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048B1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048B1
KR102561048B1 KR1020220160148A KR20220160148A KR102561048B1 KR 102561048 B1 KR102561048 B1 KR 102561048B1 KR 1020220160148 A KR1020220160148 A KR 1020220160148A KR 20220160148 A KR20220160148 A KR 20220160148A KR 102561048 B1 KR102561048 B1 KR 102561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tance
signage
viewing distan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태블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태블릿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태블릿
Priority to KR102023009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8527A/en
Priority to KR1020230096608A priority patent/KR20230118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는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DB 관리부; 상기 DB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터랙션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광고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includes a DB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 signage control unit that outputs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B management unit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an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ing a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and an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반응형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loud-based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responsive digital signage using at least one display.

종래 콘텐츠 제공 방식은, 광고 컨텐트가 게시된 전단지를 오프라인(off-line)으로 제공하거나 인터넷, TV나 라디오 등에 온라인(on-line)으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러한 종래 콘텐츠 제공 방식은, 이용자에게 고정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에 대한 소유자와 제작자가 상이하여 기 제작된 콘텐츠의 빠른 수정, 변경, 업데이트 등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it is common to provide flyers on which advertisement content is posted offline (off-line) or to provide online (on-line) Internet, TV or radio.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content not only provides fixed information to users unilaterally,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quickly modify, change, or update pre-produced content because the owners and creators of the content are different. Therefore, recently,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hrough digital signage has emerged.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콘텐츠 표시 수단으로,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지하철 역사, 버스 정류장, 아파트 엘리베이터, 건물 외관, 은행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현재는 단순히 2D 동영상 형태에 소리를 곁들인 광고를 시간대별로 번갈아 노출하는 형식이 대부분이다.Digital signage is a means for displaying content using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nd refers to a conten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ommon in plac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such as subway stations, bus stops, apartment elevators, building exteriors, and banks, and currently, most of them are simply 2D video ads with sound alternately exposed at different times of the day.

다만, 사람들에게 더욱더 흥미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TV에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 아닌, 다양한 환경(예: 실내 공간, 좁은 공간)에서도 콘텐츠를 제공하고, 일방적인 정보 제공이 아닌 사용자와의 양방향 교류를 통해 반응형 콘텐츠를 적절한 장소에서 노출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provide people with more interesting content or to provide content efficiently, content can be displayed in various environments (e.g., indoor space, narrow space), not in the same way as broadcasting programs are transmitted to a TV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to expose responsive content in an appropriate place through interactive exchange with users rather than unilateral information provision.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in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5123호(2016.09.0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5123 (2016.09.06.)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8/0004953호(2008.01.03.)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08/0004953 (2008.01.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4135호(2021.11.09.)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324135 (2021.11.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0887호(2021.07.2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90887 (2021.07.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5643호(2022.08.1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15643 (2022.08.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10497호(2022.06.1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410497 (2022.06.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loud-based digital signage using at least one displa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목적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may further provide objects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는,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DB 관리부; 상기 DB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인터랙션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광고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includes a DB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 signage control unit that outputs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B management unit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an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ing a user and a user terminal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and an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DB 관리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서칭하고, 서칭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es the user terminal, obtains interest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recognized user terminal, searches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res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DB management unit, and ,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ontent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니지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 근접한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과 구별되는 제2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ignage controller outputs a first image to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displays a second image distinct from the first image to a second area close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can be printed ou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니지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 상기 사이니지 장치 주변의 사용자들의 분포, 밀도 및 상기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제1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기에 최적 거리인 시청 최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ignage control unit allows the users to view the first video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display, distribution and density of users around the signage device, and movement paths of the users. An optimal viewing distance, which is an optimal viewing distance, may be determin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최근 1시간 동안 사용자들의 수,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들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타겟 단말로 결정하고, 타겟 단말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distance between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camera, a time when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and a recent one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The user is determined as a target user,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is determined as the target terminal,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during the time period and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optimum distance during the last 1 hour; Advertis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video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as .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method for controlling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includes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outputting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video contents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Recognizing a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and determining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지는 비일시적 기록매체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re may be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and read by a computer.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re may be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와 연동된 사이니지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DB 관리부; 상기 DB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터랙션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광고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may include a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a signage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and a manager terminal managing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The server may include a DB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 signage control unit that outputs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B management unit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an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ing a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and an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온라인 광고와 비교했을 때, 온라인 광고의 장점인 양방향 소통과 광고 전달과 집행의 탄력성이 뛰어나며, 온라인 광고의 단점인 권위와 신뢰성은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와 이벤트를 활용해 반대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compared to online advertising, the advantages of online advertising are excellent in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the elasticity of advertisement delivery and execution, and the disadvantages of online advertising are authority and reliability, which enable various media contents and events. Conversely, it can be used to maintain a high level.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의 장점인 저렴한 가격과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지역 예술가와 온라인 크리에이터와 협업을 통한 임팩트 있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low price and efficient operation, which are advantages of digital signage, are possible, and impactful advertisements can be provid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artists and online creators.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시 재생 문화 콘텐츠로써 사이니지를 활용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ignage can be utilized as urban regeneration cultural content.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various effects identifi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사이니지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클라우드 기반 사이니지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와 사이니지 장치 간 프로세스 및 사이니지 장치 내부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관람하거나 출력되는 영상과 관람자들 간 인터랙션에 관한 일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oud-based sign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cloud-based signage control system.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between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and a signage device and a process inside the signage device.
4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5 is a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viewing an image output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or interaction between an output image and viewers.
6 is a diagram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FIG. 1;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in a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클라우드 기반 사이니지 제어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사이니지 제어 시스템(10)은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사이니지 장치(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동작들은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플랫폼(예: 웹 페이지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 내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하고, 출력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200)에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oud-based signag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 the cloud-based signage control system 10 may include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 manager terminal 200, a signage device 300, and the like. Operations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or implemented through a platform (eg, a web page and/or application) controlled by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 In other words,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llows a manager to access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using the manager terminal 200 to input, register, and output various information. A web site can be provided, and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registering, and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being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manager terminal 200 .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경쟁력이 뒤쳐진 소상공인 및 상권을 반응형 콘텐츠 사이니지를 통해 재탄생시키고, 단순히 광고로써의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 크리에이터와의 협업, 미디어아트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경제적 재탄생뿐시킴으로써, 문화적인 새로운 거점으로써의 기회도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regenerates small business owners and commercial districts that are lagging behind in competitiveness through responsive content signage, and not only functions as an advertisement, but also economically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creators and media art artists. By only being reborn, it can also provide an opportunity as a new cultural base.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상태를 관리하고 통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사이니지 장치(300)로 파일 내지 데이터(예: 동영상 파일 내지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니지 장치(300)는 전광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이니지 장치(300)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302))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can manage the state of the signage device 300, collect statistical data, and transmit files or data (eg, video files or video data) to the signage device 300. there is. The signage device 300 may mean an electric signboard, and the signage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eg, the display 302 of FIG. 3 ).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는 옥외 공간뿐만 아니라, 실내 각진 기둥에 설치되거나 실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300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an outdoor space, but also on an indoor angled pillar or installed on an indoor wall. 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30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display, and 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CD (thin film transistor-LCD) display,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사이니지 장치(3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으며, 사이니지 장치(300)의 일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사이니지 장치(300)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복수의 면들 각각에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사이니지 장치(300)는 복수의 면들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하나의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는 평면 영역(flat area)과 평면 영역에서 사이니지 장치(300)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곡면 영역(curved area)을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ignage device 300 and may occupy most of one surface of the signage device 300 . The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each display panel on each of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signage device 300, or the signage device 300 may cover a plurality of surfaces simultaneously. may include a display. In other words, the display may include a flat area and a curved area extending from the flat area toward the side of the signage device 300 .

