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828B1 -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0828B1 KR102560828B1 KR1020220074151A KR20220074151A KR102560828B1 KR 102560828 B1 KR102560828 B1 KR 102560828B1 KR 1020220074151 A KR1020220074151 A KR 1020220074151A KR 20220074151 A KR20220074151 A KR 20220074151A KR 102560828 B1 KR102560828 B1 KR 1025608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tension
- holding
- selectively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 H05K3/1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means therefor, e.g. baths,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을 잡아주는 몸체를 형성하며 그립 포스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홀딩 유닛; 홀딩 유닛에 제공되어, 외력이 발생함에 따라서 홀딩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그립 바디 유닛; 및 그립 바디 유닛에 제공되어, 그립 바디 유닛으로 소정의 텐션을 제공하여 그립 포스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텐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의 도금 설비 중에서도 기판의 투입 또는 배출하는 행거 장치 중 기판을 잡아주는 그립에 대한 것으로, 기판을 잡기 위한 텐션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는 저항기, 콘덴서, 집적 회로 등 전자 부품을 인쇄 배선판의 표면에 고정하고 부품 사이 구리 배선으로 연결해 전자 회로를 구성한 판이다. 기계적 지원에 사용되고 동 기판에서 비전도 기판으로 습식 식각한 전도선이나 신호 선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전자 부품을 연결한다. 대체 명칭으로 인쇄 와이어 본딩(PWB)과 식각 와이어 본딩으로도 불린다. 전자 부품이 부착된 보드는 인쇄 회로 조립(PCA)이라고도 불리며, 인쇄 회로 기판 조립(PCBA)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의 여러 공정 중에서도 동도금 공정은 중요한 공정이다. 동도금이란 층간 전기적 커넥션을 목적으로 드릴된 홀(hole) 위에 금속 전착을 실시하는 공정이다.
동도금 공정은 디버링(deverring), 디스미어(desmear), 무전해동도금, 전기동도금의 공정을 거쳐 드릴 가공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금 설비 중 기판을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장치가 존재하는데, 이 중 핵심 부품은 클램프(clamp)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인쇄회로기판 지지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도금장치 (등록번호 제10-1377741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상,하부 암으로 형성되어, 상,하부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전단은 핀 결합하고, 하부 프레임의 전단이 하부 암의 후단을 고정하면서 상부 암의 후단과 핀 결합하는 손잡이부; 및 상부 프레임 및 상부 암과 링크결합하고, 전단이 압착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압착돌기가 상부 암을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기판용 클램프 (등록번호 제10-2402207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하단에 기판의 일면과 접하게 되는 제1접촉부를 갖는 제1클램프바디; 제1클램프바디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하단에 기판의 타면과 접하게 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제2클램프바디;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상호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연결하되,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좁혀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용 클램프를 개시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도금용 클램프 (등록번호 제10-2371478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일단과 타단을 갖는 제1지지부재와; 일단과 타단을 갖고, 제1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축과; 기판을 파지하는 제1지지부재의 일단과 제2지지부재의 일단이 서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와; 제1지지부재에서 제2지지부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제2지지부재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지지부재의 일단과 제2지지부재의 일단이 기판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는 가이드홀에 삽입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문헌들에서는 기판을 잡아주는 힘이 불균일하여 기판이 낙하하여 도금조 내부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도금 완전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금 설비 자체가 고장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기판을 잡아주기 위한 텐션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자 한다.
