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601Y1 -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601Y1
KR890005601Y1 KR2019860014489U KR860014489U KR890005601Y1 KR 890005601 Y1 KR890005601 Y1 KR 890005601Y1 KR 2019860014489 U KR2019860014489 U KR 2019860014489U KR 860014489 U KR860014489 U KR 860014489U KR 890005601 Y1 KR890005601 Y1 KR 89000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enturi
suction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355U (ko
Inventor
서욱승
Original Assignee
서욱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욱승 filed Critical 서욱승
Priority to KR2019860014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601Y1/ko
Publication of KR880006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통상의 벤츄리 원리를 이용한 흡입기의 분리 절취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벤츄리 흡입기의 일부 절취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벤츄리 흡입기의 일부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벤츄리 흡입기를 이용한 폐오수 처리 장치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벤츄리 흡입기를 장치 구성한 생물학적 폐오수 처리 일부 실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수조 일부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벤츄리 흡입기를 이용한 화학적 폐오수 처리의 약액 공급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와류실 15 : 수밀리데나형 접합후렌지
17 : 양수펌프 18 : 처리수조
19 : 흡입 나팔관 20 : 흡입지관
21 : 헤드관 22 : 흡입주관
23 : 송수관 24 : 조절밸브
25 : 분배지관 26 : 분관
27 : 원폐수조 28 : 이송관
29 : 교반용 분배지관 30 : 폐수조 분출관
31 : 오니집니맨홀 32 :오니 반송관
33 : 송출관 34 : 분배 헤드관
35 : 분배지관 36 : 처리수조 분출관
37 : 분출노즐 38 : 약액조
39 : 라인믹셔 40 : 분출관
41 : 교반조 A : 메인 벤츄리 흡입기
A1: 원수이송 벤츄리 흡입기 A2,A3,A4: 보조 벤츄리 흡입기
본 고안은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유기(有機)폐오수 처리와 응집제 등의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폐오수를 처리하는 다목적 폐오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처리 방법에는 환성 슬럿지를 이용하는 활성 슬럿지 방법과 고정상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접촉 처리 방법등이 있으며, 또 화학적 처리에 있어 황산반도, 소석회 등 응집 및 중화 약품을 혼입하여 교반응집과 중화 침전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전자와 같은 폐오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인 유기 폐오수 처리는 처리수중에 호기성 미생물의 호흡 생존에 필요한 적정농도의 용존 산소유지와 유기물의 혼화와 신진대사 및 처리수조내에서의 유기물 등의 침전 퇴적 방지와 부폐(협기성화)방지를 위하여 적정량의 공기 공급과 동시 수조내의 혼화 대류 또는 교반을 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써 기계식 표면 교반 압력 송풍기를 이용한 압축산기 식폭기 방법 수중폭기 또는 수중공기 확산장치에 의한 폭기 방법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기계식 표면 교반 방법은 처리 수조의 표면을 교반 물방울을 형성케 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시켜 산소가 유리 공급되고 처래 수조내 처리수가 대류될 수 있도록한 방법으로서 기온 저하시는 처리 효율이 낮아지는등 외기 온도에 의한 처리 효율 영향이 크고 대류 현상이 처리수조 저면까지 미치지않아 침전물이 퇴적 부폐되는 현상이 있고, 대류를 원활히 하기 위해 수심을 얕게할 경우는 수면적이 크게 하여야하므로 처리수조, 즉 폭기조의 시설 면적이 커지고 따라서 기계 장치도 커지거나 여러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비 경제적인 문제점과 결점이 있었다.