사이니지 장치(300)는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등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등을 이용하여 보행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이니지 장치(300)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 근접 센서,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지문 인식을 위한 지문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아래 층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지 않거나, 시인이 어렵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 외에 추가적인 사용자/생체 인증을 위한 센서가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 인증을 위한 IR 센서가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통해 노출되거나, 디스플레이의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어 노출될 수 있다.The signage device 300 includes a camera, motion sensor, beacon, and the like, and may interact with a pedestrian using the camera, motion sensor, and beacon. Additionally, the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proximity sensor, a key, and the like. A fingerprint sensor for fingerprint recognition may be includ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300 . Since the fingerprint sensor is disposed on a lower layer of the display, it may not be recognized by a user or may be difficult to be recognized. In addition, a sensor for additional user/biometric authentication may be disposed in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in addition to the fingerprint sensor. For example, an IR sensor for iris authentication may be exposed through one area of the display or may be attached and exposed at a location close to the display.

사이니지 장치(30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니지 장치(300)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와 같이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동등한 사양(예: 화소)을 가지는 동종의 카메라일 수 있으나,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는 다른 사양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이니지 장치(300)는 2개의 카메라를 통해 듀얼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예: 3D 촬영, 자동 초점(auto focu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for user recognition. For example, the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two cameras such as a first camera and a second camera.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may be cameras of the same type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s (eg, pixels), but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may be implemented as camera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The signage device 300 may support functions related to dual cameras (eg, 3D shooting, auto focus, etc.) through two cameras.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종류 내지에 제한을 받지 않는 웹 기반의 사이니지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파일 내지 데이터를 이동, 복사, 저장, 변형, 전송하며 관리자의 입력 내지 설정에 따라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상기 파일 내지 상기 데이터를 이용(예: 사이니지 화면 출력)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use web-based signage softwa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type or types of the signage device 300 .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oves, copies, saves, transforms, and transmits files or data on a cloud basis, and uses the files or data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input or settings (eg : Signage screen output).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표시할 파일 내지 데이터(예: 동영상 파일 내지 동영상 데이터)를 사이니지 장치(300)에 전송 내지 제공할 수 있다.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transmit or provide files or data (eg, video files or video dat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0 to the signage device 300 .

사이니지 장치(3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의 영상 파일 DB)로부터 획득된 파일 내지 데이터(예: 동영상 파일 내지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영상 파일 DB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파일 내지 영상 데이터를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광고 영상 및/또는 홍보 영상을 표시(출력)할 뿐만 아니라,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ignage device 300 displays (outputs) files or data (eg, video files or video data) obtained from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or video file DB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can do.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not only displays (outputs) an advertisement video and/or a promotional video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0 through the image file or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file DB, but also the signage device ( 300),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경찰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와 연동하여 미아 찾기 콘텐츠를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경찰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로부터 미아 찾기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미아 찾기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미아 실종 추정 시간, 미아 개인 정보(예: 이름, 나이, 성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획득된 미아 실종 추정 시간에 기반하여,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02)를 통해 미아 찾기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얼굴 인식, 모션 인식, 근접도, 비콘 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인식을 통해 사이니지 장치(300)의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의 유동 현황을 파악하고, 반응형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카메라, 비콘 센서를 통해 단순히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것이 아닌 실내 및 지하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서비스가 어려운 점을 들어 자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실내 및 지하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output content for finding a lost child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0 in conjunction with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of a police station.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obtain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for finding a lost child from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for a police station. age, gender, etc.).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output lost child finding content through the display 302 of the signage device 300 based on the obtained estimated time of missing child.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grasps the flow status of users around the signage device 300 through face recognition, motion recognition, proximity, and user recognition using a beacon sensor, and performs responsive advertisements. can do.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for user terminals indoors and underground, rather than simply recognizing user terminals through the camera and beacon sensor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provide indoor and underground information for users (or user terminals) through their own application service. You can pinpoint the exact location.

관리자 단말(2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ble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notebook, a smart phone, a tablet PC, a mobile phone, and a smart watch.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ortable game consol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digital voice It may be a digital audio recorder, a digital audio player, a digital video recorder, a digital video play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및 사이니지 장치(300)는 각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5G 등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the manager terminal 200, and the signage device 300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respectively,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Local Area Network (LAN),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Zigbee, Wi-Fi,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Various types of wired or wireless networks may be used, such as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5G.

