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50B1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using bubb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0450B1 KR102560450B1 KR1020190088293A KR20190088293A KR102560450B1 KR 102560450 B1 KR102560450 B1 KR 102560450B1 KR 1020190088293 A KR1020190088293 A KR 1020190088293A KR 20190088293 A KR20190088293 A KR 20190088293A KR 102560450 B1 KR102560450 B1 KR 1025604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bubbles
- water
- air
- partitio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되, 상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복수의 기포발생홀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며, 구획판 상면에 필터부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우징 일면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및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설치하여, 급수관으로 하우징 내에 정해진 량의 물을 채워넣되, 송풍장치로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공기를 강제공급함으로써, 기포발생홀로 물과 공기가 동시에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오염공기를 수용한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를 필터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면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공기를 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포함한 기포를 필터부로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기포가 연속 분해되면서 소직경으로 변화되어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기포가 수면위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내의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공기중으로 공급되어, 대기중이나 혹은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bubbles, which includes a housing that receives water therein and has an air out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holes are formed in the housing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filter unit is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By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water and air are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hole at the same time, and bubbles containing the contaminated air are generated. The bubbles are continuously decomposed while moving along the filter unit, so that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is adsorbed to the water to purify the air in the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can be adsorbed to water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decompos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so that the fine dust in the bubbles can be removed, and the bubbles are continuously decomposed and changed to a small diameter to precisely remov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Purified air can be suppli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가 포함된 기포를 필터부로 통과시키면서 연속분해하되, 기포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 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which continuously decomposes air bubbles containing dust while passing through a filter unit, and purifies the air in the air bubbles by adsorb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bubbles to water.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속의 먼지나 매연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공기여과기나 공기세척기, 원자력 시설의 배기장치 등이 있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removing dust or soot in the air, and includes an air filter, an air washer, and an exhaust device for nuclear facilities.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먼지의 크기와 농도에 따라 선택되며, 보통, 여과재에 공기를 통과시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These air purifier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concentration of dust, and usually remove dust by passing air through a filter medium.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정화장치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통기구를 갖는 공기필터(예컨대, 헤파필터)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통과시켜 먼지를 걸러내는 방식으로 그 효율성이 낮고, 초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통기구를 극도로 미세하게 제작하여, 미세먼지 제거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필터의 면적이 매우 커지게 되고, 이에따라, 에너지 소모량 향상과 동시에 필터의 막힘 주기가 상승된다.Conventional general air purifiers filter out dust by forcibly passing air through an air filter (eg, HEPA filter) having a vent smaller than fine dust.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fine dust removal, the area of the filter becomes very large, and accordingly, the energy consumption is improved and the clogging cycle of the filter is increased.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상으로 벽면에 복수개의 공기유입부를 형성한 몸체상부와, 이 몸체상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그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몸체상부에 체결되는 몸체하부, 몸체의 상, 하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몸체의 상, 하부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하부 연결수단, 일단이 몸체 상부에 위치되되, 타단이 물에 침수되도록 몸체 하부에 위치된 미세기포발생부로 구성된다.Patent Document 1 shows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a conventional micro-bubble generator. Referring to this, an upp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s formed on a wall in a hollow shape, a lower body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receiving water therein and fastened to the upper body, and an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ans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to maintain a connectio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one end of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other end of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so as to be submerged in water. It consists of a bubble generator.
그리고, 상기 미세기포발생부의 상단에는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미세기포발생부로 공급되도록 강제하는 공기순환팬을 형성한다.An air circulation fan for forc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to be su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여기서, 미세기포발생부는 그 상단에 미세기포발생부공기유입부를 형성하고, 이 미세기포발생부공기유입부와 반대되는 하단에 미세기포발생부공기토출부를 형성한다.Here,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ir inle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ir discharge un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pposite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ir inlet.
