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267B1 -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1267B1 KR102561267B1 KR1020230036237A KR20230036237A KR102561267B1 KR 102561267 B1 KR102561267 B1 KR 102561267B1 KR 1020230036237 A KR1020230036237 A KR 1020230036237A KR 20230036237 A KR20230036237 A KR 20230036237A KR 102561267 B1 KR102561267 B1 KR 1025612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septic tank
- oxygen
- tube
-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를 저장하는 정화조 탱크 및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를 상기 정화조 탱크 내외부로 순환시키며, 순환시 발생하는 수인력에 의해 외부의 산소를 흡입시켜 순환 중인 폐수와 같이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로 배출하는 폐수이송수단을 포함하여, 호기성 생물반응조 내부의 호기성 미생물군이 우점종이 되는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처리수질의 확보할 수 있고, 생물학적인 질소, 인 등의 제거에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기포의 미세화를 극대화(표면적 극대화)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 효율을 상승시키고, 또한, 폐수 및 축산 분뇨를 처리해 주는 정화조의 처리 작용에 필요한 미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해 주는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 상태를 감시하여 항시 정화 처리에 필수적인 미생물을 적정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정화조 관리로 정화조 생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정화조 탱크 내의 폐수에 산소를 수인력을 통한 공급으로 펌프의 부하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접촉 효율을 높이고, 산소공급장치 내부의 반복적인 순환에 의한 정화를 통해 저농도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수, 폐수 및 하수 중에 함유된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로 분해시켜 폐수를 정화하는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활하수와 분뇨정화조에서 나오는 각종 오수 및 산업폐수, 축산폐수(이하 ‘폐수’로 칭함) 등은 환경오염 때문에 항시 정수처리를 하여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를 최대한 낮춘 상태에서 배출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오수와 축산폐수 및 염색공장 등에서 방류되는 산업폐수 등에는 하천 또는 해안을 오염시키는 유기물질과 색도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제대로 정화 처리하지 않고 방류하면 하천 및 인근지역의 생태계를 오염시키거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이나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서는 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각종 폐수는 정화처리를 하여 방류해야 하며, 그 처리장치의 기능성과 효율성은 접촉 산화조에서 폐수의 BOD를 낮추어주는 호기성 미생물을 얼마나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많이 배양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키면 그 만큼 폐수 속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협잡물 및 색도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거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폐수 처리장치의 처리조에 폭기장치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폐수 처리장치의 처리조에 구비된 폭기조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임펠러에 의해 공기와 혼합된 폐수를 측면으로 배출하는 방식이므로, 임펠러의 가동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공기가 혼합된 배출폐수가 폭기조 내부 전체를 순환하지 못하고 수평방향으로 진행한 후 수면 위로 상승하여 기액접촉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프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산소공급장치 내부의 폐수를 처리하지 못함으로써 폐수에 의한 악취 등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인근 주민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기성 생물반응조 내부의 호기성 미생물군이 우점종이 되는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처리수질의 확보하며, 기포의 미세화를 극대화(표면적 극대화)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를 저장하는 정화조 탱크 및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를 상기 정화조 탱크 내외로 순환시키며, 순환시 발생하는 수인력에 의해 외부의 산소를 흡입시켜 순환 중인 폐수와 같이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로 배출하는 폐수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수이송수단은,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를 펌핑하는 펌프부와, 일측이 상기 펌프부로부터 폐수를 제공받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정화조 탱크 내부로 폐수를 배출되게 구비되되, 폐수를 상기 정화조 탱크 외부로 이송시켰다가 낙차에 의한 중력가속도로 인해 수인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정화조 탱크 내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폐수순환튜브 및 상기 정화조 탱크 외부에서 상기 폐수순환튜브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연결된 산소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순환튜브에 구비되어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정화조 탱크의 폐수로 배출시키는 미세기포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순환튜브는, 상기 정화조 탱크 내부를 향하여 내부 직경이 커지는 다단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수단은, 각각의 단에 연결되어 외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부의 전단에는 고형분분리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고형분분리수단은, 상단 일측에 상기 펌프부의 펌핑에 의해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유입된 폐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하단에 상부하우징 하단부의 내주연과 이격을 형성하여 고형분유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고형분이 분리된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분리챔버와,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면서 상기 펌프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서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형분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형분이 저장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호기성 생물반응조 내부의 호기성 미생물군이 우점종이 되는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처리수질의 확보할 수 있고, 생물학적인 질소, 인 등의 제거에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기포의 미세화를 극대화(표면적 극대화)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폐수 및 축산 분뇨를 처리해 주는 정화조의 처리 작용에 필요한 미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해 주는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 상태를 감시하여 항시 정화 처리에 필수적인 미생물을 적정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정화조 관리로 정화조 생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정화조 탱크 내의 폐수에 산소를 수인력을 통한 공급으로 펌프의 부하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접촉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로,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산소공급장치 내부의 반복적인 순환에 의한 정화를 통해 저농도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고형분분리수단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챔버 및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고형분분리수단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챔버 및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고형분분리수단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챔버 및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따른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대하여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는, 폐수를 저장하는 정화조 탱크(10) 및 정화조 탱크(10) 내 폐수를 정화조 탱크(10) 내외부로 순환시키며, 순환시 발생하는 수인력에 의해 외부의 산소를 흡입시켜 순환 중인 폐수와 같이 정화조 탱크(10) 내 폐수로 배출하는 폐수이송수단(20)을 포함한다.