도 2는 클라우드 기반 사이니지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시스템(10)은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사이니지 군집, 클라우드 파일 저장소(DB), 백업 파일 저장소(DB) 각각이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2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cloud-based signage control system. Referring to FIG. 2, the cloud-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 manager terminal 200, a signage cluster, a cloud file storage (DB), and a backup file storage (DB), respectiv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works in conjunction.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상태 관리 서버를 포함하거나, 상태 관리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상태 관리 서버는 DB 및 사이니지 군집에 관한 상태를 확인하거나 오류 시 복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0)은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include a state management server or interwork with the state management server. The state management serv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DB and signage cluster or perform recovery work in case of an error.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control and manage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사이니지 군집(cluster)에 광고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니지 군집은 여러 각 장소에 분포한 사이니지 장치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 장소에 분포한 사이니지 장치들에게 결정된 동영상 파일 내지 동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반응형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광고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제1 위치의 제1 사이니지 장치에는 제1 광고 내지 제3 광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1 사이니지 장치에 제1 동영상 파일 내지 제1 동영상 데이터, 및 제1 사용자 반응형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2 위치의 제2 사이니지 장치에는 제4 광고 내지 제6 광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사이니지 장치에 제2 동영상 파일 내지 제2 동영상 데이터, 및 제2 사용자 반응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distribute advertisements to signage clusters. For example, the signage cluster may mean a set of signage devices distributed in various places, and by providing a determined video file or video data and user responsive data to the signage devices distributed in each place. Advertisements can be distributed.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output first video files to first video data to the first signage device so that the first to third advertisements can be output to the first signage device at the first location. , and a second video file to second video data provided to the second signage device so that the fourth to sixth advertisements can be output to the second signage device at the second location, and to provide the first user-responsive data; and second user-responsive data.

도 3은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와 사이니지 장치(300) 간 프로세스 및 사이니지 장치(300) 내부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between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nd the signage device 300 and a process within the signage device 300.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사이니지 장치(300)(예: 사이니지 프로세서(301))에 동영상 파일 내지 동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반응형 파일 내지 사용자 반응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transmits video files or video data, and user-responsive files or user-responsive data to the signage device 300 (eg, the signage processor 301). can

사이니지 프로세서(301)는 이하 도 4에서 설명되는 DB 관리부(101), 광고 수수료 결정부(104), 사이니지 제어부(102), 및 인터랙션 제어부(103) 등의 모듈들을 동작시키는 하드웨어로 이해될 수 있다. 사이니지 프로세서(301)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로부터 획득한 동영상 파일 내지 동영상 데이터, 및 반응형 파일 내지 반응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0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이니지 프로세서(301)는 사이니지 장치(300)에 포함 내지 연동된 각종 센서(예: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지문 센서, 감응형 센서, 소리 센서(즉, 소리 측정 센서) 등)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또는, 반응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또는, 반응형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동량, 사용자의 분포, 사용자의 밀집도, 사용자의 관심 정보, 시간대 별 사용자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ge processor 301 will be understood as hardware that operates modules such as the DB management unit 101, the advertising fee determination unit 104, the signage control unit 102, and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described in FIG. 4 below. can The signage processor 301 may output a video file or data obtained from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nd a responsive file or responsive data through the display 302 . The signage processor 301 uses various sensors (eg, cameras, motion sensors, beacons, fingerprint sensors, sensitive sensors, sound sensors (i.e., sound measurement sensors), etc.) included in or interlocked with the signage device 300. Data (or responsive data) can be acquired. The user data (or responsive data) may include a user's movement amount, a user's distribution, a user's density, user's interest information, user characteristics by time zone, and the like.

사이니지 장치(300)(예: 사이니지 프로세서(301))는 사이니지 장치(300)에 포함 내지 연동된 각종 센서(예: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지문 센서, 감응형 센서, 소리 센서 등)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로 전송 내지 제공할 수 있다.The signage device 300 (eg, the signage processor 301) includes various sensors (eg, cameras, motion sensors, beacons, fingerprint sensors, sensitive sensors, sound sensors, etc. ) may be transmitted or provided to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도 4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DB 관리부(101)는 복수 개의 콘텐츠를 수집하고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는 소리가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이거나 소리가 출력되지 않는 무음 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 DB 관리부(101)는 클라우드 파일 저장소 내지 클라우드 파일 DB 와 연동되며, 클라우드 파일 저장소 내지 클라우드 파일 DB에 저장된 파일,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DB 관리부(101)는 사이니지 제어부(102)의 요청에 의하여 요청에 대응하는 파일 내지 데이터를 사이니지 제어부(102)에 제공할 수 있다.The DB management unit 101 may collect, store, and manage a plurality of content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video contents with sound output or silent video contents without sound output. The DB management unit 101 interworks with a cloud file storage or cloud file DB, and can receive files and data stored in the cloud file storage or cloud file DB. The DB management unit 101 may provide the signage control unit 102 with files or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t the request of the signage control unit 102 .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디스플레이(302)에 DB 관리부(101)에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디스플레이(302)의 제1 영역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근접한 제2 영역에 제2 영상을 표시하되, 아나몰픽 일루션(anamorphic illusion)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에서 제1 영상과 제2 영상에 기반한 제3 영상이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각각 다른 뎁스(depth) 정보와 시점(point of vie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은 제1 뎁스 정보 및 제1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영상은 제2 뎁스 정보 및 제2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내지 상기 제3 영상의 콘텐츠 내지 콘텐츠의 종류는 광고, 방송, 교통 정보, 재난 안전 정보, 날씨 정보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 unit 102 may output content stored in the DB management unit 101 to the display 302 . The signage controller 102 displays a first image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302 and displays a second image in a second area close to the first area, using anamorphic illusion technology. A third image based o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different depth information and point of view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image may include first depth information and first viewpoi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second depth information and second viewpoint information. The contents or types of contents of the first image to the third image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such as advertisement, broadcasting, traffic information,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제1 영역와 제2 영역 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각각의 뎁스 정보 및 시점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change depth information and viewpoint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시간대별로 디스플레이(302)의 휘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밝은 환경에서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302)를 미리 설정된 임계 휘도값 이상의 휘도로 구현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se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302 differently for each time period. For example, 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implement the display 302 with a luminance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luminance value to secure visibility in a bright environment.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하루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 2시간)으로 복수의 시간대들로 나누고, 복수의 시간대들 중에서 시청 최적 거리에 분포한 사용자들이 가장 적은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시간대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 unit 102 divides a day into a plurality of time zones at preset time intervals (eg, 2 hours), and among the plurality of time zones, determines a time zone with the fewest users distributed in an optimal viewing distance as a first time zone, , The display can be turned off in the first time zone.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등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통해 사물을 판별하거나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움직임을 캐치하거나 포함하며,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등을 이용하여 보행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discriminates objects, recognizes users, catches or includes motions through data acquired through cameras, motion sensors, beacons, etc., and interacts with pedestrians using cameras, motion sensors, beacons, etc. can be done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사이니지 장치(300)에 포함된 소리 센서를 통해 사이니지 장치(300) 주변의 외부 소리(소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acquire external sound (noise) data around the signage device 300 through a sound sensor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300 .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상기 영상 DB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특정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주변을 지나갈 때 인터랙션 제어부(103)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비콘을 통해 디스플레이(302) 주변의 사용자 단말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 분포도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들의 밀도가 가장 높은 영역에 속한 사용자들 중 상기 영역에 가장 오래 머물고 있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인터넷 포탈 서버(예: 네이버, 다음, 구글)에 포함된 오픈 소스(open source)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나이, 동일한 성별을 갖는 다른 사용자들의 온라인 검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온라인 검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 unit 102 may display a user-customized advertisement through the image DB. For example, the signage control unit 102 recognizes the specific user through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when the specific user passes around the display, obtains interest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specific user, and assigns interest information to the acquired inter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advertisements may be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recognizes user terminals around the display 302 through beacons, generates a location distribution map of the recognized user terminals, and among users belonging to an area with the highest density of user terminals, the area Interest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been staying for the longest time may be obtained,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nteres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interest based on the age of the user and the gender of the user, and from an open source included in Internet portal servers (eg, Naver, Daum, Google) Online search information of other users having the same age and gender may be obtained, and the interest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obtained online search information.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이미지 전처리가 수행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객체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이미지 전처리가 수행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공 신경망에 입력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인공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객체 식별 알고리즘인 SSD(Single Shot Detector), R-CNN(Region with CNN) 또는 YOLO(you only look once)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객체 검출을 통해 상기 인공지능을 통해 사물 및 사람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AR 이모지 반응형 콘텐츠를 집행하여 보행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perform image preprocessing to remove noise on image data acquired through the camera of the signage device 300 .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perform object detection on the image data on which image pre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input the image data for which image pre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s input data.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object identification algorithm such as single shot detector (SSD), region with CNN (R-CNN), or you only look once (YOLO). Objects and people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and through this, AR emoji responsive content can be executed to interact with pedestrians.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사람 검출 모델을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할 수 있으며, 사람 검출 모델은 인공 신경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많은 수의 인공 뉴런(또는, 노드)들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인 시스템의 계산 능력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현된 예측 모델이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perform supervised learning on a person detection model according to image data obtained through a camera, and the person detection model may be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 predictive model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that mimics the computational power of a biological system using a large number of artificial neurons (or nodes).

