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074B1 -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074B1
KR102561074B1 KR1020207037529A KR20207037529A KR102561074B1 KR 102561074 B1 KR102561074 B1 KR 102561074B1 KR 1020207037529 A KR1020207037529 A KR 1020207037529A KR 20207037529 A KR20207037529 A KR 20207037529A KR 102561074 B1 KR102561074 B1 KR 10256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ght emitting
voltage
coi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5920A (en
Inventor
요시또 니시가미
요시까즈 사사끼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45Current stabilisation; Maintaining constant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다.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a control terminal of a switching element; and 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wherein the driving control unit has a coil current correcting unit correcting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ing signal based on a delay in transition timing at which a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a coil changes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Description

발광 소자 구동 장치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종래, LED(발광 다이오드)로 대표되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발광 소자의 일례인 LED를 구동하는 종래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외부에 있어서는, LED를 복수 직렬 접속하여 구성한 LED 어레이의 저전위측 단부(캐소드)에 대하여 코일과 스위칭 소자가 순서대로 직렬로 접속되고, LED 어레이의 양단간에 콘덴서가 병렬 접속되고, 콘덴서와 코일의 접속 구성의 양단간에 환류용의 다이오드가 접속된다.Conventionally, various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s for driving light emitting elements typified by LEDs (light emitting diodes) have been proposed. Outside of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for driving LEDs, which are examples of light emitting elements, a coil and a switching element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respect to a low potential side end (cathode) of an LED array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EDs in series, a capacitor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both ends of the LED array, and a diode for reflux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pacitor and the coil.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LED 어레이에 흐르는 LED 전류가 제어된다. 스위칭 소자가 온으로 되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되고, 스위칭 소자가 오프로 되면, 상기 코일 및 상기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된다. 상기 콘덴서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평균화하여 LED 전류로 한다.By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LE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array is controlled. When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increases, and when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nd the diode decreases. The capacitor averag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to obtain the LED current.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일례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91781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6-91781

상기 종래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서는, 스위칭 소자가 온의 상태로부터 오프로 될 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코일 전류)는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뀐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출력 단자와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외장형의 저항 부품 등에 의한 상기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의 오프 레벨로의 전환의 지연 등에 기인하여,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전환) 타이밍이 지연될 우려가 있었다. 이 경우, 그 지연분 만큼, 코일 전류의 증가가 계속되어, 코일 전류를 평균화한 LED 전류의 값이 원하는 값보다도 높아져, 정밀도로서의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abov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when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from an ON stat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oil current) changes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However, there is a fear that the transition (switching)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changes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is delayed due to, for example, a delay in switching the control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to an off level by an external resistance component or the lik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n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In this case, the coil current continues to increase by the amount of the delay, and the value of the LED current obtained by averaging the coil current becomes higher than a desired value, resulting in a problem of accuracy.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el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emitting unit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drive control unit has a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e signal based on a delay in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hanges from an increase to a decrea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having an input voltage applied to one end;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와,a driving controlle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선택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A second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selection input signal is input,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에 따라서 QR 모드(quasi-resonant: 의사 공진 방식)와, CCM 모드(continuous current mode: 전류 연속 방식)를 전환하여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driv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rate by switching between a QR mode (quasi-resonant) and a CCM mode (continuous current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signal.

본 발명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의하면,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rac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QR 모드에서의 코일 전류 및 LED 전류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CCM 모드에서의 코일 전류 및 LED 전류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QR 모드 시의 LED 전류 보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있어서 CCM 모드 시에 있어서의 전류 귀환 제어에 관한 구성만을 추출한 도면이다.
도 6은 CCM 모드 시의 LED 전류 보정 기능을 탑재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도 1)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의 CCM 모드 시의 각종 신호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의 CCM 모드 시의 각종 신호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를 IC 패키지 제품으로서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칩에 있어서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waveforms of coil current and LED current in QR mod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waveforms of coil current and LED current in CCM mode.
4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LED current correction function in QR mode.
FIG. 5 is a diagram extracting onl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current feedback control in the CCM mode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equipped with an LED current correction function in CCM mode.
Fig. 7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various signal waveforms in the CCM mod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Fig. 1).
FIG. 8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various signal waveforms in the CCM mod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Fig. 9 is a top view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n IC package product.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chips included in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1.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는, 복수의 LED를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LED 어레이(50)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즉,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는, 구동 대상의 발광 소자의 일례로서의 LED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단, 구동 대상의 발광 소자는, LED에 한하지 않아도 된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1 shown in FIG. 1 is a device that drives an LED array 50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EDs in series. That is,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1 is a device that drives an LED as an example of a light emitting element to be driven. However,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be driven does not have to be limited to the L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는, QR 모드(quasi-resonant: 의사 공진 방식)와, CCM 모드(continuous current mode: 전류 연속 방식)를 전환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양쪽 모드를 하나의 IC에 탑재하고 있다. 상기 양쪽 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operate by switching between a QR mode (quasi-resonant: quasi-resonant system) and a CCM mode (continuous current mode: current continuous system). That is, both of the above modes are incorporated into one IC. Details of both modes will be described later.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전압 생성부(11)와, IC 전원 UVLO부(12)와, UVLO부(13)와, 내부 전압 UVLO부(14)와, 저역 통과 필터(15)와, 증폭기(16)와, ODP(Over Duty Protection)부(17)와, 비교용 전압 생성부(18)와, 비교기(19)와, 에러 증폭기(20)와, 비교기(21)와, 발진기(22)와, 이상 검출부(23)와, 컨트롤 로직부(24)를 포함하는 각 구성부를 집적화하여 구성되는 반도체 IC이다.As shown in FIG. 1 ,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includes an internal voltage generator 11, an IC power supply UVLO unit 12, a UVLO unit 13, an internal voltage UVLO unit 14, a low-pass filter 15, an amplifier 16, an ODP (Over Duty Protection) unit 17,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18, a comparator 19, an error amplifier 20, and a comparator 21 ), an oscillator 22,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23, and a control logic unit 24, and a semiconductor IC configured by integrating each component.

또한, 비교기(19)와, 에러 증폭기(20)와, 비교기(21)와, 발진기(22)와, 컨트롤 로직부(24)와, 드라이버 Dr1과, 비교기 CP2로 구동 제어부의 일례가 구성된다. 구동 제어부는, OUT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구동 신호)를 생성한다.An example of the driving control unit is constituted by the comparator 19, the error amplifier 20, the comparator 21, the oscillator 22, the control logic unit 24, the driver Dr1, and the comparator CP2. The drive control unit generates a gate output signal Gout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OUT terminal.

또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는,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외부 단자로서, VCC 단자, ULVO 단자, SEL 단자, REG90 단자, QRCOMP 단자, PWM 단자, DUTYON 단자, ADIM 단자, RT 단자, FAILB 단자, ZT 단자, OUT 단자, CS 단자, FB 단자, DGND 단자 및 GND 단자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has a VCC terminal, a ULVO terminal, a SEL terminal, a REG90 terminal, a QRCOMP terminal, a PWM terminal, a DUTYON terminal, an ADIM terminal, an RT terminal, a FAILB terminal, a ZT terminal, an OUT terminal, a CS terminal, a FB terminal, a DGND terminal, and a GND terminal as external terminals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발광 소자 구동 장치(1)의 외부에는, 각각 외장형 부품으로서, 분압 저항 R1, R2와, 다이오드 D1과, 콘덴서 C1과, 코일 L1과, LED 어레이(50)와, 콘덴서 C2와, 분압 저항 R11, R12와, 스위칭 소자 M1과, 게이트 저항 Rg와, 전류 검출 저항 Rs와, 귀환 콘덴서 Cfb와, 콘덴서 C11과, 저항 R21이 배치된다.Outside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as external components, voltage dividing resistors R1 and R2, diode D1, capacitor C1, coil L1, LED array 50, capacitor C2, voltage dividing resistors R11 and R12, switching element M1, gate resistor Rg, current detection resistor Rs, feedback capacitor Cfb, capacitor C11 and resistor R21 are disposed.

LED 어레이(50)는, 복수의 LED를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발광부이다. 단, 그 밖에도, 예를 들어 LED를 직병렬로 접속하여 LED 어레이를 구성해도 되고, LED 어레이 대신에 단일의 LED여도 된다.The LED array 50 is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EDs in series. However, other than that, for example, an LED array may be constituted by connecting LEDs in series and parallel, or a single LED may be used instead of the LED array.

LED 어레이(50)의 고전위측 단부(애노드)에는, 입력 전압 Vin이 인가된다. LED 어레이(50)의 저전위측 단부(캐소드)에는, 코일 L1의 일단이 접속된다. 코일 L1의 타단에는, 환류용의 다이오드 D1의 애노드가 접속된다.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에는, LED 어레이(50)의 고전위측 단부가 접속된다. LED 어레이(50)의 양단간에는, 콘덴서 C1이 병렬 접속된다. 콘덴서 C1은, 코일 L1에 흐르는 전류인 코일 전류 Icoil을 평균화하여, LED 어레이(50)에 흐르는 전류인 LED 전류 ILED로 한다.An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o the high potential side end (anode) of the LED array 50 . One end of the coil L1 is connected to the low potential side end (cathode) of the LED array 50 . The other end of the coil L1 i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diode D1 for reflux. The high potential side end of the LED array 50 is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diode D1. Between both ends of the LED array 50, a condenser C1 is connected in parallel. The capacitor C1 averages the coil current Icoil, which i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L1, to obtain the LED current ILED, which i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array 50.

코일 L1의 타단에는, 일례로서 n채널 MOSFET로 구성되는 스위칭 소자 M1의 드레인이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 M1의 소스에는, 전류 검출 저항 Rs를 통해 접지 전위의 인가단이 접속된다.To the other end of the coil L1, the drain of a switching element M1 composed of an n-channel MOSFET is connected as an example. The source of the switching element M1 is connected to a ground potential application end through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Rs.

UVLO(Under Voltage Lock Out) 단자에는, 입력 전압 Vin을 분압 저항 R1, R2로 분압한 후의 전압이 인가된다. UVLO부(13)는, UVLO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소정 전압을 하회하면, 컨트롤 로직부(24)에 스위칭 소자 M1을 오프로 유지하여 스위칭을 정지시킨다. 즉, UVLO 단자는, 애플리케이션 전원의 UVLO용의 단자이다.A voltage after dividing the input voltage Vin by the voltage dividing resistors R1 and R2 is applied to the UVLO (Under Voltage Lock Out) terminal.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UVLO termina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e UVLO unit 13 keeps the switching element M1 off in the control logic unit 24 to stop switching. That is, the UVLO terminal is a terminal for UVLO of the application power supply.

VCC 단자에는, 전원 전압 Vcc가 인가된다. 즉, VCC 단자는, IC용의 전원 단자이다. IC 전원 UVLO부(12)는, 전원 전압 Vcc가 소정 전압을 하회하면, 컨트롤 로직부(24)에 IC를 셧다운시킨다.A power supply voltage Vcc is applied to the VCC terminal. That is, the VCC terminal is a power supply terminal for IC. The IC power supply UVLO unit 12 causes the control logic unit 24 to shut down the IC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내부 전압 생성부(11)는, 전원 전압 Vcc에 기초하여 내부 전압 Vreg를 생성한다. 생성된 내부 전압 Vreg는, REG90 단자로부터 외부로 출력 가능하다. REG90 단자는, 9.0V의 출력 단자이다. 단, 여기서의 출력 전압값은 일례이다. REG90 단자에는, 외장형의 콘덴서 C11이 접속된다. 콘덴서 C11은, 세라믹 콘덴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nal voltage generator 11 generates an internal voltage Vreg based o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he generated internal voltage Vreg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from the REG90 terminal. The REG90 terminal is a 9.0V output terminal. However, the output voltage value here is an example. An external capacitor C11 is connected to the REG90 terminal. The capacitor C11 is preferably a ceramic capacitor.

