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392B1 -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 Google Patents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392B1
KR101540392B1 KR1020140126923A KR20140126923A KR101540392B1 KR 101540392 B1 KR101540392 B1 KR 101540392B1 KR 1020140126923 A KR1020140126923 A KR 1020140126923A KR 20140126923 A KR20140126923 A KR 20140126923A KR 101540392 B1 KR101540392 B1 KR 10154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water
polluted
contamin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우
이우형
이연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3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3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oluble bad smell reducing device using an effective microbe, comprising: a box type housing which is filled with an effective microbe culture medium; an air inlet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housing and introduces contaminated air; a contaminated air purific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upper end of the air inlet and has a plurality of porous baffles formed therein; a multi-disk shaped cylinder filter unit which is located on an upper end of the contaminated air purification unit, dissolves the contaminated air therein, and attaches or absorbs a formed impurity; and an outlet which discharges the air generated on an upper end of the box type housing to the outside. Accordingly, provided is the water-soluble bad smell reducing device using the effective microbe,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water-soluble bad smell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an area nearby an industrial complex, and collects and decomposes a by-product to be purified.

Description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악취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의 수용성 악취를 효율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odor re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soluble mal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water-soluble odor of wastewater.

1980년대 중반 이후, 대기중에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악취를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 중 생물학적 처리기술이 유럽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오염된 공기로부터 VOCs나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은 대기오염부분에서 주요 문제로 대두 되기 시작하였다. 생물학적 처리기술(Biofiltration)은 반응기 내부를 미생물막이 구비된 충전물로 채우고 오염된 공기를 상기 충전물질을 통과시켜 오염물질이 미생물막으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생물에 의해 산화분해시키는 기작에 의해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기술이다.Since the mid-1980s, a variety of biological treatment techniques have been undertaken in Europe,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odors emitted in the atmosphere. Since the 1990s, VOCs and odors have been removed from contaminated air Technology has become a major problem in the air pollution sector. Biofiltration purifies polluted air by means of a mechanism that fills the inside of the reactor with a packing with a microbial membrane and allows polluted air to pass through the packing material so that the pollutant diffuses into the microbial membrane, Technology.

생물학적 제거법은 VOCs를 처리하는 기존의 소각법, 활성탄 흡착법 등의 물리화학적처리기술보다 시설비 및 운전비가 저렴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적용범위가 넓으며 대용량, 저농도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기술로 알려져 왔다.The biological removal method is more economical and has a wider application range because it is cheaper than the physicochemical treatment technology such as the conventional incineration method and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method for treating VOCs, and is very useful technology for purifying polluted air generated at a large capacity and low concentration .

역사적으로 1960년대부터 이용된 초기의 바이오필터로서는 토양층에 오염된 공기를 주입하여 토양 흡착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토양상(soil bed)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VOCs 및 악취의 제거에 있어 90%이상 제거하는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토양상은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고 높은 압력손실 및 토양층 내부에 균등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Historically, as early biofilters used since the 1960s, soil beds have been used in which contaminated air is injected into the soil bed and removed by soil adsorption and soil microbes. This method is effective in eliminating VOCs and odors by more than 90%, but the soil image requires a large site and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of supplying high pressure loss and uniform air inside the soil layer.

1980년대 이후, 바이오필터의 충전재로 퇴비, 피트(peat), 수피(wood bark), 등의 유기 재료들이 악취 및 VOCs의 처리에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유기성 충전재는 높은 물리적 흡착, 양호한 수분 보유력으로 인해 높은 제거 효율을 가지고 있으나, 미생물에 의해 충전재 자체가 분해되고 무기화로 압밀되어 충전재층으로 공기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지않는 단점이 있다.Since the 1980s, organic materials such as compost, peat, wood bark, etc. have been mainly used for the treatment of odor and VOCs as a filler of biofilters. However, these organic fillers have a high removal efficiency due to high physical adsorption and good moisture retention,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microbes decompose the filler itself and are consolidated by means of the mineralization to keep the air flow constantly to the filler layer.