사람 검출 모델은 사람 검출 모델에 의해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객체에 대하여 라벨링된 데이터'을 이용하여 지도 학습될 수 있다. 이때 지도 학습이란, 입력값과 그에 따른 출력값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주어진 입력값에 따른 출력값을 찾는 학습을 의미하며, 정답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라벨링된 데이터는 객체(예: 사람, 강아지, 고양이 등) 별로 라벨링한 데이터일 수 있다. 지도 학습에 주어지는 입력값과 출력값 세트를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라고 한다. 즉, 상술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와 '라벨링된 데이터'는 각각 입력값과 출력값으로서, 사람 검출 모델의 지도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The person detection model may be supervised and learned using 'image data' obtained through a camera by the person detection model and 'data labeled for an object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At this time, supervised learning means learning to find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a given input value by using data with input values and corresponding output values as learning data, and means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a state where the correct answer is known. For example, the labeled data may be data labeled for each object (eg, human, dog, cat, etc.). The set of inputs and outputs given to supervised learning is called training data. That is, 'image data' and 'labeled data'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amera are input values and output values, respectively, and may be used as training data for supervised learning of a human detection model.

다시 말해서,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미리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된 사람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검출된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지도학습된 상기 사람 검출 모델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크기의 입력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사람 검출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상기 사람 검출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식별된 객체의 종류에 대한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검출 내지 인식한 사람을 통한 유동 인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a person by using a previously supervised learning person detection model.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convert the image data into an input image having a preset size in the supervised person detection model and input the result to the person detection model. The interaction controller 103 may identify the type of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based on the output of the person detection model.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obtain object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a person based on the obtained object information.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perform floating population analysis through the detected or recognized person.

광고 수수료 결정부(104)는 인터랙션 제어부(103)를 통해 수행된 유동 인구 분석에 기반하여 CPM(cost per mile)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M은 광고 비용을 측정하는 모델의 한 종류로 1000회 광고를 노출시키는데 사용된 비용을 의미할 수 있으며, 대중 매체(예: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영상 콘텐츠(예: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중 매체(예: 사이니지 장치(300))에 의해 노출되는 광고의 상대적인 가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PM = 광고비/(옥외광고 총 노출량(Y) × 광고 기간) × 1000 (광고 기간은 일주일을 한 단위로 함.)The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104 may calculate a cost per mile (CPM) based on the floating population analys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 For example, CRM is a type of model for measuring advertising costs, and may mean the cost used to expose 1000 advertisements, and video content (eg, the signage device 300) through mass media (eg, the signage device 300). advertising message), and may mean a relative price of an advertisement exposed by mass media (eg, the signage device 300). For example, the above CPM = advertising cost / (total outdoor advertising exposure (Y) × advertising period) × 1000 (an advertising period is one week)

광고 수수료 결정부(104)는 사이니지 장치의 위치 및 유동 인구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의 매장과 사이니지 장치가 가까울수록 광고주가 내야할 광고 수수료를 미리 설정된 광고 수수료보다 낮게 결정하거나, 사이니지 장치 주변의 유동 인구가 많을수록 광고주가 내야할 광고 수수료를 미리 설정된 광고 수수료보다 높게 결정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the adverti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ignage device and floating popul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loser the advertiser's store and signage device are, the lower the advertiser's advertising fee is determined, or the larger the floating population around the signage device, the more the advertiser's advertising fee is set. can be determined higher.

