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304B1 -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 Google Patents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304B1
KR102561304B1 KR1020160104497A KR20160104497A KR102561304B1 KR 102561304 B1 KR102561304 B1 KR 102561304B1 KR 1020160104497 A KR1020160104497 A KR 1020160104497A KR 20160104497 A KR20160104497 A KR 20160104497A KR 102561304 B1 KR102561304 B1 KR 10256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indoor
outdoor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0034A (en
Inventor
권성진
신현수
박호진
문미정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304B1/en
Publication of KR2018002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와, 실내 배선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촬상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실외 배선과 연결 가능하도록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촬상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1 구멍과 제2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2 구멍을 구비하며 촬상장치와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구비한다.A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includes an imaging device that converts video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ircuit board that includes a first connector connectable to indoor wir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and a first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outdoor wiring. A housing having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to supply electricity to an imaging device, a first hole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hole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and enclosing the imaging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provide

Description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실시예들은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용 감시 카메라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간편하게 변환이 가능함과 아울러 실내 및 실외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형식의 공급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and more specifically, a surveillance camera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can use various types of supply power used indoors and outdoors. It's about assembly.

감시 카메라(surveillance camera)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를 촬영하거나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건물의 주변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A surveillance camera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inside a building to photograph the interior or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to perform a function of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building.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용 감시 카메라에는 비바람과 눈과 같은 기상환경과 먼지 등으로부터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나 방진 기능을 갖는 하우징이 필요하다.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outside a building requires a housing having a waterproof or dustproof function to protect electronic components from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and snow and dust.

실외용 감시 카메라에서는 실내용의 감시 카메라에 비하여 카메라를 보호하는 하우징의 구조가 복잡하게 설계되며, 소비자가 요구하는 높은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품 가격이 크게 상승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실외용 감시 카메라와 실내용 감시 카메라는 별도로 개발되기 때문에 실내용 감시 카메라를 실외용으로 겸하여 사용하기는 어렵다. Compared to indoor surveillance cameras, outdoor surveillance cameras have a more complex structure to protect the cameras, and product prices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high-quality products demanded by consumers. For this reason, since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are developed separately, it is difficult to use both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실내용 감시 카메라나 실외용 감시 카메라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중에 용도를 변환하기 원할 수도 있지만,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 가능한 감시 카메라가 없으므로 새로운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Consumers may want to purchase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or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change its use while using it, but since there is no surveillance camera that can be used both indoors and outdoors, they must purchase a new product.

최근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260258호와 같이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가 개발되고는 있지만, 이와 같은 기술은 실내용 감시 카메라에 투박한 디자인의 방수 커버를 덮어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사용하므로 실외용 카메라에서 요구되는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또한 감시 카메라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선 커넥터가 하우징의 단일한 위치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배선 커넥터의 제한된 위치를 고려해야 하므로 실외용 하우징과 실내용 하우징의 설계가 제한적이다.Recently, surveillance cameras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have been developed, such as Korean Patent No. 1260258, but this technology is used as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by covering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with a waterproof cover with a crude design. It is difficult to achieve good performance. In addition, since the wiring connect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surveillance camera exists only in a single position in the housing, the design of the outdoor housing and the indoor housing is limited because the limited position of the wiring connector needs to be considered.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18439호는 직육면체 형상의 감시 카메라를 실내용 감시 카메라와 실외용 감시 카메라의 용도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는 돔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 감시 카메라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내용 설치 구조와 실외용 설치 구조가 모두 동일한 형태이므로 다양한 위치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가 어렵다.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018439 describes a technique for convert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urveillance camera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Such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s are not only difficult to apply to surveillance cameras having dome-shaped housings, but also difficult to install surveillance cameras in various locations because both indoor and outdoor installation structures have the same shape.

또한 실외용 감시 카메라는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전방과 후방에 실외용 커버를 덧붙이는 구조를 이용하므로, 가혹한 환경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할 때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카메라를 충분히 보호하기가 어렵고 감시 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렵다. In addition, since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uses a structure in which an outdoor cover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protect the camera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in a harsh environment,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s effectively It's hard to deal with.

또한 실내용 설치 구조와 실외용 설치 구조의 모두에서 동일한 형태의 카메라용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을 이용해야 하므로,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사용 환경에 따라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조를 변경하거나 감시 카메라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때 다양한 방식을 선택하기가 어렵다. In addition, since the same type of camera cable and power cable must be used in both the indoor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outdoor installation structure, the cabl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or the surveillance camera's video signal or audio It is difficult to select various methods when transmitting signals to the outside.

한국 등록특허 제1260258호(2013.04.2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60258 (2013.04.2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18439호(2003.01.17)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018439 (2003.01.17)

실시예들의 목적은 실내용 감시 카메라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간편하게 변환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실외용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in which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can be variously selected.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용이나 실내용의 설치 환경에 따라 감시 카메라에 대한 전기 공급이나 신호 교환 방식이나 영상 전송 방식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capable of variously selecting an electricity supply, signal exchange method, or image transmission method for the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outdoor or indoor installation environment.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용 및 실내용 설치 용도의 모두에서 미려한 디자인의 외관을 구현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that implements a beautiful exterior design for both outdoor and indoor installation purposes.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감시 카메라의 사용 중 발생하는 열을 감시 카메라의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냉각 성능이 향상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with improved cooling performance b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during use of the surveillance camera to the outside of the surveillance camera.

일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와, 실내 배선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촬상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실외 배선과 연결 가능하도록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촬상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1 구멍과 제2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2 구멍을 구비하며 촬상장치와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구비한다.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ing device that converts video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connector connectable to indoor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and connectable to outdoor wiring.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imaging device, a first hole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hole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the imaging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It has a housing surrounding it.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2 커넥터는 무선통신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dispo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here is.

촬상장치는 회로기판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무선통신기판은 회로기판의 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는 무선통신기판의 회로기판의 후면을 향하는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imaging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may be disposed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Can be placed on 2 sides.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회로기판과 무선통신기판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회로기판과 무선통신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을 전달하는 소재의 히트싱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may further include a heat sink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fers heat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히트싱크와 회로기판의 사이의 위치와, 히트싱크와 무선통신기판의 사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보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assisting layer disposed at at least one of a position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circuit board and a position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o transfer heat.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히트싱크와 접촉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열을 전달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도성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one end contacts the heat sink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ransfers hea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어 하우징을 지지하는 열전도성 소재의 실내용 브라켓과, 열전도성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브라켓을 하우징에 결합시키며 열전도성 커넥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실내용 브라켓에 전달하는 열전도성 소재의 브라켓 결합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includes an indoor bracket made of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supports the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by being connected to a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and transfers heat from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to the indoor bracket. I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coupler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실내용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이나 천장에 고정 가능한 열전도성 소재의 실내용 베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base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door bracket and fixable to a wall or ceiling.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하우징에서 외부로 노출된 제2 커넥터를 덮도록 실내용 브라켓과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disposed between the indoor bracket and the housing to cover the second connector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housing.

열전도성 커넥터는 타단에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고, 브라켓 결합구는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기둥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may have a groove concavely form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the inside at the other end, and the bracket coupler may have a protruding post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열전도성 커넥터의 홈과 브라켓 결합구의 기둥은 서로 나사 결합되는 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groov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and the post of the bracket coupler may have threaded surfaces screwed together.

열전도성 커넥터는 타단에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을 구비할 수 있고, 브라켓 결합구는 열전도성 커넥터의 기둥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may have a pol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using at the other end, and the bracket coupler may have a hole into which the pol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is inserted.

