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676B1 - 3D Motion Chair - Google Patents

3D Motion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676B1
KR102560676B1 KR1020230027411A KR20230027411A KR102560676B1 KR 102560676 B1 KR102560676 B1 KR 102560676B1 KR 1020230027411 A KR1020230027411 A KR 1020230027411A KR 20230027411 A KR20230027411 A KR 20230027411A KR 102560676 B1 KR102560676 B1 KR 10256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tion
coupling member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4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3002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상부 유닛,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유닛,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중간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 결합부재 및 상기 중간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가이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유닛은 상기 고정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 유닛에 대하여 제1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 유닛에 대하여 제2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unit, a lower unit, an intermediate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 fixed coupling member for fixedly coupling the lower unit and the intermediate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unit. It includes a guide coupling member for fixing and coupling the unit and the upper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mediate un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at a first angle around 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the upper unit is installed to be rotat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unit with respect to the guide coupling member. do.

Description

3D 모션 의자{3D Motion Chair}3D Motion Chair {3D Motion Chair}

본 발명은 3D 모션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번거로운 조정없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지지해주고 반응하며 일상에서 필요한 다양한 자세를 지원하는 3D 모션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motion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motion chair that supports and responds to a user's natural movement without cumbersome adjustment and supports various postures required in daily life.

일반적으로 의자는 소정의 형상으로 고정되고, 사용자의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작되었다. 즉,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몸에 어떠한 자극을 주지 않으며 자세를 바꾸는 행위가 힘들게 제작되었다.In general, a chair is fix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manufactured to maintain a user's static posture. That is, a general chair does not give any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and is made difficult to change the posture.

그에 따라, 장시간 의자에 착석시에 근육이 위축되며 신진대사 능력이 저해되는 등 사용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하여 바른 자세로 의자를 사용하거나 매시간마다 의자에서 일어나 스트레칭을 할 것이 요구되었다.Accordingly, when sitting on a chair for a long time, problems that are not good for the user's health, such as atrophy of muscles and inhibition of metabolic ability, have occur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correct the user's sitting posture to use a chair in a correct posture or to get up from the chair and stretch every hou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자세 교정이 아닌 의자의 모션을 통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지지해주고 반응할 수 있는 3D 모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motion chair capable of supporting and responding to the natural motion of a user through motion of the chair rather than correcting the user's posture.

또한, 본 발명은 번거로운 조정이 필요없이 사용자에 움직임의 맞추어 입체적으로 조정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자세를 지원할 수 있는 3D 모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motion chair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postures required by the user as it is three-dimension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without the need for cumbersome adjustment.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맞추어 그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전체적인 자세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3D 모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motion chair capable of appropriately supporting the user's overall posture by supporting him according to the user's arm movement.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하부 어셈블리 및 사용자의 팔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assembly on which a user sits and a pair of auxiliary assemblies connected to the lower assembly to support the user's arms.

상기 한 쌍의 보조 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팔부분이 안착되는 상부 유닛, 상기 하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유닛,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중간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 결합부재 및 상기 중간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가이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At least one of the pair of auxiliary assemblies includes an upper unit on which the user's arm is seated, a lower unit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an intermediate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 fixing coupling member for fixedly coupling the lower unit and the intermediat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coupling member for fixedly coupling the intermediate unit and the upper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중간 유닛은 상기 고정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 유닛에 대하여 제1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 유닛에 대하여 제2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termediate uni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at a first angle around 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the upper uni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unit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guide coupling member.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중간 유닛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상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상부 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unit includes an upper body including a guide member rotatably fixed to the intermediate unit by the guide coupling member and a guide rail accommodating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along the guide rail.

상기 고정 결합부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중간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모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유닛은 상기 고정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 및 상기 모션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모션결합부가 형성된 중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결합부는 상기 고정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각도로 연장된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motion coupl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coupling the lower unit and the intermediat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intermediate unit includes a fixed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fixed coupling member is coupled and an intermediate body formed with a motion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motion coupling member is disposed, and the motion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long groove extending at the first angle around the fixed coupling portion.

상기 하부 유닛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는 조절커버, 상기 조절커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연결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레버, 상기 하부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연결부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의 내측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unit may include an adjusting cover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a lower body movably connected to the adjusting cover, a height adjusting lever including a lever connect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having at least a part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and disposed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inside the lower body by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상기 높이조절레버는, 상기 하부 본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유닛과 결합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연결부는 상기 회동부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지지부에 탄성연결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lever is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lower main body and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unit, an upper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cover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lower main body, and a pivo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ing support portion, and a pivot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gripped.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레버연결부와 접하여 배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커버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가능한 홈으로 형성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의 높이조절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 본체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and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and the adjusting cover includes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med a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gl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angle.