즉, 공기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이 공기는 공기순환팬에 의해 미세기포발생부의 미세기포발생부공기유입부로 강제공급되고, 그 상태에서 미세기포발생부에 안내되어 미세기포발생부공기토출부를 통해 수중내로 토출된다.That is, when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inlet, the air is forcibly su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air inlet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by the air circulation fan, and in that state is guid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and discharg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이때, 미세기포발생부공기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는 수중 내에서 기포를 생성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ir discharge unit generates bubbles in the water and allow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o be adsorbed to the water to remov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공기중에 포함되 미세먼지 중 일부가 물에 흡착되지 못한 상태로 수중 내에서 생성되는 기포내에 잔류되고, 미세먼지가 포함된 기포가 수면 상으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내의 미세먼지가 공기중으로 방출되며, 이 기포내의 미세먼지가 방출되면서 공기가 재 오염되어 공기 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공기정화장치 주변 또는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기관지에 이상이 발생되며, 공기정화장치의 정화기능 저하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some of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remains in bubbles generated in water in a state that is not adsorbed to water, and in the process of bubbles containing fine dust rising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bursting, fine dust in the bubbles is released into the 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되, 상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상면에 복수의 기포발생홀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며, 구획판 상면에 필터부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우징 일면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및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설치하여, 급수관으로 하우징 내에 정해진 량의 물을 채워넣되, 송풍장치로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공기를 강제공급함으로써, 기포발생홀로 물과 공기가 동시에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오염공기를 수용한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를 필터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면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housing that accommodates water therein, but has an air out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forms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hol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p and down. Install a partition plate, form a filter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at an angle at an angle, install a blower for supplying air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By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with a blower, water and air are simultaneously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hole to generate air bubbles containing contaminated air, and continuously decompose while moving the bubbles along the filter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상기 하우징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llow shape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and having an air outle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arti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hol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in the shape of a plate material,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 filter uni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and continuously decomposing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hole and rising upward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a blower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supplying polluted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formed with a water supply valve on the outer surface, and supplying wate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 벽면에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llu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s further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벽면 상, 하단 각각에 상기 하우징 내의 물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관의 급수밸브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water supply valv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opened or closed by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wall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타면에 상기 하우징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 외면에 상기 오염도측정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출관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as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housing on the other side, and a control valve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to control whether the discharge pipe is opened or closed by receiving the pollu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signal.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관은, 상기 하우징 타면에서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 pair symmetrically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장치 및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수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걸림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further forms an extension tank connecting the blower and water supply pipe and the housing, and between the extension tank and the housing, a foreign matter catching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tank and the housing to block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from entering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상향경사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필터부는 상향경사진 상기 구획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plate is formed in an upwardly inclined shape so that its height is relatively hig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wardly inclined partition plate.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기포를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내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is adsorbed to water while continuously decomposing the bubbles.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판재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일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를 분해하는 분배돌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includes: a plate-shaped support plate; Distribu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decomposing bubbles moving in an upwardly inclined direction along the suppor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분배돌부는, 상, 하로 서로 지그재그 구조를 이루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그 사이가 분해된 기포를 통과시키도록 정해진 거리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protrusions of the filter unit are formed continuously so as to form a zigzag structure from top to bottom,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ass the decomposed air bubbles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분배돌부는, 상광하협 구조의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protrusion of the filt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with an upper and lower narrow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계면활성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rfactant in water accommodat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포함한 기포를 필터부로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기포가 연속 분해되면서 소직경으로 변화되어 기포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기포가 수면위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내의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공기중으로 공급되어, 대기중이나 혹은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필터부가 수중에 침수되어 있어 필터부에 먼지가 끼일 우려가 없고, 물의 오염상태를 확인한 후 물을 교체하는 단순 작업후 공기정화장치 기능을 수행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can be adsorbed to water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decompos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so that the fine dust in the bubbles can be removed, and the bubbles are continuously decomposed and changed to a small diameter to precisely remov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Purified air can be supplied. In particular, since the filter part is submerged in water, there is no risk of dust getting into the filter part, and maintenance costs are reduced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n air purifier after a simple operation of