이와 같은 단점 때문에 유기성 충전재는 1년 정도마다 교환되거나 재배치해 주어야 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유기성 충전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퇴비, 피트 등의 유기물질과 플라스틱, 펠렛 타입의 활성탄, 세라믹 등의 무기성 물질을 혼합하여 바이오필터의 효율을 개선하고자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Because of these disadvantages, the organic filler should be replaced or relocated about once a year to maintain the treatment efficiency.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iofilters by mixing organic materials such as compost, pit, etc. with inorganic materials such as plastic, pellet type activated carbon, and ceramics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such organic fillers.

VOCs를 유기물을 충전재로 사용하는 기존의 바이오 필터로 처리할 경우 미생물들을 VOCs를 분해하여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미생물이 성장하기 때문에, 충전재로 부착하여 과도하게 성장할 경우 과잉의 미생물(biomass)이 충전재의 공극을 막아 압력손실이 유발되어 처리풍량이 줄어들고 처리효율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제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세류식 기체 바이오 필터(trickling air biofilter)에서도 이러한 과도하게 성장하는 잉여 미생물 증식에 의한 과다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의 Soriel 등(1997)은 NaCl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고안했으나 결국 미생물의 생육에 장애가 발생하고 처리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When VOCs are treated with a conventional biofilter using organic materials as a filler, the microorganisms are decomposed and used as a carbon source to decompose the VOCs. Therefore, when the microorganisms adhere to the filler and grow excessively, excess microorganisms (biomass) The pressure loss is caused,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air volume and lowering the treatment efficiency,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removal efficiency. In the trickling air biofilter, too much pressure loss is caused by the excessive growth of surplus microorganis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S Soriel et al. (1997) designed a method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y using NaCl, but eventually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was obstructed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was drastically reduced.

또한 무기성 악취물질인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메틸메르캅탄 등의 황유황계와 암모니아 등의 질소계 성분의 경우 과다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막힘현상은 큰 문제는 없지만 반응기의 상부와 하부에 균질한 미생물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율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lfurous substances such as hydrogen sulfide, sulfur sulfide, methyl sulfide, methyl mercaptan, etc., and inorganic nitrogenous substances such as ammonia, clogging due to excessive microbial growth is not a serious problem, Maintaining one microbial concentr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increase efficiency.

그리고, 산업단지 지역 인근에 위치한 주택지구의 경우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 및 폐수 등으로 인해 많은 악취가 분산되어 지고 있어 생활에 큰 지장과 어려움을 주고 있다. 현재에는 산업체 차원에서는 외부 유출 오염공기에 대하여 정화필터를 사용하여 차단은 하고 있으나 고체형의 소모품 필터의 교체를 자주 해주지 않고 있으며, 주택자들의 측면에서는 대기오염에 대한 아무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a residential area located near the industrial complex area, many odors are dispersed due to contaminated air and wastewater discharged from factories, which is a great obstacle and difficulty in life. At present, at the industrial level, the pollutants that are polluted by external pollutants are blocked by using a purifying filter, but they do not frequently replace the consumable filters of solid type. In the case of the residents, there is no measure against air pollution.

그러므로, 생활 속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친환경 유효미생물을 활용하여 산업 단지 및 오폐수 처리 장치 주위로 배출되는 오염공기 중에서 수용성 악취를 선행적으로 저감시켜 배출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water soluble odor in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 and the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utiliz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effective microorganisms at low cost in daily life.

특히,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 및 악취 중에서는 물에 용해 가능한 수용성 기체도 포함되어져 있으며 대표적인 기체가 휘발성 악취가스의 질소계 암모니아(NH3)와 이산화탄소(CO2)가 있다. 이중 산화탄소의 경우는 그 자체로는 무취이지만 화학변화를 일으킬 경우 악취를 유발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Among polluted air and odor generated in industry, water-soluble gas which is soluble in water is also included. Representative gases include nitrogen-based ammonia (NH 3 ) and carbon dioxide (CO 2 ) as volatile odor gases. Double oxidized carbon is odorless in itself, but it may cause odor if it causes chemical change.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320065호(등록일자: 2013년10월14일)Korea Registration No. 10-1320065 (Registration date: October 14, 2013)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330321호(등록일자: 2013년11월08일)Korea Registration No. 10-1330321 (Registration date: November 08, 2013)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산업단지 인근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의 수용성 악취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기타 부산물을 포집하여 분해시켜 정화시킬 수 있는 유효미생물 용액을 이용한 악취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al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solution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water soluble odor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an industrial complex area and collecting and decomposing other by-products to purify I want to.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유효미생물 배양액이 채워진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최하단에 위치하여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다공성 배플이 형성된 오염공기 정화부; 상기 오염공기 정화부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오염공기가 용해되어 형성된 불순물을 부착 또는 흡착시키는 다단 디스크로 형성된 실린더 필터부; 상기 박스형 하우징 상단에 발생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한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box-shaped housing filled with an effective microorganism culture solution; An air inflow portion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housing to introduce polluted air; A polluted air purifi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ous baff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the air inlet; A cylinder filte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polluted air purifying unit and formed of a multi-stage disk for adhering or adsorbing impurities formed by dissolving the polluted air;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air to the outside of the box-shaped housing.