상기 고정 결합부재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는 상기 상하방향과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the guide coupl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입체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를 더 자주 바꾸며 자연스러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posture more frequently and perform natural exercises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번거로운 조정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입체적으로 조정되도록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개별 사용자에 따라 그 특성을 고려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three-dimension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without cumbersome adjustment, thereby promoting user convenience and providing mov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팔부분을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전체적인 자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ain by effectively supporting the user's overall posture by supporting the arm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move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1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2모션 내지 제4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2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3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4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3모션 및 제4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first motion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second to fourth motions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motion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motion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fourth motion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motion and a fourth motion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하방향은 Z축방향, 전후방향은 X축방향, 좌우방향 또는 양측방향은 Y축방향으로 정의된다. 특히, 전방방향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축방향으로 정의된 것으로 수직하거나 일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ereinafter,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Z-axis direction, the front-back direction a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left-right or both-side direction as the Y-axis direction. In particular, the forward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a user is seated. At this time, each direction is defined as an axial dire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not fixed in a vertical or one direc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1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전면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후면을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1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where a user can be seated from abov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from below.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모션 의자(1)는 헤드 어셈블리(10), 상부 어셈블리(20), 하부 어셈블리(30), 보조 어셈블리(40) 및 지지 어셈블리(5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각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에 따라 서로 별도의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분된다.1 and 2, the 3D motion chai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head assembly 10, an upper assembly 20, a lower assembly 30, an auxiliary assembly 40, and a support assembly 50. Each assembly is divided so that separate motion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and movement.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임에 따라 입체적으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head assembly 10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user's head. For example, the head assembly 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ead assembly 10 is three-dimension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ead assembly 10 may be connect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assembly 20 .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개별 사용자의 요추 형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assembly 20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user's back. For example, the upper assembly 20 may be provided to efficiently support 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umbar vertebrae of individual users.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을 포함한 상부를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사용자의 전후좌우 움직임에 따라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assembly 30 is a part where the user sits, and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user's buttocks. For example, the lower assembly 30 may be provided to perform motion according to the user's left and right move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lower assembly 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assembly 20 .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사용자의 팔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서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사용자의 팔이 움직임에 따라 입체적으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assembly 40 is provided as a pair connected to the lower assembly 30 to support the user's arm.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40 can be three-dimension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보조 어셈블리(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조 어셈블리(40) 중 어느 하나에 관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auxiliary assembly 40 may be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lower assembly 30 . At this time, the pair of auxiliary assemblies 4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or different shapes. Any one of the pair of auxiliary assemblies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지지 어셈블리(5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 및 그에 연결된 각 어셈블리들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어셈블리(5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하로 길이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assembly 50 is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assembly 30 and each assembly connected thereto on a bottom surface. For example, the support assembly 5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bottom surface or to be adjusted in length up and down.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분해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3D 모션 의자(1)의 보조 어셈블리(40) 중 하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3 to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S. 3 to 10 are views showing one of the auxiliary assemblies 40 of the 3D motion chai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view.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 착석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보조 어셈블리(40)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사용자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보조 어셈블리도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assembly 4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different shapes. Hereinafter, one auxiliary assembly 4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ser sitting on the lower assembly 30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auxiliary assembly located on the left side relative to the user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30a)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어셈블리(4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auxiliary assembly 4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30 . For example, a portion 30a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3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assembly 4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상부 유닛(42), 중간 유닛(24) 및 하부 유닛(26)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유닛(26)은 제1모션, 상기 상부 유닛(42)은 제2모션 및 제3모션, 상기 중간 유닛(24)은 제4모션과 관련된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8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auxiliary assembly 4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unit 42, an intermediate unit 24 and a lower unit 26. In addition, the lower unit 26 can be divided into parts related to the first motion, the upper unit 42 to the second and third motions, and the middle unit 24 to the fourth mo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11 to 18.

상기 하부 유닛(46)은 상기 보조 어셈블리(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유닛(46)은 하부 본체(460), 조절커버(462), 보조커버(464) 및 높이조절레버(4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unit 46 is disposed under the auxiliary assembly 40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30 . 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lower unit 46 may include a lower body 460 , an adjustment cover 462 , an auxiliary cover 464 and a height adjustment lever 466 .