도 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관람하거나 출력되는 영상과 관람자들 간 인터랙션에 관한 일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viewing an image output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or interaction between an output image and viewers.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사이니지 장치(300)로부터 일정 거리(예: 제1 거리)에 있는 사용자들과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사이니지 장치(300)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사용자들을 카메라로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들의 위치, 체류 시간 등을 통해 인터랙션을 수행할 타겟 사용자들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 단말들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비콘을 통해 사이니지 장치(300)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사용자 단말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 체류 시간 등을 통해 인터랙션을 수행할 타겟 사용자 단말들을 결정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interact with users at a certain distance (eg, a first distance) from the signage device 300 . For example,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recognizes users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ignage device 300 with a camera, determines target users to perform interactions through the location and stay time of the recognized users, and determines the target users. Target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s may be determined. As another example,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recognizes user terminals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ignage device 300 through the beacon of the signage device 300, and uses the location, stay time, etc. of the recognized user terminals. Target user terminals to perform interactions may be determined.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사이니지 장치(300) 주변의 소리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이니지 장치의 주변에 소음이 있는 경우 소리를 발생시키는 콘텐츠(예: 광고)를 출력해도 유의미한 광고 효과를 볼 수 없으므로,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소음이 있는 경우 해당 소음이 발생하는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콘텐츠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ler 102 can control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sound volume around the signage device 300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In other words, if there is noise around the signage device, even if content (eg, advertisement) that generates sound is output, a meaningful advertisement effect cannot be see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ype of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during the time.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소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소리 크기가 임계 데시벨(dB)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출력되는 콘텐츠의 효과가 있고, 없고를 따지는 것은 사이니지 장치(300)의 위치 기준에서 따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또는, 관람자, 보행자) 기준에서 따져야하는 것이므로,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결정된 시청 최적 거리에 기반하여 임계 데시벨(dB)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시청 최적 거리가 멀수록, 임계 데시벨은 작을 수 있으며, 시청 최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임계 데시벨은 클 수 있다. 다만, 시청 최적 거리가 멀다고 임계 데시벨은 무한히 작아질 수 없으므로, 임계 데시벨은 제1 데시벨 이상일 수 있다. 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control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sound level measured by the sound sensor of the signage device 3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decibel (dB). However, whether or not the outputted content has an effect should not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standard of the signage device 300, but based on the user (or viewer, pedestrian) standard that actually watches the content. The controller 102 may determine a threshold decibel (dB) based on the determined optimal viewing distance. For example, 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have a smaller threshold decibel as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is farther, and may have a larger threshold decibel as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is closer. However, since the threshold decibel cannot become infinitely small even if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is long, the threshold decibel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ecibel.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사이니지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가 소리를 출력하는 제1 콘텐츠인 경우, 상기 제1 콘텐츠가 출력되기로 미리 결정된 제1 시점에 소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소리 크기가 임계 데시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시점을 상기 제1 시점에서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2 시점으로 변경하고, 시간적으로 인접한 다른 콘텐츠들 중 상기 제2 시점에 출력되기로 예정된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시점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콘텐츠는 소리 출력이 없는 콘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When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0 is the first content that outputs sound, the signag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the sound measured through the sound sensor at a first time when the first content is to be output. When the siz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decibel, the output time of the first content is changed to a second time point temporally adjacent to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content scheduled to be output at the second time point among other content temporally adjacent to the first time point is changed. It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at the first time point. The second content may be understood as content without sound output.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주변을 거니는 사용자들의 시청 최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02)의 크기, 사용자(관람자)들의 분포, 밀도 및 사용자(관람자)들의 이동 경로 등에 기반하여 시청 최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클수록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시청 최적 거리는 늘어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크기뿐만 아니라 사용자(관람자)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시청 최적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사이니지 제어부(102)는 이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시청 최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determine an optimal viewing distance for users walking around the signage device 300 . 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determine an optimal viewing distance based on the size of the display 302 of the signage device 300, distribution and density of users (viewers), and movement paths of users (viewers). In other words, as the size of the display increases,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for viewing an image output from the signage device may increase, and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viewers) as well as the size of the display. The signage controller 102 may determine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through Equation 1 below.

상기 수학식 1에서, d는 시청 최적 거리(m), s는 디스플레이의 크기(inch), k은 사이니지 장치(300)로부터 사이니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출력 방향으로 위치한 첫번째 인도(sidewalk or pavement) 폭의 중심점까지의 거리(m), w1은 상기 중심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가중치, w2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한 제2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w1은 상기 w2보다 클 수 있다.In Equation 1, d is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m), s is the size (inch) of the display, and k is the first sidewalk (sidewalk or The distance (m) to the central point of the pavement width, w1 may mean a first weight for the distance to the center point, w2 may mean a second weight for the size of the display, and w1 may be greater than w2. there is.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결정된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을 지나가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들을 식별하되, 인터랙션 제어부(103)에 의하여 결정된 타겟 단말들을 식별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ler 103 may identify user terminals of users passing through an area within the determined optimal viewing distance, and may identify target terminal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controller 103 .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모든 사용자 단말의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콘에 근접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인터랙션 제어부(103)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내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경우, 서비스를 원치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불편함과 불쾌함을 줄 수 있으므로,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를 제공할 타겟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acquire identification codes of user terminals satisfying preset conditions, instead of acquiring identification codes of all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the beacon signal. In other words, if information or an interface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is displayed on all user terminals close to the beacon, inconvenience and discomfort may be given to users who do not want the service, so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 may determine a user terminal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as a target terminal to provide a service.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비콘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에 접근하고, 비콘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위치하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타겟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콘과 근접한 거리 내에서 단순히 지나갔다는 것만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원치 않는 사용자들에게 보낼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를 제공할 타겟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는,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카메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인식되고, 카메라와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위치한 사용자 중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타겟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approaches a preset distance from the beacon, i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beacon for a preset time, has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installed,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rrent user terminal as a target terminal to provide the service. In other words,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to the user terminal 200 simply by simply passing within a close distance to the beacon may have a problem in that it may be sent to unwanted users, so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 103) may determine a user terminal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as a target terminal to provide a service. As another example,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is recogniz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camera, and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is installed among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camera for a preset time. , A user terminal running the application may be determined as a target terminal to provide the service.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사용자 단말(200)과 비콘(또는, 카메라) 사이의 거리, 사용자 단말(200)이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최근 1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수,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의 수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기준 값인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이하 수학식 2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eacon (or camera),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and the last 1 hour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An interaction index, which is a reference value responding to a beacon signal,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other user terminals and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that have visited and entered the area with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during the last hour.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calculate the interaction index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Equation 2 below.