여기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단에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염공기 정화부로 이동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유입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하우징 하단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유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ir inflow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flow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allowing the inflow air to be moved to the contaminated air purifying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The air inflow portion is connected to an inlet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housing So that contaminated air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using a submerged pump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다공성 배플은,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교대로 수평하게 탈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배플이 넓이는 상기 하우징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plurality of porous baffles may be alternately horizontally removabl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the porous baffle may be smaller in area than the housing's cross-sectional area.

더하여, 상기 실린더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된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를 중심축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로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디스크와, 상기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로드를 회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메쉬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ylinder filter unit may include: a rotating ro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ircular disks which are installed to fix the rotating rod to a central axi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otating rod;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rod.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a mesh filter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발생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을 촉진하는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pump for sucking air gene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to promote discharge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산업단지 인근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의 수용성 악취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기타 부산물을 포집하여 분해시켜 정화시킬 수 있는 유효미생물 용액을 이용한 악취 저감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l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water-soluble odor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an industrial site and collecting and recovering by-products and decomposing them.

그리고, 기액접촉 시간을 늘리거나 지연시키고, 수용성 악취 공기가 용해되면서 생성되는 부산물 또는 다양한 불순물 등을 걸러내는 2차적 필터작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악취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게 된다.Further, a more efficient odor air cleaning apparatus is provided through the secondary filter action of increasing or delaying the gas-liquid contact time and filtering off byproducts or various impurities generated by dissolving the water-soluble odor air.

