위치 및 내용을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를 생성하는 화재발생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발생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재발생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전송받으면, 기 설정된 후속대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의 듀얼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각 감지영역(S)별로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의 로직 연산을 최적으로 설정한 후, 각 감지영역(S)별로 설정된 최적 로직을 기반으로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감지영역(S)별로 최적 로직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각 감지영역(S)의 특성과 환경을 감안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 감지가 지속되는 경과시간(△T)을 측정한 후, 측정된 경과시간(△T)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여 경과시간(△T)이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센서의 화재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일시적인 센서의 오류 및 장애로 인한 화재 감지를 검증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175202호(발명의 명칭 :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개시된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재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정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재발생여부 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컨트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상태정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상태정보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재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재감지 시스템(1)은 화재 감지 시, 불꽃감지센서, 온도센서 등의 화재감지센서의 일시적인 오작동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후속 프로세스 진행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감지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산업현장(900)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기 설정된 감지영역(S)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5)들과, 각 감지영역(S)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컨트롤러(3)로부터 화재진압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감지영역(S)의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4)들과, 각 산업현장(900)에 설치되어 해당 산업현장(900)의 화재감지센서(5)들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를 판별함과 동시에 화재 판별 시, 화재 발생된 위치의 소화부(4)를 동작시키는 컨트롤러(3-1), ..., (3-N)들과, 컨트롤러(3-1), ..., (3-N)들로부터 전송받은 상태정보 또는 화재발생데이터를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서버(7)와, 모니터링 서버(7) 및 컨트롤러(3-1), ..., (3-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모니터링 서버(7) 및 컨트롤러(3-1), ..., (3-N)들 사이의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망이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 3G, 4G, 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5)들은 각 산업현장(900)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기 할당된 감지영역(S)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각 화재감지센서(5)는 해당 감지영역(S)의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51)와, 해당 감지영역(S)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53)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재감지센서(5)가 불꽃감지센서(51) 및 온도감지센서(5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화재감지센서(5)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사용되는 연기-감지센서, 광-센서, 유해가스-감지센서, 공기질-감지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화재감지센서(5)들은 측정값이 검출되면, 해당 센서의 식별정보와 측정값을 매칭시켜 해당 산업현장(900)의 컨트롤러(3)로 전송한다.
소화부(4)들은 각 산업현장(900)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기 할당된 감지영역(S)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소화부(4)들은 컨트롤러(3)로부터 화재진압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수용된 소화약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모니터링 서버(7)는 컨트롤러(3-1), ..., (3-N)들로부터 분석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분석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모니터링 한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7)는 컨트롤러(3)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화재발생정보를 전송받으면, 소방서, 경찰서 등의 유관기관 서버로 출동요청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기 등록된 해당 산업현장의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화재발생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신속한 후속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컨트롤러(3-1), ..., (3-N)들은 각 산업현장(900)에 설치되어 해당 산업현장(900)의 소화부(4)들 및 화재감지센서(5)들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3)는 동일 영역(S)에 설치되는 각 센서(51), (53)의 최적 로직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때 최적 로직은 각 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상태를 감지상태라고 하고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미감지상태라고 할 때, 해당 영역(S)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동일 영역(S)의 각 센서의 상태에 대한 로직 회로를 의미하고, ‘AND’, ‘OR’ 또는 ‘NOR’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1)최적 로직이 ‘AND’로 설정될 때, 컨트롤러(3)는 동일 영역(S)의 불꽃감지센서(51)와 온도감지센서(53)에서 모두 감지상태가 검출될 때, 해당 영역(S)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 결정할 수 있고, 2)최적 로직이 ‘OR’로 설정될 때, 컨트롤러(3)는 동일 영역(S)의 불꽃감지센서(51) 및 온도감지센서(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감지상태가 검출될 때, 해당 영역(S)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는 감지영역(S)들 중 어느 하나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S)의 위치 및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화재발생정보를 모니터링 서버(7)로 전송한다.