열전도성 커넥터의 일부분은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housing.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중간 커넥터를 구비하여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회로기판과, 외부회로기판을 지지하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하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과 외부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열전도성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하우징을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외부 히트싱크와, 외부 하우징을 지지하며 외부 히트싱크와 연결됨으로써 열을 전달받는 열전도성 소재의 실외용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실외 배선은 실외용 브라켓을 통해 외부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A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includes an external circuit board having an intermediate connector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or and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 external housing supporting the external circuit board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external housing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An external heat sink disposed between and connect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to couple the external housing to the housing, and an outdoor bracket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supports the external housing and receives heat by being connected to the external heatsink, , Outdoor wiring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board through the outdoor bracket.

열전도성 커넥터는 타단에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고, 외부 히트싱크는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실외용 브라켓은 외부 하우징을 통과하여 외부 히트싱크에 연결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may have a groove concavely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the inside at the other end, the external heat sink may have a protruding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outdoor bracket may pass through the outer housing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heatsink.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외부 히트싱크의 돌출부와 열전도성 커넥터의 홈의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pad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external heat sink and the groov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to transfer heat.

열전도성 커넥터는 타단에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을 구비할 수 있고, 외부 히트싱크는 열전도성 커넥터의 기둥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실외용 브라켓은 외부 히트싱크의 관통공을 통과한 열전도성 커넥터의 기둥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may have a pilla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using at the other end, the external heat sink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llar of the thermal conductive connector passes, and the outdoor bracket may have a through hole of the external heat sink. It can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lum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passed through.

실외 배선은 회로기판과 신호를 주고받는 근거리 통신망 배선(LAN cable; local area network cable)과,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선을 구비할 수 있고, 외부회로기판은 외부 전원선을 통해 공급된 외부전원을 회로기판을 위한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outdoor wiring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cable (LAN cabl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circuit board and an external power lin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is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power line. A converter may be provided to convert power to internal power for the circuit board.

실외 배선이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근거리 통신망 배선을 통해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가 외부에 전송되고, 실내 배선이 제1 커넥터에 연결되면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가 무선통신기판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outdoor wiring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wiring, and when the indoor wir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ubstrate.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회로기판에 배치되어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칩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2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to transmit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는 외관 형상이 대략 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 하우징에 실내용 브라켓을 결합함으로써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미려한 디자인의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내용 감시 카메라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실내용 브라켓과 실내용 베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I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sembly of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is completed by coupling an indoor bracket to a housing manufactured to have a substantially dome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assemble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while maintaining the beautiful design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nd since the indoor bracket and indoor base are rotatably combine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of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can be adjusted.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또한 실내용 브라켓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에 외부 하우징을 결합함으로써 실내용 감시 카메라를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신속히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can be quickly convert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by separating the indoor bracket from the housing and then coupling the outer housing to the housing.

실외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외부 하우징에 감시 카메라가 완벽히 보호될 수 있으며, 실외용 브라켓에 의해 감시 카메라의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the surveillance camera can be perfectly protected in an external housing,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urveillance camera can be freely adjusted by the outdoor bracket.

실외용 감시 카메라와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모든 경우에서 회로기판과 연결된 히트싱크가 하우징의 열전도성 커넥터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의 열방출용 구조물들과 연결되므로, 감시 카메라의 냉각 성능이 향상된다.In all cases of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since the heat sink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s outside the housing through the thermal conductive connector of the hous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surveillance camera is improved.

또한 하우징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이용하면 상이한 형식의 전원배선들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설계 자유도와 활용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power wires of different types can be selected and freely connected by us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ousing, design freedom and usability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re improved.

또한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촬상장치의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방식과 유선 LAN을 이용하여 촬상장치의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유선 전송 방식의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a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imaging device to the outsid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and a wired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imaging device to the outside using a wired LAN may be used.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어 벽면에 설치된 제1 설치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어 벽면에 설치된 제2 설치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된 제3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될 때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될 때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rst installation exampl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installed on a wall.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2 .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cond installation exampl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installed on a wall.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d installation exampl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5 is assembl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eparated components whe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of FIG. 7 .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2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eparated components whe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5 is assembl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0 .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6 .
FIG.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6 .
1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는 후방에 실내용 브라켓(70)이 결합됨으로써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by coupling an indoor bracket 70 to the rear.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는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10)와, 실내 배선(3)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21)를 구비한 회로기판(20)과, 실외 배선과 연결 가능한 제2 커넥터(31)와, 제1 커넥터(21)를 노출시키는 제1 구멍(40a)과 제2 커넥터(31)를 노출시키는 제2 구멍(40b)을 구비하는 하우징(40)을 구비한다.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ncludes an imaging device 10 that converts video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ircuit having a first connector 21 connectable to an indoor wiring 3. A board 20, a second connector 31 connectable to outdoor wiring, a first hole 40a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21, and a second hole 40b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31 It is provided with a housing 40 having a.

촬상장치(10)는 렌즈를 구비한 경통(11)을 통해 들어오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기능을 수행한다. 촬상장치(10)는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촬상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회로기판(20)에 전달되며 회로기판(20)에 의해 촬상장치(10)가 제어됨으로써 촬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ing device 10 performs an imaging function of converting image light of a subject entering through the lens barrel 11 into an electrical signal. Since the imaging devic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imaging device 10 is Being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imaging function.

회로기판(20)은 실내 배선(3)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21)를 구비한다. 회로기판(20)은 절연기판에 전기전도성 소재의 회로패턴을 형성하여 제작된 경질(hard) 또는 유연성(flexible)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된다. The circuit board 20 has a first connector 21 connectable to the indoor wiring 3 . The circuit board 20 is implemented as a hard 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by forming a circuit patter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on an insulating board.

회로기판(20)이 구비하는 제1 커넥터(21)는 예를 들어 범용직렬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1)가 USB 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커넥터(21)를 통하여 회로기판(20) 및 촬상장치(10)에 실내 배선(3)에 의해 공급된 전기가 전달된다. 실내 배선(3)으로부터 제1 커넥터(21)에 전달되는 전기는 회로기판(20)과 촬상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전력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or 21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When the first connector 21 is implemented as USB, electricity supplied by the indoor wiring 3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imaging device 10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1 .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indoor wiring 3 to the first connector 21 includes electrical signals representing power and data for driving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imaging device 10 .

하우징(40)은 촬상장치(10)와 회로기판(20)을 둘러싸도록 전방 하우징(41)과 보호 덮개(43)를 구비한다. 보호 덮개(43)는 하우징(40)의 후방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커넥터(31)를 덮어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호 덮개(43)의 전방에서 전방 하우징(41)에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이 설치되지만, 도 1에서는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후방 하우징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후방 하우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housing 40 includes a front housing 41 and a protective cover 43 to surround the imaging devic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 The protective cover 43 covers and protects the second connector 31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40 . A rear housing coupled to the front housing 4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rotective cover 43, but in FIG. 1, illustration of the rear housing is omitted to avoid complexity, and the rear housing will be described later.

하우징(40)은 플라스틱이나 고무나 나무와 같은 비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며, 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된 촬상장치(10)와 회로기판(20) 등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ousing 40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plastic, rubber, or wood, and functions to protect and support components such as the imaging devic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40. carry out

하우징(40)은 제1 커넥터(21)를 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구멍(40a)과, 제2 커넥터(31)를 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구멍(40b)을 구비한다. 제2 커넥터(31)는 하우징(40)의 내부에서 제1 커넥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촬상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ousing 40 includes a first hole 40a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21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and a second hole 40b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31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 is provided. The second connector 31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21 inside the housing 40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imaging device 10 .