또한 산기식 폭기 방법에 있어서는 대류 교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고 오니 반송등의 처리 기능도 병행시킬수 있어 좋은 점이 있지만 압력 송풍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력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단면이 있고, 산기관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분출 산기하여 폭기 시킴으로써 산소의 흡율도가 낮아 처리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과 압력 송풍기의 구동에 따른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중폭기 장치나 수중공기 공급확산 장치는 처리 수조내의 수중에 장치 외부 공기를 내장된 흡입브로와 또는 벤츄리관을 통하여 같이 내장된 양수펌프를 동시에 구동시켜 흡입하면서 대류 및 산소 공급을 하는 것으로 앞서 상술한 방법에 비해 산소의 흡율도가 높은 장점은 있으나 장치를 수중에 설치하므로써 기계 장치가 고도의 수밀성과 정밀성을 요하므로 장치비가 많이 들고 기계의 내구성에 한계가 있고 구동 상태의 점검을 비롯한 유지관리등 운전 관리상의 문제점이 많으며, 특히 분출 대류폭이 한정되어 있어서 처리 대상유량, 처리수조의 형상, 크기에 따라 수대의 장치를 병설하여야하고 수심이 깊으면 동력이 커져야 하는등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또 후자의 화학적 처리에 있어서는 약품의 주입 방법을 정량 펌프를 사용하거나 약액조를 응집 교반조 위치보다 높게 설치하여 자연 유확식으로 주입 응집조에서 급속 교반 주입된 약액을 혼화 응집반응이 일어나게 하여 침전처리하고 있으나 정량펌프 자체가 고가이고 별도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자연유화식 약액주입은 정량의 약액을 주입시킬 수 없으며, 또한 정량펌프에 의한 약액 주입이나 자연 유화식 약액주입은 산성 약액을 먼저 주입 급속 교반하여 약액을 혼화 용해시켜 응집 반응을 일으킨 후 완속 교반을 통하여 알카리성 중화 응집제와 보조 응집제를 주입 페오수중의 오엽 물질을 덩어리로 형성 침전 분리시켜 처리하므로써 급속 교반 처리시설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폐오수 처리방법의 비 경제적인 문제점과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 수조 외부의 기계실 등에 장치된 양수 펌프로써 원 폐오수 또는 수조내의 처리수를 양수 구동시켜 송수배관을 통하여 송수시키면서 송수배관상에 통상의 벤츄리 원리를 이용한 벤추리 흡입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장치하여 송수되는 폐오수 또는 순환처리수를 구동 유체로 이용하여 동 흡입기를 통하여 공기와 원폐오수, 오니반송수 또는 약액조의 약액을 피동유체로 흡입 송수관내에서부터 포기와 유기물 또는 약액의 용해 혼화 작용이 일어나게하여 경제적이면서도 간편한 처리 시설과 처리 운전으로서도 폐오수를 높은 처리 효율로 처리할 수 있으며, 활성 오니법, 다종의 접촉법등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모든 생물학적 처리 방법은 물론 화학적 처리도 가능하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통이 유입측은 작고 송출측은 유입측보다 일정치수 이상 크고 송출측 내면에 암나사틀이 형성된 벤츄리 외통(1)내에 통상의 유입 분출 벤츄리(2)와 송출 벤츄리(3)를 벤츄리목(4)이 형성되게 서로 맞보게 내삽하고 송출측 벤츄리 외통(1)과 송출 벤츄리(3)외경사 부분 사이가 와류실(5)로 형성시킨다. 벤츄리목(4)의 관통 외부에 흡입공(6)과 청소공(7)을 천공시켜 피동유체 흡입관(8)과 청소공 마개(9)를 결합시킨다.
피동유체 흡입관(8)에는 진공계(10)와 유량 조절밸브(11)및 역류 방지 밸브(12)를 취부하고 송출 벤츄리관 외통(1)의 유입측에 압력계(13)를 취부하고 송출측 관선단 외부에 볼트 체결턱(14)을 형성시켜 수밀리데나형의 접합 후렌지(15)와 밀착되게 볼트(16)로 체결하여 송출 벤츄리관(3)을 수밀되게 삽입 형성시킨 벤츄리 흡입기(A)를 이용한 장치로서 양수펌프(17)의 흡입측에는 처리수조(18)에 삽통된 흡입 나팔관(19)을 각 흡입지관(20)말에 부착하고 각 흡입지관(20)의 처리수조(18) 외부에 유량 조절밸브(11)와 진공계(10)를 각각 설치하여 헤드관(21)에 기밀 접속하고 헤드관(21)에 흡입주관(22)을 양수 구동장치인 양수펌프(17)에 결합한다.