둘째, 기판을 잡아주는 힘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기판의 손상과 불량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은 기판을 잡아주는 몸체를 형성하며 그립 포스(grip force)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홀딩 유닛(holding unit); 상기 홀딩 유닛에 제공되어, 외력이 발생함에 따라서 상기 홀딩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그립 바디 유닛(grip body unit); 및 상기 그립 바디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그립 바디 유닛으로 소정의 텐션(tension)을 제공하여 상기 그립 포스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텐션 유닛(tension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기판의 일면과 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기판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한 쌍의 홀딩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홀딩 바디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촉되는 내면에 복수 개의 엠보싱 패턴(embossing pattern)이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그립 바디 유닛은,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력에 따라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싱 바디부; 및 상기 홀딩 바디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싱 바디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외력에 저항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그립 바디 유닛은,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상기 서포팅 바디부가 상호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축을 형성하는 제1링크부; 및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 중 상기 제1링크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2축을 형성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하여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홀딩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텐션 유닛은,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상기 서포팅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싱 바디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텐션 유닛은, 상기 서포팅 바디부로부터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에 상호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텐션 콘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텐션 콘트롤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텐션 볼트부; 상기 서포팅 바디부와 상기 텐션 볼트부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1너트부; 및 상기 텐션 볼트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상기 텐션 콘트롤부는, 상기 텐션 볼트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텐션 볼트부는 상기 제1너트부로부터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텐션 볼트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너트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판을 잡아주기 위한 텐션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기판을 잡고 있는 복수 개의 장치 각각의 텐션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기판에 적용되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판의 손상과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유닛과 그립 바디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바디부의 엠보싱 패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유닛이 외력에 의해 개폐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이 기판을 홀딩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기판을 홀딩하여 그립 포스가 발휘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텐션 센싱부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유닛과 그립 바디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바디부의 엠보싱 패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유닛이 외력에 의해 개폐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이 기판을 홀딩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기판을 홀딩하여 그립 포스가 발휘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텐션 센싱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유닛과 그립 바디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바디부의 엠보싱 패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홀딩 유닛이 외력에 의해 개폐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이 기판을 홀딩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기판을 홀딩하여 그립 포스가 발휘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텐션 센싱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도금 설비 중에서도 기판의 투입 또는 배출하는 행거 장치(hanger ass'y) 중 기판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유닛(holding unit, 100), 그립 바디 유닛(grip body unit, 200) 및 텐션 유닛(tension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홀딩 유닛(1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을 잡아주는 몸체를 형성하며 그립 포스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홀딩 유닛(100)은 기판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립 포스가 선택적으로 발생되면서 기판을 잡거나 놓아주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그립 포스는 기판을 잡아주는 힘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립 포스는 기판의 하중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기판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홀딩 유닛(100)은 한 쌍의 홀딩 바디부(110)로 구성된다.
홀딩 바디부(11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일면과 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기판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구성이다.
홀딩 바디부(110)는 상부 홀딩부(111)와 하부 홀딩부(112)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부 홀딩부(111)의 일측은 기판을 가압하며 타측은 후술하게 될 프레싱 바디부(210)와 상호 연동되며, 하부 홀딩부(112)의 일측은 기판을 가압하며 타측은 서포팅 바디부(220)에 상호 연동되어 홀딩 유닛(100)의 개폐를 관장하여 그립 포스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딩 바디부(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반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촉되는 내면에 복수 개의 엠보싱 패턴(113)이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엠보싱 패턴(113)은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방향은 기판이 하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엠보싱 패턴(113)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기판에 밀착됨에 따라서 기판이 낙하하는 방향의 반대로 미세한 마찰 저항력을 형성하게 되어, 기판이 밀려 낙하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엠보싱 패턴(113)은 나노 사이즈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기판에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마찰 저항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바디 유닛(2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유닛(100)에 제공하여 외력이 발생함에 따라서 홀딩 유닛(10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이다.
그립 바디 유닛(200)에 제공되는 외력은 사용자 또는 행거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힘으로서, 그립 바디 유닛(200)을 눌러주는 힘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그립 바디 유닛(2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바디부(210), 서포팅 바디부(220), 제1링크부(230), 및 제2링크부(2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프레싱 바디부(21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바디부(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외력에 따라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프레싱 바디부(210)는 홀딩 바디부(110) 중 상부 홀딩부(111)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호 연결되며, 프레싱 바디부(210)를 누르는 외력이 발생하면 홀딩 유닛(10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서포팅 바디부(22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바디부(1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프레싱 바디부(210)의 이동에 따라서 외력에 저항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서포팅 바디부(220)는 프레싱 바디부(210)에 외력이 발생하면 외력에 대해 저항하고 그립 바디 유닛(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서포팅 바디부(220)는 하부 홀딩부(112)의 타측에 상호 연결된다.
