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549B1 -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549B1
KR102560549B1 KR1020220063491A KR20220063491A KR102560549B1 KR 102560549 B1 KR102560549 B1 KR 102560549B1 KR 1020220063491 A KR1020220063491 A KR 1020220063491A KR 20220063491 A KR20220063491 A KR 20220063491A KR 102560549 B1 KR102560549 B1 KR 10256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ushing nut
tub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락권
Original Assignee
최락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락권 filed Critical 최락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를 상호 유체연통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형의 락킹바디와, 락킹바디의 양측에 결합되는 푸싱너트, 락킹바디의 외주면과 푸싱너트의 내측 단부 사이에 개재된 스토퍼 링, 릭킹바디의 양 단부에 일체로 길이연장된 락킹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푸싱너트의 내주면에 배치된 압착링, 락킹바디의 중공홀부로 진입하는 튜브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푸싱너트의 내주면에 배치된 튜브클립, 및 튜브클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푸싱너트의 내주면에 배치된 튜브클립 지지링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압착링은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부가 접철 변형되어 튜브의 외주면에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Lock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2022년 1월 25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10810호에 의거하여 우선권 주장되었으며, 상기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기로는 작업자가 안전하고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으면서 신뢰할 수 있는 밀폐방법으로 기밀의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용접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 방식은 기밀 효과와 비용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용접 작업의 특성상, 작업환경이 실내에서 이루어져 화재의 위험이나 용접 때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며, 작업의 능률이나 효율성도 떨어진다. 초보자는 용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용접을 하기 위한 장비들이 많아서 장비 이동의 불편함과 좁은 공간이나 천장 등에서의 용접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배관을 연결하는 각종 장치가 제시되어 왔다.
종래 기술은 페럴이나 가압패킹이라고 불려지는 링을 튜브에 끼우고, 매개부재나 피팅바디의 양쪽으로 구성된 홀에, 페럴이나 가압패킹을 바디홀 안으로 밀어넣어, 페럴의 내주면이 튜브의 외주면과 기밀이 되는 한편 페럴의 외측면은 매개부재와 피팅바디의 내주면과 기밀된다.
이러한 페럴이나 가압패킹은 전술된 바와 같이 2곳을 기밀되게 유지해야 하는바, 페럴이나 가압패킹이 매개부재나 피팅바디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으면 패럴이나 가압패킹 내주면과 외주면의 기밀은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부품의 개수가 늘어나고 작업량이 많아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튜브 가이드나 바디 안쪽에 고무오링을 갖추고 임시 체결된 제품에 테이핑을 하는 등 여러 부속물이 많이 있어서 사용에 불편함이 크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6660호)은 페럴이 매개부재 안쪽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너트를 회전시키면, 너트가 패럴을 매개부재 안쪽으로 삽입시킨다. 페럴이 튜브를 물고, 튜브와 함께 매개부재 안쪽으로 삽입된다. 이때 바디 안쪽 중앙 부위에 튜브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만일 공간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나사는 회전하지 못하고 페럴은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튜브가이드와 같은 보조 도구가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추가적인 장비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7297호)도 피팅바디 양측으로 튜브 삽입시 튜브 길이를 맞추고자 홀 안 중앙 부위에 고무재질의 오링을 삽입한다. 이는 튜브를 삽입하고 나사를 회전시켜 조립하면 가압패킹이 튜브를 물고 피팅바디홀 안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튜브가 피팅 바디홀 안쪽으로 딸려 들어가는데 이렇게 되면 양쪽의 튜브가 피팅 바디홀 안쪽 중앙에서 서로 맞닿아 피팅이 체결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을 확보하려는 의도이기는 하나 고무재질의 오링은 양쪽 배관의 끝부위에 위치하고 있어 배관을 지나는 유체에 의해 경화되어 변형이 일어나서 고무재질의 오링의 부식으로 인한 고무 잔해물이 유체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덧붙여서, 임시 체결시, 가압패킹이 피팅 바디홀 안으로 무리하게 들어가 가압부에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너트와 피팅 바디를 테이프로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임시 체결시, 정확한 시점에 고정하지 못하고 작업자의 직감에 의해 임시 체결한 다음에 테이프를 발라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가압패킹의 변형을 방지하지 못하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66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7297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배관 연결시 용접 방식에서 탈피하여 예컨대 스패너 등의 공구를 통해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능률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적게 들고, 락킹부를 락킹바디에 일체로 구성하여 락킹부가 배관의 원주 둘레 전체를 직접 압박하여 밀폐하는 방식으로 배관의 1곳을 밀폐함으로써 기밀의 효과가 우수한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상호 유체연통하는 연결용 락킹장치에 있어서,