내부 전압 UVLO부(14)는, 내부 전압 Vreg가 소정 전압을 하회하면, 컨트롤 로직부(24)에 IC를 셧다운시킨다.The internal voltage UVLO unit 14 causes the control logic unit 24 to shut down the IC when the internal voltage Vreg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컨트롤 로직부(24)는, 드라이버 Dr1을 사용하여 OUT 단자로부터 외부로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출력한다.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는, High와 Low를 포함하는 펄스 신호이다. OUT 단자는, 외장형 부품인 게이트 저항 Rg를 통해 스위칭 소자 M1의 게이트(제어 단자)에 접속된다.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는 게이트 저항 Rg를 통해 게이트 신호 Gt로서 스위칭 소자 M1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에 의해 스위칭 소자 M1을 온/오프시킨다.The control logic section 24 output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from the OUT terminal to the outside using the driver Dr1.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a pulse signal including High and Low. The O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gat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M1 via a gate resistor Rg, which is an external component.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switching element M1 as the gate signal Gt through the gate resistor Rg. The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off by the gate output signal Gout.

PWM 단자에는, 외부로부터 펄스상의 PWM 조광 신호가 입력된다. ODP부(17)는, DUTYON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온/오프 설정 신호에 따라서, PWM 온 시간 제한 기능을 기능시킬지 여부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온/오프 설정 신호가 Low인 경우에, PWM 조광 신호의 온 시간이 제한되고, 온/오프 설정 신호가 High인 경우에, PWM 온 시간 제한 기능이 오프로 된다.A pulse-shaped PWM dimming signal is input to the PWM terminal from the outside. The ODP unit 17 switches whether or not to activate the PWM on time limit function according to an on/off setting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UTY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on/off setting signal is Low, the on time of the PWM dimming signal is limited, and when the on/off setting signal is High, the PWM on time limiting function is turned off.

컨트롤 로직부(24)는, ODP부(17)로부터 출력되는 PWM 조광 신호가 High인 기간은 OUT 단자로부터 온/오프용의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출력시키고, Low인 기간은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Low로 유지시킨다. 이에 의해, PWM 조광 신호의 온 듀티를 조정함으로써 LED 어레이(50)의 조광을 행할 수 있다.The control logic unit 24 outputs the on/off gate output signal Gout from the OUT terminal while the PWM dimming signal output from the ODP unit 17 is High, and maintain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at Low during the Low period. Thereby, dimming of the LED array 50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on-duty of the PWM dimming signal.

SEL 단자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를 QR 모드에서 동작시킬지, CCM 모드에서 동작시킬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이다. SEL 단자는, IC 내부에 있어서 풀 다운 저항 Rp에 의해 풀 다운된다. SEL 단자와 풀 다운 저항 Rp의 접속 노드는, 비교기 CP1의 비반전 입력단에 접속된다. 비교기 CP1의 반전 입력단에는, 소정의 참조 전압이 인가된다. 선택 입력 신호가 High 또는 Low에 따라서, 비교기 CP1로부터 High 또는 Low의 선택 신호 SEL_sig가 출력된다.The SEL terminal is a terminal to which a selection input signal for selecting whether to operate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in the QR mode or the CCM mode is input. The SEL terminal is pulled down by a pull-down resistor Rp inside the IC. The connection node of the SEL terminal and the pull-down resistor Rp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CP1.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CP1. Depending on whether the selection input signal is High or Low, a High or Low selection signal SEL_sig is output from the comparator CP1.

컨트롤 로직부(24)는, 입력되는 선택 신호 SEL_sig의 레벨에 따라서, QR 모드 또는 CCM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택 입력 신호가 High인 경우에 QR 모드가 선택되고, Low인 경우에 CCM 모드가 선택된다.The control logic section 24 selects the QR mode or the CCM mod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input selection signal SEL_sig.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input signal is High, the QR mode is selected, and when the selection input signal is Low, the CCM mode is selected.

CS 단자 및 비교기(19)는, QR 모드 시의 전류 검출에 사용된다. CS 단자는, 스위칭 소자 M1과 전류 검출 저항 Rs의 접속 노드에 접속된다. 비교기(19)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코일 전류 Icoil이 전류 검출 저항 Rs에 의해 전류·전압 변환된 후의 전류 검출 신호 Vcs가 단자 CS를 통해 입력된다.The CS terminal and comparator 19 are used for current detection in QR mode. The C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switching element M1 and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Rs.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9,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after the coil current Icoil is converted to current/voltage by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Rs is input through the terminal CS.

비교기(19)의 반전 입력단에는, 비교용 전압 생성부(18)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이 입력된다. 비교기(19)는, 전류 검출 신호 Vcs와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의 비교 결과를 컨트롤 로직부(24)에 출력한다.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output from the voltage generator 18 for comparison is input to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9 . The comparator 19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and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to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

여기서, ADIM 단자는,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조광 신호(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외부 단자이다. 비교용 전압 생성부(18)는, 선택 신호 SEL_sig에 의해 QR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제1 게인 배율만큼 승산한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조광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QR 모드에서의 LED 어레이(50)의 조광을 행할 수 있다.Here, the ADIM terminal is an external terminal for inputting an analog dimming signal (analog voltage signal) from the outside.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18 outputs a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by the first gain magnification when the QR mode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signal SEL_sig. By adjust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the LED array 50 can be dimmed in the QR mode.

CS 단자 및 에러 증폭기(20)는, CCM 모드 시의 전류 귀환 제어에 사용된다. 에러 증폭기(20)의 반전 입력단에는, CS 단자를 통해 전류 검출 신호 Vcs가 입력된다. 에러 증폭기(20)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비교용 전압 생성부(18)로부터 출력되는 참조 전압으로서의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이 입력된다. 에러 증폭기(20)의 출력단에는, FB 단자가 접속된다. FB 단자에는, 외장형의 콘덴서 Cfb가 접속된다.The CS terminal and error amplifier 20 are used for current feedback control in CCM mode. A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is input to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20 through a CS terminal.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as a referenc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generator 18 for comparison is input to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20 . An FB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20. An external capacitor Cfb is connected to the FB terminal.

비교용 전압 생성부(18)는, 선택 신호 SEL_sig에 의해 CCM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제2 게인 배율만큼 승산한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조광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CCM 모드에서의 LED 어레이(50)의 조광을 행할 수 있다.When the CCM mode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signal SEL_sig,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18 outputs a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by the second gain magnification. By adjust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the LED array 50 can be dimmed in the CCM mode.

또한, 비교용 전압 생성부(18)에 의한 동작의 보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urther details of the operation of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18 will be described later.

에러 증폭기(20)의 출력단은, 비교기(21)의 비반전 입력단에 접속된다. 비교기(21)의 반전 입력단에는, 발진기(22)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신호가 입력된다. 당해 발진 신호는, 예를 들어 톱상 파형이다. 비교기(21)는, 에러 증폭기(20)의 출력과 발진 신호의 비교 결과로서 PWM 신호 Spwm을 컨트롤 로직부(24)에 출력한다.The output of the error amplifier 20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of the comparator 21. An oscil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22 is input to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21 . The oscillation signal concerned is, for example, a saw-like waveform. The comparator 21 outputs the PWM signal Spwm to the control logic unit 24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of the error amplifier 20 and the oscillation signal.

또한, CCM 모드 시에 있어서는 PWM 제어의 주파수는 고정으로 되지만, 이 주파수는 RT 단자에 접속된 외장형의 저항 R21에 의해 설정된다.In CCM mode, the frequency of PWM control is fixed, but this frequency is set by the external resistor R21 connected to the RT terminal.

또한, ZT 단자는, QR 모드 시에 있어서의 코일 전류 Icoil의 제로 크로스를 검출하기 위한 단자이며, 분압 저항 R11, R12의 접속 노드에 접속된다. ZT 단자에는, 비교기 CP2의 반전 입력단이 접속된다. 비교기 CP2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소정의 참조 전압이 인가된다. 비교기 CP2는, 상기 제로 크로스의 검출 신호를 컨트롤 로직부(24)에 출력한다. 또한, 비교기 CP3도 ZT 단자에 접속되지만, 비교기 CP3은 QR 모드 시에 있어서의 LED 전류 ILED의 보정 제어에 사용되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ZT terminal is a terminal for detecting the zero crossing of the coil current Icoil in QR mod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dividing resistors R11 and R12.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CP2 is connected to the ZT terminal.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CP2. The comparator CP2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zero cross to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In addition, the comparator CP3 is also connected to the ZT terminal, and the comparator CP3 is used for correction control of the LED current ILED in the QR mode, and its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증폭기(16)는, 선택 신호 SEL_sig에 의해 QR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저역 통과 필터(15)로부터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을 행한다. 컨트롤 로직부(24)는, PWM 조광 신호가 High인 경우에, OUT 단자의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저역 통과 필터(15)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저역 통과 필터(15)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평활화하여 출력한다. 즉, QRCOMP 단자는, 선택 신호 SEL_sig에 의해 QR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또한, PWM 조광 신호가 High인 경우에,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의 온 듀티에 비례한 DC 전압을 외부로 출력한다. QRCOMP 단자로부터 출력된 DC 전압은, ADIM 단자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조광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며, QR 모드 시의 LED 전류의 리니어리티를 보정한다.The amplifier 16 amplifies the output from the low-pass filter 15 and outputs it when the QR mode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signal SEL_sig. The control logic unit 24 output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of the OUT terminal to the low-pass filter 15 when the PWM dimming signal is High. By this, the low-pass filter 15 smooths and output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That is, the QRCOMP terminal externally outputs a DC voltage proportional to the on-duty of the gate output signal Gout when the QR mode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signal SEL_sig and when the PWM dimming signal is High.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QRCOMP terminal is used to generate an analog dimming signal input to the ADIM terminal, and corrects the linearity of the LED current in QR mode.

또한, 컨트롤 로직부(24)는, 이상을 검출한 경우, 이상 검출부(23)를 사용하여 FAILB 단자로부터 외부로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이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상 신호는, 이상 상태나 정상 상태에 따라서 다른 레벨이 된다.Also,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outputs an abnormality signal indicating an abnormal state from the FAILB terminal to the outside us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section 23. Also, the abnormal signal becomes a different level depending on the abnormal state or the steady state.

또한, GND 단자는, IC의 접지를 취하기 위한 단자이다. DGND 단자는, IC의 디지털 접지를 취하기 위한 단자이다.Also, the GND terminal is a terminal for grounding the IC. The DGND terminal is a terminal for taking the digital ground of the IC.

<2. QR 모드와 CCM 모드><2. QR mode and CCM mode>

다음에, QR 모드와 CCM 모드에서의 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SEL 단자에 입력되는 선택 입력 신호에 의해 QR 모드가 선택되면, 그 취지를 나타내는 선택 신호 SEL_sig에 의해 컨트롤 로직부(24)는, QR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Next, each operation in QR mode and CCM mode will be described. When the QR mode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input signal input to the SEL terminal,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performs operation control in the QR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SEL_sig indicating that effect.