제1링크부(23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바디부(110)의 상부로부터 프레싱 바디부(210)와 서포팅 바디부(220)가 상호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축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제1링크부(230)부는 프레싱 바디부(210)의 서포팅 바디부(220)의 상부 홀딩부(111)에 제1축을 통해 상호 결합된 구성이다.
제2링크부(24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바디부(110)의 상부 중 제1링크부(230)의 타측으로부터 프레싱 바디부(210)와 힌지 연결되는 제2축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프레싱 바디부(210)에 외력이 발생하면, 프레싱 바디부(210)는 하향 이동하며, 제2링크부(240)의 축은 힌지 연결에 의해 힌지 운동을 하면서 상부 홀딩부(111)를 상향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서 홀딩 바디부(110)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싱 바디부(210)에 외력이 중지되어 프레싱 바디부(21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감에 따라서, 상부 홀딩부(111)는 하향 이동되어 홀딩 바디부(110)가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즉, 제2링크부(240)를 통해 연동된 프레싱 바디부(210)와 상부 홀딩부(111)에 의하여 기판의 투입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텐션 유닛(3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바디 유닛(200)에 제공되어 그립 바디 유닛(200)으로 소정의 텐션을 제공하여 그립 포스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이다.
텐션 유닛(300)은 그립 바디 유닛(200)의 프레싱 바디부(210)와 서포팅 바디부(220)의 사이에 제공되어, 프레싱 바디부(210)가 외력에 의해 하향 이동할 때 소정의 텐션을 발생시키고 소정의 텐션에 따른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텐션은 텐션 유닛(300)으로부터 발생되는 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텐션 유닛(300)의 소정의 텐션에 따라서, 홀딩 유닛(100)의 개폐와 홀딩 유닛(100)의 그립 포스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프레싱 바디부(210)가 하향 이동하면서 텐션 유닛(300)의 소정의 텐션에 의해 수축되면서 제2링크부(240)는 회전하여 상부 홀딩부(111)가 상향 이동되어 홀딩 유닛(100)이 개방된다.
이때, 개방된 홀딩 바디부(110)의 사이로 기판이 투입되면, 텐션 유닛(300)은 소정의 텐션에 의하여 기판을 홀딩할 수 있게 되며, 소정의 텐션에 의해 그립 포스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의 텐션 유닛(300)의 경우, 스프링부(310) 및 텐션 콘트롤부(320), 및 텐션 센싱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스프링부(31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바디부(210)와 서포팅 바디부(2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싱 바디부(210)의 이동에 따라서 소정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구성이다.
텐션 콘트롤부(32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바디부(220)로부터 스프링부(310)의 하부에 상호 체결되어 스프링부(3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이다.
또한, 텐션 콘트롤부(320)는 텐션 볼트부(321), 제1너트부(322), 및 제2너트부(323)를 포함하게 된다.
텐션 볼트부(321)는 서포팅 바디부(220)를 관통하여 스프링 하부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1너트부(322)는 서포팅 바디부(220)와 텐션 볼트부(321)를 상호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제2너트부(323)는 텐션 볼트부(321)와 스프링부(310)를 상호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텐션 콘트롤부(320)는 텐션 볼트부(321)가 회전됨에 따라 텐션 볼트부(321)는 제1너트부(322)로부터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되며, 텐션 볼트부(321)가 회전됨에 따라 제1너트부(322)는 서포팅 바디부(22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스프링부(310)의 탄성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즉, 텐션 콘트롤부(320)는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어 스프링부(310)의 소정의 텐션에 대한 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텐션 센싱부(33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바디부(210)와 스프링부(3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스프링부(310)가 가압됨에 따라서 스프링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텐션 센싱부(330)는 텐션 콘트롤부(32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또는 프레싱 바디부(2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스프링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탄성력을 센싱할 수 있게 된다.
텐션 센싱부(330)는 스프링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탄성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제1배리에이션부(331), 및 제2배리에이션부(332)로 구성된다.