양측으로 튜브를 삽입하는 중공홀부를 갖춘 바디부와, 바디부의 양 단부에서 관축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락킹부, 바디부의 양 단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결속부, 및 바디부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향 돌출부를 구비한 중공형의 락킹바디와;
락킹바디의 양측에 결합되되, 외향 돌출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측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대응 결속부를 구비한 중공형의 푸싱너트; 및
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푸싱너트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락킹바디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내주면으로 한정된 관통홀을 구비한 압착링;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압착링은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부가 접철 변형되어 튜브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서, 푸싱너트는 대내경 관부와, 대내경 관부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대내경 관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소내경 관부, 및 대내경 관부와 소내경 관부의 결합 부위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락킹바디는 중공홀부의 내주면에 둘출 형성된 내향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락킹바디의 락킹부는 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V자 단면형상의 접철홈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압착링의 내측 단부에 인접한 내주면 둘레를 따라 락킹부의 자유단부에 걸림 배치될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압착링의 내주면을 락킹바디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호형상의 곡면으로 형성하되, 내측 단부에 인접한 내주면에는 굴곡이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본 발명은 락킹부의 외경을 압착링의 내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락킹바디의 외향 돌출부와 푸싱너트의 내측 단부 사이에 스토퍼 링을 추가로 개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 링은 환형상의 링 형상부와 링 형상부의 최외곽 둘레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향 돌출부의 양 측에 링 형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수용홈을 구비하고 한편 푸싱너트의 내측 단부에 링 형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푸싱너트의 내주면에 배치된 튜브클립 지지링과; 푸싱너트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압착링과 튜브클립 지지링 사이의 튜브 둘레에 결합되는 튜브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결속부는 수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대응 결속부는 결속부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배관 연결시 용접 방식을 탈피하여 스패너와 같은 공구에 위한 간단한 조임 작업으로 구현가능하게 구성되어, 작업의 능률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배관(튜브, 파이프 등)을 상호 기밀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락킹바디의 양 단부에 락킹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에 락킹부에 의해 배관의 외주면 1곳에서 전체 둘레를 따라 밀폐하는 방식을 통해 삽입된 배관의 형태와 관계없이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2곳 이상을 기밀하는 방식은 기체 혹은 유체 등의 기밀 누설이 생길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1곳만을 압착하여 밀폐하는 방식으로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락킹바디의 중공홀부 내로 삽입 수용된 배관을 위치고정하며, 락킹부는 압착 링에 의해 배관을 압착함으로써 락피팅시 배관의 움직임 없이 체결되어 별도의 다른 부품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가체결된 상태 하에서 락킹바디의 양 단부에 배관을 삽입한 후에 스패너 등의 공구로 푸싱너트를 볼팅방식으로 조이면서 배관을 압착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되어 누구나 쉽게 배관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퍼 링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착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의 가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의 본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의 요부에 거동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가체결 상태에서 락킹바디와 압착링의 배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b)는 본체결 상태에서 락킹바디와 압착링 간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응용한 것으로 (a)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배관을 연결하는 락킹장치에 대한 도면이고, (b)는 일측 배관은 나사로 연결하고 타측은 본 발명의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로 연결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응용한 것으로, (a)는 배관이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경우, (b)는 배관이 T자형으로 교차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로 연결한 도면이다.
