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405B1 - 폐사돈 처리 기기 - Google Patents

폐사돈 처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405B1
KR102561405B1 KR1020220161650A KR20220161650A KR102561405B1 KR 102561405 B1 KR102561405 B1 KR 102561405B1 KR 1020220161650 A KR1020220161650 A KR 1020220161650A KR 20220161650 A KR20220161650 A KR 20220161650A KR 102561405 B1 KR102561405 B1 KR 10256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ner space
grinding
target
hea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도현
김재수
Original Assignee
세진이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이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이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3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 disc rotor having generally radially extending slots or openings bordered with cut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는,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분쇄대상을 분쇄시켜 획득한 건조대상을 내부공간에서 건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로서, 건조대상에 전방향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내부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켜 건조대상으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고 배출하는 처리유닛 및처리유닛의 내부공간으로 분쇄대상이 투입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분쇄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인 제2 영역에서 상기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는 분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사돈 처리 기기 {SWINE WASTE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폐사돈 처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간접가열방식으로 가열 면적 및 가열 시간을 증가시켜 기존 폐사돈 처리 기기 대비 소비에너지를 절감시킬뿐만 아니라, 복수의 분쇄영역을 두고 폐사돈을 분쇄하는 방식을 통해 분쇄 처리 시간을 단축시켜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사돈 처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의 전염병 발생으로 폐사된 돼지의 사체나, 다른 원인으로 폐사된 돼지의 사체, 즉, 폐사돈을 처리하기 위해서, 매몰처리방법, 소각처리 방법 등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몰처리 방법의 경우에는 매몰지 선정이 어렵다는 문제, 상술한 폐사돈 매몰 처분지에 매몰된 폐사돈의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부패된 폐사돈으로 인한 토양 및 침출수의 오염으로 인한 2차 환경오염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폐사된 가축인 경우에는, 전염병 발생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역을 진행하여야 하며, 살처분을 행하는 운영인력의 정신적 트라우마 등의 2차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소각처리 방법의 경우에는 혐오시설로 취급되어 시설의 유치가 어려워 소각시설의 부족으로 상술한 폐사돈의 수가 많을 경우에 즉시 처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소각처리 방법의 경우에는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 분진, 악취 발생 등으로 인하여 주변 주민들로부터 많은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몰처리 방법이나 소각처리 방법을 통하여 상술한 동식물의 폐사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설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로 폐사돈을 운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운송비용발생, 이동 과정에서 폐사돈의 부패진행, 병원균에 오염된 폐사돈으로 인한 2차 오염의 문제 등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폐사돈을 처리하기 위해 기계식 열처리 방식과 분쇄방식을 이용한 폐사돈의 퇴비화 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폐사돈을 처리하는 기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03656호와 같이 내부의 폐사돈을 직접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에서 상술한 폐사돈을 직접 가열한 다음 처리 기기로 투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처리 공간으로 열을 고르게 전달하기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처리시간이 소요되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에서 폐사돈을 직접 가열하는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 처리장치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5980호와 같이 공간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열매체를 순환시켜 폐사돈으로 열을 간접 전달하는 처리하는 방식을 개발하였으나, 공간의 하부만을 감싸는 단순한 이동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가열면적과 가열시간이 크게 증가되지 않아 내부공간의 폐사돈을 향해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체적으로 개발한 구조를 통한 폐사돈의 분쇄는, 내부 공간의 외측 영역에서 한번 이루어진 다음 바로 교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단한 뼈부위 같은 경우에는 처리가 완료되더라도 완벽하게 분쇄되지 못하고 잔존한다는 힌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량이 시급한 실정이다.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분쇄대상을 분쇄시켜 획득한 건조대상을 건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량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건조대상에 전방향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내부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켜 건조대상으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고 배출하는 처리유닛 및처리유닛의 내부공간으로 분쇄대상이 투입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분쇄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인 제2 영역에서 상기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는 분쇄유닛를 포함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는,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분쇄대상을 분쇄시켜 획득한 건조대상을 상기 내부공간에서 건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로서, 상기 건조대상에 전방향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건조대상으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고 배출하는 처리유닛; 및 상기 처리유닛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분쇄대상이 