정화조 탱크(10)는 외부로부터 오수, 폐수 및 하수, 축산 분뇨(이하 ‘폐수’라 함)등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수용부에 폐수를 정화조 탱크(10)의 내외부로 순환시키는 폐수이송수단(20)이 구비될 수 있다. 정화조 탱크(10)는 유기성 폐수에 산소가 공급되는 장치를 가동하기 위해 폐수가 일정량만큼 저장 운영될 수 있다.
폐수이송수단(20)은 정화조 탱크(10) 내 폐수를 펌핑하는 펌프부(P)와, 펌프부(P)로부터 폐수를 제공받도록 연결되어 정화조 탱크(10) 내부에서 외부로, 다시 정화조 탱크(10) 내부로 순환시키는 즉, 정화조 탱크(10) 내외부로 순환시키는 폐수순환튜브(22,24)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부(P)는 폐수 내에서 펌핑하여 연결된 폐수순환튜브(22,24)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부(P)는 수중(폐수)에서 펌핑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펌프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흡입구를 통하여 폐수를 흡입 후 배출구로 폐수를 배출하며, 배출구에 폐수순환튜브(22,24)가 연결될 수 있다.
폐수순환튜브(22,24)는 일측이 펌프부(P)로부터 폐수를 제공받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조 탱크(10) 내부로 폐수를 배출되게 구비되되, 폐수를 정화조 탱크(10) 외부로 이송시켰다가 낙차에 의한 중력가속도로 인해 수인력이 발생되도록 정화조 탱크(10) 내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폐수순환튜브(22,24)는 제 1튜브(22)와 제 2튜브(24)를 포함하고, 제 1튜브(22)는 수회 절곡되어 ‘ㄷ’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튜브(22)는 일측이 펌프부(P)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조 탱크(10) 외부 즉, 폐수 외부로 노출시켜 펌프부(P)의 펌핑력에 의해 폐수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타측을 통하여 폐수가 배출된다.
제 2튜브(24)는 일측이 제 1튜브(22)의 타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폐수를 타측으로 이송시키고, 타측이 정화조 탱크(10) 내부에 잠기도록 구비되어 제 1튜브(22)에서 폐수를 정화조 탱크(10) 내로 다시 이송시킨다.
또, 제 2튜브(24)는 제 1튜브(2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 1튜브(22)가 제 2튜브(24)로 삽입된다. 제 2튜브(24)는 제 1튜브(22)에서 폐수가 수직 낙하되도록 제 1튜브(22)로부터 직각되게 연결된다.