또한 컨트롤러(3)는 화재발생 판단 시, 화재가 발생된 위치의 소화부(4)로 화재진압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소화부(4)는 컨트롤러(3)로부터 화재진압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소화약제를 분사시켜 화재 진압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메모리(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최적 로직 설정부(33), 상태정보 검출부(34), 화재발생여부 판단부(35),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컨트롤러(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최적 로직 설정부(33)를 실행시키고, 최적 로직 설정부(33)에 의해 최적 로직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최적 로직 정보를 메모리(3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불꽃감지센서(51)들 및 온도감지센서(53)들로부터 측정값을 수신 받으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하여 수신 받은 측정값을 모니터링 서버(7)로 전송함과 동시에 수신 받은 측정값을 상태정보 검출부(33)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상태정보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동일 영역별 각 센서의 상태정보를 화재발생여부 판단부(3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화재발생 여부 판별부(35)에서 1)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 및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에서 화재발생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화재발생정보가 모니터링 서버(7)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에서 화재진압 데이터가 생성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하여 생성된 화재진압 데이터를 해당 영역(S)의 소화부(4)로 전송한다.
메모리(31)에는 최적 로직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최적 로직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1)에는 컨트롤러(3)의 위치정보 및 통신식별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1)에는 기 설정된 각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각 불꽃감지센서(51) 및 온도감지센서(53)의 위치 및 통신식별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1)에는 각 소화부(4)의 위치 및 식별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는 모니터링 서버(7), 불꽃감지센서(51)들, 온도감지센서(53)들 및 소화부(4)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최적 로직 설정부(33)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며, 각 영역(S)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동일 감지영역(S)의 각 센서(51), (53)의 상태정보에 대한 로직 회로인 최적 로직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최적 로직 정보는 각 감지영역(S)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AND’, ‘OR’ 또는 ‘NO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상태정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태정보 검출부(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 입력모듈(341)과, 동일 영역(S)별 측정값 매칭모듈(342),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343)로 이루어진다.
측정값 입력모듈(341)은 불꽃감지센서(51)들 및 온도감지센서(53)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들을 입력받는다.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342)은 각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각 센서(51 or 53)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동일 감지영역(S)에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들을 매칭시킨다.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343)은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342)에 의해 매칭된 측정값들 중, A)불꽃감지센서(51)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a)불꽃이 감지되면, 해당 영역의 불꽃감지센서(51)의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출력하고, b)불꽃이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영역의 불꽃감지센서(51)의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출력한다.
또한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343)은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342)에 의해 매칭된 측정값들 중, B)온도감지센서(53)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a)온도 측정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영역의 온도감지센서(53)의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출력하고, b)온도 측정값이 임계치 미만이면, 해당 영역의 온도감지센서(53)의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출력한다.
즉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343)은 각 영역에 대해 2개의 상태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343)에 의해 검출된 각 영역별 상태정보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화재발생여부 판단부(35)로 입력된다.
도 5는 도 4의 화재발생여부 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화재발생여부 판단부(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정보 입력모듈(351)과, 최적 로직 정보 추출모듈(352),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353), 화재발생위치 출력모듈(354)로 이루어진다.
상태정보 입력모듈(351)은 상태정보 검출부(34)에 의해 검출된 각 영역(S)별 상태정보를 입력받는다.