상기 하부 본체(46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바디부(4602) 및 상기 본체 바디부(4602)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본체연장부(460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바디부(4602)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연장부(4600)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은 사용자의 정면방향으로 이는 사용자의 팔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lower body 460 is formed of a main body portion 4602 extending vertically and a main body extension portion 460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4602. In this case, the main body part 4602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n upper part is tilted for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4600 may extend forward. Front or front is a user's front direction,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shape for effectively supporting the user's arm.

상기 본체바디부(4602)의 내부는 중공된 상태이고, 일 측면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본체결합구(4604)를 갖는다. 상기 본체연장부(4600)는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부(4602) 및 상기 본체연장부(46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된 것으로 하나의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4602 is hollow, and has a main body coupler 4604 opened to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4600 may be disposed with an open top. The main body part 4602 and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4600 are 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correspond to one configuration.

상기 조절커버(462) 및 보조커버(464)는 상기 본체바디부(4602)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조절커버(462)는 상기 본체결합구(4604)가 형성된 상기 본체바디부(4602)의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adjusting cover 462 and the auxiliary cover 464 may be provided in corresponding shapes to cover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4602 . In detail, the adjusting cover 462 may be coupled to cover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4602 on which the main body coupler 4604 is formed.

또한, 상기 조절커버(462) 및 상기 보조커버(464)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조절커버(462) 및 상기 보조커버(464)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30a)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본체(460)는 상기 조절커버(462)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바디부(4602)는 상기 조절커버(462) 및 상기 보조커버(464)에 대하여 이동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cover 462 and the auxiliary cover 464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30 . In detail, the control cover 462 and the auxiliary cover 464 may be dispo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wardly protruding portion 30a of the lower assembly 30 . At this time, the lower body 460 is mov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cover 462 . That is, the main body portion 460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assembly 30 by being moved relative to the control cover 462 and the auxiliary cover 464 .

상기 조절커버(462)는 일 측면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높이조절부(4620)를 갖는다. 상기 높이조절부(4620)는 상기 조절커버(462)를 관통하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결합구(4604)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4620)는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높이조절부(46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결합구(4604)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djustment cover 462 has a height adjustment unit 4620 opened to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The height adjusting part 4620 is formed as a groove penetrating the adjusting cover 462,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body coupler 4604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one open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46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That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units 462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main body coupler 4604.

상기 높이조절레버(466)는 회동부(4660), 상부커버부(4662), 회동지지부(4664) 및 레버연결부(46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레버(466)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본체연장부(4600)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바디부(4602)를 향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lever 466 may include a pivoting part 4660, an upper cover part 4662, a pivoting support part 4664, and a lever connecting part 4666.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lever 466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460 . In detail,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4600 may be inserted toward the main body part 4602 and disposed.

상기 상부커버부(4662)는 상기 하부 본체(46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유닛(44)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커버부(4662)는 상기 본체바디부(4602)의 상단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부(4662)의 상단에는 후술할 결합부재들의 결합을 위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part 4662 may be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lower body 460 and coupled with the intermediate unit 44 . That is, the upper cover part 4662 may close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460 by forming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4602 . A shape for coupling of coupling member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portion 4662 .

상기 회동지지부(4664)는 상기 상부커버부(4662)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회동지지부(4664)는 상기 상부커버부(466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support part 4664 may extend from the upper cover part 4662 and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460 . In detail, the pivot support part 4664 may be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ver part 4662 .

상기 회동부(4660)는 상기 회동지지부(466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가능하게 외부로 상기 하부 본체(46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부(466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연장부(4600)에는 상기 하부 본체(460)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동부(4660)와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동지지부(4664)를 연결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pivoting part 466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ing support part 4664 and may be gripp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460 . That is, the pivoting part 466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grip and rotate it. At this time,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4600 connects the rotation part 4660 disposed outside the lower body 460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4664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460. A groove may be formed.