도 1에서 제1 구멍(40a)은 하우징(4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구멍(40b)은 제1 구멍(40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하우징(40)의 후방에 형성된다. 제1 구멍(40a)과 제2 구멍(40b)의 위치가 제1 커넥터(21)와 제2 커넥터(31)가 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1 구멍(40a)과 제2 구멍(40b)이 하우징(40)에서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FIG. 1 , the first hole 40a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40, and the second hole 40b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housing 4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e 40a. Positions of the first hole 40a and the second hole 40b correspond to positions where the first connector 21 and the second connector 31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40, and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hole 40b is formed in the housing 40 may be variously modified.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를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하기 위해 하우징(40)의 후방에 실내용 브라켓(70)이 결합된다. 실내용 브라켓(70)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된다. 실내용 브라켓(70)은 열전도성 소재의 브라켓 결합구(71)에 의해 하우징(40)의 외부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4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n indoor bracket 7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40 to assemble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The indoor bracket 70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The indoor bracket 70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housing 40 by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by a bracket coupler 71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실내용 브라켓(70)의 단부에는 실내용 베이스(72)가 힌지(70h)를 통해 실내용 브라켓(7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내용 베이스(72)는 벽이나 천장에 고정되어 감시 카메라 조립체(7)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내용 베이스(72)도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됨으로써 실내용 브라켓(70)의 열이 실내용 베이스(72)에도 전달될 수 있다.At an end of the indoor bracket 70, the indoor base 72 i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indoor bracket 70 through a hinge 70h. The indoor base 72 is fixed to a wall or ceiling to support the monitoring camera assembly 7 . Since the indoor base 72 is also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e heat of the indoor bracket 70 can be transferred to the indoor base 72 as well.

브라켓 결합구(71)는 실내용 브라켓(70)을 하우징(40)에 고정하는 기능과 함께 회로기판(20)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40)의 외부의 실내용 브라켓(7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켓 결합구(71)는 하우징(40)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우징(40)에 결합되는 기둥(71s)을 구비한다. 기둥(71s)의 외측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된다.The bracket coupler 71 has a function of fixing the indoor bracket 70 to the housing 40 and transfers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board 20 to the indoor bracket 70 outside the housing 40. perform a function The bracket coupler 71 protrudes toward the housing 40 and includes a pillar 71s coupled to the housing 40 . A thread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71s.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될 때에는 하우징(40)의 제1 구멍(40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 커넥터(21)에 실내 배선(3)의 배선 커넥터(3t)가 결합된다.Whe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s assembled as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the wiring connector ( 3t) are combined.

도 2는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어 벽면에 설치된 제1 설치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rst installation exampl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installed on a wall,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2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설치예에서는 실내용 베이스(72)가 힌지(70h)를 중심으로 실내용 브라켓(70)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설치면(W)에 설치된다. 설치면(W)은 실내의 벽이나 천장일 수 있다. In the first installation example shown in FIGS. 2 and 3, the indoor base 72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 in a state of being rotated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indoor bracket 70 around the hinge 70h. . The installation surface W may be an indoor wall or ceilin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설치예에서는 실내용 브라켓(70)을 힌지(70h)를 중심으로 하여 실내용 베이스(72)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In the first installation example shown in FIGS. 2 and 3,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s adjusted by rotating the indoor bracket 70 with respect to the indoor base 72 with the hinge 70h as the center. can be adjusted freely.

도 4는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어 벽면에 설치된 제2 설치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cond installation exampl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installed on a wall.

도 4에 도시된 제2 설치예에서는 실내용 베이스(72)가 힌지(70h)를 중심으로 실내용 브라켓(70)에 인접한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설치면(W)에 설치된다. 설치면(W)은 실내의 벽이나 천장일 수 있다.In the second installation example shown in FIG. 4 , the indoor base 72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 while being rotated around the hinge 70h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door bracket 70 . The installation surface W may be an indoor wall or ceiling.

상술한 구성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는 외관 형상이 대략 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며, 실내용 브라켓(70)이 하우징(40)에 결합되어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미려한 디자인의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내용 감시 카메라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to have a substantially dome shape, and the indoor bracket 70 is coupled to the housing 40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ly,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can be assembled quickly and simply while maintaining the beautiful design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as it is.

또한 실내용 브라켓(70)과 실내용 베이스(7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실내용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door bracket 70 and the indoor base 72 are rotatably coup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of the indoor monitoring camera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도 2 및 도 3의 제1 설치예 및 도 4의 제2 설치예에서 브라켓 결합구(71)와, 실내용 브라켓(70)과, 실내용 베이스(72)를 통해 하우징(40)의 내부의 열이 하우징(40)의 외부로 전달된다. 브라켓 결합구(71)와, 실내용 브라켓(70)과, 실내용 베이스(72)가 하우징(40)의 외부 공기와 접촉에 의해 열을 발산할 수도 있고, 실내용 베이스(72)를 통해 설치면(W)으로 열이 전달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installation example of FIGS. 2 and 3 and the second installation example of FIG. 4 , the interior of the housing 40 through the bracket coupler 71, the indoor bracket 70, and the indoor base 72 Heat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 The bracket coupler 71, the indoor bracket 70, and the indoor base 72 may dissipate heat by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of the housing 40, and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indoor base 72. Heat may be transferred to the surface W.

도 5는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된 제3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FIG. 6 illustrates a third installation example in which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5 is assembl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를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하우징(40)의 후방에 외부 하우징(91)이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 an outer housing 9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40 to assemble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를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할 때에는 하우징(40)의 후방에 보호 덮개(43)가 배치되지만,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를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할 때에는 하우징(40)에서 보호 덮개를 분리한 상태가 되므로 하우징(40)의 후방에 후방 하우징(42)이 위치한다. 1 to 4, when assembling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 protective cover 43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40, but 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assembling the combined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the protectiv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40, so the rear housing 4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40.

후방 하우징(42)의 후방에 외부 하우징(91)이 결합되고, 외부 하우징(91)에는 실외용 브라켓(110)이 연결되며, 실외 배선(5)이 실외용 브라켓(110)을 통하여 하우징(40)으로 연결된다.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전방에는 외부 전방 하우징(91f)이 결합된다. The outer housing 9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42, the outdoor bracket 110 is connected to the outer housing 91, and the outdoor wiring 5 passes through the outdoor bracket 110 to the housing 40. Connected. An outer front housing 91f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7 .

도 5를 참조하면, 후방 하우징(42)의 제2 커넥터(31)가 제2 구멍(40b)을 통해 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실외용 브라켓(110)을 통해서 외부 하우징(91)으로 도입된 실외 배선(5)이 외부 하우징(91)의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 배선(5)과 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5 , since the second connector 31 of the rear housing 4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through the second hole 40b, it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housing 91 through the outdoor bracket 110. The outdoor wiring 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through internal components of the outer housing 91 .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outdoor wiring 5 and the circuit board will be described later.

실외용 브라켓(110)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며, 하우징(40)에서 발생한 열을 하우징(40)의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실외용 브라켓(110)이 벽면이나 천장 등에 고정됨으로써,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외부 하우징(91)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utdoor bracket 110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and functions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housing 4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 In addition, since the outdoor bracket 110 is fixed to a wall or a ceiling, it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outer housing 91 of 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7 .

실외 배선(5)은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망 배선(5s)과, 외부전원을 감시 카메라 조립체(7)에 공급하는 외부 전원선(5p)을 구비한다. 통신망 배선(5s)은 근거리 통신망 케이블(LAN cable; local area network cabl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선(5p)은 LAN cable과 함께 제공되는 이더넷 전원(PoE; power over Ether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utdoor wiring 5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wiring 5s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an external power line 5p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 The communication network wire 5s may be implemented as a local area network cable (LAN cable). In addition, the external power line 5p may be implemented as power over Ethernet (PoE) provided with a LAN cable.