컨트롤 로직부(24)는, 먼저 OUT 단자로부터 High의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출력시켜, 스위칭 소자 M1을 온시킨다. 그렇게 하면, 코일 전류 Icoil이 온이 된 스위칭 소자 M1 및 전류 검출 저항 Rs를 흐르기 시작하여 증가되어 간다. 이때, 전류 검출 저항 Rs에 의해 검출된 전류 검출 신호 Vcs가 증가된다. 그리고, 전류 검출 신호 Vcs가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 이상이 되면, 비교기(19)의 출력이 High로 상승하고, 컨트롤 로직부(24)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Low로 하강시킨다.The control logic section 24 first outputs a high gate output signal Gout from the OUT terminal to turn on the switching element M1. Then, the coil current Icoil starts to flow through the turned-on switching element M1 and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Rs and increases. At this time,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Rs is increased. Then, when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9 rises to High, and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drop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to Low.

이에 의해, 스위칭 소자 M1은 오프로 되고, 스위칭 소자 M1의 드레인 전압 Vrd가 상승하고, 코일 전류 Icoil은 다이오드 D1을 통해 흐르기 시작하여 감소되어 간다. 이때, ZT 단자에 인가되는 ZT 전압 Vzt는, 드레인 전압 Vdr의 상승에 수반하여 상승하고, 그 후, 서서히 저하된다. 그리고, 코일 전류 Icoil이 제로가 된 타이밍에 드레인 전압 Vdr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ZT 전압 Vzt도 급격하게 저하된다. 그리고, ZT 전압 Vzt가 소정의 참조 전압 이하가 되면, 비교기 CP2의 출력이 High로 상승된다. 이에 의해, 코일 전류 Icoil의 제로 크로스가 검출된다. 그렇게 되면, 컨트롤 로직부(24)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High로 상승시켜, 다시 스위칭 소자 M1을 온시킨다.As a result, the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ff, the drain voltage Vrd of the switching element M1 rises, and the coil current Icoil starts to flow through the diode D1 and decreases. At this time, the ZT voltage Vzt applied to the ZT terminal rises as the drain voltage Vdr rises, and thereafter gradually falls. Then, at the timing when the coil current Icoil becomes zero, the drain voltage Vdr rapidly decreases, and the ZT voltage Vzt also rapidly decreases. Then, when the ZT voltage Vzt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2 rises to High. Thereby, the zero cross of the coil current Icoil is detected. Then,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raise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to High, and turns on the switching element M1 again.

이와 같은 QR 모드에서의 코일 전류 Icoil 및 LED 전류 ILED의 파형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코일 전류 Icoil은 제로로부터 증가된 후, 소정 전류값에서 감소로 바뀌고, 제로에 도달하면 다시 증가된다. 도 2에서 영역 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QR 모드에서는 스위칭 소자 M1의 턴 온 시에 스위칭 소자 M1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소프트 스위칭이 행해지기 때문에, 발열(손실) 및 노이즈의 발생이 억제된다. 단, 코일 전류 Icoil의 진폭이 커지므로, 코일 전류 Icoil을 평균화한 LED 전류 ILED의 리플은 커진다.An example of the waveform of the coil current Icoil and the LED current ILED in such a QR mode is shown in FIG. 2 . The coil current Icoil increases from zero, then changes to decrease at a predetermined current value, and increases again when reaching zero. As shown in area A1 in Fig. 2, in the QR mode, when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 soft switching is performed in which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switching element M1, so heat generation (loss) and generation of noise are suppressed. However, since the amplitude of the coil current Icoil increases, the ripple of the LED current ILED averaging the coil current Icoil increases.

한편, 선택 입력 신호에 의해 CCM 모드가 선택된 경우, 컨트롤 로직부(24)는, CCM 모드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에러 증폭기(20) 및 비교기(21)가 유효해지고, 비교기(21)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 Spwm에 따라서 컨트롤 로직부(24)는, High와 Low를 포함하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출력시켜, 스위칭 소자 M1을 온/오프 제어한다. 즉, 전류 검출 신호 Vcs의 평균값이 전류 귀환 전압 Vcsccm과 일치하도록 PWM 신호 Spwm의 온 듀티가 조정되는 전류 귀환 제어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코일 전류 Icoil의 평균값이 원하는 값과 일치하도록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CM mode is selected by the selection input signal,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performs operation control of the CCM mode. Here, the error amplifier 20 and the comparator 21 are enabled, and in accordance with the PWM signal Spwm output from the comparator 21,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outputs a gate output signal Gout including High and Low to control the switching element M1 on/off. That is, current feedback control in which the on-duty of the PWM signal Spwm is adjusted so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coincides with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is performed. By this,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current Icoil is controlled to match a desired value.

이와 같은 CCM 모드에서의 코일 전류 Icoil 및 LED 전류 ILED의 파형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PWM 신호 Spwm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 M1이 온/오프되어, 코일 전류 Icoil은 증가·감소를 반복한다. 코일 전류 Icoil은, 항상 흐르는 상태에서 제어된다. 스위칭 소자 M1의 스위칭 주기는, 고정으로 된다. 이때, 코일 전류 Icoil의 진폭은 작으므로, LED 전류 ILED의 리플은 작아진다. 단, 도 3에 영역 A2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 M1의 턴 온 시에 스위칭 소자 M1에 전류가 흐르는 하드 스위칭이 행해지기 때문에, 발열(손실) 및 노이즈의 발생의 점에서는 불리해진다.An example of the waveforms of the coil current Icoil and the LED current ILED in such a CCM mode is shown in FIG. 3 . The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PWM signal Spwm, and the coil current Icoil repeats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coil current Icoil is controlled in a state where it always flows. The switching cycle of the switching element M1 is fixed. At this time, since the amplitude of the coil current Icoil is small, the ripple of the LED current ILED becomes small. However, as shown as region A2 in FIG. 3, since hard switching is performed when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 current flows through switching element M1,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heat generation (loss) and generation of nois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1)에서는, 하나의 IC에서 선택 입력 신호에 의해 QR 모드 및 CCM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양쪽 모드 중 한쪽의 모드가 동작 중에, 다른 쪽의 모드의 동작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LED의 휘도를 저휘도로부터 고휘도로 전환할 때, QR 모드로부터 LED 전류의 리플이 작은 CCM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QR mode and the CCM mode can be selected by a selection input signal in one IC,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improved.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to the operation of the other mode while one of the two modes is operat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switch from the QR mode to the CCM mode in which the ripple of the LED current is small, for example, when the luminance of the LED is switched from low luminance to high luminance.

<3.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 및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의 설정><3. Setting of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and the current return voltage Vcsccm>

여기서, 비교용 전압 생성부(18)에 의한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 및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의 설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 the setting of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and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by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1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QR 모드의 선택 시,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은 기본적으로 하기 (1)식으로 설정된다.When the QR mode is selected,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is basically set by the following formula (1).

단, Vadim은 아날로그 조광 신호, G1은 제1 게인 배율However, Vadim is an analog dimming signal, and G1 is the first gain magnification.

CCM 모드의 선택 시,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은 기본적으로 하기 (2)식으로 설정된다. When the CCM mode is selected, the current return voltage Vcsccm is basically set by the following equation (2).

단, Vadim은 아날로그 조광 신호, G2는 제2 게인 배율However, Vadim is the analog dimming signal, and G2 is the second gain magnification.

그리고, 제1 게인 배율 G1은, 제2 게인 배율 G2의 2배로 설정된다(예를 들어, G1=0.7, G2=0.35). 이에 의해, 동일한 아날로그 조광 신호 Vadim의 설정값으로, 양쪽의 모드에서 LED 전류 ILED의 전류값을 동일한 것으로 하게 할 수 있다.Then, the first gain magnification G1 is set to twice the second gain magnification G2 (eg, G1 = 0.7, G2 = 0.35).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current value of the LED current ILED the same in both modes with the same set value of the analog dimming signal Vadim.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DUTYON 단자에 입력되는 온/오프 설정 신호의 설정에 의한 ODP부(17)의 기능의 온/오프에 따라서,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 및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이 이하와 같이 설정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and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are set as follows according to the on/off of the function of the ODP unit 17 by setting the on/off setting signal input to the DUTYON terminal.

※QR 모드 선택 시, 또한 ODP부(17)의 기능 온의 경우※When the QR mode is selected, and when the function of the ODP unit 17 is turned on

Vcsqr =Vadim×G1(Vadim≤Vclp1) … (11)Vcsqr = Vadim × G1 (Vadim ≤ Vclp1) … (11)

Vcsqr =Vclp1×G1(Vadim>Vclp1) … (12)Vcsqr =Vclp1×G1 (Vadim>Vclp1) … (12)

※QR 모드 선택 시, 또한 ODP부(17)의 기능 오프의 경우※When QR mode is selected, and in the case of ODP unit 17 function off

Vcsqr =Vadim×G1(Vadim≤Vclp2) … (13)Vcsqr = Vadim × G1 (Vadim ≤ Vclp2) … (13)

Vcsqr =Vclp2×G1(Vadim>Vclp2) … (14)Vcsqr =Vclp2×G1 (Vadim>Vclp2) … (14)

※CCM 모드 선택 시, 또한 ODP부(17)의 기능 온의 경우※When CCM mode is selected, and when the function of ODP part 17 is turned on

Vcsccm =Vadim×G2(Vadim≤Vclp1) … (15)Vcsccm = Vadim × G2 (Vadim ≤ Vclp1) . (15)

Vcsccm =Vclp1×G2(Vadim>Vclp1) … (16)Vcsccm = Vclp1×G2 (Vadim>Vclp1) … (16)

※CCM 모드 선택 시, 또한 ODP부(17)의 기능 오프의 경우※When CCM mode is selected, and in the case of ODP unit 17 function off

Vcsccm =Vadim×G2(Vadim≤Vclp2) … (17)Vcsccm = Vadim×G2 (Vadim ≤ Vclp2) … (17)

Vcsccm =Vclp2×G2(Vadim>Vclp2) … (18)Vcsccm =Vclp2×G2 (Vadim>Vclp2) … (18)

단, Vclp1 및 Vclp2는, 아날로그 조광 신호 Vadim의 클램프 전압이며, Vclp1>Vclp2이다.However, Vclp1 and Vclp2 are clamp voltages of the analog dimming signal Vadim, and Vclp1 > Vclp2.

즉, 클램프 전압 Vclp1 및 Vclp2에 의해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 및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ODP부(17)의 기능 온의 경우에 사용하는 Vclp1이 기능 오프의 경우에 사용하는 Vclp2보다도 높은 것은, 기능 온의 경우에는 PWM 조광 신호의 온 시간이 제한되므로,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 및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의 제한을 완화해도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That is,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and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can be limited by the clamp voltages Vclp1 and Vclp2. The reason why Vclp1 used when the function of the ODP unit 17 is turned on is higher than Vclp2 used when the function is turned off is that, since the turn-on time of the PWM dimming signal is limited when the function is turned on,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restrictions on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and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are relaxed.

<4. QR 모드 시의 LED 전류 보정><4. LED current correction in QR mode>

본 실시 형태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1)에서는, QR 모드 시에 있어서 LED 전류 ILED(코일 전류 Icoil)를 보정하여 고정밀도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여기서는, 본 기능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 타이밍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correcting the LED current ILED (coil current Icoil) in the QR mode and making it highly accurate. Here, this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timing chart shown in FIG. 4.

스위칭 소자 M1의 온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타이밍 t0에서 코일 전류 Icoil이 제로로부터 증가되기 시작하고, 전류 검출 신호 Vcs도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 후, 타이밍 t1에서 전류 검출 신호 Vcs가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에 도달하면, 비교기(19)의 출력 신호 CS_DET가 High로 상승한다.When the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 the coil current Icoil starts to increase from zero at timing t0 shown in Fig. 4, an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also starts to rise. Then, when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reaches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at timing t1, the output signal CS_DET of the comparator 19 rises to High.