상기 레버연결부(4666)는 상기 회동부(4660)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지지부(4664)에 탄성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연결부(4666)와 상기 회동지지부(4664)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4660)가 외력에 의해 회동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며 상기 레버연결부(4666)가 이동되고, 상기 회동부(4660)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원상 회복되며 상기 회동부(4660) 및 상기 레버연결부(4666)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The lever connection part 4666 may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part 4664 so as to move as the rotation part 4660 rotates. For example, an elastic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ver connection part 4666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4664. In addition, when the pivoting part 4660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and the lever connecting part 4666 is mov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pivoting part 4660, the elastic memb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pivoting part 4660 and the lever connecting part 4666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상기 레버연결부(4666)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연결부(4666)는 상기 본체바디부(4602)를 따라 연장되어 그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레버연결부(4666)는 상기 본체결합구(4604)가 형성된 부분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lever connection part 4666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4666 extends along the main body portion 4602 and is disposed therein. In particular,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4666 may be disposed extending to a portion where the body coupler 4604 is form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상기 하부 본체(46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46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606)는 상기 하부 본체(46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연결부(4666)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측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auxiliary assembly 40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coupled to the lower body 460 . At least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is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460, and may be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able toward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460 by the lever connection part 4666.

자세하게는, 상기 높이조절부재(4606)는 상기 레버연결부(4666)와 접하여 배치되는 경사부(4612) 및 상기 경사부(4612)에서 상기 하부 본체(460)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4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4610)는 상기 본체결합구(4604)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In detail,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4612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4666 and a protrusion 4610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4612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460. can include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4610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body coupler 4604.

이때, 상기 경사부(4612)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하부 본체(46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레버연결부(4666)가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경사부(4612)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돌출부(4610)가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4606)는 높이조절 탄성부재(4608)를 통해 상기 하부 본체(46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돌출부(4610)는 다시 상기 하부 본체(460)의 외측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46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body 460 as it goes downward. Accordingly, when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4666 is moved downward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portion 4612 , the protruding portion 4610 may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460 .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460 through a height adjusting elastic member 4608. 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protruding portion 4610 may return to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460 again.

앞서 설명한 복수의 높이조절부(4620)는 각각 상기 돌출부(4610)가 삽입가능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높이조절부(462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부(4610)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 본체(460)가 상기 조절커버(462)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4610)가 상기 하부 본체(46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하부 본체(460)가 상기 조절커버(462)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parts 462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a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part 4610 can be inserted. Also, the protruding part 4610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parts 4620 so that the lower body 460 may be fixed to the adjusting cover 46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ddition, as the protruding part 4610 is moved inward of the lower body 460 by an external force, the lower body 460 may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djusting cover 462 .

상기 중간 유닛(44)은 상기 상부 유닛(42)과 상기 하부 유닛(46)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유닛(44)은 상기 상부커버부(4662)의 상단에 결합되는 중간 본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본체(440)는 상기 상부커버부(4662)보다 수평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unit 44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unit 42 and the lower unit 46 .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intermediate unit 44 may include an intermediate body 44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portion 4662 . The middle body 44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having a larger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upper cover part 4662 .

상기 중간 본체(440)와 상기 상부커버부(4662)는 두 개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이를 고정 결합부재(4404) 및 모션 결합부재(4406)로 구분한다.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 및 상기 모션 결합부재(4406)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간 본체(440)를 상기 상부커버부(4662)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intermediate body 440 and the upper cover part 4662 are coupled through two coupling members, which are divided into a fixed coupling member 4404 and a motion coupling member 4406.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and the motion coupling member 4406 are vertically coupled to fix the intermediate body 440 to the upper cover 4662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상기 중간 유닛(44)은 상기 하부 유닛(46)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 및 상기 모션 결합부재(4406)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상기 중간 유닛(44)과 상기 하부 유닛(46)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iddle unit 44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unit 46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and the motion coupling member 440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dividually fixedly couple the middle unit 44 and the lower unit 46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중간 본체(440)에는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4400) 및 상기 모션 결합부재(4406)가 배치되는 모션결합부(44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4400) 및 상기 모션결합부(4402)는 상기 중간 본체(440)의 하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body 440 may be formed with a fixed coupling portion 4400 to which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is coupled and a motion coupling portion 4402 to which the motion coupling member 4406 is disposed. The fixed coupling part 4400 and the motion coupling part 4402 may be understood as groov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440 .

이때, 상기 고정결합부(4400)는 상기 고정결합부재(4404)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결합부재(4404)는 상기 고정결합부(440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결합부(440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홈으로 형성될 있다. 즉, 상기 모션결합부재(4406)는 상기 모션결합부(440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coupling part 4400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 That is,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may be fixed to the fixed coupling portion 4400 in a horizontal direction. Meanwhile, the motion coupler 4402 may be formed as a long groov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motion coupling member 4406 may be relatively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motion coupling portion 4402 .