도 7은 도 1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될 때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2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 in which components are separated when assembled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7 .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of FIG. 2 .

하우징(4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20)과 촬상장치(10)와 무선통신기판(50)과 히트싱크(60)와, 조명장치(4)와, 마이크 조립체(203)와, 표시기(202; LED indicator)와, 스피커(201) 및 스피커 보호판(201b) 등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된다. Inside the housing 40, a circuit board 20, an imaging device 10, a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a heat sink 60, a lighting device 4, a microphone assembly 203, and an indicator 202 ; LED indicator) and components such as the speaker 201 and the speaker protective plate 201b are accommodated.

하우징(40)은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41)과, 전방 하우징(41)에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41)과, 후방 하우징(41)의 후방에 결합되는 보호 덮개(43)를 구비한다. The housing 40 includes a front housing 41 disposed in the front, a rear housing 41 coupled to the front housing 41, and a protective cover 43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41.

전방 하우징(41)의 전방에는 조명장치(4)를 보호하는 투광성 소재의 조명 커버(41b)와, 경통(11)을 보호하는 투광성 소재의 렌즈 커버(41a)가 배치된다.In front of the front housing 41, a light cover 41b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o protect the lighting device 4 and a lens cover 41a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o protect the barrel 11 are disposed.

회로기판(20)의 전면(20f)에는 촬상장치(10)와 경통(11)이 배치된다. 또한 회로기판(20)은 제1 커넥터(21)를 구비한다. 제1 커넥터(21)는 USB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An imaging device 10 and a lens barrel 11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20f of the circuit board 20 .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20 includes a first connector 21 . The first connector 21 may be implemented as a USB connector.

회로기판(20)의 후방에는 회로기판(20)의 후면(20r)을 향하며 회로기판(20)을 바라보도록 무선통신기판(50)이 배치된다. 무선통신기판(50)은 연결 배선(20c)에 의해 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무선통신기판(50)은 촬상장치(1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칩(51)을 구비한다. 무선통신칩(51)은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IFI)이나 블루투스(Bluetooth)나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이나 비콘(beacon/bluetooth beacon)과 같은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At the rear of the circuit board 20, a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circuit board 20 while facing the rear surface 20r of the circuit board 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 by a connection wire 20c.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51 that transmits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10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5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for example, wireless LAN (WIFI),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beacon (beacon/bluetooth beac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miconductor chip.

도 8을 참조하면, 무선통신기판(50)의 회로기판(20)을 향하는 제1 면(50f)의 반대측인 무선통신기판(50)의 제2 면(50r)에 제2 커넥터(31)가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통신기판(50)의 제1 면(50f)에는 제2 커넥터(31)가 무선통신기판(50)의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들(31s)이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8, a second connector 31 is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50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50f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facing the circuit board 20. are placed Referring to FIG. 7 , on the first surface 50f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the second connector 31 has contacts 31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회로기판(20)과 무선통신기판(50)의 사이에는 열을 전달하는 소재의 히트싱크(60)가 배치된다. 히트싱크(60)는 회로기판(20)과 무선통신기판(50)의 적어도 하나와 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회로기판(20)이나 무선통신기판(50)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로기판(20)과 히트싱크(60)의 사이에는 열을 잘 전달하는 열전달보조층으로서 써멀패드(61; thermally conductive pad)가 배치된다. A heat sink 60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fers heat is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 The heat sink 6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heat from the circuit board 2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to the outside by thermally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 A thermally conductive pad 61 is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heat sink 60 as a heat transfer auxiliary layer that transfers heat well.

써멀패드(61)의 일면은 회로기판(20)의 반도체칩의 표면에 부착되고 타면은 히트싱크(60)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써멀패드(61)는 회로기판(20)과 히트싱크(60)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격을 최소화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부재이다. 써멀패드(61)는 스폰지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됨으로써 회로기판(20)과 히트싱크(60)의 사이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thermal pad 61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of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60, so that the thermal pad 61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heat sink 60. ) is a member that improves heat transfer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gap that may occur between Since the thermal pad 61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sponge, it can improve heat transfer performance between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heat sink 60 and absorb shock.

열전달보조층에는 써멀패드(61)를 대체하여 써멀 그리스나 페이스트(thermal grease or paste)가 사용될 수도 있다.Instead of the thermal pad 61, thermal grease or paste may be used for the heat transfer assisting layer.

무선통신기판(50)과 히트싱크(60)가 접촉하는 경우, 무선통신기판(50)과 히트싱크(60)의 사이에도 써멀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and the heat sink 60 contact each other, a thermal pad may also be dispos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and the heat sink 60 .

후방 하우징(42)은 제1 커넥터(21)를 하우징(40)의 하부로 노출시키는 제1 구멍(40a)와 제2 커넥터(31)를 하우징(40)의 후방으로 노출시키는 제2 구멍(40b)을 구비한다.The rear housing 42 has a first hole 40a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21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40 and a second hole 40b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31 to the rear of the housing 40. ) is provided.

후방 하우징(42)에는 일단이 히트싱크(6)와 접촉하고 타단이 하우징(40)의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하우징(40)의 외부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성 커넥터(40t)가 결합된다. A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6 and the other end ex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to transfer hea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is coupled to the rear housing 42 .

열전도성 커넥터(40t)는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금속의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된다.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외측에 플라스틱 소재의 후방 하우징(42)을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insert molding)으로 후방 하우징(42)과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일부분이 일체를 이루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is made of a metallic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A part of the rear housing 42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are integrally formed by an insert molding process in which the rear housing 42 made of plastic is injection-molded on the outsid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can be made with

실시에는 열전도성 커넥터(40t)와 후방 하우징(42)의 결합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방 하우징(42)을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 공정으로 제조한 후에 후방 하우징(42)과 열전도성 커넥터(40t)를 조립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In practice, the method of coupling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and the rear housing 42 is not limited, and the rear housing 42 is manufactured by a general plastic injection process, and then the rear housing 42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are formed. A method of assembling may be used.

도 9를 참조하면, 열전도성 커넥터(40t)는 타단이 하우징(40)의 외측면으로부터 하우징(4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40g)을 구비한다. 보호 덮개(43)는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의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43t)을 구비한다. 실내용 브라켓(70)도 보호 덮개(43)의 관통 구멍(43t)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70t)을 구비한다. 브라켓 결합구(71)는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기둥(71s)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other end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has a groove 40g concavely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40 . The protective cover 43 has a through hole 43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The indoor bracket 70 also has a through hole 70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3t of the protective cover 43. The bracket coupler 71 has a protruding post 71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후방 하우징(41)과 실내용 브라켓(70)의 사이에 보호 덮개(43)가 배치된 상태에서 브라켓 결합구(71)의 기둥(71s)이 실내용 브라켓(70)의 관통 구멍(70t)과 보호 덮개(43)의 관통 구멍(43t)을 차례로 통과하여,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에 결합된다.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cover 43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housing 41 and the indoor bracket 70, the post 71s of the bracket coupler 71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70t of the indoor bracket 70. I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3t of the protective cover 43 in sequence and is coupled to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과 브라켓 결합구(71)의 기둥(71s)은 각각 나사면을 구비함으로써 홈(40g)과 기둥(71s)이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and the post 71s of the bracket coupler 71 each have threaded surfaces so that the groove 40g and the post 71s can be screwed together.