상기 수학식 2에서, E는 인터랙션 지수, h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m) 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c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초), j는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 n는 상기 시청 최적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In Equation 2, E is the interaction index, h is the distance (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amera, and c is the user terminal or user in an area with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Positioning time (in seconds), j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located in the area with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n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who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during the last 1 hour. can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인터랙션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지수보다 높은 사용자 단말을 상기 타겟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인터랙션 제어부(103)는 상기 디스플레이(302)를 통해서 출력되는 영상과 관련된 광고 데이터, 이벤트 데이터 및/또는 쿠폰 데이터를 상기 타겟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determine a user terminal having an interaction index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index as the target terminal.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03 may transmit advertisement data, event data, and/or coupon data related to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302 to the target terminal.

도 6은 도 1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ccording to FIG. 1 .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 and instructions instructing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It may include a memory to stor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의 동작이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명령어들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operation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structions and performed by the processor 110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for performing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ch of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a flash-memory. ,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rive (SSD), or various memory cards (eg, a micro SD card).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도 6에 따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include a transceiver 13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a storage device 160,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is connected by a bus 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FIG. 6,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1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may include a component according to FIG. 6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in a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7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종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100)와 단말(20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s 100 and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first node (device) may be an anchor/donor node or a centralized unit (CU) of an anchor/donor node, and a second node (device) may be an anchor/donor node or a distributed unit (DU) of a relay node can be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A base station (BS), terminal, server, etc. may be included as a part of a node using a radio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은 단말 및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A base station is a terminal and a network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wireless access to terminals. A base station has a coverage defined as a predetermined geographic area according to a distance over which a signal can be transmitted.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A base station, like a "base station," is referred to as "access point (AP)", "enodeb (eNB)", "5th generation (5G) node", "wireless point", " It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y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eg, 28 GHz, 30 GHz, 38 GHz, and 60 GHz).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y perform beamforming to improve the channel gain. Beamforming may include transmit beamforming and receive beamforming. That is,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an give directivity to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To this end,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y select a serving beam through a beam search procedure or a beam management procedure. After that,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resource carrying a serving beam and a resource having a quasi co-located relationship.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antenna port and a second antenna port are considered quasi-colocated if the large-scale properties of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symbol of the first antenna port carries can be inferred from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symbol of the second antenna port carries. The large-scale properties may include one or more of delay spread, Doppler spread, Doppler shift, average gain, average delay, and spatial Rx parameters.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a base st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scribed above is exemplified. The terms "-module", "-unit" or "-er" used below may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include hardware, software, or both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 backhaul communication interface, a storage unit and a controller.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perform a conversion function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a physical layer standard of the system. For example, in data transmission, a radio communication interface encodes and modulates a transmitted bit stream to generate composite symbols. Also, upon receiving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demodulates and decodes the baseband signal to reconstruct the received bit stream.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perform a conversion function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a system physical layer standard. For example, in data transmission, a radio communication interface encodes and modulates a transmitted bit stream to generate composite symbols. Also, upon receiving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demodulates and decodes the baseband signal to reconstruct the received bit stream.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up-converts a baseband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RF) band signal,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hrough an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RF ba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es a transmission filter, a reception filter, an amplifier, a mixer, an oscillator,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t/receive paths. 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In terms of hardwa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digital unit and an analog unit, and the analo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units according to operating power, operating frequency, and the like. A digital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eg,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receiver” or “transceiver”.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channel may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processing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The backhaul communication interface provide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nodes in the network. That is, the backhaul communication interface converts the bit stream transmitted to other nodes, for example, other access nodes, other base stations, upper nodes or core networks from base stations into physical signals, and the physical signals received from other nodes into bits. convert to stream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stores data such as basic programs, applications, and setting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or a backhaul communication interface. Also, the controller writes data to the storage unit and reads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ler can perform protocol stack functions required by communication standards.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a protocol stack may be inclu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o this end, the controll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donor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es a transceiver operab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for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configured to transmit to a relay node a first message including fir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onor node about; receive a second message includ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lay node regarding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for the terminal from the relay node; Data for the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lay nod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radio bearer among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may integrate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also configured to determine a radio bearer for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and multiple radio bearers aggregated by the radio bearer; Alternatively, a radio bearer for a UE accessing a relay node may be determin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a radio bearer of a terminal accessing a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a radio bearer transmitted by a terminal accessing a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a tunnel established for a radio bearer between the donor node and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integrated multiple radio bearers; radio bearer mapping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n the side of the donor node;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f the relay node side;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adio bearer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ind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lay node to allocate a new address to a radio bearer for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a list of address information that cannot be used by a relay node that transmits radio bearer data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and information related to security configur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the radio bearer granted by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radio bearers not acknowledged by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radio bearers partially granted by the relay node; radio bearer mapping inform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created by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f the relay node side; and information related to security configur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messag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integrated multiple radio bearer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onor node may include a central unit of the donor node, and the relay node may include a distribution unit of the donor nod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relay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es a transceiver operab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provi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from a donor node to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message including first information related to a donor node for a radio bearer of; transmit to the donor node a second message includ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lay node for the plurality of radio bearers for the terminal; Data on the terminal may be received from the donor nod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radio bearer among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may integrate a plurality of radio bearers.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also configured to determine a radio bearer for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and multiple radio bearers aggregated by the radio bearer; Alternatively, multiple radio bearers integrated by radio bearer may be determin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a radio bearer of a terminal accessing a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a radio bearer transmitted by a terminal accessing a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a tunnel established for a radio bearer between the donor node and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integrated multiple radio bearers; radio bearer mapping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n the side of the donor node;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f the relay node side;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adio bearer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ind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lay node to allocate a new address to a radio bearer for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a list of address information that cannot be used by a relay node that transmits radio bearer data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and information related to security configur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the radio bearer granted by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radio bearers not acknowledged by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radio bearers partially granted by the relay node; radio bearer mapping inform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ccessing the relay node created by the relay node;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f the relay node side; and information related to security configur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messag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integrated multiple radio bearer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onor node may include a central unit of the donor node, and the relay node may include a distribution unit of the donor node.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components of a terminal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ed. Components of a terminal to be described below are components of a general-purpose terminal suppor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ay be merged or integrated with compon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oregoing contents, and may overlap or conflict with the above drawing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akes precedence. The terms "-module", "-unit" or "-er" used below may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a storage unit and a controller.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performs a conversion function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the physical layer standard of the system. For example, in data transmiss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encodes and modulates a transmission bit stream to generate composite symbols. Also, when receiving dat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demodulates and decodes the baseband signal to reconstruct the received bit stream. Furth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to an RF-band signal,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hrough an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RF-ba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es a transmission filter, a reception filter, an amplifier, a mixer, an oscillator, and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nd the like.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t/receive paths.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On the hardware s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digital circuit and an analog circuit (eg,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A digital circuit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eg, DSP). A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multiple RF chain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perform beamforming.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a communication inte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receiver” or “transceiver”.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through a radio channel may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processing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storage unit stores data such as basic programs for operation of the terminal, applications, and setting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provides stored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send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Also, the controller writes data to the storage unit and reads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ler can perform protocol stack functions required by communication standards.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a protocol stack may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o this end, the controll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r microprocessor or reproduce parts of a processor. Also, a part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r controller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may control a terminal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interfa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illustrated.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코딩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es encoding and modulation circuitry, digital beamforming circuitr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and analog beamforming circuitry.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Encoding and modulation circuitry performs channel encoding. At least one of a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 a convolution code, and a polar code may be used for channel encoding. An encoding and modulation circuit generates modulation symbols by performing constellation mapping.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A digital beamforming circuit performs beamforming on a digital signal (eg, a modulation symbol). To this end, a digital beamforming circuit multiplexes modulation symbols by beamforming weights. Beamforming weights can be used to change the size and phrase of a signal, and can be referred to as a "precoding matrix" or "precoder". The digital beamforming circuit outputs digital beamformed modulation symbols t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In this case, according to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ransmission method, modulation symbols may be multiplexed or the same modulation symbol may be provided t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convert digital beamformed digital signals into analog signals. To this end,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may include an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computation unit, a cyclic prefix (CP) insertion unit, a DAC, and an up conversion unit. The CP insertion unit is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method and may be omitted when another physical layer method (eg, 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is applied. That is,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provide independent signal processing processes for a plurality of streams generated through digital beamforming.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some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may be commonly used.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An analog beamforming circuit performs beamforming on an analog signal. To this end, the digital beamforming circuit multiplexes analog signals by beamforming weighting values. The beamformed weights are used to change the amplitude and phrase of the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analog beamforming circu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and an antenna. For example,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may be connected to one antenna array. In another example, multiple transmission paths may be coupled to one antenna array. In another example, multiple transmission paths may be adaptively coupled to one antenna array or may be coupled to two or more antenna arrays.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nd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some of its components or functions,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 200: 관리자 단말
300: 사이니지 장치
100: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200: manager terminal
300: signage device