또한, 종래의 유기물을 충전재로 사용하는 바이오 필터와 달리, 미생물의 과잉생산에 따른 유효 미생물의 불균일 분포, 압력손실 및 효율저하의 문제를 개선하고, 유체의 원할하고 균일한 분포의 흐름을 유도하여 정화효율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Unlike conventional biofilters using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uneven distribu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pressure loss and efficiency reduction due to excessive production of microorganisms, to induce a flow of uniform and uniform distribution of fluids Thereby providing a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purific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의 구성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유입 플레이트 및 배플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실린더 필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itution of a water-soluble 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s of the inlet plate and the baffl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ylinder filter portion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water-soluble 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The expression "and / or" is used herein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Also,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in the specification as " comprises "or" comprising "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devices.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의 구성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유입 플레이트(250) 및 배플(310)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실린더 필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itution of a water-soluble 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 (a) shows a front view and Fig. 1 (b) shows a side view.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s of the inlet plate 250 and the baffle 310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ylinder filter portio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water-soluble 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는 유효미생물 배양액이 채워진 박스형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 최하단에 위치하여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200); 상기 공기 유입부(200)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다공성 배플(310)이 형성된 오염공기 정화부(300); 상기 오염공기 정화부(300)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오염공기가 용해되어 형성된 불순물을 부착 또는 흡착시키는 다단 디스크(410)로 형성된 실린더 필터부(4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00) 상단에 발생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4, the water-soluble odor reduction apparatus using an effective micro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shaped housing 100 filled with an effective microbial culture solution; An air inflow part 200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o introduce polluted air; A polluted air purifying part 300 having a plurality of porous baffles 3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the air inflow part 200; A cylinder filter unit 40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olluted air purifying unit 300 and formed of a multi-stage disk 410 for attaching or sucking impurities formed by dissolving the polluted air; And a discharge unit 500 for discharging air gene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ox-shaped housing 100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박스형 하우징(100)에 유효미생물 용액을 채운 후, 하단의 공기 유입부(200)를 통하여 산업현장 또는 다양한 오염공기 배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유입하고, 암모이나아와 같은 휘발성 가스 등 수용성 악취 가스가 상승하게 되면서, 오염공기 정화부(300) 및 실린더 필터부(400)를 통과하면서 생물학적 정화작용에 의해 정화한 후, 최상단의 배출부(500)를 통해 정화된 공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는 악취 저감장치를 제안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is filled in the box-shaped housing 100, contaminated air generated in an industrial site or various polluted air discharge areas flows through the air inlet part 200 at the lower end, The water soluble odor gas such as volatile gas rises and flows through the polluted air purifying unit 300 and the cylinder filter unit 400 and is purified by the biological purifying action and then purified through the uppermost discharging unit 500 Or a gas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담채 등을 통한 단순한 바이오 필터와 달리, 충분히 오염공기가 유효미생물 용액과 기액 접촉하여 미생물 배양과 정화작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오염공기 상승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다공성 배플(310)을 통과하면서 기액접촉 시간을 늘리거나 지연시키고, 하우징(100) 상단에서 다수개의 디스크(410)가 회동하는 원통형 실린더 필터부(400)에 의해 수용성 악취 공기가 용해되면서 생성되는 부산물 또는 다양한 불순물 등을 걸러내는 2차적 필터작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악취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게 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a simple biofilter through a conventional photocatalyst or the like and is sufficiently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of the polluted air so that the polluted air sufficiently contacts with the effective microorganism solution to promote microbial culture and purification action And the water-soluble odor air is dissolved by the cylindrical cylinder filter portion 400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ks 410 are rot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0, A secondary filter function that filters out byproducts or various impurities is provided to provide a more efficient odor air clean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유기물을 충전재로 사용하는 바이오 필터와 달리, 미생물의 과잉생산에 따른 유효 미생물의 불균일 분포, 압력손실 및 효율저하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유효미생물 용액과 오염공기가 혼합된 유체의 원할하고 균일한 분포의 흐름을 유도하여 정화효율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unlike the conventional biofilter using an organic material as a fill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problems of uneven distribu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pressure loss and efficiency reduction due to excessive production of microorganis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capable of inducing a uniform and uniform flow of a mixed fluid to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여기서, 공기 유입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형 하우징(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외부 오염 공기 유입부(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박스형 하우징(100) 하단 측면부에 외부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 하단 내부에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수중펌프(210)를 설치하여 외부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유입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air inlet 200 corresponds to the external contaminated air inlet 20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x-shaped housing 100, And an underwater pump 210 connected to the inlet port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to effectively introduce the polluted air.

박스형 하우징(100)에는 생물학적 공기정화를 위해, 유효미생물 용액을 채워져 있는데, 상기 공기 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공기는 기포 등을 형성하고, 기포의 비중으로 인해 유효미생물 용액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과정에서 오염공기 중 수용성기체와 유효미생물 용액에 용해되거나, 유효미생물 용액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일부 가스 물질을 분해시키면서 상승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작용이 일어나게 된다.The box-shaped housing 100 is filled with an effective microorganism solution for biological air purificatio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portion 200 forms bubbles or the like, and moves to the upper end of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due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ubbles . In this process, the contaminated air is dissolved in the water-soluble gas and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in the contaminated air, or the microbes existing in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decompose some gas substances.

공기 유입부(200)는, 수중펌프의 구동으로 외부의 오염공기가 빠르게 유입되어 공기의 흐름이 한쪽으로 쏠려 이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분산시키고 균일하게 분포시켜 상부로 확산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염공기 정화부(300)와 공기 유입부(200) 사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입 플레이트(250)를 설치한다.The air inflow part 200 has a possibility that the contaminated air from the outside flows quickly due to the driving of the submersible pump and the flow of the air moves to one side. Therefore, in order to disperse and uniformly distribute the air, An inflow plate 25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minated air purifying part 300 and the air inflow part 200.

