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823B1 -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823B1
KR102560823B1 KR1020220171407A KR20220171407A KR102560823B1 KR 102560823 B1 KR102560823 B1 KR 102560823B1 KR 1020220171407 A KR1020220171407 A KR 1020220171407A KR 20220171407 A KR20220171407 A KR 20220171407A KR 102560823 B1 KR102560823 B1 KR 10256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at room
chat
us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문
김동현
김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페노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페노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페노노
Priority to KR102022017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T SERVICE}
본 개시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사용자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채팅 서비스가 제공된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사용자 상호간의 인터랙션은 커뮤니티 플랫폼에 게시된 컨텐츠에 댓글을 작성하거나, 공감 표시를 하는 등의 행위로 간접적으로 다른 사용자와 소통을 할 수 있고, 채팅방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채팅 서비스를 통해서는,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소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내가 게시한 컨텐츠를 누가 보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특정 컨텐츠의 채팅방에 어떤 사용자가 입장하였는지 또는 채팅방에 입장한 다른 사용자들이 어떤 대화를 나누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 간의 상호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채팅 서비스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60595호 (2022.10.25 등록)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소통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채팅방의 실시간 대화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의 넓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점을 기준 시간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눈동자 위치 추적의 결과 눈동자가 가리키는 위치가 상기 제1 컨텐츠에 머무르는 시간이 기준치 이상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방의 채팅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팅방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썸네일의 형태로 표현된 복수의 오브젝트가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배치된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상기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채팅중인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댓글 중 가장 많은 리액션을 받은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는 상기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텍스트를 입력중인 경우, 상기 텍스트의 일부 내용이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채팅방이 생성된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 각각의 입력 사이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기준 시간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기준 시간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채팅방에 대한 활성화 스코어를 기초로 변동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채팅방의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팅방 화면은 상기 채팅방의 나가기 버튼 UI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하는 사용자의 입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고유 ID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유 ID는 상기 채팅방이 종료될 때까지 불변하는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에 입장하는 사용자가 참여중인 채팅방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팅방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방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채팅방을 상기 사용자의 팔로워 수가 많은 채팅방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는 제1 채널에 포함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프로세서 및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채팅방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나누는 대화의 내용 일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의 채팅방 입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참여도를 향상시켜 더 많은 사용자 간의 소통이 이루어짐으로써,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이 증대될 수 있고,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커뮤니티 모임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성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 페이지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리딩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페이지 영역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세 페이지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자의 인터랙션에 따른 그래픽 객체의 표시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채팅방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컨텐츠 열람자의 인터랙션에 따른 사용자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댓글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댓글 표시 영역의 인접 위치에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이 완료된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작성 중인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의 인접 위치에 특정 사용자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임을 가리키는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단수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는 어떤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된다. 이 때, 상기 제1 컨텐츠는 사용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스크탑 PC이고,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데스크탑 PC의 화면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00에서, 단계 S1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 제1 컨텐츠가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딩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피드 페이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컨텐츠일 수 있다.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S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S300에서,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가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제1 컨텐츠의 채팅방의 채팅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S400에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팅방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채팅방 화면은 상기 채팅방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채팅방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데스크탑 PC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PC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복수의 영역(201, 202, 203, 204, 2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채팅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 검색어 입력 받는 텍스트 영역,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응되는 UI, 컨텐츠 작성 또는 편집에 대응되는 UI,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UI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1 영역(201), 상기 제1 사용자의 채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UI, 채널 검색 영역에 대응되는 UI, 채널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된 UI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영역(202), 상기 사용자의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상기 사용자가 구독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3 영역(203), 상기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리딩 컨텐츠로 결정된 제1 컨텐츠의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제4 영역(204) 및 상기 사용자의 팔로워 목록, 상기 사용자가 참여중인 채팅방 목록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5 영역(2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제3 영역(203)은 피드 페이지 영역일 수 있고, 제4 영역(204)은 상세 페이지 영역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 페이지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는 현재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인 사용자가 보유한 채널에 대한 정보(203a) 및 상기 사용자가 구독중인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203b, 203c, 203d)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유한 채널에 대한 정보(203a)는 채널의 명칭, 채널 참여자 수, 채널 생성일, 업데이트 알림 설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구독중인 