투입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분쇄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인 제2 영역에서 상기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는 분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건조대상을 교반하며 재분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유닛은, 일측은 상기 폐사돈이 투입되고 타측은 상기 처리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1차 분쇄하는 제1 분쇄부; 및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일측이 상기 건조대상을 교반시키고 타측은 상기 제2 영역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상기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분쇄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유출방지부재; 및 분쇄 과정에서 폐사돈의 체액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쇄부는, 반구형태의 분쇄날이 상기 제2 영역의 둘레에 점 접촉되어 상기 건조대상을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날은,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점접촉을 통해 상기 폐사돈을 분쇄하도록, 반구형태의 외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톱밥 및 석회를 기설정된 투입비로 투입하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비는, 상기 석회, 상기 톱밥 및 상기 폐사돈의 비가 1 : 3 : 17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폐사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및 가열된 상기 열매체가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건조대상으로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는 열매체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매체순환부는, 외부에서 가열된 상기 열매체가 일측으로 인입되며, 인입되는 영역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열매체의 제1 순환 및;
상기 제1 순환에 의해 상기 열매체가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는 전방향으로 순환하는 제2 순환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폐사돈 처리 기기는 제1 위치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적재부에 적재하고, 상기 제1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적재부에 하향경사를 형성하여 이송부를 통해 상기 분쇄대상을 상기 분쇄유닛으로 전달하는 운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사돈 처리 기기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간접가열방식으로 가열 면적 및 가열 시간을 증가시켜 기존 폐사돈 처리 기기 대비 소비에너지를 절감시킬뿐만 아니라, 복수의 분쇄영역을 두고 폐사돈을 분쇄하는 방식을 통해 분쇄 처리 시간을 단축시켜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전체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의 제1 영역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1 영역분쇄부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1 영역분쇄부를 통해 내부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의 제2 영역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교반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분쇄 및 교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분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처리유닛에서 열매체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처리유닛에서 열매체순환부가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몸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가열유닛에 의한 열매체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전체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의 제1 영역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1 영역분쇄부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1 영역분쇄부를 통해 내부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의 제2 영역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교반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분쇄 및 교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분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분쇄유닛에서 제2 영역분쇄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처리유닛에서 열매체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처리유닛에서 열매체순환부가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몸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순환유닛에 의한 열매체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10)는 외부에서 이송된 폐사돈을 처리하기 위해 폐사돈인 분쇄대상을 내부공간(121)으로 투입시키고 상술한 분쇄대상을 분쇄시켜 획득한 건조대상을 내부공간(121)에서 건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1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사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분쇄대상과 건조대상은 견고한 뼈를 가지고 있어서 분말 처리시에 분쇄시간이 오래 걸리는 다른 폐사된 가축의 사체나, 다른 원인으로 폐사된 가축, 어류의 사체 또는 열매 속에 있는 견고한 씨를 가지고 있는 식물의 폐기물 혹은 잔재물로 변경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처리유닛(100), 분쇄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처리유닛(100)은 열매체가 내부공간(121)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상술한 건조대상으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처리유닛(100)은 상술한 건조대상에 전방향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내부공간(121)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외부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내부공간(121)을 감싸는 전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써 건조대상으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유닛(100)은 몸체부(120), 열매체순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120)는 내부에 상술한 내부공간(121)이 마련되며, 내부공간(121)의 일측에 투입공간(122)이 연통되어 외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121)의 타측에는 배출공간(123)이 연통되어 외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유닛(100)의 세부적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분쇄유닛(200)을 설명한 