즉, 제 2튜브(24)는 일측에 제 1튜브(22)의 타측이 인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구비되어 다시 정화조 탱크(10)의 폐수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2튜브(24)의 일측, 즉 상부측에는 제 1튜브(22)와 연결된 낙차 지점에 제 2튜브(24)의 내외부가 관통된 부압흡입구(미도시)를 통해 외부 산소가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압흡입구에는 후술하는 산소공급튜브(32)가 연결될 수 있다. 산소공급튜브(32)는 산소공급수단(3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튜브(24)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수단(30)이 연결되고, 제 1튜브(22)를 통해 폐수를 제공받고, 제 1튜브(22)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 2튜브(24)에서 낙차에 의한 중력가속도로 수인력(水引力)이 작용하여, 수인력에 의해 제 2튜브(24) 내에 부압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제 2튜브(24)는 부압에 의해 정화조 탱크(10)로 향하는 유량 및 유속이 높아져 출력효율이 증대되어 산소공급수단(30)으로 외부 산소가 흡입되는 것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이뤄지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며, 추가 장치 필요 없이 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폐수순환튜브(22,24)를 통하여 순환되는 폐수를 정화조 탱크(10)에 다시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광범위한 양의 폐수를 정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 2튜브(24)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미세기포발생부(241)는 폐수순환튜브(22,24)에 구비되고, 제 2튜브(24)에서 이송되는 폐수가 통과하며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미세기포발생부(241)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포발생장치로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미세기포발생부(241)에 의해 기포발생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은 정화조 탱크(10)에서 부유하게 되고, 정화조 탱크(10)의 바닥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며 이러한 침전물로 인해 기포발생기의 미세기공이 막혀 기포발생률이 점차적으로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미세기포발생부(241)를 주기적으로 정비 및 교체해야 하고 이에 따른 하수 처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미세기포발생부(241)에 분사노즐을 더 구비시켜 분사노즐을 통하여 기포를 배출시키게 되면 분사노즐의 압력으로 폐수의 침전물을 분산시켜 제 2튜브(24)의 폐수가 배출되는 주변에 침전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기포발생부(241)는 용해된 기포를 이용하여 고형물을 부상시키는 용존공기부상분리(DAF: Dissolved Air Floatation)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처리수에 압력을 가해 용존 기포생성으로 고형물을 부상시킬 수 있다.
산소공급수단(30)은 정화조 탱크(10) 외부에서 폐수순환튜브(22,24)의 낙차 지점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산소공급수단(30)은 외부로부터 산소를 흡입하여 폐수순환튜브(22,24) 즉, 제 2튜브(24)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산소공급수단(30)은 제 2튜브(24)의 부압흡입구에 연결되어 외부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튜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공급튜브(3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져 일측을 통하여 유입된 산소를 타측에 연결된 부압흡입구로 산소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산소공급튜브(32)는 일측이 외부에서 산소가 유입되고, 타측이 부압흡입구에 연결되어지고, 타측이 일측보다 더 낮은 위치 즉, 정화조 탱크(10)와 근접하게 배치되게 경사지게 구비된다.
산소공급튜브(32)는 제 2튜브(2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폐수가 이송시 산소공급튜브(32)로부터 산소가 공급된다. 이때, 제 2튜브(24)를 이송하는 폐수가 부압흡입구를 통해서 산소공급튜브(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산소공급수단(30)은 외부 산소를 흡입하여 폐수순환튜브(22,24)에 산소를 압축한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압축펌프(3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펌프(34)는 산소공급튜브(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산소를 압축시킨 후 타측으로 배출시켜 폐수의 유속을 더욱 빠르게 하고,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하고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소공급수단(30)은 폐수의 농도(비중)와 산소 희석 상태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폐수에 공급하는 것으로 압축펌프(34)의 구동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폐수의 농도에 따라 즉, 폐수의 농도가 짙어지면 압축펌프(34)를 구동시켜 산소 공급량을 늘려 폐수를 정화율을 향상시켜 효율적인 관리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폐수순환튜브(120)는 내부 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화조 탱크(10) 내부를 향하여 내부 직경이 커지는 다단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시로 제 2튜브(124)와 제 3튜브(126)로 설명하나, 다단 구조로서 수개의 튜브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폐수순환튜브(120)는 제 1튜브(122)에 제 1튜브(122)보다 내경이 큰 제 2튜브(124)가 연결되고, 제 1튜브(122)와 제 2튜브(124) 사이에 제 3튜브(126)가 연결되되, 제 3튜브(126)는 제 1튜브(122)보다 내경이 크되 제 2튜브(124)보다 내경이 작게 구비된다.
예컨대, 제 2튜브(124)는 제 1튜브(122)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제 1튜브(122)가 삽입되게 구비된다. 제 3튜브(126)는 제 1튜브(122)의 외경보다 큰 내경과 제 2튜브(12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비된다. 이에 제 1튜브(122)의 측이 제 3튜브(126)의 일측(상부)에 삽입되고, 제 3튜브(126)의 타측(하부)이 제 2튜브(124)의 일측(상부)에 인입된다.