도 10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응용한 것으로, 배관이 L자 형으로 교차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로 연결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시공의 편이성 및 우수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로 푸싱너트의 조임 결합에 의한 가압으로 락킹부를 튜브의 외주면 전체 둘레를 따라 긴밀하게 압착시켜 밀폐시키므로서 기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싱너트의 과도한 조임으로 인한 구성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중공(中空)형의 락킹바디(100)와, 락킹바디(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푸싱너트(400), 락킹바디(100)의 외주면과 푸싱너트(400)의 내측 단부 사이에 개재된 스토퍼 링(500), 릭킹바디의 양 단부에 일체로 길이연장된 락킹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된 압착링(300), 락킹바디의 중공홀부로 진입하는 튜브(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된 튜브클립(700), 및 튜브클립(7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된 튜브클립 지지링(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푸싱너트(400), 튜브클립 지지링(600), 튜브클립(700), 압착링(300), 및 스토퍼 링(500)은 락킹바디(10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되, 이하 설명에서는 대칭되게 마련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 하나의 구성부재에 대해서만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락킹바디(100)는 튜브(10)의 삽입과 함께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바디부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홀부(120)를 형성한 중공형 구조로 형성된다. 락킹바디(100)는 전술된 중공홀부(120)를 갖는 바디부(110;도 5 참조)와, 바디부의 양 단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결속부(140), 중공홀부(1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내향 걸림부(150;도 5 참조), 및 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외향 돌출부(160)를 구비한다. 결속부(140)는 푸싱너트의 조임 또는 풀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숫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었듯이, 내향 걸림부(150)는 중공홀부의 내부 중앙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한편 외향 돌출부(160)는 양 결속부(140) 사이에 위치된 바디부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외향 돌출부(160)는 내향 걸림부(140)와 대응되는 바디부의 외측 중앙에서 소정의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락킹바디(100)는 바디부(110)의 양 단부에서 관축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환형상의 락킹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락킹바디는 결속부와 락킹부를 중첩 배치되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푸싱너트와의 볼팅 체결과 락킹부의 접철 변형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락킹부(130)는 푸싱너트(400)를 조임 결합하면서 압착링(300)으로 가압되어 변형되는데, 소정의 외력으로도 락킹부의 자유단부를 튜브의 외주면을 향해 용이하게 접철 변형가능하도록 락킹부(13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접철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접철홈(131)은 도 5에 도시되었듯이 V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락킹부의 접철홈에서 접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푸싱너트(400)는 튜브(10)의 관통을 허용하고 락킹바디(100)의 양측에 결합가능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내주면에 단턱부(참조부호 없음)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내경 관부(참조부호 없음)와, 대내경 관부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대내경 관부에 연통되게 결합된 소내경 관부(참조부호 없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턱부는 대내경 관부와 소내경 관부의 결합 부위 내부 혹은 교차 부위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너트(400)의 대내경 관부는 락킹바디(100)의 외주면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이의 소내경 관부는 튜브(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푸싱너트(400)는 예컨대 락킹바디(100)의 외향 돌출부(160)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 결속부(440)를 형성되는데, 락킹바디의 결속부에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패너 공구를 이용하여 락킹바디(100)의 양 결속부(140)에서 회전가능하게 볼팅체결을 돕는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락킹바디(100)의 양측 외주면에 푸싱너트(400)의 볼팅체결시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 링(500;stopper ring)를 구비한다. 앞서 기술되었듯이, 스토퍼 링(500)은 락킹바디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되, 구체적으로 락킹바디(100)의 외향 돌출부(160)와 푸싱너트(400)의 대내경 관부 사이에 개재된다. 즉, 본 발명은 스토퍼 링(500)을 수단으로 하여 푸싱너트의 과도한 조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 링(500)은 락킹바디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환형상의 링 형상부(510)와 링 형상부(510)의 최외곽 둘레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520)를 구비한다. 푸싱너트의 조임시, 본 발명은 돌기부(520)에 의해 락킹바디의 외향 돌출부와 푸싱너트(400)의 내측 단부 간의 직접적인 접촉 기회를 미연에 차단하고, 푸싱너트(400)의 과도한 조임과 이에 따른 압착링(30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착링(300)에 의해 락킹부(130)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튜브의 기밀성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스토퍼 링은 푸싱너트의 조임력을 완충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서, 스토퍼 링(500)이 푸싱너트(400)의 조임시 락킹바디(100)의 외향 돌출부(160)와 푸싱너트(400)의 대내경 관부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향 돌출부(160)의 양 측면에 제1 수용홈(165)을 형성하는 한편 푸싱너트의 대내경 관부, 다시 말하자면 푸싱너트(400)의 내측 단부에 제2 수용홈(405)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1 및 제2 수용홈은 링 형상부(510)와 대응되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링 형상부의 안착을 돕는다. 예컨대, 링 형상부는 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게 제1 및 제2 수용홈은 반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푸싱너트의 조임 결합에 종속되어 락킹부의 접철 변형으로 튜브의 외주면 둘레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락킹바디(100)의 락킹부(130)에 면접하고 튜브(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환형상의 압착링(300)을 포함한다.