채널에 업로드된 컨텐츠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이미지, 동영상, 인터넷 기사 등의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구독중인 제1 컨텐츠는 제1 사용자(USER 1)가 작성하여 업로드한, 이미지와 그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구독중인 제2 컨텐츠는 제2 사용자(USER 2)가 작성하여 업로드한, 영상과 그에 대한 소개 텍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는 어떠한 컨텐츠도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5 영역(205)에는 현재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인 사용자의 팔로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리딩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제1 컨텐츠(203c)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UI(203cd)가 제1 컨텐츠(203c)의 표시 영역 내부에 제1 컨텐츠(203c)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컨텐츠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203b, 203c, 203d) 중에서 제3-1 영역(5a)의 일부 영역(5ab에서 5ac 사이)과 중첩되는 부분의 넓이가 기준치 이상인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리딩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1 컨텐츠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3-1 영역(5a)의 일부 영역(5ab에서 5ac사이의 영역)에 가장 많은 부분이 포함된 컨텐츠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부 영역을 구획하는 직선 5ab와 5ac의 위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직선 5ac를 완전히 통과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가장 최근의 시점에 직선 5ac를 통과한 컨텐츠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제1 컨텐츠(203c)가 표시된 영역의 내부에 제1 컨텐츠(203c)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UI(203cd)가 제1 컨텐츠(203c)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대한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 추적의 결과 눈동자가 가리키는 위치가 상기 제1 컨텐츠에 머무르는 시간이 기준치(T1) 이상 경우,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고 제1 컨텐츠(203c)의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점을 기준 시간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203c)와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 중에서 제1 컨텐츠(203c)가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고 제1 컨텐츠(203c)의 영역이 피드 페이지 영역(203)의 중앙점을 기준 시간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203c)와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 중에서 제1 컨텐츠(203c)가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리딩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1 컨텐츠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대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펜의 위치가 제1 컨텐츠에 머무르는 시간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203c)가 리딩 컨텐츠로 결정된 경우, 제1 컨텐츠(203c)가 표시된 영역의 내부에 제1 컨텐츠(203c)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UI(203cd)가 제1 컨텐츠(203c)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페이지 영역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리딩 컨텐츠의 결정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제1 UI(230cd)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7a)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7a)에 응답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제1 컨텐츠(203c)에 대한 상세한 내용(204b)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203c)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정리된 형태일 수 있다. 반면에,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는 제1 컨텐츠(203c)의 모든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텐츠의 메인 동영상(204b), 동영상에 대한 설명 텍스트(204bc) 및 동영상과 연관된 다른 추천 컨텐츠(204bd)가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세 페이지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 때,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채팅방의 채팅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의 채팅방이 오픈 되지 않은 경우, 제1 컨텐츠의 채팅방이 종료되어 비활성화된 경우 및 제1 컨텐츠의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 작성 중인 사용자가 없는 경우 등에는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표시된 제1 컨텐츠의 메인 동영상(204b)의 인접 위치에 제1 그래픽 객체(204aa)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컨텐츠의 제목 영역 및 본문 영역 모두와 인접한 위치에 제1 그래픽 객체(204aa)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제1 그래픽 객체(204aa)는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그래픽 객체(204aa)는 제1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썸네일의 형태로 표현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는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우선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상기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채팅중인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상기 채팅방이 비활성화 또는 종료된 경우 제1 컨텐츠에 대한 댓글 중 가장 많은 리액션을 받은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특정 유명인의 오브젝트 또는 팔로워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의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를 작성 중인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제1 그래픽 객체(204aa)의 인접 위치에 제2 그래픽 객체(204ab)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컨텐츠의 본문 영역 및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모두와 인접한 위치에 제2 그래픽 객체(204ab)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제2 그래픽 객체(204ab)는 채팅방의 채팅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그래픽 객체(204ab)는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텍스트를 입력중인 경우, 상기 텍스트의 일부 내용이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채팅방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텐츠의 채팅방은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제1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들은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만 채팅 메시지를 입력하여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제1 컨텐츠의 채팅방이 생성된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컨텐츠의 채팅방이 생성된 시점은 제1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의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 각각의 입력 사이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가 제1 채팅 메시지를 입력한 시점부터 기준치 이하의 시간 내에 제3 사용자가 제2 채팅 메시지를 입력한 경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 각각의 입력 사이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동안 채팅방이 오픈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기준 시간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의 채팅방에 참여중인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1분 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100개 이상인 경우,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동안 채팅방이 오픈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기준 시간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의 채팅방에서 1분 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가 5명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일 경우,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동안 채팅방이 오픈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채팅방에 대한 활성화 스코어를 기초로 변동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채팅방의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채팅방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증가될 수 있고,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채팅방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열람자의 인터랙션에 따른 그래픽 객체의 표시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리딩 컨텐츠의 내용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자 PC 화면의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상기 리딩 컨텐츠의 내용이 전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화면을 상하로 스크롤함으로써 게시된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페이지 영역(204)을 참조하면, 제1 그래픽 객체(204aa) 및 제2 그래픽 객체(204ab)는 초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상단 부분에 그대로 위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대한 선택 입력(9a) 및 스크롤 입력(9b)에 따라 리딩 컨텐츠의 메인 동영상(204b)뿐만 아니라, 동영상에 대한 설명 텍스트(204bc) 및 동영상과 연관된 다른 추천 컨텐츠(204bd)를 읽을 수 있다.