또 양수펌프(17) 토출측의 송수관(23)에는 압력 조절밸브(24)를 취부한 후 메인벤츄리 흡입기(A)를 장착한후 송수관(23)을 분관(26)병렬하여 송수관(23)상에는 원수이송 벤츄리 흡입기(A2) 를 장착하여 원폐수조(27)내에 삽통된 원폐오수 이송관(28)을 원수 이송용 보조 벤츄리 흡입기(A2)의 토출측을 원수이송 벤츄리 흡입기(A1)의 흡입관(8)에 연결한 후 다시 송수관(23)상에 교반용 분배지관(29)을 형성시켜 다시 공급 흡입용 벤츄리 흡입기(A3)를 장착하고 원폐수조(27)에 내설된 원폐수조 분출관(30)에 연결시킨다.
송수관(23)상에는 또 다시 반송오니 이송용 벤츄리 흡입기(A4)를 장착하여 오니집니맨홀(31)에 삽통된 오니반송관(32)을 동 벤츄리 흡입기(A4)의 흡입관(8)에 연결하여 송출시키고, 송출관(33)말에 분배헤드관(34)을 처리수조(18)의 외부에 구성하여 다수의 분배지관(35)을 형성시켜 각 분배지관(35)을 처리수저(18)에 삽통시켜 처리수조(18)의 저면부에 내설된 처리수조 분출관(36)에 연결한다.
처리수조 분출관(36)에는 적정구경의 분출노즐(37)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 취부하되 처리수조(18)벽면측의 것은 벽면을 향하게 하고 안쪽의 것은 처리수조 분출관(36)을 반드시 짝수로 구성하여 분출노즐(37)을 서로 마주보게 취하며, 수평면 대비 수직 5-7도의 각도로 취부 배열시킨다.
한편 화학적 처리에 있어 본 고안의 장치는 구동 양수펌프(17)에 흡입주관(22)을 연설하고 폐오수 송수관(23)상에 벤츄리 흡입기(A)를 필요수에 따라 수개를 장착하여 각각의 피동유체 흡입관(8)을 약액조(38)에 연결시키고 송수관(23)상이나 송출관(33)상에는 통상의 라인믹셔(39)를 장치하고 송출관(33)말관경의 2배 이상으로된 곡형 분출관(40)을 연설하여 완속 교반조(41)에 설치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1"은 유량 조절밸브, "11""는 유량조절 전동밸브, "42"는 유량계, "43"은 나사틀, "44"는 조정공구 삽입홈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송수관(23)을 통하여 구동 유체가 벤츄리관 외통(1)내의 유입 분출 벤츄리관(2)에 유입되어 벤츄리목(4)을 향하여 압출되는 순간 벤츄리목(4)에서 베르누이의 정의에 의해 저압으로 되면 압출된 구동유체의 분류주위 피동유체(제2유체)가 흡입관(8)을 통하여 흡입되며, 제1, 제2유체가 순간 혼합 충돌하여 흡입 작용을 높이면서 벤츄리목(4)을 통과하게되는 것이나, 본 고안은 벤츄리 관통을 송출 벤츄리(3)측을 크게하여 송출 벤츄리(3)외부와 벤츄리 관통 내면 공간부에 형성된 와류실(5)에서 제1, 제2유체가 재충돌 와류 형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흡입력을 크게 증가시켜 0.5㎏/㎠이상의 압력이면 흡입 작용이 가능하고 (통상의 벤츄리 경우 5㎏/㎠이상의 구동압력이 필요함)제1유체와 제2유체의 혼화율이 증가하고 따라서 공기나 약액의 경우 미세하게 파쇄된다.
이와같이 구동유체인 제1유체와 피동유체인 제2유체가 혼화되어 송출 벤츄리(3)을 통하여 송수관(23)으로 유입된다.