제1배리에이션부(331)의 경우, 소프트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전류가 흐르는 특징을 지닌다.
제1배리에이션부(331)의 상부면은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질 경우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가압에 의해 임의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배리에이션부(332)의 경우, 이격된 한 쌍의 전도 가지들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전도 가지들은 서로 마주보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배리에이션부(332)는 제1배리에이션부(3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배리에이션부(331)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동될 수 있다.
즉, 제1배리에이션부(331)가 제2배리에이션부(332)의 한 쌍의 전도 가지들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눌러지면, 제1배리에이션부(331)는 제2배리에이션부(332)를 이루는 한 쌍의 전도 가지들을 상호 잇는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제2배리에이션부(332)가 형성하는 전기적 저항의 변화가 나타나고 이에 따라 가압되는 정도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센싱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배리에이션부(331)는 프레싱 바디부(210) 또는 텐션 콘트롤부(320)의 이동과 중량에 의해 가압되며, 이러한 가압은 제1배리에이션부(331)로 하여금 제2배리에이션부(332)를 가압하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력에 따라 탄성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텐션 센싱부(330)에서 측정된 탄성부는 정량적인 값으로 산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측정된 값에 따라서 텐션 콘트롤부(320) 또는 외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홀딩 유닛
110: 홀딩 바디부
111: 상부 홀딩부
112: 하부 홀딩부
113: 엠보싱 패턴
200: 그립 바디 유닛
210: 프레싱 바디부
220: 서포팅 바디부
230: 제1링크부
240: 제2링크부
300: 텐션 유닛
310: 스프링부
320: 텐션 콘트롤부
321: 텐션 볼트부
322: 제1너트부
323: 제2너트부
330: 텐션 센싱부
331: 제1배리에이션부
332: 제2배리에이션부
110: 홀딩 바디부
111: 상부 홀딩부
112: 하부 홀딩부
113: 엠보싱 패턴
200: 그립 바디 유닛
210: 프레싱 바디부
220: 서포팅 바디부
230: 제1링크부
240: 제2링크부
300: 텐션 유닛
310: 스프링부
320: 텐션 콘트롤부
321: 텐션 볼트부
322: 제1너트부
323: 제2너트부
330: 텐션 센싱부
331: 제1배리에이션부
332: 제2배리에이션부
Claims (10)
- 기판을 잡아주는 몸체를 형성하며 그립 포스(grip force)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홀딩 유닛(holding unit);
상기 홀딩 유닛에 제공되어, 외력이 발생함에 따라서 상기 홀딩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그립 바디 유닛(grip body unit); 및
상기 그립 바디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그립 바디 유닛으로 소정의 텐션(tension)을 제공하여 상기 그립 포스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텐션 유닛(tension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기판의 일면과 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기판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한 쌍의 홀딩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바디 유닛은,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력에 따라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싱 바디부; 및
상기 홀딩 바디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싱 바디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외력에 저항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 유닛은,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상기 서포팅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싱 바디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스프링부;
상기 서포팅 바디부로부터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에 상호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텐션 콘트롤부; 및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상기 스프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텐션 콘트롤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프레싱 바디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탄성력을 센싱하는 텐션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센싱부는,
소프트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전류가 흐르는 제1배리에이션부; 및
이격된 한 쌍의 전도 가지들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전도 가지들은 서로 마주보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제2배리에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는,
상부면이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질 경우 변형이 일어나며, 가압에 의해 임의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배리에이션부는,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의 가압에 의하여 전기적 저항이 변동되며,
상기 텐션 센싱부는,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가 상기 프레싱 바디부 또는 상기 텐션 콘트롤부의 이동과 중량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가 상기 제2배리에이션부의 한 쌍의 전도 가지들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누르면,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는 상기 제1배리에이션부를 이루는 한 쌍의 전도 가지들을 상호 잇는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제2배리에이션부가 형성하는 전기적 저항의 변화가 나타나고,