후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분쇄유닛(200)은 상술한 처리유닛(100)의 내부공간(121)으로 상술한 분쇄대상이 투입되는 제1 영역에서 분쇄대상을 분쇄하여 상술한 건조대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분쇄유닛(200)은 상술한 내부공간(121)의 내주면인 제2 영역에서 상술한 건조대상을 재분쇄함으로써, 분쇄 처리 시간을 단축시켜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분쇄유닛(200)은 복수의 분쇄영역을 두고 폐사돈을 다단계로 분쇄하는 방식을 통해 어느 한 지점에서 분쇄하는 방식보다 분쇄 처리 시간을 단축시켜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분쇄유닛(200)은 상술한 내부공간(121)의 내주면인 제2 영역에서 건조대상을 교반함과 동시에 재분쇄함으로써,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유닛(200)은 제1 분쇄부(220), 제2 분쇄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쇄부(220)는 상술한 제1 영역에서 분쇄대상을 1차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일측은 폐사돈, 즉 분쇄되기 전의 분쇄대상이 투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처리유닛(100)의 내부공간(121)과 연통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분쇄대상의 분쇄가 완료됨으로 획득된 건조대상이 처리유닛(100)의 내부공간(121)으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쇄부(220)는 메인프레임(221), 커터(222), 구동풀리(2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메인프레임(221)은 처리유닛(100)의 투입공간(12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221)의 내부에는 투입공간(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방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쇄대상이 투입되는 제1 영역인 개방공간(C)에 배치되는 커터(222)를 통해 공급된 분쇄대상을 분쇄하여 상술한 건조대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커터(222)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프레임(221)의 외부 일측에서 상술한 커터(222)의 중심축과 축결합되는 구동풀리(223)가 형성되고, 구동풀리(223)를 구동모터에 연결시킴으로써 커터(222)를 통해 제1 영역에서 분쇄대상을 분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쇄부(220)는 회전되는 커터(222)를 가속시켜 분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인프레임(221)의 외부 타측에는 상술한 커터(222)의 중심축과 축결합되는 중량체(2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분쇄부(220)는 분쇄 과정에서 분쇄대상인 폐사돈의 체액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방지부재(225)는 하부가 개방되어 메인프레임(22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폐사돈인 분쇄대상의 투입을 위해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방지부재(225)는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커버(225a)를 마련하고 실린더(225b)를 구비하여 개폐시킴으로써, 제1 영역에서 분쇄대상이 분쇄되는 중에는 개폐커버(225a)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분쇄대상이 투입될 때만 개폐커버(225a)가 선택적으로 열리도록 마련함으로써, 폐사돈의 체액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쇄부(220)는 열매체를 통해 상술한 내부공간(121)의 온도를 높일 경우에, 내부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유출방지부재(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출방지부재(226)는 메인프레임(221)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방지부재(2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내부공간(121)의 내부열이 투입공간(122) 및 개방공간(C)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내부공간(121)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투입공간(122)과 투입공간(122)에 연결된 유출방지부재(226)의 사이에는 씰링이 형성되어 상술한 유출방지부재(226)의 내부열 유출방지를 보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대상을 재분쇄하기 위한 제2 분쇄부(240)는, 회전축(242)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쇄부(240)는 일측이 건조대상을 교반시키고 타측은 제2 영역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교반과 재분쇄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분쇄부(240)는 회전하는 구조를 통해 내부공간(121)으로 투입된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면서 교반하기 위해 회전축(242), 제1 교반부재(244), 제2 교반부재(246), 분쇄커팅부재(24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242)은 내부공간(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12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처리 유닛의 내부공간(121)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42)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회전축(242) 상에 제1 교반부재(244), 제2 교반부재(246), 분쇄커팅부재(249)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교반부재(244)는 회전축(242)의 양단에 대칭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242)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반부재(244)에는 분쇄환마(244a)와 후술할 교반날개부재(248)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교반부재(244)는 일단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하여 회전 시에 건조대상의 뼈를 포함하여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분쇄환마(244a)는 제1 교반부재(244)의 일면에서, 제1 교반부재(244)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회전에 따라 접촉되는 건조대상을 재분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교반부재(244)는 회전축(242)의 양단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교반부재(246)는 상술한 제1 교반부재(244) 사이에서 제1 교반부재(244)와 다른 길이방향을 가지고 회전축(242)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242)의 양단에 대칭으로 형성된 제1 교반부재(244)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교반부재(246)는 제1 교반부재(244)와 다른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회전축(242)의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교반부재(246)와 제1 교반부재(244)의 사이에 후술할 교반날개부재(248)가 연결될 수 있다면, 제1 및 제2 교반부재(244,246)가 이루는 각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정리하자면, 제2 분쇄부(240)는 회전하는 제1 교반부재(244) 및 제2 교반부재(246)를 통해 건조대상을 교반하는 동시에, 제1 교반부재(244)에 마련된 분쇄환마(244a)와 후술할 분쇄커팅부재(249)를 통해 상술한 제2 영역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건조대상을 재분쇄할 수 있다.