이와같은 작용 과정에서 송출 벤츄리(3)는 나사틀(43)에 삽입되어 전후진 조정공구 삽입홈(44)을 이용 송출벤츄리(3)를 전후진 조정하여 벤츄리목(4)길이와 와류실(5)체적을 구동 유체 압력과 피동유체 흡입량에 따라 임의 조정하게 되면 송출된 유체는 송출관(33)상에서 압력조절밸브(24)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어 다시 구동유체(제1유체)화 되어 다음의 벤츄리 흡입기(A1)에서 피동유체(제2유체)를 흡입하게 되며, 제2유체의 비중등 성상과 구동유체의 압력 및 흡입량의 정도에 다라 흡입량을 증가시키는등 흡입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동 유체를 분배하여 분관(26)을 통하여 구동시켜 동 분관(26)상에 장치된 보조 벤츄리 흡입기(A2)의 흡입력으로 흡입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된 벤츄리 흡입기를 다수 구성하여 장치한 것으로, 생물학적 처리 장치를 설명하면 구동 유체를 구동장치인 처리수조(18)외부에 장치된 구동 양수펌프(17)를 구동시키면 흡입주관(22)과 수조 저면에 설치된 흡입지관(20)으로부터 수조(18)내의 물(처리수)를 흡입지관(20)상에 취부된 조절밸브(11)를 조절하여 균등 흡입되게 하여 송수관(23)을 통하여 송수되며, 송수관(23)상에 취부된 압력조절 밸브(24)로서 송수량과 압력을 조정하여 공기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용 메인 벤츄리 흡입기(A)로 유입시켜 공기를 흡입 처리수와 혼화 송출하여 다시 압력을 조정 구동 유체화하여 원수이송 벤츄리 흡입기(A1)와 보조 벤츄리 흡입기(A2)에 유입시키고, 원수조(27)의 저면에 삽설설된 원폐오수 이송관(28)을 보조 벤츄리 흡입기(A2)에 연결 원폐 오수를 흡입하거나 원폐 오수가 전량 이송되어 흡입 나팔관(29)말이 공기중에 노출되면 공기를 흡입하여 벤츄리 흡입기(A)의 송출 유입수와 혼화하여 유기물의 혼화율이 높아지고 공기가 흡입될 시는 용존 산소의 농도가 더욱 높아지면서 송출되며, 송출된 원수 이송 벤츄리 흡입기(A1)혼화수는 송출관(33)에서 우너수조(27) 분출관(30)으로 각관의 조절밸브(11)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어 일부 분류된후 다시 압력조정, 구동유체화하여 벤츄리 흡입기(A4)에 유입되면서 반송오니를 흡입 혼화하여 송출되게 하며, 이때 오니반송관(32)이 오니집니맨홀(31)의 수면에 비해 1-0.2m정도 높게 설치되므로써 흡입력은 크게 소요되지 않고도 점성과 비중이 큰 오니도 흡입 혼화시킬 수 있다.
한편 원수조(27)교반용 분배지관(29)으로 분류 송출되는 유량은 구동유체로서 동 관상 장착된 벤츄리 흡입기(A3)상에 유입되어 공기를 흡입 혼화 송출되어 분출관의 분출 노즐에서 분출하여 원수조(27)의 원폐오수를 교반하고 원폐 오수에 용존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의 조내 침전 퇴적과 원폐 오수의 혐기성화를 방지하게 되며 이송유량을 자동 조정하게 된다.
또 송출관(33)으로 유입되는 최종 처리수는 처리수, 공기, 원폐 오수 및 반송오니가 충분히 적정 혼화되어 유량 조절밸브(11')가 각각 취부된 송출 분베지관(35)에 유량 조절밸브(11')의 유량 조절로 균등 분배되어 수조(18)저부에 배열 설치된 분출관(36)과 분출노즐(37)을 통하여 분출되어 수조(18)내의 전체 체류수를 대류시키면서흡입된 공기중의 잔여 산소가 유리되어 처리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또한 이와 같은 작용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한 한번의 조정으로 연속되어 수조(18)내의 처리수는 연속 재순환하여 폐오수중에 충분한 용존산소 공급과 원수이송, 오니반송을 병행하게 되며, 충분한 유기물과 오니의 혼화와 더불어 각조내 체류수의 대류가 적정하게 이루어져 높은 처리 효율의 폐오수 처리를 펌프 한대로서 경제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으로 살수여상법, 환성 오니에 의한 장기폭기 방법으로 각각 수조 장치에 의한 장기간 실험한 바에 의하여 BOD 농도 240PPM의 생활 오수를 살수 여상방법으로 재순환비 2.1배로 하여 처리 실험한 결과 원 폐수의 DO농도가 유입전 0.36PPM에서 6시간 작동후 3.8PPM으로 상승되고 이틀후에는 DO농도가 수온 18℃에서 평균 6.8PPM으로 높아지고 3일후에 최종 침전조 상승등수의 BOD농도가 42PPM으로, 7일후에는9PPM으로서 높은 처리 효율로 처리되었으며, BOD농도 8800PPM, DO농도 0.21, 원폐수 온도 73℃의 정련 폐수를 환성오니 방법으로 수조내 수26-27℃로 유지처리 실험을 한 결과 운전 6시간 후에 DO농도 2.8PPM으로 유지되면서 미생물이 활착되었고 살수 여상 방법의 실험에서와 같이 3일 이후에는 최종 침전지에서 BOD 76PPM DO농도 4.2PPM,SS농도 9.6PPM 의 상등수를 취할 수 있었고, 10일 후에는BOD농도 27PPM, DO농도 5.3PPM의 처리 상등수를 취할 수 있었다.