최적 로직 정보 추출모듈(352)은 최적 로직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31)에 저장된 각 영역(S)별 최적 로직 정보를 메모리(31)로부터 추출한다.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353)은 최적 로직 정보 추출모듈(352)에 의해 추출된 각 영역(S)별 최적 로직 정보와, 상태정보 입력모듈(351)을 통해 입력된 각 영역(S)별 상태정보를 활용하여, 각 영역(S)의 한 쌍의 상태정보들에 대하여, 해당 영역의 최적 로직정보를 적용시켜 각 영역(S)별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감지영역(S1)의 최적 로직이 ‘AND’로 설정되고, 해당 감지영역(S1)의 상태정보들이 ‘감지상태(불꽃감지센서)’ 및 ‘미감지상태(온도감지센서)’인 경우, 화재발생여부 최종결정모듈(353)은 해당 감지영역(S1)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예를 들어, 특정 감지영역(S2)의 최적 로직이 ‘OR’로 설정되고, 해당 감지영역(S2)의 상태정보들이 ‘감지상태(불꽃감지센서)’ 및 ‘미감지상태(온도감지센서)’인 경우, 화재발생여부 최종결정모듈(353)은 해당 감지영역(S1)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재발생위치 출력모듈(354)은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353)에서 감지영역(S)들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전술하였던 도 3의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 및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30)는 화재발생여부 판별부(35)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 및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를 실행시킨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를 살펴보면,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는 화재발생여부 판별부(35)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정보 및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에 의해 생성된 화재발생정보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7)로 전송된다.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는 화재발생여부 판별부(35)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검출한 후,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소화부(4)의 식별정보와 화재진압 명령을 포함하는 화재진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에 의해 생성된 화재진압 데이터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해당 소화부(4)로 전송되고, 소화부(4)는 컨트롤러(3)로부터 화재진압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소화약제를 고압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3의 컨트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의 제2 컨트롤러(9)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3)의 제2 실시예이다.
또한 제2 컨트롤러(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하였던 도 3과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갖는 제어부(3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최적 로직 설정부(33), 화재발생여부 판별부(35), 화재발생정보 생성부(36),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37)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컨트롤러(9)는 제2 메모리(91) 및 제2 상태정보 검출부(94)를 더 포함한다.
제2 메모리(91)에는 제1 설정값(TH1, Threshold1) 및 제2 설정값(TH2)이 저장된다.
이때 제1 설정값(TH1)은 불꽃감지센서(51)가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을 감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제1 경과시간(△T1)의 최대값을 의미하고, 제2 설정값(TH2)은 온도감지센서(53)가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하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제2 경과시간(△T2)의 최대값을 의미하고, 제1 경과시간(△T1)은 불꽃감지센서(51)가 최초 감지상태를 출력한 시점부터 감지상태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경과시간을 의미하고, 제2 경과시간(△T2)은 온도감지센서(53)가 최초 감지상태를 출력한 시점부터 감지상태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경과시간을 의미한다.
도 8은 도 7의 제2 상태정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2 상태정보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2 상태정보 검출부(9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 입력모듈(941)과,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942),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944), 제1 판단모듈(945),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947), 제2 판단모듈(948),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949)로 이루어진다.
측정값 입력모듈(941)은 불꽃감지센서(51)들 및 온도감지센서(53)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들을 입력받는다.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942)은 각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각 센서(51 or 53)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동일 감지영역(S)에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들을 매칭시킨다.
이때,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942)에 의해 매칭된 동일 영역의 측정값들은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944), 제1 판단모듈(945),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947) 및 제2 판단모듈(948)에 적용되고, 상기 구성수단(943), (944), (945), (946), (947), (948)들은 각 감지영역(S)별로 수행된다.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은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942)에 의해 매칭된, 각 영역(S)의 불꽃감지센서(51)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불꽃감지센서(51)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은 1)만약 불꽃감지센서(51)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944)을 실행시키고, 2)만약 불꽃감지센서(51)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944)은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한다.
이때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944)은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한다.
즉 제1 경과시간(△T1)은 불꽃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과시간을 의미한다.
제1 판단모듈(945)은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944)에 의해 측정된 제1 경과시간(△T1)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 Threshold1)과 비교한다. 이때 제1 설정값(TH1)은 불꽃감지센서(51)가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을 감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제1 경과시간(△T1)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판단모듈(945)은 1)제1 경과시간(△T1)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불꽃감지센서(51)의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에러)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제1 경과시간(△T1)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불꽃감지센서(51)에서 불꽃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은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942)에 의해 매칭된, 각 영역(S)의 온도감지센서(53)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온도감지센서(53)에서 측정된 온도-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비교한다.
또한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은 온도-측정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은 1)만약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947)을 실행시키고, 2)만약 이상온도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947)은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한다.
이때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947)은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한다.
즉 제2 경과시간(△T2)은 이상온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과시간을 의미한다.
