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48B1 -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48B1
KR102560448B1 KR1020220179573A KR20220179573A KR102560448B1 KR 102560448 B1 KR102560448 B1 KR 102560448B1 KR 1020220179573 A KR1020220179573 A KR 1020220179573A KR 20220179573 A KR20220179573 A KR 20220179573A KR 102560448 B1 KR102560448 B1 KR 10256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oil
distribution line
jumper
receiving portion
overhea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감리
Priority to KR102022017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 Or Oil Filled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금(10)과 아이쇄클(20), 현수애자(30), 전선연결유닛(40), 분기슬리브(50), 추락방지기구(60), 변압기(70), 누전감지센서(80), 절연유탱크(90), 순환펌프(100), 전환밸브(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가공배전선(L)의 이탈 및 가공배전선(L)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냉각된 절연유를 일정주기로(또는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변압기(70)의 발열로 인한 기능저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누전발생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 및 시설물관리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Overhead distribution line support device with branching function}
본 발명은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된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신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신주에서의 송·배전선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즉, 전신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송·배전선을 전신주의 상단 양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완금의 양측에서 애자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점퍼선은 완금의 상단에 설치되는 애자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가공전선을 매우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누전발생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작업자의 감전이 우려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9444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이탈 및 가공배전선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냉각된 절연유를 일정주기로(또는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변압기의 발열로 인한 기능저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누전발생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 및 시설물관리가 편리해지는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를 사이에 두고 전주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완금; 각각의 완금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쇄클아이를 구비하는 아이쇄클; 쇄클아이에 쇄클코터핀을 매개로 일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 현수애자의 단부에 애자코터핀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 및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전선연결유닛으로 구성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유닛 중 어느 하나는,
현수애자의 단부에 애자코터핀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는 애자연결구,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애자연결구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전면 일측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통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면 타측에는 가공배전선이 수용되는 배전선수용부가 형성되며, 통수용부와 배전선수용부 사이에는 점퍼선이 수용되는 점퍼선수용부가 형성되며, 통수용부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관 수용부가 형성되며, 통수용부의 일측에는 일단이 통수용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점퍼선수용부와 상호 연통되는 배출관 수용부가 형성되며, 점퍼선수용부를 기준으로 하부 양측에는 확장부가 형성된 제1바디,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제1바디의 전면에 맞대어져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통수용부와 배전선수용부, 점퍼선수용부, 유입관 수용부, 배출관 수용부 및 확장부에 각각 대응되는 통수용부와 배전선수용부, 점퍼선수용부, 유입관 수용부, 배출관 수용부 및 확장부가 형성되고, 배전선수용부와 점퍼선수용부에는 호형으로 함몰된 제1유동부와 제2유동부가 형성된 제2바디로 이루어진 커넥터와,
통수용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형광분말이 충진된 분말통,
분말통의 상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분말통과 상호 연통되며, 유입관 수용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유입관,
분말통의 상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분말통과 상호 연통되며, 배출관 수용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절연유와 함께 형광분말을 확장부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분말저장조와,
커넥터의 상부로 돌출되게 유입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구와,
제1유동부에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바디에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배전선수용부에 수용된 가공배전선을 가압고정하는 호 형상의 배전선고정구와,
제2유동부에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바디에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점퍼선수용부에 수용된 점퍼선을 가압고정하는 호 형상의 점퍼선고정구로 구성되고;
가공배전선과 분기선을 각각 감싸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외면에 연결고리가 마련된 S자 형상의 분기슬리브;