이 때,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객체(204aa) 및 제2 그래픽 객체(204ab)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9a) 및 스크롤 입력(9b)에 따라 리딩 컨텐츠의 다른 세부 내용(e.g. 동영상에 대한 설명 텍스트(204bc) 및 동영상과 연관된 다른 추천 컨텐츠(204bd))과 그래픽 객체(204aa, 204ab)를 동시에 확인하기에 보다 편리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채팅방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제2 그래픽 객체(204ab)에 대한 선택 입력(10a)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선택 입력(10a)에 응답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 화면(204c)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채팅방에 입장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10a)은 도 10a에 예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그래픽 객체(204aa)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204c)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채팅방 화면(204c)이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는 도 10b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채팅방 화면(204c)은 상세 페이지 영역(204) 내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리딩 컨텐츠의 다른 세부 내용(e.g. 동영상에 대한 설명 텍스트(204bc) 및 동영상과 연관된 다른 추천 컨텐츠(204bd))과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채팅방 화면(204c)을 참조하면, 채팅방 화면(204c)은 제1 컨텐츠의 제목(TITLE 123), 채팅방 크기 조절 UI,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팅 메시지, 채팅 메시지가 입력되는 텍스트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채팅방 화면(204c)은 채팅방의 나가기 버튼 UI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채팅방 화면(204c)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에서, 채팅방에 입장하는 사용자의 입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고유 ID(e.g. 1번 늑대, 2번 호랑이, 3번 독수리)가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유 ID(e.g. 1번 늑대, 2번 호랑이, 3번 독수리)는 상기 채팅방이 종료될 때까지 불변하는 값일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할당된 고유 ID는 채팅방의 나가기 버튼 UI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기 전까지는 상기 사용자가 다른 채팅방에 입장하여 채팅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다른 컨텐츠를 리딩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a,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0b를 참조하면,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10a)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204c)가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에서 제5 영역(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이 상기 사용자의 팔로워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중인 채팅방 목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팅방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채팅방은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메시지가 가장 최근에 입력된 채팅방이 우선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컨텐츠를 리딩 중인 사용자의 수, 채팅방의 참여자 수 또는 채팅 메시지 수 등을 기초로 채팅방의 활성화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활성화 수치가 높은 채팅방이 우선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팔로워 수가 많은 채팅방이 우선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사용자가 팔로잉하는 다른 사용자의 수가 많은 채팅방이 우선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컨텐츠 열람자의 인터랙션에 따른 사용자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피드 페이지 영역(203)에 표시된 제2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11a)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제2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11a)에 응답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제2 컨텐츠에 대한 상세한 내용(204b)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세 페이지 영역(204)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에 대한 채팅방 화면(204c)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그래픽 객체(204aa)에 대한 선택 입력(11b)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선택 입력(11b)에 응답하여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 화면(204c)이 상세 페이지 영역(204)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5 영역(205)에 표시되는 채팅방 목록은, 제2 컨텐츠에 대한 채팅방이 가장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채팅방에 입장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11b)은 도 11b에 예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그래픽 객체(204aa)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204c)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도이다. 