유입 플레이트(250)는 공기 유입부(200)의 커버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공기 유입부(200)에 불균일하게 분포하여 이동하는 오염공기를 균일하게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통로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평평한 플레이트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오염공기 이동통로를 확보하고 상부로 균일한 분포 확산을 유도하게 되어, 넓은 면적에서 효율적인 기액접촉을 일으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inflow plate 250 performs a cover function of the air inflow part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inflow plate 250 uniformly distributes to the air inflow part 200 and serves as a path for uniformly moving the contaminated air, A large number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late to secure a polluted air transfer passage and to induce uniform distribution of diffusion to the upper portion, thereby enabling efficient gas-liquid contact in a large area, thereby improving purification efficiency.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부(200) 상단에는 유효미생물 용액을 통해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기액접촉 시간을 연장시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염공기 정화부(3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오염공기 정화부(300)는 다수개의 다공성 배플이 일정한 간격의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100) 양측면에 교대로 평행하게 부착된 구조로 형성된다.A contaminated air purifying unit 30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flow unit 200 for securing a space and prolonging a gas-liquid contact time so as to purify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The polluted air purifying part 3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orous baffles are attached in parallel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공성 배플(310)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은, 하우징(100) 하단의 공기 유입부(200)에서 유입 플레이트(250)를 통과하여 상승한 오염 공기의 기포는 빠르게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빠른 이동은 유효미생물 용액과의 반응 또는 접촉 시간이 짧아져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오염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배플(31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면, 오염공기 이동을 지연시켜 기액접촉 시간을 늘리고, 배플(310)이 통공으로 인하여 오염공기를 고르게 분포시켜 확산시킴으로써 기액접촉 면적을 넓혀 미생물 또는 화학 반응의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in which the porous baffle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assing through the inflow plate 250 from the air inflow part 200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The bubbles of the contaminated air that has risen rapidly move to the upper end. Since such a rapid movement has a problem that the reaction or contact time with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is shortened and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If the porous baffles 3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movement of the polluted air is delayed to increase the gas-liquid contact time, and the baffle 310 distributes and spreads the polluted air evenly due to the through- This is because the contact area can be wide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icroorganisms or chemical reactions.

그리고, 이와 같은 다수개의 배플(310)은 하단의 유입 플레이트처(250)럼 하우징(100) 단면 전체를 격벽처럼 장착하여 통공을 통하여 오염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플(310)의 단면적을 하우징(10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하여 하우징(100) 한쪽면에 배플(310)을 장착시키고 또 그 상단에 하우징(100)의 반대쪽 측면에 상기 배플(310)을 장착하여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플(310)을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하여 여유공간으로 둠으로써, 보다 오염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Such a plurality of baffles 31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housing 100 is installed as a partition wall through the lower inlet plate 250 so that contaminated air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1, The baffle 3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while the sectional area of the baffle 310 is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100 and the baffle 310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100 The baffles 310 are mounted in a zigzag fashion at regular intervals to make the air flow more smooth.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입 플레이트(250) 및 다공성 배플(310)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 플레이트(250) 및 다공성 배플(310)은 일정한 면적의 플레이트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통공을 통해 상승하는 오염공기를 원활하고 균일한 분포로 이동되도록 유도한다. 유입 플레이트(250) 및 배플(310)의 재질은 다양한 악취 오염공기와 유효미생물 용액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산성용액으로 부식하기 쉬어지므로 금속재질보다 플라스틱, 유리, 폴리머 등 비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2 illustrates the shape of the inlet plate 250 and the porous baffle 310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inlet plate 250 and the porous baffle 31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contaminated air ri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is guided to be smoothly and uniformly distributed do. Since the material of the inlet plate 250 and the baffle 310 is easily corroded by the acidic solution generated by reacting the odor-contaminated air with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metal material such as plastic, glass, or polymer Do.

이처럼, 종래에는 상기 오염공기 기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충분히 유효미생물 용액과의 기액접촉 시간을 확보하지 못해, 정화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00) 중단부에 위치한 오염공기 정화부(300)에 설치된 다수개의 다공성 배플(310)에 의해 오염공기 기포의 흐름을 지연시키고, 기액접촉 시간을 늘려 정화작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the polluted air bubbles rapidly rise, and the time for gas-liquid contact with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can not be sufficiently secured, thereby de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lay the flow of the polluted air bubbles by the plurality of porous baffles 310 installed in the unit 300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urifying action by increasing the gas-liquid contact time.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염공기 정화부(300) 상단에는 다단 디스크(410)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 필터부(400)가 설치되어 있다. 실리더 필터부는 오염공기 정화부(300)에서 유효미생물 용액과 충분히 반응하는 과정을 거친 후, 수용성 악취 공기가 용해되거나 충분히 미생물 반응을 하지 못한 부산물 또는 불순물을 걸러내어 충분히 유효미생물용액에 노출시켜 정화작용을 촉진하는 2차적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and 3, a cylinder-shaped cylinder filter unit 400 composed of a multi-stage disk 41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olluted air purifying unit 300. After the process of sufficiently reacting with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in the polluted air purifying part 300, the filter part of the culled filter purifies the byproducts or impurities which are dissolved in the water soluble odor air or can not sufficiently react with the microb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secondary filtering process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실린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로드(450)와, 상기 회전로드(450)를 중심축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로드(45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디스크(410)와, 상기 회전로드(45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로드(450)를 회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ylinder filter unit includes a rotating rod 45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100 and a rotating rod 450 fixed to a center axis of the rotating rod 450, A plurality of circular disks 410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rotary rods 450 and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100 to rotate the rotary rods 450 Do.