실시예는 브라켓 결합구(71)의 기둥(71s)과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의 결합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홈(40g)과 기둥(71s)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와 그루브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바요넷 마운트(bayonet mount)나, 억지 끼움 체결 구조나,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요소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column 71s of the bracket coupler 71 and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and for coupling the groove 40g and the column 71s, protrusions and grooves are provided. A bayonet mount fastened by using, an interference fit fastening structure, or fastening elements such as bolts and nuts may be used.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타단이 하우징(4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40g)을 구비하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열전도성 커넥터(40t)가 타단에 하우징(4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을 구비하고, 브라켓 결합구(71)가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기둥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has a groove 40g concavely formed into the housing 40,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 That is,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may be modified to have a pilla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using 40 at the other end, and the bracket coupler 71 to have a hole into which the pillar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is inserted. there is.

도 8을 참조하면, 히트싱크(60)는 무선통신기판(50)의 관통 구멍(50t)을 통과하도록 돌출되는 돌출 기둥(60p)을 구비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돌출 기둥(60p)과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사이에 제2 써멀패드(49)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8 , the heat sink 60 includes protruding pillars 60p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50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 Referring to FIGS. 7 and 9 , a second thermal pad 49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illar 60p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보호 덮개(43)는 후방 하우징(42)의 후방에서 제2 구멍(40b)을 통해 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커넥터(31)를 덮어서 제2 커넥터(31)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tective cover 43 serves to protect the second connector 31 by covering the second connector 3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through the second hole 40b at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42. carry out

후방 하우징(42)과 보호 덮개(43)의 각각은 하우징(4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기공(42v, 43v)을 구비한다. 하우징(4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통기공(42v, 43v)을 통해 하우징(40)의 외부로 배출되고, 하우징(40)의 외부의 저온의 공기가 통기공(42v, 43v)을 통해 하우징(40)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Each of the rear housing 42 and the protective cover 43 has ventilation holes 42v and 43v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40 . The air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42v and 43v, and the low-temperature air outside the housing 40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42v and 43v. 43v)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40.

하우징(40)의 내부에 무선통신칩(51)이 사용될 때에는 전파방해를 줄이기 위하여 하우징(40)을 금속소재로 제작하지 않고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소재로 제작하므로 하우징(40)에 의해 직접 열을 발산시키기가 어렵다. 상술한 구성을 갖도록 조립된 실외용 감시 카메라에서는 하우징(4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성 커넥터(40t)를 통해 실내용 브라켓(70)으로 전달되어 하우징(40)의 외부로 열이 빠르게 발산된다.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51 is used inside the housing 40, since the housing 40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plastic rather than a metal material in order to reduce radio interference, direct heat is generated by the housing 40. It is difficult to dissipate. In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ed to have the above configuration, heat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40 is transferred to the indoor bracket 70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and the heat quickly dissipat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 do.

도 10은 도 5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될 때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6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5 assembled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by separating them,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10, and 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6 .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를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할 때에는 하우징(40)에서 보호 덮개를 분리한 상태가 되므로 하우징(40)의 후방에는 후방 하우징(42)이 위치한다. When assembling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the protectiv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40, so the rear housing 4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40.

후방 하우징(42)의는 후방에 외부 하우징(91)이 결합되고, 외부 하우징(91)의 후방에는 실외용 브라켓(110)이 연결되며, 실외 배선(5)이 실외용 브라켓(110)을 통하여 하우징(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전방에는 외부 전방 하우징(91f)이 결합된다. The outer housing 9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42, the outdoor bracket 11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outer housing 91, and the outdoor wiring 5 passes through the outdoor bracket 110 to the housing (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er front housing 91f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oor/outdoor monitoring camera assembly 7 .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의 후방에는 중간 하우징(95)이 배치된다. 중간 하우징(95)은 후방 하우징(42)의 열전도성 커넥터(40t)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95t)을 구비하고, 후방 하우징(42)의 제2 구멍(40b)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넥터 구멍(95h)을 구비한다.An intermediate housing 95 is disposed behind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 The intermediate housing 95 has a through hole 95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of the rear housing 42, and a connect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le 40b of the rear housing 42. A hole 95h is provided.

중간 하우징(95)의 후방에는 제2 커넥터(31)에 연결되는 중간 커넥터(81)를 구비하는 외부회로기판(80)이 배치된다. 외부 하우징(91)은 외부회로기판(80)을 지지함과 아울러 하우징(40) 및 중간 하우징(95)의 외측의 후방에 결합한다. An external circuit board 80 having an intermediate connector 81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31 is disposed behind the intermediate housing 95 . The outer housing 91 supports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and is coupled to the outer rear of the housing 40 and the intermediate housing 95 .

외부회로기판(80)은 중간 하우징(95)을 향하는 전면에 제2 커넥터(31)와 변환기(88)를 구비하고, 외부 하우징(91)을 향하는 후면에 제2 커넥터(31) 및 변환기(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81i)를 구비하며, 중간 하우징(95)의 관통 구멍(95t)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80t)을 구비한다.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has a second connector 31 and a converter 88 on the front facing the intermediate housing 95, and the second connector 31 and the converter 88 on the rear facing the outer housing 91. ) and a through hole 80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95t of the intermediate housing 95.

외부 하우징(91)과 외부회로기판(80)의 사이에는 외부 히트싱크(100)가 배치된다. 외부 히트싱크(10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며 열을 방출하는 면적을 확대하는 방열핀(100f)을 구비한다. 외부 히트싱크(100)는 하우징(40)의 후방에서 노출된 열전도성 커넥터(40t)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하우징(91)을 하우징(40)에 결합시킨다.An external heat sink 100 is disposed between the external housing 91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 The external heat sink 100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and includes a heat dissipation fin 100f that expands an area for dissipating heat. The external heat sink 100 couples the external housing 91 to the housing 40 by being connect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expos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40 .

열전도성 커넥터(40t)는 하우징(40)의 외측면으로부터 하우징(4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40g)을 구비한다. 외부 히트싱크(100)는 홈(40g)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100p)를 구비한다.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has a groove 40g concavely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40 . The external heat sink 100 has a protrusion 100p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40g.

실외용 브라켓(110)은 결합기둥(111)과, 결합기둥(111)의 단부에서 구형상으로 확대되는 회전볼(111b)과, 회전볼(111b)을 미리 정해진 범위의 각도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113)와, 지지체(113)를 지지하며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114)를 구비한다. 결합기둥(111), 회전볼(111b), 지지체(113) 및 고정부(114)는 모두 열전달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외 배선(5)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을 갖는다.The outdoor bracket 110 freely rotatably supports a coupling column 111, a rotating ball 111b extending in a spherical shape at an end of the coupling column 111, and the rotating ball 111b at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has a support 113 and a fixing part 114 that supports the support 113 and is fixed to the wall. The coupling pillar 111, the rotating ball 111b, the support 113, and the fixing part 114 may all be made of a heat transfer material, and have a hollow shape with an empty insid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door wiring 5 passes. have

실외용 브라켓(110)의 결합기둥(111)은 외부 하우징(91)에 삽입되며, 외부 하우징(91)을 통과하는 결합기둥(111)의 단부는 외부 히트싱크(100)에 접촉한다. The coupling pillar 111 of the outdoor bracket 1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91, and an end of the coupling pillar 111 passing through the outer housing 91 contacts the external heat sink 100.

외부 히트싱크(100)의 돌출부(100p)와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의 사이에는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패드(120)가 설치될 수 있다. A heat transfer pad 120 for transferring hea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rotrusion 100p of the external heat sink 100 and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열전달 패드(12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재 형상이지만, 이를 변형하여 외부 히트싱크(100)의 돌출부(100p)의 탄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단부를 둘러싸는 캡 형상이나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heat transfer pad 120 has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10 and 11 , but is deformed to form a cap shape or a ring surrounding an end portion us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f the protrusion 100p of the external heat sink 100. It can also be made into a shape.