도 12에는 구체적인 예시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 7a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채팅방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나누는 대화의 내용 일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사용자의 채팅방 입장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더 많은 사용자 간의 소통이 이루어짐으로써,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이 증대될 수 있고,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커뮤니티 모임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성이 제고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채팅방은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이 가능하고 특정 컨텐츠와 일대일 대응되어 개설되는 채팅방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채팅방은 특정 컨텐츠가 속한 채널 단위로 개설될 수 있고, 특정 채널을 구독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특정 채널에 속한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이 가능한 채팅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 채널에 A-1 컨텐츠, A-2 컨텐츠, A-3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는 경우, A 채널에 대한 제1 채팅방이 개설될 수 있다. 이 때, 제1 채팅방에는 A-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A 사용자, A-2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B 사용자, A-3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C 사용자가 입장할 수 있고, 제1 채팅방 내에서 채팅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댓글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댓글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방에 입력되는 채팅 메시지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댓글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채팅 메시지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댓글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컨텐츠의 댓글 표시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S1000에서 시작된다. 이 때, 상기 제1 컨텐츠는 사용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1000은 채팅방이 이용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채팅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를 상기 댓글 표시 영역의 상단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팅방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채팅중인 사용자의 계정, 상기 채팅방에 참여중인 사용자의 수 및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S2000에서, 단계 S10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서 발생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댓글 표시 대상으로 선정된 일부 채팅 메시지가 댓글의 형태로 상기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댓글 표시 영역의 인접 위치에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이 종료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에 대한 예시도이다.
먼저,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이 종료되는 시점(T2) 이전의 경우 도 1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204d)가 댓글 표시 영역(204e)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에 대한 정보는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채팅중인 사용자의 계정, 채팅방에 참여중인 사용자의 수 및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204d)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e.g. 클릭, 마우스 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팅방은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한 이후에 종료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이 종료되는 시점(T2) 이후의 경우 도 1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204d)가 댓글 표시 영역(204e)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딩 컨텐츠의 채팅방에 대한 정보는 채팅방에 입장했던 사용자의 계정, 채팅 메시지의 수 및 채팅방에 입장했던 사용자의 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팅방 진입 그래픽 객체(204d)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e.g. 클릭, 마우스 오버 이벤트)에도 불구하고, 채팅방 입장이 불가할 수 있고 채팅방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이 완료된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채팅방의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에서 댓글 표시 영역에 댓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메시지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채팅방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일정 시간 마다 채팅방에 입력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에서 댓글로 표시될 채팅 메시지가 선정될 수 있고, 선정된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 컨텐츠에 대한 채팅방 화면(204c)은 리딩 컨텐츠의 제목 및 채팅방 화면에 대한 설정에 대응되는 UI를 포함하는 상태 표시 영역(204ca), 채팅방에 입장한 복수의 사용자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가 표시되는 채팅 영역(204cb) 및 채팅 메시지 입력 영역(204c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채팅 영역(204cb)에 표시되는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채팅 메시지가 댓글로 표시될 수 있고,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리액션의 수를 기초로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가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참여중인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공감 또는 추천을 가장 많이 받은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로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복수의 사용자 중 팔로워의 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로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팅방에 대응되는 리딩 콘텐츠의 게시자가 입력한 채팅 메시지(e.g. 질문에 대한 게시자 답변)가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로 선정될 수 있다.