즉, 분쇄유닛(200)은 일차적으로 제1 분쇄부(220)를 통해 분쇄대상을 분쇄하여 건조대상을 획득하고 이차적으로 제2 분쇄부(240)의 분쇄환마(244a)를 통해 건조대상을 분쇄하며, 최종적으로 제2 분쇄부(240)의 분쇄커팅부재(249)를 통해 건조대상을 다단계로 재분쇄함으로써, 분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건조대상을 재분쇄하기 위한 분쇄커팅부재(249)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분쇄커팅부재(249)는 회전축(242) 상에서 제1 교반부재(244)와 제2 교반부재(246) 사이에 배치되어 건조대상(D)을 재분쇄할 수 있다.
이때, 분쇄커팅부재(24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분쇄날(249a)이 마련되되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상술한 제2 영역, 즉,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점접촉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제1 분쇄부(220) 및 상술한 분쇄환마(244a)를 통해 완전하게 분쇄되지 못하고 건조대상에 잔존하는 날카롭고 견고한 뼈(D1)를 으깨어 최종적으로 재분쇄(D2)함에 따라 분쇄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날(249a)이 반원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중앙측 변곡점이 내부공간(121)의 내주면 둘레, 즉, 제2 영역에 점 접촉되면서 건조대상이 재분쇄될 수 있다.
이때, 분쇄날(249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태의 외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제1 돌기(249b)가 형성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제2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점접촉을 통해 건조대상을 최종적으로 재분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내부공간(121)에는 상술한 점접촉의 수를 늘리기 위해 제1 돌기(249b)와 점접촉되는 복수의 제2 돌기(249c)가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분쇄날(249a)은 건조대상을 최종적으로 재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방향으로 배열된 단위날이 분쇄커팅부재(249)에 마련되어 분쇄커팅부재(249)가 회전하면서 단위날이 내부공간(121)에서 중앙측으로 돌출된 요철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쇄커팅부재(249)는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응집된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거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거날은 분쇄날(249a)과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커팅부재(249)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대향하도록 고정되어 응집된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거날은 응집된 잔여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분쇄날(249a)과 함께 분쇄커팅부에 마련되어 혼용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면 그 형상,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제거날의 형상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거날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접촉되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중앙측 첨단부가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점 접촉되도록, 단면이 삼각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분쇄커팅부재(249)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사를 가진 양날를 통해 상술한 잔여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거날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내부공간(121)의 분쇄커팅부재(249)의 일단에 고정되고, 그 반대측 타면이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면접촉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거날은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응집된 잔여물을 제거할 수만 있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물의 특성에 따라 일면이 분쇄커팅부재(249)의 일단에 고정되고, 그 반대측 타면이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면접촉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거날은 응집된 잔여물의 특성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내부공간(121)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위날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삼지창 형태로 마련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제거날은 내부공간(121)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접촉면을 가지는 호미 또는 쟁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분쇄부(240)는 교반날개부재(2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날개부재(248)는 제1 교반부재(244)와 제2 교반부재(246)에 연결되어 상술한 회전축(242)의 회전에 의하여 재분쇄 및 교반이 이루어진 건조대상을 상술한 처리유닛(100)의 배출공간(123)으로 이동시켜 처리유닛(100)이 처리가 완료된 건조대상을 분말 형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교반날개부재(248)는 제1 교반날개(248a), 제2 교반날개(248b), 제3 교반날개(24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반날개(248a)는 한쌍의 제1 교반부재(244)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및 제2 교반부재(246)의 일측에 나선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교반날개(248a)는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제1 교반부재(24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교반부재(244)의 타단에는 후술할 제3 교반날개(248c)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제1 교반부재(244)의 일단에 연결된 제1 교반날개(248a)는 회전축(242) 상에서 제1 교반부재(244)와 다른 각도로 회전축(242)의 중앙측에 배치된 제2 교반부재(246)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나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교반날개는 한쌍의 제1 교반부재(244)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및 제2 교반부재(246)의 타측에 나선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교반날개(248b)는 우측 제1 교반부재(24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제1 교반부재(244)의 타단에도 후술할 제3 교반날개(248c)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제1 교반부재(244)의 일단에 연결된 제2 교반날개(248b)는 회전축(242) 상에서 제1 교반부재(244)와 다른 각도로 회전축(242)의 중앙측에 배치된 제2 교반부재(246)의 타측에 연결됨으로써 전술한 제1 교반날개(248a)와 마찬가지로 나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교반날개(248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교반부재(244)의 타측에서 제2 교반날개(248b)가 배치된 회전축(242)의 중앙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술한 내부공간(121)의 둘레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제1 교반날개(248a) 및 제2 교반날개(248b)의 교반을 보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쇄유닛(200)은 혼합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부(260)는 내부공간(121)에 위치한 건조대상의 건조를 위해 왕겨, 모래, 석회 및 생석회액,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부공간(121)으로 투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합부(260)는 내부공간(121)의 폐사돈, 즉 건조대상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톱밥 및 체액을 응고시키기 위한 석회를 기설정된 투입비로 투입할 수 있으며, 이때 석회, 톱밥 및 폐사돈의 투입비는 1 : 3 : 17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사돈을 총 850kg(약 돼지 3마리) 투입했다고 가정했을 때, 혼합부(260)로부터 투입되는 톱밥은 50kg일 수 있으며, 이때 석회는 100kg일 수 있다.