그 후의 지연된 타이밍 t2에서, 컨트롤 로직부(24)에 의해 출력되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는 Low로 하강한다. 여기서, 외장형 부품의 게이트 저항 Rg 및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 용량의 존재에 의해, 게이트 신호 Gt가 어떤 기울기로써 타이밍 t3까지 저하된다.At the subsequent delayed timing t2, the gate output signal Gout output by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drops to Low. Here, the gate signal Gt is lowered with a certain slope until timing t3 due to the existence of the gate resistance Rg of the external component and the gate capacitance (not shown).

타이밍 t3에서 스위칭 소자 M1의 턴 오프에 의해 드레인 전압 Vdr이 상승하기 시작하고, 타이밍 t4에서 드레인 전압 Vdr은 LED 전압 VLED에 도달한다. 이 타이밍 t4에서, 코일 전류 Icoil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뀐다. 즉, 내부 회로에 의한 타이밍 t1부터 t2까지의 지연, 외장형 부품 등에 의한 타이밍 t2부터 t3까지의 지연, 및 드레인 전압 Vdr의 상승에 의한 타이밍 t3부터 t4까지의 지연의 누적으로서, 코일 전류 Icoil이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이 지연 시간 DTqr만큼 발생해 버린다. 이에 의해, 지연 시간 DTqr의 기간만큼 코일 전류 Icoil의 증가가 유지된다. 따라서, 코일 전류 Icoil을 평균화한 LED 전류 ILED가 조금 높게 어긋나, 전류 정밀도에 문제가 발생한다.At timing t3, the drain voltage Vdr starts to rise due to the turning off of the switching element M1, and at timing t4, the drain voltage Vdr reaches the LED voltage VLED. At this timing t4, the coil current Icoil changes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That is, as the accumulation of the delay from timing t1 to t2 by the internal circuit, the delay from timing t2 to t3 by external components, and the delay from timing t3 to t4 by the rise of the drain voltage Vdr, a delay in the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Icoil changes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occurs by the delay time DTqr. Thereby, the increase in the coil current Icoil is maintained for the period of the delay time DTqr. Therefore, the LED current ILED obtained by averaging the coil current Icoil deviate slightly high, causing a problem in current accuracy.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ZT 단자에 발생하는 ZT 전압 Vzt를 사용하여 제어를 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t3으로부터의 드레인 전압 Vdr의 상승에 수반하여, ZT 전압 Vzt도 상승하고, 타이밍 t4에서 ZT 전압 Vzt는 소정의 역치 전압 ZTH1에 도달한다. 역치 전압 ZTH1은, 비교기 CP3의 참조 전압으로서 설정되며, 타이밍 t4에서 비교기 CP3의 출력은 High로 상승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 로직부(24)는, 비교기(19)의 출력 신호 CS_DET가 상승하는 타이밍 t1부터 카운트를 개시하고, 비교기 CP3의 출력이 High가 되는 타이밍 t4까지 카운트함으로써, 지연 시간 DTqr을 검출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 ZT voltage Vzt generated at the ZT terminal. As shown in Fig. 4, as the drain voltage Vdr rises from the timing t3, the ZT voltage Vzt also rises, and the ZT voltage Vzt reache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ZTH1 at the timing t4. The threshold voltage ZTH1 is set as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ator CP3,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3 rises to High at timing t4.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starts counting from timing t1 when the output signal CS_DET of the comparator 19 rises and counts until timing t4 when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3 becomes High, thereby detecting the delay time DTqr.

그리고, 컨트롤 로직부(24)는, 지연 시간 DTqr에 따라서 아날로그 조광 신호 Adim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csqr이 조정되어, 코일 전류 Icoil 나아가서는 LED 전류 ILED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 조광 신호 Adim으로 피드백하는 방법 외에, 컨트롤 로직부(24)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의 온 듀티를 조정해도 된다. 즉, 컨트롤 로직부(24)는, 코일 전류 보정부의 일례에 상당한다.Then,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adjusts the analog dimming signal Adim according to the delay time DTqr. Thereby,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csqr is adjusted, and the coil current Icoil and thus the LED current ILED can be corrected.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feeding back with the analog dimming signal Adim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may adjust the on-duty of the gate output signal Gout. That is,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coil current correcting section.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QR 모드 시에 있어서의 코일 전류 Icoil의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을 검출하여, LED 전류 ILED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QR 모드 시의 제로 크로스 검출에 사용하는 ZT 단자의 ZT 전압 Vzt를 유용하여 지연 시간 DTqr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 delay of the transition timing of the coil current Icoil at the time of QR mode can be detected, and the precision improvement of LED current ILED can be aimed at. In particular, the delay time DTqr can be detected by diverting the ZT voltage Vzt of the ZT terminal used for zero-crossing detection in the QR mode.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전류 Icoil이 감소되어 제로에 도달한 타이밍 t5에서, 드레인 전압 Vdr은 급격하게 저하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ZT 전압 Vzt도 저하된다. ZT 전압 Vzt가 역치 전압 ZTH2에 도달하는 타이밍 t6에서, 비교기 CP2의 출력은 High로 상승하여, 코일 전류 Icoil의 제로 크로스가 검출된다. 즉, 비교기 CP2의 참조 전압으로서 역치 전압 ZTH2가 설정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4, at timing t5 when the coil current Icoil decreases and reaches zero, the drain voltage Vdr drops rapidly, and the ZT voltage Vzt also drops accordingly. At timing t6 when the ZT voltage Vzt reaches the threshold voltage ZTH2,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P2 rises to High, and the zero cross of the coil current Icoil is detected. That is, the threshold voltage ZTH2 is set as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ator CP2.

ZTH2는 제로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되며, ZTH1은 ZTH2보다도 높고 ZTH2와 전압 레벨이 다르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교기 CP2와 비교기 CP3의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ZTH1과의 비교용으로 비교기 CP3을 마련함으로써, 지연 시간 DTqr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단, 제로 크로스 검출용의 비교기 CP2를 지연 시간 DTqr 검출용으로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부품 개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ZTH2 is set to a value close to zero, and ZTH1 is higher than ZTH2 and has a different voltage level from ZTH2.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both the comparator CP2 and the comparator CP3 are provided.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comparator CP3 for comparison with ZTH1, the delay time DTqr can be detected with high precisio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comparator CP2 for zero cross detection also for detection of delay time DTqr. In that case,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5. CCM 모드 시의 LED 전류 보정><5. LED Current Compensation in CCM Mod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서는, CCM 모드 시에 있어서 LED 전류 ILED(코일 전류 Icoil)를 보정하여 고정밀도화하는 기능을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서는, 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incorporate a function for correcting the LED current ILED (coil current Icoil) in the CCM mode and increasing the accuracy. Here, this func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에 있어서 CCM 모드 시에 있어서의 전류 귀환 제어에 관한 구성만을 추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스위칭 제어부(1A)는, 비교기(21), 발진기(22), 컨트롤 로직부(24) 및 드라이버 Dr1을 포함한 기능부이고, 에러 증폭기(2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OUT 단자로부터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CCM 모드 시에 LED 전류를 보정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FIG. 5 is a diagram extracting onl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current feedback control in the CCM mode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shown in FIG. 1 . The switching control unit 1A shown in FIG. 5 is a functional unit including a comparator 21, an oscillator 22, a control logic unit 24, and a driver Dr1, and outputs a gate output signal Gout from the OUT terminal based on an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 20.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the function for correcting the LED current in the CCM mode is not mounted.

도 5의 구성에서는 스위칭 제어부(1A)는, 전류 검출 신호 Vcs의 평균값이 전류 귀환 전압 Vcsccm에 일치하도록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의 온 듀티를 조정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5 , the switching control unit 1A adjusts the on-duty of the gate output signal Gout so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coincides with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도 7은 도 5(도 1)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의 CCM 모드 시의 각종 신호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7에 도시한 타이밍 t10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는 High이고, 스위칭 소자 M1의 턴 온에 의해 코일 전류 Icoil이 증가를 개시하고, 전류 검출 신호 Vcs는 0V로부터 급준하게 상승하고, 그 후 상승한다.Fig. 7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various signal waveforms in the CCM mod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Fig. 1). At timing t10 shown in Fig. 7,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High, the coil current Icoil starts to increase by turning on the switching element M1, an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rises rapidly from 0V and then rises.

온 듀티의 조정에 의해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가 타이밍 t11에서 Low로 전환된다. 외장형의 게이트 저항 Rg 및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 용량의 존재에 의해, 지연된 타이밍 t12에서 게이트 신호 Gt는 Low로 전환된다.By adjusting the on-duty, the gate output signal Gout switches to low at timing t11. Due to the presence of an external gate resistor Rg and a gate capacitance (not shown), the gate signal Gt is turned low at the delayed timing t12.

스위칭 소자 M1의 턴 오프에 의해, 타이밍 t12로부터 드레인 전압 Vdr이 상승하고, 타이밍 t13에서 드레인 전압 Vdr이 LED 전압 VLED에 도달한다. 이 타이밍 t13에서 코일 전류 Icoil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뀐다.By turning off the switching element M1, the drain voltage Vdr rises from the timing t12, and the drain voltage Vdr reaches the LED voltage VLED at the timing t13. At this timing t13, the coil current Icoil changes from increasing to decreasing.

도 5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에러 증폭기(20)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가 High가 되는 기간만 전류 검출 신호 Vcs를 모니터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검출 신호 Vcs의 평균값이 전류 귀환 전압 Vcsccm에 일치하도록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의 온 듀티가 조정된다. 그러나, 타이밍 t11부터 t13까지의 지연 시간 DTccm의 발생에 의해, 그 지연 시간 DTccm의 기간만큼 코일 전류 Icoil이 증가를 계속하여, 코일 전류 Icoil의 평균값이 원하는 값 Iccm보다도 조금 높게 어긋나 버린다. 따라서, LED 전류 ILED의 정밀도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IC(발광 소자 구동 장치)로서는 정확하게 제어하였다고 생각해도, 실제로는 LED 전류 ILED에 어긋남이 발생한다.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the error amplifier 20 monitors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only during the period when the gate output signal Gout becomes High. 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the on-duty of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adjusted such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coincides with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However,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delay time DTccm from timing t11 to t13, the coil current Icoil continues to increase for the period of the delay time DTccm,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current Icoil deviates slightly higher than the desired value Iccm. Therefore, a problem arises in the accuracy of the LED current ILED. That is, even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IC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is controlled accurately, in reality, a deviation occurs in the LED current ILED.

그래서, 도 5에 도시한 구성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LED 전류 ILED의 보정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6에 도시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00)는, 도 5(도 1)에 도시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의 구성을 일부 개변한 것이 된다.Then, by mak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in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correction control of the LED current ILED becomes possible.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00 shown in FIG. 6 is obtain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shown in FIG. 5 ( FIG. 1 ).

도 6에 도시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00)에서는, 도 5의 구성과의 상위점으로서, CS 단자와 에러 증폭기(20)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샘플 홀드부(100A)를 삽입한다. 또한, 도 6의 구성에서는, ZT 단자의 ZT 전압 Vzt도 사용한다. 에러 증폭기(20)는, 샘플 홀드부(100A)로부터 출력되는 샘플링 출력 Vsmp를 모니터한다. 또한, 샘플 홀드부(100A)와, 에러 증폭기(20)와, 스위칭 제어부(1A)로 구동 제어부 또는 코일 전류 보정부의 일례가 구성된다.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100 shown in FIG. 6, as a difference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5, a sample holding unit 100A is inserted between the CS terminal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2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the ZT voltage Vzt of the ZT terminal is also used. The error amplifier 20 monitors the sampling output Vsmp output from the sample holding section 100A. In addition, an example of a driving control unit or a coil current correcting unit is constituted by the sample holding unit 100A, the error amplifier 20,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A.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의 CCM 모드 시의 각종 신호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8에서 도시한 타이밍 t10 내지 t11의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가 High가 되는 기간에서는, 샘플 홀드부(100A)는, 전류 검출 신호 Vcs를 그대로 샘플링 출력 Vsmp로서 출력한다.FIG. 8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various signal waveforms in the CCM mod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During the period when the gate output signal Gout becomes High at timings t10 to t11 shown in Fig. 8, the sample holding unit 100A outputs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cs as the sampling output Vsmp as it is.