양단부가 분기슬리브의 연결고리에 설치되어 분기슬리브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절연재질의 간격유지바와, 양단부가 각각 완금과 간격유지바에 연결되어 완금과 간격유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절연재질의 연결바로 구성된 추락방지기구;
전주에 설치되어 컷아웃스위치를 매개로 분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 및 외면에 형성된 냉각판에 의해 냉각되며, 절연유가 유입 및 유출되는 변압기;
완금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해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센서;
완금에 설치되며 절연유가 저장된 절연유탱크;
변압기 내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압송하고, 절연유탱크의 절연유가 변압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압송하는 순환펌프;
순환펌프에 의해 압송된 절연유가 연결구 또는 변압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배출경로를 전환하는 전환밸브;
누전감지센서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순환펌프에 의해 압송된 절연유가 연결구를 통해 분말저장조로 유입될 수 있게 전환밸브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금과 분기슬리브를 추락방지기구를 매개로 상호 연결해 줌으로서 가공배전선의 이탈 및 가공배전선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된 절연유를 일정주기로(또는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변압기의 발열을 낮춰 줌으로서 발열로 인한 기능저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누전발생 유무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누전시 점퍼선 표면을 따라 형광분말과 절연유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신속한 유지보수 및 시설물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일부구성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전선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분기슬리브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일부구성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전선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분기슬리브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는, 완금(10)과 아이쇄클(20), 현수애자(30), 전선연결유닛(40), 분기슬리브(50), 추락방지기구(60), 변압기(70), 누전감지센서(80), 절연유탱크(90), 순환펌프(100), 전환밸브(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가공배전선(L)의 이탈 및 가공배전선(L)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냉각된 절연유를 일정주기로(또는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변압기(70)의 발열로 인한 기능저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누전발생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 및 시설물관리가 편리해지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완금(10)은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완금(10)의 일단부에는 상호 이격된 아이쇄클(20)이 고정수단(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금(10)의 외면(도 3 참조)에는 아이쇄클(20) 사이에 배치되는 호 형상의 고리(11)가 형성되며, 고리(11)에는 추락방지기구(60)의 연결바(6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금(10)에는 누전감지센서(80), 절연유탱크(90), 순환펌프(100) 및 전환밸브(11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쇄클(20)은 완금(10)과 현수유닛(30)을 상호 연결해주는 부재로서, 대략‘C’자 형상을 가지며, 완금(10)에 고정수단(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쇄클(20)의 일측에는 쇄클아이(21)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현수애자(30)는 아이쇄클(20)과 전선연결유닛(40)을 상호 연결하면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현수애자(30)의 일단부는 쇄클아이(21)에 결합되어 쇄클코터핀(3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현수애자(30)의 타단부는 전선연결유닛(40)의 애자연결구(41a)에 결합되어 애자코터핀(3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연결유닛(40)은 커넥터(41)와 분말저장조(42), 연결구(43), 배전선고정구(44) 및 점퍼선고정구(45)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현수애자(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고정 및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절연유와 형광분말이 점퍼선(J)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게 내부로 유입된 절연유를 형광분말과 함께 점퍼선(J)으로 흘려보내 누전발생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41)는 애자연결구(41a)와 제1바디(41b) 및 제2바디(41c)로 구성된다.
상기 애자연결구(41a)는‘ㄷ’자 형상의 부재로, 현수애자(3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애자코터핀(3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애자연결구(41a)의 일측에는 제1바디(41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41b)와 제2바디(41c)는 직육면체블록을 분할형성한 것으로, 내부에는 분할저장조(42)와 배전선고정구(44) 및 점퍼선고정구(45)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제1바디(41b)와 제2바디(41c)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B)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1바디(41b)의 전면 일측에는 후방으로 사각형상으로 함몰된 통수용부(41b-1)가 형성되고, 전면 타측에는 인입된 가공배전선(L)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게 호형으로 함몰된 배전선수용부(41b-4)가 형성되며, 통수용부(41b-1)와 배전선수용부(41b-4) 사이에는 인입된 점퍼선(J)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게 호형으로 함몰된 점퍼선수용부(41b-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41b)에는 배전선수용부(41b-4)를 사이에 두고 제1바디(41b)를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점퍼선수용부(41b-5)를 사이에 두고 제1바디(41b)를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각 구멍에는 배전선고정구(44) 및 점퍼선고정구(45)가 관통되게 끼워져 너트(N) 체결된다.