특히, 상기 모션결합부(4402)는 상기 고정결합부(4400)를 중심으로 제1각도로 연장된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본체(440)는 상기 고정결합부(4400) 또는 고정결합부재(4404)를 중심으로 제1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간 유닛(44)은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0)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 유닛(46)에 대하여 제1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tion coupling part 4402 may be formed as a long groove extending at a first angle around the fixed coupling part 4400 . That is, the intermediate body 440 may be rotated at a first angle around the fixed coupling part 4400 or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 In other words, the intermediate unit 44 may be pivotally install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46 around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0 .

상기 상부 유닛(42)은 상기 보조 어셈블리(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팔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유닛(42)은 상부 본체(420) 및 가이드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본체(420)는 상기 중간 본체(440)보다 수평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unit 42 is disposed above the auxiliary assembly 40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user's arm is seated. 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upper unit 42 may include an upper body 420 and a guide member 424 . The upper body 42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having a larger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middle body 440 .

상기 상부 본체(420)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424)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4200)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레일(4200)은 수평방향으로 일 직선상으로 형성된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본체(420)는 중심축에 장홈이 형성된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A guide rail 4200 accommodating the guide member 424 is formed in the upper body 420 . In detail, the guide rail 4200 may be formed as a long groov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body 420 may be provided as a flat plate having a long groove formed on a central axis.

상기 가이드 부재(424)는 상기 가이드 레일(4200)에 대응하여 일직선상으로 연장된 사각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24)는 상기 가이드 레일(4200)에 양 측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420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424 may be provided as a rectangular flat plat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4200 . Both sides of the guide member 424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4200 and relatively move in a straight l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4200 .

상기 가이드 부재(424)는 상기 중간 유닛(44)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중간 유닛(44)은 상기 중간 본체(440)의 상단을 커버하는 중간 커버(4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24)는 상기 중간 본체(440) 또는 상기 중간 커버(442)에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이를 가이드 결합부재(4240)로 구분한다.The guide member 424 may b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unit 44 . In detail, the intermediate unit 44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cover 442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body 440 . The guide member 424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body 440 or the intermediate cover 442 through one coupling member. This is divided into a guide coupling member 4240.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0)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424)를 상기 중간 본체(440) 또는 상기 중간 커버(442)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유닛(42)은 상기 상부 본체(420)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유닛(42)은 상기 중간 유닛(44)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coupling member 4240 is vertically coupled to fix the guide member 424 to the intermediate body 440 or the intermediate cover 44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unit 42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ver 422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upper body 420 . That is, the upper unit 4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iddle unit 44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상부 유닛(42)과 상기 중간 유닛(44)은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고정된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 유닛(42)은 상기 중간 유닛(44)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커버(442)에 형성된 홈이나 상기 가이드 부재(424)에 형성된 돌기 등으로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상부 유닛(42)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 유닛(44)에 대하여 제2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unit 42 and the middle unit 44 ar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one coupling member. Accordingly, the upper unit 42 may be rotatably installed about the guide coupling member 4240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unit 44 . 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may be limited by a groove formed on the middle cover 442 or a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member 424 . In summary, the upper unit 42 may be pivotally install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unit 44 around the guide coupling member 424 .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3D 모션 의자(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각 동작은 설명의 편의상 제1모션 내지 제4모션으로 구분하였지만, 각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3D motion chair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each operation is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mo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1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상기 제1모션은 상기 하부 유닛(46)에 동작에 관한 것이다.11 and 12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motion of the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tion relates to motion of the lower unit 46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유닛(46)은 상기 본체바디부(4602)가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4660)를 파지하여 회동시키고 상기 본체바디부(4602)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4660)를 파지하여 회동시키고 상기 본체바디부(4602)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the lower unit 46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4602 is inserted into the lower assembly 30 . And, as shown in FIG. 12 , the pivoting part 4660 may be gripped and rotated, and the main body part 4602 may be moved upward. In addition, the pivoting part 4660 may be gripped and rotated, and the main body part 4602 may be moved downward.

자세하게는, 상기 회동부(4660)를 파지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연결부(4666)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4606)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4606)는 상기 본체바디부(4602)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높이조절부(46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돌출부(4610)가 분리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 본체(460)는 상기 조절커버(462)와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pivoting part 4660 is gripped and rotated, the lever connecting part 4666 is moved downward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Accordingly,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4602, and the protruding part 4610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height adjusting parts 4620 is separated. Accordingly, the lower body 46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rol cover 462 and moved.