그리고, 타이밍 t11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가 Low로 전환되면, 샘플 홀드부(100A)는, 그 타이밍에서의 샘플링 출력 Vsmp를 유지하는 홀드 동작을 행한다. 타이밍 t11 후의 타이밍 t12에서, 드레인 전압 Vdr이 상승을 개시하지만, 그것에 수반하여 ZT 단자의 ZT 전압 Vzt도 상승한다. 그리고, 드레인 전압 Vdr이 LED 전압 VLED에 도달하는 타이밍 t13에서 ZT 전압 Vzt가 역치 전압 Zth에 도달한다. 에러 증폭기(20)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가 High로 전환되고 나서 ZT 전압 Vzt가 역치 전압 Zth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만 샘플링 출력 Vsmp를 모니터한다.Then, when the gate output signal Gout switches to Low at timing t11, the sample holding section 100A performs a hold operation to hold the sampling output Vsmp at that timing. At timing t12 after timing t11, the drain voltage Vdr starts to rise, and the ZT voltage Vzt of the ZT terminal also rises accordingly. Then, at timing t13 when the drain voltage Vdr reaches the LED voltage VLED, the ZT voltage Vzt reaches the threshold voltage Zth. The error amplifier 20 monitors the sampling output Vsmp only during the period from when the gate output signal Gout switches to High until the ZT voltage Vzt reaches the threshold voltage Zth.

도 6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샘플링 출력 Vsmp의 평균값이 전류 귀환 전압 Vcsccm에 일치하도록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의 온 듀티가 조정되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연 시간 DTccm에 상당하는 기간만 샘플 홀드부(100A)에 의해 홀드된 샘플링 출력 Vsmp가 부가되어 모니터되기 때문에, 샘플링 출력 Vsmp의 평균값은 조금 높게 보정된다. 이에 의해, 도 8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링 출력 Vsmp 및 코일 전류 Icoil이 조금 낮게 보정된다. 따라서, LED 전류 ILED가 원하는 값에 가까워지도록 보정되어, 전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the on-duty of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adjusted so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sampling output Vsmp matches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but as shown in Fig. 8, since the held sampling output Vsmp is added and monitored by the sample holding section 100A only for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elay time DTccm, the average value of the sampling output Vsmp is corrected slightly higher. Thereby,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8, the sampling output Vsmp and the coil current Icoil are corrected slightly lower. Therefore, the LED current ILED is corrected so as to approach a desired value, and current accuracy can be improved.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술한 QR 모드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CCM 모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로직부(24)는, 도 8에 도시한 게이트 출력 신호 Gout가 High로부터 Low로 전환되는 타이밍 t11부터 카운트를 개시하고, ZT 전압 Vzt가 역치 전압 Zth에 도달하는 타이밍 t13까지 카운트함으로써, 지연 시간 DTccm을 검출한다. 이 경우,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ZT 전압 Vzt를 역치 전압 Zth와 비교하는 비교기를 마련하면 된다. 그리고, 컨트롤 로직부(24)는, 검출된 지연 시간 DTccm에 따라서 아날로그 조광 신호 Adim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전류 귀환 전압 Vcsccm이 조정되어, 코일 전류 Icoil 나아가서는 LED 전류 ILED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 조광 신호 Adim으로 피드백하는 방법 외에, 컨트롤 로직부(24)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의 온 듀티를 조정해도 된다.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a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in the QR mode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CCM mode. That is,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starts counting from timing t11 when the gate output signal Gout shown in FIG. 8 switches from High to Low, and counts until timing t13 when the ZT voltage Vzt reaches the threshold voltage Zth, thereby detecting the delay time DTccm. In this cas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ZT voltage Vzt with the threshold voltage Zth may be provided. Then,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adjusts the analog dimming signal Adim according to the detected delay time DTccm. Thereby,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Vcsccm is adjusted, and the coil current Icoil and thus the LED current ILED can be corrected.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feeding back with the analog dimming signal Adim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may adjust the on-duty of the gate output signal Gout.

또한, CCM 모드 시에 QR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비교기를 사용하여 제어를 행하는 변형 실시 형태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에러 증폭기(20) 및 FB 단자는 불필요하다. 이와 같은 변형 실시 형태의 제1 예로서는,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Low로부터 High로 전환하여 스위칭 소자 M1을 온시키는 타이밍부터 컨트롤 로직부(24)가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컨트롤 로직부(24)는, 기준 전압과 전류 검출 신호 Vs가 입력되는 비교기의 출력을 감시하고, 전류 검출 신호 Vs가 기준 전압 이상이 된 타이밍에 시간 계측을 종료하고, 그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시간 계측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계측 시간과 동등한 시간만큼 경과한 타이밍에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High로부터 Low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코일 전류 Icoil의 평균값을 기준 전압으로 규정되는 원하는 전류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dified embodiment in which control is performed using a comparator in the CCM mode as in the case of the QR mode is also possible, and in that case, the error amplifier 20 and the FB terminal are unnecessary. As a first example of such a modified embodiment,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starts time measurement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switched from Low to High and the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 Then,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monitors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to which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s are input, ends time measurement at the timing when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s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switches the gate output signal Gout from High to Low at a timing equal to the measurement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time measurement from that tim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current Icoil to a desired current value defined as the reference voltage.

또한, 변형 실시 형태의 제2 예로서는, 컨트롤 로직부(24)는, 스위칭 소자 M1을 턴 온하였을 때의 전류 검출 신호 Vs와 기준 전압의 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를 기준 전압에 더하여 결정되는 전압을 QR 모드 시와 마찬가지의 전류 검출 역치 전압으로 하여, 비교기의 출력을 감시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 Gout를 High로부터 Low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코일 전류 Icoil의 평균값을 기준 전압으로 규정되는 원하는 전류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as a second example of the modified embodiment, the control logic section 24 det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Vs and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 and determines the timing at which the gate output signal Gout is switched from High to Low by setting the voltage determined by adding the detected difference to the reference voltage as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s in the case of the QR mode, and monitoring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current Icoil to a desired current value defined as the reference voltage.

그리고, 상기 제1, 제2 예에 관한 변형 실시 형태의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로직부(24)가 지연 시간 DTccm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연 시간 Dtccm에 따라서 기준 전압 또는 온 시간을 조정하면, 코일 전류 Icoil을 보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difi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xamples,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logic unit 24 detects the delay time DTccm, and adjusts the reference voltage or on-time according to the detected delay time Dtccm. The coil current Icoil can be corrected.

<6. IC 패키지의 핀 배치><6. Pinout of IC Package>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또는 100)]를 IC 패키지 제품으로서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에서는, 각 외부 단자의 배치(핀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IC 패키지는, SOP(Small Outline Package)로서 구성된다. 각 외부 단자인 리드 프레임은, 본딩 와이어(Au 와이어 등)에 의해 LSI 칩의 전극과 접속되고, LSI 칩과 리드 프레임은 밀봉재(에폭시 수지 등)에 의해 밀봉된다.Fig. 9 is a top view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IC package product. In Fig. 9, the arrangement (pin arrangement) of each external terminal is shown. The IC package shown in FIG. 9 is configured as a small outline package (SOP). The lead frame as each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LSI chip by a bonding wire (Au wire or the like), and the LSI chip and the lead frame are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epoxy resin or the like).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 패키지는 상면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의 밀봉재를 갖는다. 당해 밀봉재는, 한쪽의 긴 변인 제1 변과, 제1 변과 대향하여 평행한 긴 변인 제2 변을 갖는다. 제1 변을 따라서, VCC 단자, UVLO 단자, SEL 단자, PWM 단자, QRCOMP 단자, ADIM 단자, FAILB 단자, 및 DUTYON 단자가 순서대로 배열된다. 또한, 제2 변을 따라서, REG90 단자, CS 단자, OUT 단자, GND 단자, DGND 단자, FB 단자, ZT 단자, 및 RT 단자가 순서대로 배열된다.As shown in Fig. 9, the IC package has a rectangular sealing material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sealing material has a first side, which is one long side, and a second side, which is a long side parallel to the first side and opposed to the first side. Along the first side, a VCC terminal, a UVLO terminal, a SEL terminal, a PWM terminal, a QRCOMP terminal, an ADIM terminal, a FAILB terminal, and a DUTYON terminal are arranged in this order. Further, along the second side, the REG90 terminal, CS terminal, OUT terminal, GND terminal, DGND terminal, FB terminal, ZT terminal, and RT terminal are arranged in this order.

입력 전원계의 VCC 단자 및 UVLO 단자,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와의 입출력 관계인 SEL 단자, PWM 단자, QRCOMP 단자, ADIM 단자, FAILB 단자, 및 DUTYON 단자를, IC 패키지를 PCB(기판)에 실장할 때의 배선을 고려하여, 동일한 긴 변측에 통합하여 배치하고 있다.The VCC terminal and UVLO terminal of the input power supply system, and the SEL terminal, PWM terminal, QRCOMP terminal, ADIM terminal, FAILB terminal, and DUTYON terminal, which are input/output relationships with a microcomputer (not shown), are integrated and arranged on the same long side in consideration of wiring when mounting the IC package on a PCB (substrate).

또한, FB 단자는, DGND 단자와 ZT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FB 단자에 만약 고전압이 인가되면, CCR 모드 시에 있어서 PWM 제어의 온 듀티가 매우 커져, LED 전류가 과전류가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FB 단자가 만약 인접하는 DGND 단자, 또는 ZT 단자와 쇼트해도, DGND 단자 및 ZT 단자는 저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이며, FB 단자에 저전압이 인가되므로 문제는 없다.Also, the FB terminal is disposed between the DGND terminal and the ZT terminal. If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B terminal, the on-duty of the PWM control becomes very large in the CCR mod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D current may become an overcurrent. However, even if the FB terminal is short-circuited with the adjacent DGND terminal or ZT terminal, there is no problem since the DGND terminal and the ZT terminal are terminals to which a low voltage is applied, and a low voltage is applied to the FB terminal.

<7. 칩에 있어서의 배치 구성><7. Arrangement configuration in chip>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1)에 구비되는 칩(101)에 있어서의 전극 패드의 배치 및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부가 배치되는 각 영역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electrode pads in the chip 101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of each region where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is arranged.

또한, 도 10에 있어서, X축 방향과, X축 방향에 직교하는 Y축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X축 방향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X1 방향과 X2 방향으로 나타내고, Y축 방향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Y1 방향과 Y2 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X2 방향과 Y2 방향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이 된다.10,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axis direction are shown, the X-axis direction is more specifically indicated by the X1 direction and the X2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s more specifically indicated by the Y1 direction and the Y2 direction. The X2 direction and the Y2 direction become directions approaching each other.

도 10에 도시한 칩(101)은, 외형으로서 직사각형을 갖는다. 당해 직사각형은, X2 방향측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변 S1과, Y2 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변 S2와, X1 방향측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변 S3과, Y1 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변 S4를 갖는다.The chip 101 shown in Fig. 10 has a rectangular shape as an external shape. The rectangle has a first side S1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X2-direction side, a second side S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Y2-direction side, a third side S3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X1-direction side, and a fourth side S4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Y1-direction side.