한편, 채팅방이 종료되어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채팅방에 입력된 대화의 내용을 기초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댓글로 표시될 채팅 메시지가 선정될 수 있고, 선정된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가장 많은 리액션(e.g. 공감 수, 추천 수)을 얻은 채팅 메시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댓글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댓글이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댓글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채팅 메시지가 병합될 수 있고, 어느 하나 이상의 채팅 메시지의 일부분은 삭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팅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와 관계(e.g. 팔로잉, 채널 구독)가 있는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댓글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댓글이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가장 많은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받은 사용자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를 기초로 새로운 댓글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댓글이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채팅방 화면(204c)의 채팅 영역(204cb)에 입력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채팅방에 입장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추천을 가장 많은 받은 채팅 메시지(15a)가 댓글 표시 영역(204e)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로 선정될 수 있다. 이 때, 채팅 메시지(15a)는 댓글 표시 영역(204e)에 표시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사용자(i.e. 31번 거북이)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가 병합되어 하나의 댓글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채팅 메시지(15a)가 일부 변형된 댓글(15b)가 댓글 표시 영역(204e)의 가장 상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서 발생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댓글 표시 대상으로 선정된 일부 채팅 메시지를 댓글의 형태로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S2000은, 채팅 메시지가 댓글의 형태로 변환된 결과로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댓글의 작성자를 채팅 메시지의 작성자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 화면의 채팅 메시지(15a) 작성자(31번 거북이)와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댓글(15b)의 작성자(31번 거북이)가 자동으로 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서 발생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댓글 표시 대상으로 선정된 일부 채팅 메시지를 댓글의 형태로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S2000은, 댓글 표시 영역에 직접 입력된 댓글과 댓글의 형태로 변환된 일부 채팅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댓글 표시 영역의 상단에 표시된 댓글(15b)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댓글이 아니라 채팅방의 채팅 메시지가 댓글의 형태로 변환된 것임을 나타내는 UI(150)가 함께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다른 댓글과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댓글 표시 영역에 직접 입력된 댓글과 댓글의 형태로 변환된 일부 채팅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도 15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댓글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이 완료된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채팅 메시지를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작성 중인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작성 중인 채팅 메시지가 댓글 표시 영역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 컨텐츠에 대한 채팅방 화면(204c)은 리딩 컨텐츠의 제목 및 채팅방 화면에 대한 설정에 대응되는 UI를 포함하는 상태 표시 영역(204ca), 채팅방에 입장한 복수의 사용자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가 표시되는 채팅 영역(204cb) 및 채팅 메시지 입력 영역(204c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채팅방에 입장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채팅 메시지가 완성되기 이전의 시점에 채팅 영역(204cb)에 표시되는 복수의 채팅 메시지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입력중인 채팅 메시지(16a)가 상기 댓글 표시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다. 즉, 특정 사용자에 의해 현재 입력중인 채팅 메시지가 실시간으로 댓글 표시 영역에 댓글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커뮤니티 플랫폼 서비스의 관리자로부터 사전에 인증받은 계정을 보유한 셀러브리티(celebrity)일 수 있다. 즉, 특정 유명인이 현재 활성화된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를 작성 중인 경우, 사용자의 채팅방 입장 여부와 무관하게, 컨텐츠의 댓글 표시 영역에 채팅 메시지의 타이핑 상황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는 팔로워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일 수 있다. 즉, 팔로워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인플루언서가 현재 활성화된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를 작성 중인 경우, 사용자의 채팅방 입장 여부와 무관하게, 컨텐츠의 댓글 표시 영역에 채팅 메시지의 타이핑 상황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댓글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채팅 메시지는 다른 댓글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댓글 표시 영역(204e)의 상단에 표시된 댓글(16b)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채팅방에서 현재 입력중인 채팅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UI(160)가 함께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다른 댓글과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댓글 표시 영역에 직접 입력된 댓글과 특정 사용자에 의해 채팅방에서 현재 입력중인 채팅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댓글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의 인접 위치에 특정 사용자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임을 가리키는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래픽 객체(204ab)에 포함된 채팅 메시지 일부의 인접 위치에 각 채팅 메시지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UI(160, 16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특정 사용자(e.g. 연예인, 인플루언서)가 작성한 채팅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UI(161) 및 특정 사용자(e.g. 연예인, 인플루언서)에 의해 채팅 메시지가 현재 작성중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UI(16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제1 사용자가 팔로잉하는 제2 사용자가 특정 채팅방에 입장하여 채팅 메시지를 입력 중이거나 입력을 완료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화면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채팅방 활동 상태를 가리키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팔로잉하는 제2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의 채팅방에 입장한 경우, 입장 알림 메시지가 제1 사용자의 PC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를 작성 중이거나 채팅 메시지를 작성 완료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가 채팅 메시지 작성중임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 또는 채팅 메시지를 작성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가 제1 사용자의 단말(i.e. 