또한, 상기 통수용부(41b-1)의 일측에는 일단이 통수용부(41b-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제1바디(41b)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유입관 수용부(41b-2)가 형성되고, 통수용부(41b-1)의 타측에는 일단이 통수용부(41b-1)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점퍼선수용부(41b-5)와 상호 연통되는 배출관 수용부(41b-3)가 형성되며, 점퍼선수용부(41b-5)를 기준으로 하부 양측에는 절연유 및 형광분말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확장부(41b-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41b)의 전면에 맞대어지는 제2바디(41c)의 후면에는 제1바디(41b)의 통수용부(41b-1)와 배전선수용부(41b-4), 점퍼선수용부(41b-5), 유입관 수용부(41b-2), 배출관 수용부(41b-3) 및 확장부(41b-6)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수용부(41c-1)와 배전선수용부(41c-4), 점퍼선수용부(41c-5), 유입관 수용부(41c-2), 배출관 수용부(41c-3) 및 확장부(41c-6)가 형성되고, 배전선수용부(41c-4)와 점퍼선수용부(41c-5)에는 호형으로 함몰된 제1유동부(41c-7)와 제2유동부(41c-8)가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유동부(41c-7)와 제2유동부(41c-8)에는 배전선고정구(44)와 점퍼선고정구(45)의‘U’자 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제1·2바디(41b,41c)를 해제하지 않고도 배전선수용부(41b-4,41c-4) 및 점퍼선수용부(41b-5,41c-5)로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삽입할 수 있고, 이때 너트(N)를 체결하게 되면, 배전선고정구(44) 및 점퍼선고정구(45)가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고정하게 되므로 전선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분말저장조(42)는 분말통(42a)과 유입관(42b) 및 배출관(42c)로 구성된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넥터(41)에 내설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절연유와 함께 형광분말을 점퍼선(J)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말통(42a)는 직육면체형상의 함체로, 내부에는 형광분말이 충진되며, 통수용부(41b-1,41c-1)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유입관(42b)는 분말통(42a)의 일측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분말통(42a)과 상호 연통되며, 유입관 수용부(41b-2,41c-2)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유입관(42b)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연결구(43)와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나사탭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이 커넥터(41)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배출관(42c)은 분말통(42a)의 타측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분말통(42a)과 상호 연통되며, 배출관 수용부(41b-3,41c-3)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배출관(42c)의 말단부에는 확장부(41b-6,41c-6)를 향해 절연유 및 형광분말을 배출하는 개구부(구멍)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43)는 유입관(42b)과 전환밸브(110)를 호스를 매개로 상호 연결해주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유입관(42b)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커넥터(41)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배전선고정구(44) 및 점퍼선고정구(45)는 U형 볼트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바디(41b)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강하게 압박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전선고정구(44) 및 점퍼선고정구(45)의 관통된 말단에는 너트(N)가 체결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슬리브(50)는 가공배전선(L)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분기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기슬리브(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이루되며, 가공배전선(L)의 외주면을 감싸 가압고정하는 배전선억류부(51)와, 분기선(L')의 외주면을 감싸 가압고정하는 분기선억류부(52)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50)의 외면에는 연결고리(5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슬리브(50)는 설치 후, 절연커버(미도시)에 의해 감싸진다.
한편, 상기 분기선(L')은 전주(P)에 설치된 컷아웃스위치(COS)를 매개로 변압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추락방지기구(60)는 간격유지바(61)와 연결바(6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분기슬리브(50)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완금(10)과 분기슬리브(5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격유지바(61)는 절연재질의 막대로, 양단이 각각 분기슬리브(50)의 연결고리(53)에 연결되어 분기슬리브(50) 사이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바(62)는 절연재질의 막대(또는 줄)로, 일단이 완금(10)의 고리(11)에 연결되고, 타단이 간격유지바(61)에 연결되어 완금(10)과 간격유지바(61)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외력에 의해 현수애자(30)가 절단되거나 가공배전선(L)이 전선연결유닛(40)으로부터 이탈될 경우 지상으로 추락할 수 있는데, 이를 추락방지기구(60)가 잡아 줌으로서 지상으로의 추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변압기(70)는 전주(P)에 밴드(미도시)를 매개로 설치되어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압기(70)에는 컷오프스위치(COS)를 매개로 연결되는 분기선(L')이 설치된다.