열전달 패드(120)가 캡 형상이나 링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외부 히트싱크(100)의 돌출부(100p)의 단부가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에 삽입되었을 때 돌출부(100p)와 홈(40g)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돌출부(100p)를 홈(40g)에 고정시키는 기능과 함께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heat transfer pad 120 is manufactured in a cap shape or a ring shape, when the end of the protrusion 100p of the external heat sink 1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the protrusion 100p and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grooves 40g, the function of fixing the protruding portion 100p to the groove 40g and transferring heat may be performed.

외부 히트싱크(100)의 돌출부(100p)는 외부회로기판(80)의 관통 구멍(80t)과 중간 하우징(95)의 관통 구멍(95t)을 통과하여 열전도성 커넥터(40t)의 홈(40g)에 삽입된다. The protruding portion 100p of the external heat sink 1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80t of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and the through hole 95t of the intermediate housing 95 and forms a groove 40g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is inserted into

실외 배선(5)의 단부의 배선 커넥터(5t)는 실외용 브라켓(110)과 외부 하우징(91)을 차례로 통과한 후 외부회로기판(80)의 연결 커넥터(81i)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외 배선(5)을 통해서 외부회로기판(80)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전원 및 통신 신호가 공급되며, 외부회로기판(80)의 변환기(88)가 외부전원을 하우징(40)의 내부에 회로기판에 공급될 수 있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한다. The wire connector 5t at the end of the outdoor wire 5 passes through the outdoor bracket 110 and the outer housing 91 in order and the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81i of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External power and communication signals supplied from the outside are supplied to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through the outdoor wiring 5, and the converter 88 of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transfers the external power to the circuit inside the housing 40. It is converted into an internal power supply that can be supplied to the board.

변환기(88)에 의해 변환된 내부전원은 외부회로기판(80)의 중간 커넥터(81)에 연결된 제2 커넥터(31)로 전달된다.The internal power converted by the converter 88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nector 31 connected to the middle connector 81 of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

외부 하우징(91)과 중간 하우징(95)의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링 형상의 밀봉링(91r)이 배치된다. 밀봉링(91r)은 외부의 수분이나 먼지가 외부 하우징(91)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 elastic ring-shaped sealing ring 91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housing 91 and the intermediate housing 95. The sealing ring 91r serves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or dust from penetrating into the outer housing 91 .

상술한 구성을 갖도록 조립된 실외용 감시 카메라에서는 외부 하우징(91)에 의해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가 완벽히 보호될 수 있으며, 외부 하우징(91)을 지지하는 실외용 브라켓(110)에 의해 감시 카메라의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In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ed to have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can be perfectly protected by the outer housing 91, and the surveillance camera by the outdoor bracket 110 supporting the outer housing 91. installation angle can be freely adjusted.

종래에는 감시 카메라가 단일한 종류의 커넥터만을 구비하므로, 감시 카메라에 다양한 형식의 전원이 공급될 수 없었다. Conventionally, since a surveillance camera has only a single type of connector, various types of power cannot be suppli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 의하면 실내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할 때에는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외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할 때에는 PoE 형태의 외부전원을 감시 카메라에 공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indoors, electricity can be suppli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using a simple connector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 addition, when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outdoors, external power in the form of PoE can be suppli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실내용 감시 카메라를 설치한 때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촬상장치의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용 감시 카메라를 설치한 때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촬상장치의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유선 LAN을 이용하여 촬상장치의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When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an image of the imag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When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the image of the imag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r the image of the imag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using a wired LAN.

도 13은 도 6의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of FIG. 6 .

도 13을 참조하면, 회로기판(20)은 경통(11)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circuit board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10 that converts image light input from the lens barrel 11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회로기판(20)은 촬상장치(10)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기(99)와, 촬상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기(92)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93)와, 제1 커넥터(21) 및 무선통신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20)의 입력 및 출력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기(94)를 구비한다.The circuit board 20 includes an image processor 99 that processes a video signal of the imaging device 10 and generates data representing an image, an operation controller 9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0, and data It is provided with a memory 93 for storing, an input/output controller 9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to control the flow of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circuit board 20.

무선통신기판(50)은 무선통신칩(51)과, 무선통신칩(51)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기(96)와, 제2 커넥터(31) 및 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기판(50)의 입력 및 출력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기(98)를 구비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51,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96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51, the second connector 31 and the circuit board 20. and an input/output controller 98 for controlling the flow of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외부회로기판(80)과 연결되는 실외 배선(5)은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망 배선(5s)과, 외부전원을 감시 카메라 조립체(7)에 공급하는 외부 전원선(5p)을 구비한다. 통신망 배선(5s)은 근거리 통신망 케이블(LAN cable; local area network cabl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선(5p)은 LAN cable과 함께 제공되는 이더넷 전원(PoE; power over Ether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utdoor wiring 5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wiring 5s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an external power line 5p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monitoring camera assembly 7. The communication network wire 5s may be implemented as a local area network cable (LAN cable). In addition, the external power line 5p may be implemented as power over Ethernet (PoE) provided with a LAN cable.

외부회로기판(80)은 실외 배선(5)의 외부 전원선(5p) 및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망 배선(5s)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81i)와, 실외 배선(5)의 외부 전원선(5p)을 통해 공급된 외부전원을 회로기판(20)을 위한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기(88)를 구비한다. 변환기(88)에 의해 변환된 내부전원과 신호는 중간 커넥터(81)를 통해 제2 커넥터(31)에 전달된다. The external circuit board 80 includes a connection connector 81i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line 5p of the outdoor wiring 5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wiring 5s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an external power line of the outdoor wiring 5. A converter 88 converts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5p into internal power for the circuit board 20. The internal power and signals converted by the converter 88 ar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or 31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or 81 .

예를 들어 실외 배선(5)의 외부 전원선(5p)이 PoE 로 구현된 경우 외부 전원은 약 45V의 직류전압이고, 변환기(88)가 약 45V의 직류전압인 외부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내부전원은 약 5V의 직류전압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power line 5p of the outdoor wiring 5 is implemented as PoE, the external power is a DC voltage of about 45V, and the converter 88 converts and outputs the external power of about 45V DC voltage. The power source may be a DC voltage of about 5V.

통신 제어기(96)는 제1 커넥터(21)와 제2 커넥터(31)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촬상장치(10)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실외 배선(5)이 제2 커넥터(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통신망 배선(5s)을 통해 촬상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가 외부에 전송되고(유선 전송 방식), 실내 배선이 제1 커넥터(21)에 연결되면 촬상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가 무선통신기판(50)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될 수 있다(무선 전송 방식).The communication controller 96 may select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imaging device 10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21 and the second connector 31 . That is, when the outdoor wiring 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31,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iring 5s (wired transmission method), and the indoor wiring Whe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또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7)가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사용되는 경우이어서 제2 커넥터(31)에 실외 배선(5)이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실외의 주변환경이 무선통신에 적합한 경우에는 통신 제어기(96)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촬상장치(10)의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7 is used as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the outdoor wiring 5 supplies electricity to the second connector 31, communication occurs when the outdoor environment is suita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96 may transmit the image signal of the imaging device 10 to the outside in a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서는 하우징(440)이 전방 하우징(441)과, 후방 하우징(442)과, 보호 덮개(443)를 구비하며, 하우징(440)의 내부에 촬상장치(10)와, 회로기판(20)과, 무선통신기판(50)과, 히트싱크(460)을 구비한다. I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the housing 440 includes a front housing 441, a rear housing 442, and a protective cover 443, and an image is captured inside the housing 440. A device 10, a circuit board 20, a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and a heat sink 460 are provided.