제2 판단모듈(948)은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947)에 의해 측정된 제2 경과시간(△T2)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 Threshold2)과 비교한다. 이때 제2 설정값(TH2)은 온도감지센서(53)가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제2 경과시간(△T2)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2 판단모듈(948)은 1)제2 경과시간(△T2)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온도감지센서(53)의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에러)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제2 경과시간(△T2)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온도감지센서(53)에서 온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949)은 각 영역(S)별로, 불꽃감지센서(51)에 의한 상태정보와, 온도감지센서(53)에 의한 상태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949)은 A)제1 판단모듈(945)에서, a)불꽃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불꽃감지센서(51)에 의한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검출하고, b)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943)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불꽃감지센서(51)에 의한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검출한다.
또한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949)은 A)제2 판단모듈(948)에서, a)온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온도감지센서(53)에 의한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검출하고, b)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946)에서 이상온도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온도감지센서(53)에 의한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검출한다.
이때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949)에 의해 검출된 각 영역별 상태정보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화재발생여부 판별부(35)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재 감지 시스템(1)은 불꽃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의 듀얼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각 감지영역(S)별로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의 로직 연산을 최적으로 설정한 후, 각 감지영역(S)별로 설정된 최적 로직을 기반으로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 감지 시스템(1)은 각 감지영역(S)별로 최적 로직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각 감지영역(S)의 특성과 환경을 감안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 감지 시스템(1)은 각 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 감지가 지속되는 경과시간(△T)을 측정한 후, 측정된 경과시간(△T)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여 경과시간(△T)이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센서의 화재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일시적인 센서의 오류 및 장애로 인한 화재 감지를 검증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화재감지 시스템 3:컨트롤러
4:소화부 5:화재감지센서
7:모니터링 서버 9:제2 컨트롤러
10:통신망 30:제어부
31:메모리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최적 로직 설정부 34:상태정보 검출부
35:화재발생여부 판별부 36:화재발생정보 생성부
37: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 51:불꽃감지센서
53:온도감지센서 91:제2 메모리
94:제2 상태정보 검출부 341:측정값 입력모듈
342: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 343: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
351:상태정보 입력모듈 352:최적 로직 정보 추출모듈
353: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 354:화재발생위치 출력모듈
941:측정값 입력모듈 942: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
943: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 944: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
945:제1 판단모듈 946: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
947: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 948:제2 판단모듈
949: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

Claims (5)

  1. 산업현장의 기 할당된 감지영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불꽃감지센서들과, 상기 감지영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들과,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측정값을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실행되며, 각 감지영역(S)의 각 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상태를 감지상태라고 하되,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미감지상태라고 할 때, 각 감지영역(S)의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감지영역(S)의 각 센서의 상태정보들에 대한 로직 회로인 최적 로직 정보가 설정되는 최적 로직 설정부;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을 분석하여 각 감지영역(S)의 각 센서에 대한 상태정보들을 검출하는 상태정보 검출부;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 감지영역(S)의 상태정보들을 분석하여, 각 감지영역(S)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별하는 화재발생여부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발생여부 판단부는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 감지영역(S)별 상태정보들을 입력받는 상태정보 입력모듈;
    상기 최적 로직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각 감지영역(S)별 최적 로직 정보와, 상기 상태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각 감지영역(S)별 상태정보를 활용하여, 각 감지영역(S)의 한 쌍의 상태정보들에 대하여, 해당 감지영역의 최적 로직정보를 적용시켜 각 감지영역(S)별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감지영역(S)들 각각에 설치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발생여부 판단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 결정될 때,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S)에 대응하는 소화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
    상기 화재진압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재진압 데이터를 해당 소화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검출부는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들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모듈;
    각 감지영역(S)의 위치정보와, 상기 불꽃감지센서들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들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동일 감지영역(S)에 설치된 센서들의 측정값들을 매칭시키는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
    상기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각 감지영역(S)의 불꽃감지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해당 불꽃감지센서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
    상기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하되, 상기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에서 해당 불꽃감지센서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하는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