압착링(300)은 푸싱너트(400)의 대응 결속부(440)와 단턱부 사이에 배치되어(도 5 참조)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튜브(10)의 외주면 상에서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강제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압착링(300)은 푸싱너트의 조임방향(도 7(b)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부(130)에 압력을 가해 튜브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압착링(300)은 락킹바디에 대향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관통홀을 구비하는데, 관통홀은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호(弧)형상으로 곡면 처리된 내주면(310)으로 한정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관통홀은 후술될 안착홈(320)의 후단에서 인접한 내주면(310) 범위까지는 굴곡이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착링(300)은 내측 단부에 인접한 내주면 둘레를 따라 안착홈(320)을 배치한다. 도 5에 도시되었듯이, 안착홈(320)은 전개 상태에서 락킹부의 자유단부를 임시로 수용하고 걸리게 C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클립(700)은 락킹바디(100)의 중공홀부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10)를 락킹바디에서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구성부재로, 압착링(300)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어 락킹바디(100)의 중공홀부(120)와 안정적으로 동축선상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푸싱너트(400)를 스패너로 회전시켜 압착링(300)을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면, 튜브클립(700)은 푸싱너트(400)에 의해 밀려서 이동된 튜브클립 지지링(600)에 밀착되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튜브클립 지지링(600)은 튜브클립(700)과 튜브(10)의 진동 및/또는 충격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푸싱너트의 조임 결합에 의해 압착링(300)이 락킹부(130)의 외주면을 감싸고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부(130)는 접철 변형되어 튜브(10)를 압착하고 튜브클립 지지링(600)은 튜브클립(700)과 푸싱너트(400) 사이에 밀착되도록 끼워져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배관 연결시 양측으로 튜브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각 구성부재의 위치 결정과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가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가체결(임시조립)은 튜브(10)를 삽입 배치하기에 앞서 각 구성부재들, 구체적으로 락킹바디(100)와 푸싱너트(400)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락킹바디(100)의 외향 돌출부(160) 측면에 스토퍼 링(500)을 배치하고 푸싱너트(400)의 중공 내에 튜브클립 지지링(600), 튜브클립(700), 압착링(300)을 위치시킨 다음에, 푸싱너트(400)를 회전시켜 락킹바디(100)의 결속부(140)와 푸싱너트(400)의 대응 결속부(440)를 약간만 나사 결합하여 푸싱너트와 락킹바디를 가체결한다.
본 발명은 푸싱너트의 조임을 통해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압착링(300)을 강제로 이동하게 되는데, 락킹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된 락킹부(130)의 자유단부를 압착링(300)의 안착홈(320) 내에 걸림 배치될 때까지 가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락킹부의 외경은 압착링(300)의 내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한다. 락킹부(130)는 전개 상태로 길이연장되어 안착홈(320)에 락킹부의 자유단부를 수용하고 임시로 걸림 배치하는데(도 7(a) 참조), 이러한 걸림 배치를 통해, 푸싱너트와 락킹바디 간의 가체결 정도를 쉽게 가늠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압착링(300)의 내측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안착홈(320)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가체결하는 동안에 작업자가 푸싱너트(400)를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볼팅 체결하여 락킹바디(100)의 락킹부(130)를 불필요하게 접철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킹부가 락킹바디의 중공홀부(120) 중심을 향해 조금이라도 접철되면 중공홀부(120)의 양측으로 튜브의 삽입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갖는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작업의 편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체결 상태의 조립품으로 출고될 수 있다.