가압되는 정도의 크기를 정량적인 값으로 산출되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텐션 콘트롤부 또는 외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바디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촉되는 내면에 복수 개의 엠보싱 패턴(embossing pattern)이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바디 유닛은,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상기 서포팅 바디부가 상호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축을 형성하는 제1링크부; 및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 중 상기 제1링크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프레싱 바디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2축을 형성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그립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하여 상기 홀딩 바디부의 상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홀딩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콘트롤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텐션 볼트부;
상기 서포팅 바디부와 상기 텐션 볼트부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1너트부; 및
상기 텐션 볼트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콘트롤부는,
상기 텐션 볼트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텐션 볼트부는 상기 제1너트부로부터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텐션 볼트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너트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4151A KR102560828B1 (ko) | 2022-06-17 | 2022-06-17 |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4151A KR102560828B1 (ko) | 2022-06-17 | 2022-06-17 |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0828B1 true KR102560828B1 (ko) | 2023-07-27 |
Family
ID=8743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4151A KR102560828B1 (ko) | 2022-06-17 | 2022-06-17 |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082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1086U (ko) * | 2012-08-10 | 2014-02-19 | 황인식 | 모듈픽업용 핀셋 캡 |
KR20140027829A (ko) * | 2012-08-27 | 2014-03-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도금용 클램프 |
KR101377741B1 (ko) | 2012-02-02 | 2014-03-26 | 주식회사 엘라 | 인쇄회로기판 지지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도금장치 |
KR102371478B1 (ko) | 2021-01-21 | 2022-03-08 | (주)에스와이이엔씨 | 도금용 클램프 |
KR102402207B1 (ko) | 2021-11-29 | 2022-05-26 | 하이쎄미코(주) | 기판용 클램프 |
-
2022
- 2022-06-17 KR KR1020220074151A patent/KR1025608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7741B1 (ko) | 2012-02-02 | 2014-03-26 | 주식회사 엘라 | 인쇄회로기판 지지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도금장치 |
KR20140001086U (ko) * | 2012-08-10 | 2014-02-19 | 황인식 | 모듈픽업용 핀셋 캡 |
KR20140027829A (ko) * | 2012-08-27 | 2014-03-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도금용 클램프 |
KR102371478B1 (ko) | 2021-01-21 | 2022-03-08 | (주)에스와이이엔씨 | 도금용 클램프 |
KR102402207B1 (ko) | 2021-11-29 | 2022-05-26 | 하이쎄미코(주) | 기판용 클램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020116A1 (en) | Connector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lectronic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 |
US6336816B1 (en) | Electrical circuit connector with support | |
KR102560828B1 (ko) | 선택적 텐션 콘트롤을 통한 기판 그립 시스템 | |
WO1994011743A1 (en) |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 device with foil adapter | |
CN109661583A (zh) | 电连接装置 | |
CN111757600A (zh) | 印刷电路板用夹具装置 | |
KR920017524A (ko) | 전단 응력 상호연결 장치 및 방법 | |
JP2000299422A (ja) | 電気的接続を提供する導電性装置、集積回路パッケージ/アセンブリおよび取り付け方法 | |
EP3449707B1 (en) | Side clamping bga socket | |
US5497103A (en) | Test apparatus for circuitized substrate | |
US7030638B2 (en) | Method and device with variable resilience spring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packages | |
JP2000162270A (ja) | 試験用ソケット | |
US20010021596A1 (en) | Deformable contact connector supported by constant force clamping spring | |
JPH11167812A (ja) | 弾性基板へグラフトする導電性エラストマー | |
US5964596A (en) | Removable bod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 |
KR20110015902A (ko) | 인쇄회로기판의 검사 장치 | |
CN210322757U (zh) | 一种用于冲压基板外观检测设备aoi视觉固定调节装置 | |
JP3829359B2 (ja) | 異方導電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2470672B1 (ko) | 도금용 기판 전개형 지그 | |
US11187721B2 (en) | Contacto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 | |
JPH052866Y2 (ko) | ||
JPH06310900A (ja) | 基板裏面押え装置 | |
JPH10239389A (ja) | 半導体装置の測定用ソケッ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 測定方法 | |
KR20100059310A (ko) | 마스크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용 인쇄장치 | |
JP4343394B2 (ja) | プリント基板の保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