하우징(440)은 제1 커넥터(21)를 하우징(44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구멍(440a)과, 제2 커넥터(3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구멍(440b)을 구비한다. 제1 커넥터(21)는 회로기판(20)에 배치되며, 제2 커넥터(22)는 무선통신기판(50)에 배치된다. The housing 440 includes a first hole 440a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21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40 and a second hole 440b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31 to the outside. The first connector 21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second connector 22 is dispo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회로기판(20)에는 써멀패드(61)를 통하여 히트싱크(460)가 연결된다. 히트싱크(460)는 하우징(440)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기둥(460p)을 구비한다. A heat sink 46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 through a thermal pad 61 . The heat sink 460 includes a protruding column 460p protruding from the housing 440 to the rear.

무선통신기판(50)은 무선통신칩(51)와, 외부전원을 회로기판(20)을 위한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기(88)를 구비한다. 이로 인하여 도 14에 나타난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위해 사용되던 외부회로기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5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51 and a converter 88 that converts external power to internal power for the circuit board 20 . Due to this, th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shown in FIG. 14 does not need to install the external circuit board used for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3 .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할 때에는 하우징(440)의 후방에 열전도성 소재의 실내용 브라켓(70)을 결합한 후, 열전도성 소재의 브라켓 결합구(471)의 나사구멍(471s)을 돌출기둥(460p)의 단부(460s)에 나사 결합시킨다. 따라서 실내용 감시 카메라가 조립된 후에는 히트싱크(460)의 열이 브라켓 결합구(471)와 실내용 브라켓(70)을 통해 하우징(440)의 외부로 발산된다.When assembling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after coupling the indoor bracket 70 made of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o the rear of the housing 440, screw holes 471s of the bracket fitting 471 made of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s screwed to the end 460s of the protruding pillar 460p. Therefore, after the indoor surveillance camera is assembled, the heat of the heat sink 460 is dissipa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40 through the bracket coupler 471 and the indoor bracket 70.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실외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할 때에는 보호 덮개(443)와 실내용 브라켓(70)과 브라켓 결합구(471)를 하우징(440)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대신 하우징(40)의 후방에 열전도성 소재의 외부 하우징(491) 및 실외용 브라켓(495)을 결합하고 하우징(40)의 전방에 전방 외부 하우징(491f)을 결합한다. When assembling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into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the protective cover 443, the indoor bracket 70, and the bracket coupler 471 are separated from the housing 440, and instead, the rear of the housing 40 is thermally conductive. The outer housing 49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outdoor bracket 495 are coupled, and the front outer housing 491f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40.

외부 하우징(491) 및 실외용 브라켓(495)는 중공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실외 배선이 외부 하우징(491) 및 실외용 브라켓(495)을 통과하여 제2 커넥터(31)에 결합된다. Since the outer housing 491 and the outdoor bracket 495 are hollow, the outdoor wiring passes through the outer housing 491 and the outdoor bracket 495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31 .

외부 하우징(491)과 하우징(440)의 사이에는 열전도성 소재의 외부 히트싱크(490)가 배치된다. 외부 히트싱크(490)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핀(490f)과, 돌출기둥(460p)의 단부(460s)가 삽입되는 삽입구멍(490s)을 구비한다.An external heat sink 490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housing 491 and the housing 440 . The external heat sink 490 includes a radiation fin 490f for dissipating heat and an insertion hole 490s into which an end 460s of the protruding column 460p is inserted.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1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에서는 하우징(340)이 전방 하우징(341)과, 후방 하우징(342)과, 보호 덮개(343)를 구비하고, 하우징(340)의 내부에 촬상장치(10)와, 회로기판(20)과, 히트싱크(60)를 구비한다. In the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housing 340 includes a front housing 341, a rear housing 342, and a protective cover 343, and an image is captured inside the housing 340. A device 10 , a circuit board 20 , and a heat sink 60 are provided.

하우징(340)은 제1 커넥터(21)를 하우징(34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구멍(340a)과, 제2 커넥터(31)를 하우징(34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구멍(340b)을 구비한다. 제1 커넥터(21)와 제2 커넥터(31)의 모두가 회로기판(20)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The housing 340 has a first hole 340a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21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40 and a second hole 340b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31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40. ) is provided. Both of the first connector 21 and the second connector 31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ircuit board 20 .

회로기판(20)에는 써멀패드(61)를 통하여 히트싱크(60)가 연결된다. 히트싱크(60)는 하우징(34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기둥(60p)을 구비한다. 돌출 기둥(60p)의 단부는 제2 써멀패드(49)에 의해 열전도성 커넥터(40t)에 열적으로 접촉한다. A heat sink 6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 through a thermal pad 61 . The heat sink 60 includes a protruding pillar 60p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340 . An end of the protruding pillar 60p is in thermal contact with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by means of the second thermal pad 49 .

열전도성 커넥터(40t)가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해 후방 하우징(342)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조와 동일하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housing 342 by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show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2 .

감시 카메라 조립체를 실내용 감시 카메라로 조립할 때에는 하우징(340)의 후방에서 외부로 노출된 열전도성 커넥터(40t)에 열전도성 소재의 브라켓 결합구(71)의 돌출 기둥(71p)이 결합됨으로써, 열전도성 소재의 실내용 브라켓(70)이 하우징(340)의 후방에 결합된다. 따라서 열전도성 커넥터(40t)를 통해 히트싱크(60)의 열이 브라켓 결합구(71)와 실내용 브라켓(70)으로 전달된다.When assembling th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into an indoor surveillance camera, the protruding column 71p of the bracket coupler 71 made of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s coupl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340, thereby providing thermal conductivity. An indoor bracket 70 made of conductive material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340 . Accordingly, heat from the heat sink 60 is transferred to the bracket coupler 71 and the indoor bracket 70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40t.