칩(101)은, 전극 패드로서, 2개의 VCC 패드, UVLO 패드, SEL 패드, PWM 패드, QRCOMP 패드, ADIM 패드, FAILB 패드, DUTYON 패드, RT 패드, ZT 패드, FB 패드, DGND 패드, 2개의 GND 패드, 2개의 OUT 패드, CS 패드, 2개의 REG90 패드를 갖는다. 이들 각 패드는, 도 9에 도시한 IC 패키지의 각 단자에 대응하여 마련된다.Chip 101 has two VCC pads, UVLO pads, SEL pads, PWM pads, QRCOMP pads, ADIM pads, FAILB pads, DUTYON pads, RT pads, ZT pads, FB pads, DGND pads, two GND pads, two OUT pads, CS pads, and two REG90 pads as electrode pads. Each of these pads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of the IC package shown in FIG. 9 .

제1 변 S1을 따라서는, CS 패드, 제1 REG90 패드, 제2 REG90 패드, 제1 VCC 패드, 제2 VCC 패드, UVLO 패드가 이 순번으로 Y2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변 S2를 따라서는, SEL 패드, PWM 패드, QRCOMP 패드, ADIM 패드, FAILB 패드가 이 순번으로 X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변 S3을 따라서는, DUTYON 패드, RT 패드, ZT 패드가 이 순번으로 Y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4 변 S4를 따라서는, FB 패드, DGND 패드, 제1 GND 패드, 제2 GND 패드, 제1 OUT 패드, 제2 OUT 패드가 이 순번으로 X2 방향으로 배치된다.Along the first side S1, a CS pad, a first REG90 pad, a second REG90 pad, a first VCC pad, a second VCC pad, and a UVLO pad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the Y2 direction. Along the second side S2, the SEL pad, PWM pad, QRCOMP pad, ADIM pad, and FAILB pad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the X1 direction. Along the third side S3, the DUTYON pad, the RT pad, and the ZT pad are arranged in the Y1 direction in this order. Along the fourth side S4, an FB pad, a DGND pad, a first GND pad, a second GND pad, a first OUT pad, and a second OUT pad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the X2 direction.

칩(101)은,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A 영역 내지 M 영역을 갖는다.The chip 101 has regions A to M as regions in which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is disposed.

A 영역, B 영역, C 영역은, X1 방향으로 보아 이 순번으로 Y2 방향으로 배치된다. A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제1 OUT 패드 및 제2 OUT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겸침과 함께, X1 방향으로 보아 CS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친다. B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A 영역과 X축 방향으로 겸침과 함께, X1 방향으로 보아 제1 REG90 패드 및 제2 REG90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친다. B 영역은, X1 방향으로 보아 제1 VCC 패드와는 Y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다.Area A, area B, and area C are arranged in the Y2 direction in this order when viewed from the X1 direction. Area A overlaps the first OUT pad and the second OUT pad in the X-axis direction as viewed in the Y2 direction, and overlaps with the CS pad in the Y-axis direction as viewed in the X1 direction. Area B intersects area A in the X-axis direction as viewed in the Y2 direction, and overlaps with the first REG90 pad and the second REG90 pad in the Y-axis direction as viewed in the X1 direction. Region B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VCC pad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1 direction.

제1 VCC 패드 및 제2 VCC 패드는, 톱 메탈 배선을 통해, B 영역에 배치되는 내부 전압 생성부(11)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내부 전압 생성부(11)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내부 전압 생성부(11)의 출력단은, 톱 메탈 배선을 통해, A 영역에 배치되는 드라이버 Dr1의 전원 입력단에 접속된다. 드라이버 Dr1은,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1 VCC 패드 및 제2 VCC 패드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 Vcc에 기초하여 내부 전압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내부 전압 Vreg는, 드라이버 Dr1의 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드라이버 Dr1의 출력단은, 제1 OUT 패드 및 제2 OUT 패드에 접속된다.The first VCC pad and the second VCC pad are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of the internal voltage generator 11 disposed in region B through top metal wiring. The internal voltage generator 11 includes a power transistor. An output terminal of the internal voltage generator 11 is connected to a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river Dr1 disposed in region A through a top metal wire. Driver Dr1 includes a power transistor. Accordingly, the internal voltage Vreg generated by the internal voltage generator 11 based o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pplied to the first VCC pad and the second VCC pad is supplied as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driver Dr1.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er Dr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 pad and the second OUT pad.

A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제1 GND 패드 및 제2 GND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다. 드라이버 Dr1의 접지단은, 제1 GND 패드 및 제2 GND 패드와 접속된다.Area A does not overlap the first GND pad and the second GND pad in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2 direction. A ground terminal of the driver Dr1 is connected to the first GND pad and the second GND pad.

이와 같이, 제1, 제2 REG90 패드 및 제1, 제2 VCC 패드는, B 영역의 근처에 배치되고, A 영역은, 제1, 제2 OUT 패드 및 제1, 제2 GND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REG90 pads and the first and second VCC pads are disposed near the B region, and the A region is disposed near the first and second OUT pads and the first and second GND pads.

C 영역은, X1 방향으로 보아 제1 VCC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고, X1 방향으로 보아 제2 VCC 패드 및 UVLO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친다. C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B 영역과 X축 방향으로 겹친다. 이에 의해, C 영역은, UVLO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 UVLO부(13)는, C 영역에 배치된다.Region C does not overlap the first VCC pad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1 direction, but overlaps the second VCC pad and the UVLO pad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1 direction. Area C overlaps area B in the X-axis direction as viewed in the Y2 direction. As a result, region C is arranged near the UVLO pad. The UVLO unit 13 is disposed in region C.

C 영역 내지 H 영역은, Y1 방향으로 보아 이 순번으로 X1 방향으로 배치된다. D 영역은, Y1 방향으로 보아 SEL 패드보다 X1 방향측으로 어긋나 있어, SEL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다. 또한, D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C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친다. 이에 의해, D 영역은, SEL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 비교기 CP1은, D 영역에 배치된다.Areas C to H are arranged in the X1 direction in this order when viewed from the Y1 direction. The D region is shifted from the SEL pad in the X1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1 direction, and does not overlap with the SEL pad in the X-axis direction. Further, region D overlaps region C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As a result, the D region is disposed near the SEL pad. The comparator CP1 is disposed in the D region.

E 영역은, Y1 방향으로 보아 PWM 패드 및 QRCOMP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친다. E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C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치지만 D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다. ODP부(17)는, E 영역에 배치된다. X2 방향으로 본 PWM 패드와 E 영역 사이의 Y축 방향의 거리는, Y1 방향으로 본 DUTYON 패드와 E 영역 사이의 X축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다. 이것은, PWM 패드에 인가되는 PWM 조광 신호에 비해, DUTYON 패드에 인가되는 온/오프 설정 신호는 High 레벨 또는 Low 레벨에서 일정하고, DUTYON 패드에 인가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허용도는 크기 때문이다.The area E overlaps the PWM pad and the QRCOMP pad in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1 direction. The E area overlaps the C area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but does not overlap the D area in the Y-axis direction. ODP unit 17 is disposed in area E. The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PWM pad and area E viewed in the X2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DUTYON pad and area E viewed in the Y1 direction. This is because, compared to the PWM dimming signal applied to the PWM pad, the on/off setting signal applied to the DUTYON pad is constant at a high level or low level, and the tolerance for noise with respect to the signal applied to the DUTYON pad is large.

F 영역은, Y1 방향으로 보아 QRCOMP 패드로부터 X1 방향측으로 어긋나 있어, QRCOMP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고, ADIM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친다. F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D 영역 및 E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친다. 증폭기(16)는 F 영역에 배치된다. F 영역은, QRCOMP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Area F is displaced from the QRCOMP pad in the X1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1 direction, and does not overlap with the QRCOMP pad in the X-axis direction, but overlaps with the ADIM pad in the X-axis direction. Area F overlaps areas D and E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Amplifier 16 is placed in region F. Area F is arranged near the QRCOMP pad.

G 영역은, Y1 방향으로 보아 ADIM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치고, X2 방향으로 보아 F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친다. 비교용 전압 생성부(18)는, G 영역에 배치된다. G 영역은, ADIM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 ADIM 패드에는 아날로그 전압인 아날로그 조광 신호가 인가되므로, 노이즈를 억제하여, 조광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고 있다.The G region overlaps the ADIM pad in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1 direction, and overlaps the F region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18 is disposed in the G region. The G region is disposed near the ADIM pad. Since an analog dimming signal, which is an analog voltage, is applied to the ADIM pad, noise is suppressed and the influence on dimming is suppressed.

H 영역은, Y1 방향으로 보아 FAILB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치고, X2 방향으로 보아 G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친다. 이상 검출부(23)는, H 영역에 배치된다. H 영역은, FAILB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The H region overlaps the FAILB pad in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1 direction, and the G region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23 is disposed in the H region. The H region is arranged near the FAILB pad.

G, H 영역을 포함하는 조, I 영역, J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이 순번으로 Y1 방향으로 배치된다. I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DUTYON 패드로부터 Y1 방향측으로 어긋나 있어, DUTYON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고, RT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친다. 발진기(22)는, I 영역에 배치된다. I 영역은, RT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The group including the G and H regions, the I region, and the J region are arranged in the Y1 direction in this order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The I region is displaced from the DUTYON pad in the Y1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and does not overlap with the DUTYON pad in the Y-axis direction, but overlaps with the RT pad in the Y-axis direction. The oscillator 22 is disposed in the I region. The I region is disposed near the RT pad.

J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RT 패드로부터 Y1 방향측으로 어긋나 있어, RT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고, ZT 패드와 Y축 방향으로 겹친다. 비교기 CP2, CP3은, J 영역에 배치된다. J 영역은, ZT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The J area is shifted from the RT pad toward the Y1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and does not overlap the RT pad in the Y-axis direction, but overlaps the ZT pad in the Y-axis direction. Comparators CP2 and CP3 are arranged in the J region. The J region is disposed near the ZT pad.

J 영역, K 영역, L 영역, A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이 순번으로 X2 방향으로 배치된다. K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FB 패드로부터 X2 방향측으로 어긋나 있어, FB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고, DGND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친다. K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J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친다. 에러 증폭기(20)는, K 영역에 배치된다. K 영역은, FB 패드의 근처에 배치된다.Area J, area K, area L, and area A are arranged in the X2 direction in this order when viewed in the Y2 direction. The K region is shifted from the FB pad toward the X2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2 direction, and does not overlap with the FB pad in the X-axis direction, but overlaps with the DGND pad in the X-axis direction. The K region overlaps the J region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The error amplifier 20 is disposed in the K region. The K region is disposed near the FB pad.

L 영역은, Y2 방향으로 보아 제1, 제2 GND 패드와 X축 방향으로 겹친다. L 영역은, X2 방향으로 보아 K 영역과 Y축 방향으로 겹친다. 비교기(19)는, L 영역에 배치된다.The L region overlaps the first and second GND pads in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Y2 direction. The L region overlaps the K region in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X2 direction. The comparator 19 is disposed in the L region.

A 영역 내지 L 영역에 의해 외측이 둘러싸인 칩(101)의 중앙부에 M 영역이 배치된다. 컨트롤 로직부(24)는 M 영역에 배치된다.Area M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hip 101 surrounded on the outside by areas A to L. The control logic unit 24 is disposed in the M region.