    상기 제1 경과시간 측정모듈에 의한 제1 경과시간(△T1)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 Threshold1)과 비교하며, 1)제1 경과시간(△T1)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해당 불꽃감지센서의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에러)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제1 경과시간(△T1)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해당 불꽃감지센서에서 불꽃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제1 판단모듈;
    상기 동일 영역별 측정값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각 감지영역(S)의 온도감지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각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비교하며, 온도-측정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
    상기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하되, 상기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에서 해당 온도감지센서에서 이상온도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하는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
    상기 제2 경과시간 측정모듈에 의한 제2 경과시간(△T2)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 Threshold2)과 비교하며, 1)제2 경과시간(△T2)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의 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에러)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제2 경과시간(△T2)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에서 온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제2 판단모듈;
    각 감지영역(S)의 불꽃감지센서(51)에 의한 상태정보와, 온도감지센서에 의한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영역별 상태정보 검출모듈은
    1)상기 제1 판단모듈에서, a)불꽃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해당 불꽃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검출하되, b)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불꽃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불꽃감지여부 판별모듈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해당 불꽃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검출하고,
    2)상기 제2 판단모듈에서, a)온도 측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해당 온도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감지상태’로 검출하고, b)일시적인 오류 및 장애로 인해 이상온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이상온도 발생여부 판별모듈에서 이상온도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해당 온도감지센서의 상태정보를 ‘미감지상태’로 검출하고,
    상기 화재발생여부 최종 결정모듈은
    최적 로직이 'AND'로 설정된 감지영역(S)들에 대해서는, 상기 불꽃감지센서의 상태정보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상태정보가 모두 미감지상태이면, 해당 감지영역(S)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며, 최적 로직이 'OR'로 설정된 감지영역(S)들에 애해서는 상기 불꽃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태정보가 미감지상태이면, 해당 감지영역(S)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로직은 ‘AND’, ‘OR’ 또는 ‘N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은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화재발생여부 판단부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최종 결정되면, 화재가 발생된 위치 및 내용을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를 생성하는 화재발생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발생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재발생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전송받으면, 기 설정된 후속대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210121851A 2021-09-13 2021-09-13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56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51A KR102561529B1 (ko) 2021-09-13 2021-09-13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51A KR102561529B1 (ko) 2021-09-13 2021-09-13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23A KR20230039023A (ko) 2023-03-21
KR102561529B1 true KR102561529B1 (ko) 2023-07-31

Family

ID=8580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851A KR102561529B1 (ko) 2021-09-13 2021-09-13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598B1 (ko) * 2019-10-28 2021-02-24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설비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690A (ko) * 2008-07-21 2010-01-29 에스시스템(주) 화재 다중 신호를 조합한 로직 프로그램이 내장된 화재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 판독 방법
KR102501053B1 (ko) * 2015-12-03 2023-02-17 주식회사 태경테크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598B1 (ko) * 2019-10-28 2021-02-24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설비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23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32937A1 (zh) 一种电力电缆故障监测方法及装置
KR101696753B1 (ko) 원격 소방 모니터링 시스템
CN104464158B (zh) 一种火灾报警的联动控制方法及系统
EP3608888B1 (en) Intelligent space safety monitoring system
KR102561528B1 (ko) 우선순위 기반 화재감시 시스템
US20200370990A1 (en) Gas leak monitoring system
KR20180001953A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45887B1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7561B1 (ko)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100977562B1 (ko) 온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CN112312976B (zh) 用于带有易碎泡状物的消防喷洒器的裂纹检测功能
KR101382353B1 (ko) 온도 센서에 신호에 의한 화재 발생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을 활용한 오동작 방지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561529B1 (ko) 화재 감지율을 높인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329774B1 (ko)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KR102583460B1 (ko) 화재 감지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인 화재감지 시스템
KR101909671B1 (ko) 지진 모니터링 현장 제어 장치
KR20100053128A (ko)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263291B1 (ko)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US20060202844A1 (en) Structure failure alert system
KR20210139131A (ko)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440902B1 (ko) 가스식 소화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TWI401624B (zh) 多重危害偵測及控制系統及其方法
EP3404633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tmospheric characteristics and detecting fires
CN207424854U (zh) 一种计算机监控装置及系统
EP3836104B1 (en) Identification of cap or cover on a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