또한 폭기조내의 M.L.SS농도가 변하여도 DO농도는 평균5PPM내외로 계속 유지되었으며, 이러한실험을 6개월간 진행하여본 결과 기존 어떠한 처리 방법보다도 BOD부화 변화와 원폐오수의 수질 변화에도 처리 효율은 높게 유지되고 경제적이면서도 한번은 운전 조작으로 간편하게 운전이 가능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한편, 화학적 폐오수 처리에 있어서는 집수조(원수조)의 원폐수를 양수펌프(17)구동으로 흡입 송수관(23)으로 송수하면 각 약액조(38)에 연결된 흡입관(8)을 통하여 송수관상에 장착된 벤츄리 흡입기(A)(A1)(A2)로 흡입관(8)에 취부된 유량조정 전동밸브(11")에 의해 유입량이 자동 조절되면서 유입되어 폐수는 유입된 약액이 각각의 벤츄리관내에서 혼화 용해되어 송출관으로 송출되는 순간 송출관(33)상에 장치된 통상의 라인믹셔(39)에 의해 급속 교반되어 송출관(33)에 연설된 곡형 분출관(40)에 유입되는 순간 유속이 감속되어 응집 중화 작용을 일으키면서 완속 교반조(41)로 유입 덩어리로 형성되어 침전조로 유입하여 침전 분리 처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다목적 폐오수 처리 장치는 별도의 산소 공급장치 없이 양수 펌프 구동만으로 수조내 처리수를 송수 구동 유체로 이용, 벤츄리 흡입기를 작용시켜 호기성의 생물학적 폐오수 처리에 있어 충분한 산소 공급을 할 수 있고 한대의 펌프구동 송수관에 벤츄리 흡입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장착 구성시키면 1개의 배관 선상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에 있어 원수이송, 오니반송 및 수조내 혼화, 대류, 포기 작용과 원수조교반을 병행시키고 충분한 혼화 작용으로 경제적이면서도 높은 처리효율로 크게 폐오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수조의 형상에 관계 없이 시설이 가능하고 구동장치가 수조 외부에 장치되므로서 BOD부하량 처리유량 변화등에 따른 가변설치가 쉽게 가능하고 경제적인 시설을 하 수 있고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모든 생물학적 처리 방법에 시설 및 장치가 가능하여 다목적의 효과를 가질 수 있고, 화학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시설 장치를 하면 고가의 약액 정량 펌프와 급속 교반조 설치가 불필요하고, 약액을 정량으로 주입 가능하고 약액의 충분한 교반 혼화와 용해로 높은 응집 처리 효과를 기할 수 있다.
또 생물학적 처리에 있어 연속 재순환 시키므로 처리 효율이 타장치에 의한 것보다 높고 처리 시설이 간편하고 처리 폐오수량의 증가와 같은 특별한 변화가 없는한 구성된 장치를 한번 조절하면 펌프의 고장 발생이 없을 경우 연속 처리 운전이 간편하며, 처리 시설을 펌프 한대의 기계 설치로써 가능하고, 펌프 한대의 구동만으로 처리운전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시설과 처리 운전으로 동시 처리 효율이 높은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후진 조정 삽입이 가능한 송출 벤츄리관을 벤츄리관 외통의 송출측에 삽설하여 와류실(5)을 형성시키고 수밀리데나형 접합후렌지(15)를 밀착 고정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 벤츄리 흡입기(A)을 이용한 장치로서 양수펌프(17)의 흡입측에는 처리수조(18)에 삽통된 흡입 나팔관(19)을 흡입지관(20)말에 부착하고 각 흡입지관의 처리수조 외부에 유량 조절 밸브와 진공계를 각각 설치하여 헤드관(21)에 기밀 접속하고 헤드관이 흡입주관(22)을 양수 구동장치인 양수 펌프에 결합한다.