<8. 액정 표시 장치(LCD)에 대한 적용><8. Application to Liquid Crystal Display (LCD)>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를 적용하는 대상의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전자 기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 11에 도시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구성은 소위 에지 라이트 방식의 것이며, 이것에 한하지 않고 직하 방식의 구성이어도 된다.As an example of a subject to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ppli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example of electronic equipment) will be described.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hown in FIG. 11 . Note that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1 is of a so-called edge light system,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of a direct system.

도 1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 X는, 백라이트(81)와, 액정 패널(82)을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81)는, 액정 패널(82)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조명 장치(발광 장치의 일례)이다. 백라이트(81)는, LED 광원부(811), 도광판(812), 반사판(813), 및 광학 시트류(814)를 갖고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X shown in FIG. 11 includes a backlight 81 and a liquid crystal panel 82 . The backlight 81 is a lighting device (an example of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illuminates the liquid crystal panel 82 from the back side. The backlight 81 has an LED light source part 811 , a light guide plate 812 , a reflector plate 813 , and optical sheets 814 .

LED 광원부(811)는 LED와, LED를 실장하는 기판을 포함하고 있고, 당해 LED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로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LED 광원부(811)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812)의 측면으로부터 내부에 입광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판으로 구성되는 도광판(812)은, 내부에 입광된 광을 전반사시키면서 내부 전체로 유도하여, 광학 시트류(814)가 배치되는 측의 면으로부터 면상의 광으로서 출사시킨다. 반사판(813)은, 도광판(812)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812)의 내부로 되돌린다. 광학 시트류(814)는, 확산 시트나 렌즈 시트 등을 포함하고, 액정 패널(82)에 조명하는 광의 휘도 균일화나 휘도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한다.The LED light source unit 811 includes LEDs and a substrate on which the LEDs are mounted, and as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EDs, the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applied.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unit 811 enters the insi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812 . The light guide plate 812 made of, for example, an acrylic plate guides the light incident therein to the entire interior while totally reflecting it, and emits it as planar light from the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 optical sheets 814 are disposed. The reflector 813 reflects the light leak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812 and returns it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812 . The optical sheets 814 include a diffusion sheet, a lens sheet, and the like, and are aimed at equalizing the luminance of light illuminating the liquid crystal panel 82 or improving the luminance.

<9. 기타><9. Oth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이면, 실시 형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for embodiment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는, QR 모드와 CCM 모드 중 한쪽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코일 전류 Icoil의 진폭이 비교적 작아지는 CCM 모드만을 구비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의 경우에는, 코일 전류 Icoil을 평균화하는 콘덴서 C1을 반드시 마련하지는 않아도 된다. 또한, QR 모드와 CCM 모드의 양쪽 모드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콘덴서 C1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은 채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may include only one of the QR mode and the CCM mod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having only the CCM mode in which the amplitude of the coil current Icoil becomes relatively small, it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to provide a capacitor C1 for averaging the coil current Icoil. Further, even in the case of having both the QR mode and the CCM mo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pacitor C1 is not provided can be employe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LED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for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that drives an LED.

1: 발광 소자 구동 장치
11: 내부 전압 생성부
12: IC 전원 UVLO부
13: UVLO부
14: 내부 전압 UVLO부
15: 저역 통과 필터
16: 증폭기
17: ODP(Over Duty Protection)부
18: 비교용 전압 생성부
19: 비교기
20: 에러 증폭기
21: 비교기
22: 발진기
23: 이상 검출부
24: 컨트롤 로직부
50: LED 어레이
CP1 내지 CP3: 비교기
Dr1: 드라이버
R1, R2: 분압 저항
D1: 다이오드
C1: 콘덴서
L1: 코일
C2: 콘덴서
R11, R12: 분압 저항
M1: 스위칭 소자
Rs: 전류 검출 저항
Rg: 게이트 저항
Cfb: 콘덴서
100: 발광 소자 구동 장치
100A: 샘플 홀드부
1A: 스위칭 제어부
101: 칩
1: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1: internal voltage generator
12: IC power UVLO part
13: UVLO unit
14: internal voltage UVLO unit
15: low pass filter
16: Amplifier
17: ODP (Over Duty Protection) part
18: voltage generator for comparison
19: comparator
20: error amplifier
21: comparator
22: oscillator
23: abnormality detection unit
24: control logic unit
50: LED array
CP1 to CP3: Comparators
Dr1: driver
R1, R2: Partial pressure resistance
D1: diode
C1: capacitor
L1: Coil
C2: capacitor
R11, R12: voltage divider resistance
M1: switching element
Rs: current sense resistor
Rg: gate resistance
Cfb: capacitor
100: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100A: sample holding unit
1A: switching control unit
101: chip