checking the water contamination state and then replacing the wat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구획판에 필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unit is installed on a partition plate of an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101)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상기 하우징(100) 내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는 상기 필터부(300)를 수중에 침수시킬 수 있는 수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정해진 량의 물을 수용한다.The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벽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센서(100a)를 더 형성한다.The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는 물의 오염농도가 정해진 오염농도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그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The contamination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벽면 상, 하단 각각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100b)를 더 형성한다.The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 수위가 정해진 높이 이하로 낮아진 것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밸브(500a)를 개방하고, 또한, 물 수위가 정해진 높이 이상으로 높아진 것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밸브(500a)를 폐쇄한다.The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중 하단에 위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는 상기 급수밸브(500a) 및 상기 제어밸브(102a)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102a)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500a)를 개방한다.The water
상기 하우징(100)은 타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02)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101) 외면에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출관(101)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밸브(102a)를 더 형성한다.The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는 물의 오염농도가 정해진 오염농도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배출관(102)의 제어밸브(102a)가 개폐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밸브(102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배출관(10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The contamination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관(101)은 상기 하우징(100) 타면에서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배출관(101)중 상단에 위치된 배출관(102)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수면에 부양된 오염물질과 물을 동시에 배출하고, 하단에 위치된 배출관(102)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바닥면에 침수된 오염물질과 물을 동시에 배출한다.The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송풍장치(400) 및 급수관(5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103)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수조(103)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는 상기 송풍장치(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걸림돌기(103a)를 더 형성한다.The
상기 이물질걸림돌기(103a)는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물질(예컨대, 머리카락, 비닐봉지등)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foreign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계면활성화제를 더 포함하여, 기포(B)분해시 분산되는 먼지 흡착력이 상승된다.The
구획판(200)은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20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한다.The
상기 기포발생홀(201)은 상기 하우징(100) 하부에 수용된 물과 상기 송풍장치(40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기포(B)를 발생시켜 이 기포(B)가 상기 필터부(300) 방향을 향해 직상방으로 상승하도록 안내한다.The
상기 구획판(20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상향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구획판(200)은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필터부(300)가 일렬 배치되도록 고정하여, 복수개의 상기 필터부(300) 방향으로 동시에 기포(B)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필터부(300)는 상기 구획판(200)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B)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한다.The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에 침수된다.The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기포발생홀(201)을 통해 직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상기 필터부(300)는 기포(B)를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B)내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한다.The
상기 필터부(300)는 판재형상의 지지판(301)과, 상기 지지판(301) 일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B)를 분해하는 분배돌부(302)를 더 형성한다.The
상기 필터부(300)의 분배돌부(302)는 상, 하로 서로 지그재그 구조를 이루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그 사이가 분해된 기포(B)를 통과시키도록 정해진 거리 이격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부(300)의 분배돌부(302)는 상광하협 구조의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송풍장치(400)는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한다.The
상기 송풍장치(400)는 상기 연장수조(103)와 연결되어,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물을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 방향으로 밀어넣음과 동시에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공급한다.The
상기 송풍장치(400)는 실내의 오염공기 또는 대기중의 오염공기를 상기 하우징(100)으로 공급한다.The
급수관(500)은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500a)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한다.The
상기 급수관(5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도록 물을 연속 공급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필터부(300)를 수중에 침수시킨다.The
상기 급수밸브(500a)는 하우징(100)의 수위감지센서(100b)와 연결되고, 상, 하단에 위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에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개폐작동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The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하우징(100)과 연결된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를 개방하고, 이 급수관(500)을 통해 하우징(100) 내로 물이 연속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도록 한다.First, the
이때,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측 벽면 상단에 설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에 감지되면, 이 수위감지센서(100b)가 상기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급수밸브(500a)가 폐쇄되어 상기 급수관(500)이 차단된다.At this tim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into the
여기서, 상기 급수관(5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급수관(5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103)에 연결되어 있고, 이 연장수조(103) 내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물이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밀려 상기 하우징(100)으로 연속 공급되는 것이다.Here, the
즉, 상기 연장수조(10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정해진 수위에 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정해진 량의 물이 공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That is, the water supplied into the
이후, 송풍장치(400)를 구동시켜 대기중의 오염공기 또는 실내공간의 오염공기를 상기 연장수조(103) 내로 강제 공급하게 되면, 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장수조(103) 내의 물이 밀려나면서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Then, when the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공기압력에 의해 상기 구획판(200)의 기포발생홀(20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기포발생홀(200)로 공기와 물이 동시에 통과되면서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기포(B)가 생성된다.The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된 기포(B)는 상기 필터부(300) 방향을 향해 직상방으로 치솟아 오른후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필터부(300)의 지지판(301)에 충돌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bubbles B generated in the
여기서,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B)는 역삼각 형상의 분배돌부(302)에 충돌되어 상기 분배돌부(302)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분해되고, 이때, 기포(B)내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가 물에 흡착되면서 기포(B)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Here, the bubbles B moving along the
이후, 서로 분해된 기포(B)는 상기 분배돌부(302) 사이를 통과하고,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른 상기 분배돌부(302)에 충돌되면서 상기 분배돌부(302)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분해된다.Thereafter, the mutually decomposed air bubbles (B) pass between the
즉,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B)는 상기 지지판(301)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배돌부(302)에 연속적으로 충돌되면서 분해되어,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짐과 동시에 분해되는 과정에서 기포(B)내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가 물에 흡착되어 기포(B)내의 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That is, the bubbles B moving along the
그리고,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의 물 수면위로 기포(B)가 상승되면, 기포(B)가 터지면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분산되고, 이 하우징(100) 상부로 분산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101)를 통해 대기중 또는 실내공간으로 공급되어 오염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Then, when bubbles B ris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부(300)에서 공기를 정화하게 되면, 오염물질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의 수면으로 부양되거나 혹은 물에 침수되어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is purified by the