이러한 폐수순환튜브(120)는 제 1튜브(122)에서 제 3튜브(126)와 제 2튜브(124) 순서로 폐수가 이송된다. 제 1튜브(122)는 펌프부(P)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타측에 연결된 제 3튜브(126)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 3튜브(126)를 향하여 폐수가 수직낙하 하도록 정화조 탱크(10)를 향하여 타측부가 절곡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제 1튜브(122)의 타측에 제 2튜브(124) 및 제 3튜브(126)가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폐수가 제 1튜브(122)를 따라 이송된 후 제 3튜브(126)와 제 2튜브(124)를 통해 정화조 탱크(10)를 향해 수직 낙하됨에 따라 수인력이 발생된다.
제 2튜브(124)와 제 3튜브(126)의 내부에는 수인력에 의한 높은 압력이 발생하며, 이때, 제 2튜브(124)와 제 3튜브(126)에 연결된 산소공급수단(130,140)을 통해 수인력에 의한 외부 산소를 공급을 수 있다.
산소공급수단(130,140)은 각각의 단에 연결되어 외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산소공급수단(130,140)은 제 2튜브(124)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 1산소공급부(130)와 제 3튜브(126)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 2산소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제 1산소공급부(130)는 제 1산소공급튜브(132)와 제 1압축펌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산소공급튜브(13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져 산소가 이동되는 것으로서 일측을 통하여 유입된 산소를 타측에 연결된 부압흡입구로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산소공급튜브(132)는 일측을 통해 외부에서 산소가 유입되고, 일측의 타편인 타측으로 유입된 산소가 이동하여 부압흡입구에 연결된 타측을 통해 산소가 배출된다.
또, 제 1산소공급튜브(132)는 타측이 일측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경사져 제 2튜브(12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폐수의 이송시 제 1산소공급튜브(132)로부터 산소가 공급된다.
이때, 제 2튜브(12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되는 폐수가 부압흡입구를 통해서 제 1산소공급튜브(1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3튜브(126)와 근접하여 제 1산소공급튜브(13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 1산소공급부(130)는 외부 산소를 흡입하여 산소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제 1압축펌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압축펌프(134)는 제 2튜브(124)로 압축한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압축펌프(134)는 외부로부터 산소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제 1산소공급튜브(132)로 배출시키게 되고, 제 1산소공급튜브(132)를 따라 제 2튜브(124)로 이송되어 폐수의 유속을 더욱 빠르게 하고,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산소공급부(130)는 폐수의 농도(비중)와 산소 희석 상태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폐수에 공급하는 것으로 제 1압축펌프(134)의 구동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산소공급부(140)는 제 2산소공급튜브(142)와 제 2압축펌프(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산소공급튜브(14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져 산소가 이동되는 것으로서 일측을 통하여 유입된 산소를 타측에 연결된 부압흡입구로 안내할 수 있다.
제 2산소공급튜브(142)는 일측이 외부에서 산소가 유입되고, 타측이 부압흡입구에 연결되어지고, 타측이 일측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경사져 제 3튜브(126)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폐수가 이송시 제 2산소공급튜브(142)로부터 산소가 공급된다. 이때, 제 3튜브(126)를 이송하는 폐수가 부압흡입구를 통해서 제 2산소공급튜브(14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산소공급부(140)는 외부 산소를 흡입하여 산소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제 2압축펌프(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압축펌프(144)는 제 3튜브(126)로 압축한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압축펌프(144)는 외부로부터 산소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제 2산소공급튜브(142)로 배출시키게 되어 폐수의 유속을 더욱 빠르게 하고,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산소공급부(140)는 폐수의 농도(비중)와 산소 희석 상태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폐수에 공급하는 것으로 제 2압축펌프(144)의 구동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수순환튜브(122,124)를 통하여 순환되는 폐수를 정화조 탱크(10)에 다시 제공할 수 있도록 제 3튜브(126)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부(12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에 따르면, 호기성 생물반응조 내부의 호기성 미생물군이 우점종이 되는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처리수질의 확보할 수 있고, 생물학적인 질소, 인 등의 제거에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기포의 미세화를 극대화(표면적 극대화)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폐수 및 축산 분뇨를 처리해 주는 정화조의 처리 작용에 필요한 미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해 주는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 상태를 감시하여 항시 정화 처리에 필수적인 미생물을 적정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정화조 관리로 정화조 생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정화조 탱크 내의 폐수에 산소를 수인력을 통한 공급으로 펌프의 부하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접촉 효율을 높이고, 산소공급장치 내부의 반복적인 순환에 의한 정화를 통해 저농도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기술적 사상)을 이용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정화조 탱크
20: 폐수이송수단
30: 산소공급수단
20: 폐수이송수단
30: 산소공급수단
Claims (6)