Claims (9)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DB 관리부;
상기 DB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인터랙션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광고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니지 제어부는,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주변을 거니는 사용자들의 시청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상기 사용자들의 분포, 밀도 및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시청 거리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시청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수학식에서, d는 시청 거리(m), s는 디스플레이의 크기(inch), k은 상기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방향으로 위치한 첫번째 인도(sidewalk or pavement) 폭의 중심점까지의 거리(m), w1은 상기 중심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가중치, w2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한 제2 가중치를 의미하고, 상기 w1은 상기 w2보다 크고,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최근 1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수,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기준 값인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수학식에서, E는 인터랙션 지수, h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m) 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c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초), j는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 n는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인터랙션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지수보다 높은 사용자 단말을 타겟 단말로 결정하고,
타겟 단말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
In the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a DB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 signage control unit that outputs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B management unit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an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ing a user and a user terminal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and
An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The signage control unit,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of users walking around the signage device, and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the users, and the moving path of the users.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through a mathematical formula;

In the above equation, d is the viewing distance (m), s is the size (inch) of the display, and k is the distance from the signage device to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sidewalk or pavement width in the display output direction (m) , w1 means a first weight for the distance to the center point, w2 means a second weight for the size of the display, the w1 is greater than the w2,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amera,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and the number of other user terminal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for the last 1 hour Calculate an interaction index, which is a reference value responding to a beacon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that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during the last 1 hour. calculate,

In the above equation, E is the interaction index, h is the distance (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amera, and c is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seconds), j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located in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n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who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in the last 1 hou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whose interaction index is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index as a target terminal;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that provides advertis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video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as the target terminal.
청구항 1에서,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DB 관리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서칭하고, 서칭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
In claim 1,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obtaining interest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recognized user terminal,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that searches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res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DB management unit and output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ontent through the display.
청구항 1에서,
상기 사이니지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 근접한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상과 구별되는 제2 영상을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
In claim 1,
The signage control unit,
outputting a first image to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that outputs a second image distinct from the first image to a second area adjacent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주변을 거니는 사용자들의 시청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상기 사용자들의 분포, 밀도 및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시청 거리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시청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학식에서, d는 시청 거리(m), s는 디스플레이의 크기(inch), k은 상기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방향으로 위치한 첫번째 인도(sidewalk or pavement) 폭의 중심점까지의 거리(m), w1은 상기 중심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가중치, w2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한 제2 가중치를 의미하고, 상기 w1은 상기 w2보다 크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최근 1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수,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기준 값인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학식에서, E는 인터랙션 지수, h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m) 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c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초), j는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 n는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인터랙션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지수보다 높은 사용자 단말을 타겟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 및
타겟 단말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of controlling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by a processor of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outputting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video contents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Recognizing a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determining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of users walking around the signage device, and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the users, and the moving path of the users. determining the viewing distance through a mathematical formula;

In the above equation, d is the viewing distance (m), s is the size (inch) of the display, and k is the distance from the signage device to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sidewalk or pavement width in the display output direction (m) , w1 means a first weight for the distance to the center point, w2 means a second weight for the size of the display, the w1 is greater than the w2,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amera,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and the number of other user terminal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for the last 1 hour Calculate an interaction index, which is a reference value responding to a beacon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that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during the last 1 hour. calculating;