이때,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오염도측정센서(100a)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 오염도를 연속하여 측정하고, 만약,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 오염도가 정해진 오염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오염도측정센서(100a)가 상기 제어밸브(102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밸브(102a)를 개방한다.At this time, the pollution
그러면, 상기 제어밸브(102a)에 의해 개방된 배출관(10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상기 배출관(102) 중 상단에 위치된 배출관(102)을 통해 수면에 부양된 오염물질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오염물질이 하단에 위치된 상기 배출관(102)을 통해 배출된다.Then, the water in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이 배출되면서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이때, 물의 수위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 하단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00b)에 감지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100b)가 상기 제어밸브(102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배출관(102)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500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급수관(500)을 개방한다.In addition, as the water in the
이후, 개방된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상기 연장수조(103)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연장수조(103)의 물은 상기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밀려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다.Thereafter, water is supplied to the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로 물이 연속 공급되어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측 벽면 상단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00b)가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밸브(500a)를 차단하는 것이다.In additio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into the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청결한 상태의 물이 공급되고, 이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송풍장치(400)로 공기를 강제 공급하면, 상기 기포발생홀(201)을 통해 기포(B)를 생성하되, 이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면서 기포(B)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한다.Then, water in a clean state is supplied into the
상기와 같이 구획판(200)의 기포발생홀(201)에서 먼지가 포함된 기포(B)를 생성하되, 이 기포(B)를 필터부(300)에서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B)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기포(B)를 필터부(300)로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기포(B)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여, 기포(B)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기포(B)가 연속 분해되면서 소직경으로 변화되어 기포(B)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기포(B)가 수면위로 상승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기포(B)내의 정화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01)를 통해 공기중으로 공급되어, 대기중이나 혹은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bble B containing dust is generated i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The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100 : 하우징 100a : 오염도측정센서
100 : 수위감지센서 101 : 공기배출구
102 : 배출관 102a : 제어밸브
103 : 연장수조 103a : 이물질걸림돌기
201 : 기포발생홀 200 : 구획판
300 : 필터부 301 : 지지판
302 : 분배돌부 400 : 송풍장치
500 : 급수관 500a : 급수밸브
B : 기포100:
100: water level sensor 101: air outlet
102:
103:
201: bubble generating hole 200: partition plate
300: filter unit 301: support plate
302: distribution protrusion 400: blower
500:
B: Bubbles
Claims (12)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20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200);
상기 구획판(200)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B)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300);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400);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500a)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500);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송풍장치(400) 및 급수관(5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수조(103)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수조(103)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는 상기 송풍장치(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걸림돌기(103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 housing 100 having a hollow shape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and having an air outlet 101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holes 201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shape of a plate material, and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into upper and lower parts. Partition plate 200;
A filter unit 300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200 and continuously decomposing the bubbles B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hole 201 and rising upward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B;
a blower 400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supplying contaminated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A water supply pipe 500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water supply valve 500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supply wate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The housing 100 further forms an extension water tank 103 connecting between the blower 400 and the water supply pipe 500 and the housing 100, and between the extension water tank 103 and the housing 100, a foreign matter catching protrusion 103a is further formed to block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400 from entering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100. An air purifier using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 벽면에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센서(100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100,
An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a contamination level measuring sensor (100a) for measuring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벽면 상, 하단 각각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물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관(500)의 급수밸브(500a)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100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100,
A water level sensor 100b for controlling whether the water supply valve 500a of the water supply pipe 500 is opened or closed by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100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s, respectively. Air purifier using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기포발생홀(20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판(200);
상기 구획판(200) 상면에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홀(201)에서 생성되어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기포(B)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기포(B)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300);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400);
상기 하우징(100) 일면에 연결 설치되고, 외면에 급수밸브(500a)를 형성하여,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500);
상기 구획판(20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상향경사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필터부(300)는 상향경사진 상기 구획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 housing 100 having a hollow shape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and having an air outlet 101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holes 201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shape of a plate material, and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into upper and lower parts. Partition plate 200;
A filter unit 300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200 and continuously decomposing the bubbles B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hole 201 and rising upward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B;
a blower 400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supplying contaminated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A water supply pipe 500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water supply valve 500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supply water to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10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The partition plate 200 forms an upwardly inclined shape so that its height becomes relatively hig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300 is formed in a plurality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wardly inclined partition plate 200.