- 폐수를 저장하는 정화조 탱크; 및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를 상기 정화조 탱크 내외부로 순환시키며, 순환시 발생하는 수인력에 의해 외부의 산소를 흡입시켜 순환 중인 폐수와 같이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로 배출하는 폐수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폐수이송수단은,
상기 정화조 탱크 내 폐수를 펌핑하는 펌프부;와,
일측이 상기 펌프부로부터 폐수를 제공받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정화조 탱크 내부로 폐수를 배출되게 구비되되, 폐수를 상기 정화조 탱크 외부로 이송시켰다가 낙차에 의한 중력가속도로 인해 수인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정화조 탱크 내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폐수순환튜브; 및
상기 정화조 탱크 외부에서 상기 폐수순환튜브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연결된 산소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의 전단에는 고형분분리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고형분분리수단은, 상단 일측에 상기 펌프부의 펌핑에 의해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유입된 폐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하단에 상부하우징 하단부의 내주연과 이격을 형성하여 고형분유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고형분이 분리된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분리챔버와,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면서 상기 펌프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서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형분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고형분이 저장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순환튜브에 구비되어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정화조 탱크의 폐수로 배출시키는 미세기포발생부;를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순환튜브는,
상기 정화조 탱크 내부를 향하여 내부 직경이 커지는 다단 형상으로 구비된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수단은,
상기 폐수순환튜브 각각의 단에 연결되어 외부 산소를 공급하는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6237A KR102561267B1 (ko) | 2023-03-21 | 2023-03-21 |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6237A KR102561267B1 (ko) | 2023-03-21 | 2023-03-21 |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1267B1 true KR102561267B1 (ko) | 2023-07-28 |
Family
ID=8742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6237A KR102561267B1 (ko) | 2023-03-21 | 2023-03-21 |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126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6089A (ja) * | 2000-09-21 | 2002-04-02 | Hajime Uchiyama | 水質浄化装置 |
KR100510878B1 (ko) | 1998-11-30 | 2005-10-25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호기성 생물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
KR100882818B1 (ko) * | 2007-08-10 | 2009-02-10 | 이상섭 | 폭기조 |
KR20130067954A (ko) * | 2011-12-15 | 2013-06-25 | 장현진 | 수처리장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
-
2023
- 2023-03-21 KR KR1020230036237A patent/KR1025612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878B1 (ko) | 1998-11-30 | 2005-10-25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호기성 생물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
JP2002096089A (ja) * | 2000-09-21 | 2002-04-02 | Hajime Uchiyama | 水質浄化装置 |
KR100882818B1 (ko) * | 2007-08-10 | 2009-02-10 | 이상섭 | 폭기조 |
KR20130067954A (ko) * | 2011-12-15 | 2013-06-25 | 장현진 | 수처리장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4086B1 (ko) |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 |
US7481935B2 (en) |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 |
US11339068B2 (en) |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 |
JP6198029B2 (ja) |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排水処理方法 | |
EP3954207B1 (en) | Industrial fish breeding complex and a method of water regeneration | |
US20210276902A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080818B1 (ko) | 초미세기포 및 용존산소조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방법 | |
EP2998278B1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0913728B1 (ko) | 순산소에 의하여 용존산소농도를 조절하는 폐수처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폐수처리 장치 | |
KR100762885B1 (ko) | 다단 혼합 구조를 갖는 슬림형 고속 폭기장치 | |
KR102561267B1 (ko) |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 |
CA2598524C (en) | Aerating wastewater for re-use | |
WO2021074307A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JP4271991B2 (ja) | オゾン水処理装置 | |
KR100882818B1 (ko) | 폭기조 | |
JP2002361239A (ja) | 微生物を含む被処理体の処理装置 | |
KR102153994B1 (ko) | 순환식 상부 집중포기 체적변화형 산기식 수처리 장치 | |
JP2005177695A (ja) | 廃水処理装置 | |
CN1223624A (zh) | 用于净化被污染的废水的反应器 | |
KR100220189B1 (ko) | 하.폐수 처리장치 | |
KR20120138025A (ko) | 부상 분리 장치 | |
KR101562165B1 (ko) | 와류 정화장치 | |
US20220234926A1 (en) | System for microorganism based treatment of wastewater | |
KR100358962B1 (ko) | U자형 폭기조를 이용한 오·폐수의 처리장치 | |
KR890005601Y1 (ko) |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