제1 커넥터(21)와 제2 커넥터(31)가 동일한 회로기판(20)에 배치되므로, PoE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실외배선이 제2 커넥터(31)에 연결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회로기판(20)이 외부전원을 내부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무선통신기판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회로기판(20)이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칩을 구비할 수도 있다.Since the first connector 21 and the second connector 31 are disposed on the same circuit board 20, the circuit board ( 20) may include a converter that converts external power to internal power.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is not disposed, the circuit board 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that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and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3t: 배선 커넥터 71: 브라켓 결합구
3: 실내 배선 72: 실내용 베이스
4: 조명장치 80t: 관통 구멍
5t: 배선 커넥터 80: 외부회로기판
5: 실외 배선 81i: 연결 커넥터
5p: 외부 전원선 81: 중간 커넥터
5s: 통신망 배선 42v, 43v: 통기공
6: 히트싱크 88: 변환기
7: 감시 카메라 조립체 91r: 밀봉링
10: 촬상장치 91: 외부 하우징
11: 경통 91f: 외부 전방 하우징
20c: 연결 배선 92: 작동 제어기
20f: 전면 93: 메모리
20: 회로기판 94, 98: 입출력 제어기
20r: 후면 95t: 관통 구멍
21: 제1 커넥터 95h: 커넥터 구멍
22: 제2 커넥터 95: 중간 하우징
31: 제2 커넥터 96: 통신 제어기
31s: 접점들 99: 이미지 처리기
40t: 열전도성 커넥터 100p: 돌출부
40a, 340a, 440a: 제1 구멍 100f: 방열핀
40b, 340b, 440b: 제2 구멍 100: 외부 히트싱크
40, 340, 440: 하우징 110: 실외용 브라켓
40g: 홈 111: 결합기둥
41a: 렌즈 커버 111b: 회전볼
41b: 조명 커버 113: 지지체
41, 341, 441: 전방 하우징 114: 고정부
42, 342, 442: 후방 하우징 120: 열전달 패드
43t: 관통 구멍 201b: 스피커 보호판
43, 343, 443: 보호 덮개 201: 스피커
49: 제2 써멀패드 202; 표시기
50t: 관통 구멍 203: 마이크 조립체
50: 무선통신기판 460s: 단부
50f: 제1 면 460p: 돌출기둥
50r: 제2 면 460: 히트싱크
51: 무선통신칩 471s: 나사구멍
60p: 돌출 기둥 471: 브라켓 결합구
60: 히트싱크 490s: 삽입구멍
61: 써멀패드 490f: 방열핀
70t: 관통 구멍 490: 외부 히트싱크
70: 실내용 브라켓 491: 외부 하우징
70h: 힌지 491f: 전방 외부 하우징
71s: 기둥 495: 실외용 브라켓
71p: 돌출 기둥
3t: wiring connector 71: bracket joint
3: indoor wiring 72: indoor base
4: lighting device 80t: through hole
5t: wiring connector 80: external circuit board
5: outdoor wiring 81i: mating connector
5p: external power line 81: middle connector
5s: network wiring 42v, 43v: air hole
6: heat sink 88: converter
7: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91r: sealing ring
10: imaging device 91: external housing
11: body tube 91f: external front housing
20c: connection wire 92: operation controller
20f: front 93: memory
20: circuit board 94, 98: input/output controller
20r: rear 95t: through hole
21: first connector 95h: connector hole
22: second connector 95: intermediate housing
31: second connector 96: communication controller
31s: contacts 99: image processor
40t: thermal conductive connector 100p: protrusion
40a, 340a, 440a: first hole 100f: radiation fin
40b, 340b, 440b: second hole 100: external heat sink
40, 340, 440: housing 110: outdoor bracket
40g: groove 111: coupling column
41a: lens cover 111b: rotating ball
41b: lighting cover 113: support
41, 341, 441: front housing 114: fixing part
42, 342, 442: rear housing 120: heat transfer pad
43t: through hole 201b: speaker protective plate
43, 343, 443: protective cover 201: speaker
49: second thermal pad 202; indicator
50t: through hole 203: microphone assembly
50: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460s: end
50f: first surface 460p: protruding column
50r: second surface 460: heat sink
51: wireless communication chip 471s: screw hole
60p: protruding column 471: bracket coupler
60: heat sink 490s: insertion hole
61: thermal pad 490f: heat dissipation fin
70t: through hole 490: external heatsink
70: indoor bracket 491: outer housing
70h: hinge 491f: front outer housing
71s: pillar 495: outdoor bracket
71p: protruding column

Claims (20)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
실내 배선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실외 배선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기판; 및
상기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1 구멍과, 상기 제2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2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실외 배선이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실외 배선을 통해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가 외부에 전송되고,
상기 실내 배선이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무선통신기판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n imaging device that converts video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a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connector connectable to indoor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n outdoor wire and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imaging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housing having a first hole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hole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and surrounding the imaging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When the outdoor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wire;
When the indoor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무선통신기판에 배치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s dispo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he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배선은 상기 회로기판과 신호를 주고받는 근거리 통신망 배선(LAN cable; local area network cable)과,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선을 구비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utdoor wiring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cable (LAN cabl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circuit board and an external power lin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
실내 배선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실외 배선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기판;
상기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1 구멍과, 상기 제2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2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무선통신기판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무선통신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을 전달하는 소재의 히트싱크;를 구비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n imaging device that converts video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a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connector connectable to indoor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n outdoor wire and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imaging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housing having a first hole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hole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and surrounding the imaging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and
A heat sink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fers heat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히트싱크와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열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도성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4,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further comprising a thermal conductive connector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ex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housing to transfer hea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열전도성 소재의 실내용 브라켓과, 상기 열전도성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며 상기 열전도성 커넥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상기 실내용 브라켓에 전달하는 열전도성 소재의 브라켓 결합구를 더 구비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5,
An indoor bracket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to couple the bracket to the housing and transfer heat transferred from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to the indoor bracket. A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coupler made of a heat-conductive material that transmits he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커넥터와 상기 브라켓 결합구의 어느 하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성 커넥터와 상기 브라켓 결합구의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기둥을 구비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6,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wherein on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and the bracket coupler has a groove, and the other on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and the bracket coupler has a protruding column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장치;
실내 배선과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실외 배선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1 구멍과, 상기 제2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제2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고, 실내용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실외용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 배선은 상기 외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n imaging device that converts video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a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connector connectable to indoor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n outdoor wire and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imaging device;
a housing having a first hole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hole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surrounding the imaging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and to which an indoor bracket may be coupled; and
Including; an outer housing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to which an outdoor bracket can be coupled,
The outdoor wiring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hrough the outer hou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중간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회로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실외 배선은 상기 외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외부회로기판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8,
an external circuit board having an intermediate connector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supported by the external housing;
The outdoor wiring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by being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board through the outer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와 접촉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열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도성 커넥터와,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열전도성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부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외부 히트싱크를 더 포함하는, 실내외 겸용 감시 카메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9,
A heat sink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thermal conductive connector coupled to the housing to contact the heat sink and be ex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transfer hea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 indoor/outdoor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heat sink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s and connect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connector to couple the external housing to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4497A 2016-08-17 2016-08-17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KR102561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97A KR102561304B1 (en) 2016-08-17 2016-08-17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97A KR102561304B1 (en) 2016-08-17 2016-08-17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34A KR20180020034A (en) 2018-02-27
KR102561304B1 true KR102561304B1 (en) 2023-07-28

Family

ID=6139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497A KR102561304B1 (en) 2016-08-17 2016-08-17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3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038A (en) 2010-09-21 2012-04-05 Hitachi Ltd Monitoring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439A (en) 2001-07-04 2003-01-1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Camera system
KR20030066498A (en) * 2003-06-28 2003-08-09 인트라콤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for network camera system
KR101260258B1 (en) 2011-08-31 2013-05-08 (주)지인테크 Dome camera combined with outdoor hou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038A (en) 2010-09-21 2012-04-05 Hitachi Ltd Monitoring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34A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725B2 (en) Camera for indoor/outdoor use
JP5795422B2 (en) Camera with heating element
US11290621B2 (en) Sensor housings, modules, and luminaires incorporating the same comprising a heat sink with heat dissipation structures radially arranged over the outer wall of a sensor housing
CN107113371A (en) Image capture module and aerial photography aircraft
CN112074112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xtension assembly
US20190215468A1 (en) Multi-purpose infrared imaging device
US20170089566A1 (en) Illumination assembly, and light fixture including the same
TWI739007B (en) Dome cameras and power consuming electronics devices
KR102561304B1 (en)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for indoor and outdoor use
EP2026496B9 (en) Protection case for cameras which are capable of transmitting a digital video signal
CN108696683A (en) A kind of modular camera machine
KR20140131138A (en) A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JP5602107B2 (en) Imaging device
JP2014032337A (en) Explosion prevention device
JP2021504942A (en) Centerboard uni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355390B1 (en) Cctv camera for underwater
CN109892025B (en) Listening machine
CN204217299U (en) A kind of radio car backing video camera cooling system
CN216162786U (en) Camera structure
CN219834273U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1239923U (en) Camera device and unmanned equipment
CN113726986B (en) Camera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N219938427U (en) Variable-focus monitoring camera supporting wireless data connection
CN112789955B (en) Functional assembly, cloud platform equipment and moving platform
CN101980523A (en) Tripod head device with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