처리유닛(100) 및 분쇄유닛(200)은 폐사돈을 상술한 투입비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폐사돈을 가열, 분쇄, 교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폐사돈을 최종적인 분말 형태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설정된 시간은 18시간일 수 있다.
한편, 몸체부(120), 열매체순환부(140)를 포함하는 처리유닛(10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사돈, 구체적으로 분쇄대상을 분쇄하여 획득한 건조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121)을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공간(122), 배출공간(12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매체순환부(140)는 가열된 열매체가 이동하여 내부공간(121)에 수용된 건조대상으로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내부공간(121)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공간(121)은, 지면에 수평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몸체부(120)는 내부에 지면에 수평한 중심축을 가진 원통형의 내부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내부공간(121)을 감싸도록 열매체순환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열매체는 상술한 열매체순환부(140)를 순환하면서 내부공간(121)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면, 그 형태, 성분 등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열매체는 물 대비 낮은 압력에서 온도 사용범위가 넓고, 열전도 효율이 높으며 에너지 절감능력이 뛰어난 유기화합물인 열매체유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매체로 열매체유를 사용함으로써, 열매체순환부(140)에 대한 부식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스팀보일러 가열방식 대비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열매체유는 제품의 화학구조, 제조방법, 사용상태 등에 따라 일반광물성 열매체유, 방향족 열매체유, 고급합성 열매체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150 내지 180℃열만을 전달하여 건조대상을 건조시키는데 있어 부족함이 없다면, 열매체유를 비용이 저렴한 일반광물성 열매체유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열매체유는 열안정성과 사용수명 및 재생기능을 고려하여 단일방향족화합물 혹은 몇 가지 방향족화합물의 일정비례의 혼합물로서 주로 합성반응을 통하여 생산되는 고급합성 열매체유로 선정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순환부(140)는 상술한 열매체가 내부공간(121)의 둘레를 따라 전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외부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일측으로 인입되게 마련되고,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열매체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열매체순환부(1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끝단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 도 1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열매체순환부(140)는 몸체부(120)의 내측면과 내부공간(12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공간(121)을 완전히 감싸도록 배치되어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열매체순환부(140)는 투입공간(122)과 연통되는 내부공간(121)의 일측과 배출공간(123)과 연통되는 내부공간(121)의 다른 일측을 제외하고 내부공간(121)을 모두 감싸도록 배치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를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기준면으로 절단한 단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열매체순환부(140)의 내주면에는 내부공간(121)의 외주면이 접하고, 열매체순환부(140)의 외주면에는 몸체부(12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121)이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몸체부(120)의 내측면도 내부공간(121)과 동축을 갖는 원통의 내주면이라 가정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를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기준면으로 절단한 단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열매체순환부(140)는 내부공간(121)의 외주면에서 몸체부(120)의 내주면까지 떨어진 거리를 두께로 가질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21)의 두께(121d) 보다 몸체부(120)의 두께(120d)를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열매체순환부(140)는 내부공간(121)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열매체를 순환시키되, 순환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한번 열매체의 이동경로가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사돈 처리 기기(10)는 순환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유닛(300)은 가열부(320), 순환펌프부(340), 유입부(360), 유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열매체순환부(140)의 일측에 연결된 유입부(360)와 타측에 연결된 유출부(3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부(340)와 가열부(320)에 각각 연결되어 열매체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히터(322)를 통해 순환되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가열로 인해 열매체가 열매체순환부(140)를 포함하는 순환경로 내에서 기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증기폭발을 방지하도록 기화된 열매체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부재(32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조절부재(326)는 열매체를 배출할 경우, 유독성분과 악취가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가열부(320)는 열매체투입관(324)을 통해 상술한 순환경로상에서 열매체를 완전히 인출하거나 다시 투입할 수 있다.