이러한 변압기(70)의 내부에는 작동과정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절연유가 충진되고, 외면에는 내부에 열 배출 및 절연유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판(71:방열판)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변압기(70)는 순환펌프(100)에 의해 절연유탱크(90)로부터 냉각된 절연유가 공급되고, 절연유탱크(90)로 가열된 절연유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압기(70)는 과열로 인한 고장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탱크(90), 순환펌프(100), 전환밸브(110) 및 제어부(1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1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해 누전감지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유탱크(90)는 완금(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절연유가 충진된다.
상기 절연유탱크(90)에 충진된 절연유는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되어 변압기(70)에 주입되고, 변압기(70)에 충진된 절연유는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되어 절연유탱크(90)에 주입되는데, 변압기(70)로부터 배출되는 절연유는 절연유탱크(90)까지 이동되는 과정에 냉각판(71) 및 외부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면서 절연유탱크(90)로 유입된다.
상기 순환펌프(100)는 절연유를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완금(10)에 설치되어 변압기(70) 내부에 절연유가 절연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게 압송하고, 절연유탱크(90) 저장된 절연유가 변압기(70)로 유입될 수 있게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순환펌프(100)는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일정주기로 절연유를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전환밸브(110)는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밸브로, 평상시에는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된 절연유가 변압기(70)로 유입될 수 있게 통로를 개방하고 있다가,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제어되면 변압기(70)와 연결되어 있던 경로가 전선연결유닛(40)과 연결되도록 경로를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된 절연유가 연결구(43)를 통해 분말저장조(42)로 유입될 수 있게 전환밸브(11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평상시에는 순환펌프(100)에 의해 절연유탱크(90)의 절연유는 압송되어 전환밸브(110)를 거쳐 변압기(70)로 유입되고, 변압기(70)의 절연유 역시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되어 절연유탱크(90)로 재유입되는 순환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가 제어부(120)로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전환밸브(110)의 경로를 전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절연유탱크(90)의 절연유는 전환밸브(110)를 거처 전선연결유닛(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절연유는 연결구(43)를 통해 분말저장조(42)로 유입된 다음 분말저장조(42)의 말단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절연유는 형광분말이 저장된 분말통(42a)을 지나는 과정에 형광분말과 섞이게 되고, 이렇게 형광분말과 섞여진 절연유는 분말저장조(42)의 말단을 통해 점퍼선(J)을 향해 배출되어 점퍼선(J)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퍼선(J)의 표면에는 형광분말과 섞인 절연유가 도포됨에 따라 작업자는 점퍼선(J)의 표면에 묻은 형광분말을 보고 현재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순환펌프(100)에 의해 절연유탱크(90)의 절연유는 압송되어 전환밸브(110)를 거쳐 변압기(70)로 유입되고, 변압기(70)의 절연유 역시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되어 절연유탱크(90)로 재유입되는 순환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변압기(70)의 발열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가 제어부(120)로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전환밸브(110)의 경로를 전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절연유탱크(90)의 절연유는 전환밸브(110)를 거처 전선연결유닛(4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이렇게 유입된 절연유는 연결구(43)를 통해 분말저장조(42)로 유입된 다음 분말저장조(42)의 말단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절연유는 형광분말이 저장된 분말통(42a)을 지나는 과정에 형광분말과 섞이면서 유동하게 되고, 이렇게 형광분말과 섞여진 절연유는 분말저장조(42)의 말단 즉, 배출관(42c)을 통해 점퍼선(J)을 향해 배출하게 되며, 이렇게 배출된 형광분말과 섞여진 절연유는 점퍼선(J)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퍼선(J)의 표면에는 형광분말과 섞인 절연유가 도포됨에 따라 작업자는 점퍼선(J)의 표면에 묻은 형광분말을 보고 현재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전환밸브(110)를 동작제어하여 절연유탱크(90)의 절연유가 변압기(70)로 유입될 수 있게 경로를 전환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완금 11: 고리 20: 아이쇄클