데스크탑 PC,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댓글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컨텐츠 댓글 표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채팅방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기초로 댓글을 생성하고,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채팅방 입장을 유도할 수 있고, 더 많은 사용자와의 소통을 통한 사용자 경험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일부 채팅 메시지는 해당 채팅 메시지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의 시점에 댓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채팅 메시지로 선정되어, 작성 중인 채팅 메시지의 타이핑 상황이 댓글 표시 영역에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참여도 및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커뮤니티 모임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성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버스(1600)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가상 머신 등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하여 서버 팜(server farm)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 서버(physical serve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8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프로세서(1100), 메모리(1400) 및 스토리지(1300) 중 적어도 일부는 가상 하드웨어(virtual hardware)일 수 있을 것이며, 통신 인터페이스(1200) 또한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등 가상화된 네트위킹 요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의 넓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점을 기준 시간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방의 채팅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채팅방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되는 것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썸네일의 형태로 표현된 복수의 오브젝트가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배치된 그래픽 객체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상기 채팅방에서 실시간으로 채팅중인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댓글 중 가장 많은 리액션을 받은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는,
    상기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텍스트를 입력중인 경우, 상기 텍스트의 일부 내용이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채팅방이 생성된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 각각의 입력 사이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기준 시간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기준 시간동안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치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시간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채팅방에 대한 활성화 스코어를 기초로 변동되는 시간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채팅방의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화면은,
    상기 채팅방의 나가기 버튼 UI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하는 사용자의 입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고유 ID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ID는 상기 채팅방이 종료될 때까지 불변하는 값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채팅방에 입장하는 사용자가 참여중인 채팅방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방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채팅방을 상기 사용자의 팔로워 수에 기반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19.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는 제1 채널에 포함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의 넓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20. 프로세서; 및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reading) 컨텐츠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입장 가능한 채팅방에 대한 입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컨텐츠의 인접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채팅방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제1 컨텐츠를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동작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의 넓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리딩 컨텐츠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71407A 2022-12-09 2022-12-09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6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407A KR102560823B1 (ko) 2022-12-09 2022-12-09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407A KR102560823B1 (ko) 2022-12-09 2022-12-09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823B1 true KR102560823B1 (ko) 2023-07-28

Family

ID=8742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407A KR102560823B1 (ko) 2022-12-09 2022-12-09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8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832A (ko) * 2012-02-13 2013-08-21 권오석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상 아이디를 이용한 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5225A (ko) * 2012-09-12 2014-03-21 정준혁 온라인 서비스의 상호 연동 방법
KR101898546B1 (ko) * 2017-03-21 2018-09-13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채팅 서비스 제공 단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72177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트위니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KR20220045121A (ko) * 2022-01-24 2022-04-12 주식회사 카페노노 현재 게시글의 다른 reader들에 대한 정보의 표시 및 상호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KR102460595B1 (ko) 2022-08-18 2022-10-28 주식회사 리플에이아이 게임 방송에서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832A (ko) * 2012-02-13 2013-08-21 권오석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상 아이디를 이용한 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5225A (ko) * 2012-09-12 2014-03-21 정준혁 온라인 서비스의 상호 연동 방법
KR101898546B1 (ko) * 2017-03-21 2018-09-13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채팅 서비스 제공 단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72177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트위니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KR20220045121A (ko) * 2022-01-24 2022-04-12 주식회사 카페노노 현재 게시글의 다른 reader들에 대한 정보의 표시 및 상호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KR102460595B1 (ko) 2022-08-18 2022-10-28 주식회사 리플에이아이 게임 방송에서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717B2 (e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US11800192B2 (en) Bullet scre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034747A1 (zh) 图片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70168692A1 (en) Dual-Modality Client Application
CN111857500B (zh) 消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I728419B (zh) 交互方法、裝置及設備
KR20140052794A (ko)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70111297A1 (en)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3268964A (zh) 一种表格编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70351650A1 (en) Digital conversation annotation
CN114385049A (zh) 消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20045121A (ko) 현재 게시글의 다른 reader들에 대한 정보의 표시 및 상호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US11822785B2 (en) Managing application focus transitions
CN114327088A (zh) 消息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O2024093815A1 (zh) 数据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1934985B (zh) 媒体内容的分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259395A1 (zh) 在线协作文档的处理方法及设备
JP202117033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560823B1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45122A (ko) 팔로잉 사용자의 실시간 읽기 행위 관련 정보의 표시 및 상호 인터랙션 지원 방법
US11243691B2 (en)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keyboard user interface adaptively 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and system thereof
CN112487371B (zh) 聊天会话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416248A (zh) 会话方法及其装置
JP6932370B2 (ja) web上での大規模議論におけるファシリテータ支援システム
US20240176630A1 (en) Machine learning for targeting help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