상기 필터부(300)는,
기포(B)를 연속 분해하면서, 기포(B)내에 포함된 먼지가 물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7,
The filter unit 300,
An air purifier using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bubbles (B) is adsorbed to water while continuously decomposing the bubbles (B).
상기 필터부(300)는,
판재형상의 지지판(301)과;
상기 지지판(301) 일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따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B)를 분해하는 분배돌부(302);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7,
The filter unit 300,
a support plate 301 in the form of a plate member;
distribution protrusions 302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0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dissolving bubbles B moving in an upwardly inclined direction along the support plate 301;
An air purifier using air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293A KR102560450B1 (en) | 2019-07-22 | 2019-07-22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293A KR102560450B1 (en) | 2019-07-22 | 2019-07-22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189A KR20210011189A (en) | 2021-02-01 |
KR102560450B1 true KR102560450B1 (en) | 2023-07-27 |
Family
ID=7457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8293A KR102560450B1 (en) | 2019-07-22 | 2019-07-22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04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31336B (en) * | 2022-06-08 | 2023-06-20 | 以马内利(深圳)健康水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oxygen ion air according to waterfall princip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6545A (en) | 2000-03-29 | 2001-10-09 | Matsuo Sato | Exhaust gas filter device for car |
KR200413034Y1 (en) * | 2006-01-12 | 2006-04-05 | 원인호 | Underwater air purifier |
KR101540392B1 (en) | 2014-09-23 | 2015-07-3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9188A (en) | 2014-11-18 | 2016-05-26 | 주식회사 바이오메카 | Air cleaner with micro bubble generator |
KR101921859B1 (en) * | 2018-04-05 | 2018-11-23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Ozone-free Plasma Air-Purifier |
-
2019
- 2019-07-22 KR KR1020190088293A patent/KR1025604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6545A (en) | 2000-03-29 | 2001-10-09 | Matsuo Sato | Exhaust gas filter device for car |
KR200413034Y1 (en) * | 2006-01-12 | 2006-04-05 | 원인호 | Underwater air purifier |
KR101540392B1 (en) | 2014-09-23 | 2015-07-3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189A (en) | 2021-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28348A (en) |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gas slugs and global aeration | |
US9580335B2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orporating walnut shell filter media and a draft tube system | |
US9815027B2 (en) | Gas scouring apparatus for immersed membranes | |
KR101999165B1 (en) | Chemical solution cleaning devic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 |
KR102052851B1 (en) | Air purifiers using raindrops | |
KR102560450B1 (en)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
KR20140111751A (en) | Air Cleaner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 |
KR102229357B1 (en) | Air purifier for paint booth | |
KR20200045940A (en) | Air cleaner | |
KR101417868B1 (en) | A fountain device | |
KR20170115421A (en) | Micro-bubbling Diffraction Scrubber | |
KR102091861B1 (en) |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
KR101741368B1 (en) | Foam removing device | |
KR20170129580A (en) | Scrubbing air purifier | |
KR101902411B1 (en) | Self-cleaning waste gas scrubber | |
RU2524601C1 (en) | Apparatus for reagentless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of water | |
RU2503483C2 (en) | Us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process | |
CN109059125B (en) | Photocatalysis water filters formula air purifier | |
KR20100082101A (en) | Refreshing system absorption liquid using micro-bubble | |
KR101848790B1 (en) | Self-cleaning waste gas scrubber | |
KR100761457B1 (en) | Sedimentation apparatus | |
KR20210026167A (en) | Pressurized floating device using micro bubble generator | |
KR200209804Y1 (en) | Pressurized Flot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219864B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airfloatation in the river | |
CN212008545U (en) | Water quality sensor flow-through cell with sediment floating and siphon blowdown func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