순환펌프부(340)는 상술한 열매체유를 포함하는 열매체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구조, 형태 등은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해 순환펌프부(340)에 대하여 설명하면 순환펌프부(340)는 유지보수가 간단하도록 원심 볼류트 펌프일 수 있으며, 자연 공랭식 냉각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자면 열매체순환부(140)는, 외부의 순환유닛(300)에 의해서 가열된 열매체가 일측으로 인입되며, 인입되는 영역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외부의 순환유닛(300)으로 인출되는 열매체의 제1 순환이 이루어지고, 제1 순환에 의해 열매체가 내부공간(121)을 감싸는 전방향으로 순환하는 제2 순환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열매체순환부(140)는 제1 순환과 제2 순환이 만나는 지점에서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열매체가 일방향으로만 이동하지 않고 내부공간(121)을 감싸는 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내부공간(121)의 건조대상을 향해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매체순환부(140)는 제1 순환과 제2 순환의 흐름을 통해 열매체순환부(140) 내의 일영역에서 유체의 흐름 일부가 교란받아 소용돌이, 또는 와류, 즉, 다시 말해 제3 순환이 발생시킴으로써 내부공간(121)에 대한 가열면적과 가열시간을 증가시켜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압력을 압력조절부재(326)를 통해 컨트롤함으로써 증기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사돈 처리 기기(10)는 필터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닛(400)은 유로(421)를 통해 내부공간(121)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121)에서 열매체를 통해 건조대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기체를 일정량 배출함으로써, 내부공간(121)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배출되는 기체는 1차 필터(420) 및 2차 필터(440)를 통해 정화시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사돈 처리 기기(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유닛(100), 분쇄유닛(200), 순환유닛(300), 필터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반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유닛(100), 분쇄유닛(200), 순환유닛(300) 및 필터유닛(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처리유닛(100), 분쇄유닛(200), 순환유닛(300) 및 필터유닛(400)과 동일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겠다.
운반유닛(500)은, 구체적으로 적재부(520), 이송부(540)를 포함할 수 잇다.
적재부(520)는 분쇄대상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분쇄대상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면에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적재부(520)는 제1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에서 하향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틸팅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부(520)는 지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적재판이 지면과 수평상태로 유지되다가 제2 위치에서 틸팅되면서 하향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540)는 제2 위치에서 상술한 분쇄유닛(200)의 개방공간(C)까지 폐사돈, 즉, 분쇄대상이 이동되어지도록 몸체부(120)의 상부측에 컨베이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 유닛은 제1 위치에서 분쇄대상을 적재부(520)에 적재하고, 제1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위치에서 적재부(520)의 적재판을 하측으로 틸팅시킴으로써 하향경사를 형성하여 분쇄대상을 이송부(540)로 전달하고, 이송부(540)는 적재부(520)로부터 전달받은 폐사돈, 즉 분쇄대상을 분쇄유닛(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사돈 처리 기기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간접가열방식으로 처리될 폐사돈으로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처리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기존 폐사돈 처리 기기 대비 소비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입에서 배출까지 처리의 전체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20: 폐사돈 처리 기기
100: 처리유닛
120: 몸체부
121: 내부공간
122: 투입공간
123: 배출공간
140: 열매체순환부
200: 분쇄유닛
220: 제1 분쇄부
221: 메인프레임
222: 커터
223: 구동풀리
224: 중량체
C: 개방공간
225: 확산방지부재
225a: 개폐커버
225b: 실린더
226: 유출방지부재
240: 제2 분쇄부
242: 회전축
244: 제1 교반부재
244a: 분쇄환마
246: 제2 교반부재
248: 교반날개부재
248a: 제1 교반날개
248b: 제2 교반날개
248c: 제3 교반날개
249: 분쇄커팅부재
249a: 분쇄날
248b: 제1 돌기
249c: 제2 돌기
260: 혼합부
300: 순환유닛
320: 가열부
322: 히터
324: 열매체투입관
326: 압력조절부재
340: 순환펌프부
360: 유입부
380: 유출부
400: 필터유닛
421: 유로
420: 1차 필터
440: 2차 필터
500: 운반유닛
520: 적재부
540: 이송부

Claims (10)

  1.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분쇄대상을 분쇄시켜 획득한 건조대상을 상기 내부공간에서 건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로서,
    상기 건조대상에 전방향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건조대상으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고 배출하는 처리유닛; 및
    상기 처리유닛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분쇄대상이 투입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분쇄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인 제2 영역에서 상기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는 분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폐사돈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및 가열된 상기 열매체가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건조대상으로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는 열매체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매체순환부는,