또한, 상기 회동부(4660)에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4660) 및 상기 레버연결부(4666)가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4606)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고 상기 돌출부(4610)가 상기 하부 본체(4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높이조절부(46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 본체(460)는 상기 조절커버(462)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pivoting part 4660, the pivoting part 4660 and the lever connection part 4666 are mov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606 is removed, and the protruding part 4610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body 460 and is inserted into one of the height adjusting parts 4620 . Accordingly, the lower body 460 may be fix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cover 462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4620)는 상기 돌출부(4610)와 대응되는 홈으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부(4620)는 9개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돌출부(4610)는 9개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 본체(460)는 9단계로 이동될 수 있으며 최대로 약80mm정도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ment unit 46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610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part 4620 may be formed in nine pieces, and accordingly, the protrusion part 4610 may be coupled to one of the nine pieces. Accordingly, the lower body 460 can be moved in 9 steps and can be moved about 80mm at the maximum.

이와 같이 상기 하부 본체(46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그에 연결된 중간 유닛(44) 및 상부 유닛(46)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lower body 46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iddle unit 44 and the upper unit 46 connected thereto can be moved. Therefore, the user can move it up and down as needed and fix it to a desired posi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2모션 내지 제4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기본 위치는 설명의 편의상 설정된 것으로 외력을 제거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to fourth motions of the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a basic position for explaining the operations shown in FIGS. 14 to 18 . At this time, the basic position is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2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상기 제2모션은 상기 상부 유닛(42)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유닛(42)은 도 13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1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motion of the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upper unit 42 . As shown in FIG. 14 , the upper unit 42 may be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slid backward in FIG. 13 .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에 후방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424)가 상기 가이드 레일(4200)을 따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에 전방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424)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main body 420 backward, the guide member 424 may be relative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4200 . Accordingly,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body 420 may be moved and disposed rearward. On the other h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body 420 forward,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body 420 are moved forward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424. Can be disposed.

예를 들어,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는 전후방향으로 약 50mm정도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 레일(4200)을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424)가 이동가능한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body 420 may be moved about 50 m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is may correspond to a movable range of the guide member 424 along the guide rail 4200 . In this way,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body 420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the user can move it forward and backward as needed and fix it at a desired posi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3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상기 제3모션은 상기 상부 유닛(42)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유닛(42)은 도 13에서 회동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motion of the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mo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upper unit 42 . As shown in FIG. 15 , the upper unit 42 may be disposed in a rotated state in FIG. 13 .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커버(422) 및 상기 상부 본체(42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0)에 의해 결합된 상기 가이드 부재(424)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424)가 수용된 상기 상부 본체(420) 및 그와 연결된 상기 상부 커버(422)가 회동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cover 422 and the upper main body 42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guide coupling member 4240 may be pivoted. That is, the guide member 424 coupled by the guide coupling member 424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upper body 420 in which the guide member 424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cover 422 connected thereto can be rota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유닛(42)의 제2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유닛(42)은 약20도 정도 회동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에서 일 측으로만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각도 및 방향은 상기 가이드 부재(424) 또는 상기 중간 커버(442)의 형상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unit 42 may be rotated at a second angle. For example, the upper unit 42 can be rotated by about 20 degrees and can be rotated only to one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Such a rotation angle and direc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guide member 424 or the middle cover 442 .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4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상기 제4모션은 상기 중간 유닛(44)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유닛(44)은 도 13에서 회동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16 and 17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fourth motion of a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mo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mediate unit 44. 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intermediate unit 44 may be disposed in a rotated state in FIG. 13 .

자세하게는, 상기 중간 본체(44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에 의해 결합된 상기 중간 본체(44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며 상기 중간 본체(440)와 결합된 상기 중간 커버(442) 및 상기 상부 유닛(42)이 회동될 수 있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body 440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may be rotated around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 That is, the intermediate body 440 coupled by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intermediate cover 442 and the upper unit 42 coupled to the intermediate body 440 can be rota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유닛(44)의 제1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유닛(44)은 약25도 정도 회동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에서 양 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각도 및 방향은 상기 모션결합부(4402)의 형상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unit 44 may be rotated at a first angle.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unit 44 can be rotated by about 25 degrees and can be rotated to both sid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Such a rotation angle and direc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tion coupler 4402 and the like.