In the above equation, E is the interaction index, h is the distance (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amera, and c is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seconds), j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located in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n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who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in the last 1 hou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whose interaction index is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index as a target terminal; and
and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video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as the target terminal.
청구항 6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s recorded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에서, 청구항 6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a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와 연동된 사이니지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DB 관리부;
상기 DB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들 중 제1 영상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사이니지 제어부;
상기 사이니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션 센서, 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터랙션 제어부; 및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청구할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광고 수수료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주변을 거니는 사용자들의 시청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상기 사용자들의 분포, 밀도 및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시청 거리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시청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수학식에서, d는 시청 거리(m), s는 디스플레이의 크기(inch), k은 상기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방향으로 위치한 첫번째 인도(sidewalk or pavement) 폭의 중심점까지의 거리(m), w1은 상기 중심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제1 가중치, w2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한 제2 가중치를 의미하고, 상기 w1은 상기 w2보다 크고,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최근 1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수,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기준 값인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터랙션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수학식에서, E는 인터랙션 지수, h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m) 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c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시간(초), j는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 n는 상기 시청 거리 내의 영역에 최근 1시간 동안 드나든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들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인터랙션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지수보다 높은 사용자 단말을 타겟 단말로 결정하고,
타겟 단말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제공를 포함하는, 시스템.
As a cloud service-based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based on cloud service;
a signage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and
Including a manager terminal for managing the digital signage control server,
The server,
a DB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a signage control unit that outputs a first video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DB management unit through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gnage device at a preset time;
an interaction control unit recognizing a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beacon included in the signage device; and
An advertisement fe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dvertisement fee to be charged to an adverti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of users walking around the signage device, and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signage device,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the users, and the moving path of the users. Determine the viewing distance through a mathematical formula;

In the above equation, d is the viewing distance (m), s is the size (inch) of the display, and k is the distance from the signage device to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sidewalk or pavement width in the display output direction (m) , w1 means a first weight for the distance to the center point, w2 means a second weight for the size of the display, the w1 is greater than the w2,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amera,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and the number of other user terminal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for the last 1 hour Calculate an interaction index, which is a reference value responding to a beacon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that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during the last 1 hour. calculate,

In the above equation, E is the interaction index, h is the distance (m)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amera, and c is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seconds), j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located in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n is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or users who have entered and exited the area within the viewing distance in the last 1 hou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whose interaction index is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index as a target terminal;
and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video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as the target terminal.
KR1020220160148A 2022-11-18 2022-11-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KR102561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609A KR20230118527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KR1020230096608A KR20230118526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55492 2022-11-18
KR1020220155492 2022-11-18
KR20220158057 2022-11-23
KR1020220158057 2022-11-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608A Division KR20230118526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KR1020230096609A Division KR20230118527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048B1 true KR102561048B1 (en) 2023-07-31

Family

ID=874583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148A KR102561048B1 (en) 2022-11-18 2022-11-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KR1020230096609A KR20230118527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KR1020230096608A KR20230118526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609A KR20230118527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KR1020230096608A KR20230118526A (en) 2022-11-18 2023-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104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4953A1 (en) 2006-06-30 2008-01-03 Microsoft Corporation Public Display Network For Online Advertising
KR20160105123A (en)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아이디어빈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digital sinage device
KR20180136116A (en) * 2017-06-14 2018-12-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digital signage system in IoT environment using personality analysis
KR20210090887A (en) 2020-01-13 2021-07-21 남길현 Responsiv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with emphasis on attention in offline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KR102324135B1 (en) 2020-06-30 2021-11-09 (주) 알트소프트 Advertising mediation platform system using extended contents
KR102410497B1 (en) 2020-12-28 2022-06-1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Apparatus for calcul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kinetic display
KR20220115643A (en) 2021-02-08 2022-08-18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Digital signage system for providing targeting advertis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4953A1 (en) 2006-06-30 2008-01-03 Microsoft Corporation Public Display Network For Online Advertising
KR20160105123A (en)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아이디어빈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digital sinage device
KR20180136116A (en) * 2017-06-14 2018-12-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digital signage system in IoT environment using personality analysis
KR20210090887A (en) 2020-01-13 2021-07-21 남길현 Responsiv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with emphasis on attention in offline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KR102324135B1 (en) 2020-06-30 2021-11-09 (주) 알트소프트 Advertising mediation platform system using extended contents
KR102410497B1 (en) 2020-12-28 2022-06-1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Apparatus for calcula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kinetic display
KR20220115643A (en) 2021-02-08 2022-08-18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Digital signage system for providing targeting adverti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527A (en) 2023-08-11
KR20230118526A (en)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äjäjärvi et al. Performance of a low-power wide-area network based on LoRa technology: Doppler robustness, scalability, and coverage
CN104303531B (en)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pparatus of location privacy
KR101802292B1 (en) Method relating to predicting the future state of a mobile device user
Yaacoub et al. A key 6G challenge and opportunity--connecting the remaining 4 billions: a survey on rural connectivity
US20150005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ificant places
US112285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 classification based on imagery
US20200382965A1 (en) Multi-stage object detection and categorization of antenna mount locations
KR1024054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KR1024561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virtual space inside a company to provide job seekers with an indirect experience service for the company
KR1025610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loud-based digital signage
CN112288162B (en) Short-time bus station passenger flow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30068437A1 (en) Using user-side contextual factors to predict cellular radio throughput
US20140080457A1 (en) Information sharing for third party application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US202200926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ed advertising selection
KR102525357B1 (en) Onlin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wo advertising areas linked to the video being played
US20120004900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language types of push-based services, client, and server thereof
Webb Being mobile: Future wireles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Gala et al. Contextual flow of information in tourism using BLE proximity detection to enhance the tourism experience
Pan et al. Utility maximization for multi-vehicle multimedia dissemin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CN11109597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service avail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39011A1 (en) Integer-Based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Texts
KR102491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verseas factory brokerage platform based on metaverse service
US10997600B1 (en) Data transaction scheduling using crowd-sourced network data
US1020571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content
CN114390471A (en) Vehicle-side 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rnet of vehicl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