즉, 실린더 필터부(400)는, 회전로드(450), 다단 디스크(410) 및 회전모터로 구성하되, 회전로드(450)는 하우징(100)의 측면과 측면을 가로질러 상단부에 형성된 막대기형 바로서 회전축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회전로드(45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원형 디스크(410)가 상기 회전로드(450)를 축으로 다수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로드(450)의 일측에 회전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로드(450)를 회동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용성 악취의 용해과정에서 다양한 부산물을 부착시켜 2차적으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That is, the cylinder filter 400 includes a rotary rod 450, a multi-stage disk 410, and a rotary motor. The rotary rod 450 includes a rod- And a plurality of circular disks 410 are mounted on the rotary rod 4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rotary rod 450. The rotary rods 450 By rotating the rotary rod 450 by connecting a rotary motor to one side,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attaching various by-products more efficiently in the dissolving process of the water soluble odor.

또한, 실린더 필터 회동 구조는 오염공기 정화부(300)의 유체를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약 5 RPM 이하의 회동속도로 회전시켜 자연스럽게 상기 분산물을 다단 디스크(410)에 부착되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이는 유효미생물 용액에 용해된 부산물 및 화학결합물은 넓은 표면적을 가진 원통 디스크(410) 실린더 표면에 부착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유효미생물이 상기 다수개의 디스크(410) 표면에 부착된 유기물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용액의 2차 정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cylinder filter rotating structure smoothly moves the fluid of the polluted air purifying part 300 upward and rotates at a rotating speed of about 5 RPM or less to naturally attach the dispersion to the multistage disk 410 This is because the by-products and chemical bonds dissolved in the effective microbial solution tend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isk 410 having a large surface area. This enables the effective microorganisms to oxidize and decompose the organic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isks 410 to perform the secondary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solution.

배출부(500)는, 하우징 상단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하우징 내부 유효미생물 용액이 채워진 수위 상부 공간에 형성된 정화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배출부(500)에는 일반적인 먼지의 불순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메쉬필터를 설치하여 보다 깨끗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부(500)에 흡입 에어펌프를 장착하여, 실린더 필터부 상단에서 생성된 정화된 오염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discharge unit 500 forms a discharge port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serves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polluted air formed in the water level upper space filled with the effective microorganism solution inside the housing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ortion 500 may be provided with a mesh filter for physically removing impurities of general dust, so that cleaner and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suction air pump in the discharge portion 500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purified polluted air gene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filter portion.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ith it will know easily.

100: 박스형 하우징, 200: 공기 유입부, 250: 유입 플레이트
300: 오염공기 정화부, 310: 배플, 400: 실린더 필터부, 500: 배출부
100: box-shaped housing, 200: air inlet, 250: inlet plate
300: polluted air purifying part, 310: baffle, 400: cylinder filter part, 500:

Claims (8)