이때, 제3모션과 제4모션을 비교하면, 제3모션은 상기 상부 유닛(42)의 회동이며 제4모션은 상기 중간 유닛(44)의 회동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중간 유닛(44)의 상부에 상기 상부 유닛(42)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4모션에는 상기 상부 유닛(42)의 회동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comparing the third motion and the fourth motion, the third motion corresponds to the rotation of the upper unit 42 and the fourth motion corresponds to the rotation of the middle unit 44 .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unit 4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unit 44,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rotation of the upper unit 42 is included in the fourth motion.

또한, 제3모션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유닛(42)이 회동되는 동작이며, 제4모션은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 유닛(44)이 회동되는 동작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4240) 및 상기 고정 결합부재(4404)는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해당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즉, 제3모션과 제4모션의 회동중심은 수평방향으로 일치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hird mo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upper unit 42 is rotated around the guide coupling member 4240, and the fourth mo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unit 44 is rotated around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At this time, the guide coupling member 4240 and the fixed coupling member 4404 correspond to coupling members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rotation centers of the third motion and the fourth motion do not coinc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제3모션은 상기 상부 유닛(42)이 전후방향에서 일 측으로 회동되는 동작이며, 제4모션은 상기 중간 유닛(44)이 전후방향에서 양 측으로 회동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모션은 좌측으로만 회동되는 동작에 해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third mo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upper unit 42 is rotated to one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ourth mo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middle unit 44 is rotated to both sid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example, the third motion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of turning only to the left. Accordingly, the first angl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angle.

더하여, 제4모션은 상기 중간 유닛(44)이 양 측으로 서로 다른 각도범위로 회동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모션은 상기 상부 유닛(42)이 좌측으로 20도의 범위로 회동되는 동작일 수 있고, 제4모션은 상기 중간 유닛(44)이 좌측으로는 20도, 우측으로는 5도의 범위로 회동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 중간 유닛(44)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ourth mo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unit 44 rotates to both sides in different angular ranges. For example, the third mo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upper unit 42 is rotated to the left by 20 degrees, and the fourth mo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middle unit 44 is rotated to the left by 20 degrees and to the right by 5 degrees. 15 and 16 show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unit 44 is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모션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그 중 제3모션과 제4모션이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를 도 18에 도시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3모션 및 제4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특히, 도 18은 상기 중간 유닛(44)이 도 17과 같이 동작되고 상기 상부 유닛(42)이 도 15와 같이 동작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Also, as described above, each motion may be independently and concurrently generated. Among them, a case where the third motion and the fourth motion occur simultaneously is illustrated in FIG. 18 . 1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third motion and the fourth motion of the 3D motion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iddle unit 44 is operated as shown in FIG. 17 and the upper unit 42 is operated as shown in FIG. 15 .

정리하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1) 상하방향으로 각 단계별로 이동가능하며(제1모션), 2)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제2모션), 3) 팔에 닿는 부분만 회동가능하며(제3모션), 4) 전체적으로 회동가능(제4모션)하게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의 팔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summary, the auxiliary assembly 40 is 1) movable in each step in the vertical direction (first motion), 2) capable of sliding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econd motion), 3) Only the part that touches the arm is rotatable (third motion), and 4) can be rotatably operated as a whole (fourth motion). According to thi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user's arm and provide comfor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In the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
40: 보조 어셈블리 42: 하부 유닛
44: 중간 유닛 46: 상부 유닛
4404: 고정 결합부재 4406: 모션 결합부재
4240: 가이드 결합부재
1: 3D mo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auxiliary assembly 42: lower unit
44: middle unit 46: upper unit
4404: fixed coupling member 4406: motion coupling member
4240: guide coupling member

Claims (8)