    또 양수펌프 토출측의 송수관(23)에는 압력 조절 밸브(24)를 취부한후 메인 벤츄리 흡입기(A)를 장착한 후 송수관을 분관(26)병렬하여 송수관상에는 원수이송 벤츄리 흡입기(A1)를 분관상에는 원수이송 보조 벤추리 흡입기(A2)를 장착하여 원폐수조(27)내에 삽통된 원폐오수 이송관(28)을 원수 이송용 보조 벤츄리 흡입기의 토출측을 원수이송 벤츄리 흡입기의 흡입관에 연결한 후 다시 송수관상에 교반용 분배지관(29)을 형성시켜 다시 공급흡입용 벤추리 흡입기(A3)를 장착하고 원폐 수조에 내설된 원폐수조 분출관(30)에 연결시킨다. 송수관상에는 또다시 반송오니 이송용 벤츄리 흡입기(A4)를 장착하여 오니집니맨홀(31)에 삽통된 오니반송관(32)을 동 벤츄리 흡입기의 흡입관에 연결하여 송출시키고 송출관(33)말에 분배헤드관(34)을 처리 수조의 외부에 구성하여 다수의 분배지관(35)을 형성시켜 각 분배지관을 처리 수조에 삽통시켜 처리수조의 저면부에 내설된 처리수조 분출관(36)에 연결한다.
    처리수조 분출관에는 적정구경의 분출노즐(37)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 취부하되 처리수조 벽면측의 것은 벽면을 향하게 하고 안쪽의 것은 처리수조 분출관을 반드시 짝수로 구성하여 분출 노즐을 서로 마주보게 취하며 수평면 대비 수직 5-7도의 각도로 취부 배열시켜 호기성 미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한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2. 제1항의 구동양수 펌프에 있어서 흡입주관(22)을 연설하고 폐오수 송수관(23)상에 벤츄리 흡입기(A)를 필요수에 따라 수개를 장착하여 각각의 피동유에 흡입관을 약액조(38)에 연결시키고 송수관상이나 송출관상에는 통상의 라인 믹셔(39)를 장치하고, 송출관 말관경이 2배 이상으로된 곡형 분출관(40)을 연설하여 완속 교반조(41)에 설치하여 화학적 처리를 할 수 있게한 다목적 폐오수 처리 장치.
KR2019860014489U 1986-09-17 1986-09-17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KR89000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489U KR890005601Y1 (ko) 1986-09-17 1986-09-17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489U KR890005601Y1 (ko) 1986-09-17 1986-09-17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355U KR880006355U (ko) 1988-05-30
KR890005601Y1 true KR890005601Y1 (ko) 1989-08-22

Family

ID=1925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489U KR890005601Y1 (ko) 1986-09-17 1986-09-17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6Y1 (ko) * 2010-06-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생활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76Y1 (ko) * 2010-06-30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생활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355U (ko) 198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086B1 (ko)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KR200418245Y1 (ko) 오수 처리를 위한 순산소 포기장치
US4070292A (en)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CN101395091A (zh) 用于废水处理的纯氧曝气系统
US20200055756A1 (en)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US51511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ed air flotation with aeration
KR101080818B1 (ko) 초미세기포 및 용존산소조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방법
KR101171854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
KR100989213B1 (ko) 반응/응집/중화조가 필요없는 미세 기포에 의한 고도처리 부상분리장치 및 방법
US5437785A (en) Apparatus for dissolved gas flotation in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US5772886A (en) Aquaculture process
US8470169B2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aqueous liquid
KR101127077B1 (ko)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890005601Y1 (ko) 다목적 폐오수 처리장치
US78792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erating wastewater for re-use
US20030183572A1 (en) Activated sludge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ffluent with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HU221784B1 (hu) Szennyvíztisztító reaktor
US20160326018A1 (en) Process
KR102561267B1 (ko) 오/폐수 정화조 공기 공급 장치
KR200224737Y1 (ko) 혼화지 약품투입장치
KR100661635B1 (ko) 분산노즐을 지닌 폭기조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
KR100358962B1 (ko) U자형 폭기조를 이용한 오·폐수의 처리장치
CN218890506U (zh) 一种用于污水净化的加药装置
KR20120138025A (ko) 부상 분리 장치
GB15973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ew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