    외부에서 가열된 상기 열매체가 일측으로 인입되며, 인입되는 영역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열매체의 제1 순환 및 상기 제1 순환에 의해 상기 열매체가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는 전방향으로 순환하는 제2 순환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순환 및 상기 제2 순환의 흐름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일영역에서 상기 열매체의 흐름 일부가 교란받아 소용돌이 또는 와류인 제3 순환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대한 가열면적 및 가열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3 순환에 의해 증가된 압력으로 인한 증기폭발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건조대상을 교반하며 재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은,
    일측은 상기 폐사돈이 투입되고 타측은 상기 처리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1차 분쇄하는 제1 분쇄부; 및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일측이 상기 건조대상을 교반시키고 타측은 상기 제2 영역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상기 건조대상을 재분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쇄부는,
    반구형태의 분쇄날이 상기 제2 영역의 둘레에 점 접촉되어 상기 건조대상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은,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점접촉을 통해 상기 폐사돈을 분쇄하도록, 반구형태의 외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톱밥 및 석회를 기설정된 투입비로 투입하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비는,
    상기 석회, 상기 톱밥 및 상기 폐사돈의 비가 1 : 3 : 1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분쇄대상을 적재부에 적재하고, 상기 제1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적재부에 하향경사를 형성하여 이송부를 통해 상기 분쇄대상을 상기 분쇄유닛으로 전달하는 운반유닛을 더 포함하는,
    폐사돈 처리 기기.
KR1020220161650A 2022-11-28 2022-11-28 폐사돈 처리 기기 KR102561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650A KR102561405B1 (ko) 2022-11-28 2022-11-28 폐사돈 처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650A KR102561405B1 (ko) 2022-11-28 2022-11-28 폐사돈 처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405B1 true KR102561405B1 (ko) 2023-08-01

Family

ID=875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650A KR102561405B1 (ko) 2022-11-28 2022-11-28 폐사돈 처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4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910A (ja) * 1998-07-13 2000-01-25 Shiyoujimisao Seisakusho:Kk 厨房領域の生ゴミ処理装置
JP2008264756A (ja) * 2007-03-23 2008-11-06 Kunitomo Kankyo Plant:Kk 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該処理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有機資材
KR101256891B1 (ko) * 2008-12-12 2013-04-22 동우바이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694481B1 (ko) *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CN211613002U (zh) * 2019-12-23 2020-10-02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方便使用的化学实验用研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910A (ja) * 1998-07-13 2000-01-25 Shiyoujimisao Seisakusho:Kk 厨房領域の生ゴミ処理装置
JP2008264756A (ja) * 2007-03-23 2008-11-06 Kunitomo Kankyo Plant:Kk 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該処理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有機資材
KR101256891B1 (ko) * 2008-12-12 2013-04-22 동우바이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694481B1 (ko) *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CN211613002U (zh) * 2019-12-23 2020-10-02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方便使用的化学实验用研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20120046076A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104182B1 (ko) 폐사 가축의 친환경 처리 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372025B1 (ko) 축산 폐기물 재활용 교반분쇄기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KR200470568Y1 (ko)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561405B1 (ko) 폐사돈 처리 기기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KR101204601B1 (ko) 폐사 어류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생산장치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KR10102646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부 구조
KR1002740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0242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57965B1 (ko) 함수 쓰레기 건조장치
KR100539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374388B1 (ko)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401999B1 (ko) 동물사체 퇴비화 장치
KR100293725B1 (ko) 음식폐기물, 생활하수 슬러지와 동물분뇨를 활용하여 사료 및 퇴
KR102138424B1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102636663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KR1002260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처리물을 주원료로 하는 성형소재 제조기
KR102526820B1 (ko)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20220138946A (ko)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