사용자가 착석하는 하부 어셈블리 및 사용자의 팔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 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팔부분이 안착되는 상부 유닛;
상기 하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유닛;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중간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 결합부재;
상기 중간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가이드 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 결합부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중간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모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유닛은,
상기 하부 유닛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유닛의 상단보다 수평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의 중간 본체;
상기 중간 본체의 상단을 커버하는 중간 커버;
상기 중간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고정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 및
상기 중간 본체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홈으로 상기 모션결합부재가 결합되는 모션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는 상기 중간본체 또는 상기 중간 커버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 chair comprising a lower assembly on which a user sits and a pair of auxiliary assemblies connected to the lower assembly to support arms of the user,
At least one of the pair of auxiliary assemblies,
an upper unit on which a user's arm is seated;
a lower unit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an intermediate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 fixed coupling member for fixedly coupling the lower unit and the intermediat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 guide coupling member for fixing and coupling the intermediate unit and the upper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motion coupling member positioned apart from 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fixedly coupling the lower unit and the intermediat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The intermediate unit is
a flat plate-shaped intermediate bod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unit and having a larger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n an upper end of the lower unit;
an intermediate cover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body;
a fixed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fixed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a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and
And a motion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motion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a long groove formed by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The guide coupling member is a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body or the intermediate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중간 유닛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상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상부 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unit,
An upper body including a guide member rotatably fixed to the intermediate unit by the guide coupling member and a guide rail accommodating the guide member,
The guide member is a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along the guid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유닛은 상기 고정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 유닛에 대하여 제1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 유닛에 대하여 제2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션결합부는 상기 고정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각도로 연장된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uni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around 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the upper uni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unit around the guide coupling member,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ion coupling portion is formed as a long groove extending at the first angle around the fixed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에 고정 결합되는 조절커버;
상기 조절커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연결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레버;
상기 하부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연결부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의 내측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unit is
an adjusting cover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a lower body mov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cover;
a height adjustment lever including a lever connect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member,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disposed and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able to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by the lever connecting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레버는,
상기 하부 본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유닛과 결합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연결부는 상기 회동부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지지부에 탄성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4,
The height adjustment lever,
an upper cover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the intermediate unit;
a pivot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cover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al support and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gripped,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connection portion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so as to move as the rotation portion is rotated to mov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레버연결부와 접하여 배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커버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가능한 홈으로 형성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의 높이조절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 본체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5,
The height adjusting member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ever connecting portion and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The adjusting cover includes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med a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ing un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rrangements in one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units to fix the lower bod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ngle is a 3D mo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second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결합부재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는 상기 상하방향과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coupling member and the guide coupling member are 3D motion chair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230027411A 2023-03-01 2023-03-01 3D Motion Chair KR102560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411A KR102560676B1 (en) 2023-03-01 2023-03-01 3D Motion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411A KR102560676B1 (en) 2023-03-01 2023-03-01 3D Motion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676B1 true KR102560676B1 (en) 2023-07-27

Family

ID=8743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411A KR102560676B1 (en) 2023-03-01 2023-03-01 3D Motion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67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85Y1 (en) * 2004-06-07 2004-08-25 주식회사 퍼시스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chair arm rest
JP2005131234A (en) * 2003-10-31 2005-05-26 Okamura Corp Armrest device of chair
JP2005185620A (en) * 2003-12-26 2005-07-14 Okamura Corp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rmrest or the like of chair
KR101818052B1 (en) * 2017-04-27 2018-01-1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rmrest of chair
KR102356354B1 (en) * 2021-07-28 2022-02-0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rmrest for chai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234A (en) * 2003-10-31 2005-05-26 Okamura Corp Armrest device of chair
JP2005185620A (en) * 2003-12-26 2005-07-14 Okamura Corp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rmrest or the like of chair
KR200360285Y1 (en) * 2004-06-07 2004-08-25 주식회사 퍼시스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chair arm rest
KR101818052B1 (en) * 2017-04-27 2018-01-1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rmrest of chair
KR102356354B1 (en) * 2021-07-28 2022-02-0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rmrest for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US5195801A (en) Tiltable chair
EP2288275B1 (en) Adjustment device for chairs
US5352022A (en) Controlled deflection front lip for seating
JP2000079034A (en) Chair
JP2000079034A5 (en)
US11877973B2 (en) Massage ball assembly with separate tilting frame and massage chair with massage ball assembly applied
US11805905B2 (en) Chair for active engagement of user
CN107183977B (en) Seat tool
JP2003024175A (en) Support mechanism for backrest of chair
CN110742430A (en) Dynamic seat
KR102560676B1 (en) 3D Motion Chair
KR101300678B1 (en) Gliding type Tilting apparatus for chair and having it
CN110720775A (en) Inclination and elevation locking control device of dynamic tray
JP4181266B2 (en) Chair
KR102561429B1 (en) 3D Motion Chair
CN211092835U (en) Elastic support piece and linkage mechanism for seat
KR102558131B1 (en) 3D Motion Chair
KR102545154B1 (en) 3D Motion Chair
KR102585464B1 (en) 3D Motion Chair
KR102491240B1 (en) A chair with tilt function
EP3325312A1 (en) Movable armrest assembly
KR102616462B1 (en) 3D Motion Chair
CN110710815A (en) Dynamic tray
CN211092853U (en) Dynamic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