가체결 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체결 상태의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홀부(120)의 양측으로 각 튜브(10)를 삽입하고 푸싱너트(400)를 죄면서 본체결(조립 완결)하여 락킹부(130)에 위해 튜브(10)를 압착 기밀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튜브(10)가 락킹바디(100)의 중공홀부(120)의 양측으로 삽입되면서 튜브클립(700)을 압착링(300)의 외측 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튜브클립(700)은 중공홀부 내부로 진입한 튜브(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면서 중공홀부 내부에서 튜브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중공홀부(12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내향 걸림부(150)를 수단으로 하여 튜브의 삽입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킹장치는 2개의 튜브(10)를 유체연통하기 위해서 중공관 구조의 락킹바디(100)를 채용하는바, 유체의 원활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해 튜브(10)의 내경과 내향 걸림부(150)의 내경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튜브를 중공홀부 내에 삽입 배치한 다음에, 작업자는 스패너(미도시) 등의 공구를 통해 푸싱너트(400)를 조여 회전변위를 발생시켜 락킹바디의 외향 돌출부(160)를 향해 푸싱너트를 강제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푸싱너트(400)의 중공 내에 배치된 압착링(300)과 튜브클립 지지링(600)도 푸싱너트의 회전 변위에 종속되어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튜브클립(700)은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된 튜브클립 지지링(600)과 밀착되어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압착링(300)은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부(130)의 자유단부를 굴곡지게 곡면 처리된 내주면(310)과 면접된 상태로 가압하여 락킹부를 전개 상태에서 접철 상태로 굽힘 변형시켜 튜브(10)와 락킹바디(100)의 락킹부(130) 사이에 압착 기밀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와 면접하는 내주면(310)은 안착홈(320)의 후단에 인접한 범위까지 완만하게 굴곡되도록 곡면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락킹부의 접철 변형시 인가되는 초기 굽힘응력이 완만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락킹부(130)는 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V자 단면형상의 접철홈(131)을 통해 락킹부의 자유단부를 튜브의 외주면을 향해 접철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도 7(b) 참조), 락킹부의 자유단부가 튜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압착되기 때문에 튜브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로 인해 장시간 진동에 노출되어도 양호한 피팅 결속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퍼 링(500)은 락킹바디(100)의 외향 돌출부(160)와 푸싱너트(400)의 내측 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즉, 본 발명의 락킹장치는 푸싱너트의 조임시 락킹바디의 외향 돌출부와 푸싱너트의 내측 단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 링(500)의 돌기부(520)의 폭 크기만큼 락킹바디의 외향 돌출부와 푸싱너트의 내측 단부 사이에 이격 간격을 제공하면서 볼팅 체결할 수 있다. 이는 푸싱너트의 과도한 조임을 미연에 차단하여 락킹부(130)의 과도한 굽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킹부로 튜브에 무리한 압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면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배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를 적용할 수 있고, 도면 8(b)에서 보는 같이 일측(좌측) 배관을 나사로 연결하고 타측(우측) 배관의 연결은 본 발명과 같은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면 9(a)와 같이 배관이 십자형으로 교차되거나, 도면 9(b)와 같이 배관이 T자형으로 교차되는 경우, 또는 도면 10과 같이 배관이 L자 형으로 교차되는 경우의 배관 연결에서도 본 발명과 같은 배관연결용 락킹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푸싱너트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배관을 쉽게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싱너트의 과도한 조임 토크에 의한 구성부재들의 파손 위험을 배제시켜 기밀성과 함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튜브,
100 ----- 락킹바디,
110 ----- 바디부, 120 ----- 중공홀부,
130 ----- 락킹부, 131 ----- 접철홈,
300 ----- 압착링,
310 ----- 내주면, 320 ----- 안착홈,
400 ----- 푸싱너트,
500 ----- 스토퍼 링,
510 ----- 링 형상부, 520 ----- 돌기부,
600 ----- 튜브클립 지지링,
700 ----- 튜브클립.