21: 쇄클아이 30: 현수애자 31: 쇄클코터핀
40: 전선연결유닛 41: 커넥터 41a: 애자연결구
41b: 제1바디 41b-1: 통수용부 41b-2: 유입관 수용부
41b-3: 배출관 수용부 41b-4: 배전선수용부 41b-5: 점퍼선수용부
41b-6: 확장부 41c: 제2바디 41c-1: 통수용부
41c-2: 유입관 수용부 41c-3: 배출관 수용부 41c-4: 배전선수용부
41c-5: 점퍼선수용부 41c-6: 확장부 41c-7: 제1유동부
41c-8: 제2유동부 42: 분말저장조 42a: 분말통
42b: 유입관 42c: 배출관 43: 연결구
44: 배전선고정구 45: 점퍼선고정구 50: 분기슬리브
51: 배전선억류부 52: 분기선억류부 53: 연결고리
60: 추락방지기구 61: 간격유지바 62: 연결바
70: 변압기 71: 냉각판 80: 누전감지센서
90: 절연유탱크 100: 순환펌프 110: 전환밸브
120: 제어부

Claims (1)

  1.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완금(10); 각각의 완금(1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쇄클아이(21)를 구비하는 아이쇄클(20); 쇄클아이(21)에 쇄클코터핀(31)을 매개로 일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30); 현수애자(30)의 단부에 애자코터핀(32)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전선연결유닛(40)으로 구성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유닛(40) 중 어느 하나는,
    현수애자(30)의 단부에 애자코터핀(32)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는 애자연결구(41a),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애자연결구(41a)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전면 일측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통수용부(41b-1)가 형성되고, 전면 타측에는 가공배전선(L)이 수용되는 배전선수용부(41b-4)가 형성되며, 통수용부(41b-1)와 배전선수용부(41b-4) 사이에는 점퍼선(J)이 수용되는 점퍼선수용부(41b-5)가 형성되며, 통수용부(41b-1)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관 수용부(41b-2)가 형성되며, 통수용부(41b-1)의 일측에는 일단이 통수용부(41b-1)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점퍼선수용부(41b-5)와 상호 연통되는 배출관 수용부(41b-3)가 형성되며, 점퍼선수용부(41b-5)를 기준으로 하부 양측에는 확장부(41b-6)가 형성된 제1바디(41b),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제1바디(41b)의 전면에 맞대어져 볼트(B)를 매개로 고정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통수용부(41b-1)와 배전선수용부(41b-4), 점퍼선수용부(41b-5), 유입관 수용부(41b-2), 배출관 수용부(41b-3) 및 확장부(41b-6)에 각각 대응되는 통수용부(41c-1)와 배전선수용부(41c-4), 점퍼선수용부(41c-5), 유입관 수용부(41c-2), 배출관 수용부(41c-3) 및 확장부(41c-6)가 형성되고, 배전선수용부(41c-4)와 점퍼선수용부(41c-5)에는 호형으로 함몰된 제1유동부(41c-7)와 제2유동부(41c-8)가 형성된 제2바디(41c)로 이루어진 커넥터(41)와,
    통수용부(41b-1,41c-1)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형광분말이 충진된 분말통(42a),
    분말통(42a)의 상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분말통(42a)과 상호 연통되며, 유입관 수용부(41b-2,41c-2)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유입관(42b),
    분말통(42a)의 상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분말통(42a)과 상호 연통되며, 배출관 수용부(41b-3,41c-3)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절연유와 함께 형광분말을 확장부(41b-6,41c-6)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관(42c)으로 이루어진 분말저장조(42)와,
    커넥터(41)의 상부로 돌출되게 유입관(42b)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구(43)와,
    제1유동부(41c-7)에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바디(41b)에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N)를 매개로 배전선수용부(41b-4,41c-4)에 수용된 가공배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호 형상의 배전선고정구(44)와,
    제2유동부(41c-8)에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바디(41b)에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N)를 매개로 점퍼선수용부(41b-5,41c-5)에 수용된 점퍼선(J)을 가압고정하는 호 형상의 점퍼선고정구(45)로 구성되고;
    가공배전선(L)과 분기선(L')을 각각 감싸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외면에 연결고리(53)가 마련된 S자 형상의 분기슬리브(50);
    양단부가 분기슬리브(50)의 연결고리(53)에 설치되어 분기슬리브(50)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절연재질의 간격유지바(61)와, 양단부가 각각 완금(10)과 간격유지바(61)에 연결되어 완금(10)과 간격유지바(61)를 상호 연결하는 절연재질의 연결바(62)로 구성된 추락방지기구(60);