Claims (25)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e drive controller detects a delay time of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hanges from an increase to a decrease, and corrects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e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delay time.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having a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고,
상기 외부 구성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전류 검출 저항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에 접속되는 분압 저항을 더 포함하고,
당해 발광 소자 구동 장치는,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류 검출 저항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는 제2 외부 단자와,
상기 분압 저항의 접속 노드가 접속되는 제3 외부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발생하는 전류 검출 신호와 전류 검출 역치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제3 외부 단자에 발생하는 ZT 전압이 입력되며, 상기 코일 전류의 제로 크로스 검출에 사용되는 제2 비교기를 갖고,
상기 코일 전류 보정부는, 상기 전류 검출 신호가 상승하여 상기 전류 검출 역치 전압에 도달한 것이 상기 제1 비교기에 의해 검출되고 나서, 상기 ZT 전압이 상승하여 소정의 ZT 역치 전압에 도달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상기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 시간으로서 검출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e drive control unit has a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correcting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e signal based on a delay in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hanges from an increase to a decrease;
The external configuration is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first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dividing re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 second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a connection nod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a third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dividing resistor is connected;
The drive control unit,
A first comparator for comparing a current detection signal generated at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with a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 ZT voltage generated at the third external terminal is input and has a second comparator used for zero-cross detection of the coil current;
The coil current compensator detects, as a delay time of the transition timing, a time from when it is detected by the first comparator that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rises and reaches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ZT voltage rises and reaches a predetermined ZT threshold volt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ZT 전압과, 상기 ZT 역치 전압에 상당하는 참조 전압이 입력되는 제3 비교기를 더 구비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d a third comparator to which the ZT voltage and a referenc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ZT threshold voltage are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ZT 전압이 상승하여 소정의 ZT 역치 전압에 도달한 것은, 상기 제2 비교기에 의해 검출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omparator detects that the ZT voltage rises and reaches a predetermined ZT threshold voltag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 역치 전압은,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코일 전류 보정부는, 상기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를 조정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is generated based on an analog dimming signal,
The coil current compensator adjusts the analog dimming signal based on the delay tim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전류 보정부는, 상기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의 온 시간을 조정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coil current compensating unit adjusts an on-time of the driving signal based on the delay tim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WM 조광 신호가 입력되는 제4 외부 단자와,
온/오프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제5 외부 단자와,
상기 온/오프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PWM 조광 신호의 듀티를 제한하는 기능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ODP(Over Duty Protection)부와,
아날로그 조광 신호가 입력되는 제6 외부 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검출 역치 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용 전압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교용 전압 생성부는, 하기 식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검출 역치 전압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상기 ODP부의 기능 온의 경우
Vcsqr =Vadim×G1(Vadim≤Vclp1)
Vcsqr =Vclp1×G1(Vadim>Vclp1)
상기 ODP부의 기능 오프의 경우
Vcsqr =Vadim×G1(Vadim≤Vclp2)
Vcsqr =Vclp2×G1(Vadim>Vclp2)
Vclp1>Vclp2
단, Vcsqr: 상기 전류 검출 역치 전압, Vadim: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 G1: 제1 게인 배율, Vclp1: 제1 클램프 전압, Vclp2: 제2 클램프 전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 four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PWM dimming signal is input;
A fif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n on/off setting signal is input;
An ODP (Over Duty Protection) unit for switching on/off of a function for limiting the duty of the PWM dimming signal according to the on/off setting signal;
A six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n analog dimming signal is input;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based on the analog dimming signal;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based on the following formula.
In the case of turning on the function of the above ODP unit
Vcsqr = Vadim × G1 (Vadim ≤ Vclp1)
Vcsqr = Vclp1×G1 (Vadim>Vclp1)
In the case of function off of the ODP unit
Vcsqr = Vadim × G1 (Vadim ≤ Vclp2)
Vcsqr = Vclp2×G1 (Vadim>Vclp2)
Vclp1 > Vclp2
However, Vcsqr: the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Vadim: the analog dimming signal, G1: first gain magnification, Vclp1: first clamp voltage, Vclp2: second clamp voltage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고,
상기 외부 구성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전류 검출 저항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콘덴서와,
상기 제2 콘덴서의 타단에 접속되는 분압 저항을 더 포함하고,
당해 발광 소자 구동 장치는,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류 검출 저항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는 제7 외부 단자와,
상기 분압 저항의 접속 노드가 접속되는 제8 외부 단자와,
제3 콘덴서가 접속되는 제9 외부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7 외부 단자에 발생하는 전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샘플 홀드부와,
상기 샘플 홀드부의 출력과 전류 귀환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단 및 상기 제9 외부 단자가 접속되는 출력단을 갖는 에러 증폭기와,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과 발진 신호가 입력되는 제4 비교기를 갖고,
상기 코일 전류 보정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온 레벨로부터 오프 레벨로 전환되었을 때 홀드하여 출력하는 상기 샘플 홀드부와,
상기 제8 외부 단자에 발생하는 ZT 전압이 상승하여 소정의 ZT 역치 전압에 도달한 타이밍까지 상기 샘플 홀드부의 출력을 모니터하는 상기 에러 증폭기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e drive control unit has a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correcting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e signal based on a delay in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hanges from an increase to a decrease;
The external configuration is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dividing re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 seventh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a connection nod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an eigh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divider resistor is connected;
a nin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the third condenser is connected;
The drive control unit,
a sample holding unit to which a current detection signal generated at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is input;
an error amplifier having an input terminal to which the output of the sample hold unit and a current feedback voltage are input, and an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ninth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a fourth comparator to which the output of the error amplifier and an oscillation signal are input;
The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the sample hold unit holding and outputting the sample when the driving signal is switched from an on level to an off level;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having the error amplifier for monitoring the output of the sample hold unit until the timing when the ZT voltage generated at the eighth external terminal rises and reaches a predetermined ZT threshold voltage.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고,
상기 외부 구성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전류 검출 저항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콘덴서와,
상기 제2 콘덴서의 타단에 접속되는 분압 저항을 더 포함하고,
당해 발광 소자 구동 장치는,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류 검출 저항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는 제7 외부 단자와,
상기 분압 저항의 접속 노드가 접속되는 제8 외부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7 외부 단자의 전압과,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 전류의 평균값을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코일 전류 보정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온 레벨로부터 오프 레벨로 전환되고 나서 상기 제8 외부 단자에 발생하는 ZT 전압이 상승하여 소정의 ZT 역치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상기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 시간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신호의 온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e drive control unit has a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correcting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e signal based on a delay in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hanges from an increase to a decrease;
The external configuration is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dividing re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 seventh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a connection nod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an eigh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divider resistor is connected;
The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the drive signal to set an average value of the coil current to a desired value based on a voltage of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and a reference voltage;
The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a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as a delay time of the transition timing, a time from when the driving signal is switched from an on level to an off level until a ZT voltage generated at the eighth external terminal rises and reaches a predetermined ZT threshold voltage;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having an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reference voltage or the on-time of the driving signal based on the delay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성은, 제3 콘덴서가 접속되는 제9 외부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7 외부 단자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인 전류 귀환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단 및 상기 제9 외부 단자가 접속되는 출력단을 갖는 에러 증폭기와,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과 발진 신호가 입력되는 제4 비교기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external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nin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third capacitor is connected,
The drive control unit,
an error amplifier having an input terminal to which the voltage of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and a current feedback voltage, which is the reference voltage, are input, and an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ninth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having a fourth comparator to which an output of the error amplifier and an oscillation signal are inpu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를 오프 레벨로부터 온 레벨로 전환한 타이밍부터 시간 계측을 개시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7 외부 단자의 전압이 입력되는 제5 비교기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제7 외부 단자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이 된 타이밍에 시간 계측을 종료하고, 그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시간 계측에 의한 계측 시간과 동등한 시간만큼 경과한 타이밍에 상기 구동 신호를 온 레벨로부터 오프 레벨로 전환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driving control unit starts time measurement from the timing when the driving signal is switched from the OFF level to the ON level, monitors the output of a fifth comparator to which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of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are input, ends the time measurement at the timing when the voltage at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switches the driving signal from the ON level to the OFF level at a timing that has elapsed from that timing by a time equal to the measurement time by the time measure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턴 온하였을 때의 상기 제7 외부 단자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를 상기 기준 전압에 더하여 결정되는 전압과 상기 제7 외부 단자의 전압이 입력되는 제6 비교기의 출력을 감시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온 레벨로부터 오프 레벨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driving control unit detects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and determines timing for switching the driving signal from an on level to an off level by monitoring a voltage determined by adding the detected difference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an output of a sixth comparator to which the voltage of the seventh external terminal is input.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PWM 조광 신호가 입력되는 제10 외부 단자와,
온/오프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제11 외부 단자와,
상기 온/오프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PWM 조광 신호의 듀티를 제한하는 기능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ODP(Over Duty Protection)부와,
아날로그 조광 신호가 입력되는 제12 외부 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귀환 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용 전압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교용 전압 생성부는, 하기 식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귀환 전압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상기 ODP부의 기능 온의 경우
Vcsccm =Vadim×G2(Vadim≤Vclp1)
Vcsccm =Vclp1×G2(Vadim>Vclp1)
상기 ODP부의 기능 오프의 경우
Vcsccm =Vadim×G2(Vadim≤Vclp2)
Vcsccm =Vclp2×G2(Vadim>Vclp2)
Vclp1>Vclp2
단, Vcsccm: 상기 전류 귀환 전압, Vadim: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 G2: 제2 게인 배율, Vclp1: 제1 클램프 전압, Vclp2: 제2 클램프 전압
According to claim 8 or 10,
A ten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PWM dimming signal is input;
An eleven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n on/off setting signal is input;
An ODP (Over Duty Protection) unit for switching on/off of a function for limiting the duty of the PWM dimming signal according to the on/off setting signal;
A twelf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n analog dimming signal is input;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based on the analog dimming signal;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current feedback voltage based on the following formula.
In the case of turning on the function of the above ODP unit
Vcsccm = Vadim×G2 (Vadim ≤ Vclp1)
Vcsccm =Vclp1×G2 (Vadim>Vclp1)
In the case of function off of the ODP unit
Vcsccm = Vadim×G2 (Vadim ≤ Vclp2)
Vcsccm =Vclp2×G2 (Vadim>Vclp2)
Vclp1 > Vclp2
However, Vcsccm: the current return voltage, Vadim: the analog dimming signal, G2: second gain magnification, Vclp1: first clamp voltage, Vclp2: second clamp voltage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흐르는 코일 전류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바뀌는 트랜지션 타이밍의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코일 전류를 보정하는 코일 전류 보정부를 갖고,
선택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13 외부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에 따라서 QR 모드(quasi-resonant: 의사 공진 방식)와, CCM 모드(continuous current mode: 전류 연속 방식)를 전환하여 동작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driving control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e drive control unit has a coil current correction unit correcting the coil current by adjusting the drive signal based on a delay in transition timing at which the coi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changes from an increase to a decrease;
Further comprising a thirteen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selection input signal is input,
The driving control unit operates by switching between a quasi-resonant (quasi-resonant) mode and a continuous current mode (CCM)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성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전류 검출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QR 모드 시에 사용되는 제7 비교기와,
상기 전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며, 출력단에 제4 콘덴서가 접속되는 상기 CCM 모드 시에 사용되는 에러 증폭기를 갖고,
당해 발광 소자 구동 장치는,
아날로그 조광 신호가 입력되는 제14 외부 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제1 게인 배율을 승산하여 상기 제7 비교기에 입력되는 전류 검출 역치 전압을 생성함과 함께,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제2 게인 배율을 승산하여 상기 에러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류 귀환 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용 전압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게인 배율은, 상기 제2 게인 배율의 2배인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external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drive control unit,
A seventh comparator to which a current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is input and used in the QR mode;
An error amplifier used in the CCM mode in which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a fourth capacito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 fourteenth external terminal to which an analog dimming signal is input;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input to the seventh comparator by multiply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by a first gain magnification and multiply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by a second gain magnification to generate a current feedback voltage input to the error amplifier;
The first gain magnification is twice the second gain magnification.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풀 다운 저항과,
상기 제13 외부 단자와 상기 풀 다운 저항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는 입력단을 갖는 제8 비교기를 더 구비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A pull-down resistor connected to the thirteenth external terminal;
and an eighth comparator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pull-down resistor and the thirteenth external terminal.
IC 패키지인 제14항에 기재된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외부 구성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전류 검출 저항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5 콘덴서와,
상기 제5 콘덴서의 타단에 접속되는 분압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IC 패키지는,
제1 변과, 상기 제1 변과 대향하는 제2 변을 갖는 밀봉재와,
상기 제13 외부 단자로서의 SEL 단자와,
IC의 디지털 접지를 취하기 위한 DGND 단자와,
상기 CCM 모드에 사용되는 에러 증폭기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외부의 제6 콘덴서를 접속 가능한 FB 단자와,
상기 QR 모드에 사용되며, 상기 분압 저항의 접속 노드에 접속 가능한 ZT 단자를 갖고,
상기 제1 변을 따라서, 상기 SEL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변을 따라서, 상기 DGND 단자, 상기 FB 단자, 및 상기 ZT 단자가 배치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ich is an IC package,
The external configuration is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fifth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voltage divider resis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fth condenser;
The IC package,
A sealing material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 SEL terminal as the thirteenth external terminal;
A DGND terminal for taking the digital ground of the IC;
An FB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used in the CCM mode and capable of connecting an external sixth capacitor;
a ZT terminal used in the QR mode and connectable to a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divider resistor;
Along the first side, the SEL terminal is disposed;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in which the DGND terminal, the FB terminal, and the ZT terminal are disposed along the second sid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FB 단자는, 상기 DGND 단자와 상기 ZT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FB terminal is disposed between the DGND terminal and the ZT terminal.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IC 패키지는,
상기 IC용의 전원 단자인 VCC 단자와,
상기 입력 전압의 UVLO용의 UVLO 단자를 갖고,
상기 VCC 단자와 상기 UVLO 단자는, 상기 제1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or 18,
The IC package,
A VCC terminal as a power supply terminal for the IC;
a UVLO terminal for UVLO of the input voltage;
The VCC terminal and the UVLO terminal are disposed along the first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일단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발광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코일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 단자와 접속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와,
선택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에 따라서 QR 모드(quasi-resonant: 의사 공진 방식)와, CCM 모드(continuous current mode: 전류 연속 방식)를 전환하여 동작하고,
상기 외부 구성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전류 검출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QR 모드 시에 사용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전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며, 출력단에 제1 콘덴서가 접속되는 상기 CCM 모드 시에 사용되는 에러 증폭기를 갖고,
당해 발광 소자 구동 장치는,
아날로그 조광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외부 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제1 게인 배율을 승산하여 상기 제1 비교기에 입력되는 전류 검출 역치 전압을 생성함과 함께, 상기 아날로그 조광 신호에 제2 게인 배율을 승산하여 상기 에러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류 귀환 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용 전압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게인 배율은, 상기 제2 게인 배율의 2배인 발광 소자 구동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o which an input voltage is applied at one end;
A coi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in an extern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a driving controlle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on/off and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 second external terminal to which a selection input signal is input,
The drive controller operates by switching between a quasi-resonant (quasi-resonant) mode and a continuous current mode (CCM)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signal,
The external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current detection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drive control unit,
A first comparator to which a current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is input and used in the QR mode;
An error amplifier used in the CCM mode in which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a first capacito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 third external terminal to which an analog dimming signal is input;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detection threshold voltage input to the first comparator by multiply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by a first gain magnification and multiplying the analog dimming signal by a second gain magnification to generate a current feedback voltage input to the error amplifier;
The first gain magnification is twice the second gain magnific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풀 다운 저항과,
상기 제2 외부 단자와 상기 풀 다운 저항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는 입력단을 갖는 제2 비교기를 더 구비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A pull-down resistor connected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and a second comparator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and the pull-down resistor.
제1항 내지 제4항, 제8항 내지 제12항, 제14항 내지 제15항, 제17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소자 구동 장치와,
상기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부를 갖는 발광 장치.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8 to 12, 14 to 15, 17 to 18, or 22 to 23;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driven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제24항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4.
KR1020207037529A 2018-06-29 2018-12-25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KR1025610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4080 2018-06-29
JPJP-P-2018-124080 2018-06-29
PCT/JP2018/047534 WO2020003559A1 (en) 2018-06-29 2018-12-25 Light-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20A KR20210015920A (en) 2021-02-10
KR102561074B1 true KR102561074B1 (en) 2023-07-27

Family

ID=6898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529A KR102561074B1 (en) 2018-06-29 2018-12-25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1714B2 (en)
KR (1) KR102561074B1 (en)
WO (1) WO202000355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5854A1 (en) * 2022-01-31 2023-08-03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3243A (en) * 2013-08-02 2015-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JP2016091781A (en) * 2014-11-04 2016-05-23 ローム株式会社 Switching converter, control circuit therefor, control method, illumin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7143692A (en) * 2016-02-12 2017-08-17 ローム株式会社 Driving circuit of led for liquid crystal backlight, control circuit of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0497B1 (en) * 2016-07-14 2018-12-12 Nxp B.V. A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3243A (en) * 2013-08-02 2015-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JP2016091781A (en) * 2014-11-04 2016-05-23 ローム株式会社 Switching converter, control circuit therefor, control method, illumin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7143692A (en) * 2016-02-12 2017-08-17 ローム株式会社 Driving circuit of led for liquid crystal backlight, control circuit of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3559A1 (en) 2020-01-02
JPWO2020003559A1 (en) 2021-07-08
KR20210015920A (en) 2021-02-10
JP7011714B2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0840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semiconductor circuit and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1502608B2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control device and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circuit device
KR101020023B1 (en) Drive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US8193739B2 (en) Apparatus for lighting LEDs
CN104980021B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US7423389B2 (en) LED driving device of overvoltage protection and duty control
US8896214B2 (en) LED driving system for driving multi-string LEDs and the method thereof
US7977889B2 (en) Direct-current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device for driving LED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power supply
TWI384904B (en) The driving circui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JP6578126B2 (en) Light source drive circuit and control circuit thereof, ligh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JP2009044081A (en) Driver
US11265981B2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US9277612B2 (en) Switching converter,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ligh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395384B2 (en) Light emitting device driving apparatus, light emitting device driving system and light emitting system
US20230254957A1 (en) Led driv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US20200120769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module
KR102561074B1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US9295138B2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using the same
US8810216B2 (en) Current sink with low side voltage regulation
CN114325033A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WO2024075473A1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KR20150031802A (en) Voltage tracking circuit and buck converter with protecting function from over voltage
JP2012174536A (en) Power circuit for lighting and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