Claims (12)

  1. 튜브를 상호 유체연통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있어서,
    양측으로 튜브(10)를 삽입하는 중공홀부(120)를 갖춘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 단부에서 관축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락킹부(13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양 단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결속부(14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향 돌출부(160)를 구비한 중공형의 락킹바디(100)와;
    상기 락킹바디(100)의 양측에 결합되되, 상기 외향 돌출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측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대응 결속부(440)를 구비한 중공형의 푸싱너트(400); 및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락킹바디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내주면(310)으로 한정된 관통홀을 구비한 압착링(300);을 포함하는데,
    상기 압착링(300)은 상기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락킹부(130)가 접철 변형되어 상기 튜브(10)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압착링(300)은 내측 단부에 인접한 상기 내주면(310) 둘레를 따라 상기 락킹부(130)의 자유단부에 걸림 배치될 수 있는 안착홈(3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2. 튜브를 상호 유체연통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있어서,
    양측으로 튜브(10)를 삽입하는 중공홀부(120)를 갖춘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 단부에서 관축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락킹부(13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양 단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결속부(14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향 돌출부(160)를 구비한 중공형의 락킹바디(100)와;
    상기 락킹바디(100)의 양측에 결합되되, 상기 외향 돌출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측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대응 결속부(440)를 구비한 중공형의 푸싱너트(400); 및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락킹바디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내주면(310)으로 한정된 관통홀을 구비한 압착링(300);을 포함하는데,
    상기 압착링(300)은 상기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락킹부(130)가 접철 변형되어 상기 튜브(10)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링(300)의 내주면(310)은 상기 락킹바디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호(弧)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되, 내측 단부에 인접한 내주면(310)에는 굴곡이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너트(400)는 대내경 관부와, 상기 대내경 관부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기 대내경 관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소내경 관부, 및 상기 대내경 관부와 상기 소내경 관부의 결합 부위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디(100)는 상기 중공홀부(120)의 내주면에 둘출 형성된 내향 걸림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디(100)의 락킹부(130)는 락킹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V자 단면형상의 접철홈(1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130)의 외경은 상기 압착링(300)의 내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8. 튜브를 상호 유체연통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에 있어서,
    양측으로 튜브(10)를 삽입하는 중공홀부(120)를 갖춘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양 단부에서 관축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락킹부(13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양 단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결속부(14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향 돌출부(160)를 구비한 중공형의 락킹바디(100)와;
    상기 락킹바디(100)의 양측에 결합되되, 상기 외향 돌출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측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대응 결속부(440)를 구비한 중공형의 푸싱너트(400); 및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락킹바디와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내주면(310)으로 한정된 관통홀을 구비한 압착링(300);을 포함하는데,
    상기 압착링(300)은 상기 푸싱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푸싱너트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락킹부(130)가 접철 변형되어 상기 튜브(10)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바디(100)의 외향 돌출부(160)와 상기 푸싱너트(400)의 내측 단부 사이에 스토퍼 링(500)을 추가로 개재하되, 상기 스토퍼 링(500)은 환형상의 링 형상부(510)와 상기 링 형상부(510)의 최외곽 둘레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5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향 돌출부(160)는 상기 링 형상부(5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수용홈(165)을 구비하고,
    상기 푸싱너트(400)는 상기 푸싱너트의 내측 단부에 상기 링 형상부(5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수용홈(40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된 튜브클립 지지링(600)과;
    상기 푸싱너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압착링(300)과 상기 튜브클립 지지링(600) 사이의 튜브 둘레에 결합되는 튜브클립(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40)는 수나사산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응 결속부(440)는 상기 결속부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KR1020220063491A 2022-01-25 2022-05-24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KR102560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10 2022-01-25
KR20220010810 2022-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549B1 true KR102560549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91A KR102560549B1 (ko) 2022-01-25 2022-05-24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860A (ja) * 1997-01-16 1998-07-31 Higashio Mec Kk 管継手
KR20150026660A (ko) 2013-09-03 2015-03-11 (주)로커스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20190117297A (ko) 2018-04-06 2019-10-16 (주)스마트락코리아 배관 연결 위치 결정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KR20210046307A (ko) * 2019-10-18 2021-04-28 유학현 피팅용 페럴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860A (ja) * 1997-01-16 1998-07-31 Higashio Mec Kk 管継手
KR20150026660A (ko) 2013-09-03 2015-03-11 (주)로커스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20190117297A (ko) 2018-04-06 2019-10-16 (주)스마트락코리아 배관 연결 위치 결정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KR20210046307A (ko) * 2019-10-18 2021-04-28 유학현 피팅용 페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8923B2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US6086118A (en)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RU2350824C1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US5593188A (en)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US20050023832A1 (en) Corrugated tube fitting
US3744825A (en) Tube joint coupling device
US7490866B2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KR20050054866A (ko) 파이프 조인트
KR20040045315A (ko) 관 조인트
US6764106B1 (en) Cold form hex shell
US20020151209A1 (en) Cable guide for a sealed box, and a sealing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KR101292919B1 (ko) 이음새 구조
KR102560549B1 (ko)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US11384874B2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JP4185161B1 (ja) 伸縮ユニオン継手及び流体移送配管系
US7591486B2 (en) Fluid connector
US9939091B2 (en) Modular pipe clamp
US11543060B2 (en) Pipe-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KR102243480B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US20210172552A1 (en) Anti-Rotation Locking Mechanism and System
JPS5833437B2 (ja) パイプの連結装置
EP1441167B1 (en) Coupling
JP2002039467A (ja) スリーブ型管継手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