    전주(P)에 설치되어 컷아웃스위치(COS)를 매개로 분기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 및 외면에 형성된 냉각판(71)에 의해 냉각되며, 절연유가 유입 및 유출되는 변압기(70);
    완금(1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해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센서(80);
    완금(10)에 설치되며 절연유가 저장된 절연유탱크(90);
    변압기(70) 내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압송하고, 절연유탱크(90)의 절연유가 변압기(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압송하는 순환펌프(100);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된 절연유가 연결구(43) 또는 변압기(70)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배출경로를 전환하는 전환밸브(110);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순환펌프(100)에 의해 압송된 절연유가 연결구(43)를 통해 분말저장조(42)로 유입될 수 있게 전환밸브(11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0220179573A 2022-12-20 2022-12-20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6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573A KR102560448B1 (ko) 2022-12-20 2022-12-20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573A KR102560448B1 (ko) 2022-12-20 2022-12-20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448B1 true KR102560448B1 (ko) 2023-07-28

Family

ID=8742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573A KR102560448B1 (ko) 2022-12-20 2022-12-20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44B1 (ko) 2010-07-16 2010-10-26 (주)혜광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381347B1 (ko) * 2014-02-18 2014-04-0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1876480B1 (ko) * 2018-01-15 2018-07-10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0989444B1 (ko) 2010-07-16 2010-10-26 (주)혜광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381347B1 (ko) * 2014-02-18 2014-04-0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1876480B1 (ko) * 2018-01-15 2018-07-10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869B2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KR1020306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KR102560448B1 (ko)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ES2339332T3 (es) Dispositivo para la desconexion inmediata en el caso de cortocircuitos en redes electricas de cc y ca de buques de superficie y submarinos, especialmente, buques de combate e instalaciones en alta mar.
MX2008015013A (es) Sistema de prevencion de ruptura de caja de transformador.
KR20070029301A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2560449B1 (ko) 조류접근차단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57490B1 (ko) 전선간의 충돌방지기능을 마련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CN101764004B (zh) 一种熔断器
KR102557489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연결설비
US7639113B2 (en) Enclosed insulator assemb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US20040258402A1 (en) Instantaneous electric water heaters
US2433588A (en) Welding cable
KR10145472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639346B1 (ko) 전력기기 부싱용접용 수냉장치
KR101618802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CN109616362A (zh) 电缆分支箱专用开关装置
CN209515525U (zh) 电缆分支箱专用开关装置
KR102492787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KR20200141313A (ko) 개폐기 리드선 또는 점퍼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장치
KR102664845B1 (ko) Aitc 계통 접속함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보접속재 분리방법
CN216851043U (zh) 一种组合电器安装固定结构和组合电器
CN218386769U (zh) 一种管状母线连接器
JP2598843B2 (ja) 自家用発電機等の出力特性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