유효미생물 배양액이 채워진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최하단에 위치하여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다공성 배플이 형성된 오염공기 정화부;
상기 오염공기 정화부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오염공기가 용해되어 형성된 불순물을 부착 또는 흡착시키는 다단 디스크로 형성된 실린더 필터부;
상기 박스형 하우징 상단에 발생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A box-shaped housing filled with an effective microbial culture;
An air inflow portion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housing to introduce polluted air;
A polluted air purifi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ous baff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the air inlet;
A cylinder filte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polluted air purifying unit and formed of a multi-stage disk for adhering or adsorbing impurities formed by dissolving the polluted air;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gene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ox-shaped housing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단에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오염공기 정화부로 이동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유입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Wherein the inflow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the inflow air to move to the contaminated air purify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하우징 하단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And the contaminated air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using an underwater pump connected to the inle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공성 배플은,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교대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porous baffles,
Wherein the filter is detachably attachable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alternat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배플이 넓이는 상기 하우징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area of the porous baffle is small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된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를 중심축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로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디스크와,
상기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로드를 회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ylinder filter unit may include:
A rotating ro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ircular disks which are installed to fix the rotary rod to a central axis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tary rod,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rotary rod to be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ry ro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메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discharge portion
An outle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a mesh filter mounted on the discharge po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발생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을 촉진하는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charge unit further includes an air pump for sucking air gene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to promote discharge to the outside.


KR1020140126923A 2014-09-23 2014-09-23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KR101540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23A KR101540392B1 (en) 2014-09-23 2014-09-23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23A KR101540392B1 (en) 2014-09-23 2014-09-23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392B1 true KR101540392B1 (en) 2015-07-31

Family

ID=5387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923A KR101540392B1 (en) 2014-09-23 2014-09-23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3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4531A (en) * 2017-11-09 2018-03-06 南京爱特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For air purifier with the first level filtering device for intercepting filter screen
KR20210011189A (en) * 2019-07-22 2021-02-01 김대환 Air purifier using bubb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931A (en) * 2006-08-23 2008-02-27 주식회사 샤론테크 Foam filter for aquarium
KR100928886B1 (en) * 2009-02-26 2009-11-3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a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irty air clean-up system using bio filter
KR20110001637A (en) * 2009-06-30 2011-01-06 (주) 유니티엔씨 An air cleaner
KR20120000764A (en) * 2010-06-28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Cleaning device of flue ga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931A (en) * 2006-08-23 2008-02-27 주식회사 샤론테크 Foam filter for aquarium
KR100928886B1 (en) * 2009-02-26 2009-11-3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a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irty air clean-up system using bio filter
KR20110001637A (en) * 2009-06-30 2011-01-06 (주) 유니티엔씨 An air cleaner
KR20120000764A (en) * 2010-06-28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Cleaning device of flue ga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4531A (en) * 2017-11-09 2018-03-06 南京爱特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For air purifier with the first level filtering device for intercepting filter screen
CN107754531B (en) * 2017-11-09 2024-04-09 深圳市雪山洁净科技有限公司 Primary filter device with interception filter screen for air purifier
KR20210011189A (en) * 2019-07-22 2021-02-01 김대환 Air purifier using bubbles
KR102560450B1 (en) 2019-07-22 2023-07-27 김대환 Air purifier using bubb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59316Y (en) Plant-supported biological filtering air purifier
US64033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odors, and biogradable aerosol/particulates in air emissions
CN209763356U (en) Structure of photocatalytic air purifier
KR100827641B1 (en) Contact oxidation tank for waste water treatment
KR20060126021A (en) The offensive odor removal system which uses the maturing dead tree bark
CN106823679A (en) A kind of sewer harmful gas purifying device
KR101540392B1 (en)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KR100961452B1 (en) Biological filtr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and waste water treatment
CN208684701U (en) A kind of indegradable industrial effluent biochemical treatment system
KR101813843B1 (e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KR101481634B1 (en) A water management apparatus for aquarium
KR101675154B1 (en) Eco-friendly heliostat odor removal system
KR101431673B1 (en) Deodorizer Odor
CN210367325U (en) Multistage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648443B1 (en) Bio-tower
CN214088080U (en) Spraying type sewage treatment box
KR20050055650A (en) The process of hybrid system composed of tube-shaped photo-catalytic reactor and biofilter to eliminate vocs and malodor efficiently
CN101469553A (en) Recycling processing system for reclaimed water
CN210915742U (en) Continuous catalytic degradation device for industrial organic wastewater
CN215161483U (en) Heavy metal water prosthetic devices
KR100535833B1 (en) Air purifier for deodorization
CN208856995U (en) A kind of equipment of anaerobism, aerobic integratedization processing sewage
CN212548832U (en) Air self-cleaning device
CN210645578U (en) Flue gas purification tower for waste liquid incineration
CN217449638U (en) Biological deodor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